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713B1 -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 Google Patents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713B1
KR101523713B1 KR1020140047980A KR20140047980A KR101523713B1 KR 101523713 B1 KR101523713 B1 KR 101523713B1 KR 1020140047980 A KR1020140047980 A KR 1020140047980A KR 20140047980 A KR20140047980 A KR 20140047980A KR 101523713 B1 KR101523713 B1 KR 101523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rods
support rod
support
support rod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3957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37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Priority to KR102014004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7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2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means for gripping the cycle by the handlebars or by the upper part of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지지봉의 중심성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높이면서 구조적으로 간략화하면서 자전거의 거치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단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천정캡을 구비하고 하단에 바닥캡을 구비하는 지주봉을 구비하고 지주봉에 거치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로서,
상기 양 지주봉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하는 가로연결구에 가로연결봉을 연결하여 양 지주봉을 지지되도록 함과, 상기 양 지주봉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거치걸이구는 지주봉에 후방부가 측 방향으로 끼워질 있도록 외측이 개방된 삽입홈을 형성하여 지주봉에 끼운 후 외측단부를 체결구로 고정하면서 전방으로 거치라인을 형성함과, 상기 양 지주봉에 선택된 위치로 자전거 악세사리를 자전거와 함께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다용도걸이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A hanger indoor bicycle}
본 발명은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실내에 다수의 자전거 및 자전거용품을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전거 거치대는 바닥에 구비하는 거치대에 자전거의 바퀴를 올려 놓아 바퀴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하여 자전거를 거치한 후 잠금수단으로 잠금하여 보관 하고 있으나 실외공간에 노출되어 있어 도난되는 사례가 빈번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의 고급화로 인하여 실외공간에 보관하는 것을 기피하고 현관입구 등 실내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자전거는 부피가 커서 실내에 보관하는데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실내에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가정에 2대 이상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도 많아 더더욱 보관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레저활동으로 자전거를 이용할 때 사용되는 헬멧, 배낭, 장갑 등 여러 가지 자전거 악세사리를 별도의 공간에 각각 보관하게 되어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찾는 번거로움과 보관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선행기술로 특허출원 제10-2007-0067875호(공개번호 10-2009-0004007호) '자전거 거치용 행가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면,
천장과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행거지지봉의 상단에는 통상적인 탄성유지수단을 설치하고 하단에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함과, 상기 행거지지봉에 구비하는 홀더에 일체로 지지하는 절곡프레임에 폭확장프레임을 결합함과, 상기 폭확장프레임의 양측에는 자전거의 프레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형상의 행거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천장과 바닥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하나의 행거지지봉에 상하로 구비하는 행거에 자전거를 거치하게 되는데 자전거를 거치할 때 자전거의 중심을 행거지지봉에 중심에 맞게 거치하지 못하고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치는 경우와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행거지지봉의 중심이 이탈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고, 설사 행거지지봉을 천정과 바닥에 견고히 지지하여도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어 중심을 잃게 될 수 있고 더욱이 자전거를 2대 이상으로 거치할 경우에는 더욱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자전거를 거치하는 홀더를 구비하기 위하여 행거지지봉에 구비하는 홀더, 홀더에 연결되는 절곡프레임, 절곡프레임에 연결되는 폭확장프레임 등 많은 부품의 조립에 의하여 구성됨에 따라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고 그에 따른 고장요인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견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직지지봉의 중심성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높이면서 구조적으로 간략화하면서 자전거의 거치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단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천정캡을 구비하고 하단에 바닥캡을 구비하는 지주봉을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천정과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함과,
상기 양 지주봉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하는 연결구에 가로 고정봉을 연결하여 양 지주봉을 지지되도록 함과,
상기 지주봉에 후방부가 측방향으로 끼워져 체결구로 고정하면서 전방으로 거치라인이 형성된 거치 걸이구를 양 지주봉의 적정위치에 구비함과,
상기 지주봉의 상단 단위봉은 원터치 고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하고 지주봉의 하단의 바닥캡은 미세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정과 바닥에 양 지지봉이 설치되면서 양 지지봉이 가로봉에 의하여 연결되어 견고성과 중심의 균형성을 대폭적으로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를 거치하는 걸이구가 양 지주봉에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므로 견고성을 향상시키면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단가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지주봉의 하단에 바닥캡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닥캡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거치걸이구 및 다용도걸이구의 설치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자전거를 상하로 거치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자전거를 상부에 거치한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에서 지주봉의 하단에 바닥캡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거치걸이구 및 다용도걸이구의 설치상태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 6은 본 발명에 자전거를 거치한 상태도를 보인 것으로 이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다단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천정캡(20)을 구비하고 하단에 바닥캡(30)을 구비하는 지주봉(10)을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천정과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주봉(10)에서 다수개의 단위봉(11) 중에서 상단에 위치하는 단위봉(11)은 원터치 고정수단(40)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하고 지주봉(10)의 하단의 바닥캡(30)에는 수직상으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미세 높이조절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원터치 고정수단(40)은 단위봉(11)이 위로 인출되면서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보턴을 누르면 승 하강이 자유롭게 되어 단위봉(11)을 내릴 때 적용되도록 이루어지는 관용기술수단으로 구체적인 구성은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미세 높이조절수단(50)은 바닥캡(30)과 지지봉(10)의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지주봉(10)을 승강시키어 천정과 바닥에 밀착되게 압착시키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바닥캡(30)의 상단면에 안착시키는 조절관(51)에 지주봉(10)의 하단부를 나선부(12,52)의 결합으로 체결하도록 구성하면서 바닥캡(30)에 형성한 십자형의 삽입편(31)을 지주봉(10)의 하방에 끼워 조절관(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지주봉이 승강되도록 하여 지주봉(10)을 천정과 바닥에 밀착되게 압착시키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편(31)은 바닥캡(30)에 지주봉을 연결하면서 조절관(51)을 돌릴 때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양 지주봉(10)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하는 가로연결구(60)에 가로고정봉(61)을 연결하여 양 지주봉(10)을 연결하면서 지지되도록 하여 지주봉(10)의 중심이 흔들림이 없이 견고히 지지되게 한다.
상기 양 지주봉(10)의 상 하부에 후단부가 개방되게 형성하면서 그 내측으로 형성하는 삽입홈(81)을 통해 지주봉(10)에 끼운 후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70)로 고정하는 거치걸이구(80)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삽입홈(81)의 삽입 입구를 지주봉(10)의 직경보다 약간 협소하게 형성하여 지주봉(10)에 끼울 때 거치걸이구(80)의 후방부가 벌어지면서 삽입홈(81)에 지주봉(10)이 압지되는 상태로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걸이구(80)의 전방부에는 선단에 내측으로 반원형의 걸림홈(83a)을 갖는 걸림턱(83)을 형성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거치라인(82)을 형성하여 자전거의 가로프레임이 상 하부에 위치하는 양 거치걸이구(80)의 거치라인(82)에 각각 거치하여 상 하부에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자전거 한 대만을 거치할 경우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거치걸이구(80)를 구비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 지주봉(10)에 선택된 위치로 다용도걸이구(90)를 거치걸이구(80)와 같은 결합구조로 하여 구비할 수 있게 하여 자전거용 헬멧, 배낭 등의 자전거 악세사리를 자전거와 함께 걸어 보관하여 사용할 때 자전거와 함께 쉽게 인출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다용도걸이구(90)는 지주봉(10)에 후방부가 측 방향으로 끼워질 있도록 외측이 개방된 삽입홈(91)을 형성하여 지주봉(10)에 끼운 후 외측단부를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구(70')로 고정하면서 전방으로 여러 개의 용품을 각각 걸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이홈(93)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천정과 바닥에 지주봉(10)을 양쪽에 설치하고 양 지주봉(10)의 상 하단을 가로고정봉(61)을 연결하고 있어 양 지주봉(10)의 지지력을 높이고 중심의 균형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 지주봉(10)에 각각 구비된 양 거치걸이구(80)에 자전거의 가로프레임을 걸어 놓아 거치하게 되는데 거치과정에서 자전거의 중심이 편중되어도 양 지주봉(10)으로 지지하고 있어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방법으로 양 지주봉(10)의 상 하부에 각각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로프레임이 경사진 자전거를 거치할 경우에는 양 지주봉(10)에 위치한 거치걸이구(80)를 가로프레임의 경사 위치에 맞게 위치를 조정한 후 걸어주면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천정과 바닥에 양 지지봉이 설치되면서 양 지지봉이 가로연결봉에 의하여 연결되어 견고성과 중심의 균형성을 대폭적으로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전거를 거치하는 거치걸이구가 양 지주봉에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므로 견고성을 향상시키면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지주봉 20: 천정캡
30; 바닥캡 60; 가로연결구
61: 가로연결봉 70; 체결구
80: 거치걸이구 90: 다용도걸이구

Claims (1)

  1. 다단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천정캡(20)을 구비하고 하단에 바닥캡(30)을 구비하는 지주봉(10)을 구비하고 지주봉(10)에 거치걸이구(8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10)을 양쪽으로 소정간격 두고 천정과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양 지주봉(10)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하는 가로연결구(60)에 가로연결봉(61)을 연결하여 양 지주봉(10)이 상하로 연결하여 지지되도록 함과,
    상기 양 지주봉(10)의 상 하부에 후단부가 개방되게 형성하면서 그 내측으로 형성하는 삽입홈(81)을 통해 지주봉(10)에 끼운 후 체결구(70)로 고정하는 거치걸이구(80)를 각각 구비하되 삽입홈(81)의 삽입 입구를 지주봉(10)의 직경보다 약간 협소하게 형성하여 지주봉(10)에 끼울 때 거치걸이구(80)의 후방부가 벌어지면서 삽입홈(81)에 지주봉(10)이 압지되는 상태로 끼워지도록 함과,
    상기 거치걸이구(80)의 전방부에는 선단에 내측으로 반원형의 걸림홈(83a)을 갖는 걸림턱(83)을 형성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거치라인(82)을 형성하여 자전거의 가로프레임이 상 하부에 위치하는 양 거치걸이구(80)의 거치라인(82)에 각각 거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KR1020140047980A 2014-04-22 2014-04-22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Active KR101523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980A KR101523713B1 (ko) 2014-04-22 2014-04-22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980A KR101523713B1 (ko) 2014-04-22 2014-04-22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713B1 true KR101523713B1 (ko) 2015-05-28

Family

ID=5339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980A Active KR101523713B1 (ko) 2014-04-22 2014-04-22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7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18B1 (ko) 2016-02-22 2016-09-30 주식회사 영일에이치비 자전거 보관 및 자가 정비 가능한 자전거 거치대
CN107444524A (zh) * 2017-09-18 2017-12-08 曹睿欣 共享单车停放架
CN109050725A (zh) * 2018-09-27 2018-12-21 南通理工学院 自行车停车装置
JP2019092659A (ja) * 2017-11-20 2019-06-20 株式会社川口技研 ハンガー装置
KR101993780B1 (ko) * 2018-09-03 2019-07-01 서형바이클랙주식회사 가정용 자전거 거치대
US11352083B1 (en) * 2021-07-05 2022-06-07 Cyclingdeal Usa, Inc. Bicycle r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53U (ko) * 1998-07-27 2000-02-25 변홍섭 옷 걸이대
KR20100055293A (ko) * 2008-11-17 2010-05-26 차국모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53U (ko) * 1998-07-27 2000-02-25 변홍섭 옷 걸이대
KR20100055293A (ko) * 2008-11-17 2010-05-26 차국모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18B1 (ko) 2016-02-22 2016-09-30 주식회사 영일에이치비 자전거 보관 및 자가 정비 가능한 자전거 거치대
CN107444524A (zh) * 2017-09-18 2017-12-08 曹睿欣 共享单车停放架
JP2019092659A (ja) * 2017-11-20 2019-06-20 株式会社川口技研 ハンガー装置
JP7055332B2 (ja) 2017-11-20 2022-04-18 株式会社川口技研 ハンガー装置
KR101993780B1 (ko) * 2018-09-03 2019-07-01 서형바이클랙주식회사 가정용 자전거 거치대
CN109050725A (zh) * 2018-09-27 2018-12-21 南通理工学院 自行车停车装置
US11352083B1 (en) * 2021-07-05 2022-06-07 Cyclingdeal Usa, Inc. Bicycle r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713B1 (ko) 실내용 자전거 거치대
US9486082B2 (en) Hanger apparatus and method of hanging
US11297944B2 (en) Wine rack and method of making same
NO319647B1 (no) Monteringsbrakett for tradhylle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US7387213B1 (en) Dress kit mounting system
US20140217046A1 (en) Assemblable Storage Rack
JP6399646B2 (ja) システムデスク
KR20100053039A (ko)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JP3142796U (ja) 棚構造
KR200484969Y1 (ko) 선반 조립체
KR20130005755U (ko) 조립식 선반
CN109696030B (zh) 一种冰箱
JP5281173B1 (ja) ハンドル吊式駐輪装置
KR102497931B1 (ko)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200470916Y1 (ko) 수건걸이를 이용한 선반
KR200452957Y1 (ko) 포스트형 행거의 선반
KR200458687Y1 (ko) 걸이봉이 구비된 선반
KR200472106Y1 (ko) 조립식 가구용 다기능 받침대
US20050127018A1 (en) Versatile display rack
CN213721140U (zh) 一种自行车展示架
KR200176341Y1 (ko) 다용도 옷걸이
KR200408123Y1 (ko) 조립식 와인선반
JP3208253U (ja) 金属ラック用クランプ
KR200464576Y1 (ko) 조립식 선반의 지지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2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505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150902

Appeal identifier: 2015100004446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equest date: 20151119

Appeal identifier: 2015100005332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505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51119

Request date: 20151119

Appeal identifier: 201510000533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51119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5100005331

Request date: 20151119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2015111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902

Effective date: 201602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44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902

Effective date: 201602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602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50902

Decision date: 20160229

Appeal identifier: 201510000444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33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1119

Effective date: 201704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51119

Decision date: 20170420

Appeal identifier: 201510000533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