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617A -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 Google Patents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617A
KR20220028617A KR1020200109833A KR20200109833A KR20220028617A KR 20220028617 A KR20220028617 A KR 20220028617A KR 1020200109833 A KR1020200109833 A KR 1020200109833A KR 20200109833 A KR20200109833 A KR 20200109833A KR 20220028617 A KR20220028617 A KR 20220028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inge
state
rota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태
Original Assignee
박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태 filed Critical 박형태
Priority to KR102020010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617A/ko
Publication of KR2022002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cam-and-slide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3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의 캠 회전에 따른 피스톤의 롤러와 잠김상태를 회전과 동시에 해제하여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에 의한 여닫이문의 개방 동작이 제공으로 사용의 편리성과 장기간 사용에도 롤러의 마모변형을 최소화하여 수명연장을 개선한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플로어 힌지를 구축하는 힌지축(20)에 일체 가공된 캠(21)의 고정캠홈(21a)에 수평 방향으로 로드공(22)을 관통하고, 고정캠홈(21a)의 대향 측은 면취면(22a)으로 가공한 상태에서 로드공(22)에 선단을 돌출하고 후단이 고정롤러(32)의 외주면에 당접한 상태로 수평이동하는 밀음로드(25)를 조립 구성하여 힌지축(20)의 회전에 따른 밀음로드(25)의 선단이 탄성체(50)의 전면에 당접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밀음로드(25)의 후단이 고정롤러(32)의 외주면을 밀어 잠김을 고정캠홈(21a)에서 들뜸상태로 이완하여 힌지축(2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Rocking release device of floor hinge}
본 발명은 여닫이문용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의 캠 회전에 따른 피스톤의 롤러와 잠김상태를 회전과 동시에 해제하여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에 의한 여닫이문의 개방 동작이 제공으로 사용의 편리성과 장기간 사용에도 롤러의 마모변형을 최소화하여 수명연장을 개선한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거나 당김에 의한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문은 회전에 따른 축 기능을 하는 플로어 힌지가 여닫이문의 일측 하측에 구비되고, 이에 대응해서 그 상측에 회전축으로 구비되어 회전이 지지된다.
이러한 플로어 힌지는 여닫이문의 개폐 안전을 위해 급격하게 열거나 닫히는 속도의 감속 완충을 위해 완충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플로어 힌지는 종래에도 다양한 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일 예로 특허문헌 1의 플로어 힌지는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1)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힌지축(2)이 축조립으로 입설되어 있으며, 여닫이문과 결합한 힌지축(2)의 회전에 의한 일체구조의 캠(2-1)의 회전으로 피스톤(3)이 종속적으로 후진하면서 상기 캠(2-1)의 90도 방향으로 형성된 일측 캠홈이 피스톤(3)의 일측 롤러(3-2)에 맞결합되면서 여닫이문의 개방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여닫이문을 닫을 경우에는 피스톤(3)의 일측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밀어 타측 캠홈에 롤러(3-2)를 맞결합에 의해 고정하게 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시에 케이싱의 내부인 작동공간(실린더실)(3-1)에 충전된 유체에 의해 피스톤(3)의 진퇴운동이 감속 완충되면서 개폐동작이 제공되고 상기 케이싱(1)의 작동공간(실린더실)(3-1)의 축소로 완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는 종래의 문제점인 플로어 힌지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의 최소화 및 조립성을 개선의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싱(1)과 피스톤(3), 상기 피스톤(3)에 조립되는 힌지축(2)의 조립구조의 특성상 케이싱(1)의 작동공간에 수용되는 피스톤(3)에는 수직방향으로 조립되는 상기 힌지축(2)에 일체화된 캠(2-1)의 작동을 위해 캠수용공간(3-1)은 반드시 상부개방부(A)를 형성하여 조립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은 힌지축(2)에 조립되는 여닫이문의 반복적인 개폐동작에 따른 반복적인 하중회전에 미치게 되어 상기 피스톤(3)은 진퇴운동에 따른 실린더실(작동공간)의 상대적인 전, 후방 측의 반발 유압에 의해 캠수용공간(3-1)의 상부 개방부가 오그라들려는 변형력에 의해 피스톤의 전방 상단부와 후방의 상단부 측이 실린더실(작동공간)을 깎아 먹는 편중 마모가 발생되어 시간이 갈수록 피스톤의 진퇴운동에 따른 완충감속 작동의 작동 저하로 사용수명을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의 구조를 크게 변형하지 않고 케이싱(1)에 여닫이문을 조립하고, 힌지축(2)을 바닥과 축 조립하는 설치방향을 반대로 취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1과 같은 피스톤의 변형력에 따른 케이싱의 작동공간(실린더실)의 편중마모가 발생하는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한 특허문헌 1 및 2의 단점을 개선하여 특허문헌 3을 제공하였다.
즉, 특허문헌 3은 여닫이문의 하중 회전을 지지하는 힌지축 캠의 회전으로 진퇴작동하는 피스톤의 캠수용공간의 상부개방부가 상대적으로 작용하는 반발유압에의해 오그라드는 변형을 방지하여 케이싱의 작동공간 편중마모를 방지하여 원활한 감속완충의 작동 수명을 극대화하는 플로어 힌지의 피스톤 변형방지 구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특허문헌 3 역시, 여닫이문의 개폐작동, 즉 열고 닫음 시에 여닫이문을 지지하는 회전축에 구성된 캠의 회전으로 후방의 롤러와의 스프링력으로 당접된 90도 방향으로 형성된 캠홈과의 이탈 및 맞결합으로 여닫이문의 개방 및 닫음 상태가 고정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은 2개의 롤러를 채택하고 있으나, 캠 회전운동에 따른 전방의 롤러는 특별한 기능이 없어 오히려 부품의 증가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었고,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캠의 회전작동, 즉, 열음상태에서 닫음시에는 여닫이문을 밀어서 그 자체하중에 의해 캠홈에서 피스톤의 롤러와의 이탈이 쉬워 닫음 작동에 큰 문제가 없으나,
닫음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롤러의 외주면이 회전축의 캠에 형성된 캠홈에 밀착상태로 고정되고 여닫이문의 개방에 따른 당김 또는 밀음시에 스프링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롤러의 외주면과 밀착상태로 잠김 됨으로써 캠홈 이탈의 회전에 많은 힘이 드는 단점 및 캠홈의 이탈에 따른 마찰이 심하여 마모가 짧은 시간에 발생하여 단점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031513호(2011. 04. 20. 등록) 2. 한국 등록특허 제10-1186017호(2012. 09. 19. 등록) 3. 한국 등록특허 제10-2040485호(2019. 11. 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닫이문의 개방시에 캠홈과 롤러의 잠김상태에서 캠의 회전과 동시에 캠홈에 밀착되어 있던 롤러를 캠홈에서 들 뜬 상태로 밀면서 힌지축의 회전이 제공되어 롤러와의 마찰 최소화에 의한 개방시에 작은 힘으로 개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닫이문의 개방 회전에 따른 캠과 롤러의 마찰을 최대한 억제하여 롤러의 마모를 최대한 작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수명의 보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이 제시하는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는,
힌지축에 일체 가공되는 캠의 고정캠홈에 수평 방향으로 로드공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캠홈의 대향 측은 면취면으로 가공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공에 선단을 돌출하고 후단이 상기 고정롤러의 외주면에 당접한 상태로 수평이동하는 밀음로드를 조립 구성하여 상기 힌지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밀음로드의 선단이 탄성체의 전면에 당접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밀음로드의 후단이 상기 고정롤러의 외주면을 밀어 잠김을 상기 고정캠홈에서 들뜸상태로 이완하여 상기 힌지축의 회전을 제공하여 여닫이문의 쉬운 개방이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밀음로드는 선단이 반구형접속부로 구성하고 후단면과 상기 캠의 면취면의 로드공 전단 사이에 압축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고 후방은 스냅링의 조립으로 후방에 가공된 확장로드공에 걸림상태로 조립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전진이 제한된 상태로 탄력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밀음로드 선단의 반구형접속부가 당접하는 확장받침헤드, 상기 확장받침헤드의 후방에 연장되고 후단에 나팔형 확관부로 성형된 조립로드로서, 상기 확장받침헤드에서 상기 조립로드의 중심방향으로 오리피스공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의 길이방향에 조립된 경질수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경질수지체의 확장받침헤드와 상기 후방에 조립되어 반발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고무체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에 인서트결속되어 상기 밀음로드의 반구형접속부의 회전에 따른 반발탄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닫이문의 개방시에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캠의 고정캠홈에 밀착된 고정롤러의 잠김상태를 이완하여 해제하면서 작은 힘으로 여닫이문의 원활한 개방이 제공되어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닫이문의 개방 시에 회전축에 일체 성형된 캠의 고정캠홈에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롤러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회전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에도 마모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플로어 힌지의 수명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원가를 증가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로어힌지의 피스톤의 작동을 보여주는 발췌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의 일부 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3의 발췌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의 조립상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G"부 발췌 확대도로서, 여닫이문의 닫힘상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개방(열음)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발췌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개방(열음)상태를 보여주는 발췌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3의 발췌 분해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의 조립상태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우 힌지는,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실린더실의 작동공간(11)을 갖는 케이싱(10), 힌지축(20) 및 캠(21), 캠 수용공간(31)을 갖도록 상부 개방부(A)를 갖는 피스톤(30), 상기 피스톤(30)의 일측에서 탄력지지하는 압축스프링(40)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작동공간(11)에 연통하는 힌지공(12)이 수직방향으로 가공되고, 상기 수평방향의 작동공간(11)은 양측단에 가공된 나사를 이용하여 밀폐캡(13,13)의 나사조립으로 기밀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공(12) 역시, 상기 힌지축(20)의 외주면을 축기밀한 상태로 나사조립되는 밀폐캡(23)에 의해 기밀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공간에는 완충을 위해 충전되는 유체의 외부누설이 없는 상태에서 힌지축(20)의 회전에 따른 캠(21)의 진퇴운동하는 피스톤(30)의 운동에도 유체의 누설이 없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20)은 밀폐캡(23)에 의해 힌지공(12)에서 축 설치되고 상단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여닫이문과 고정되고, 케이싱(10)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플로어 힌지는 피스톤(30)은 케이싱(10)의 작동공간(11)에 끼워져 힌지축(20)의 캠(21)의 회전에 의해 전진방향에 대응한 유체의 반발유압에 의한 감속 완충된다.
즉, 상기 피스톤(30)은 그 길이방향에 관통된 오리피스의 전방 측에 볼과 스프링으로 구성된 체크밸브(C/V)(특허문헌 3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어 구체적인 도면은 생략함)가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30)의 급격한 전진 시에는 상기 체크밸브(C/V)의 작용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완충하여 급격한 닫힘동작이 차단된다.
이러한 플로어 힌지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인 특허문헌 3과 동일하다.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는 피스톤(30)을 구성하는 몸체 중앙부에 형성된 횡방향의 캠 수용공간(31)에는 전방 측에 탄성체(50)가 구비되고, 이의 대향측으로 고정롤러(32)이 축설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0)의 캠(21)은 상기 탄성체의 대향측에 가공된 고정캠홈(21a)에 로드공(22)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로드공(22)에는 탄력적으로 전,후진하는 밀음로드(25)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개방부(A)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밀음로드(25)가 상기 탄성체(50)에 선단이 밀착하고 후단이 상기 고정롤러(32)의 외주면에 당접한 상태로 상기 힌지축(20)이 축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폐캡(23)에 의해 축회전이 지지된 상태로 상단부가 노출되어 조립된다.
이때, 상기 밀음로드(25)는 선단이 반구형접속부(25a)로 구성하고 후단면과 상기 캠(21)의 면취면(22a)의 로드공 전단 사이에 압축스프링(24)으로 탄력지지되고, 그 후방은 스냅링(26)의 조립으로 상기 캠(21)의 후방에 가공된 확장로드공(22b)에 걸림상태로 조립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밀음로드(25)의 전진이 제한된다.
상기 압축스프링(24)의 기능은 상기 밀음로드(25)의 반구형접속부(25a)가 여닫이문의 닫음상태에서는 상시적으로 상기 탄성접속체(50)에 당접한 상태로 탄력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50)는 상기 밀음로드(25) 선단의 반구형접속부(25a)가 당접하는 확장받침헤드(52), 상기 확장받침헤드의 후방에 연장되고 후단에 나팔형 확관부(54)로 성형된 조립로드(53)로서, 상기 확장받침헤드(52)에서 상기 조립로드(53)의 중심방향으로 오리피스공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30)의 길이방향에 조립된 경질수지체(51)가 구비되고,
상기 경질수지체(51)의 확장받침헤드(52)와 상기 후방에 조립되어 반발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고무체(55)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30)에 인서트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무체(55)은 상기 경질수지체(51)의 확장받침헤드(52)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대해 반발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밀음로드(25)의 반구형접속부(25a)가 당면하여 회전시에 그 반발탄성으로 밀어내는 반발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로드(53)는 후단의 나팔형 확관부(54)에 의해 전진 이탈이 없도록 인서트 성형으로 결속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플로어 힌지는 특허문헌 3에 상세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20)의 캠(21)은 반복적으로 정/역회전에 의해 90도 방향에 형성된 고정캠홈(21a)과 복수의 걸림캠홈(21b)에 의해 상기 고정롤러(32)가 고정(닫음 상태)되거나 임시 걸림(열은 상태)되어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닫음과 열음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힌지의 작동에 있어, 여닫이문의 닫음상태는 일측에서 피스톤(30)을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캠(21)의 고정캠홈(21a)에 피스톤(30)에 조립된 고정롤러(32)의 외주면이 밀착상태로 맞결합으로 힌지축(20)의 회전이 고정된다(도 7 및 도 8의 발췌확대도 참조).
본 발명의 핵심기술은 여닫이문의 닫음 시에 잠김상태에서 개방(열음) 시에 많은 힘이 드는 것을 상기 밀음로드(25)의 작동으로 잠김상태를 이완하여 용이한 개방 작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방작동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닫이문의 개방 작동을 위한 힌지축(20)의 회전 시에 상기 밀음로드(25)의 선단 반구형접속부(25a)가 탄성체(50)의 표면, 즉 경질수지체(51)의 확장받침헤드(52)의 표면을 당접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확장받침헤드(52)을 지지하는 조립로드(52)에 조립된 탄성고무체(55)에 의해 반발탄성력으로 그 회전편차량 만큼 후진하여 압축스프링(24)을 압축하면서 후단이 상기 고정롤러(32)를 밀어 고정캠홈(21a)에 들뜸하여 잠김상태를 이완함으로서 회전작동하고,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90도 회전으로 상기 캠(21)의 걸림캠홈(21b)에 상기 고정롤러(32)가 임시적 걸림되어 열림상태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여닫이문의 열림상태에서, 여닫이문의 닫음은 반대회전의 밀음이나 당김에 의해 제공되고 이러한 닫음작동은 여닫이문의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걸림캠홈(21b)에서 고정롤러(32)의 이탈에 힘이 들지 않는다.
그러나 도 8과 같이, 여닫이문의 닫음 상태는 캠(21)의 고정캠홈(21a)에 고정롤러(32)가 밀착상태로 압축스프링(40)의 탄성력으로 강압적인 밀착으로 결속되고, 여닫이문의 자체하중이 상기 압축스프링(40)의 탄성력방향과 일치된 자중이 작용함으로서 닫음상태가 잠김상태로 고정되어 개방시에 많은 힘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핵심기술은 여닫이문의 닫음으로 인한 잠김상태의 이완을 제공하여 용이한 개방작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핵심요지는 상기 힌지축(20)의 개방 회전시에 상기 캠(21)에 조립된 상기 밀음로드(25) 전단의 반구형접속부(25a)가 회전에 의한 상기 탄성체(50)를 구성하는 경질수지체(51)의 확장받침헤드(52)에 당면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고무체(55)의 탄성력을 지지받아 후단이 상기 고정롤러(32)의 외주면을 밀어 상기 고정캠홈(21a)에서 들뜸상태로 잠김을 이완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정롤러(32)의 잠김을 이완하고 회전함으로써 여닫이문의 개방 작동이 쉽게 된다.
한편, 케이싱(10)은 일측에 댐핑유로(15)가 형성되고, 상기 댐핑유로에는 조절볼트(16)가 나사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30)의 댐핑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이미 플로어힌지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20)에 여닫이문이 축 고정된 상태에서 도 10과 같은 열음동작에는 케이싱(10)의 작동공간(11)에 충전된 유체의 반발유압의 작용이 배제되나,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여닫이문의 닫음동작에는 피스톤(30)의 전진에 대응하여 체크밸브(C/V)가 유체관로인 오리피스를 차단함으로 반발유압이 발생하면서 완충/감속되는 것으로 이 역시 이미 플로어힌지에서는 널리 알려진 구성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도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세한 설명에서 확인되듯이, 본 발명의 핵심요지는 여닫이문의 개방 시에 고정캠홈(21a)과 고정롤러(32)의 강압적인 밀착(잠김상태)에서 캠(21)의 회전과 동시에 고정캠홈(21a)에 밀착되어 있던 상기 고정롤러(32)를 고정캠홈(21a)에서 들 뜬 상태로 밀면서 이완시켜서 힌지축(20)의 회전작동에 작은 힘으로 개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렇게 설치된 본 발명은 장기간의 반복적인 힌지축(200)의 정/역회전에도 피스톤(30)에 축 설치된 고정롤러(32)와 힌지축(20) 캠(21)의 고정캠홈(21a)의 이탈이 이완된 상태로 제공함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여닫이문의 개방작동의 용이로 편리함은 물론, 편중마모를 없애서 장기간 작동수명이 보장으로 사용수명이 최대한 연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10 : 케이싱 11 : 작동공간
12 : 힌지공 13, 23 : 밀폐캡
20 : 힌지축 21 : 캠
21a : 고정캠홈 21b : 걸림캠홈
22 : 로드공 22a : 면취면
24 : 압축스프링 25 : 밀음로드
25a : 반구형접속부 26 : 스냅링
30 : 피스톤 31 : 캠 수용공간
32 : 고정롤러 40 : 압축스프링
50 : 탄성체 51 : 경질수지체
52 : 확장받침헤드 53 : 조립로드
54 : 나팔형 확관부 55 : 탄성고무체
A : 상부 개방부 C/V : 체크밸브

Claims (3)

  1.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는 작동공간(11)이 형성되고, 고정캠홈(21a)과 걸림캠홈(21b)을 90도 방향에 가공된 캠(21)이 구비된 힌지축(20)이 관통 설치되는 힌지공(12)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작동공간(11) 내에 압축스프링(40)이 구비되고, 상기 캠(210)의 회전에 의해 좌우 왕복운동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스프링(40)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몸체 중앙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캠 수용공간(31)의 가장자리에 축 고정되어 상기 캠(21)을 지지하는 고정롤러(32)를 갖는 피스톤(30)을 포함하는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캠(21)의 고정캠홈(21a)에 수평 방향으로 로드공(22)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캠홈(21a)의 대향 측은 면취면(22a)으로 가공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공(22)에 선단을 돌출하고 후단이 상기 고정롤러(32)의 외주면에 당접한 상태로 수평이동하는 밀음로드(25)를 조립 구성하여 상기 힌지축(20)의 회전에 따른 상기 밀음로드(25)의 선단이 탄성체(50)의 전면에 당접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밀음로드(25)의 후단이 상기 고정롤러(32)의 외주면을 밀어 잠김을 상기 고정캠홈(21a)에서 들뜸상태로 이완하여 상기 힌지축(2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음로드(25)는 선단이 반구형접속부(25a)로 구성하고 후단면과 상기 캠(21)의 면취면(22a)의 로드공(22) 전단 사이에 압축스프링(24)으로 탄력지지되고 후방은 스냅링(26)의 조립으로 후방에 가공된 확장로드공(22b)에 걸림상태로 조립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으로 전진이 제한된 상태로 탄력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50)는 상기 밀음로드(25) 선단의 반구형접속부(25a)가 당접하는 확장받침헤드(52), 상기 확장받침헤드의 후방에 연장되고 후단에 나팔형 확관부(54)로 성형된 조립로드(53)로서, 상기 확장받침헤드(52)에서 상기 조립로드(53)의 중심방향으로 오리피스공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30)의 길이방향에 조립된 경질수지체(51)가 구비되고,
    상기 경질수지체(51)의 확장받침헤드(52)와 상기 후방에 조립되어 반발탄성을 제공하는 탄성고무체(55)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30)에 인서트결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KR1020200109833A 2020-08-31 2020-08-31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KR20220028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833A KR20220028617A (ko) 2020-08-31 2020-08-31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833A KR20220028617A (ko) 2020-08-31 2020-08-31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617A true KR20220028617A (ko) 2022-03-08

Family

ID=8081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833A KR20220028617A (ko) 2020-08-31 2020-08-31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6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9215A1 (en) * 2019-11-22 2023-11-02 Portapivot Bv Closure device and self-closing pivot hin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13B1 (ko) 2008-08-28 2011-04-29 박형태 오토 힌지 겸용 플로어 힌지
KR101186017B1 (ko) 2012-04-09 2012-09-27 박현석 도어용 경첩장치
KR102040485B1 (ko) 2017-09-05 2019-11-08 박형태 플로어 힌지의 피스톤 변형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13B1 (ko) 2008-08-28 2011-04-29 박형태 오토 힌지 겸용 플로어 힌지
KR101186017B1 (ko) 2012-04-09 2012-09-27 박현석 도어용 경첩장치
KR102040485B1 (ko) 2017-09-05 2019-11-08 박형태 플로어 힌지의 피스톤 변형방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9215A1 (en) * 2019-11-22 2023-11-02 Portapivot Bv Closure device and self-closing pivot h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1746C (zh) 转动缓冲器
KR101186017B1 (ko) 도어용 경첩장치
KR20220028617A (ko)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WO2012150481A1 (en) Hinge
KR20030067237A (ko)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에 있어서 유압제어구조
CN104895436A (zh) 一种多功能液压缓冲合页
CN210087086U (zh) 一种新型液压缓冲的自动闭门合页
JP5771481B2 (ja) ガススプリング装置
KR100949592B1 (ko) 캠을 이용한 오일 댐퍼
KR102040485B1 (ko) 플로어 힌지의 피스톤 변형방지 구조
CN212224967U (zh) 一种重型缓冲铰链
JP6292416B2 (ja) 緩衝機構付きドア用蝶番
JP6617943B2 (ja) 閉鎖機構付きピボットヒンジ
KR101267339B1 (ko) 세탁기 도어의 힌지장치
KR200364759Y1 (ko) 비데용 힌지 장치
KR200324628Y1 (ko) 플로어힌지
CN220226571U (zh) 一种液压芯轴及液压合页
KR101849716B1 (ko) 캠궤도 가변형 힌지댐퍼 및 힌지장치
KR102075501B1 (ko) 유압 댐핑 기능을 가지는 도어 힌지장치
CN110512972B (zh) 附旋转缓冲器的铰链以及各种机器
TWM484623U (zh) 無油自動關門器
JP2505622Y2 (ja) 自動戸閉め装置
CN215408055U (zh) 一种液压缓冲式门铰
CN217080705U (zh) 无浮游盘式柱塞泵
CN108634854B (zh) 一种具有站立功能的阻尼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