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360Y1 -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360Y1
KR200343360Y1 KR20-2003-0035150U KR20030035150U KR200343360Y1 KR 200343360 Y1 KR200343360 Y1 KR 200343360Y1 KR 20030035150 U KR20030035150 U KR 20030035150U KR 200343360 Y1 KR200343360 Y1 KR 200343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asket
wire
fram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주
김남식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5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6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the front wheel, e.g. on the handle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8Equipment for securing luggage on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20)의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튜브(22)를 관통하여 핸들(25)의 중앙에서 연장된 핸들스템(24)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핸들스템(24) 측에 체결되는 장착판(32)과 상기 앞포크(25)측에 끼워지는 고정끼움부(34)를 구비하는 장착구(30)와,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40')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30)에 걸어져 고정되고 상기 장착구(30)에 고정된 상태의 잠금을 위한 잠금걸이(45)를 구비하는 손잡이(43,43')가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바구니본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구니는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어 사용자와 제작자의 편의가 도모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Basket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의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는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바구니가 고정된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프레임(1)의 선단에는 핸들(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3)의 하부에는 앞포크(5)가 두 갈래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앞포크(7)에는 전륜(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의 후단에는후륜(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에는 또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9)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의 선단에는 바구니(10)가 설치된다. 상기 바구니(10)는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것으로, 지지바아(12)와 장착브라켓(13)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아(12)는 상기 앞포크(5)의 선단측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바구니(10)의 하면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13)은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선단부가 상기 바구니(10)에 체결된다.
도면부호 15는 사용자의 답력이 가해지는 페달이고, 16은 상기 페달(16)에 가해지는 답력을 후륜(8)으로 전달하는 체인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바구니(10)는 일반적으로 자전거에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어 판매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바구니(10)는 착탈식이 아니라 고정식이다. 따라서, 바구니(10)가 달려 있는 자전거에서 사용자가 상기 바구니(10)를 자전거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필요시에 다시 장착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물론 모든 자전거에 바구니(10)를 장착하여 판매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용도에 따라서 제작자가 결정하여 바구니(10)를 장착한다. 따라서,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바구니(10)의 장착 여부에 따른 생산관리나 물류관리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작자가 바구니(10)의 장착여부를 전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개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접는 자전거에는 바구니(10)를 장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이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바구니(10)에는 물건을 담은 후, 이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담겨진 물건이 자전거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충격등으로 인해 바구니(10)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착탈이 가능한 자전거용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구니에 담겨진 물건을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바구니가 고정 설치된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장착구와 바구니본체를 자전거에 장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장착상태도.
도 4a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잠금걸이가 걸고리에 걸어지거나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b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잠금걸이가 걸고리에 걸어져 체결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실시예의 바구니본체에 고리줄이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프레임 22: 헤드튜브
25: 핸들 27: 핸들스템
28: 장착브라켓 29: 고정판
30: 장착구 31,31': 와이어프레임
32: 장착판 33: 고정와이어
34: 고정끼움부 34': 입구
36: 걸이와이어 37,37': 걸고리
40: 바구니본체 40': 수납공간
41: 와이어 42: 손잡이장착판
43,43': 손잡이 45: 잠금걸이
50: 고정걸이구 52: 연결끈
53: 교차부 54: 고정고리
56: 착탈고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튜브를 관통하여 핸들의 중앙에서 연장된 핸들스템이 타이어가 지지되는 앞포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장착구와,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에 걸어져 고정되고 상기 장착구에 고정된 상태의 잠금을 위한 잠금걸이를 구비하는 손잡이가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바구니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구는 상단에 장착판이 구비되고 장착판의 반대쪽을 향해 절곡된 타단부에 상기 바구니본체의 일측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구비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프레임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와이어 사이를 연결하고 고정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후크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와이어를 기준으로 고정와이어의 반대쪽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잠금걸이가 걸어지는 걸고리가 구비되는 걸이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끼움부의 입구는 고정끼움부가 끼워지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착탈한다.
상기 장착구는 상단에 장착판이 구비되고 장착판의 반대쪽을 향해 절곡된 타단부에 상기 바구니본체의 일측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구비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프레임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와이어에서 각각 상기 걸이후크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앞포크의 포크크라운에 체결되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와이어를 기준으로 고정와이어의 반대쪽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잠금걸이가 걸어지는 걸고리가 구비되는 걸이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구니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쳐지게 고정걸이구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걸이구는, 다수개의 분지로 연장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어 바구니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고정고리와, 상기 연결끈의 나머지 단부에 구비되어 바구니본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손잡이가 겹쳐지게 안착된 상태에서 걸어지는 착탈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끈은 'x'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고리는 그 입구가 내측에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없이 바구니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되고, 바구니 내에 수납된 물건이 임의로 탈거되거나 바구니 자체가 자전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프레임(20)의 선단에는 헤드튜브(22)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20)의 선단에는 자전거의 조향을 위한 핸들(23)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23)은 그 중앙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핸들스템(24)이 구비되는데, 상기 핸들스템(24)은 상기 헤드튜브(2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헤드튜브(22)를 관통하여 나온 핸들스템(24)의 하부에는 앞포크(25)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앞포크(25) 상단의 포크크라운(26) 측과 핸드스템(24)이 상기 헤드튜브(22)의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헤드튜브(22)의 상단에 해당되는 상기 핸들스템(24)에는 장착브라켓(28)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8)의 선단에는 고정판(29)이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29)에는 체결공(29')이 천공된다.
장착구(30)는 상기 프레임(20)측의 핸들스템(24)과 앞포크(25)에 장착되는것이다. 상기 장착구(30)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와이어를 절곡하고, 이들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와이어(31,31')가 대략 'ㄴ'자 모양으로 절곡된다. 상기 프레임와이어(31,31')는 본 실시예에서 두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프레임(31,31')의 상단에는 장착판(32)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판(32)은 양단이 상기 프레임와이어(31,31')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브라켓(28)의 고정판(29')에 체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판(32)에는 상기 고정판(29)의 체결공(29')과 대응되는 체결공(32')이 천공된다.
상기 장착구(30)에는 고정와이어(3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와이어(33)는 그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와이어(31,3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와이어(33)는 상기 장착판(32)이 체결되는 장착브라켓(28)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 고정끼움부(34)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끼움부(34)의 내경은 상기 프레임(20)의 헤드튜브(22)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끼움부(34)가 반드시 헤드튜브(22)에 끼워지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핸드스템(24)과 연결되는 포크크라운(26)측에 끼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끼움부(34)는 그 입구(34')의 폭이 상기 헤드튜브(22)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끼움부(34)가 상기 헤드튜브(22)에 끼워질 때는 고정끼움부(34)의 탄성변형이 발생된다.
상기 프레임와이어(31,31')에는 걸이와이어(36)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와이어(36)는 상기 프레임와이어(31,31')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와이어(33)의 반대쪽에 구비된다. 상기 걸이와이어(36)에는 걸고리(37,37')가 구비된다. 상기 걸고리(37,37')는 상기 걸이와이어(36)와 별개로 만들어져 부착되거나,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고리(37,37')는 대략 'U'자를 꺼꾸로 한 형상이다. 상기 걸이와이어(36)와 걸고리(37,37')는 대략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와이어(31,31')의 하부 선단에는 걸이후크(39)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9)는 상기 프레임와이어(31,31')의 하부 선단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구니본체(40)의 일측 와이어(41)가 걸어진다.
바구니본체(40)는 내부에 상부로 개구되는 수납공간(4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구니본체(40)는 다수개의 와이어(41)를 격자모양을 형성하도록 연결하여 만든 것이다. 대략 육면체 형상의 바구니본체(40)는 하부의 수평단면에 비해 상부의 수평단면이 넓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바구니본체(40)가 반드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와이어(41)를 사용하여 만들어 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걸이후크(39)가 걸어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진 것이라면 사출작업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구니본체(40)의 상단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변에는 각각 손잡이장착판(42)이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장착판(42)은 대략 장방형의 판으로 각각 손잡이(43,43')의 양단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장착판(42)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3,43')는 사용자가 바구니본체(40)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43,43')는 양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바구니본체(40)에 안착되었을 때, 각각 바구니본체(40)의 입구 가장자리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3,43')의 양단부에는 각각 잠금걸이(45)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걸이(45)는 상기 손잡이장착판(4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43,43')의 끝부분이 대략 수직으로 2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잠금걸이(45)는 상기 손잡이(43,43') 각각의 양단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바구니본체(40)의 장착방향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구(30)와 바구니본체(40)는 그 전체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장착구(30)와 바구니본체(40)를 형성하는 와이어 뿐만 아니라 손잡이장착판(42) 등에도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구(30)와 바구니본체(40)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은 이들이 장착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장착구(30)에 바구니본체(40)가 장착되면서 서로가 긁혀 손상되거나, 상기 장착구(30)가 프레임(20)에 장착되면서 프레임(20) 또는 장착구(30) 자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구니본체(4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고정걸이구(5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걸이구(50)는 상기 바구니본체(4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납공간(40')에 수납된 물건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손잡이(43,43')가 움직여 바구니본체(40)가 상기 장착구(3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걸이구(50)의 구성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걸이구(50)는 연결줄(52)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줄(52)은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되어 그 길이가 어느 정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늘이고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줄(52)은 'x'자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신축성이 있는 끈 2개를 그 중앙에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줄(52)은 교차부(53)에서 서로 연결되어 'x'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연결줄(52)의 끝부분에는 각각 고정고리(54)와 착탈고리(56)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고리(54)는 상기 바구니본체(40)에 항상 걸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착탈고리(56)는 바구니본체(40)에 물건을 입출할 때, 바구니본체(40)에서 분리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고리(54)는 소정 두께의 와이어를 후크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그 입구 측이 상대적으로 좁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고리(54)에는 절곡부(55)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고리(54)에는 링형상으로 다수회 감아져 있는 걸이링부(55')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링부(55')에 상기 연결줄(52)의 끝부분이 걸어져 고정고리(54)와 연결줄(52)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줄(52)의 끝부분은 상기 걸이링부(55')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상기 고정고리(54)는 상기 연결줄(52)의 4끝부분중 2부분에 구비된다.
상기 착탈고리(56) 역시 소정 두께의 와이어를 후크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착탈고리(56)에도 걸이링부(56')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줄(52)의선단에 걸어져 설치된다. 상기 착탈고리(56)는 상기 바구니본체(40)를 구성하는 와이어(41)와 손잡이(43,43')에 동시에 걸어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구(30)의 프레임와이어(31,31')에 각각 고정와이어(33)가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와이어(33)의 선단에는 고정편(134)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134)은 상기 고정와이어(33)의 선단을 납작하게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편(134)은 상기 포크크라운(26)의 전면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134')을 관통하여서는 고정나사(135)가 상기 포크크라운(26)에 형성된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된다.
참고로, 상기 장착구(30)의 형상이 일정 이상의 힘에서도 충분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양단의 고정와이어(33)를 서로 연결하도록 별도의 연결와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장착구(30)를 자전거의 프레임(20) 측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장착구(30)의 장착판(32)을 핸들스템(24)의 장착브라켓(28)에 체결한다.즉, 상기 장착판(32)을 상기 장착브라켓(28)의 고정판(29)에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공(32')(29')을 관통하여 체결구,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구(30)의 고정와이어(33)에 형성된 상기 고정끼움부(34)를 상기 헤드튜브(22)나 앞포크(25)의 포크크라운(26) 측에 끼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끼움부(34)의 입구(34')를 상기 헤드튜브(22)나 포크크라운(26)에 대고 상기 장착구(30)를 눌러주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고정끼움부(34)의 입구가 벌어지도록 고정끼움부(34)가 탄성변형되면서 삽입이 이루어진다. 도 3a에는 상기 장착구(30)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구(30)는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된 헤드튜브(22)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바구니본체(40)를 상기 장착구(30)에 장착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상기 바구니본체(40)를 약간 기울어지게 하여 자전거의 전방을 향하는 쪽의 바구니본체(40)부분이 상기 걸이후크(39)에 걸어지게 한다. 본실시예에서 상기 걸이후크(39)는 상기 바구니본체(40)의 일측 와이어(41)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구니본체(40)에 상기 걸이후크(39)를 건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0)과 인접한 쪽의 바구니본체(40)를 도 3b의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걸이후크(39)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바구니본체(40)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고리(37,37')에 상기 손잡이(43,43')의 잠금걸이(45)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43,43')는 반드시 상기 바구니본체(40)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잠금걸이(45)의 방향이 상기 걸고리(37,37')에 삽입될 수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바구니본체(40)가 상기 장착구(30)에 설치된 상태가 도 3c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구니본체(40)를 도 3b의 화살표 A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구니본체(40)가 상기 장착구(30)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걸이(45)가 상기 걸고리(37,37')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3,43')를 각각 상기 바구니본체(40)의 상단에 안착되게 하면, 도 3d의 상태가 되면서 상기 잠금걸이(45)가 상기 걸고리(37,37')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바구니본체(40)가 상기 장착구(30)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바구니본체(40)를 장착구(30)에서 분리하고, 상기 장착구(30)를 상기 자전거 프레임(20) 측에서 분리하는 것은 장착과정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한편, 상기 고정걸이구(50)는 상기 바구니본체(40)의 선단 가장자리에 걸어져 설치된다. 먼저, 상기 고정고리(54)는,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43,43')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바구니본체(40)에 걸어진다. 상기 고정고리(54)는 상기 절곡부(55)의 존재에 의해 상기 바구니본체(40)의 와이어(4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착탈고리(56)는 상기 손잡이(43,43')가 상기 바구니본체(40)의 가장자리에 안착된 상태에서 걸어진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3,43')가 상기 바구니본체(40)의 가장자리에 겹쳐지게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고리(56)가 상기 손잡이(43,43')와 바구니본체(40)에 동시에 걸어진다. 이와같이 되면 상기 바구니본체(40)의 수납공간(40')의 입구에 상기 고정걸이구(50)가 'x'자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40')에 수납된 물건이 상기 수납공간(40')의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자전거의 주행중에 상기 손잡이(43,43')를 상기 바구니본체(4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착탈고리(56)가 수행한다. 따라서, 자전거의 주행중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손잡이(43,43')가 임의로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손잡이(43,43')가 임의로 들어올려져 상기 잠금걸이(45)가 걸고리(37,37')에서 빠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구(30)를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장착판(32)을 고정판(29)에 고정한 후에, 상기 고정편(134)을 상기 포크크라운(26)에 고정나사(135)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장착구(30)는 상기 핸들(23)과 앞포크(25)와 일체로 움직이게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구(30)나 바구니본체(40)가 반드시 와이어(41)를 사용하여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출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50) 역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끼움부(34)가 핸들튜브(22)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끼움부(34)의 입구(34')를 막아 고정끼움부(34)와 핸들튜브(22)사이의 체결이 임의로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에서는 자전거의 프레임 측에 장착구를 장착하고, 상기 장착구에 바구니본체를 장착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장착구나 바구니본체는 아무런 공구의 사용없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때에 직접 간단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작자의 경우 장착구와 바구니본체를 제작하여 필요한 사용자에게만 옵션으로 바구니를 제공하면 되므로 자전거의 생산을 위한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특히,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접는 자전거에서도 필요시에 바구니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서는 고정걸이구를 사용함에 의해 바구니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물건이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구니본체를 장착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상태가 풀어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Claims (6)

  1. 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되는 헤드튜브를 관통하여 핸들의 중앙에서 연장된 핸들스템이 타이어가 지지되는 앞포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장착구와,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에 걸어져 고정되고 상기 장착구에 고정된 상태의 잠금을 위한 잠금걸이를 구비하는 손잡이가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바구니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는,
    상단에 장착판이 구비되고 장착판의 반대쪽을 향해 절곡된 타단부에 상기 바구니본체의 일측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구비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프레임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와이어 사이를 연결하고 고정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후크의 반대쪽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와이어를 기준으로 고정와이어의 반대쪽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잠금걸이가 걸어지는 걸고리가 구비되는 걸이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끼움부의 입구는 고정끼움부가 끼워지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착탈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는,
    상단에 장착판이 구비되고 장착판의 반대쪽을 향해 절곡된 타단부에 상기 바구니본체의 일측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구비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프레임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와이어에서 각각 상기 걸이후크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앞포크의 포크크라운에 체결되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와이어를 기준으로 고정와이어의 반대쪽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잠금걸이가 걸어지는 걸고리가 구비되는 걸이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쳐지게 고정걸이구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걸이구는,
    다수개의 분지로 연장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어 바구니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고정고리와,
    상기 연결끈의 나머지 단부에 구비되어 바구니본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손잡이가 겹쳐지게 안착된 상태에서 걸어지는 착탈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x'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고리는 그 입구가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KR20-2003-0035150U 2003-11-10 2003-11-10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KR200343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50U KR200343360Y1 (ko) 2003-11-10 2003-11-10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150U KR200343360Y1 (ko) 2003-11-10 2003-11-10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360Y1 true KR200343360Y1 (ko) 2004-03-04

Family

ID=4934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150U KR200343360Y1 (ko) 2003-11-10 2003-11-10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3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03B1 (ko) 2019-11-27 2021-05-31 송봉택 자전거 프레임 확장 마운트 장치
KR20230149931A (ko) 2022-04-21 2023-10-30 우정석 화물적재공간이 바퀴 사이에 형성되는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03B1 (ko) 2019-11-27 2021-05-31 송봉택 자전거 프레임 확장 마운트 장치
KR20230149931A (ko) 2022-04-21 2023-10-30 우정석 화물적재공간이 바퀴 사이에 형성되는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298B1 (en) Bicycle lock with multiple cable loops
US7210663B2 (en) Tool securing mechanism for hangtag assembly
US10343738B2 (en) Water bottle holder and combination including the same and water bottle holder adapter
US8348296B2 (en) Accessory connection member for bicycles
US20110162417A1 (en) Seat anti-thef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7527150B2 (en) Ratchet wrench hanging device having anti-theft function
US6834767B1 (en) Anti-theft suspension rack assembly
US9126739B2 (en) Display box for sockets
US5649657A (en) Article carrier assembly for cycles
US20130248571A1 (en) Fastener
KR100990804B1 (ko)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용 행거조립체
US6044508A (en) Tire repair tool assemblies containing tire cement
KR200343360Y1 (ko) 자전거용 착탈식 바구니
US4433786A (en) Bicycle rack
US6247588B1 (en) Security assembly for a golf bag
US20050224665A1 (en) Support for motorcycle hard bag luggage
US11352083B1 (en) Bicycle rack
US7540399B2 (en) Motorcycle with a holding device for a saddlebag
US20050258206A1 (en) Webbing clamp for golf game
US7290781B2 (en) Motorcycle frame protection device
US20090212084A1 (en) Connection device for removable storage basket for bicycles
US8864003B2 (en) Motorcycle windshield bag
US6152861A (en) Detachable main frame for exercise machine
CN206734465U (zh) 一种自行车把立结构
JP2006088795A (ja) 自転車等の荷台用着脱式荷籠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