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861A -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861A
KR20220026861A KR1020200107913A KR20200107913A KR20220026861A KR 20220026861 A KR20220026861 A KR 20220026861A KR 1020200107913 A KR1020200107913 A KR 1020200107913A KR 20200107913 A KR20200107913 A KR 20200107913A KR 20220026861 A KR20220026861 A KR 2022002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body
blade
space
pillar
form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정상훤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861A/ko
Priority to US17/407,625 priority patent/US20220063160A1/en
Publication of KR2022002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8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81Moulds with rotat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 B29C33/4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for stripping articles from a mould core, e.g. using stripper plates
    • B29C33/44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for stripping articles from a mould core, e.g. using stripper plates and using a rotating movement to unscre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45/2606Guiding or cen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8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 B29C45/262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provided with unscrewing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the movable undercut forming element for ejection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8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the undercut forming mould part being rotatable into the space made available by the translation movement of another moul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8Blades for rotors, stators, fans, turbines or the like, e.g. screw propellers

Abstract

금형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는 기둥부 및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성형하고, 상기 기둥부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 중 일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되고, 상기 금형장치는 상기 기둥부가 성형되는 기둥부공간 및 상기 블레이드가 성형되는 복수의 블레이드공간을 포함하는 메인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금형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분할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바디는 기둥성형면 및 블레이드성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성형면은 상기 기둥부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성형면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는 각각의 기둥부성형면이 함께 상기 기둥부공간을 형성하고, 어느 하나의 분할바디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성형면은 다른 하나의 분할바디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성형면과 함께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금형장치{MOLD APPARATUS}
본 발명은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된 복수의 금형에서 하나의 회전부재를 사출성형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용해된 물질(이하, 사출액)을 주형에 주입시킴으로써 여러 제품을 만들기 위한 제조공정이다. 구체적으로, 사출성형은 가열에 의해 용해된 사출액을 주형 내부로 사출시킨 다음에 사출액을 고화 또는 경화시켜 성형품을 가공하는 성형방법을 의미한다.
사출성형의 과정은 개략적으로 총 5단계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이 결합하여 금형 내부에 사출액을 고화 또는 경화시키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1단계, 사출액을 상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제2단계, 금형 내부의 사출액이 식으면서 부피가 수축되는 공간을 보완하기 위하여 노즐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사출액을 유입시키는 제3단계, 금형 안의 사출액을 고화 또는 경화시키는 제4단계 및 가동금형을 열어 고화 또는 경화된 사출물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제5단계로 진행된다.
상기 제5단계에 있어서, 사출물을 성형금형으로부터 취출시키기 위하여 고정금형 내부에 취출핀을 설치하여 금형을 오픈시킬 때 취출핀이 사출물을 밀어내며 사출물을 탈거시킨다.
한편, 취출방향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언더컷 형상이 사출물의 표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사출물을 밀어내어 회전취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모터 등과 같은 회전동력발생장치이 금형장치에 필연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하고, 그 결과 금형장치가 지나치게 복잡해져 설계 및 생산이 어려워지고, 진동 및 소음 등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코어의 개수가 증가되게 된다.
한편, 기존의 금형장치에 있어서, 사출물 전체에서 언더컷 형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될 수 있는데, 사출물에 표면에 과도한 파팅라인(Parting Line)이 생성될 수 있고, 미관상 좋지 못하며 회전시 옷감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날카로운 파팅라인으로 인해 사출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출성형단계 중 제5단계에 있어서 회전취출방식이 아닌 분할된 복수의 가동금형을 결합시킨 주형을 마련하고 복수의 가동금형을 분리시켜 상기 주형에서 사출물을 회전하지 않고 취출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또한, 기존의 사출물의 취출방식에 있어 과도하게 발생되는 파팅라인의 수를 줄이는 금형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된 분할바디를 포함하는 메인금형부를 포함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분할바디가 분리되면서 메인금형부 내에서 사출성형으로 성형된 회전부재를 취출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가 복수의 분할바디의 각각의 성형면에 의해 성형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분할바디가 회전부재의 기둥부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부재가 취출되어 생산성, 관리편의성이 뛰어난 금형장치를 해결하고자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턴 이하의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회전부재가 성형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부재를 성형하는 복수의 분할바디를 포함하는 메인금형을 포함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둥부 및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 중 일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는 상기 기둥부가 성형되는 기둥부공간 및 상기 블레이드가 성형되는 복수의 블레이드공간을 포함하는 메인금형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금형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분할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바디는 기둥부성형면과 블레이드성형면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성형면은 상기 기둥부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성형면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공간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는 각각의 기둥부성형면이 함께 상기 기둥부공간을 형성하고, 어느 하나의 분할바디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성형면은 다른 하나의 분할바디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성형면과 함께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블레이드공간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기둥부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는 제1분할바디와,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와 이웃하게 위치되는 제2분할바디와,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타방향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와 이웃하게 위치되는 제3분할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공간은 제1블레이드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은 상기 제1분할바디, 상기 제2분할바디 및 상기 제3분할바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성형면은 제1기둥성형면 및 제2기둥성형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기둥성형면은 상기 기둥부의 상기 타단부가 성형되는 상기 기둥부공간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둥성형면은 상기 기둥부의 상기 일단부가 성형되는 상기 기둥부공간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공간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가 성형되는 일단부와,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가 성형되는 타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성형면은 제1성형면 및 제2성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성형면은 상기 제1기둥성형면에서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성형면은 상기 제1기둥성형면에서 상기 타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1성형면은 상기 제2분할바디의 상기 제2성형면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성형면은 제3성형면 및 제4성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성형면은 상기 제2기둥성형면에서 상기 타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4성형면은 상기 제2기둥성형면에서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3성형면은 상기 제3분할바디의 상기 제4성형면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1성형면은 상기 제3분할바디의 상기 제4성형면과 함께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의 일면을 성형할 수 있고,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3성형면은 상기 제2분할바디의 상기 제2성형면과 함께 상기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의 타면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분할바디는 제1수용부 및 제1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제1성형면을 포함하고 내측으로 만입될 수 있고, 제1삽입부는 상기 제2성형면을 포함하고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분할바디의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의 상기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할바디는 제2수용부 및 제2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3성형면을 포함하고 내측으로 만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4성형면을 포함하고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분할바디의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2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의 상기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타단부측에서 상기 분할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기둥부공간을 차폐하는 차폐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금형은 상기 기둥부가 중공 형태로 성형되도록 상기 기둥부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성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금형은 상기 분할바디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성형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할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회전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둥부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바닥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바닥부가 성형되는 바닥성형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바닥성형공간의 일측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는 상기 분할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바닥성형공간의 상기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바닥성형공간으로 사출액이 주입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가압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된 분할바디를 포함하는 메인금형부를 포함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분할바디가 분리되면서 메인금형부 내에서 사출성형으로 성형된 회전부재를 취출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가 복수의 분할바디의 각각의 성형면에 의해 성형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여 역동적인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분할바디가 회전부재의 기둥부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부재가 취출되어 생산성, 관리편의성이 뛰어난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턴 이하의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회전부재가 성형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바디를 포함하는 금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가 성형하는 회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제1분할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메인금형을 차폐금형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메인금형과 차폐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금형장치(1)는 기둥금형(1b), 바닥금형(1c) 및 취출부(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형장치(1)는 회전부재(100)을 사출성형하고 회전하여 취출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00)의 외주면에 경사방향(B)을 가지는 언더컷 형상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기둥금형(1b)이 상기 회전부재(10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된 후에도 취출부(1a)가 상기 언더컷 형상의 경사방향(B)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부재(100)를 금형장치(1)에서 취출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취출부(1a)의 회전을 위하여 별도의 회전동력발생장치가 필요하며, 이는 생산성 및 비용 측면에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00)에 플래시 또는 단차가 표면에 발생하게 되어, 이는 회전부재(100)의 질을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바디를 포함하는 금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가 성형하는 회전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는 메인금형(200)과 복수로 마련되어 후술되는 회전부재(100)의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110)의 반경방향(D)을 따라 이동되는 분할바디(211, 213, 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는 상기 메인금형(200)의 제1방향(V1)으로 위치되어 상기 기둥부(110)가 성형되는 기둥부공간(S1)을 차폐하는 차폐금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V1)은 후술되는 상기 기둥부(110)가 일단부(111)에서 타단부(113)를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는 상기 메인금형(200)에서 상기 제1방향(V1)과 대향되는 제2방향(V2)에 위치하여 후술되는 상기 회전부재(100)의 바닥부(150)가 성형되는 바닥성형공간(S3)을 차폐하는 가압금형(6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방향(V2)은 후술되는 상기 기둥부(110)가 일단부(111)에서 타단부(113)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방향(V1)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기둥부(110)의 상기 타단부(113)에서 일단부(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향(V1)과 상기 제2방향(V2)은 상기 기둥부(110)가 형성하는 길이방향(V)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금형(200)은 상기 차폐금형(300)과 상기 가압금형(600)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부재(100)가 성형되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부재(100)는 기둥부(110), 블레이드(130), 바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10)는 일단부(111)로부터 타단부(11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둥부(110)는 일단부(111)로부터 타단부(113)를 향하는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듯이 상기 기둥부(110)는 중공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30)는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에서 상기 기둥부(110)의 반경방향(D)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130)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과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과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30)는 상기 제1방향(V1)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110)의 일단부(111)로부터 타단부(113)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블레이드(130)는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10)의 타단부(113)에서 상기 기둥부(110)를 바라볼 때,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은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시계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반대로, 기둥부(110)의 타단부(113)에서 상기 기둥부(110)를 바라볼 때,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타방향(C2)은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반시계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30)가 형성하는 경사(A)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스크류 형태로 상기 기둥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3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V1)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30)는 일단부(131)가 상기 제2방향(V2)를 향하고 타단부(133)는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며,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V)에 대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 중 일방향(C1)으로 경사지며 상기 일단부(131)에서 상기 타단부(133)까지 연장될 수 있다.(B)
즉, 상기 블레이드(130)는 연장방향(B)이 상기 일방향(C1)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연장방향(B)이 상기 타방향(C2)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30)는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을 기준으로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일단부(131)로부터 상기 타단부(133)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30)는 일면(135)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고, 상기 일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타면(137)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고, 상기 기둥부(110)의 타단부(113)에서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여 바라볼 때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에 대해 상기 일면(135)은 둔각을 형성하고 상기 타면(137)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130)는 상기 기둥부(110)의 길이방향(V)을 기준으로 상기 일단부(131)에서 상기 타단부(133)까지의 높이(L2)가 상기 회전부재(100)의 전체 높이(L1)의 0.5배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30)의 일단부(131)에서 타단부(133)까지 높이(L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50)의 상면에 대한 수직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블레이드(130)의 일단부(131)로부터 타단부(133)까지의 높이(L2)는 블레이드(130)의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블레이드(130)의 높이(L2)는 블레이드(130)에 의한 수류의 상승량 및 블레이드(130)의 경사각(A), 기둥부(110)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130)의 높이(L2)가 낮을수록 블레이드(130)가 형성되는 영역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며 수류의 상승량 및 하강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30)는 기둥부(110)의 회전 시 유효한 상승수류 및 하강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130)의 높이(L2)가 회전부재(100)의 길이(L1)의 0.5배 미만인 경우에는 블레이드(130)에 의한 수류 형성이 유효하게 작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50)는 상기 기둥부(110)의 일단부(111)에 연결되어 상기 기둥부(110)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닥부(150)는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150)는 중앙은 상기 기둥부(110)의 중앙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10)는 단면이 원 형상일 수 있고, 상기 바닥부(150)에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50)는 바닥부(150)로부터 상기 제1방향(V1)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V2)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바닥부(15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10)와 연결되는 메인돌출부(151), 상기 메인돌출부(151) 사이마다 마련되고 상기 바닥부(150)로부터의 상기 타방향(V2)을 향한 돌출높이가 상기 메인돌출부(151)보다 낮은 제1서브돌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돌출부(151) 및 상기 제1서브돌출부(153) 사이마다 마련되고, 상기 바닥부(150)로부터의 돌출높이가 상기 제1서브돌출부(153)보다 낮은 제2서브돌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100)는 다양한 용도일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재(100)는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에 마련되고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100)는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써 수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00)는 바닥부(150)가 상기 드럼의 바닥면상에 배치되어 드럼과 별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둥부(110)는 상기 바닥부(150)로부터 드럼의 개방면을 향해 연장되어 회전될 수 있다.
기둥부(110)가 회전되면 블레이드(130)에 의해 드럼 내부에 존재하는 물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류에 의해 의류, 즉 세탁물과 세제간의 혼합율이 향상될 수 있고 세탁물에 작용하는 마찰력 등이 증가되어 세탁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30)는 기둥부(110)의 길이방향(V)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회전 시 드럼 내부의 물이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상승수류를 형성하거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는 하강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를 통해 성형되는 회전부재(100)는 회전 시 입체적인 유체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부재(100)는 반드시 의류처리장치에만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일단부(111)에서 타단부(113)까지 연장되는 기둥부(110)상에 경사진 블레이드(130)를 포함하는 형상의 회전부재(100)가 필요한 어떠한 장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재(100)는 웜기어와 같이 스크류 형태의 나사산을 가지는 기어일 수 있고, 회전을 통해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는 상기 일단부(111)에서 상기 타단부(113)를 향하여 연장되는 기둥부(110) 및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에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30)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0)를 성형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는 내부에서 도 3에서 도시된 회전부재(100)를 성형할 수 있고, 사출성형이 완료된 회전부재(100)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금형(200)은 상기 기둥부(110)가 성형되는 기둥부공간(S1) 및 상기 블레이드(130)가 성형되는 복수의 블레이드공간(S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둥부공간(S1)과 연통되어 상기 바닥부(150)가 성형되는 바닥성형공간(S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공간(S1)은 사출액이 메인금형(2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기둥부(110)가 성형될 수 있는 너비 또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공간(S2)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공간(S2)은 상기 메인금형(200)에서 상기 기둥부공간(S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130)의 너비 또는 길이와 대응되어 음각으로 상기 메인금형(2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기둥부공간(S1)과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금형(200)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110)의 반경방향(D)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분할바디(211, 213, 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211, 213, 215)는 상기 블레이드공간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 개수는 3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블레이드공간(S2)의 개수와 대응되어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30), 상기 블레이드공간(S2),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의 수가 3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는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과 마주보는 후술되는 기둥부성형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211, 213, 215)는 각각의 기둥부성형면(230)이 함께 하나의 기둥부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공간(S2)의 일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성형면(25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분할바디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성형면(250)은 다른 하나의 분할바디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성형면(250)과 함께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211, 213, 215)는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211, 213, 215) 중 어느 하나인 제1분할바디(211)와,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이웃하게 위치되는 제2분할바디(213)와,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상기 일방향(C1)과 반대되는 타방향(C2)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이웃하게 위치되는 제3분할바디(2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분할바디(215)는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으로 상기 제2분할바디(213)와 이웃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2분할바디(213)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후술되듯이 동일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서로 이격되는 공간이 없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2분할바디(213)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공간(S2) 중 어느 하나인 제1블레이드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은 상기 기둥부공간(S1)을 기준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가 마련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고, 다시 말해 상기 제1블레이드(130)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가 마련된 방향으로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2분할바디(213), 상기 제3분할바디(215)는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3개로 분할되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간의 각도가 120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2분할바디(213), 상기 제3분할바디(215)는 후술되듯이, 사출성형과정 중 회전부재(100)를 취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둥부(110)의 반경방향(D)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V)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제1분할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제1분할바디(211)를 확대하여 기둥부(11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제1방향(V1)을 향하도록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도시된 제1분할바디(211)의 연장방향이 제2방향(V2)을 향하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기둥부공간(S1)의 타단부(S13)를 형성하는 제1기둥부성형면(230)과,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일단부(S11)를 형성하는 제2기둥부성형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기둥부공간(S1)의 타단부(S13)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110)의 타단부(113)의 일부가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및 제3분할바디(215)는 각각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을 구비하고 상기 3개의 제1기둥부성형면(230)은 함께 기둥부공간(S1)의 타단부(S1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제1기둥부성형면(230),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제1기둥부성형면(230)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제1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간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제1기둥부성형면(230),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제1기둥부성형면(230)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제1기둥부성형면(230)은 각각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의 일부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일단부(S11)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부0의 일단부(111)의 일부가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및 제3분할바디(215)는 각각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을 구비하고, 상기 3개의 제2기둥부성형면(230)은 함께 기둥부공간(S1)의 일단부(S1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제2기둥부성형면(230),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제2기둥부성형면(230)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제2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간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제2기둥부성형면(230),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제2기둥부성형면(230)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제2기둥부성형면(230)은 각각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의 일부를 성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에 각각 구비된 제1기둥부성형면(230) 및 제2기둥부성형면(230)에 의해 1개의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이 성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기준으로 제1기둥부성형면(230) 및 제2기둥부성형면(230)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은 제2분할바디(213), 제3분할바디(215)에 구비되는 제1기둥부성형면(230) 및 제2기둥부성형면(23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제1방향(V1)으로 차폐금형(300)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방향(V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분할바디(211)에서 상기 기둥부(110)를 바라보는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1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바라볼 때,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경사방향과 대응되도록, 상기 일방향(C1)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제2방향(V2)으로 바닥성형공간(S3)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방향(V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분할바디(211)에서 상기 기둥부(110)를 바라보는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1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바라볼 때,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경사방향과 대응되도록, 상기 일방향(C1)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턴수에 따라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과 연속되는 일면을 형성하지 않을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된 회전부재(100)의 기둥부(110)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V)과 수직하게 파팅라인(P)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블레이드성형면(250)은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일방향(C1)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성형면(251)과,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타방향(C2)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성형면(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 중 상기 일방향(C1)을 향하는 외단부에서 상기 일방향(C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기둥부(110)의 길이방향(V)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둥부공간(S1)의 타단부(S13)에서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일단부(S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성형면(251)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상기 일방향(C1)에 대하여 형성되는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성형면(251)에서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상기 제1성형면(251)의 타단부는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상기 제1성형면(251)의 일단부보다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더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성형면(253)은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 중 상기 타방향(C2)을 향하는 외단부에서 상기 타방향(C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성형면(253)은 상기 기둥부(110)의 길이방향(V)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둥부공간(S1)의 타단부(S13)에서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일단부(S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성형면(253)은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성형면(253)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상기 일방향(C1)에 대한 경사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성형면(253)에서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단부는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타단부보다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더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2성형면(253)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분할바디(213)는 상기 일방향(C1)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이웃하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제1성형면(251)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제2분할바디(21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제2분할바디(213)와 상기 타방향(C2)으로 이웃하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2성형면(253)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상기 제2분할바디(213)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2성형면(253)과 마주볼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성형면(251)과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2성형면(253)은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의 타단부(S23a)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타단부(S23a)에서 상기 블레이드(130) 중 어느 하나의 타단부(133)가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성형면(253)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1성형면(251)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과 다른 제2블레이드공간(S2b, 도 5 참고)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분할바디(215)는 상기 타방향(C2)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이웃하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제2성형면(253)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제3분할바디(21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제3분할바디(215)와 상기 일방향(C1)으로 이웃하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상기 제3분할바디(215)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성형면(253)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1성형면(251)과 마주볼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성형면(253)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1성형면(251)과 함께 상기 제3블레이드공간(S2c, 도 5 참고)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130) 중 다른 하나의 타단부(133)가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제1성형면(251)과 제2성형면(253)은 각각 상기 기둥부(110)의 길이방향(V)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성형면(251)과 상기 제2성형면(253)이 연장되는 높이는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과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 사이에서 상기 기둥부(110) 중간 부분에 마련되는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부(110)의 타단부(113)까지 수직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 상기 제1성형면(251) 및 상기 제2성형면(253)이 연장되는 높이(L3)는 상기 기둥부(110) 중간 부분에 마련되는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부(110)의 타단부(113)까지 수직 거리(L3)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110)의 타단부(113) 및 블레이드(130)의 타단부(133)에 마련된 파팅라인(P)은 상기 제1기둥부성형면(230), 상기 제1성형면(251) 및 상기 제2성형면(2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블레이드성형면(250)은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타방향(C2)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성형면(255)과,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일방향(C1)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4성형면(2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 중 상기 타방향(C2)을 향하는 외단부에서 상기 일방향(C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기둥부(110)의 길이방향(V)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일단부(S11)에서 상기 기둥부공간(S1)의 타단부(S1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상기 일방향(C1)에 대하여 형성되는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3성형면(255)에서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상기 제3성형면(255)의 일단부는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상기 제3성형면(255)의 타단부보다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더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성형면(257)은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 중 상기 일방향(C1)을 향하는 외단부에서 상기 일방향(C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성형면(257)은 상기 기둥부(110)의 길이방향(V)과 대응되도록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일단부(S11)에서 상기 기둥부공간(S1)의 타단부(S1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4성형면(257)은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성형면(257)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상기 일방향(C1)에 대한 경사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4성형면(257)에서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타단부는 상기 제4성형면(257)에서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단부보다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더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4성형면(257)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분할바디(215)는 상기 타방향(C2)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이웃하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제3분할바디(21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제3분할바디(215)와 상기 일방향(C1)으로 이웃하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4성형면(257)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상기 제3분할바디(215)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4성형면(257)과 마주볼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4성형면(257)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의 일단부(S21a)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일단부(S21a)에서 상기 블레이드(130) 중 어느 하나의 타단부(133)가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4성형면(257)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3성형면(255)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 상기 제2블레이드공간(S2b, 도 5 참고)과 또 다른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분할바디(213)는 상기 일방향(C1)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이웃하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4성형면(257)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제2분할바디(21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제2분할바디와 상기 타방향(C2)으로 이웃하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와 상기 제2분할바디(213)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4성형면(257)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3성형면(255)과 마주볼 수 있다.
서로 마주 보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4성형면(257)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3성형면(255)과 함께 상기 제2블레이드공간(S2b, 도 5 참고)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130) 중 또 다른 하나의 일단부(131)가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제3성형면(255)과 제4성형면(257)이 각각 기둥부(110)의 길이방향(V)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성형면(255)과 상기 제4성형면(257)이 연장되는 높이는 상기 제1기둥성형면(231)과 상기 제2기둥성형면(233)사이에서 상기 기둥부(110) 중간 부분에 마련되는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부(110)의 일단부(111)까지 수직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 상기 제3성형면(255) 및 상기 제4성형면(257)이 연장되는 높이(L4)는 상기 기둥부(110)의 중간 부분에 마련되는 파팅라인(P)을 기준으로 상기 기둥부(110)의 일단부(111)까지 수직 거리(L4)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110)의 일단부(111) 및 블레이드(130)의 일단부(131)에 마련된 파팅라인(P)은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 상기 제3성형면(255) 및 상기 제4성형면(25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제1성형면(251)을 포함하고 내측으로 만입되는 제1수용부(271)와, 상기 제2성형면(253)을 포함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삽입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상기 일방향(C1)에 대하여 형성되는 경사각(A)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성형면(251)에서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상기 제1성형면(251)의 타단부는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상기 제1성형면(251)의 일단부보다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더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71)는 상기 제1삽입부(291)와 사이에서 제1기둥부성형면(230)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수용부(271)는 상기 제2분할바디(213)를 기준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향하는 상기 타방향(C2)을 향하여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용부(271)는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외측으로 상기 타방향(C2)을 향하여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271) 중 상기 제2방향(V2)을 바라보는 일면은 상기 제1성형면(251)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성형면(251)이 상기 일방향(C1)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A)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상기 바닥부(150)에 대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291)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기준으로 제3분할바디(215)를 향하는 상기 타방향(C2)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291) 중 상기 제1방향(V1)을 바라보는 일면은 상기 제2성형면(253)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성형면(253)이 상기 일방향(C1)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A)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상기 바닥부(150)에 대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271) 중 상기 제2방향(V2)을 바라보는 일면이 상기 바닥부(150)와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1삽입부(291) 중 상기 제1방향(V1)을 바라보는 일면이 상기 바닥부(150)와 이루는 경사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1삽입부(291)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수용부(27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의 상기 타단부(S23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삽입부(291)는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1수용부(27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과 다른 제3블레이드공간(S2c, 도 5 참고)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제3성형면을 포함하고 내측으로 만입되는 제2수용부(273)와, 상기 제4성형면(257)을 포함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삽입부(29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상기 일방향(C1)에 대하여 형성되는 경사각(A)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3성형면(255)에서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상기 제3성형면(255)의 일단부는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상기 제3성형면(255)의 타단부보다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더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73)는 상기 제2삽입부(293)와 사이에서 상기 제2기둥부성형면(230)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수용부(273)는 상기 제3분할바디(215)를 기준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향하는 상기 일방향(C1)을 향하여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수용부(273)는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외측으로 상기 일방향(C1)을 향하여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273)는 상기 제3분할바디(215)를 기준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향하는 상기 일방향(C1)으로 인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273) 중 상기 제1방향(V1)을 바라보는 일면은 상기 제3성형면(255)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3성형면(255)이 상기 일방향(C1)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A)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상기 바닥부(150)에 대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삽입부(293)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를 기준으로 상기 제2분할바디(213)를 향하는 상기 일방향(C1)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삽입부(293) 중 상기 제2방향(V2)을 바라보는 일면은 상기 제4성형면(257)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4성형면(257)이 상기 일방향(C1)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A)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상기 바닥부(150)에 대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273) 중 상기 제1방향(V1)을 바라보는 일면이 상기 바닥부(150)와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2삽입부(293) 중 상기 제2방향(V2)을 바라보는 일면이 상기 바닥부(150)와 이루는 경사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2삽입부(293)는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수용부(273)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삽입부(293)는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2수용부(273)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과 또 다른 제2블레이드공간(S2b, 도 5 참고)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성형되는 회전부재(100)의 상기 블레이드(1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일면(135) 및 상기 일면(135)의 반대측에 위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타면(13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방향(V2)으로 상기 기둥부(110)를 바라볼 때 상기 일면(135)은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며 연결되고 상기 타면(137)은 예각을 형성하며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130)는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으로부터 기둥부(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일면(135)과 타면(137)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30)의 일면(135)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고, 블레이드(130)의 타면(137)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30)가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우, 블레이드(130)의 일면(135)은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타방향(C2)을 향하는 면에 해당하고 블레이드(130)의 타면(137)은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 중 일방향(C1)을 향하는 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4성형면(257)과 함께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130)의 일면(135)을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성형면(251)은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4성형면(257)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에서 성형되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130)의 일면(135)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2성형면(253)과 함께 상기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130)의 타면(137)을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성형면(255)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2성형면(253)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에서 성형되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130)의 타면(137)을 성형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상기 블레이드(130)의 일단부(131) 중 상기 일면(135)에 마련되는 파팅라인(P)은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2성형면(253)과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1성형면(251)이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30)의 일단부(131) 중 상기 타면(137)에 마련되는 파팅라인(P)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1성형면(251)과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2성형면(253)이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상기 블레이드(130)의 타단부(133) 중 상기 일면(135)에 마련되는 파팅라인(P)은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성형면(255)과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4성형면(257)이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30)의 타단부(133) 중 상기 타면(137)에 마련되는 파팅라인(P)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4성형면(257)과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3성형면(255)이 함께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제1수용부(271)에서 상기 제1방향(V1)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분할바디(213)를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삽입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제1삽입부(291)에서 상기 제1방향(V1)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3분할바디(215)를 향하여 마련되고 내측으로 만입되는 제3수용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삽입부(295)는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3수용부(275)에 삽입되고,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삽입부(295) 중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면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3수용부(275)에서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면(2113)과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수용부(275)는 상기 제3분할바디(215)의 상기 제3삽입부(295)를 수용하고,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상기 제3수용부(275) 중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는 면(2113)은 상기 제2분할바디(213)의 상기 제3삽입부(295)에서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면과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메인금형을 차폐금형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와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복수의 분할바디가 분리되기 전 메인금형을 상기 제2방향(V2)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복수의 분할바디가 분리된 후 메인금형을 상기 제2방향(V2)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상기 메인금형(200)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2분할바디(213)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공간(S1)과 블레이드공간(S2)으로 사출액이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은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 중 상기 제1분할바디(211)에 가장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블레이드공간(S2)은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 중 상기 제2분할바디(213)에 가장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블레이드공간(S2)은 상기 기둥부공간(S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 중 상기 제3분할바디(215)에 가장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사출액이 유입되고, 상기 회전부재(100)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2분할바디(213)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는 분리되어 상기 기둥부의 반경방향(D)으로 이동한다.
상기 기둥부(110)의 이동거리는 상기 회전부재(100)가 상기 금형장치(10)에서 취출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S2), 상기 제2블레이드공간(S2) 및 상기 제3블레이드공간(S2) 각각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2분할바디(213)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에서 메인금형과 차폐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상기 회전부재(100)의 냉각 또는 경화가 종료된 후, 상기 가압금형(600)이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와 이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와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는 상기 기둥부(110)의 상기 타단부(113)측에서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와 연결되어 상기 기둥부공간(S1)을 차폐하는 차폐금형(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금형(300)은 상기 기둥부(110)가 중공 형태로 성형되도록 상기 기둥부공간(S1)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성형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금형(300)의 너비는 상기 메인금형(200)의 너비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메인금형(200)에서 상기 제1방향(V1)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금형(2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폐금형(300)의 중공성형핀(330)은 상기 기둥부(110)가 중공 형태로 성형되도록, 상기 메인금형(200)과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기둥부공간(S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공성형핀(330)의 연장길이는 상기 회전부재의 높이(L1)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130)가 연장되는 높이(L2)와 대응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공성형핀(330)의 직경은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112)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성형핀(330)은 상기 기둥부(110)의 내주면과 마주되어 상기 기둥부(110)를 성형하는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성형핀(330)은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단부는 상기 바닥부(150)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중공성형핀(330)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부(150)의 일부를 성형하는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성형핀(330)은 상기 바닥부(150)를 향할수록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는 회전부재(100)의 성형이 완료된 후 취출과정에서 차폐금형(300)의 제1방향(V1)으로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일 수 있다.
상기 중공성형핀(330)의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바닥부(150)를 향할수록 점차 감소함으로써, 상기 기둥부(110)의 외주면의 직경 또한 상기 바닥부(150)를 향할수록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중공성형핀(330)의 중심에서 상기 바닥부(150)를 향하는 연장선은 상기 기둥부(110)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중공성형핀(330)의 외주면은 사출액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열내구성이 높은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상기 차폐금형(300)은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성형핀(3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50)은 상기 차폐금형(300) 중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1방향(V1)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제3삽입부(295)에서 상기 제1방향(V1)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가이드돌출부(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00)의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및 제3분할바디(215)가 상기 기둥부(110)의 반경방향(D)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홈(350)은 상기 가이드돌출부(2111)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및 제3분할바디(215)는 상기 가이드홈(350)에 의해 상기 기둥부(110)의 반경방향(D)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분할바디(211)의 제3삽입부(295)와 제3수용부(275)는 상기 차폐금형(300)의 일면과 접촉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 의해 성형되는 회전부재(100)는 상기 기둥부(110)의 상기 일단부(111)에 연결되고 상기 기둥부(110)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바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는 상기 바닥부(150)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공간(S1)과 연통되며 상기 바닥부(150)가 성형되는 바닥성형공간(S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바닥부(150)의 높이(L5)는 상기 바닥부(150)에서 상기 기둥부(110)의 일단부(111)까지의 수직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 상기 제2분할바디(213) 및 상기 제3분할바디(215)에 의해 하나의 바닥성형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둥성형면(233)이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단부의 높이 또한 상기 바닥부(150)의 높이(L5)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50)의 상기 메인돌출부(151) 또한 상기 분할바디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닥부(150)에 생성되는 파팅라인(P)은 상기 각가의 메인돌출부(151)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복수의 메인돌출부(151) 중 어느 하나의 일부가 성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일부가 성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는 상기 기둥부(110)를 기준으로 제1서브돌출부(153)가 상기 기둥부(110)의 반경방향(D)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서브돌출부(153)의 개수 또한 분할바디(211, 213, 215)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에서 상기 회전부재(100)는 상기 바닥부(150)에 회전축(미도시)이 결합되는 축결합부(157)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부재(10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부재(100)가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100)에 회전축 등이 결합하여 상기 기둥부(110)의 원주방향(C)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동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재(100)는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수와 상기 의류를 교반시키는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157)의 중심은 상기 기둥부(110) 및 상기 바닥부(150)의 중심과 일치되어 상기 회전부재(100)가 회전시 편심회전되지 않을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157)는 상기 바닥성형공간(S3)에서 성형되거나 금형장치(10)와 다른 별도의 금형에서 성형되어 상기 회전부재(100)의 성형이 완료된 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157)는 상기 바닥부(150)의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결합부(157)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기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미도시)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10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150)는 상기 바닥부(150)에서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면에서 상기 제2방향(V2)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59)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159)는 바닥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바닥부(15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는 메인금형(200)과 상기 제2방향(V2)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닥성형공간(S3)의 일측을 차페하는 가압금형(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바디(211, 213, 215)의 상기 바닥성형공간(S3)은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측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금형(600)은 상기 바닥성형공간(S3)의 일측을 차폐하여 상기 바닥부(150)가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면이 성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압금형(600)은 상기 바닥성형공간(S3)으로 사출액이 주입되는 주입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금형(600)는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211, 213, 215)와 접촉하며 사출액을 상기 메인금형(200) 내에 위치된 상기 기둥부공간(S1)과 블레이드공간(S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압금형(6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가압금형(610)와, 상기 제1가압금형(610)와 상기 제1가압금형(600)이 상기 바닥성형공간(S3)을 마주하는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금형(200)의 상기 바닥성형공간(S3)을 차폐하는 제2가압금형(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금형(630)은 상기 바닥부(150) 중 상기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사출액이 상기 바닥성형공간(S3)으로 안내되도록 후술되는 주입부(650)가 상기 제2가압금형(630)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입부(650)는 상기 제1가압금형(610)의 외면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가압금형(600)로 사출액이 유입되는 유입홀(651)과, 상기 제2가압금형(630)을 관통하여 사출액이 바닥성형공간(S3)으로 안내되는 안내홀(655)과, 상기 제1가압금형(610)를 관통하여 상기 유입홀(651)과 상기 안내홀(655)을 연통시키는 이동유로(6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액은 상기 유입홀(651)로 유입되어 상기 이동유로(653)를 통하여, 상기 안내홀(655)을 통해 상기 바닥성형공간(S3), 기둥부공간(S1), 블레이드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홀(655)의 위치는 상기 바닥부(150)의 메인돌출부(151)의 위치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출액이 주입되어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가압금형(600)이 상기 메인금형(200)과 이격될 때, 회전부재(1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1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메인금형(200)은 상기 제2방향(V2)에서 상기 가압금형(600)과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V1)에서 상기 가압금형(600)과 연결되어 상기 사출액이 상기 사출액이 상기 주입부(650)를 통하여 상기 기둥부공간(S1), 블레이드성형공간(S2), 바닥성형공간(S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차폐금형(300)의 중공성형핀(330)은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및 제3분할바디(215)와 함께 상기 기둥부공간(S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사출액이 상기 기둥부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기둥부(110)가 성형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공간(S1), 블레이드성형공간(S2), 바닥성형공간(S3)으로 사출액이 유입되고, 상기 회전부재(100)가 성형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00)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가압금형(600)이 상기 메인금형(200)과 멀이지도록 상기 제2방향(V2)으로 이동되고, 상기 메인금형(200)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제3분할바디(215)가 상기 기둥부(11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제3분할바디(215)의 제3삽입부(295)는 상기 차폐금형(300)의 가이드홈(350)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35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제3분할바디(215)는 상기 회전부재(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바디(211), 제2분할바디(213), 제3분할바디(215)가 상기 회전부재(100)에서 이격된 후, 상기 차폐금형(300)은 상기 제1방향(V1)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재(10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중공성형핀(330)은 상기 기둥부(110)의 내주면을 성형하고, 상기 회전부재(100)의 기둥부(110)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V1)으로 이동하며 상기 기둥부(110)의 내주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10)의 타단부(113)의 외경은 상기 중공성형핀(330)의 제2방향(V2)을 향하는 일단부(미도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중공성형핀(330)의 일부가 상기 회전부재(100)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회전부재(100)의 취출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00)가 상기 금형장치(10)에서 이격된 후, 상기 금형장치(10)의 외부 상온에서 상기 회전부재(100)가 냉각되는 형외 냉각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기 회전부재(100)는 상기 금형장치(10) 내부에서 냉각 또는 경화 과정이 수행되었으나, 상기 메인금형(200)의 내부 온도가 상온보다 높아, 여전히 상기 회전부재(100)의 표면 내에는 잔류열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00)의 표면 내에는 회전부재(100)의 취출이 완료된 후에도 잔류열응력이 발생될 수 있어, 상온에 노출되어 상기 회전부재(100)를 형외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금형장치 100: 회전부재 110: 기둥부
130: 블레이드 150: 바닥부 151: 메인돌출부
153: 제1서브돌출부 155: 제2서브돌출부 157: 축결합부
159: 보강부 200: 메인금형 211: 제1분할바디
213: 제2분할바디 215: 제3분할바디 213: 제2분할바디
230: 기둥부성형면 231: 제1기둥부성형면 233: 제2기둥부성형면
250: 블레이드성형면 251: 제1성형면 253: 제2성형면
255: 제3성형면 257: 제4성형면 271: 제1수용부
273: 제2수용부 275: 제3수용부 291: 제1삽입부
293: 제2삽입부 295: 제3삽입부 300: 차폐금형
310: 차폐금형바디 330: 중공성형핀 350: 가이드홈
600: 가압금형 610: 제1가압금형 630: 제2가압금형
650: 주입부 651: 유입홀 653: 이동유로
655: 안내홀 S1: 기둥부공간 S2: 블레이드공간
S2a: 제1블레이드공간 S2b: 제2블레이드공간 S2c: 제3블레이드공간
S3: 바닥성형공간

Claims (13)

  1.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 중 일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회전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가 성형되는 기둥부공간 및 상기 블레이드가 성형되는 복수의 블레이드공간을 포함하는 메인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금형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분할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기둥부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둥부성형면;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성형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는 각각의 기둥부성형면이 함께 상기 기둥부공간을 형성하고,
    어느 하나의 분할바디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성형면은 다른 하나의 분할바디에 마련되는 블레이드성형면과 함께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공간을 형성하는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블레이드공간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기둥부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금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바디는,
    제1분할바디;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와 이웃하게 위치되는 제2분할바디; 및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타방향으로 상기 제1분할바디와 이웃하게 위치되는 제3분할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공간은 제1블레이드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은 상기 제1분할바디, 상기 제2분할바디 및 상기 제3분할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금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성형면은,
    상기 기둥부의 상기 타단부가 성형되는 상기 기둥부공간의 타단부를 형성하는 제1기둥성형면; 및
    상기 기둥부의 상기 일단부가 성형되는 상기 기둥부공간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제2기둥성형면;을 포함하는 금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공간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가 성형되는 일단부와,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가 성형되는 타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성형면은,
    상기 제1기둥성형면에서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성형면; 및,
    상기 제1기둥성형면에서 상기 타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성형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1성형면은 상기 제2분할바디의 상기 제2성형면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의 타단부를 형성하는 금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성형면은,
    상기 제2기둥성형면에서 상기 타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성형면; 및
    상기 제2기둥성형면에서 상기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4성형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3성형면은 상기 제3분할바디의 상기 제4성형면과 함께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금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1성형면은 상기 제3분할바디의 상기 제4성형면과 함께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의 일면을 성형하고,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3성형면은 상기 제2분할바디의 상기 제2성형면과 함께 상기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의 타면을 성형하는 금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제1성형면을 포함하고 내측으로 만입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성형면을 포함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분할바디의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의 상기 타단부를 형성하는 금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제3성형면을 포함하고 내측으로 만입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4성형면을 포함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분할바디의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1분할바디의 상기 제2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공간의 상기 일단부를 형성하는 금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상기 타단부측에서 상기 분할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기둥부공간을 차폐하는 차폐금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금형은,
    상기 기둥부가 중공 형태로 성형되도록 상기 기둥부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성형핀;을 포함하는 금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금형은,
    상기 분할바디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성형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할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금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둥부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바닥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바닥부가 성형되는 바닥성형공간을 포함하는 금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바디는 상기 바닥성형공간의 일측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분할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바닥성형공간의 상기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바닥성형공간으로 사출액이 주입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가압금형;을 더 포함하는 금형장치.
KR1020200107913A 2020-08-26 2020-08-26 금형장치 KR20220026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13A KR20220026861A (ko) 2020-08-26 2020-08-26 금형장치
US17/407,625 US20220063160A1 (en) 2020-08-26 2021-08-20 Apparatus for mo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13A KR20220026861A (ko) 2020-08-26 2020-08-26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861A true KR20220026861A (ko) 2022-03-07

Family

ID=8035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913A KR20220026861A (ko) 2020-08-26 2020-08-26 금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63160A1 (ko)
KR (1) KR20220026861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3199A (en) * 1979-12-05 1981-01-06 Hill Rodman K Mold for molding propellers having tapered hubs
US4858450A (en) * 1985-03-27 1989-08-22 Gold Star Col, Ltd. Stirring device for automatic washer
US6123539A (en) * 1998-11-25 2000-09-26 Brunswick Corporation Die assembly for making a propeller structure
KR100460587B1 (ko) * 2002-04-19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보팬 및 그 제조용 금형
US7757522B2 (en) * 2004-06-29 2010-07-20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gitator assembly
JP2010270645A (ja) * 2009-05-20 2010-12-02 Ihi Corp インペ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3160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462B1 (ko) 사출금형 및 그 제조방법
US7220118B2 (en) Horizontal multi-material molding machine
CN210791860U (zh) 一种内螺纹注塑件用的注塑模具
KR20220026861A (ko) 금형장치
CN101774259B (zh) 成型模具
JP2006334843A (ja) 射出成形装置
JPH11129289A (ja) 熱硬化性樹脂の射出成形用金型
KR20220021706A (ko) 금형장치
JP2003011176A (ja) バルブゲート式金型装置
KR20160094637A (ko) 사출금형의 보스부위 싱크마크 생성방지 장치
KR20220014106A (ko) 발포 사출 성형용 금형장치
KR20120095180A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이중밸브핀 노즐장치
KR20150100154A (ko) 곡진 날개들을 지닌 성형제품의 언더컷을 처리하는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금형
CN104210066B (zh) 树脂制辊轴的制造方法、成型模具和树脂制辊轴
KR101813677B1 (ko) 사출 성형 장치
KR20080107879A (ko) 사출 성형 장치
CN206357581U (zh) 一种齿轮注塑模具的旋转脱模机构
KR20210120444A (ko)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CN213733132U (zh) 模具装置
KR20200101002A (ko) 내측 언더컷 처리를 위한 회전작동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JP2001047440A (ja) タイヤの加硫成形方法および加硫金型の加熱装置
KR910006352B1 (ko) 서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성형체로 구성된 음성형체
KR101533080B1 (ko) 곡선 유체 유로를 구비한 사출 성형 금형
CN211591111U (zh) 一种灯具注塑成型模
CN211389918U (zh) 双色压塑模镶块式上模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