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965A -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965A
KR20220025965A KR1020200105897A KR20200105897A KR20220025965A KR 20220025965 A KR20220025965 A KR 20220025965A KR 1020200105897 A KR1020200105897 A KR 1020200105897A KR 20200105897 A KR20200105897 A KR 20200105897A KR 20220025965 A KR20220025965 A KR 2022002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sp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준
서정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5965A/ko
Priority to US17/323,063 priority patent/US11778865B2/en
Priority to CN202110844495.6A priority patent/CN114187848A/zh
Publication of KR2022002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1L51/0097
    • H01L51/5225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1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개구부가 정의되고, 서로 이격되어 제1 방향에서 제1 간격을 가진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격벽부들을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 및 개구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발광 소자층을 커버하며, 제1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굴곡진 상면을 포함하는 제1 무기막; 및 제1 무기막 상면에 접촉하는 유기막을 포함하고, 제1 공간에 중첩한 상기 제1 무기막의 상면에 의해 제1 홈이 정의되며, 상기 제1 공간에 중첩한 상기 제1 무기막의 두께는 가변 되고, 상기 유기막은 상기 홈에 충진되는 표시 패널이다.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폴딩 및 언폴딩의 반복에 의해 발광 소자층과 제1 무기막 사이 및 제1 무기막과 유기막 사이가 박리되는 문제를 개선하여 표시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표시 패널에 관한 발명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개선된 표시패널에 관한 발명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채용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휴대 용이성을 위해, 롤러블, 폴더블 전자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플렉서블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발광층에 따라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Organic Lighting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마이크로다이오드 표시패널(Micro Lighting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롤러블, 폴더블 등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벤딩에 의해 표시 패널의 적층 구성들 간에 박리가 일어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적층 구성들 간의 박리 문제가 개선되어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서로 이격되어 제1 방향에서 제1 간격을 가진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격벽부들을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상기 발광 소자층을 커버하며, 상기 제1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굴곡진 상면을 포함하는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1 무기막 상면에 접촉하는 유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중첩한 상기 제1 무기막의 상면에 의해 제1 홈이 정의되며, 상기 제1 공간에 중첩한 상기 제1 무기막의 두께는 가변 되고, 상기 유기막은 상기 홈에 충진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공간에 중첩하는 상기 제1 무기막은 상기 발광 소자층과 나란히 배치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며 이격된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상부의 두께 각각은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하부의 두께 각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홈의 상부의 폭은 상기 제1 홈의 하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격벽부와 제2 간격을 가진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3 격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에 중첩한 상기 제1 무기막의 상면에 의해 제2 홈이 정의되며, 상기 제2 홈의 상부의 폭은 상기 제1 홈의 상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의 상부의 폭은 상기 제2 홈의 하부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일체로 정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의 형상은 각각 삼각형, 사각형 또는 부채꼴일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는 하면 및 제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격벽부는 하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한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격벽부의 하면과 상기 제1 측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 격벽부의 하면과 상기 제2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45도 이상 18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의 하면들과 각각 접촉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격벽부들과 상기 베이스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격벽부들은 평면상에서 패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은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화소 정의막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 정의막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배치되는 정공 제어층 및 상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제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막 상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소자층 하에 배치된 폴더블한 베이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부들을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상기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표시 소자층을 커버하는 제1 무기막; 상기 제1 무기막 상면에 접촉하는 유기막; 및 상기 유기막 상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들은 서로 이웃한 제1 격벽부 및 제2 격벽부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격벽부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2 격벽부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무기막은 상부의 두께가 하부의 두께보다 큰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폴딩 및 언폴딩 반복에 의한 적층 구조들 간의 박리 문제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폴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 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정의막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정의막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정의막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폴딩 상태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DP)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제공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채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내비게이션, 게임기, 텔레비전 등에 채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장치로도 채용될 수 있다.
도 1a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제1 방향(DR1)으로 단변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DR2)으로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상면은 표시면(IS)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면(IS)은 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D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표시 패널(DP)이 제공될 수 있다.
표시면(I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IM)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영상(IM)은 동적 영상 또는 정적 영상일 수 있다. 도 1a에서는 영상(IM)의 일 예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표시 영역(DA)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형상은 다른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상면(또는 전면)과 하면(또는 배면)이 정의된다. 상면과 하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되고, 상면과 하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flexible)한 것일 수 있다. 이는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서부터 수 나노미터 수준으로 휠 수 있는 구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커브드(curved) 표시 패널 또는 폴더블(folda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패널(DP)은 리지드(rigid)한 것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폴딩축(FX)을 중심으로 폴딩(folding) 및 언폴딩(unfold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DP)은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인 폴딩(in-folding) 또는 아웃 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도 1a는 언폴딩된 표시 패널(DP)을 도시하였고, 도 1b 및 도 1c는 인 폴딩된 표시 패널(DP)을 도시하였다.
폴딩축(FX)은 표시 패널(DP)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축(FX)은 도 1a 내지 도 1c 도시된 것처럼, 표시 패널(DP)의 단변에 평행한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딩축은 표시 장치의 장변에 평행한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폴딩축(FX)을 중심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폴딩 영역(FA) 및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폴딩 영역(FA)의 양 측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NFA1, NFA2)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폴딩 영역(FA)의 폴딩축(FX)에 평행한 일측에 인접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타측에 인접한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하나의 폴딩 영역(FA)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표시 패널(DP)은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인 폴딩 될 수 있다. 인 폴딩된 표시 패널(DP)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IS)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의 표시면(IS)에 대향하는 배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DP)의 표시면(IS)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아웃 폴딩될 수 있다. 아웃 폴딩된 표시 패널(DP)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의 표시면(IS)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웃 폴딩된 표시 패널(DP)의 외부로 노출된 표시면(IS)을 통해 영상(IM)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표시 모듈(DM) 및 봉지층(TF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 상에 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TFE)은 표시 모듈(DM)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c는 인 폴딩된 표시 패널(DP)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표시 모듈(DM) 및 봉지층(TFE)의 상면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폴딩된 표시 패널(DP)은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RR)을 갖도록 폴딩될 수 있다. 곡률 반경(RR)의 값에 따라, 폴딩 영역(FA)에서 작용하는 응력이 달라질 수 있고, 응력에 의해서 표시 패널의 각 구성들의 계면 사이에 박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패널(DP)은 표시 모듈(DM)과 이를 커버하는 봉지층(TFE) 사이의 박리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및 언폴딩의 반복에도 표시 모듈(DM)과 봉지층(TFE) 사이에서 박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표시 패널(DP)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표시 모듈(DM) 및 봉지층(TFE)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액정 (Liquid crystal) 표시 패널, 유기발광(Organic Electroluminescence)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본 명세서는 유기발광 표시 패널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표시 패널(DP)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베이스층(BL), 회로층(DP-CL), 발광 소자층(DP-LE) 및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광을 발광 하는 영역인 복수의 발광 영역들(PXA)과 복수의 발광 영역들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NPXA)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플렉서블(flexible)한 기판일 수 있고, 폴딩 및 언폴딩 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층(BL)에 포함되는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유/무기 복합 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베이스층(BL)은 리지드(rigid)한 것일 수 있다.
회로층(DP-CL)은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는 신호라인,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의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 형성 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등의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회로층(DP-CL)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층(DP-CL)은 버퍼층(BFL), 복수의 절연층들(10, 20, 30)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으로 2개의 트랜지스터들(TR)을 도시하였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BL)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은 실리콘옥사이드층과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이 교번하게 적층된 층일 수 있다. 그러나 버퍼층(BFL)의 물질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버퍼층(BFL) 상에는 반도체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BL)과 반도체 패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폴리실리콘, 비정질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트랜지스터(TR)를 구성하는 액티브(AD), 소스(SD), 드레인(DD), 게이트(GD)의 배치관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액티브(AD), 소스(SD), 드레인(DD)은 반도체 패턴의 도핑 농도 또는 전도성에 따라 구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반도체 패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10) 상에 게이트(GD)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GD)는 금속패턴의 일부일 수 있다. 게이트(GD)는 액티브(AD)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 상에 게이트(GD)를 커버하는 제2 절연층(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층(20) 상에 제3 절연층(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30)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10), 제2 절연층(20) 및 제3 절연층(30) 각각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절연층(10), 제2 절연층(20) 및 제3 절연층(30)의 물질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소자층(DP-LE)은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DP-OLED)은 발광 소자(LE) 및 화소 정의막(PDL)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고, 개구부(OP)에 중첩하도록 발광 소자(LE)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LE)는 제1 전극(AE), 제2 전극(CE)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EM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각각과 발광층(EML) 사이에 배치된 기능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LE)는 제1 전극(AE), 제2 전극(CE), 발광층(EML), 정공 제어층(HCL) 및 전자 제어층(ECL)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30)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트랜지스터(TR)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전극(AE)과 트랜지스터(TR)의 연결구조는 미도시 하였다.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 사이에 발광층(EML)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사이의 전위차에 따라 발광층(EML)이 활성화되어 광이 생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에서 생성된 광은 표시 패널(DP) 상면 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광은 청색광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발광 소자(LE)는 제1 전극(AE)과 발광층(EML) 사이에 배치된 정공 제어층(HCL) 및 제2 전극(CE)과 발광층(EML) 사이에 배치된 전자 제어층(E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회로층(DP-CL)에 포함된 제3 절연층(30)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개구부(OP)는 복수의 개구부(OP)들 일 수 있고, 복수의 개구부(OP)들 각각은 발광 영역들(PXA)에 중첩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주변 영역(NPXA)에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베이스부(BS) 및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의 하면은 베이스부(BS)에 접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은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 정의막(PDL)에 포함된 베이스부(BS)는 생략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발광 영역들(PXA)에 공통적으로 배치되거나,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발광 영역들(PXA)마다 발광층(EML)이 분리된 것을 의미한다. 공통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발광층(EML)이 발광 영역들(PXA)과 주변 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정공 제어층(HCL), 전자 제어층(ECL) 및 제2 전극(CE)은 발광 영역들(PXA)과 주변 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통으로 배치된 정공 제어층(HCL), 전자 제어층(ECL) 및 제2 전극(CE)을 공통층(EL)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공통층(EL)은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공통층(EL)은 화소 정의막(PDL)의 굴곡진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TFE)은 발광 소자층(DP-L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TFE)는 발광 소자층(DP-LE)을 밀봉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및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층(TFE)은 발광 소자층(DP-LE) 상에 제3 방향(DR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배치된 제1 무기막(IO1), 유기막(MN) 및 제2 무기막(IO2)을 포함한다.
제1 무기막(IO1) 및 제2 무기막(IO2)은 수분/산소로부터 발광 소자층(DP-LE)을 보호할 수 있고, 유기막(MN)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DP-OLED)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막(IO1) 및 제2 무기막(IO2)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막(MN)은 아크릴 계열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무기막(IO1)의 하면은 공통층(EL)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막(IO1)은 공통으로 배치된 제2 전극(CE)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무기막(IO1)의 상면은 유기막(MN)에 접촉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폴딩될 때, 폴딩 영역(FA, 도 1c)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서, 공통층과 화소 정의막 사이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 사이가 박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표시 패널(DP)은 화소 정의막(PDL), 제1 무기막(IO1) 및 유기막(MN)의 구조를 통해서 박리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및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이 형성하는 소정의 공간에 의해 화소 정의막(PDL)의 상면은 굴곡진 상면일 수 있다. 제1 무기막(IO1)은 화소 정의막(PDL)의 굴곡진 상면의 형상에 대응한 굴곡진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 포함된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에 의해 제1 무기막(IO1)은 다양항 형상으로 증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광 소자층(DP-LE)과 봉지층(TFE) 간의 박리 문제 및 봉지층(TFE) 내의 적층 구조들 간의 박이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소 정의막(PDL) 및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된 제1 무기막(IO1)의 평면도를 도시하였으며,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에 대응되는 부분을 음영을 넣어 도시하였다.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된 공통층(EL) 및 제1 무기막(IO1)의 표기는 생략하였다.
발광 영역들(PXA)은 표시 패널(DP) 상으로 방출되는 광의 컬러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DP)은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발광하는 3개의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은 청색광을 발광하는 제1 발광 영역(PXA1), 적색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 영역(PXA2), 및 녹색광을 발광하는 제3 발광 영역(PXA3)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은 평면 상에서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은 각각은 화소 정의막(PDL)으로 구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NPXA)은 이웃하는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 사이의 영역들로 화소 정의막(PDL)과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주변 영역(NPXA)은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의 경계를 설정하여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 에서 방출되는 광들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의 면적은 방출하는 광의 파장 영역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의 면적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의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 의 면적이 모두 유사할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은 펜타일(pentile) 형태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발광 영역(PXA1) 및 제2 발광 영역(PXA2)의 순서로 교차하여 배열될 수 있고, 제1 발광 영역(PXA1)과 제2 발광 영역(PXA2) 사이의 이격된 영역에 제3 발광 영역(PXA3)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의 배열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트라이프 배열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배열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복수의 개구부들(OP1, OP2, OP3)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들(OP1, OP2, OP3)은 평면상에서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PDL)은 제1 발광 영역(PXA1)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 개구부(OP1), 제2 발광 영역(PXA2)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OP2) 및 제3 발광 영역(PXA3)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3 개구부(OP3)가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개구부들(OP1, OP2, OP3)의 형상이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 영역들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복수 개의 격벽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 중 일부 격벽부들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제1 내지 제4 격벽부들(BK1, BK2, BK3, BK4)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웃하여 배치된 격벽부들의 수는 도시한 일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격되는 복수 개의 격벽부들을 포함한다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 정의막(PDL)은 제1 방향(DR1)에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격벽부(BK1) 및 제2 격벽부(BK2)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제1 격벽부(BK1)와 제2 방향(DR2)에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공간을 형성하는 제3 격벽부(BK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이 형성하는 공간은 간격이 영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격벽부(BK1)과 제2 격벽부(BK1) 사이의 제1 방향(DR1)으로의 간격과 제1 격벽부(BK1)와 제3 격벽부(BK3) 사이의 제2 방향(DR2)으로의 간격과 상이할 수 있다.
제1 무기막(IO1, 도 4)은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격벽부들이 형성한 소정의 공간에 대응하여 굴곡진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무기막(IO1)의 상면에 의해 소정의 공간에 중첩하는 홈(GM)이 정의 될 수 있다. 홈(GM)의 평면상 형상은 복수 개의 격벽부들이 형성하는 소정의 공간의 평면상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격벽부들은 하나의 격벽 그룹(BKG)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는 일 예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제1 내지 제4 격벽부들(BK1, BK2, BK3, BK4)로 정의되는 격벽 그룹(BKG)을 도시였다. 격벽 그룹(BKG)으로 정의되는 복수 개의 격벽부들은 어느 하나의 일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였다.
평면상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격벽부들의 외측을 연결한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마름모, 원형 등일 수 있다. 도 3은 일 예로 사각형 형상의 격벽 그룹(BKG)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격벽부들의 외측을 연결하여 가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격벽 그룹(BKG)은 복수로 구비되어, 주변 영역(NPXA)에 중첩하도록 주변 영역(NPXA)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 그룹(BKG)은 발광 영역들(PXA1, PXA2, PXA3)에 비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격벽 그룹(BKG)이 발광 소자층(DP-LE, 도 2) 상에 다수로 배치될수록 표시 패널(DP)의 외부 인장력에 대해 저항하는 성질이 강해질 수 있다. 또한, 폴딩에 의한 공통층(EL)과 화소 정의막(PDL) 사이, 공통층(EL)과 제1 무기막(IO1) 사이의 박리 문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대응하여 절단한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 및 봉지층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각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나 측면상 제1 무기막(IO1)의 일부 형상에 차이가 있는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 및 봉지층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화소 정의막(PDL)에 포함된 제1 격벽부(BK1) 및 제2 격벽부(BK2)는 제1 방향(DR1)에서 제1 간격(D1, 도 6)을 가진 제1 공간(SP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간(SP1)에 중첩한 제1 무기막(IO1)의 상면에 의해 제1 홈(GM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공간(SP1)에 중첩한 제1 무기막(IO1)의 두께는 배치 영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1 무기막(IO1)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에 의해 발광 소자층(DP-LE)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기막(IO1)의 두께는 제1 무기막(IO1)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물질, 증착 각도, 증착되는 상면의 형상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공정 과정 중 제1 무기막(IO1)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1 무기막(IO1)의 증착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공간(SP1)에 중첩하는 제1 무기막(IO1)은 제1 내지 제3 부분(IO1-1, IO1-2, IO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부분(IO1-1, IO1-2, IO1-3)은 제1 공간(SP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무기막(IO1)의 제1 부분(IO1-1)은 발과 소자층(DP-LE)에 나란히 배치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IO1-1)의 상면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무기막(IO1)의 제2 부분(IO1-2) 및 제3 부분(IO1-3)은 각각 제1 부분(IO1-1)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IO1-2) 및 제3 부분(IO1-3)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부분 내지 제3 부분(IO1-1, IO1-2, IO1-3)의 상면들에 의해, 제1 홈(GM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홈(GM1)은 평면상에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유기막(MN)은 함몰된 형태의 제1 홈(GM1)에 충진될 수 있다. 유기막(MN)이 제1 홈(GM1)에 충진됨으로써, 폴딩에 의해 유기막(MN)과 제1 무기막(IO1) 사이가 박리되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제2 부분(IO1-2)의 두께 및 제3 부분(IO1-3)의 두께는 배치 영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2 부분(IO1-2) 및 제3 부분(IO1-3)의 상부는 제1 부분(IO1-1)으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더 이격된 부분일 수 있고, 제2 부분(IO1-2) 및 제3 부분(IO1-3)의 하부는 제1 부분(IO1-1)으로부터 제3 방향(DR3)을 따라 더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제2 부분(IO1-2) 및 제3 부분(IO1-3) 각각의 상부의 두께는 제2 부분(IO1-2) 및 제3 부분(IO1-3) 각각의 하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부분(IO1-2)의 상부의 두께(t1)는 제2 부분(IO1-2)의 하부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각 부분의 두께에 따라 제1 무기막(IO1)이 화소 정의막(PDL) 및 공통층(EL) 상에 증착된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제2 부분(IO1-2)의 상부는 제1 방향(DR1)으로 돌출되어 두께의 단차를 두고 형성된 오버행(overhang) 형상일 수 있다.
제1 홈(GM1)의 폭이 영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제1 부분 내지 제3 부분(IO1-1, IO1-2, IO1-3)의 상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홈(GM1)의 형상은 제1 부분 내지 제3 부분들(IO1-1, IO1-2, IO1-3)의 두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제1 홈(GM1)의 상부의 폭(t3)은 제1 홈(GM1)의 하부의 폭(t4)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영역에서 오버행 형상을 갖는 제1 무기막(IO1)에 의해 제1 홈(GM1) 상부의 폭(t3)은 제1 홈(GM1)의 하부의 폭(t4)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좁을 수 있다.
유기막(MN)은 제1 무기막(IO1) 상면에 접촉할 수 있고, 제1 무기막(IO1) 상면 상에 유기막(MN)을 조성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기막(MN)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기막(MN)의 조성물이 제1 홈(GM1)에 충진되어 경화될 수 있다. 제1 홈(GM1)에 충진된 유기막(MN) 및 제1 무기막(IO1) 사이의 계면간의 힘 및 상부의 폭이 좁은 제1 홈(GM1)의 형상에 의해, 유기막(MN)과 제1 무기막(IO1) 사이의 접착력은 더 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에 의한 유기막(MN)과 제1 무기막(IO1) 사이의 박리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제1 무기막(IO1)은 공통층(EL) 상면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SP1)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1 무기막(IO1)과 공통층(EL)은 측면 방향인 제1 방향(DR1)을 따라 접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무기막(IO1)은 화소 정의막(PDL) 상에 공통층(EL)이 잘 접착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폴딩에 의한 제1 무기막(IO1)과 공통층(EL) 사이 및 공통층(EL)과 화소 정의막(PDL) 사이의 박리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제1 무기막(IO1)은 도 4a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나 제1 공간(SP1)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1 무기막(IO1)의 형상 및 제1 홈(GM1)의 형상이 차이가 있다.
제1 무기막(IO1)의 제2 부분(IO1-2)의 상부의 두께(t1)는 제2 부분(IO1-2)의 하부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형상과 달리, 제2 부분(IO1-2) 및 제3 부분(IO1-3)의 형상은 두께가 제1 부분(IO1-1)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홈(GM1)의 상부의 폭(t3)은 도 4a에 도시된 일 실시예보다 도 4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유기막(MN)이 충진되는 제1 홈(GM1) 상부의 폭(t3)이 작을수록 제1 홈(GM1) 내에 충진된 유기막(MN)이 잘 빠져나오지 못할 수 있으며, 쉽게 유기막(MN)과 제1 무기막(IO1)이 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홈(GM1) 상부의 폭(t3)이 너무 작아지면, 제1 홈(GM1) 내에 유기막(MN)이 충분히 충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격벽부들(BK1, BK2)의 배치 간격 및 제1 무기막(IO1)의 증착 과정을 통해 제1 홈(GM1)의 폭 및 형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절을 통해 유기막(MN)을 제1 홈(GM1) 내에 충분히 충진시키고, 동시에 유기막(MN)의 박리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 공통층 및 제1 무기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며,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화소 정의막(PDL)에 포함된 제1 격벽부(BK1) 및 제2 격벽부(BK2)의 형상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격벽부(BK1)는 하면(B1-B) 및 제1 측면(B1-S)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격벽부(BK2)는 하면(B2-B) 및 제2 측면(B2-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부(BK1)의 하면(B1-B) 및 제2 격벽부(BK2)의 하면(B2-B)은 각각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면일 수 있다. 제1 측면(B1-S)과 제2 측면(B2-S)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 격벽부(BK1)의 하면(B1-B) 및 제1 측면(B1-S)이 이루는 각도는 제1 각도(θ1)로 정의할 수 있고, 제2 격벽부(BK2)의 하면(B2-B) 및 제2 측면(B2-S)이 이루는 각도는 제2 각도(θ2)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각각 45도 이상 180도 미만일 수 있다.
도 5a는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가 90도 이상인 제1 격벽부(BK1) 및 제2 격벽부(BK2)의 형상을 도시하였다. 도 5b는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가 90도 이하인 제1 격벽부(BK1) 및 제2 격벽부(BK2)의 형상을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90도 일 수 있고, 제1 측면(B1-S) 및 제2 측면(B2-S)은 서로 평행한 것일 수 있다.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제1 측면(B1-S) 및 제2 측면(B2-S) 상에 배치된 공통층(EL) 및 제1 무기막(IO1) 사이의 마찰력 또는 화소 정의막(PDL) 및 제1 무기막(IO1) 사이의 마찰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가 커질수록 접촉하는 각 구성들의 계면 간의 마찰력도 커질 수 있고, 마찰력이 커질수록 각 구성들이 쉽게 박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를 조절하여, 제1 및 제2 격벽부(BK1, BK2) 상에 배치된 공통층(EL) 및 제1 무기막(IO1)의 박리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절단선 II-II'에 대응하여 절단한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 및 봉지층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PDL)은 제1 내지 제3 격벽부들(BK1, BK2, BK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부(BK1)는 제2 격벽부(BK2)와 이격되어 제1 방향(DR1)에서 제1 간격(D1)을 가진 제1 공간(SP1)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격벽부(BK3)는 제1 격벽부(BK1)와 이격되어 제2 방향(DR2)에서 제2 간격(D2)을 가진 제2 공간(SP2)을 형성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 포함된 서로 이웃하는 복수 개의 격벽부들은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제1 간격(D1)은 제2 간격(D2)보다 작을 수 있다. 더 큰 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중첩하여 증착되는 제1 무기막(IO1)은 상대적으로 더 용이하게 균일한 두께로 증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1 무기막(IO1)에 의해, 화소 정의막(PDL), 공통층(EL) 및 제1 무기막(IO1) 간의 접착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 정의막(PDL), 공통층(EL) 및 제1 무기막(IO1) 간의 박리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각각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들에 중첩하는 제1 무기막(IO1)의 증착 형상은 공간들에 대응하여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각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들에 중첩하는 제1 무기막(IO1)의 상면에 의해 정의되는 홈들은 폭과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제1 공간(SP1)에 중첩한 제1 무기막(IO1)의 상면에 의해 제1 홈(GM1)이 정의될 수 있고, 제2 공간(SP2)에 중첩한 제1 무기막(IO1)의 상면에 의해 제2 홈(GM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홈(GM1) 및 제2 홈(GM2)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홈(GM1)의 형상은 제1 홈(GM1) 상부의 폭(t3)이 제1 홈(GM1) 하부의 폭(t4)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홈(GM2)의 형상은 제2 홈(GM2)의 상부의 폭(t5)과 제2 홈(GM2)의 하부의 폭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제2 홈(GM2)의 상부의 폭이 제2 홈(GM2)의 하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부의 폭(t3)이 작은 제1 홈(GM1) 내에 충진된 유기막(MN)은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며, 제1 무기막(IO1)과 유기막(MN) 간의 박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부의 폭(t5)이 제1 홈(GM1)의 상부의 폭(t3)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2 홈(GM2) 내에 충진된 유기막(MN)은 제2 홈(GM2)으로 정의된 공간 내에 충분히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충분히 충진될 수 있다.
제1 공간(SP1)과 제2 공간(SP2)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 아닌, 일체로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무기막(IO1)의 상면에 의해 정의되는 제1 홈(GM1) 및 제2 홈(GM2)도 일체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 및 봉지층을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며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각 구성들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PDL)과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PDL)은 베이스부(BS)가 생략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 포함된 복수 개의 격벽부들은 화소 정의막(PDL) 하부에 배치된 제3 절연층(30) 상면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제1 공간(SP1)을 형성하는 제1 격벽부(BK1) 및 제2 격벽부(BK2)는 회로층(DP-CL, 도 2)에 포함된 제3 절연층(30) 상면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SP1)에 중첩하여 배치된 공통층(EL)의 하면은 제3 절연층(3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PDL)은 베이스부(BS) 및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이 평탄한 막의 일부 영역을 식각하는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 개의 격벽부들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BS) 및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소 정의막(PDL)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소 정의막(PDL)은 상면이 평탄한 베이스부(BS) 상에 복수 개의 격벽부들을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BS) 및 복수 개의 격벽부들은 각각 서로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정의막의 평면도이다. 복수의 격벽부들의 평면상 형상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격벽부들은 음영을 넣어 도시하였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어, 평면상에서 패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턴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의 일 예를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패턴 형상이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정한 규칙을 갖고 배열된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이 형성하는 패턴이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은(SP1, SP2) 평면상에서 가상의 중심(CP)을 기준으로 방사 형상(radial shap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사 형상은 가상의 중심(CP)을 기준으로 여러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형상을 의미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제1 공간(SP1)의 폭(D3)과 제2 공간(SP2)의 폭(D4)은 다를 수 있다. 폭이 서로 다른 제1 공간(SP1)과 제2 공간(SP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 (SP2)은 가상의 중심(CP)을 기준으로 교차하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SP1)은 가상의 중심(CP)을 기준으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 사이의 방향인 특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의 평면상 형상은 복수 개의 격벽부들이 이격되어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의 평면상 형상은 다양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의 평면상 형상은 각각 삼각형, 사각형 또는 부채꼴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격벽부들(BK1, BK2, BK3, BK4)의 평면상 면적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8c은 일부 격벽부들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하고, 일부 격벽부들의 평면상 면적은 상이한 일 실시예의 화소 정의막(PDL)을 도시하였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1 격벽부(BK1)는 제4 격벽부(BK4)와 평면상 면적이 동일하며, 제2 격벽부(BK2)와 평면상 면적은 서로 상이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격벽부들은 하나의 격벽 그룹(BKG-a, BKG-b, BKG-c)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 개의 격벽부들의 외측을 따라 연결한 격벽 그룹(BKG-a, BKG-b, BKG-c)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격벽 그룹(BKG-a)의 형상은 마름모이며, 도 8b에 도시된 격벽 그룹(BKG-b)의 형상은 타원형이며고, 도 8c에 도시된 격벽 그룹(BKG-c)의 형상은 사각형이다. 그러나 격벽 그룹의 형상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형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격벽부들을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 화소 정의막 상에 화소 정의막의 형상에 대응하여 배치된 무기막 및 무기막 상에 배치된 유기막을 포함하며, 소정의 공간에 중첩하여 배치된 무기막의 두께를 배치 영역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무기막의 상면에 의해 정의되는 홈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정의 공간에 중첩하여 배치된 무기막은 무기막과 무기막 하면에 접촉하는 발광 소자층의 구성과의 박리 문제를 개선하며, 무기막의 상면에 의해 정의되는 홈에 충진되는 유기막에 의해, 무기막과 유기막 사이의 박리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은 폴딩 및 언폴딩이 반복되어도 표시 패널 내부의 구성들 간의 박리 문제가 개선되어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DP-LE: 발광 소자층
LE: 발광 소자 SP1, SP2: 공간
PDL: 화소 정의막 BK1, BK2, BK3: 격벽부
BS: 베이스부 BL: 베이스층
OP: 개구부 IO1: 제1 무기막
MN: 유기막 IO2: 제2 무기막
GM1, GM2: 홈 AE: 제1 전극
CE: 제2 전극 EML: 발광층
HCL: 정공 제어층 ECL: 전자 제어층

Claims (20)

  1. 개구부가 정의되고, 서로 이격되어 제1 방향에서 제1 간격을 가진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격벽부들을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상기 발광 소자층을 커버하며, 상기 제1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굴곡진 상면을 포함하는 제1 무기막; 및
    상기 제1 무기막 상면에 접촉하는 유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에 중첩한 상기 제1 무기막의 상면에 의해 제1 홈이 정의되며, 상기 제1 공간에 중첩한 상기 제1 무기막의 두께는 가변 되고, 상기 유기막은 상기 홈에 충진되는 표시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에 중첩하는 상기 제1 무기막은 상기 발광 소자층과 나란히 배치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며 이격된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상부의 두께 각각은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하부의 두께 각각보다 큰 표시 패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의 상부의 폭은 상기 제1 홈의 하부의 폭보다 작은 표시 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격벽부와 제2 간격을 가진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3 격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표시 패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에 중첩한 상기 제1 무기막의 상면에 의해 제2 홈이 정의되며, 상기 제2 홈의 상부의 폭은 상기 제1 홈의 상부의 폭보다 큰 표시 패널.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일체로 형성되는 표시 패널.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의 상부의 폭은 상기 제2 홈의 하부의 폭 이상인 표시 패널.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일체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
  9. 제1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의 형상은 각각 삼각형, 사각형 또는 부채꼴인 표시 패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는 하면 및 제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격벽부는 하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한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격벽부의 하면과 상기 제1 측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 격벽부의 하면과 상기 제2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45도 이상 180도 미만인 표시 패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은 서로 평행한 표시 패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의 하면들과 각각 접촉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격벽부들과 상기 베이스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표시 패널.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격벽부들은 평면상에서 패턴 형상을 갖는 표시 패널.
  15. 제4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은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형상인 표시 패널.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화소 정의막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 정의막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배치되는 정공 제어층 및
    상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제어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 상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소자층 하에 배치된 폴더블한 베이스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
  20. 개구부가 정의되고,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부들을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 및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상기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층을 커버하는 제1 무기막;
    상기 제1 무기막 상면에 접촉하는 유기막; 및
    상기 유기막 상에 배치된 제2 무기막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들은 서로 이웃한 제1 격벽부 및 제2 격벽부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격벽부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2 격벽부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무기막은 상부의 두께가 하부의 두께보다 큰 표시 패널.
KR1020200105897A 2020-08-24 2020-08-24 표시 패널 KR20220025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897A KR20220025965A (ko) 2020-08-24 2020-08-24 표시 패널
US17/323,063 US11778865B2 (en) 2020-08-24 2021-05-18 Display panel
CN202110844495.6A CN114187848A (zh) 2020-08-24 2021-07-26 显示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897A KR20220025965A (ko) 2020-08-24 2020-08-24 표시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965A true KR20220025965A (ko) 2022-03-04

Family

ID=8026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897A KR20220025965A (ko) 2020-08-24 2020-08-24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78865B2 (ko)
KR (1) KR20220025965A (ko)
CN (1) CN114187848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231B1 (ko) 2012-09-18 2019-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4804A (ko) 2015-02-26 2016-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4179B1 (ko) * 2017-12-08 2019-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540734B1 (ko) * 2018-02-01 2023-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76994B1 (ko) * 2018-06-28 2023-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541380B1 (en) * 2018-08-30 2020-0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ubstrate comprising an opening and adjacent grooves
KR20200060594A (ko) * 2018-11-21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10077846A (ko) * 2019-12-17 2021-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87848A (zh) 2022-03-15
US11778865B2 (en) 2023-10-03
US20220059626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741B1 (ko) 표시 장치
CN107665912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1564568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70020014A1 (en) Display apparatus
CN115498124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77846A (ko) 표시 장치
CN111613150B (zh)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049975A (ko) 표시 장치
KR20220025965A (ko) 표시 패널
KR20210102562A (ko) 표시 장치
KR20210003989A (ko) 표시장치
KR20200103922A (ko) 표시 장치
CN114287063A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2786653A (zh) 窗口玻璃、包括该窗口玻璃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10109086A (ko) 표시 장치
KR20210127281A (ko) 표시 장치
CN113767321A (zh) 显示装置
KR102559081B1 (ko) 표시 장치
KR102668484B1 (ko) 표시 장치
US20230207605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2023009241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US20220197432A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41261A (ko) 표시 장치
CN115863349A (zh) 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20230088600A (ko)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