KR20220028692A -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692A
KR20220028692A KR1020200110025A KR20200110025A KR20220028692A KR 20220028692 A KR20220028692 A KR 20220028692A KR 1020200110025 A KR1020200110025 A KR 1020200110025A KR 20200110025 A KR20200110025 A KR 20200110025A KR 20220028692 A KR20220028692 A KR 2022002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select
signal
flash memory
flash
sele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0011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692A/ko
Priority to CN202110985690.0A priority patent/CN114125097A/zh
Priority to US17/460,000 priority patent/US11874744B2/en
Publication of KR2022002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20Initialising; Data preset; Chip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41Resetting or repow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42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 mobile device, e.g. mobile phones, handheld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6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count or rate limit, e.g. word- or bit count lim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3Remedial or corrective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0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machine instruction level
    • G06F11/141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machine instruction level for bus or memory ac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2Solving problems relating to consist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의 비정상 상태로 인한 모바일 폰의 오동작을 개선한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를 개시하며, 플래시 데이터를 읽어서 동작하는 집적 회로로부터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로써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한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리셋을 위한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하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MOBILE PHONE HAVING RESET FUCTION OF FLASH MEMORY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ASH MEMORY}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시 메모리의 비정상 상태로 인한 모바일 폰의 오동작을 개선한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폰은 통화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통화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고 화면의 터치를 통하여 통화나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폰은 화면의 표시 기능과 터치 센싱 기능을 겸비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은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과 터치를 센싱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패널을 의미한다.
상기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은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요소들과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일부 공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은 인셀(In-Cell) 방식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폰은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과 결합된 터치 집적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집적회로는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서 터치를 센싱한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편, 모바일 폰은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과 결합된 디스플레이 집적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집적회로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 화면의 표시를 위한 소스 신호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서 화소의 특성을 센싱한 화소 센싱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폰은 디스플레이 집적회로와 터치 집적회로 중 적어도 하나에 펌웨어(Firmware)와 플래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집적회로는 화면의 얼룩(무라, Mura)에 대한 디무라(De-Mura)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는 디무라를 위한 보정값을 플래시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집적회로의 읽기에 대응하여 디무라를 위한 플래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집적회로는 모바일 폰의 부팅 시점 또는 디스플레이 온 시점에 터치 펌웨어(Touch Firmware)를 저장한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는 터치 집적회로의 동작을 위한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터치 집적회로의 읽기에 대응하여 플래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또는 터치 집적 회로는 정전기(ESD)의 영향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를 비정상적으로 읽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또는 터치 집적회로는 플래시 데이터의 비정상적인 읽기로 인해서 오동작될 수 있다.
정전기에 의한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폰의 배터리를 탈착한 후 부착하거나 메인 전원을 오프한 후 온하는 과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를 해소하는 것은 사용자의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고 제품의 신뢰도 저하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모바일 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안정적으로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쉽게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에 대한 터치 집적회로의 읽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쉽게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집적회로의 읽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쉽게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을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는,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 및 제공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에러 정보로써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은, 디스플레이와 터치의 센싱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플래시 데이터를 읽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 제공하고 상기 터치를 센싱한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를 제공하는 터치 집적회로;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터치 집적회로에 제공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상기 에러 정보로써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은, 디스플레이와 터치의 센싱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플래시 데이터를 읽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소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 제공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집적회로에 제공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상기 에러 정보로써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는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하면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함으로써 비정상 케이스에 대응한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폰의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또는 터치 집적 회로의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하면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함으로써 비정상 케이스에 대응한 모바일 폰의 오 동작을 쉽게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폰은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에 대응한 오 동작을 쉽게 해소할 수 있으므로 개선된 제품의 신뢰도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모바일 폰에 적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 방법을 설명하는 파형도.
도 5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은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폰은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 터치 집적회로(3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 플래시 메모리(50), 키 모듈(60) 및 전원관리 집적회로(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중,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와 전원관리 집적회로(70)는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키 모듈(6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와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되는 버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키 모듈(60)은 터치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터치에 의해 키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은 화면의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은 모바일 폰의 화면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은 OLED 또는 LCD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은 OLED를 이용하여 화소를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한 것으로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화소들과 터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패턴들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는 타이밍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도시되지 않음)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스 신호 DD를 생성하며, 소스 신호 DD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은 화면의 크기 및 해상도를 지원하기 위한 많은 수의 채널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의 채널 별로 해당하는 소스 신호 DD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의 화소를 형성하는 OLED는 열화에 의해 밝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는 화소의 특성을 센싱하기 위한 화소 센싱 신호 SS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의 채널 별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는 수신된 화소 센싱 신호 SS를 이용하여 화소의 열화 정도에 맞게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상하고, 보상된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스 신호 DD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의 채널 별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은 예시적으로 정전식으로 터치를 센싱하여 터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은 터치를 위한 구성 요소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성과 공유되는 인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집적회로(30)는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터치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 Tx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에 제공하고 터치를 센싱한 터치 센싱 신호 Rx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집적회로(30)는 모바일 폰의 부팅 시점 또는 디스플레이 온 시점에 터치 펌웨어(Touch Firmware)를 저장한 플래시 메모리(50)의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터치 집적회로(30)는 모바일 폰의 부팅 시점 또는 디스플레이 온 시점에 플래시 데이터를 읽고,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 Tx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에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에서 터치를 센싱한 터치 센싱 신호 Rx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터치 집적회로(30)는 정전기(EDS) 등이 플래시 메모리(50)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5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플래시 메모리(50)는 터치 펌웨어와 터치 집적회로(30)의 동작을 위한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터치 집적회로(30)의 읽기에 대응하여 플래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 및 터치 집적회로(30)와 인터페이스됨으로써 디스플레이와 터치 간의 동기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터치 집적회로(30)에서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를 수신하고, 에러 정보로써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 오퍼레이션(Reset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플래시 메모리(50)를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플래시 메모리(50)가 리셋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리셋을 위한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와 디스에이블된 칩 선택 신호 CS#를 플래시 메모리(5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드 신호 HOLD#와 칩 선택 신호 CS#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래시 메모리(50)는 상기한 홀드 신호 HOLD#와 칩 선택 신호 CS#를 수신하며 리셋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리셋 오퍼레이션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의 동작은 상기한 키 모듈(60)과 인터페이스되며 사용자의 키 모듈(60)을 이용한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 터치 집적회로(3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 및 플래시 메모리(50)는 동작을 위하여 각각 같거나 다른 전원을 필요로 하며, 상기한 전원들은 전원 관리 집적회로(7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전원 관리 집적회로(70)는 외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레벨의 아날로그 프로세스용 전압들과 디지털 프로세스용 전압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와 플래시 메모리(50)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의 실시예로 이해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와 플래시 메모리(50)는 도 2와 같이 인터페이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홀드 신호 HOLD#을 제공하는 홀드 신호 단자, 칩 선택 신호 CS#을 제공하는 칩 선택 신호 단자, 시리얼 클럭 신호 SCLK를 제공하는 시리얼 클럭 신호 단자, 시리얼 입력 신호 SI를 제공하는 시리얼 입력 신호 단자, 시리얼 출력 신호 SO를 수신하는 시리얼 출력 신호 단자 및 쓰기 방지 신호 WP#을 제공하는 쓰기 방지 신호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에서, 플래시 메모리(50)는 동작 전압 VCC이 인가되는 전원 단자, 홀드 신호 HOLD#을 수신하는 홀드 신호 단자, 칩 선택 신호 CS#을 수신하는 칩 선택 신호 단자, 시리얼 클럭 신호 SCLK를 수신하는 시리얼 클럭 신호 단자, 시리얼 입력 신호 SI를 수신하는 시리얼 입력 신호 단자, 시리얼 출력 신호 SO를 제공하는 시리얼 출력 신호 단자, 쓰기 방지 신호 WP#을 수신하는 쓰기 방지 신호 단자 및 접지 전압 GDN이 인가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와 플래시 메모리(50)의 홀드 신호 HOLD#을 위한 홀드 신호 단자들, 칩 선택 신호 CS#을 위한 칩 선택 신호 단자들, 시리얼 클럭 신호 SCLK를 위한 시리얼 클럭 신호 단자들, 시리얼 입력 신호 SI를 위한 시리얼 입력 신호 단자들, 시리얼 출력 신호 SO를 위한 시리얼 출력 신호 단자들 및 쓰기 방지 신호 WP#을 위한 쓰기 방지 신호 단자들이 신호 전달을 위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된다.
도 2에서, 플래시 메모리(50)의 홀드 신호 단자는 홀드 신호 HOLD#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에 대응하는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서, 홀드 신호 HOLD#, 칩 선택 신호 CS# 및 쓰기 방지 신호 WP#는 디스에이블을 위해 하이 레벨을 가지고 인에이블을 위해 로우 레벨을 갖도록 제공된다.
홀드 신호 HOLD#는 노멀 상태에서 하이 레벨의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며 리셋 오퍼레이션을 위하여 로우 레벨로 활성화된 상태로 천이된다. 그리고, 칩 선택 신호 CS#는 플래시 메모리(50)로 액세스가 불필요한 경우 하이 레벨의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며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위하여 액세스가 필요한 시점에 로우 레벨의 활성화된 상태로 천이된다. 시리얼 클럭 신호 SCLK는 시리얼 입력 신호 SI 및 시리얼 출력 신호 SO를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토글링되는 펄스 파형을 갖도록 제공된다. 시리얼 입력 신호 SI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에서 플래시 메모리(5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해당하는 신호로 이해될 수 있고, 시리얼 출력 신호 SO는 시리얼 입력 신호 SI에 대응하는 플래시 데이터의 출력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쓰기 방지 신호 WP#는 플래시 데이터의 쓰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로우 레벨로 활성화되고 슬래시 데이터의 쓰기를 허용하기 위하여 하이 레벨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들 중, 리셋 오퍼레이션을 위하여, 홀드 신호 HOLD#는 로우 레벨로 활성화된 상태로 천이되며, 칩 선택 신호 CS#는 하이 레벨의 비활성화된 상태로 천이된다.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터치 집적회로(30)에서 제공되는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 ER을 수신하고, 리셋을 위한 리셋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도록 플래시 메모리(50)를 제어하기 위한 활성화된 홀드 신호 HOLD#와 비활성화된 칩 선택 신호 CS#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재에서 에러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ER"은 도면에 표시하지 않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명세서에 기재한다.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2), 칩 선택 신호 제공부(44) 및 홀드 신호 제공부(46) 및 클럭 신호 제공부(48)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2)는 에러 정보 ER를 수신하며, 에러 정보 ER로써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칩 선택 신호 제공부(44) 및 홀드 신호 제공부(46) 및 클럭 신호 제공부(48)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홀드 신호 제공부(46)는 노멀 상태에서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를 제공하고,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제어 신호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2)로부터 수신되면 리셋을 위하여 로우 레벨로 천이되어서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칩 선택 신호 제공부(44)는 플래시 메모리(50)로 액세스가 불필요한 경우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칩 선택 신호 CS#를 제공하고 플래시 메모리(50)로 액세스가 필요한 경우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 칩 선택 신호 CS#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칩 선택 신호 제공부(44)는 액세스가 필요하여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 칩 선택 신호 CS#를 제공하는 중,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제어 신호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2)로부터 수신되면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위하여 하이 레벨로 천이되며 일정 시간 디스에이블을 유지하는 칩 선택 신호 CS#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클럭 신호 제공부(48)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2)에 의해 시리얼 클럭 신호 SCLK를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시리얼 클럭 신호 SCLK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클럭 신호 제공부(48)는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제어 신호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2)로부터 수신되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시리얼 클럭 신호 SCLK를 생성을 유지하거나 시리얼 클럭 신호 SCLK의 생성을 중지할 수 있다. 시리얼 클럭 신호 SCLK는 플래시 메모리(50)의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리셋 오퍼레이션과 무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리얼 입력 신호 SI와 시리얼 출력 신호 SO는 리셋 오퍼레이션과 무관하므로 리셋 오퍼레이션에 대응하여 하이 임피던스에 대응하는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와 플래시 메모리(60)가 구성됨에 의해 리셋 오퍼레이션은 도 4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래시 메모리(50)의 리셋을 위한 리셋 오퍼레이션은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가 수신되면 진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리셋 오퍼레이션을 진행하는 기간은 홀드 신호 HOLD#이 로우 레벨로 인에이블을 유지하는 기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칩 선택 신호 CS#가 리셋을 위하여 하이 레벨로 디스에이블되면, 플래시 메모리(50)는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플래시 메모리(60)는 칩 선택 신호 CS#가 디스에이블되는 시점 RT에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위하여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로직을 리셋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어서, 터치 집적회로(30)가 플래시 메모리(50)에서 읽은 플래시 데이터가 정전기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오류가 없는 경우, 터치 집적회로(30)는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 제공하고 터치를 센싱한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터치 집적회로(30)로부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 ER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홀드 신호 HOLD#를 하이 레벨의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플래시 메모리(50)의 액세스를 위하여 칩 선택 신호 CS#를 로우 레벨의 인에이블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플래시 메모리(50)는 리셋 오퍼레이션에 의한 플래시 데이터 리셋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터치 집적회로(30)가 플래시 메모리(50)에서 읽은 플래시 데이터가 정전기에 영향을 받아서 오류가 있는 경우, 터치 집적회로(30)는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 ER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로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 ER를 수신하면, 에러 정보 ER로써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하여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를 제공하고 그 후 일정 시간 디스에이블을 유지하는 칩 선택 신호 CS#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50)는 리셋을 위하여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과 디스에이블된 칩 선택 신호 CS#가 제공되면, 시리얼 클럭 신호 SCLK, 시리얼 입력 신호 SI, 시리얼 출력 신호 SO 및 쓰기 방지 신호 WP#의 상태를 무시하고,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에 의해 리셋 오퍼레이션에 진입하며, 디스에이블된 칩 선택 신호 CS#가 하이로 천이되는 시점 RT에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한다.
상기한 바에 의해, 본 발명은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에 비정상 케이스에 대응한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쉽게 수행하고 모바일 폰의 오동작을 쉽게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5에서,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는 플래시 데이터를 읽고,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소스 신호를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10)에 제공하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에서 에러 정보를 수신하고, 홀드 신호 HOLD#과 칩 선택 신호 CS#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50)는 홀드 신호 HOLD#과 칩 선택 신호 CS#을 수신하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의 읽기 요청에 대응하여 플래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플래시 메모리(50)는 디무라를 위한 보정값을 플래시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의 읽기에 대응하여 디무라를 위한 플래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가 플래시 메모리(50)에서 읽은 플래시 데이터가 정전기에 영향을 받아서 오류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집적회로(20)는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 ER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로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 ER를 수신하면, 에러 정보 ER로써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는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하여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를 제공하고 그 후 일정 시간 디스에이블을 유지하는 칩 선택 신호 CS#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50)는 리셋을 위하여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과 디스에이블된 칩 선택 신호 CS#가 제공되면, 시리얼 클럭 신호 SCLK, 시리얼 입력 신호 SI, 시리얼 출력 신호 SO 및 쓰기 방지 신호 WP#의 상태를 무시하고, 인에이블된 홀드 신호 HOLD#에 의해 리셋 오퍼레이션에 진입하며, 디스에이블된 칩 선택 신호 CS#가 하이로 천이되는 시점 RT에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한다.
이 경우, 상기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 및 플래시 메모리(50)의 상기한 동작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집적 회로(20)의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에 비정상 케이스에 대응한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쉽게 수행하고 모바일 폰의 오동작을 쉽게 해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폰은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에 대응한 오동작을 쉽게 해소할 수 있으므로 개선된 제품의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4)

  1.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 및 제공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에러 정보로써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에 의해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터치를 센싱한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집적회로의 읽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집적회로에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에 대한 상기 에러 정보를 수신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소스 신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집적회로의 읽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집적회로에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의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에 대한 상기 에러 정보를 수신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위하여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로직을 리셋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동작 전압을 제공받는 전원 단자;
    상기 홀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홀드 신호 단자; 및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칩 선택 신호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홀드 신호를 제공하는 제2 홀드 신호 단자; 및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칩 선택 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홀드 신호는 상기 제1 홀드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홀드 신호 단자 간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칩 선택 신호는 상기 제1 칩 선택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칩 선택 신호 단자 간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가 수신된 후 리셋을 위한 상기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수행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7. 디스플레이와 터치의 센싱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플래시 데이터를 읽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 제공하고 상기 터치를 센싱한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를 제공하는 터치 집적회로;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터치 집적회로에 제공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상기 에러 정보로써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위하여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로직을 리셋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동작 전압을 제공받는 전원 단자;
    상기 홀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홀드 신호 단자; 및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칩 선택 신호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홀드 신호를 제공하는 제2 홀드 신호 단자; 및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칩 선택 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홀드 신호는 상기 제1 홀드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홀드 신호 단자 간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칩 선택 신호는 상기 제1 칩 선택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칩 선택 신호 단자 간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가 수신된 후 리셋을 위한 상기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수행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11. 디스플레이와 터치의 센싱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플래시 데이터를 읽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소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에 제공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에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홀드 신호와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집적회로에 제공하는 플래시 메모리; 및
    상기 에러 정보로써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읽기 오류로 인한 비정상 케이스가 정해진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와 상기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리셋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위하여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로직을 리셋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동작 전압을 제공받는 전원 단자;
    상기 홀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홀드 신호 단자; 및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칩 선택 신호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홀드 신호를 제공하는 제2 홀드 신호 단자; 및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칩 선택 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홀드 신호는 상기 제1 홀드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홀드 신호 단자 간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칩 선택 신호는 상기 제1 칩 선택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칩 선택 신호 단자 간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리셋을 위한 상기 홀드 신호가 수신된 후 리셋을 위한 상기 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의 리셋을 수행하는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KR1020200110025A 2020-08-31 2020-08-31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KR20220028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25A KR20220028692A (ko) 2020-08-31 2020-08-31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CN202110985690.0A CN114125097A (zh) 2020-08-31 2021-08-26 具有闪存复位功能的移动电话及其闪存控制装置
US17/460,000 US11874744B2 (en) 2020-08-31 2021-08-27 Mobile phone having flash memory reset function and flash memory control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25A KR20220028692A (ko) 2020-08-31 2020-08-31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692A true KR20220028692A (ko) 2022-03-08

Family

ID=8035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025A KR20220028692A (ko) 2020-08-31 2020-08-31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74744B2 (ko)
KR (1) KR20220028692A (ko)
CN (1) CN1141250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0742B (zh) * 2023-07-14 2023-09-26 芯天下技术股份有限公司 Nor flash的复位方法、装置、存储芯片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4316B2 (ja) * 2012-12-12 2016-12-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電子制御装置
KR20150140496A (ko) * 2014-06-05 201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데이터 복구를 위한 리드 리클레임 방법 및 그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
KR102628940B1 (ko) 2016-06-30 2024-0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회로, 터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733104B2 (en) * 2018-08-03 2020-08-04 Micron Technology, Inc. Fast non-volatile storage device recovery techniques
KR102651129B1 (ko) * 2018-12-21 202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재기입 방법, 상기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US11144387B2 (en) * 2019-04-29 2021-10-1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detect and/or correct bit errors using an in band link over a serial peripheral interface
US11243831B2 (en) * 2019-07-15 2022-02-08 Micron Technology, Inc. Reset and replay of memory sub-system controller in a memory sub-system
US11507498B2 (en) * 2020-03-05 2022-11-22 Sandisk Technologies Llc Pre-computation of memory core control signals
KR20210123884A (ko) * 2020-04-06 2021-10-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스토리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25097A (zh) 2022-03-01
US11874744B2 (en) 2024-01-16
US20220066881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548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iming controller with a self-recovery bloc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EP3671717A1 (en) Driver circuit for display device, voltage conversion circuit, and display device and power-off control method therefor
US10262742B2 (en) Memory protection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same
US11320919B2 (en) Touch and display driver integration circuit
EP3594791A1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river ic and a connection film
WO2019041396A1 (zh) 显示面板中软件数据的保护方法及其系统
KR20190107218A (ko) 단락 검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60079120A1 (en) Interface and control devices for display apparatus and integrated circuit chip having the same
KR20180025428A (ko) 표시장치 및 파워 모니터링 회로
KR20180021967A (ko) 리셋회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220028692A (ko)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KR20090049777A (ko) 표시 장치
CN111800658B (zh) 一种芯片参数写入方法、电视机及存储介质
CN109545158B (zh) 一种保护信号产生电路和保护装置
US20090213129A1 (en) Storage Unit and Storage Module for Storing EDID
US2023031701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an over-current protecting operation thereof
US20110109597A1 (en) Display driver,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38167B1 (ko) 타이밍 컨트롤러 리셋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50687B1 (ko) 터치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터치 표시 장치 및 터치 구동 집적 회로의 동작 방법
US20210141482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of automatically recording firmware thereof
KR102531409B1 (ko) 표시 장치
CN102024411B (zh) 平板显示器和操作显示单元的方法
KR20090066205A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 및 표시장치
KR101096702B1 (ko)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615449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