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444A -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444A
KR20210120444A KR1020200037151A KR20200037151A KR20210120444A KR 20210120444 A KR20210120444 A KR 20210120444A KR 1020200037151 A KR1020200037151 A KR 1020200037151A KR 20200037151 A KR20200037151 A KR 20200037151A KR 20210120444 A KR20210120444 A KR 20210120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ylinder
cosmetic container
molding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현
한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아트
Priority to KR1020200037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444A/ko
Publication of KR2021012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8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 B29C45/2622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for moulding interrupted screw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5Movement of a part, e.g.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mould, generating fluid pressure in a built-in fluid pressur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6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an auxiliary mould part carrying the moulded article and removing it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착홈부를 구비하는 제1금형;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도록 제1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성형홈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 상기 제2금형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나선가공부를 구비하는 제3금형; 상기 성형홈부에 삽입되고 화장품 용기의 수납홈부를 성형하는 성형돌출부를 구비하고 제3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4금형;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제1로드가 출몰되고,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제2로드가 출몰되며, 상기 제3실린더로부터 제3로드가 출몰되면서 상기 제1금형 내지 상기 제4금형이 결합 또는 분리될 때에 복수 개의 실린더 및 금형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 및 사출공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1금형 내지 상기 제4금형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3금형의 나선가공부에 거치되는 화장품 용기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3금형을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리시키는 탈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제1금형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간섭홈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제1간섭홈부 사이에 교호로 형성되는 제2간섭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Injection molding device of cosmetic container packaging tray for easy product withdrawal}
본 실시예는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용기 패키지를 통한 차별화가 마케팅 전략이 될 정도로,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심리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들은 디자인 및 소재등에 있어서, 고급화 전략이 적용되며, 자연스럽게 화장품 용기 제조 단가가 높이 형성되어, 제품의 가격에 반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화장품 용기들은 상당수가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대다수이며, 구체적으로, 화장품 용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사출 성형하여, 성형된 각 부품들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화장품 용기를 생산한다.
화장품 용기 생산방법은 제조 공수가 늘어나고, 여러 번의 사출 성형을 통해 낭비되는 소재 등으로 인하여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또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화장품의 단가를 올리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기존의 화장품 용기와 다른 신선함을 주어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 용기가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체형 사출 성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사출 성형 화장품 용기는, 외부 포장 케이스를 형성하는 메인 런너부와, 메인 런너부와 연결 형성되되, 메인 런너부로부터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용기부와, 메인 런너부와 연결 형성되되, 메인 런너부로부터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며, 절취되어 용기부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결합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메인 런너부, 용기부 및 캡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7830호(2012년 04월 20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일체형 사출 성형 화장품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고급감을 유지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이고 결정성 수지이며 내약품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설정치 이상의 두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표면 수축 및 휨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사출공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사출공정이 종료된 후에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분리시키면서 제품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사출공정이 진행된 후에 냉각수 및 가열수가 공급되는 냉각부 및 변형방지부가 구비되고, 설정치 이상의 두께로 고급감을 유지하며 제조되는 화장품 용기의 표면 수축 또는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출공정이 완료된 후에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제품 사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착홈부를 구비하는 제1금형;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도록 제1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성형홈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 상기 제2금형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나선가공부를 구비하는 제3금형; 상기 성형홈부에 삽입되고 화장품 용기의 수납홈부를 성형하는 성형돌출부를 구비하고 제3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4금형;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제1로드가 출몰되고,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제2로드가 출몰되며, 상기 제3실린더로부터 제3로드가 출몰되면서 상기 제1금형 내지 상기 제4금형이 결합 또는 분리될 때에 복수 개의 실린더 및 금형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 및 사출공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1금형 내지 상기 제4금형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3금형의 나선가공부에 거치되는 화장품 용기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3금형을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리시키는 탈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제1금형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간섭홈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제1간섭홈부 사이에 교호로 형성되는 제2간섭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탈거부는, 상기 제3금형의 일측을 이루는 제1분리금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대; 상기 제3금형의 타측을 이루는 제2분리금형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2연장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길이가 가변되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연결대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홈부;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홈부에 삽입되는 출몰축; 상기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딩홈부의 걸림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연결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분리금형 및 상기 제2분리금형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개폐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는, 사출공정이 진행된 후에 냉각수 및 가열수가 공급되는 냉각부 및 변형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사출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금형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면서 화장품 용기의 표면 수축 및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는, 화장품 용기 개구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성형하는 제3금형에 나선가공부가 구비되고, 제3금형과 제2금형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사출공정이 완료된 후에 제2금형과 제3금형을 분리시키면서 화장품 용기를 사출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화장품 용기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는, 사출공정이 완료된 후에 복수 개의 금형을 분리시키고, 화장품 용기가 지지되는 금형을 2개의 블록으로 분리시키는 탈거부가 구비되므로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을 구속하는 나선가공부를 탈거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리시키면서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장품 용기를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및 화장품 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 탈거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 탈거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및 화장품 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 탈거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 거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는, 안착 홈부(12a)를 구비하는 제1금형(12)과, 안착홈부(12a)에 삽입되도록 제1실린더(7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성형홈부(14a)를 구비하는 제2금형(14)과, 제2금형(14)에 결합되도록 제2실린더(74)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나선가공부(16a)를 구비하는 제3금형(16)과, 성형홈부(14a)에 삽입되고 화장품 용기(100)의 수납홈부(102)를 성형하는 성형돌출부(18a)를 구비하고 제3실린더(76)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4금형(18)과, 성형홈부(14a)에 주입되는 작업 대상물에 사출공정이 진행된 후에 제1금형(12) 및 제4금형(18)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작업 대상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30)와, 제1금형(12)이 분리된 후에 제2금형(14) 및 제3금형(16)에 고온수를 공급하여 작업 대상물이 급격히 냉각되면서 발생되는 표면 수축 및 휨 현상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50)와, 사출공정이 종료된 후에 제1금형(12) 내지 제4금형(18)을 분리시키고, 제3금형(16)의 나선가공부(16a)에 거치되는 화장품 용기(100)를 분리시키도록 제3금형(16)을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리시키는 탈거부(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설정치 두께 이상으로 성형하여 용기의 공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화학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을 작업 대상물로 하여 화장품 용기(100)를 제조하는데, 제1금형(12) 내지 제4금형(18)을 결합하여 화장품 용기(100)가 성형되는 작업공간을 형성하고, 이 작업공간에 폴리프로필렌의 용융물을 주입하여 사출공정을 행한다.
제1금형(12)의 안착홈부(12a)에는 제2금형(14)이 밀착되게 삽입되고, 제2금형(14)의 성형홈부(14a) 입구 테두리에는 제3금형(16)이 결합되고, 성형홈부(14a) 내부에는 제4금형(18)으로부터 돌출되는 성형돌출부(18a)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삽입된다.
이후에, 제4금형(18)에 형성되는 공급유로(미도시)를 통해 용융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대상물이 주입되어 화장품 용기(100) 모양으로 경화되면서 사출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냉각부(30)는, 제1금형(12)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냉각유로(32)와, 제4금형(18)에 형성되고 중온수가 공급되는 제2냉각유로(34)를 포함하므로 제1금형(12)은 사출공정 초기에 저온을 이루게 되는데, 제1금형(12)과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2금형(14)이 전도되어 성형홈부(14a) 내부를 저온으로 냉각시키면서 작업 대상물을 경화시키게 된다.
이때, 성형돌출부(18a)에 형성되는 제2가열유로(54)에는 중온의 냉각수가 공급되므로 제4금형(18)에 형성되는 공급유로를 따라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의 원활한 흐름이 유지되도록 작업 대상물을 온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제1냉각유로(32)를 따라 흐르는 냉각수는, 5~15℃의 온도를 유지하여 이미 성형홈부(14a) 내부에 유입된 작업대상물을 냉각시키면서 경화시키고, 제2냉각유로(34)를 따라 흐르는 중온수는 50~60℃의 온도를 유지하여 제4금형(18)을 통해 성형홈부(14a) 측으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이 필요 이상으로 빠르게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 대상물의 유동성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방지부(50)는, 제2금형(14)에 형성되고 고온수가 공급되는 제1가열유로(52)와, 제3금형(16)에 형성되고 고온수가 공급되는 제2가열유로(54)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작은 작업 대상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1실린더(72), 제2실린더(74) 및 제3실린더(76)의 구동에 의해 제1금형(12)의 안착홈부(12a)로부터 제2금형(14), 제3금형(16) 및 제4금형(18)이 분리되고, 제2금형(14)에 0~130℃의 온도를 유지하는 고온수가 공급된다.
이는, 제1금형(12)의 냉각수에 의해 경화된 화장품 용기(100)의 외면에 고온의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용기 표면이 매끄럽게 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므로 제2금형(14)과 제3금형(16)의 온도 차에 의해 용기 표면의 수축 또는 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고온수 공급이 설정시간 동안 이루어지면서 용기 표면이 매끄럽게 마감되어 사출공정이 종료되면 제2실린더(74) 및 제3실린더(76) 내부로 제2로드(74a) 및 제3로드(76a)가 삽입되면서 제3금형(16), 제4금형(18)이 각각 서로 른 거리로 제2금형(14)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3금형(16)의 중앙 홀부 내벽에 형성되는 나선가공부(16a)에 화장품 용기(100)의 나사산(104)이 볼트결합된 상태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성형홈부(14a)로부터 분리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화장품 용기(100)를 회전시키면서 나선가공부(16a)와 볼트 결합된 상태의 화장품 용기(100)를 제3금형(16)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실린더(72)로부터 제1로드(72a)가 출몰되고, 제2실린더(74)로부터 제2로드(74a)가 출몰되며, 제3실린더(76)로부터 제3로드(76a)가 출몰되면서 제1금형(12) 내지 제4금형(18)이 결합 또는 분리될 때에 복수 개의 실린더 및 금형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8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간섭방지부(80)는, 제1금형(1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간섭홈부(82)와, 복수 개의 제1간섭홈부(82) 사이에 교호로 형성되는 제2간섭홈부(84)를 포함한다.
또한, 제2금형(14), 제3금형(16) 및 제4금형(18)을 제1금형(12)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구동부(70)는, 제1로드(72a)에 제2금형(14)이 연결되어 출몰되는 제1실린더(72)와, 제3금형(16)이 제2로드(74a)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실린더(74)와, 제4금형(18)이 제3로드(76a)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실린더(76)와, 제2금형(14)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연결대(77a)에 의해 복수 개가 일체로 연결되어 제2로드(74a)에 지지되는 제1연장대(77)와, 제3금형(16)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연결대(78a)에 의해 복수 개가 일체로 연결되어 제3로드(76a)에 지지되는 제2연장대(78)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로드(72a) 및 제2로드(74a)가 안착홈부(12a) 측으로 돌출되면 제1연장대(77), 제1연결대(77a), 제2연장대(78) 및 제2연결대(78a)를 안착홈부(12a)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제1연장대(77)는 제1간섭홈부(82)에 삽입되고, 제2연장대(78)는 제2간섭홈부(84)에 삽입되면서 제1금형(12)과 제1연장대(77) 및 제2연장대(78)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간섭홈부(84)의 저면에는 제1간섭홈부(82)의 저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므로 제1연장대(77) 및 제2연장대(78)가 제1간섭홈부(82) 및 제2간섭홈부(84)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므로 복수 개의 금형이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제1연장대(77), 제2연장대(78), 제1연결대(77a) 및 제2연결대(78a)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제2금형(14), 제3금형(16) 및 제4금형(18)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탈거부(90)는, 제3금형(16)의 일측을 이루는 제1분리금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대(78)와, 제3금형(16)의 타측을 이루는 제2분리금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대(7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가이드홈부(92a)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92)과, 길이가 가변되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대(78a)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홈부(94)와, 스토퍼(96a)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홈부(94)에 삽입되며 스토퍼(96a)를 구비하는 출몰축(96)과, 스토퍼(96a)와 걸림돌기(94a)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97)와, 지지프레임(92)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제2연결대(78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분리금형 및 제2분리금형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개폐실린더(98)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출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제1로드(72a), 제2로드(74a) 및 제3로드(76a)가 제1실린더(72), 제2실린더(74) 및 제3실린더(76)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금형(12) 내지 제4금형(18)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분리되고, 개폐실린더(98)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탄성부재(97)가 압축되면서 출몰축(96)이 슬라이딩홈부(94)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한 쌍의 제2연결대(78a) 사이가 멀어지고, 이때, 각각의 제2연결대(78a)에 지지되는 제1분리금형 및 제2분리금형이 반원 모양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원형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3금형(16)이 반원 띠 모양으로 분리되고, 나선가공부(16a) 또한, 반원 띠모양으로 분리되면서 화장품 용기(100)의 나사산(104)이 나선가공부(16a)로부터 분리되어 작업자가 제3금형(16)으로부터 화장품 용기(1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출공정이 진행된 후에 냉각수 및 가열수가 공급되는 냉각부 및 변형방지부가 구비되고, 설정치 이상의 두께로 고급감을 유지하며 제조되는 화장품 용기의 표면 수축 또는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출공정이 완료된 후에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사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 제1금형 12a : 안착홈부
14 : 제2금형 14a : 성형홈부
16 : 제3금형 16a : 나선가공부
18 : 제4금형 18a : 성형돌출부
30 : 냉각부 32 : 제1냉각유로
34 : 제2냉각유로 50 : 변형방지부
52 : 제1가열유로 54 : 제2가열유로
70 : 결합구동부 72 : 제1실린더
72a : 제1로드 74 : 제2실린더
74a : 제2로드 76 : 제3실린더
76a : 제3로드 77 : 제1연장대
77a : 제1연결대 78 : 제2연장대
78a : 제2연결대 80 : 간섭방지부
82 : 제1간섭홈부 84 : 제2간섭홈부
86 : 단차부 90 : 탈거부
92 : 지지프레임 92a : 가이드홈부
94 : 슬라이드홈부 94a : 걸림돌기
96 : 출몰축 96a : 스토퍼
97 : 탄성부재 98 : 개폐실린더
100 : 용기 102 : 수납홈부
104 : 나사산

Claims (3)

  1. 안착홈부를 구비하는 제1금형;
    상기 안착홈부에 삽입되도록 제1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성형홈부를 구비하는 제2금형;
    상기 제2금형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나선가공부를 구비하는 제3금형;
    상기 성형홈부에 삽입되고 화장품 용기의 수납홈부를 성형하는 성형돌출부를 구비하고 제3실린더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4금형;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제1로드가 출몰되고,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제2로드가 출몰되며, 상기 제3실린더로부터 제3로드가 출몰되면서 상기 제1금형 내지 상기 제4금형이 결합 또는 분리될 때에 복수 개의 실린더 및 금형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 및
    사출공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1금형 내지 상기 제4금형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3금형의 나선가공부에 거치되는 화장품 용기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3금형을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리시키는 탈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제1금형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간섭홈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제1간섭홈부 사이에 교호로 형성되는 제2간섭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는, 상기 제3금형의 일측을 이루는 제1분리금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대; 상기 제3금형의 타측을 이루는 제2분리금형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2연장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길이가 가변되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연결대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 홈부;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홈부에 삽입되는 출몰축; 상기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딩홈부의 걸림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연결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1분리금형 및 상기 제2분리금형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개폐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KR1020200037151A 2020-03-26 2020-03-26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KR20210120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51A KR20210120444A (ko) 2020-03-26 2020-03-26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51A KR20210120444A (ko) 2020-03-26 2020-03-26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44A true KR20210120444A (ko) 2021-10-07

Family

ID=7811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51A KR20210120444A (ko) 2020-03-26 2020-03-26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4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069A (zh) * 2021-12-21 2022-03-25 福建恒隆塑胶工业有限公司 一种高透薄壁容器生产注塑模具抓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069A (zh) * 2021-12-21 2022-03-25 福建恒隆塑胶工业有限公司 一种高透薄壁容器生产注塑模具抓取装置
CN114228069B (zh) * 2021-12-21 2024-03-19 福建恒隆塑胶工业有限公司 一种高透薄壁容器生产注塑模具抓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7772B (zh) 模具组件
KR101205686B1 (ko) 예비 성형체용 몰드 스택
CA2742230C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US11254084B2 (en) Plurality of mass-produced multi-component plastic housings
US10059046B2 (en) Process for making a multi-component plastic housing
CN105813820A (zh) 塑料材料的成形方法
US7820084B2 (en) Minute shape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H0710546B2 (ja) 加熱装置を有するゲート装置
US20190175321A1 (en) Multi-component plastic housing
KR20210120444A (ko)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포장용 트레이 사출 금형 장치
KR101847114B1 (ko) 제품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
US7799259B2 (en) Two-color molding method
KR101923041B1 (ko) 화장품 용기용 사출장치
CN105172044A (zh) 一种物料箱注塑模具
JP2010179621A (ja) 射出成形用型と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841546B1 (ko) 자동차용 성형 사출성형장치
JP4716421B2 (ja) 合成樹脂製灯具構成部材の表面被膜形成方法および合成樹脂製灯具構成部材
CN105377525A (zh) 注射成型方法和注射成型模具
CN209794421U (zh) 一种注塑模具
CN205075273U (zh) 一种物料箱注塑模具
CN103481456A (zh) 一种易于退模的注塑模具
CN213704347U (zh) 一种注塑成型自动开模取件装置
CN203527781U (zh) 一种易于退模的注塑模具
WO2016090464A1 (en) Mold slide actuator and mold incorporating same
WO2023154994A1 (en) Injection mold compo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