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804B1 -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 Google Patents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804B1
KR100990804B1 KR1020080114294A KR20080114294A KR100990804B1 KR 100990804 B1 KR100990804 B1 KR 100990804B1 KR 1020080114294 A KR1020080114294 A KR 1020080114294A KR 20080114294 A KR20080114294 A KR 20080114294A KR 100990804 B1 KR100990804 B1 KR 10099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olt
support rod
heigh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293A (ko
Inventor
차국모
Original Assignee
차국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국모 filed Critical 차국모
Priority to KR102008011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8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행거봉의 하단에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를 부가하여 설치하되, 이를 잠금너트로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이에 진열되는 자전거 등 진열 물품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도 행거지지봉에 결합된 행거프레임이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양단이 천장과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어 기립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행거지지봉과, 상기 행거지지봉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행거지지봉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중앙에 상기 행거지지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향 돌설되는 볼트부, 상기 행거지지봉의 하단을 받쳐 상기 행거지지봉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고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트부를 따라 구비되는 높이고정핸들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과 높이조정핸들 사이에는, 상기 지지판 중앙에 설치되는 볼트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을 천공하고 있는 횡방향의 고정편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볼트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그 상단에 걸림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와; 상기 볼트부를 따라 상기 높이조정핸들 하부에 부설되는 횡방향고정편 잠금너트; 및 상기 행거지지봉을 따라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높이조정핸들에 의해 하부로 분리됨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절곡지 지바아의 선단 걸림고리부를 수용하는 고정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전거, 거치, 행거, 탄성유지수단, 높이조절수단, 회전억제, 각산볼트, 고정홀더, 횡방향고정편, 높이조정핸들,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 잠금너트.

Description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Hanger assembly for carrying bike}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행거봉의 하단에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를 부가하여 설치하되, 이를 잠금너트로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이에 진열되는 자전거 등 진열 물품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도 행거지지봉에 결합된 행거프레임이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많은 이들이 여가시간을 레저 활동으로 즐기고 있는데, 이러한 레저활동용품 중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자전거, 스키 등이 있다. 그런데 통상 자전거는 그 부피가 커 실내에서 보관하는데 별도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등 보관상의 불편함이 많았다.
특히, 산악용이나 산책용 등 필요에 따라 2대 이상의 자전거를 보유하고 있는 매니아 계층이나, 이들 자전거를 판매하거나 홍보하기 위해 상점 내에 진열하는 영업점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옷걸이의 행거 방식을 적용한 행거조립체를 실용신안등록 제20-320565호에 소개한 바 있는데, 이는 여러 대의 자전거나 각종 레저용품을 정렬된 상태로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행거 방식의 거치대는 그 구조상 거치된 제품(특히, 무게와 부피가 큰 자전거)의 무게가 특정위치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게 됨으로서 무게중심이 변하게 되면서 행거지지봉의 상하단 연결부가 지지력을 잃고 기울거나 풀어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면서 계획된 각도로 진열 물품을 전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었으며, 이 경우 행거지지봉에 거치되어 있는 자전거 등의 거치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없게 되는 것임은 물론,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중대한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좁은 공간에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하며 다수의 자전거를 보다 안정적으로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거치용 행거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행거봉의 하단에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를 부가하여 설치하되, 이를 잠금너트로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이에 진열되는 자전거 등 진열 물품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도 행거지지봉에 결합된 행거프레임이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거치용 행거조립체는, 양단이 천장과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어 기립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행거지지봉과, 상기 행거지지봉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행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행거지지봉의 하단에,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중앙에 상기 행거지지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향 돌설되는 볼트부, 상기 행거지지봉의 하단을 받쳐 상기 행거지지봉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고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트부를 따라 구비되는 높이고정핸들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과 높이조정핸들 사이에는, 상기 지지판 중 앙에 설치되는 볼트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을 천공하고 있는 횡방향의 고정편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볼트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그 상단에 걸림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와; 상기 볼트부를 따라 상기 높이조정핸들 하부에 부설되는 횡방향고정편 잠금너트; 및 상기 행거지지봉을 따라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높이조정핸들에 의해 하부로 분리됨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절곡지지바아의 선단 걸림고리부를 수용하는 고정홀더; 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행거지지봉의 상단에는, 천장에 접촉 지지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 하단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행거지지봉의 상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단 둘레에 플랜지부를 일체로 형성한 몸체부, 상기 캡부재 내측에 하단으로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캡부재와 몸체부를 탄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캡부재와 몸체부를 상호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탄성유지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행거프레임은, 상기 행거지지봉에 상하로 이격하여 결합되는 1쌍의 홀더, 상기 1쌍의 홀더에 그 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절곡프레임, 상기 절곡프레임에 대해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폭확장프레임, 상기 폭확장프레임 양측에 천공되는 장공에 조임 결합되어 거치되는 대상물의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우 1쌍의 행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행거는, 거치되는 대상물의 프레임 접 촉면에 대상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볼트부를 산 모양이 요철형태로 된 각산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거치용 행거조립체를 이용하면, 행거지지봉를 통해 비교적 좁은 공간에 다수의 자전거를 걸어 보관하거나 진열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함으로서 거치되는 물품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행거지지봉 하단에는 각산볼트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볼트부에 구비된 핸들을 돌려 행거지지봉를 상측으로 가압하면 행거지지봉 상단에 구비된 탄성유지수단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행거지지봉가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자전거의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행거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행거프레임과 행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유지수단을 도시한 결합단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 및 이 에 부설되는 회전억제수단의 순차적 조립을 통해 행거지지봉을 회전 방지된 상태로 결합하는 과정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거치용 행거조립체는, 크게 양단이 천장과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어 기립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행거지지봉(10)과, 자전거를 걸어 보관하거나 진열할 수 있도록 상기 행거지지봉(10)의 일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행거지지봉(10)은, 아파트나 일반 상가 등 각 건물마다 천장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상이함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단면적이 상이하며 상호 분리되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는 지지프레임A,B(40)(45)를 통해 상하 일체로 지지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A,B(40)(45)는 후술된 홀더(30)와 구조를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서 일측이 절개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절개영역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나란하게 연장된 1쌍의 플랜지부와, 1쌍의 플랜지부가 상호 접근 및 이격되도록 1쌍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B(45)는 내측에 상기 하부몸체(12)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그루브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몸체(11)를 지지프레임A(40)를 관통하게 한 후 플랜지부를 체결하여 단단히 고정시키고, 하부몸체(12)의 상단을 지지프레임B(45)의 그루브에 끼운 후 상기 지지프레임A(40)에 결합된 상부몸체(11) 하단을 하부몸체(12) 상단 내측으로 관통 결합한 후, 지지프레임B(45)의 플랜지부를 체결하여 단단히 고정시 키면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일체로 결합된 행거지지봉(1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의 결합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시 지지프레임(40) 상측에 후술하는 홀더(3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의 결합구조는 본 발명자의 선행기술 실용신안등록 제20-320565호에 그 구조가 보다 상세하고 명확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기재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자전거거치용 행거조립체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의 분리형이 아닌 제작시부터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행거지지봉(10)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몸체(11)의 상단에는 천장에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3에 표현된 탄성유지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유지수단(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패드(21)를 구비한 커버(22)가 상단에 강제 끼움 결합되는 캡부재(20)가 마련되어, 상기 캡부재(20) 내측으로 상부몸체(11)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1) 상단 내측에는 별도의 분리된 몸체부(95)가 결합되는데, 상기 몸체부(95)는 상단 둘레에 상부몸체(11)의 상단부가 지지되도록 플랜지부(9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95) 중앙에는 상단부가 상기 캡부재(20)의 커버(22) 저면을 지지하며 하단부는 몸체부(95) 하단에 너트(94)를 통해 결합되도록 연결축(91)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91)에는 그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하단이 상기 캡부재(20)과 몸체부(95)를 탄지하도록 스프링(92)이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부몸체(12)의 하단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8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단에 미끄럼방지패드(83)를 구비하는 지지판(81)과, 상기 하부몸체(12) 하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판(81) 중앙에 상향 설치되는 볼트부(84)와, 상기 볼트부(84)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최대한 승강하면 상기 하부몸체(12)의 하단부를 받치며 상기 하부몸체(12)를 상측으로 가압 지지하여 상기 상부몸체(11)에 구비된 탄성유지수단(90)과의 상호 완충작용으로 행거지지봉(10)의 천장과 바닥면 사이의 설치된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높이조정핸들(8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81)과 높이조정핸들(82) 사이에는, 상기 지지판(81) 중앙에 설치되는 볼트부(84)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을 천공하고 있는 횡방향의 고정편(85a)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 고정편(85a)으로 절곡되어 상기 볼트부(84)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그 상단에 절곡된 걸림고리부(85b)를 일체로 형성하는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85)와; 상기 볼트부(84)를 따라 상기 높이조정핸들(82) 하부에 부설되는 횡방향고정편 잠금너트(86); 및 상기 행거지지봉(10)을 따라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높이조정핸들(82)에 의해 하부로 분리됨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절곡지지바아(85)의 선단 걸림고리부(85b)를 수용하는 고정홀더(30);를 더 설치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볼트부(84)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을 천공하고 있는 상기 절곡지지바아(85)의 횡방향의 고정편(85a)을 사이에 두고 상부 와셔(88) 및 하부 패킹(87)을 한쌍의 구조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부(84)는 피치가 넓어 핸들(82)의 1회전당 이동거리가 긴 각 산볼트(산 모양이 요철형태로 된 볼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본 발명의 행거프레임에 따르면, 상기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의 일정 영역에는 각각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1쌍의 홀더(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홀더(30)는 일측이 절개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절개 영역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나란하게 연장된 1쌍의 플랜지부(33)와, 상기 1쌍의 플랜지부(33)가 상호 접근 및 이격되도록 상기 마주보는 플랜지부(33)에 체결되는 볼트(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부(31)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절곡프레임이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취홈(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에는 상하 1쌍의 홀더(30)를 일체로 지지하는 절곡프레임(50)과, 상기 절곡프레임(5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하여 기울임 가능하게 폭확장프레임(60)이 결합된다.
상기 절곡프레임(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대체로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단 및 하단은 각각 하측을 향해 절곡된 결합부(52)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부는 각각 상하로 위치한 홀더(30)의 절취홈(32)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프레임(50)에는 대체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에 형성된 관통공(51a)(51b)을 통해 나사(63a)(63b)를 결합판(53)에 체결하여 폭확장프레임(60)이 설치된다.
상기 폭확장프레임(60)은 수평상태를 일정한 각도록 기울여 비스듬하게 자전거를 매달아 진열의 미를 향상시키는 등 필요시 일측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나 사(63b)가 축 고정되는 관통공(64) 상부에 아치 형태로 된 장공(61)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폭확장프레임(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영역에는 자전거의 프레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된 1쌍의 행거(70)가 장착된다. 상기 행거(70)는 자전거의 크기에 따라 그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확장프레임(60) 양측에 장공(62)을 형성하여 고정볼트(71)와 고정너트(73)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71)는 손잡이부(72)를 구비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풀거나 조이면서 손쉽게 행거(7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행거(70) 내측(자전거 프레임 접촉면)에는 홈(74)을 형성하고, 상기 홈(74)에는 폭확장프레임(60)을 기울여 행거(70)가 평형상태를 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거치된 자전거가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행거(70)의 내측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된 고무패드(75)가 끼워져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거치용 행거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프레임A,B(40)(45)를 이용하여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상호 결합시키고, 높이조절수단(80)의 지지판(81)을 바닥면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탄성유지수단(90)의 캡부재(20) 내측으로 몸체부(95)의 연결축(91)이 캡부재(20)의 커버(22) 저면을 지지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캡부재(20) 내측으로는 상기 상부몸체(11)의 상단이 몸체부(95)의 플랜지부(93)에 지지되도록 상부몸체(11)를 결합하 여 기본적인 행거조립체의 구성을 완료하게 된다.
이후, 상기 상부몸체(11)를 상측으로 최대한 힘을 주어 가압하여 캡부재(20)이 천장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높이조절수단(80)에 구비된 높이고정핸들(82)을 돌려 상승시키면 상기 높이고정핸들(82)이 하부몸체(12)의 하단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재(90)와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행거지지봉(10)가 흔들림 없이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인데, 이같이 안정된 고정상태를 확인하였다면, 상기 지지판(81)과 높이조정핸들(82) 사이에 볼트부(84)를 따라 끼워져 설치되어 있는 횡방향고정편 잠금너트(86)를 밑으로 조여서 횡방향의 고정편(85a)을 갖는 상기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85)가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한 다음, 그 선단 걸림고리부(85b)를 상기 하부몸체(12)의 하단 고정홀더(30)에 결속되도록 결합하여 줌으로서 하부몸체(12)가 높이조절수단(80)의 지지판(81)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홀더(30)는 (34)를 느슨하게 풀어주어서 하부몸체(12)를 따라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것이며, 도 4a에서와 같이 횡방향고정편 잠금너트(86)를 밑으로 조여서 횡방향의 고정편(85a)을 흔들림없이 고정시킨 다음에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횡방향의 고정편(85a)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있는 상기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85)의 선단 걸림고리부(85b)를 상하 유동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상기 고정홀더(30)의 수직방향 절취홈(32)와 일치시키고 나서, 상기 고정홀더(30)를 하부몸체(12)를 따라 상승시켜 긴밀히 결합되도록 한 다음, 도 4c에 서와 같이 상기 고정홀더(30)의 1쌍의 플랜지부(33)를 관통하는 볼트(34)로서 견고하게 조여 주는 것이다.
이후, 상기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에 각각 상하로 1쌍의 홀더(30)를 그 몸체부(31)를 벌리며 끼워 설치한 후 그 플랜지부(33)에 체결부재(34)를 체결하여 단단히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홀더(30)의 절취홈(32)에 절곡프레임(50)의 결합부(52)를 끼워 넣고, 상기 절곡프레임(50)에는 중앙 상부의 장공(61)을 통해 수평 각도를 조절하며 볼트(63a)(63b)를 체결하여 폭확장프레임(60)을 설치하고, 상기 폭확장프레임(60)의 양측에는 장공(62)을 통해 그 이격 거리를 조절하면서 볼트(72)를 이용하여 고무패드(75)가 홈(74)에 부착된 행거(70)를 설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상하 2개의 행거(70)에 각각의 자전거를 거치하면 상기 행거(70) 내측에 부착된 고무패드(75)로 인해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복수개의 자전거가 안정적인 상태로 걸려 보관/진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행거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행거프레임과 행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유지수단을 도시한 결합단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 및 이에 부설되는 회전억제수단의 순차적 조립을 통해 행거지지봉을 회전 방지된 상태로 결합하는 과정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행거지지봉 11 ; 상부몸체 12 ; 하부몸체
20 ; 캡부재 21 ; 미끄럼방지패드 30 ; 홀더
40, 45 ; 지지프레임A, B 50 ; 절곡프레임 52 ; 결합부
60 ; 폭확장프레임 61, 62 ; 장공 70 ; 행거
71 ; 고정볼트 74 ; 홈 75 ; 고무패드
80 ; 높이조절수단 81 ; 지지판 82 ; 높이고정핸들
83 ; 미끄럼방지패드 84 ; 볼트부
85 ;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 85a ; 횡방향의 고정편
85b ; 걸림고리부 86 ; 횡방향고정편 잠금너트
90 ; 탄성유지수단 91 ; 연결축 92 ; 스프링
93 ; 플랜지부

Claims (5)

  1. 양단이 천장과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어 기립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행거지지봉과, 상기 행거지지봉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행거지지봉의 하단에,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중앙에 상기 행거지지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향 돌설되는 볼트부, 상기 행거지지봉의 하단을 받쳐 상기 행거지지봉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고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트부를 따라 구비되는 높이고정핸들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과 높이조정핸들 사이에는, 상기 지지판 중앙에 설치되는 볼트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을 천공하고 있는 횡방향의 고정편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 고정편으로 절곡되어 상기 볼트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그 상단에 절곡된 걸림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회전억제용 절곡지지바아와; 상기 볼트부를 따라 상기 높이조정핸들 하부에 부설되는 횡방향고정편 잠금너트; 및 상기 행거지지봉을 따라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높이조정핸들에 의해 하부로 분리됨이 억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절곡지지바아의 선단 걸림고리부를 수용하는 고정홀더; 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지지봉의 상단에는, 천장에 접촉 지지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 하단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행거지지봉의 상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단 둘레에 플랜지부를 일체로 형성한 몸체부, 상기 캡부재 내측에 하단으로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캡부재와 몸체부를 탄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캡부재와 몸체부를 상호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탄성유지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프레임은,
    상기 행거지지봉에 상하로 이격하여 결합되는 1쌍의 홀더, 상기 1쌍의 홀더에 그 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절곡프레임, 상기 절곡프레임에 대해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폭확장프레임, 상기 폭확장프레임 양측에 천공되는 장공에 조임 결합되어 거치되는 대상물의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우 1쌍의 행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거치되는 대상물의 프레임 접촉면에 대상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볼트부를 산 모양이 요철형태로 된 각산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KR1020080114294A 2008-11-17 2008-11-17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KR10099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294A KR100990804B1 (ko) 2008-11-17 2008-11-17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294A KR100990804B1 (ko) 2008-11-17 2008-11-17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293A KR20100055293A (ko) 2010-05-26
KR100990804B1 true KR100990804B1 (ko) 2010-10-29

Family

ID=4227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294A KR100990804B1 (ko) 2008-11-17 2008-11-17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109B1 (ko) * 2018-10-02 2019-11-21 박배호 무선청소기용 수직거치대
KR102217418B1 (ko) 2020-07-20 2021-02-19 어준혁 볼텍스 에어배관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KR20220026757A (ko) * 2020-08-26 2022-03-07 박상두 자전거 보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713B1 (ko) * 2014-04-22 2015-05-28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KR101661518B1 (ko) * 2016-02-22 2016-09-30 주식회사 영일에이치비 자전거 보관 및 자가 정비 가능한 자전거 거치대
CN112926919B (zh) * 2021-03-08 2024-03-22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长材智能管理库及其管理方法
KR102593560B1 (ko) * 2021-11-17 2023-10-23 최용태 진공식 노즐 충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109B1 (ko) * 2018-10-02 2019-11-21 박배호 무선청소기용 수직거치대
KR102217418B1 (ko) 2020-07-20 2021-02-19 어준혁 볼텍스 에어배관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KR20220026757A (ko) * 2020-08-26 2022-03-07 박상두 자전거 보관대
KR102398379B1 (ko) 2020-08-26 2022-05-16 박상두 자전거 보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293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804B1 (ko)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US8960454B2 (en) Tool holder
US9056640B2 (en) Retractable vertical mount bicycle storage rack
US5074419A (en) Ceiling or wall mounted storage hanger
US8528748B2 (en) Bicycle stand
CA2554647A1 (en) Suspended storage shelf
US7165684B2 (en) High density bicycle storage system
US4269336A (en) Mounting means for bicycle baskets
KR20100053039A (ko)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KR101523713B1 (ko)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US7815055B2 (en) Bicycle storage system
US20170043825A1 (en) Equipment organizer
KR20090004007A (ko) 자전거거치용 행거조립체
US20100327034A1 (en) Arrangement for holding bags on a bicycle
KR20120050026A (ko)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CN109415101B (zh) 用于具有承重外壳的摩托车的前行李架
JP3142796U (ja) 棚構造
US7347216B2 (en) Tent for use with bicycle
US6015127A (en) Apparatus for suspending and storing articles
US20050035250A1 (en) Support bracket
JP3098512B1 (ja) 自転車のディスプレイ用スタンド
GB2544736A (en) Bicycle storage apparatus
US6474847B1 (en) DIY assembly lamp structure
KR200343360Y1 (ko)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JP3138358U (ja) 脚立用転倒防止具及び脚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