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757A - 자전거 보관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757A
KR20220026757A KR1020200107665A KR20200107665A KR20220026757A KR 20220026757 A KR20220026757 A KR 20220026757A KR 1020200107665 A KR1020200107665 A KR 1020200107665A KR 20200107665 A KR20200107665 A KR 20200107665A KR 20220026757 A KR20220026757 A KR 2022002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plate
rail
present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379B1 (ko
Inventor
박상두
Original Assignee
박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두 filed Critical 박상두
Priority to KR102020010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3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가시간에 스포츠 또는 운동과 레저활동으로 이용되고 있는 자전거의 부피가 큼에도 분실의 우려로 실내에서 보관하는데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등 보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보관대에 자전거와 자전거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용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본체프레임에서 외측으로 인출되는 걸이부재에 자전거를 쉽고 안전하게 걸수 있는 자전거와 그 용품보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와 그 용품 보관대{Bike and its supplies Storage rack}
본 발명은 여가시간에 스포츠 또는 운동과 레저활동으로 이용되고 있는 자전거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자전거는 그 부피가 커 실내에서 보관하는데 별도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등 보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보관대에 자전거와 자전거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용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와 그 용품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시간 증대와 건강 및 레저활동으로 자전거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전거는 고가로 형성되는 한편 분실의 우려로 실내에서 보관하는데, 그 부피가 커 별도의 공간과 보관상에 많은 불편함과 그 용품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 등록특허 제 10-1621608호에서는 자전거 앞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바퀴 수용구멍이 마련된 바디 프레임을 벽면에 고정시켜 자전거의 앞바퀴를 수용시켜 보관하고 상기 바디프레임에 구성된 접이식선반에 자전거용 용품을 재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벽면에 수직된 바디프레임과 바디프레임으로부터 직각으로 위치되는 자전거로 인하여 많은 면적의 소모로 일반 아파트 등에서는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다른 공개특허 제 10-2010-0053039호는 벽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행거프레임에 기다란 폭 확장프레임을 체결하고 폭 확장프레임 양측에 브이형 행거를 체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벽면에 행거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더 필요로 한 문제와 금속판재를 압축 성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과 고압프레스 등 제조에 따른 문제가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 10-1239488호는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구성된 고정브래킷에 힌지 체결되는 힌지관을 구비한 거치용 프레임과 거치용 프레임에 일체로 구성되어 외향된 연장프레임에 끼워진 전륜고정대로 구성시켜 전륜고정대에 자전거의 전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상기 구성을 상하로 구성시켜 전륜과 후륜을 함께 걸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전술한 기술에 비하여 간단하고 보관면적이 적은 특징이 있으나 힌지부 구성에 따른 임의 회전 이동으로 사용자가 쉽게 다치거나 상하에 동시 걸 때 회전바퀴 회전으로 낙하와 작업 중의 사고가 많은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 10-1621608호 공개특허 제 10-2010-0053039호 등록특허 제 10-1239488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가시간에 스포츠 또는 운동과 레저활동으로 이용되고 있는 자전거의 부피가 큼에도 분실의 우려로 실내에서 보관하는데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등 보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보관대에 자전거와 자전거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용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본체프레임에서 외측으로 인출되는 걸이부재에 자전거를 쉽고 안전하게 걸수 있는 자전거와 그 용품보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하부수납부를 이루는 하부수납판(11)과 공간을 두고 상부판(12)이 얹어지는 상부프레임(13)과 하부수납판(11)을 격벽(14)으로 분할된 좌우분할칸(15)과 중앙칸(16), 외측으로 도출된 복수의 걸이부재(17)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
상기 중앙칸(16)의 하부수납판(11)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전거(100) 걸이요부(21)를 형성한 연동판재(20)의 저면에 체결되는 관절장치(30)로 구성시켜 연동판재(20)의 연동으로 자전거(100) 걸이요부(21)가 이동되도록 구성함,
그리고 상기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으로 구성되는 중앙칸(16) 양측 좌우분할칸(15)을 이루는 격벽(14)에 레일(35)을 구성하고 레일(35)에서 전후 이동하는 이송체(36)에 자전거(100) 걸이요부(21)를 형성한 연동판재(20)를 구성 및 상기 레일은 봉재레일, LM가이드레일, 슬라이드레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그 용품 보관대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스포츠, 운동, 레저활동으로 이용되는 자전거를 실내에 쉽게 걸어 보관할 수 있고 사용 용품들 헬멧, 신발, 장갑 등 사용 용품을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와 그 용품 보관대로, 벽면에 견고히 체결되는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에 상기 용품을 보관하고 본체프레임(10)에서 전후로 연동하는 관절장치(30)로 왕복되는 연동판재(20)로 돌출된 자전거(100) 걸이요부(21)에 자전거를 걸거나 이탈시킬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 자전거의 보관 및 용품의 보관이 편리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 자전거 걸이부 연동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작동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요부레일을 도시 측단면도.
본 발명은 스포츠, 운동, 레저활동으로 이용되는 자전거를 실내에 쉽게 걸어 보관할 수 있고 헬멧, 신발, 장갑 등 사용 용품을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와 그 용품 보관대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구성과 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 자전거 걸이부 연동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하부수납부를 이루는 하부수납판(11)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상부판(12)이 얹어지는 상부프레임(13)과 하부수납판(11)을 격벽(14)으로 최소 3등분 분할된 좌우분할칸(15)과 중앙칸(16)으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도출된 복수의 걸이부재(17)를 양측면 또는 전면에 구성함과,
상기 중앙칸(16)의 하부수납판(11)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전거(100) 걸이요부(21)를 형성한 연동판재(20)의 저면에 체결되는 관절장치(30)로 구성시켜 연동판재(20)를 앞으로 당기거나 밀어 관절장치(30)에 의해 이동하는 연동판재(20) 및 자전거(100) 걸이요부(21)가 전후로 이동되고 이 걸이요부(21)가 돌출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자전거(100)를 걸어 보관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관절장치(30)는 전후 왕복 이동형으로 상하로 고정되는 상하 한쌍의 힌지부재(31)에 전후로 한쌍의 전후관절편(32)이 힌지 구성되되,
상기 전후관절편(32)은 특정한 이동위치에서 전후 관절의 절곡부가 맞대어 이동이 중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관절장치(30)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적용된 관절장치(30)는 그 구성이나 작용효과에서 대략적인 설명으로 한정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2는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 2의 작동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실시예 2의 측단면도 및 도 7은 실시예 2의 레일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 2는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수납부를 이루는 하부수납판(11)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상부판(12)이 얹어지는 상부프레임(13)과 하부수납판(11)을 격벽(14)으로 최소 3등분 분할된 좌우분할칸(15)과 중앙칸(16)으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으로 구성되는 중앙칸(16) 양측 좌우분할칸(15)을 이루는 격벽(14)에 레일(35)을 구성하고 레일(35)에서 전후 이동하는 이송체(36)에 자전거(100) 걸이요부(21)를 형성한 연동판재(20)를 구성시켜 연동판재(20)를 전후로 이동시켜 자전거(100)를 걸거나 이탈시 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연동하는 연동판재(20)는 쉬운 연동을 위해 손잡이공(22)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 손잡이공(22)은 이와 달리 손잡이봉 등으로 대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에서 설명된 레일은 도면상 봉재로 구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LM가이드레일, 슬라이드레일 등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미설명 부호 101은 안전헬멧 및 용품수납가방이고 102는 필요용품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수납부를 이루는 하부수납판(11)과 상부판(12)이 얹어지는 상부프레임(13) 그리고 격벽(14)으로 분할된 좌우분할칸(15)과 중앙칸(16)으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을 미도시한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필요 선정된 위치의 벽면에 견고히 체결한다.
이와 같이 체결된 본 발명의 상부판(12)에는 안전헬멧(101), 용품수납가방 등을 올려 보관하고, 하부수납판(11)에는 부피가 적은 장갑 등을 수납시켜 보관한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0) 외측으로 도출된 복수의 걸이부재(17)에는 우비 등 걸수 있는 용품을 걸어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자전거(100)를 보관할 때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4)으로 분할된 좌우분할칸(15) 사이 중앙칸(16)의 하부수납판(11)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전거(100) 걸이요부(21)를 형성한 연동판재(20)의 저면에 체결되는 관절장치(30)로 구성된 연동판재(20)를 앞으로 당겨 이때, 손잡이공(22)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한 이동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프레임(10)에서 돌출 이동된 연동판재(20)의 자전거(100) 걸이요부(21)에 도 3과 같이 자전거(100)를 걸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절장치(30)는 전후 왕복 이동형으로 상하로 고정되는 상하 한쌍의 힌지부재(31)에 전후로 한쌍의 전후관절편(32)이 힌지 구성어 소정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일정한 이동위치에서 전후 관절의 절곡부가 맞대어 이동이 중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관절장치(30)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자전거(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본체프레임(10)에서 돌출 이동된 연동판재(20)의 자전거(100) 걸이요부(21)에서 자전거(100)를 이탈시켜 통상과 같이 사용함과 함께 돌출된 걸이요부(21)는 본체프레임(10)의 중앙칸(16) 내로 밀어 넣어 복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2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을 벽면에 견고히 체결하고 상부판(12)에 안전헬멧(101), 용품수납가방 등을 올려 보관하고, 하부수납판(11)에는 부피가 적은 장갑 등을 수납시켜 보관과 복수의 걸이부재(17)에는 우비 등 걸수 있는 용품을 걸어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자전거(100)를 보관할 때에는 중앙칸(16) 양측 좌우분할칸(15)을 이루는 격벽(14)에 구성된 레일(35)에서 전후 이동하는 이송체(36)에 자전거(100) 걸이요부(21)를 형성한 연동판재(20)를 앞으로 당겨 이때, 손잡이공(22)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한 이동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프레임(10)에서 연동판재(20)와 걸이요부(21)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자전거(100)를 걸어 보관할 수 있고 자전거(100)를 걸지 않은 경우 상기 돌출된 걸이요부(21)를 중앙칸(16) 내로 밀어 넣어 돌출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레일은 도면상 봉재로 구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LM가이드레일, 슬라이드레일 등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프레임 11 : 하부수납판 12 : 상부판
13 : 상부프레임 14 : 격벽 15 : 좌우분할칸
16 : 중앙칸 17 : 걸이부재 20 : 연동판재
21 : 걸이요부 30 : 관절장치 31 : 힌지부재
32 : 전후관절편 35 : 레일 36 : 이송체

Claims (3)

  1. 자전거와 그 용품 보관대에 있어서,
    하부수납부를 이루는 하부수납판(11)과 공간을 두고 상부판(12)이 얹어지는 상부프레임(13)과 하부수납판(11)을 격벽(14)으로 분할된 좌우분할칸(15)과 중앙칸(16), 외측으로 도출된 복수의 걸이부재(17)로 구성되는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

    상기 중앙칸(16)의 하부수납판(11)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전거(100) 걸이요부(21)를 형성한 연동판재(20)의 저면에 체결되는 관절장치(30)로 구성시켜 연동판재(20)의 연동으로 자전거(100) 걸이요부(21)가 이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그 용품 보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 본체프레임(10)으로 구성되는 중앙칸(16) 양측 좌우분할칸(15)을 이루는 격벽(14)에 레일(35)을 구성하고 레일(35)에서 전후 이동하는 이송체(36)에 자전거(100) 걸이요부(21)를 형성한 연동판재(2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그 용품 보관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봉재레일, LM가이드레일, 슬라이드레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와 그 용품 보관대.
KR1020200107665A 2020-08-26 2020-08-26 자전거 보관대 KR10239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65A KR102398379B1 (ko) 2020-08-26 2020-08-26 자전거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665A KR102398379B1 (ko) 2020-08-26 2020-08-26 자전거 보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757A true KR20220026757A (ko) 2022-03-07
KR102398379B1 KR102398379B1 (ko) 2022-05-16

Family

ID=8081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665A KR102398379B1 (ko) 2020-08-26 2020-08-26 자전거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3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924Y1 (ko) * 2003-04-30 2003-07-31 도 형 김 옷장용 회전 인출식 수납 걸이대
US20040050807A1 (en) * 2002-09-17 2004-03-18 Dara Cheng Vertically rotatable bicycle storage rack
KR20100053039A (ko) 2008-11-12 2010-05-20 차국모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KR100990804B1 (ko) * 2008-11-17 2010-10-29 차국모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KR101239488B1 (ko) 2011-03-28 2013-03-06 차국모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KR20150136180A (ko) * 2014-05-26 2015-1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거치대
KR20170023640A (ko) * 2015-08-24 2017-03-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0807A1 (en) * 2002-09-17 2004-03-18 Dara Cheng Vertically rotatable bicycle storage rack
KR200321924Y1 (ko) * 2003-04-30 2003-07-31 도 형 김 옷장용 회전 인출식 수납 걸이대
KR20100053039A (ko) 2008-11-12 2010-05-20 차국모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KR100990804B1 (ko) * 2008-11-17 2010-10-29 차국모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KR101239488B1 (ko) 2011-03-28 2013-03-06 차국모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KR20150136180A (ko) * 2014-05-26 2015-1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거치대
KR101621608B1 (ko) 2014-05-26 2016-05-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거치대
KR20170023640A (ko) * 2015-08-24 2017-03-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자전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379B1 (ko) 202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826B2 (en) Locker shelf assembly with slideable drawer
BR102014020160A2 (pt) acessório telescópico aplicado em portas de refrigerador ou similar
KR20220026757A (ko) 자전거 보관대
JP3184534U (ja) 引出内着脱可能な複数の収納箱を持つ収納家具
CA2694846A1 (en) Multifunctional support, system and accessories
KR20100000882U (ko) 회전 캐비닛
JP2527957Y2 (ja) 収納体の仕切りバー取り付け構造
KR200385893Y1 (ko) 세로형 수납장
KR102234760B1 (ko) 여행용 캐리어 가방
JP2527956Y2 (ja) 収納体の仕切り部材の取り付け構造
KR20170085243A (ko) 코디용 보조걸이대를 구비한 옷장
KR200294476Y1 (ko) 골프용품 전용수납장
JPH038105Y2 (ko)
KR101237701B1 (ko) 가변적 수납공간이 구비된 욕실수납장
CN211354430U (zh) 一种内部可移动式储物衣柜
KR101695321B1 (ko) 다용도 접이식 걸이
JP3228505U (ja) 小物入れ
KR200482716Y1 (ko) 냉장고의 선반 결합식 수납구
JP2002291545A (ja) 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475343Y1 (ko) 물품보관 및 장식장 겸용 가구
CN218086678U (zh) 一种物流用分类储存仓
JPH11131898A (ja) キャビネットの回動扉
WO2021084966A1 (ja) 引き出し
KR100947586B1 (ko) 벽면 고정형 선반
JP5271249B2 (ja) 収納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