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027A - 포지셔닝 시트, 포지셔닝 핀,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시트, 포지셔닝 핀,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027A
KR20220028027A KR1020227003021A KR20227003021A KR20220028027A KR 20220028027 A KR20220028027 A KR 20220028027A KR 1020227003021 A KR1020227003021 A KR 1020227003021A KR 20227003021 A KR20227003021 A KR 20227003021A KR 20220028027 A KR20220028027 A KR 2022002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pin
battery pack
slide
position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앤핑 장
춘후아 후앙
즈보 란
Original Assignee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569887.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22400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568751.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224000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569923.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140859A/zh
Application filed by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filed Critical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Publication of KR2022002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2Bolts or sleeves for positioning of machine parts, e.g. notched taper pins, fitting pins, sleeves, eccentric position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지셔닝 시트(1,10), 포지셔닝 핀(2,20), 포지셔닝 기구(3,30),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10,40) 및 전기자동차를 개시한다. 포지셔닝 시트(1,10)는 배터리 팩(51,61)의 포지셔닝 고정을 위한 것으로, 포지셔닝 시트(1,10)는 배터리 팩(51,61)의 포지셔닝 핀(2,20)을 수용 고정하며, 포지셔닝 시트의 측면(1,10)에는 포지셔닝 핀(2,20)으로 하여금 슬라이드(11)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개구(12) 및 개구(12)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11)가 설치되고; 슬라이드(11) 내에는 포지셔닝 핀(2,20)이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1,10)를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위치 제한부(13)가 설치된다. 포지셔닝 시트(1,10)에 제1 위치 제한부(13)를 설치하고, 제1 위치 제한부(13)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2,20)의 이동방향을 제한하여 포지셔닝 핀(2,20)으로 하여금 이의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1,1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포지셔닝 핀(2,20)을 사용한 배터리 팩(51,61)의 축방향에서의 고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51,61)의 운동방향을 감소하고 배터리 팩(51,61)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51,61)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51,61)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51,61)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Description

포지셔닝 시트, 포지셔닝 핀,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
관련된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19년 06월 27일인 중국 특허출원 201910569887.9, 201910568751.6, 201910569923.1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상기 중국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인용한다.
본 발명은 전력 교환 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지셔닝 시트, 포지셔닝 핀,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의 장착방식은 일반적으로 고정형 및 교체 가능형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고정형 배터리 팩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고정되고, 충전할 경우 직접 자동차를 충전 대상으로 한다. 고정형 배터리 팩은 자동차 차체와 연결될 때 핀을 이용하여 포지셔닝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포지셔닝 및 고정 방법의 고정 효과는 아주 좋은 바, 기본적으로 X/Y/Z 3개 방향에서의 고정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팩을 교체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나타내어 배터리를 원활하게 해체할 수 없는 동시에 볼트의 여러 차례 해체는 볼트가 효력을 잃는 확률을 증가하게 되어 일정한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교체 가능형 배터리 팩은 일반적으로 이동 장착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배터리 팩을 수시로 제거하여 새로운 배터리 팩으로 교체할 수 있다. 현재, 기존의 교체 가능형 배터리 팩이 자동차 차체와 연결될 경우, 배터리 팩과 자동차 차체 사이에는 통상적으로 잠금 기구를 사용하게 되고, 잠금 기구는 일반적으로 락 샤프트 및 락 시트를 포함하며, 락 샤프트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락 시트는 자동차 차체에 설치되며, 락 시트에는 슬라이드가 설치된다. 배터리 팩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밑부분으로부터 장착된다. 락 샤프트는 배터리 팩이 아래로부터 락 시트의 슬라이드에 진입한 다음 배터리 팩이 다시 X방향을 따라 제자리로 이동함에 따라 배터리 팩의 장착을 구현한다. 이러한 배터리 팩의 장착 방법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만 플로팅 포지셔닝하고, 배터리 팩을 플로팅 포지셔닝 한 후 고정하지 않는 바, 즉 락 샤프트는 슬라이드에 대하여 X/Y/Z 3개 방향에서 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이 X/Y/Z 3개 방향에서 복잡한 운동을 발생하게 되어, 배터리 팩의 고장율이 높고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한 후 고장 원인을 판정하기 어렵게 된다. 그 밖에, 배터리 팩의 복잡한 운동으로 인하여 배터리 팩에 대해 힘 분석을 진행하게 될 경우, 관련 힘 분석도 복잡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현재 전기자동차에서의 고정형 배터리 팩의 연결방식은 해체가 용이하지 않고, 교체 가능형 배터리 팩의 연결방식은 배터리에 대해 X, Y 또는 Z 방향에서의 고정을 진행할 수 없어 배터리 팩에 고장이 쉽게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포지셔닝 시트, 포지셔닝 핀,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포지셔닝 시트를 제공하는데, 배터리 팩을 포지셔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핀을 수용 고정하고, 상기 포지셔닝 시트의 측면에는 개구 및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것이며; 상기 슬라이드 내에는, 상기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축방향을 따라 상기 포지셔닝 시트를 이탈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는,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1 위치 제한부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의 이동방향을 제한하여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이의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포지셔닝 핀을 사용한 배터리 팩의 축방향에서의 고정을 구현한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하여,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키고,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포지셔닝 핀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된 지지 플랫폼을 구비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지지 플랫폼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을 지지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더 견고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위치 제한부의 단면은 호형, V형 또는 제형에서의 하나이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1 위치 제한부의 단면을 호형, V형 또는 제형에서의 하나로 설계함으로써 포지셔닝 시트가 위치 제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1 위치 제한부의 구조적 형태도 간략화하여 포지셔닝 시트의 사용주기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는 제1 위치 제한면 및 제2 위치 제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위치 제한면과 상기 제2 위치 제한면의 교차 지점은 상기 돌기부의 최고점이고;
및/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면과 상기 제2 위치 제한면은 평면 또는 곡면이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1 위치 제한부를 돌기부 또는 함몰부로 설계함으로써 포지셔닝 시트가 위치 제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1 위치 제한부의 구조적 형태도 간략화하여 포지셔닝 시트의 사용주기를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돌기부를 제1 위치 제한면 및 제2 위치 제한면으로 설계함으로써 돌기부의 구조적 형태를 간략화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작게 된다. 그 밖에, 돌기부의 최고점은 포지셔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평면 또는 곡면을 이용하여 제1 위치 제한면 및 제2 위치 제한면을 구성함으로써 제1 위치 제한면 및 제2 위치 제한면의 구조적 형태를 간략화 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완화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완화부는 상기 슬라이드 내에 위치하고, 상기 포지셔닝 시트가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경우, 상기 완화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벽면에 당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완화부는 탄성 시트이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완화부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로 전환될 때의 운동 에너지를 일부분 흡수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시트에 대한 충격을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고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할 때의 소음을 저하시키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탄성 시트를 완화부로 사용함으로써 완화부의 원가를 저하시키고 완화부의 완화 효과를 향상시킨다.
배터리 팩을 포지셔닝 고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시트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포지셔닝 시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시트 본체의 측면에는 개구 및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는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것이며,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클램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상기 클램핑 장치는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포지셔닝 핀에 당접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내에 클램핑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이는 포지셔닝 핀이 단단히 클램핑되도록 하고, 나아가 포지셔닝 핀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이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지셔닝 시트를 사용하는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에서 포지셔닝 및 고정되도록 하며,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하여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키고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내의 상기 포지셔닝 핀의 포지셔닝 포인트에 설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클램핑 장치를 포지셔닝 포인트에 설치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포지셔닝 포인트에서 더 견고하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서 의외로 이동하는 확률을 저하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장치는 스윙 바디 및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포지셔닝 시트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고정축을 에워싸고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외벽에 당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외벽에 당접되는 아크면을 구비하고;
및/또는, 상기 포지셔닝 핀이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슬라이드의 입구를 향해 스윙하거나;
및/또는, 상기 클램핑 장치는 두 개의 클램핑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마다 모두 하나의 상기 스윙 바디 및 상기 고정축을 포함하고, 두 개의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드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위치할 경우, 상기 포지셔닝 핀의 중심선은 두 개의 상기 고정축의 중심선과 공면을 이루고;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포지셔닝 시트 본체와 상기 스윙 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윙 바디에 작용하여 상기 스윙 바디가 힘을 받지 않을 경우, 상기 스윙 바디의 당접면으로 하여금 상기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스윙 바디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다른 일단은 상기 포지셔닝 시트 본체에 당접되고;
및/또는,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스윙 바디 및 고정축을 이용하여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간략화하고 스윙 바디를 이용하여 고정축을 에워싸고 회동할 수 있어 스윙 바디로 하여금 더 용이하게 포지셔닝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서의 견고성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스윙 바디의 아크면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에 당접되어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서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스윙 바디를 입구에 스윙하여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스윙 바디에 더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지셔닝 핀이 스윙 바디 내에서의 견고성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대칭되게 설치된 클램핑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두 그룹의 클램핑 어셈블리는 동시에 포지셔닝 핀을 클램핑함으로써 포지셔닝 시트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포지셔닝 핀의 중심선과 두 개의 고정축의 중심선을 공면으로 설계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포지셔닝 핀과 두 개의 고정축의 거리가 제일 작아 두 개의 스윙 바디가 더 단단하게 포지셔닝 핀을 클램핑하여 포지셔닝 핀이 이때 축방향에서 받는 힘이 제일 크므로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를 벗어나기 어려워 포지셔닝 시트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스윙이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스윙 바디에 순조롭게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도록 하며, 나아가 클램핑 장치가 포지셔닝 핀을 클램핑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탄성 부재를 스윙 바디 및 포지셔닝 시트 본체에 삽입하여 탄성 부재의 견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탄성 부재를 교체할 때 스윙 바디에 탄력을 인가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성 부재의 설계 형식을 간략화 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포지셔닝 시트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완화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완화부는 상기 슬라이드 내에 위치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상기 완화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벽면에 당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완화부는 탄성 시트이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완화부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로 전환될 때의 운동 에너지를 일부분 흡수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시트에 대한 충격을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고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할 때의 소음을 저하시키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탄성 시트를 완화부로 사용함으로써 완화부의 원가를 저하시키고 완화부의 완화 효과를 향상시킨다.
포지셔닝 핀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핀은 배터리 팩과 연결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포지셔닝 시트와 배합되고, 상기 포지셔닝 핀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와 배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이 상기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위치 제한부가 설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2 위치 제한부와 제1 위치 제한부의 배합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이의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이러한 포지셔닝 핀을 사용한 배터리 팩의 축방향에서의 고정을 구현한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이고,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이며, 상기 제2 위치 제한부의 수량은 다수이고, 다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다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돌기부와 함몰부의 걸림 결합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포지셔닝 핀에 다수의 돌기부를 설치하여 포지셔닝 핀이 더 견고하도록 하여 포지셔닝 시트에서 이의 축방향을 따라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돌기부가 효력을 잃어 발생하는 포지셔닝 상태가 변화되는 문제도 방지하여 포지셔닝 핀의 안전계수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위치 제한부와 상기 포지셔닝 핀은 전체적인 구조이고;
또는, 상기 제2 위치 제한부와 상기 포지셔닝 핀은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에 씌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포지셔닝 핀의 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위치 제한부가 상기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차축 범퍼를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샤프트 슬리브이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와 상기 슬라이드는 과도적 배합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2 위치 제한부와 포지셔닝 핀을 전체적인 구조로 설계하여 포지셔닝 핀의 제조공정을 간략화 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제2 위치 제한부와 포지셔닝 핀의 연결방식을 해체 가능하게 설계하여 제2 위치 제한부와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단독으로 설계 및 제조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자의 성능도 각각의 사용 환경에 더 부합되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의 질량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2 위치 제한부를 포지셔닝 핀의 외측에 씌움 설치하여 제2 위치 제한부가 제1 위치 제한부와 더 충분히 배합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이는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2 위치 제한부를 회동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드에 진입할 때의 저항력을 저하시켜 포지셔닝 핀의 사용 주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차축 범퍼를 이용하여 제2 위치 제한부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의 안전계수를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와 과도적 배합하는 샤프트 슬리브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과 포지셔닝 시트가 더 견고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의외로 이동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배터리 팩을 포지셔닝 고정하기 위한 포지셔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시트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핀을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이 상기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포지셔닝 시트를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고;
또는,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포지셔닝 핀 및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포지셔닝 시트의 제1 위치 제한부 및 포지셔닝 핀의 제2 위치 제한부가 서로 배합하는 것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여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이의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포지셔닝 핀을 사용한 배터리 팩의 축방향에서의 고정을 구현한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포지셔닝 핀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을 수직방향에서 고정시킨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위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는 퀵체인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포지셔닝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에 설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포지셔닝 시트를 포함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내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이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퀵체인지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을 축방향에서 고정시킨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포지셔닝 시트를 포함하는 퀵체인지 브라켓을 이용하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내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이 높이 방향을 따라 퀵체인지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을 높이 방향에서 고정시킨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배터리 팩을 전기자동차에 장착하기 위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는 퀵체인지 브라켓, 잠금 기구 및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기구 및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모두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을 전기자동차에 잠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이 전기자동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이 수평면 내에서 상기 주행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및/또는 상기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에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 및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팩을 전기자동차가 주행하는 방향, 슬라이드 핀의 축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고정하는 바,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하여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이 수평면 내에서 상기 주행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팩의 슬라이드 핀과 배합하는 슬라이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시트의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핀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시트의 상기 슬라이드 내에는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핀에는 제2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와 배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이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 시트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이고, 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이고;
및/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이고,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이며, 상기 제2 위치 제한부의 수량은 다수이고, 다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는 다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슬라이드 핀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는 제1 위치 제한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핀의 이동 방향을 제한함으로써 슬라이드 핀이 이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시트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이러한 슬라이드 핀을 사용하는 배터리 팩이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하여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를 퀵체인지 브라켓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설치하여 배터리 팩이 슬라이드 핀 축방향에 따라 고정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핀의 축방향 양측에서 동시에 포지셔닝하여 초래하는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복잡하고 포지셔닝 정확도 요구가 높은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제1 위치 제한부를 돌기부 또는 함몰부로 설계함으로써 슬라이드 시트가 위치 제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도록 하는 동시에 제1 위치 제한부의 구조적 형태도 간략화하여 슬라이드 시트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돌기부와 함몰부의 걸림 결합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핀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슬라이드 핀에 다수의 돌기부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핀이 더 견고하도록 하고 슬라이드 시트에서 이의 축방향을 따라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돌기부가 효력을 잃어 발생하는 포지셔닝 상태가 변화되는 문제도 방지하여 슬라이드 핀의 안전계수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의 좌측면, 우측면에서의 한 측면 또는 두 개의 측면에 대칭되게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가 더블 스윙 시트 및 더블 스윙 핀을 포함하고, 상기 더블 스윙 시트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더블 스윙 핀은 모두 상기 배터리 팩과 연결되며;
상기 더블 스윙 시트의 측면에는 상기 더블 스윙 핀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도록 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더블 스윙 시트는, 상기 슬라이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더블 스윙 핀에 당접되어 상기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클램핑 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의 구조적 형태을 간략화하고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시키며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를 퀵체인지 브라켓의 한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를 퀵체인지 브라켓의 두 개의 측면에 설치하여 배터리 팩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내에 클램핑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이는 더블 스윙 핀이 단단히 클램핑되도록 하고, 나아가 더블 스윙 핀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도록 하여 더블 스윙 핀이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더블 스윙 시트의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에서 포지셔닝 및 고정되도록 하는 바,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하여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내의 상기 더블 스윙 핀의 포지셔닝 포인트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장치는 스윙 바디 및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더블 스윙 시트의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고정축을 에워싸고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더블 스윙 핀의 외벽에 당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장치는 두 개의 클램핑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마다 모두 하나의 상기 스윙 바디 및 상기 고정축을 포함하고, 두 개의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드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상기 더블 스윙 핀의 중심선은 두 개의 상기 고정축의 중심선과 공면을 이루고;
및/또는,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더블 스윙 시트 본체와 상기 스윙 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윙 바디에 작용하여 상기 스윙 바디가 힘을 받지 않을 경우, 상기 스윙 바디의 당접면이 상기 더블 스윙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며, 일단은 상기 스윙 바디에 삽입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더블 스윙 시트 본체에 당접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클램핑 장치를 포지셔닝 포인트에 설치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포지셔닝 포인트에서 더 견고하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서 의외로 이동하는 확률을 저하시킨다. 스윙 바디 및 고정축을 이용하여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간략화하고 스윙 바디를 이용하여 고정축을 에워싸고 회동할 수 있어 스윙 바디로 하여금 더 용이하게 포지셔닝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서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대칭되게 설치된 클램핑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두 그룹의 클램핑 어셈블리는 동시에 더블 스윙 핀을 클램핑함으로써 더블 스윙 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더블 스윙 핀의 중심선과 두 개의 고정축의 중심선을 공면으로 설계하여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위치할 경우, 더블 스윙 핀과 두 개의 고정축의 거리가 제일 작아 두 개의 스윙 바디가 더 단단하게 더블 스윙 핀을 클램핑하여 더블 스윙 핀이 이때 축방향에서 받는 힘이 제일 크므로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를 벗어나기 어려워 더블 스윙 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스윙이 더블 스윙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더블 스윙 핀이 스윙 바디에 순조롭게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도록 하며, 나아가 클램핑 장치가 더블 스윙 핀을 클램핑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탄성 부재를 스윙 바디 및 더블 스윙 시트의 본체에 삽입하여 탄성 부재의 견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탄성 부재를 교체할 때 스윙 바디에 탄력을 인가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이는 배터리 팩과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이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이 높이 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본 해결수단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 및 슬라이드 핀의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해결수단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에 부합되는 기초상에 상기 각 바람직한 조건들은 임의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각 비교적 바람직한 구현예를 얻는다.
본 발명은 포지셔닝 시트에 제1 위치 제한부를 설치하고, 제1 위치 제한부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의 이동방향을 제한하여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이의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포지셔닝 핀을 사용한 배터리 팩의 축방향에서의 고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하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포지셔닝 시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포지셔닝 시트의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포지셔닝 시트의 A-A단면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탄성 시트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시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포지셔닝 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포지셔닝 핀의 단면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포지셔닝 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포지셔닝 기구의 단면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포지셔닝 시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포지셔닝 시트의 다른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포지셔닝 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포지셔닝 기구의 단면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포지셔닝 기구의 다른 단면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포지셔닝 기구의 포지셔닝 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9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에서의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따른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에서의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11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예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고정을 위한 포지셔닝 시트(1)인 바, 포지셔닝 시트(1)는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핀을 수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포지셔닝 시트(1)의 측면에는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슬라이드(11)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개구(12) 및 개구(12)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11)가 설치되고; 슬라이드(11) 내에는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1)를 이탈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제1 위치 제한부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의 이동방향을 제한하여 포지셔닝 핀(2)으로 하여금 이의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1)를 이탈할 수 없도록 하고, 이러한 포지셔닝 핀을 사용한 배터리 팩의 축방향에서의 고정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슬라이드(11)는,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포지셔닝 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랫폼(11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지지 플랫폼(111)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에 대한 지지를 구현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더 견고하도록 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지지 플랫폼(111)은 기타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제한부는 제1 위치 제한면(131) 및 제2 위치 제한면(132)을 구비하는 함몰부(13)로 설계될 수 있는데, 제1 위치 제한면(131)과 제2 위치 제한면(132)의 교차 지점은 함몰부의 최저점이다. 본 실시예는 함몰부(13)를 제1 위치 제한면(131) 및 제2 위치 제한면(132)으로 설계함으로써 함몰부(13)의 구조적 형태를 간략화하여 함몰부(13)의 위치 제한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제한면(131) 및 제2 위치 제한면(132)은 평면에 근사한 바, 양자의 합류점은 원호 전환을 이용한다. 이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위치 제한부의 사용주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제한면(131) 및 제2 위치 제한면(132)은 또한 곡면과 같은 기타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물론,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13)와 유사하게 돌기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1 위치 제한부의 단면은 호형, V형 또는 제형에서의 하나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위치 제한부의 단면을 호형, V형 또는 제형에서의 하나로 설계함으로써 포지셔닝 시트(1)가 위치 제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유리한 동시에 제1 위치 제한부의 구조적 형태도 간략화하여 포지셔닝 시트(1)의 사용주기를 향상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시트(1)는 완화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분의 완화부는 슬라이드(11) 내에 위치하여 포지셔닝 시트(1)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경우, 완화부는 포지셔닝 핀의 벽면에 당접된다. 본 실시예는 완화부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로 전환될 때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시트(1)에 대한 충격을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고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할 때의 소음을 저하시키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완화부는 탄성 시트(14)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탄성 시트(14)를 완화부로 이용하여 완화부의 원가를 저하시키고 완화부의 완화 효과를 향상시킨다. 탄성 시트(14)의 재질은 실리카 겔을 선택할 수 있는 바, 물론, 탄성 시트(14)는 기타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다. 완화부는 또한 기타 형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과 연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포지셔닝 시트(1)와 배합하는 포지셔닝 핀(2) 인 바, 포지셔닝 핀(2)에는, 제1 위치 제한부와 배합하여 배터리 팩이 포지셔닝 핀(2)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위치 제한부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제2 위치 제한부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제한부와 배합함으로써 포지셔닝 핀(2)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켜 포지셔닝 핀(2)이 이의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포지셔닝 핀(2)을 사용하는 배터리 팩이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핀(2)은 핀 시트(21), 핀 축(22), 샤프트 슬리브(23) 및 차축 범퍼(24)를 포함한다. 제2 위치 제한부는 샤프트 슬리브(23)이다. 샤프트 슬리브(23)와 슬라이드(11)는 과도적 배합하는것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11)와 과도적 배합 하는 샤프트 슬리브(23)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2)이 포지셔닝 시트(1)에 대하여 더 견고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핀(2)이 의외로 이동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도 6에서, 샤프트 슬리브(23)는 핀 축(22)에 씌움 설치된다. 샤프트 슬리브(23)를 포지셔닝 핀(2)의 외측에 씌움 설치하는 것을 통해 샤프트 슬리브(23)로 하여금 더 충분히 포지셔닝 시트(1)의 제1 위치 제한부와 배합하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2)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 슬리브(23)는 핀 축(22)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샤프트 슬리브(23)를 회동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포지셔닝 핀(2)이 슬라이드(11)에 진입할 때의 저항력을 저하시켜 포지셔닝 핀(2)의 사용주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그 밖에, 샤프트 슬리브(23)와 핀 축(22)을 해체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샤프트 슬리브(23)와 핀 축(22)이 각각 단독으로 설계, 제조되도록 하고 양자의 성능도 각각의 사용 환경에 더 부합되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2)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6에서, 포지셔닝 핀(2)은, 포지셔닝 핀(2)의 단면에 설치되고 제2 위치 제한부가 포지셔닝 핀(2)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차축 범퍼(24)를 더 포함한다. 차축 범퍼(24)를 이용하여 제2 위치 제한부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포지셔닝 핀(2)의 안전계수를 향상시킨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2 위치 제한부와 포지셔닝 핀(2)은 전체적인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제2 위치 제한부와 포지셔닝 핀(2)을 전체적인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포지셔닝 핀(2)의 제조공정을 간략화하고 포지셔닝 핀(2)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본 실시예는 제2 위치 제한부를 외부로 돌출하는 샤프트 슬리브(23)로 설계하고, 기타 실시예에서는 제2 위치 제한부를 내부로 함몰되고 웨이브형과 같은 기타 형태로 설계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 핀(2)의 안전계수를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 위치 제한부를 기타 형태의 돌기부로 설계할 수도 있는 바, 제2 위치 제한부의 수량은 다수이고, 다수의 돌기부는 포지셔닝 핀(2)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는 다수의 돌기부는 포지셔닝 핀(2)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부와 포지셔닝 시트(1)의 함몰부(13)가 걸림 결합되어 포지셔닝 핀(2)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포지셔닝 핀(2)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설치되어 포지셔닝 핀(2)이 더 견고하도록 하여 포지셔닝 시트(1)에서 이의 축방향을 따라 벗어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돌기부가 효력을 잃어 발생하는 포지셔닝 상태가 변화되는 문제도 방지하여 포지셔닝 핀(2)의 안전계수를 향상시킨다.
실시예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고정을 위한 포지셔닝 기구(3) 인 바, 포지셔닝 기구(3)는 실시예1에서의 포지셔닝 시트(1) 및 실시예2에서의 포지셔닝 핀(2)을 포함하고, 포지셔닝 핀(2)은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포지셔닝 기구(3)는 배터리 팩이 포지셔닝 핀(2)의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1)를 이탈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는 포지셔닝 시트(1)의 제1 위치 제한부 및 포지셔닝 핀(2)의 제2 위치 제한부가 배합하여 포지셔닝 핀(2)의 이동방향을 제한하고 포지셔닝 핀(2)으로 하여금 이의 축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시트(1)를 이탈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포지셔닝 핀(2)을 이용한 배터리 팩이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실시예4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위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 인 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는 퀵체인지 브라켓(41)을 포함하고,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는 포지셔닝 기구(3)의 포지셔닝 시트(1)를 더 포함하며, 포지셔닝 시트(1)는 퀵체인지 브라켓(41)에 설치된다. 포지셔닝 시트(1)는 퀵체인지 브라켓(41)의 한 측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포지셔닝 시트(1)를 포함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를 이용하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 내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이 포지셔닝 핀(2)의 축방향을 따라 퀵체인지 브라켓(41)을 이탈할 수 없도록 하여 이러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를 사용하는 배터리 팩이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실시예5
본 실시예는 전기자동차 인 바, 도 10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어셈블리(5)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팩 어셈블리(5) 및 실시예4에서의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를 이용하여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51)이 포지셔닝 핀(2)의 축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51)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51)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51)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51)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51)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실시예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고정을 위한 포지셔닝 시트(10) 인 바, 포지셔닝 시트(10)는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를 포함하고,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의 측면에는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슬라이드(11)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개구(12) 및 개구(12)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11)가 설치되고, 포지셔닝 시트(10)는 슬라이드(11) 내에 설치되는 클램핑 장치(13)를 더 포함하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클램핑 장치(13)는 수직방향을 따라 포지셔닝 핀에 당접된다. 본 실시예는 슬라이드(11) 내에 클램핑 장치(13)를 설치함으로써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이는 포지셔닝 핀이 단단히 클램핑되도록 하고, 나아가 포지셔닝 핀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이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지셔닝 시트(10)의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에서 포지셔닝 및 고정되도록 하며,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하여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클램핑 장치(13)는 슬라이드(11) 내의 포지셔닝 핀의 포지셔닝 포인트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클램핑 장치를 포지셔닝 포인트에 설치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포지셔닝 포인트에서 더 견고하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서 의외로 이동하는 확률을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 클램핑 장치(13)는 스윙 바디(131) 및 고정축(132)을 포함하고, 고정축(132)은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와 연결되고, 스윙 바디(131)는 고정축(132)을 에워싸고 회동할 수 있으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스윙 바디(131)는 포지셔닝 핀의 외벽에 당접된다. 본 실시예는 스윙 바디(131) 및 고정축(132)을 이용하여 클램핑 장치(13)의 구조를 간략화하는데, 스윙 바디(131)는 고정축(132)을 에워싸고 회동하여 스윙 바디(131)로 하여금 더 용이하게 포지셔닝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서의 견고성도 향상시킨다. 기타 실시예에서, 클램핑 장치(13)은 기타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스윙 바디(131)는 포지셔닝 핀의 외벽에 당접되는 아크면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이 포지셔닝 핀에 당접되는 것을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서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기타 실시예에서는 스윙 바디(131)를 기타 형태로 설계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 핀이 스윙 바디(131)에 슬라이딩하여 들어가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드(11)에 진입할 경우, 스윙 바디(131)를 슬라이드(11)의 입구에 스윙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스윙 바디(131)를 입구에 스윙하도록 하여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스윙 바디(131)에 더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는 동시에 포지셔닝 핀이 스윙 바디(131) 내에서의 견고성도 향상시킨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클램핑 장치(13)는,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와 스윙 바디(131) 사이에 설치되고 스윙 바디(131)에 작용하여 스윙 바디가(131) 힘을 받지 않을 경우, 스윙 바디(131)의 당접면으로 하여금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스윙이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스윙 바디(131)에 순조롭게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도록 하여 클램핑 장치(13)가 포지셔닝 핀을 클램핑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탄성 부재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성 부재의 일단을 스윙 바디(131)에 삽입시키고 탄성 부재의 다른 일단을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에 당접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탄성 부재를 스윙 바디(131) 및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에 삽입하여 탄성 부재의 견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탄성 부재를 교체함에 있어서 스윙 바디(131)에 탄력을 인가하는데 유리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를 스프링(15)으로 설계한다. 본 실시예는 스프링(15)을 이용하여 탄성 부재의 설계형태를 간략화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포지셔닝 시트(10)의 원가를 저하시킨다. 기타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는 기타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는 바, 물론, 기타 장착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클램핑 장치(13)는 두 개의 클램핑 어셈블리(130)를 포함하고, 각 클램핑 어셈블리(130)마다 모두 하나의 스윙 바디(131) 및 고정축(132)을 포함하고, 두 개의 클램핑 어셈블리(130)는 슬라이드(11)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대칭되게 설치된 클램핑 어셈블리(130)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두 그룹의 클램핑 어셈블리(130)가 동시에 포지셔닝 핀을 클램핑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시트(10)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기타 실시예에서는 한 그룹의 클램핑 어셈블리(130)만 설치할 수도 있는데, 마찬가지로 상응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포지셔닝 핀의 중심선이 두 개의 고정축(132)의 중심선과 공면을 이룬다. 본 실시예는 포지셔닝 핀의 중심선과 두 개의 고정축(132)의 중심선을 공면으로 설계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포지셔닝 핀과 두 개의 고정축(132)의 거리가 제일 작도록 하여 두 개의 스윙 바디(131)가 포지셔닝 핀을 더 견고하게 클램핑하도록 하고, 포지셔닝 핀이 이때 축방향에서 받는 힘이 제일 커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를 벗어날 수 없어 포지셔닝 시트(10)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포지셔닝 핀과 두 개의 스윙 바디(131)를 과도적 배합 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는 두 개의 스윙 바디(131)가 포지셔닝 핀을 더 견고하게 클램핑하도록 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이때 축방향에서 받는 힘이 더 커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를 벗어나기 더 어려워 더 견고하게 포지셔닝 포인트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포지셔닝 시트(10)는 완화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분의 완화부는 슬라이드(11) 내에 위치하고,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완화부는 포지셔닝 핀의 벽면에 당접된다. 본 실시예는 완화부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로 전환될 때의 운동 에너지를 일부분 흡수함으로써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시트(10)에 대한 충격을 저하시키는데 유리하여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할 때의 소음을 저하시키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완화부는 탄성 시트(14)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시트(14)를 완화부로 이용하여 완화부의 원가를 저하시키고 완화부의 완화 효과를 향상시킨다. 기타 실시예에서, 완화부는 기타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11)의 양측에 클램핑 어셈블리(130)의 수용 캐비티를 설치하고, 양측의 수용 캐비티 내에 한 세트의 클램핑 어셈블리(130)를 각각 설치한다. 수용 캐비티는 클램핑 어셈블리(130)에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동시에,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에 고정축(132)의 장착홀을 설치하여 스윙 바디(131)가 수용 캐비티 내에서 고정축(132)을 에워싸고 흔들리도록 할 수 있다. 스윙 바디(131)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동하여 극한점에 도달할 경우, 스윙 바디(131)의 외벽이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와 접촉하여 스윙 바디(131)가 계속하여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며, 이때,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이 슬라이드(11)의 가장자리와 나란히 접하도록 하여 연결점에 도달하는 포지셔닝 핀이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을 안정적으로 진입하고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포지셔닝 핀이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에 진입하지 않을 경우, 스윙 바디(131)는 스프링(15)의 작용 하에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다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때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과 슬라이드(11)의 가장자리가 나란히 놓인다.
포지셔닝 핀은 개구(12)로부터 슬라이드(11)에 진입하고 슬라이드(11)를 따라 계속하여 깊이 들어간다.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드(11)와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의 연결점에 도달할 경우, 슬라이드(11)와 아크면이 나란히 접하므로 포지셔닝 핀은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 내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포지셔닝 핀이 아크면을 따라 계속하여 깊이 들어가고, 아크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점차 아크면의 중간에 도달할 경우, 포지셔닝 핀의 축선과 상, 하 양측의 고정축(132)의 축선의 거리가 점차 작아지고 포지셔닝 핀이 아크면에 대해 발생하는 압력이 점차 커지는데, 이러한 압력은 스윙 바디(131)로 하여금 고정축(132)을 에워싸고 회동하도록 한다.
포지셔닝 핀이 아크면의 중간 위치에 도달할 경우, 즉 포지셔닝 핀의 축선이 상, 하 양측의 고정축(132)의 축선과 공면을 이룰 경우, 동시에 포지셔닝 핀의 축선이 상, 하 양측의 고정축(132)의 축선과의 거리가 제일 작을 경우, 포지셔닝 핀과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은 과도적 배합 상태에 놓이고 포지셔닝 핀이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에 대해 발생한 압력도 제일 크다. 이러한 위치가 바로 포지셔닝 핀의 포지셔닝 포인트이다. 포지셔닝 핀이 이러한 포지셔닝 포인트에서 받는 고정 압력도 제일 큰 바, 이로써 상, 하 두 개의 클램핑 어셈블리(130)는 포지셔닝 핀을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어 포지셔닝 핀이 수직방향에서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그 밖에, 고정 축(132)과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에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포지셔닝 포인트에서 포지셔닝 핀과 스윙 바디(131)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아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클램핑 어셈블리(130)도 마찰력으로 인한 열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견고성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이때, 탄성 시트(14)도 포지셔닝 핀에 당접된다.
포지셔닝 핀이 계속 슬라이딩하여 아크면의 중간 위치를 벗어날 경우, 포지셔닝 핀의 축선과 상, 하 양측의 고정축(132)의 축선의 거리가 점차 커지고 포지셔닝 핀이 아크면에 대해 발생하는 압력이 점차 작아지며, 이와 동시에 이러한 압력도 스윙 바디(131)로 하여금 고정축(132)을 에워싸고 회동하도록 한다.
포지셔닝 핀이 아크면을 벗어난 후, 스윙 바디(131)는 스프링(15)의 작용 하에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때 스윙 바디(131)의 아크면과 슬라이드(11)의 가장자리가 나란히 놓인다.
실시예7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포지셔닝 핀(20) 및 실시예6에서의 포지셔닝 시트(10)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기구(30) 인 바, 포지셔닝 핀(20)은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포지셔닝 핀(20)은 개구(12)로부터 슬라이드(11)에 진입한다. 본 실시예는 클램핑 장치(13)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핀(20)이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포지셔닝 핀(20)을 사용하는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포지셔닝 핀(20)은 전체적인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는데, 전체적인 구조는 가공을 거쳐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포지셔닝 핀(20)은 구조가 간단하고 양호한 강도와 강성을 가진다. 또한 포지셔닝 핀(20)에서 클램핑 장치(13)와 배합하는 위치에 열처리를 진행하여 내마모성을 증가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는 포지셔닝 핀(20)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포지셔닝 기구(30)의 원가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핀(20)은 슬라이드(11)의 개구(12)를 거쳐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에 진입한다. 포지셔닝 핀(20)이 클램핑 어셈블리(130)에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스윙 바디(131)는 스프링(15)의 작용 하에 포지셔닝 핀(20)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다는 방향을 향해 스윙한다. 포지셔닝 핀(20)이 점차 슬라이드(11)로부터 스윙 바디(131)의 원호면으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갈 경우, 포지셔닝 핀(20)의 압력 및 스프링(15)의 탄력의 공동 작용 하에 스윙 바디(131)는 고정축(132)을 에워싸고 구르기 시작하고; 포지셔닝 핀(20)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도달할 경우, 즉 포지셔닝 핀(20)이 스윙 바디(131)의 원호면의 중간에 도달할 경우, 이때, 상, 하 두 개의 고정축(132)의 축선과 포지셔닝 핀(20)의 축선은 공면을 이루며, 이때 포지셔닝 핀(20)과 두 개의 고정축(132)의 거리가 제일 작으므로 두 개의 스윙 바디(131)가 포지셔닝 핀(20)에 대해 발생한 압력이 제일 큰 바, 즉 포지셔닝 핀(20)이 상, 하 두 개의 클램핑 어셈블리(130)에서 받는 압력이 제일 크므로 포지셔닝 핀(20)이 수직방향에서 고정된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포지셔닝 핀(20)과 두 개의 스윙 바디(131)를 과도적 배합으로 설계함으로써 두 개의 스윙 바디(131)가 포지셔닝 핀(20)을 더 견고하게 클램핑 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즉 포지셔닝 핀(20)이 이때 축방향에서 받는 힘이 더 커져 포지셔닝 핀(20)이 포지셔닝 포인트를 벗어나기 더 어렵고, 더 견고하게 포지셔닝 포인트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는 슬라이드(11)의 말단에 탄성 시트(14)를 더 설치하는데, 탄성 시트(14)의 일부분는 슬라이드(11) 내에 설치되고, 다른 일부분는 포지셔닝 시트 본체(101)에 삽입된다. 탄성 시트(14)는 포지셔닝 핀(20)이 포지셔닝 시트(10)에 대한 충격을 저하시키고 포지셔닝 핀(20)을 포지셔닝 할 때의 소음을 저하시키는데 유리하며, 포지셔닝 핀(20)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때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실시예8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위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0) 인 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0)는 퀵체인지 브라켓(41)을 포함하고,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0)는 실시예7에서의 포지셔닝 기구(30)를 더 포함하며, 퀵체인지 브라켓(41)은 포지셔닝 시트(1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포지셔닝 시트(10)를 포함하는 퀵체인지 브라켓(41)을 이용하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0) 내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이 높이 방향을 따라 퀵체인지 브라켓(41)을 이탈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0)를 사용하는 배터리 팩이 높이 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실시예9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기자동차 인 바, 도면에 도시된 것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어셈블리(50)이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팩 어셈블리(50) 및 실시예8과 같은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40)에는 실시예6에서의 포지셔닝 시트(10)가 포함되고, 배터리 팩(51)에는 포지셔닝 핀(20) 및 배터리 팩(51)이 포함되며, 포지셔닝 핀은 배터리 팩(51)의 측면에 설치된다. 포지셔닝 핀(20)과 포지셔닝 시트(10)는 서로 배합하여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51)이 높이 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51)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51)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51)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51)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51)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실시예10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을 전기자동차에 장착하기 위한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10) 인 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10)는 퀵체인지 브라켓(11), 잠금 기구(20) 및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고, 잠금 기구(20) 및 포지셔닝 기구는 모두 퀵체인지 브라켓(11)에 설치되고, 잠금 기구(20)는 배터리 팩을 전기자동차에 잠금시키는 동시에 배터리 팩이 전기자동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며; 포지셔닝 기구는 배터리 팩이 수평면 내에서 주행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및/또는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10)에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30) 및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40)를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팩이 슬라이드 핀(32)의 축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하여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배터리 팩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포지셔닝 기구는, 배터리 팩이 수평면 내에서 주행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30)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서의 포지셔닝 기구(3)와 같고, 슬라이드 시트(31)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서의 포지셔닝 시트(1)와 같으며, 슬라이드 핀(32)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서의 포지셔닝 핀(2)과 같다. 제1 위치 제한부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서의 제1 위치 제한면(131)과 같고, 제2 위치 제한부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서의 제2 위치 제한면(132)와 같다.
슬라이드 시트(31)의 슬라이드(11) 내에는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핀(32)에는 제2 위치 제한부(321)가 설치되며, 제2 위치 제한부는 제1 위치 제한부와 배합하여 배터리 팩이 슬라이드 핀(32)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는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30)를 퀵체인지 브라켓(1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팩이 슬라이드 핀(32)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되도록 하고 배터리 팩이 수평면 내에서 주행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며 슬라이드 핀(32)의 축방향 양측에서 동시에 포지셔닝하여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복잡하고 포지셔닝 정확도 요구가 높은 문제점을 방지하였다.
제1 위치 제한부의 구조적 형태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제1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 또는 함몰부로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위치 제한부를 돌기부 또는 함몰부로 설계함으로써 슬라이드 시트(31)가 위치 제한 기능을 구현하기 유리하도록 하는 동시에 제1 위치 제한부의 구조적 형태도 간략화하여 슬라이드 시트(31)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킨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제2 위치 제한부는 슬라이드 핀(32)에 씌움 설치되고, 제2 위치 제한부는 슬라이드 핀(3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제2 위치 제한부를 슬라이드 핀(32)의 외측에 씌움 설치하여 제2 위치 제한부가 제1 위치 제한부와 더 충분히 배합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 핀(32)이 포지셔닝 상태에 놓이는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제2 위치 제한부를 회동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슬라이드 핀(32)이 슬라이드에 진입할 때의 저항력을 저하시켜 슬라이드 핀(32)의 사용주기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포지셔닝 기구는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40)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에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10)의 구조적 형태를 간략화하고, 배터리 팩의 운동을 감소시키며 배터리 팩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고 배터리 팩이 손상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40)는 실시예6 내지 실시예9에서의 포지셔닝 기구(30)와 같고, 더블 스윙 시트(41)는 실시예6 내지 실시예9에서의 포지셔닝 시트(10)와 같으며, 더블 스윙 핀(42)은 실시예6 내지 실시예9에서의 포지셔닝 핀(20)과 같다.
한가지 실시형태로서,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40)는 퀵체인지 브라켓(11)의 좌측면, 우측면에서의 한 측면 또는 두 개의 측면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40)를 퀵체인지 브라켓(11)의 한 측면에 설치하여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40)를 퀵체인지 브라켓(11)의 두 개의 측면에 설치하여 배터리 팩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11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 어셈블리(60) 및 실시예10과 같은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10)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서의 배터리 팩 어셈블리(60)이다. 본 실시예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10)를 이용하여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61)이 전기자동차의 주행방향, 수직방향 및 슬라이드 핀(32)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팩(61)의 운동방향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61)의 운동상태의 복잡성을 저하시켜 배터리 팩(61)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배터리 팩(61)이 손상되는 확률을 저하시키는데 유리하다. 동시에, 배터리 팩(61)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하다.
비록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이러한 내용이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원리와 실질적인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여러 가지 변경 또는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실시예1-실시예5:
1: 포지셔닝 시트; 11: 슬라이드; 111: 지지 플랫폼; 12: 개구; 13: 함몰부; 131: 제1 위치 제한면; 132: 제2 위치 제한면; 14: 탄성 시트; 2: 포지셔닝 핀; 21: 핀 시트; 22: 핀 축; 23: 샤프트 슬리브; 24: 차축 범퍼; 3: 포지셔닝 기구; 4: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41: 퀵체인지 브라켓; 5: 배터리 팩 어셈블리; 51: 배터리 팩.
실시예6-실시예9:
10: 포지셔닝 시트; 101: 포지셔닝 시트 본체; 11: 슬라이드; 12: 개구; 13: 클램핑 장치; 130: 클램핑 어셈블리; 131: 스윙 바디; 132: 고정축; 14: 탄성 시트; 15: 스프링; 20: 포지셔닝 핀; 30: 포지셔닝 기구; 40: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41: 퀵체인지 브라켓; 50: 배터리 팩 어셈블리; 51: 배터리 팩.
실시예10-실시예11:
10: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11: 퀵체인지 브라켓; 20: 잠금 기구; 30: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 31: 슬라이드 시트; 11: 슬라이드; 32: 슬라이드 핀; 23: 샤프트 슬리브; 40: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 41: 더블 스윙 시트; 42: 더블 스윙 핀; 60: 배터리 팩 어셈블리; 61: 배터리 팩

Claims (20)

  1.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고정을 위한 것으로,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핀을 수용 고정하고, 측면에는 개구 및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것이며, 상기 슬라이드 내에는 상기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축방향을 따라 상기 포지셔닝 시트를 이탈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포지셔닝 핀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된 지지 플랫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제한부의 단면은 호형, V형 또는 제형에서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이고, 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는 제1 위치 제한면 및 제2 위치 제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제한면과 상기 제2 위치 제한면의 교차 지점은 상기 돌기부의 최고점이고;
    및/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면과 상기 제2 위치 제한면은 평면 또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완화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완화부는 상기 슬라이드 내에 위치하고, 상기 포지셔닝 시트가 포지셔닝 상태에 놓일 경우, 상기 완화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벽면에 당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완화부는 탄성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6.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고정을 위한 것으로, 포지셔닝 시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시트 본체의 측면에 개구 및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는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핀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것이며, 클램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상기 클램핑 장치는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포지셔닝 핀에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내의 상기 포지셔닝 핀의 포지셔닝 포인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스윙 바디 및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포지셔닝 시트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고정축을 에워싸고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외벽에 당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외벽에 당접되는 아크면을 구비하고;
    및/또는, 상기 포지셔닝 핀이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슬라이드의 입구를 향해 스윙하고;
    및/또는, 상기 클램핑 장치는 두 개의 클램핑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마다 모두 하나의 상기 스윙 바디 및 상기 고정축을 포함하고, 두 개의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드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위치할 경우, 상기 포지셔닝 핀의 중심선은 두 개의 상기 고정축의 중심선과 공면을 이루며;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포지셔닝 시트 본체와 상기 스윙 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윙 바디에 작용하여 상기 스윙 바디가 힘을 받지 않을 경우, 상기 스윙 바디의 당접면으로 하여금 상기 포지셔닝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스윙 바디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다른 일단은 상기 포지셔닝 시트 본체에 당접되고;
    및/또는,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완화부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완화부는 상기 슬라이드 내에 위치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상기 완화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벽면에 당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완화부는 탄성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시트.
  10. 배터리 팩과 연결되는 포지셔닝 핀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핀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따른 포지셔닝 시트와 배합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와 배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이 상기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이고,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이며, 상기 제2 위치 제한부의 수량은 다수이고, 다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는 다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제한부와 상기 포지셔닝 핀은 전체적인 구조이고;
    또는, 상기 제2 위치 제한부와 상기 포지셔닝 핀은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에 씌움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상기 포지셔닝 핀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포지셔닝 핀의 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위치 제한부가 상기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차축 범퍼를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샤프트 슬리브이며, 상기 샤프트 슬리브와 상기 슬라이드는 과도적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핀.
  13. 배터리 팩의 포지셔닝 고정을 위한 포지셔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따른 포지셔닝 시트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따른 포지셔닝 핀을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이 상기 포지셔닝 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포지셔닝 시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고;
    또는,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포지셔닝 핀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따른 포지셔닝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 기구.
  14.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위한것이며, 퀵체인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는 제13항에 따른 포지셔닝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시트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15. 배터리 팩을 전기 자동차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퀵체인지 브라켓, 잠금 기구 및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기구 및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모두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이 설치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을 전기자동차에 잠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이 전기자동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이 수평면 내에서 상기 주행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및/또는 상기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이 수평면 내에서 상기 주행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팩에서의 슬라이드 핀과 배합하는 슬라이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시트의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핀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개구 및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시트의 상기 슬라이드 내에는 제1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핀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와 배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이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드 시트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이고, 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이고;
    및/또는, 상기 제1 위치 제한부는 함몰부이고, 상기 제2 위치 제한부는 돌기부이며, 상기 제2 위치 제한부의 수량은 다수이고, 다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슬라이드 핀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는 다수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슬라이드 핀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의 좌측면, 우측면에서의 한 측면 또는 두 개의 측면에 대칭되게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더블 스윙 포지셔닝 기구는 더블 스윙 시트 및 더블 스윙 핀을 포함하고, 상기 더블 스윙 시트는 상기 퀵체인지 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더블 스윙 핀은 모두 상기 배터리 팩과 연결되며;
    상기 더블 스윙 시트의 측면에는 상기 더블 스윙 핀으로 하여금 상기 슬라이드에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개구 및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더블 스윙 시트는, 상기 슬라이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더블 스윙 핀에 당접되어 상기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클램핑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내의 상기 더블 스윙 핀의 포지셔닝 포인트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장치는 스윙 바디 및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더블 스윙 시트의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고정축을 에워싸고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상기 스윙 바디는 상기 더블 스윙 핀의 외벽에 당접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장치는 두 개의 클램핑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마다 모두 하나의 상기 스윙 바디 및 상기 고정축을 포함하고, 두 개의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드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더블 스윙 핀이 포지셔닝 포인트에 놓일 경우, 상기 더블 스윙 핀의 중심선은 두 개의 상기 고정축의 중심선과 공면을 이루고;
    및/또는,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더블 스윙 시트 본체와 상기 스윙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바디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스윙 바디가 힘을 받지 않을 경우, 상기 스윙 바디의 당접면으로 하여금 상기 더블 스윙 핀이 슬라이딩하여 들어가다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며, 일단은 상기 스윙 바디에 삽입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더블 스윙 시트 본체에 당접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20. 배터리 팩 및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따른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KR1020227003021A 2019-06-27 2020-06-28 포지셔닝 시트, 포지셔닝 핀,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 KR20220028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69887.9A CN112224001A (zh) 2019-06-27 2019-06-27 定位座、定位销、定位机构、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CN201910568751.6 2019-06-27
CN201910569887.9 2019-06-27
CN201910568751.6A CN112224000A (zh) 2019-06-27 2019-06-27 定位座、定位机构、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CN201910569923.1A CN112140859A (zh) 2019-06-27 2019-06-27 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CN201910569923.1 2019-06-27
PCT/CN2020/098603 WO2020259698A1 (zh) 2019-06-27 2020-06-28 定位座、定位销、定位机构、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027A true KR20220028027A (ko) 2022-03-08

Family

ID=7406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021A KR20220028027A (ko) 2019-06-27 2020-06-28 포지셔닝 시트, 포지셔닝 핀,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538315A (ko)
KR (1) KR20220028027A (ko)
WO (1) WO2020259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7632B (zh) * 2021-03-29 2022-11-25 徐州储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锂电池
CN113696706A (zh) * 2021-08-27 2021-11-2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冷电池包快换机构
CN114188653B (zh) * 2021-11-12 2023-12-05 金茂智慧交通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定位导向锁止装置
CN114932519A (zh) * 2022-06-22 2022-08-23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型定位销及治具
CN115465075B (zh) * 2022-11-03 2023-03-24 康普斯顿(江苏)技术有限公司 一种商用车侧向可换电电池箱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19B1 (ko) * 2012-10-11 2016-03-1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하이브리드 배터리 모듈 커버 및 인서트 성형법을 이용한 그 제조방법
CN105109321A (zh) * 2015-08-20 2015-12-02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锁止机构以及具有其的电池包快换装置和车辆
CN105437945A (zh) * 2015-11-17 2016-03-30 简式国际汽车设计(北京)有限公司 一种电动乘用车换电电池箱的锁止机构
CN106427514B (zh) * 2016-11-21 2021-11-12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锁止装置及电动汽车
CN108128132B (zh) * 2017-04-01 2021-08-20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锁止解锁系统、电动汽车换电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437949A (zh) * 2018-05-11 2018-08-24 宁波利维能储能系统有限公司 便于更换的电动汽车电池包系统
CN210337547U (zh) * 2019-06-27 2020-04-17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定位座、定位销、定位机构、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CN210337548U (zh) * 2019-06-27 2020-04-17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定位座、定位机构、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CN210502236U (zh) * 2019-06-27 2020-05-12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8315A (ja) 2022-09-01
WO2020259698A1 (zh)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8027A (ko) 포지셔닝 시트, 포지셔닝 핀, 포지셔닝 기구, 퀵체인지 브라켓 어셈블리 및 전기자동차
KR20200103799A (ko) 배터리 홀더, 배터리 교체 장치,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설치 방법.
JP2013514939A (ja) 自動車のシャーシに電池を取り付けるためのデバイス
CN208646578U (zh) 定位组件和电池包、换电平台、快换支架总成和电动车
KR20210132161A (ko) 빠른 교체 구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quick-swapping structure assembly and elctric vehicle comprising same)
CN113103912B (zh) 一种纯电动重卡换电系统导向机构
CN109228896B (zh) 一种自适应性接触件连接机构及其充电弓
WO2023232044A1 (zh) 定位装置及卡车
CN209795154U (zh) 锁紧装置
CN102392916A (zh) 一种油箱燃油管用管卡
WO2020024979A1 (zh) 车辆的接地装置及车辆的导电系统
CN210502236U (zh) 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CN210337547U (zh) 定位座、定位销、定位机构、快换支架组件及电动汽车
CN110001598B (zh) 加解锁组件、换电平台和换电站
CN210822185U (zh) 一种用于换电平台的浮动机构、浮动平台
CN110329220B (zh) 一种无侧向力的浮动平台
CN115283982A (zh) 换电电池包加解锁的扭矩枪动力装置、扭矩枪及换电机器人
CN116221262B (zh) 阻尼连接器
CN220731717U (zh) 一种输出极支撑组件及电池模组
CN221113606U (zh) 一种电动车快换锁止结构、乘用车以及重型卡车
CN220058957U (zh) 一种矩形钢端部防撞装置
CN114393984B (zh) 用于动力电池的锁止装置
CN214780281U (zh) 电池模组的吊装结构
CN110789355B (zh) 充电刀总成、充电设备及轨道车辆
CN216134764U (zh) 散热器定位夹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