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628Y1 - 플로어힌지 - Google Patents

플로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628Y1
KR200324628Y1 KR20-2003-0016934U KR20030016934U KR200324628Y1 KR 200324628 Y1 KR200324628 Y1 KR 200324628Y1 KR 20030016934 U KR20030016934 U KR 20030016934U KR 200324628 Y1 KR200324628 Y1 KR 200324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asing
fitted
retur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태
Original Assignee
박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태 filed Critical 박형태
Priority to KR20-2003-0016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Abstract

본 고안은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하단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대략 장방형의 케이싱 내부에 힌지축에 의해 연동되는 복귀스프링이 형성되어, 도어를 열면 힌지축이 작동되어 복귀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힌지축을 역회전 시켜 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힌지축(10)에 끼워져 캠(60)의 작동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일측에 로드(22)가 형성되어 피스톤(40)과 결합되는 상판(20)과 하판(30)이 구비되되, 상기 하판(30) 양측면 선단에 걸림편(33)이 형성된 지지플렌지(32)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판(20)과 볼트(70)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상기 양측 걸림편(33)에 복귀스프링(50)이 끼워져 케이싱(100) 후방 나사공(106)에 끼워진 지지볼트(52)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여, 전체적인 케이싱의 길이를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어 그 무게가 가벼워지고, 따라서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하고 시공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어힌지{Floor hinge}
본 고안은 도어용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본체의 길이를 종래 플로어힌지에 비해 반이상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한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는 도어를 일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도어에는 외력에 의해 도어가 열린 후자체의 탄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힌지장치가 설치되어 잇다.
상기 힌지장치는 도어의 중앙부에 경첩과 같은 형태로 시공되거나 혹은 도어의 아랫쪽 바닥에 매설되어 시공되는 것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바닥에 매설되어 시공되는 것을 일반적으로 플로어 힌지라 한다.
이러한 종래의 플로어 힌지는 장방형의 케이싱 내부에 도어 하단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의 회동에 따라 종속적으로 진퇴하는 피스톤이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는 장착형의 복귀스프링에 끼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장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플로어 힌지 장치는 긴 피스톤 로드에 의해 복귀스프링 및 피스톤이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케이싱의 길이가 당연히 장방향으로 길게 커질 수 밖에 없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시공시 플로어 힌지에 의한 점유면적이 늘어나며, 모든 부품이 금속으로 제조됨으로 인해 길이 증가에 따른 금속의 필요량이 많아져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져 운반 및 시공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로어 힌지의 케이싱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그 작용효과는 종래에 동일 또는 현저하게 향상되면서도 그 부피는 현저하게 작아진 플로어힌지를 제공하여 시공이 간편한 플로어힌지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도어의 하단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대략 장방형의 케이싱 내부에 힌지축에 의해 연동되는 복귀스프링이 형성되어, 도어를 열면 힌지축이 작동되어 복귀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힌지축을 역회전 시켜 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힌지축(10)에 끼워져 캠(60)의 작동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일측에 로드(22)가 형성되어 피스톤(40)과 결합되는 상판(20)과 하판(30)이 구비되되, 상기 하판(30) 양측면 선단에 걸림편(33)이 형성된 지지플렌지(32)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판(20)과 볼트(70)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상기 양측 걸림편(33)에 복귀스프링(50)이 끼워져 케이싱(100) 후방 나사공(106)에 끼워진 지지볼트(52)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를 제안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플로어 힌지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싱
10:힌지축, 20:상판, 22:로드, 30:하판, 32:지지플렌지, 33:걸림편, 34:와셔, 40:피스톤, 50:복귀스프링, 52:지지볼트, 60:캠, 72:로울러.
이하 본 고안을 첨 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플로어 힌지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먼저 고안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플로어 힌지는 도어의하단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대략 장방형의 케이싱 내부에 힌지축에 의해 연동되는 복귀스프링이 형성되어, 도어를 열면 힌지축이 작동되어 복귀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힌지축을 역회전 시켜 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힌지축(10)에 끼워져 캠(60)의 작동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일측에 로드(22)가 형성되어 피스톤(40)과 결합되는 상판(20)과 하판(30)이 구비되되, 상기 하판(30) 양측면 선단에 걸림편(33)이 형성된 지지플렌지(32)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판(20)과 볼트(70)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상기 양측 걸림편(33)에 복귀스프링(50)이 끼워져 케이싱(100) 후방 나사공(106)에 끼워진 지지볼트(52)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플로어 힌지는 대략 사각형의 케이싱(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힌지축(10)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10)은 케이싱(100) 바닥에 형성된 하우징(110)에 하단이 끼워지고 상부는 뚜껑(12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으로, 돌출된 상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도어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뚜껑(20)의 아랫면에는 힌지축(10)의 회동시 마찰력을 줄일 있도록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끼워주는 베어링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10)에는 판상이되 일측에 로드(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작동공(24)이 형성된 상판(20)과 하판(30)이 복수개의 볼트(70)에 의해 결합되며, 이때 상기 볼트(70)에는 로울러(72)가 끼워져 있어 상판(20)과 하판(30)이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상판(20)과 하판(30)에 형성된 로드(22)는 그 끝단이 피스톤(40)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20)과 하판(30) 사이에는 캠(60)이 끼워지되 상기 캠(60)은 힌지축(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판(30)의 양측면 선단부에는 걸림편(33)이 형성된 지지플렌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33)에 탄성을 가진 복귀스프링(50)의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케이싱(100) 후방에 끼워진 지지볼트(52)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33)에는 원형의 복귀스프링(50)이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와셔(34)를 끼워줌이 바람직 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볼트(52)는 케이싱(100) 후방에 형성된 나사공(108)에 끼워 지는 것으로, 복귀스프링(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돌부(53)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고, 결합시 충분한 힘을 견딜수 있도록 케이싱(100)에 나사 결합하여주는 것이 권장된다. 여기서, 상기 돌부(53)는 스프링(5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한며,
도면의 미설명 부호 42는 조립시 피스톤(40)을 끼워주거나 케이싱(100)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한 마감볼트를 나타내며, 102는 케이싱(100)에 오일을 주입하는 오일 주입공, 104는 케이싱(100)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볼트(104)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같이 복귀스프링(50)이 한쌍으로 하판(30) 측면에 각각 위치됨으로 인해, 종래에 비해 동일한 힘을 내는데 필요한 케이싱(100)의 길이가 종래 복귀스프링(50)의 길이의 반이상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오일이 가득차 있음은 통상의 플로어 힌지장치와 같다.
사용자가 힌지축(10)에 결함된 도어를 열면 힌지축(10)은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힌지축(10)에 고정된 캠(60)이 로울러(72)를 밀어주게 되어 상판(20)과 하판(30)이 작동공(24)을 따라 후방으로 밀려나는 동시에 로드(22)와 연결된 피스톤(40)이 당겨지고, 또한 하판(30) 양측면에 고정된 복귀스프링(50)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후 문을 놓으면 복귀스프링(50)이 탄발되면서 하판(30)을 밀어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판(20)과 하판(30)을 결합시키는 볼트(70)에 끼워진 로울러(72)가 캠(60)을 밀어 원위치 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드(22)의 끝단에 결합된 피스톤(40)을 밀어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40)은 도어가 열릴때 케이싱(100) 내부에 충만된 오일을 압축하여 복귀스프링(50)과 함께 문이 천천히 열리도록 하며, 닫힐때는 반대방향으로 오일을 압축하여 문이 천천히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즉, 급격한 작동을 방지하여 부드럽고 유연하게 문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복귀스프링 구비하여 한쌍으로 하판 양 측면에 결합하여 줌으로써 동일한 힘을 발휘하기 위해 하나의 스프링을 길게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싱의 길이를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 전체 무게가 현저하게 가벼워져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하고 시공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플로어 힌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의 하단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대략 장방형의 케이싱 내부에 힌지축에 의해 연동되는 복귀스프링이 형성되어, 도어를 열면 힌지축이 작동되어 복귀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힌지축을 역회전 시켜 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힌지축(10)에 끼워져 캠(60)의 작동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일측에 로드(22)가 형성되어 피스톤(40)과 결합되는 상판(20)과 하판(30)이 구비되되, 상기 하판(30) 양측면 선단에 걸림편(33)이 형성된 지지플렌지(32)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판(20)과 볼트(70)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상기 양측 걸림편(33)에 복귀스프링(50)이 끼워져 케이싱(100) 후방 나사공(106)에 끼워진 지지볼트(52)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힌지.
KR20-2003-0016934U 2003-05-30 2003-05-30 플로어힌지 KR200324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934U KR200324628Y1 (ko) 2003-05-30 2003-05-30 플로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934U KR200324628Y1 (ko) 2003-05-30 2003-05-30 플로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628Y1 true KR200324628Y1 (ko) 2003-08-25

Family

ID=4933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934U KR200324628Y1 (ko) 2003-05-30 2003-05-30 플로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6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13B1 (ko) * 2008-08-28 2011-04-29 박형태 오토 힌지 겸용 플로어 힌지
KR200455400Y1 (ko) 2009-09-24 2011-09-05 박형태 플로어 힌지 어셈블리의 상판 구조
KR101968628B1 (ko) 2018-07-04 2019-04-15 윤태준 피봇 힌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13B1 (ko) * 2008-08-28 2011-04-29 박형태 오토 힌지 겸용 플로어 힌지
KR200455400Y1 (ko) 2009-09-24 2011-09-05 박형태 플로어 힌지 어셈블리의 상판 구조
KR101968628B1 (ko) 2018-07-04 2019-04-15 윤태준 피봇 힌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US9410352B2 (en) Door closer provided with unit for adding door-closing force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200324628Y1 (ko) 플로어힌지
KR20100100257A (ko) 플로어 힌지 어셈블리
KR200324642Y1 (ko) 플로어 힌지
EP0856628B1 (en) Door closer
US20040205930A1 (en) Door closer
CN1307359C (zh) 用于门扇或窗扇的驱动装置的单向离合装置
KR101031513B1 (ko) 오토 힌지 겸용 플로어 힌지
KR20130004749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0635448B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장치
KR100343734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역회전 방지장치
EP0056256A2 (en) A door closer
KR20220028617A (ko) 플로어 힌지의 잠김해제장치
KR200366450Y1 (ko) 플로어힌지
KR100699252B1 (ko) 플로어힌지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KR200162087Y1 (ko) 도어의 방풍장치
US20040205931A1 (en) Door closer structure
CN210087077U (zh) 一种液压门扇铰链
KR20200014996A (ko) 도어 클로저
KR200455400Y1 (ko) 플로어 힌지 어셈블리의 상판 구조
WO2009005310A2 (en) Floor hinge
CN220434520U (zh) 一种闭门器的活塞复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