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702B1 -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702B1
KR101096702B1 KR1020050058626A KR20050058626A KR101096702B1 KR 101096702 B1 KR101096702 B1 KR 101096702B1 KR 1020050058626 A KR1020050058626 A KR 1020050058626A KR 20050058626 A KR20050058626 A KR 20050058626A KR 101096702 B1 KR101096702 B1 KR 10109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unit
terminal
liquid crystal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924A (ko
Inventor
성낙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7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5Details of drivers for counter electrodes, e.g. common electrodes for pixel capacitors or supplementary storage capaci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memory pla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9Arrangements for evaluating degradation, retention or wearout, e.g. by counting erase cycles
    • G11C16/3495Circuits or methods to detect or delay wearout of nonvolatile EPROM or EEPROM memory devices, e.g. by counting numbers of erase or reprogram cycles, by using multiple memory areas serially or cycli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8Details of driving circuits arranged to drive both scan and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EEPROM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는 읽고 쓰기가 가능하며,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구동을 위한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커넥터와; 상기 메모리부의 라이트 보호 단자(WP:Write Protect)와 상기 사용자 커넥터 사이에 인버터가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부의 리드 또는 라이트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호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접지된 제 1 내지 제 4 단자와, 상기 사용자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를 입력받는 제 5, 제 6 단자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리드 또는 라이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라이트 보호 단자인 제 7 단자와, 라이팅 구동시에 전원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메모리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제 8 단자로 구성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인버터

Description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PROGRAMMABLE MEMORY BLOCK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 메모리가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외부 메모리부 및 그 주변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EPROM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사용자 커넥터 31 : 인버터
42 : 커넥터 43 : 타이밍 콘트롤러
44 : 직류-직류 변환기 45 : 외부 메모리부
46 : 보호회로 51 : 액정 표시 패널
51a : 게이트 드라이버 51b : 데이터 드라이버
52 : 구동회로부
본 발명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된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기에 알맞은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데이타 처리 시스템은 기억 소자 즉, 메모리를 사용하여 시스템에서 이용되거나 처리될 각종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1 또는 0 의 디지탈 비트 형태로 된 워드라고 통상 불리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장소의 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어레이 내의 각각의 기억 장소는 메모리 어레이 내의 그 위치를 한정하는 관련 주소를 가지고 있다. 정보 워드에 대한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엑세스는 적절한 어드레스에 대한 특정과 함께 이 특정된 어드레스에서 수행될 동작에 대한 명령을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메모리 어레이 내의 일정 영역 또는 어레이 내의 기억 장소 그룹을 보호된 상태를 갖도록 지정하고, 이들 보호 영역 또는 장소에 대한 엑세스를 제한하는 수단 즉, 보호 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보호 회로는 일반적으로 데이타 처리 시스템에 관련된 정전형 시스템 메모리(electrostatic system memory) 또는 자기 코어 메모리(magnetic core memory)와 같은 외부 메모리부에 유용하다.
상기 외부 메모리부로 사용 가능한 것 중,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들 수 있는데, 상기 EEPROM은 고의적인 또는 우연적인 사고에 의해 데이타가 변경되기 쉬운 면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에 대하여 데이타를 보호하여 줄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강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상기 외부 메모리부가 EEPROM으로 구성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외부 메모리부가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외부 메모리부 및 그 주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영역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11)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11)에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12)와, 외부 메모리부(25)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회로부(12)는, 커넥터(22)를 통해 시스템으로 전압을 인가 받아 승압 또는 감압하여 각부에 필요한 구동 전압(Vcc, Vdd)을 출력하고 타이밍 콘트롤러(23)의 동작 신호에 따라 게이트 저전압 신호(VGL) 및 게이트 고전압 신호(VGH)를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기(24)와,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부(25)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들여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24)의 동작을 위한 동작 신호 및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타이밍 콘트 롤러(23)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23)의 동작 신호에 의해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24)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고전압 신호(VGH) 및 게이트 저전압 신호(VGL)를 입력받아 스캔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스캔펄스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11)의 각 게이트 라인(G)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1a)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23)로부터 출력되는 보정된 비디오 신호(Do)를 입력받아 디지털인 상기 보정된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인 보정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보정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11)의 각 데이터 라인(D)에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22)으로부터 출력되는 R, G, B 비디오 신호는 프레임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23)에 입력된다.
상기 외부 메모리부(25)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소자로 이루어지며, 시스템 부팅시에 해상도, 타이밍과 같은 모델 정보를 시스템에서 리드하여 액정 구동회로부에 전달한다. 즉, 외부 메모리부(25)는 부팅시에만 필요하고, 지속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과전류 유립이나 ESD 유입시에 데미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상기 외부 메모리부(25)는 마이콤 등에 의해 라이트(write)하여 소정의 룩업 테이블을 만든다.
이 경우, 룩업 테이블의 생성예는 다음과 같다.
즉, 시스템(22)으로부터 인가 받은 이전 프레임의 비디오 신호와 현재 프레 임의 비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x축과 y축이 만나는 부분에 보정된 비디오 신호(Do)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하여 룩업 테이블을 만든다.
이러한 종래의 외부 메모리부(25)로 작용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사용자 커넥터(20)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단자(제 1 내지 제 8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EEPROM은 라이팅(Writing) 동작시에는 외부의 마이컴과 사용자 커넥터(20)를 통해 연결되고, 액정 모듈 구동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 내의 구동 회로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1, 2, 3)는 특별한 데이터나 전원 전압 값이 인가되지 않으며 여분으로 형성한 단자(NC : No Connection)이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단자는 접지 전압 단자인 제 4 단자(4)와 함께 접지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는 전원 전압이나 데이터 또는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다른 단자가 불능시에 대체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단자(1, 2, 3)는 다른 단자에 대해 대체로 이용되기 전에는 라이팅 및 액정 모듈 구동에 불문하고, 그라운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 5 단자(5)와 제 6 단자(6)는 각각 라이팅시에는 마이컴으로부터 사용자 커넥터(20)의 7번 핀과 6번 핀을 통해서 데이터 신호(DATA)와 클럭 신호(CLK)를 각각 인가 받으며, 액정 모듈 구동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 내부 전원 전압 발생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전압(VCC)을 인가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 7 단자(7)는 라이트 보호(WP : Write Protect) 단자로 상기 외부 메모리부(25)인 EEPROM이 라이트 인에이블 상태에 있도록, 상기 접지 전압(VSS)이 인가되고 있다. 이러한 제 7 단자(7)는 라이팅 또는 액정 모듈 구동을 불문하고 항상 접지 또는 플로팅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 8 단자(8)는 라이팅시에 사용자 커넥터(20)의 4번핀을 통해서 전원 전압 단자(VCC)에 연결되고, 액정 모듈 구동시에는 전원 전압(VCC)이 연결되어, 상기 외부 메모리부(25)인 EEPROM을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커넥터(20) 중 1번 핀과 5번 핀과 8번 핀은 여분으로 형성된 단자(NC : No Connection)이고, 2, 3번 핀에는 VCC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외부 메모리부(25)인 EEPROM은 라이트 보호 단자(WP)인 제 7단자가 항상 접지되어 있어, 항상 라이트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여, 라이팅 후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시에도 액정 모듈(LCM) 외부 요인에 의해, 원하지 않는 다른 데이터가 외부 메모리부에 라이트되어지거나, 혹은 라이팅되어 있던 데이터가 손실되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래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가 라이트 되어 있거나 손실되어 있으면 원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없게 되므로, 구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EEPROM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는 읽고 쓰기가 가능하며,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구동을 위한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커넥터와; 상기 메모리부의 라이트 보호 단자(WP:Write Protect)와 상기 사용자 커넥터 사이에 인버터가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부의 리드 또는 라이트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호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접지된 제 1 내지 제 4 단자와, 상기 사용자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를 입력받는 제 5, 제 6 단자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리드 또는 라이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라이트 보호 단자인 제 7 단자와, 라이팅 구동시에 전원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메모리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제 8 단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는,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영역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부와; 사용자 커넥터와 상기 외부 메모리부의 라이트 보호 단자 사이에 인버터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 메모리부의 리드 또는 라이트 상태를 선 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호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회로부는, 커넥터를 통해 시스템으로 전압을 인가 받아 승압 또는 감압하여 각부에 필요한 구동 전압(Vcc, Vdd)을 출력하고 타이밍 콘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따라 게이트 저전압 신호(VGL) 및 게이트 고전압 신호(VGH)를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기와,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들여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동작을 위한 동작 신호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타이밍 콘트롤러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의해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고전압 신호(VGH) 및 게이트 저전압 신호(VGL)를 입력받아 스캔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스캔펄스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각 게이트 라인(G)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보정된 비디오 신호(Do)를 입력받아 디지털인 상기 보정된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인 보정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보정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각 데이터 라인(D)에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메모리부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메모리부는 접지된 제 1 내지 제 4 단자와, 상기 사용자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를 입력받는 제 5, 제 6 단자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리드 또는 라이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라이트 보호 단자인 제 7 단자와, 라이팅 구동시에 전원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외부 메모리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제 8 단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메모리부와 상기 보호회로는 외부 사용자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구동회로부와는 별도로 전원을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의 라이트 보호 단자(WP:Write Protect)로의 입력신호를 조절하여, 리드와 라이트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시에 액정 모듈(LCM)의 외부 요인에 의해, 외부 메모리부에 원하지 않는 다른 데이터가 라이트 되어지거나, 혹은 라이팅 되어 있던 데이터가 손실되는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EPROM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EEPROM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45)와 외부 사용자 커넥터(30) 및 상기 외부 메모리부(45)의 라이트 보호 단자(WP:Write Protect)와 외부 사용자 커넥터(30) 사이에 인버터(31)를 구비하여, 인버터(31)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리드 상태 또는 라이트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보호회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EEPROM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45)는 복수개의 단자(제 1 내지 제 8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이팅(Writing) 동작시에는 외부의 마이컴과 사용자 커넥터(30)를 통해 연결되며, 액정 모듈 구동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 내의 구동 회로에 연결된다.
여기서, EEPROM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45)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1, 2, 3)는 특별한 데이터나 전원 전압 값이 인가되지 않으며 여분으로 형성한 단자(NC : No Connection)이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단자는 접지 전압 단자인 제 4 단자(4)와 함께 접지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1, 2, 3)는 전원 전압이나 데이터 또는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다른 단자가 불능시에 대체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단자(1, 2, 3)는 다른 단자에 대해 대체로 이용되기 전에는 라이팅 및 액정 모듈 구동에 불문하고, 그라운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 5 단자(5)와 제 6 단자(6)는 각각 라이팅시에는 마이컴으로부터 사용자 커넥터(30)의 7번 핀과 6번 핀을 통해서 데이터 신호(DATA)와 클럭 신호(CLK)를 각각 인가 받으며, 액정 모듈 구동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 내부 전원 전압 발생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전압(VCC)을 인가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 7 단자(7)는 라이트 보호(WP : Write Protect) 단자로, 외부 사용자 커넥터(30)의 5번 핀과 연결되어 리드(read) 상태 또는 라이트(write) 및 리드(read) 상태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외부 사용자 커넥터(30)의 5번 핀과 제 7 단자(7)의 사이에는 인버터(31)가 구비되어 상기 상태를 선택한다.
즉, 인버터(31)를 통해서 제 7 단자(7)에 접지전압(GND)이 입력되면 라이트가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전원전압(VCC)이 입력되면 오직 리드(read)만 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하면, 종래의 라이팅 또는 액정 모듈 구동을 불문하고 항상 접지 또는 플로팅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일 때의 데이터 왜곡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단자(8)는 라이팅시에 사용자 커넥터(30)의 4번핀을 통해서 전원 전압 단자(VCC)에 연결되고, 액정 모듈 구동을 위한 부팅(booting)시에만 전원 전압(VCC)(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이 연결되어, 상기 EEPROM을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커넥터(30)의 4번 핀과 외부 메모리부(45)의 제 8 단자를 연결하는 신호라인과, 상기 사용자 커넥터(30)의 6번 핀과 외부 메모리부(45)의 제 6 단자(6)를 연결하는 신호라인은 병렬 콘택되어 있고, 그 사이에 저항(R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커넥터(30)의 4번 핀과 외부 메모리부(45)의 제 8 단자를 연결하는 신호라인과, 상기 사용자 커넥터(30)의 7번 핀과 외부 메모리부(45)의 제 5 단자(5)를 연결하는 신호라인이 병렬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에 저항(R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커넥터(30) 중 1번 핀과 5번 핀과 8번 핀 및 기타 연결되지 않은 핀들은 여분으로 형성된 단자(NC : No Connection)이고, 2, 3번 핀에는 VCC가 연결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EEPROM은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메모리부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영역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51)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51)에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52)와, 액정 표시 패널 구동을 위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부(45)와, 상기 외부 메모리부(45)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46)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회로부(52)는, 커넥터(42)을 통해 시스템으로 전압을 인가 받아 승압 또는 감압하여 각부에 필요한 구동 전압(Vcc, Vdd)을 출력하고 타이밍 콘트롤러(43)의 동작 신호에 따라 게이트 저전압 신호(VGL) 및 게이트 고전압 신호(VGH)를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기(44)와, 전원이 온(on)되면 외부 메모리부(45)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들여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44)의 동작을 위한 동작 신호 및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타이밍 콘트롤러(43) 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3)의 동작 신호에 의해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44)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고전압 신호(VGH) 및 게이트 저전압 신호(VGL)를 입력받아 스캔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스캔펄스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51)의 각 게이트 라인(G)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51a)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3)로부터 출력되는 보정된 비디오 신호(Do)를 입력받아 디지털인 상기 보정된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인 보정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보정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51)의 각 데이터 라인(D)에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5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42)로부터 출력되는 R, G, B 비디오 신호는 프레임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3)에 입력된다.
상기 외부 메모리부(45)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소자로 이루어지며, 시스템 부팅시에 해상도, 타이밍과 같은 모델 정보를 시스템에서 리드하여 액정 구동회로부에 전달한다. 즉, 외부 메모리부(45)는 부팅시에만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메모리부(45)는 마이콤 등에 의해 라이트(write)하여 소정의 룩업 테이블을 만든다.
이 경우, 룩업 테이블의 생성예는 다음과 같다.
즉, 커넥터(42)를 통해 인가 받은 이전 프레임의 비디오 신호와 현재 프레임의 비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각각 x축 및 y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x축과 y축이 만나는 부분에 보정된 비디오 신호(Do)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하여 룩업 테이블을 만든다.
이러한 외부 메모리부(45)와 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는 보호회로(46)는 외부 사용자 커넥터(30)(도 3 참조)를 통하여 구동 회로부(52)와는 별도로 전원을 인가 받는다.
그리고 상기 보호회로(46)는 상기 EEPROM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45)의 라이트 보호 단자(WP:Write Protect)와 외부 사용자 커넥터(30)의 5번 핀 사이에 인버터(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외부 메모리부(45)의 라이트 보호 단자(WP:Write Protect)에는 인버터(31)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EEPROM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45)는 복수개의 단자(제 1 내지 제 8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이팅(Writing) 동작시에는 외부의 마이컴과 사용자 커넥터(30)를 통해 연결되며, 액정 모듈 구동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 내의 구동 회로에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메모리부(45)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1, 2, 3)는 특별한 데이터나 전원 전압 값이 인가되지 않으며 여분으로 형성한 단자(NC : No Connection)이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단자는 접지 전압 단자인 제 4 단자(4)와 함께 접지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자(1, 2, 3)는 전원 전압이나 데이터 또는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다른 단자가 불능시에 대체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단자(1, 2, 3)는 다른 단자에 대해 대체로 이용되기 전에는 라이팅 및 액정 모듈 구동에 불문하고, 그라운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 5 단자(5)와 제 6 단자(6)는 각각 라이팅시에는 마이컴으로부터 사용자 커넥터(30)의 7번 핀과 6번 핀을 통해서 데이터 신호(DATA)와 클럭 신호(CLK)를 각각 인가 받으며, 액정 모듈 구동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 내부 전원 전압 발생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전압(VCC)을 인가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 7 단자(7)는 라이트 보호(WP : Write Protect) 단자로, 외부 사용자 커넥터(30)의 5번 핀과 연결되어 리드(read) 상태 또는 라이트(write) 및 리드(read) 상태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외부 사용자 커넥터(30)의 5번 핀과 제 7 단자(7)의 사이에는 인버터(31)가 구비되어 상기 상태를 선택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 커넥터(30)의 5번 핀과 인버터(31)를 통해서 제 7 단자(7)에 접지전압(GND)이 입력되면 라이트가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 7 단자(7)에 전원전압(VCC)이 입력되면 오직 리드(read)만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 8 단자(8)는 라이팅시에 사용자 커넥터(30)의 4번핀을 통해서 전원 전압 단자(VCC)에 연결되고, 액정 모듈 구동시에는 전원 전압(VCC)이 연결되어, 상기 EEPROM을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커넥터(30) 중 1번 핀과 5번 핀과 8번 핀 및 기타 연결되지 않은 핀들은 여분으로 형성된 단자(NC : No Connection)이고, 2, 3번 핀에는 VCC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라이트 보호 단자(WP)에 인버터(31)를 연결하여 입력되는 전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종래의 라이팅 또는 액정 모듈 구동을 불문하고, 라이트 보호 단자(WP)에 항상 접지 또는 플로팅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일 때 발생하던 데이터 왜곡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EEPROM으로 구성된 외부 메모리부의 라이트 보호 단자(WP)에 인버터(31)를 연결하여, 라이트 보호 단자(WP)에 입력되는 전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외부 메모리부의 데이터가 왜곡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읽고 쓰기가 가능하며,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구동을 위한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커넥터와;
    상기 메모리부의 라이트 보호 단자(WP:Write Protect)와 상기 사용자 커넥터 사이에 인버터가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부의 리드 또는 라이트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호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부는 접지된 제 1 내지 제 4 단자와, 상기 사용자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를 입력받는 제 5, 제 6 단자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리드 또는 라이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라이트 보호 단자인 제 7 단자와, 라이팅 구동시에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메모리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제 8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3. 삭제
  4.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영역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부와;
    사용자 커넥터와 상기 외부 메모리부의 라이트 보호 단자 사이에 인버터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 메모리부의 리드 또는 라이트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호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메모리부는 접지된 제 1 내지 제 4 단자와, 상기 사용자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 신호와 클럭 신호를 입력받는 제 5, 제 6 단자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리드 또는 라이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라이트 보호 단자인 제 7 단자와, 라이팅 구동시에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메모리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제 8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부는,
    커넥터를 통해 시스템으로 전압을 인가 받아 승압 또는 감압하여 각부에 필요한 구동 전압(Vcc, Vdd)을 출력하고 타이밍 콘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따라 게이트 저전압 신호(VGL) 및 게이트 고전압 신호(VGH)를 출력하는 직류-직류 변환기와,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들여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의 동작을 위한 동작 신호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타이밍 콘트롤러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의 동작 신호에 의해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고전압 신호(VGH) 및 게이트 저전압 신호(VGL)를 입력받아 스캔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스캔펄스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각 게이트 라인(G)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보정된 비디오 신호(Do)를 입력받아 디지털인 상기 보정된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인 보정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보정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각 데이터 라인(D)에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와 상기 보호회로는 외부 사용자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구동회로부와는 별도로 전원을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58626A 2005-06-30 2005-06-30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09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626A KR101096702B1 (ko) 2005-06-30 2005-06-30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626A KR101096702B1 (ko) 2005-06-30 2005-06-30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924A KR20070002924A (ko) 2007-01-05
KR101096702B1 true KR101096702B1 (ko) 2011-12-22

Family

ID=3786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626A KR101096702B1 (ko) 2005-06-30 2005-06-30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15B1 (ko) * 2013-12-18 2021-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316559B1 (ko) * 2015-01-30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6086A (ja) * 1998-04-23 1999-11-05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メモリモジュ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6086A (ja) * 1998-04-23 1999-11-05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メモリモジュ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924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37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6256217B1 (en) Apparatus for on-board programming of serial EEPROMS
US64180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oltage responsive reset for EEPROM
US20090057417A1 (en) Ic card
US20150187427A1 (en) Memory protection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same
JP2023174670A (ja) 液晶表示装置
KR101437868B1 (ko) 표시 장치
US20060079120A1 (en) Interface and control devices for display apparatus and integrated circuit chip having the same
KR101096702B1 (ko)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040213038A1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KR101609110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및 제조 방법
KR20170050620A (ko)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38484B1 (ko) 쓰기 방지 회로,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들의 구동 방법
CN109634892B (zh) 显示装置的数据保护系统及保护方法
US8125269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JP349799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22766A (ja) 液晶ドライバ
KR102149752B1 (ko) 메모리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220028692A (ko) 플래시 메모리의 리셋 기능을 갖는 모바일 폰 및 그의 플래시 메모리 제어 장치
US6995754B2 (en) Plasma display module
KR20040019220A (ko) 모니터의 이이피롬의 데이터 보호 장치 및 방법
US7463518B2 (en) Layout structure for use in flash memory device
KR19980052497A (ko) 플래쉬 메모리셀의 섹터 보호 회로
US8593851B2 (en) Verification system
JP7402007B2 (ja) 液晶ドライバ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