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775A -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775A
KR20220025775A KR1020220019446A KR20220019446A KR20220025775A KR 20220025775 A KR20220025775 A KR 20220025775A KR 1020220019446 A KR1020220019446 A KR 1020220019446A KR 20220019446 A KR20220019446 A KR 20220019446A KR 20220025775 A KR20220025775 A KR 20220025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quafosol
present
eye drop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엽
류상록
한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준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준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준제약
Publication of KR2022002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61K31/707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having two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uridine, uridylic acid, thymidine, zidovu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Diquafosol}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디쿠아포솔은 P2Y2 퓨린 수용체 작용제로서, 건성안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러한 디쿠아포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점안액으로는 디쿠아스(Diquas)®가 시판되고 있다. 상기 점안제는 디쿠아포솔 나트륨을 3 w/v%의 농도로 포함하는 1일 6회 투여 점안제이다. 안구건조증은 최소 1개월에서 최대 수개월 혹은 평생의 장기간 약물 투여가 필요한 만성질환임을 고려했을 때, 많은 투여 횟수는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떨어뜨리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투여 횟수를 줄여 복약 순응도를 높인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점안제의 경우 예민한 눈의 점막에 직접적으로 투여되는 것이므로, 눈 조직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물리·화학적 성질(예를 들어, 점도, pH, 삼투압 등)을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보관 시 성상, 물리·화학적 성질, 유효성분의 함량을 유지하는 등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또한 유연물질이 발생하게 되면 약물 투과량 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유연물질의 발생량을 최소화하는 안정성도 요구된다.
또한, 디쿠아포솔은 강한 친수성으로 인해 안구에서의 흡수율 및 지속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출시된 디쿠아스 제품은 1일 6회의 투여 용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구에서의 약효 지속 시간을 늘린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품의 점도를 늘리는 방법을 보편적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단순 점도 증진을 통한 약물전달율 향상은 작열감, 이물감 등의 증가로 환자의 불편함을 증가시키고, 복약순응도를 오히려 낮출 수 있다. 이에 우수한 점안감을 유지하면서 디쿠아포솔을 지연방출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관 시 성상, 물리·화학적 성질, 유효성분의 함량 등을 유지하고 유연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점안감을 유지하면서 지연방출 효과를 지니는 새로운 점안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1867791호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소르베이트 및 덱스판테놀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보관 시 성상, 물리·화학적 성질, 유효성분의 함량 등을 유지하고 유연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점안감을 유지하면서 지연방출 효과를 갖는 새로운 점안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보관 시 성상, 물리·화학적 성질, 유효성분의 함량 등을 유지하고 유연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점안감이 우수하면서 지연방출 효과를 보임으로써 지속적인 안구 건조증 치료 효과를 나타내어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점안 조성물은 보관 시 성상, 물리·화학적 성질, 유효성분의 함량 등을 유지하고 유연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점안감을 유지하면서 유효성분의 지연방출 효과를 통해 지속적인 안구 건조증 치료 효과를 나타내어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제1", "제2" 등은 복수의 구성요소나 복수의 단계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일 뿐,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디쿠아포솔(Diquafosol)"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안구 건조증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디쿠아포솔 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디쿠아포솔이라 하면, 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모두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안구 건조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하여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점안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1 w/v% 내지 18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 w/v% 내지 18 w/v%, 1 w/v% 내지 10 w/v%, 4 w/v% 내지 10 w/v%, 4.5 w/v% 내지 10 w/v%, 3 w/v% 내지 6 w/v%, 또는 5 w/v% 내지 10 w/v%의 함량으로, 보다 더 구체적으로 4.5 w/v% 내지 5 w/v% 또는 5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쿠아포솔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1 w/v% 이상, 1 w/v% 이상, 2 w/v% 이상, 3 w/v%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4 w/v% 이상, 보다 더 구체적으로 4.5 w/v% 이상 또는 5 w/v%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쿠아포솔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18 w/v% 이하, 10 w/v% 이하, 6 w/v%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특성상, 안구 건조증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예를 들어, 각결막 상피 장애) 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눈물막파괴 시간이 짧은 안구건조증이나 폐쇄성 마이봄샘기능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의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구 건조증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에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눈 건조감, 눈 불쾌감, 눈 피로감, 둔중감, 안통 등의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saline 용액 투여군과 비교하여 TBUT(Tear break-up time) 및 각막형광색소 염색 실험에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어 안구 건조증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 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한다.
상기 잔탄검은 조성물의 점도, 조성물의 안정성, 유효성분의 방출 지연을 위해 포함된다. 상기 잔탄검은 구체적으로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15 w/v% 내지 0.6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0.15 w/v% 내지 0.4 w/v%, 0.2 w/v% 내지 0.4 w/v%, 0.2 w/v% 내지 0.3 w/v%, 0.2 w/v% 내지 0.25 w/v%, 또는 0.22 w/v% 내지 0.25 w/v%의 함량으로, 보다 더 구체적으로 0.225 w/v% 내지 0.24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잔탄검은 0.15 w/v% 이상, 0.2 w/v% 이상, 0.22 w/v% 이상, 0.225 w/v% 이상, 0.23 w/v% 이상, 0.24 w/v%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잔탄검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6 w/v% 이하, 0.4 w/v% 이하, 0.3 w/v% 이하, 0.25 w/v% 이하, 0.24 w/v%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잔탄검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22 w/v%, 0.225 w/v%, 0.23 w/v% 또는 0.24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조성물의 점도, 유효 성분의 방출 지연을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구체적으로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01 w/v% 내지 1.8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3 w/v% 내지 1.4 w/v%, 0.01 w/v% 내지 1 w/v%, 0.03 w/v% 내지 1 w/v%, 0.05 w/v% 내지 1 w/v% 또는 0.03 w/v% 내지 0.28 w/v%의 함량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0.1 w/v% 내지 1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01 w/v% 이상, 0.03 w/v% 이상, 0.05 w/v% 이상, 0.1 w/v%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1.8 w/v% 이하, 1.4 w/v% 이하, 1 w/v% 이하, 0.5 w/v% 이하, 0.3 w/v% 이하, 0.28 w/v% 이하, 0.1 w/v%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분해되어 발생하는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트산 등에 의해 신맛, 불쾌한 냄새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점안 시 미각, 후각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을 너무 높은 함량으로 포함시키는 경우 유효성분을 녹이기 어려운 등의 제조 공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제조가 용이하고, 점안감 및 안정성이 우수한 점안 조성물 제조를 위해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전체 점안 조성물 중 1 w/v% 이하로, 구체적으로 0.1 w/v% 내지 1 w/v%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며 디쿠아포솔의 방출을 지연시키고 점안감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며 점도가 20 mPa·s 이상인 안정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며 점도가 20 mPa·s 내지 450 mPa·s인 안정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며 디쿠아포솔의 방출을 지연시키고 점도가 20 mPa·s 내지 450 mPa·s인 안정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며 디쿠아포솔의 방출을 지연시키고 적은 횟수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0.15 w/v% 내지 0.4 w/v%의 잔탄검 및 0.1 w/v% 내지 1 w/v%의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며 점도가 20 mPa·s 내지 450 mPa·s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0.1 w/v% 내지 18 w/v%의 디쿠아포솔, 0.15 w/v% 내지 0.4 w/v%의 잔탄검 및 0.1 w/v% 내지 1 w/v%의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며 점도가 20 mPa·s 내지 450 mPa·s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0.1 w/v% 내지 10 w/v%의 디쿠아포솔, 0.15 w/v% 내지 0.4 w/v%의 잔탄검 및 0.1 w/v% 내지 1 w/v%의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며 점도가 20 mPa·s 내지 450 mPa·s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성 및 점안감이 우수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적정 점도를 가지고, 디쿠아포솔의 방출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도 1 내지 3, 표 6 내지 9, 표 11 내지 14), 디쿠아포솔의 방출을 지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6 내지 8).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눈 깜빡임 등의 전단속도에서 일정 점도를 유지하고 높은 점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및 10).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방출 지연을 위해 포비돈(Povidone; PVP),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비돈은 0.01 w/v% 내지 4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1 w/v% 내지 1.8 w/v%, 0.04 w/v% 내지 0.6 w/v% 또는 0.04 w/v% 내지 0.12 w/v%의 함량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0.12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비돈은 0.01 w/v% 이상, 0.04 w/v% 이상, 0.1 w/v% 이상, 0.12 w/v%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비돈은 4 w/v% 이하, 1.8 w/v% 이하, 0.6 w/v% 이하, 0.12 w/v%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0.01 w/v% 내지 2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w/v% 내지 2 w/v%, 또는 1 w/v% 내지 2 w/v%의 함량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1 w/v%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0.01 w/v% 이상, 0.1 w/v% 이상, 1 w/v%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2 w/v% 이하, 1 w/v%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투과율 증진을 위해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의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폴리옥실 캐스터 오일(Polyoxyl Castor Oil), 덱스판테놀(Dexpant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pH 조절제, 완충제, 등장화제, 점도조절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및 보존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로는 수산화나트륨, 염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pH를 얻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필요한 양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완충제로는 아세트산 및/또는 이의 염, 구연산 및/또는 이의 염, 인산 및/또는 이의 염 (예를 들어, 인산수소나트륨 및/또는 이의 수화물, 인산이수소나트륨 및/또는 이의 수화물), 붕산 및/또는 이의 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인산염, 구연산 및/또는 이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등장화제로는 글리세롤, 만니톨, 솔비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로는 알긴산 또는 이의 염, 카보머, 벤토나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점도를 얻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필요한 양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해보조제로는 벤조알코늄 클로라이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논옥시놀 10, 옥시놀 9, 티록사폴, 폴록사머류,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류 폴리옥실 15 수소화 스테아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는 에데트산 나트륨, 아미노카프론산, 카르니틴, 비타민E 및/또는 유도체(예: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등), 솔비톨, 아스코르브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록사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구아검, 카보머, 알긴산 및 이의 염, 젤란검, 카라기난, 키토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로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제토늄클로라이드, 세탈코늄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1(예를 들어, 폴리콰드) 등을 포함하는 4차 암모늄 화합물; PHMB, 클로로 헥시딘 등을 포함하는 구아니딘계 화합물; 클로로부탄올; 티로메살, 페닐수은 아세테이트 및 페닐수은 니트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수은 방부제; 및 안정화된 옥시클로로 착물(예를 들어, 퓨라이트), 파라옥시향산 알킬류(예를 들어, 파라옥시향산 메칠(PM) 등을 포함하는 산화 방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농도의 디쿠아포솔을 포함하고 이의 방출을 지연시키면서 점안감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농도의 디쿠아포솔을 포함하고 이의 방출을 지연시키면서 점도가 20 mPa·s 내지 450 mPa·s인 안정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농도의 디쿠아포솔을 포함하고 이의 방출을 지연하여 투여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4회 이하로 투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일 3회 이하로, 1일 2회 이하로, 보다 구체적으로 1일 2회 내지 4회로, 보다 더 구체적으로 1일 3회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1회 투여는 1회 점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 횟수를 줄여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시판제품 대비 적은 투여 횟수로도 지속적인 안구 건조증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본 발명의 조성물은 눈 조직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물리·화학적 성질(예를 들어, 점도, pH, 삼투압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는 단일원통형 회전점도계 및 스핀들 S61을 이용하여 측정 시 1 mPa·s 내지 450 mPa·s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mPa·s 내지 450 mPa·s, 20 mPa·s 내지 450 mPa·s, 10 mPa·s 내지 200 mPa·s, 보다 구체적으로 20 mPa·s 내지 70 mPa·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는 1 mPa·s 이상, 10 mPa·s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0 mPa·s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는 450 mPa·s 이하, 200 mPa·s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70 mPa·s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는 5 내지 9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6 내지 8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삼투압은 250 mOsmol/kg 내지 500 mOsmol/kg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70 mOsmol/kg 내지 330 mOsmol/k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관 시 성상, 물리·화학적 성질 및 유효성분의 함량을 유지하고 유연물질의 발생량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보관 시 pH, 삼투압, 점도 및 유효성분의 함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도 3, 표 6 내지 9, 표 11 내지 14), 또한 보관 시 유연물질의 발생량이 적어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보관 시 성상이 변하지 않아 성상 안정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점안감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지속력과 지연방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점안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0).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지속력을 나타내고(도 9 및 10), 지연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6 내지 8).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적 적용을 위해 특별하게 제형화되며, 액제, 에멀전제, 현탁제, 겔제, 또는 연고제 등의 제형에 의해 국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잔탄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 각 성분의 함량, 효과 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잔탄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소르베이트 및 덱스판테놀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 각 성분의 함량, 효과 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잔탄검, 폴리비닐알코올, 포비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 및 덱스판테놀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 각 성분의 함량, 효과 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디쿠아포솔,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포비돈, 폴리소르베이트, 덱스판테놀 등의 첨가제 또는 담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관 시 성상, 물리·화학적 성질, 유효성분의 함량을 유지하고 유연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유효성분의 지연방출을 통해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점안감을 유지하며, 우수한 지속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 횟수를 줄일 수 있어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구 건조증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의 안정성 평가(1)의 결과(성상 평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1의 안정성 평가(1)의 결과(유연물질 발생량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2의 안정성 평가(2)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3의 지연방출 평가(1)의 결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4의 안구 건조증 치료 효과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7의 지연 방출 평가(2)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8의 지연 방출 평가(3)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예 9의 지연 방출 평가(4)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험예 11의 지속력 평가(가)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험예 11의 지속력 평가(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안정성 평가 (1) - 성상 안정성 및 유연물질 발생량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 및 잔탄검을 가하여 고온(60 ~ 70 ℃ 이상)에서 수화하고,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디쿠아포솔 나트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 이수화물을 가하여 용해한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pH가 약 7.2 ± 0.2인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잔탄검의 투입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H가 약 7.2 ± 0.2인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2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70 ℃(습도 55%)에서 4주간 보관한 뒤 성상을 관찰하고 유연물질의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성상이 노랗게 변하는 반면(오른쪽 사진), 실시예 1의 경우 성상이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왼쪽 사진).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상 안정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도 2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상대적으로 유연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 상대적으로 유연물질이 적게 발생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연물질 발생량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안정성 평가 (2) - pH, 삼투압 및 점도 변화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멸균정제수에 잔탄검 및 포비돈을 가하여 고온(60 ~ 70 ℃ 이상)에서 수화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뒤,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을 가하여 고온(60 ~ 70 ℃ 이상)에서 용해하고, 이어서 덱스판테놀, 인산수소이나트륨 이수화물, 폴리소르베이트, 디쿠아포솔 나트륨 및 등장화제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3
제조한 실시예 2를 55 ℃(습도 75%)에서 14일 동안 보관하면서 pH, 삼투압,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pH, 삼투압 및 점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지연 방출 (1)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3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 및 잔탄검을 가하여 고온(60~70℃ 이상)에서 수화하고,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디쿠아포솔 나트륨 및 완충제를 가하여 용해한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pH가 약 7.2 ± 0.2인 실시예 3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멸균정제수에 디쿠아포솔 나트륨, 완충제를 용해한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pH가 약 7.2 ± 0.2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4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3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반투과성막(Float A lyzer)과 용출기(SOTAX™)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유효성분의 방출양상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투과성막에 조성물을 넣고 STF(Simulated Tear Fluid) 용액이 들어 있는 용출기에 넣어 유효성분의 방출량을 액체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유효성분의 방출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실험예 4> 안구 건조증 치료 효과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멸균정제수에 잔탄검 및 포비돈을 가하여 고온(60~70℃ 이상)에서 수화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뒤,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을 가하여 고온(60~70℃ 이상)에서 용해하고,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디쿠아포솔 나트륨, 완충제, 덱스판테놀, 폴리소르베이트 및 등장화제를 가하여 용해시킨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3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혼합액과 상기 제3용액을 혼합하여 pH가 약 7.2 ± 0.2인 실시예 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5
New Zealand White Rabbit 안구 건조증 동물모델에서, 시판제품인 디쿠아스점안액3%(DIQUAS® ophthalmic solution 3%), saline 용액 및 실시예 4의 안구 건조증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디쿠아스 점안액(G1)은 6회 점적하였으며 실시예 4(G2) 및 saline 용액은 각각 3회 점적하였다.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쿠아스 점안액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투여군은 모두 saline 용액 투여군과 비교하여 TBUT(Tear break-up time) 및 각막형광색소 염색 실험에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시판제품 대비 적은 투여 횟수로도 지속적인 안구 건조증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안정성 평가 (3)
하기 표 5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실시예 5 내지 7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내지 7: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 및 잔탄검을 가하여 고온(60~70℃ 이상)에서 수화하고,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디쿠아포솔 나트륨 및 완충제를 용해시켜 용해액을 제조한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pH가 약 7.2 ± 0.2인 실시예 5 내지 7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pat00006
제조한 실시예 5 내지 7을 55 ℃(습도 75%)에서 28일 및 70 ℃(습도 55%)에서 14일간 보관한 뒤 성상, pH, 삼투압, 점도, 디쿠아포솔의 함량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내지 9에 나타내었다. 점도는 단일원통형 회전점도계 및 스핀들 S61을 이용하여 25 ℃ 및 토크값이 80% 이상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55 ℃ 및 70 ℃에서 보관한 뒤에도 실시예 5 내지 7은 모두 성상의 변화 없이 투명하고 맑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성상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6 내지 9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내지 7은 상기 조건에서 보관한 뒤에도 pH, 삼투압 및 점도에 큰 변화 없이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냈으며(표 6 내지 8), 디쿠아포솔의 함량 변화도 매우 적어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9).
[표 6]
Figure pat00007
[표 7]
Figure pat00008
[표 8]
Figure pat00009
[표 9]
Figure pat00010
<실험예 6> 안정성 평가 (4)
하기 표 10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8 내지 10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내지 10: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 및 잔탄검을 가하여 고온(60~70℃ 이상)에서 수화하고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멸균정제수에 디쿠아포솔 나트륨 및 완충제를 용해시킨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pH가 약 7.2 ± 0.2인 실시예 8 내지 10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0]
Figure pat00011
실시예 8 내지 10을 55 ℃(습도 75%)에서 28일 및 70 ℃(습도 55%)에서 14일간 보관한 뒤 성상, pH, 삼투압, 점도, 디쿠아포솔의 함량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 내지 14에 나타내었다. 점도는 실험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55 ℃ 및 70 ℃에서 보관한 뒤에도 실시예 8 내지 10 모두 성상의 변화 없이 투명하고 맑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성상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내지 10은 상기 조건에서 보관한 뒤에도 pH, 삼투압 및 점도에 큰 변화 없이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냈으며(표 11 내지 13), 유효성분 함량 변화도 매우 적어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14). 실시예 8 내지 9는 실시예 10과 비교하여 삼투압 및 pH 변동폭이 더욱 적어 향상된 안정성을 나타내고, 점도도 높게 유지되어 보다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표 11]
Figure pat00012
[표 12]
Figure pat00013
[표 13]
Figure pat00014
[표 14]
Figure pat00015
<실험예 7> 지연 방출 평가 (2)
하기 표 15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3 및 실시예 11 내지 1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멸균정제수에 디쿠아포솔 나트륨 및 완충제를 용해시킨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pH가 약 7.2 ± 0.2인 비교예 3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및 12: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 및 잔탄검을 가하여 고온(60 ~70℃ 이상)에서 수화하고,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디쿠아포솔 나트륨 및 완충제를 용해시킨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pH가 약 7.2 ± 0.2 인 실시예 11 및 1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5]
Figure pat00016
반투과성막(Float A lyzer)과 용출기(SOTAX™)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3 및 실시예 11 내지 12의 시간에 따른 유효성분 방출양상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투과성막에 조성물을 넣고 STF(Simulated Tear Fluid) 용액이 들어 있는 용출기에 넣어 유효성분의 방출량을 액체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및 12에서,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 보다 유효성분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지연 방출 평가 (3)
하기 표 16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4 및 실시예 13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는 비교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3은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조성물의 pH는 약 7.2 ± 0.2이다.
[표 16]
Figure pat00017
실험예 7과 같은 방법으로 반투과성막(Float A lyzer)과 용출기(SOTAX™)를 이용하여 비교예 4 및 실시예 13의 시간에 따른 유효성분의 방출양상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에서 잔탄검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 보다 유효성분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지연 방출 평가 (4)
하기 표 17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5 및 실시예 14 내지 15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및 실시예 15는 각각 비교예 3 및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조성물의 pH는 약 7.2 ± 0.2 이다.
실시예 14: 멸균정제수에 잔탄검 및 포비돈을 가하여 고온(60 ~ 70 ℃ 이상)에서 수화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뒤,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을 가하고 고온(60 ~ 70 ℃ 이상)에서 용해하고, 이어서 완충제, 디쿠아포솔 나트륨을 용해시킨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고, 앞서 만든 용액과 혼합하여 pH가 약 7.2 ± 0.2인 실시예 1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7]
Figure pat00018
제조한 실시예 14 내지 15 및 비교예 5를 반투과성막(Float A lyzer)에 넣고 STF(Simulated Tear Fluid) 용액이 들어 있는 용출기(SOTAX™)에 넣어 유효성분의 방출량을 액체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 및 15에서 비교예 5 보다 유효성분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0> 점안감 평가 - 자극성
하기 표 18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6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멸균정제수에 잔탄검 및 포비돈을 가하고 고온(60 ~ 70 ℃ 이상)에서 수화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뒤,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을 가하여 고온(60 ~ 70 ℃ 이상)에서 용해하고, 이어서 덱스판테놀, 폴리소르베이트, 완충제 및 디쿠아포솔 나트륨을 용해시킨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pH는 약 7.2 ± 0.2인 실시예 16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8]
Figure pat00019
제조한 실시예 16을 이용하여 자극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23명의 건강한 성인 양안에 각 30 μL씩의 실시예 16의 조성물을 투여하고 3분 동안 느껴지는 작열감, 이물감, 시야흐림 및 6시간 후 느껴지는 잔류감을 표 19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표 19]
Figure pat00020
[표 20]
Figure pat00021
표 20은 평가 점수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평가 결과, 작열감, 이물감, 시야흐림 및 잔류감이 느껴지지 않거나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점안 조성물이 점안감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20).
<실험예 11> 지속력 평가
하기 표 2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7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멸균정제수에 잔탄검을 가하여 고온(60 ~ 70 ℃ 이상)에서 수화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뒤, 고온고압멸균을 진행하여 제1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멸균정제수에 폴리비닐알코올을 가하여 고온(60 ~ 70 ℃ 이상)에서 용해하고, 이어서 덱스판테놀, 폴리소르베이트, 완충제 및 디쿠아포솔 나트륨을 용해시킨 후 0.2 μm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제2용액을 제조하였다. 앞서 만든 제1용액과 제2용액을 혼합하여 pH는 약 7.2 ± 0.2 인 실시예 17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1]
Figure pat00022
(가)
제조한 실시예 17 및 전술한 디쿠아스 점안액 각각을 STF(Simulated Tear Fluid) 용액과 30:7의 비율로 혼합한 뒤, 35℃의 조건에서 전단속도(shear rate)를 증가시키면서 레오미터(Rheometer MCR 302)로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7의 조성물은 전단속도 약 3000 S-1 에서도 일정 점도를 유지하는 반면, 디쿠아스 점안액은 전단속도 약 900 S-1 부터 일정 점도를 유지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7의 조성물은 일반적인 눈깜빡임에 의한 최소 전단속도 1000 S-1 이상에서도 높은 점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
또한, 실시예 17의 조성물을 STF(Simulated Tear Fluid) 용액과 30:7의 비율로 혼합한 뒤,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단속도(shear rate)를 1 S-1에서 5000 S-1로 다시 5000 S-1에서 1 S-1로 변경하면서, 35℃의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7의 조성물은 높은 전단 속도에서 순간적으로 떨어진 점도가 빠르게 완벽히 회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점안 조성물이 눈 깜빡임 등의 전단응력 하에서도 우수하고 지속적인 점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디쿠아포솔(diquafos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잔탄검(Xanthan gum) 및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디쿠아포솔 나트륨인 것인, 점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쿠아포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1 w/v% 내지 18 w/v%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점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탄검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15 w/v% 내지 0.6 w/v%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점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01 w/v% 내지 1.8 w/v%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점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포비돈(povidon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점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비돈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01 w/v% 내지 4 w/v%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점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전체 점안 조성물 중 0.01 w/v% 내지 2 w/v%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점안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폴리옥실 캐스터 오일(polyoxyl castor oil), 덱스판테놀(dexpant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점안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H 조절제, 완충제, 등장화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및 보존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점안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일 4회 이하로 투여되는 것인, 점안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점도는 20 mPa·s 내지 450 mPa·s인 것인, 점안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는 5 내지 9인 것인, 점안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삼투압은 250 mOsmol/kg 내지 500 mOsmol/kg인 것인, 점안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구 건조증 치료용인 것인, 점안 조성물.
KR1020220019446A 2020-06-23 2022-02-15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KR20220025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6573 2020-06-23
KR1020200076573 2020-06-23
KR1020210054453A KR102365008B1 (ko) 2020-06-23 2021-04-27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53A Division KR102365008B1 (ko) 2020-06-23 2021-04-27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775A true KR20220025775A (ko) 2022-03-03

Family

ID=791788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53A KR102365008B1 (ko) 2020-06-23 2021-04-27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KR1020210081832A KR20210158355A (ko) 2020-06-23 2021-06-23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KR1020220019446A KR20220025775A (ko) 2020-06-23 2022-02-15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53A KR102365008B1 (ko) 2020-06-23 2021-04-27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KR1020210081832A KR20210158355A (ko) 2020-06-23 2021-06-23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31725A (ko)
KR (3) KR102365008B1 (ko)
CN (1) CN115701986A (ko)
WO (2) WO2021261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1378A (zh) * 2021-11-23 2022-03-18 温州医科大学附属眼视光医院 一种地夸磷索缓释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91B1 (ko) 2014-12-25 2018-06-15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점안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23106D1 (de) * 2003-11-07 2009-10-22 Senju Pharma Co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mit prostaglandin
JP5244584B2 (ja) * 2006-03-23 2013-07-24 千寿製薬株式会社 キサンタンガムおよびブドウ糖を含有する眼科用組成物
MX350201B (es) * 2012-02-24 2017-08-30 Bausch & Lomb Composiciones oftalmicas con ceras alcoxiladas naturales.
RU2697844C9 (ru) * 2014-11-25 2019-10-01 Аллерган, Инк.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ие омега-3-кислоты
CN107635565A (zh) * 2015-06-05 2018-01-26 参天制药株式会社 以向佩戴有软性隐形眼镜的干眼症患者的眼中滴入的方式使用为特征的干眼症治疗剂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791B1 (ko) 2014-12-25 2018-06-15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점안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927A1 (ko) 2021-12-30
JP2023531725A (ja) 2023-07-25
KR20210158355A (ko) 2021-12-30
KR102365008B1 (ko) 2022-02-23
KR20210158310A (ko) 2021-12-30
WO2021261931A1 (ko) 2021-12-30
CN115701986A (zh)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3785B2 (ja) 水溶性高分子を含む水性液剤
KR20210132205A (ko) 눈의 후안부로의 약물 전달을 위한 안구용 제제
JP2014101386A (ja) ヒアルロン酸又は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を含む保存組成物及び関連する方法
KR102365008B1 (ko)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KR102638866B1 (ko) 사이클로스포린 및 멘톨 함유 나노 에멀젼 점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EP1283043B1 (en) Ophthalmic solution
KR102555091B1 (ko) 약물 전달 및 전안부 보호를 위한 안구용 제제
JP2019006776A (ja) 水溶性高分子を含む点眼剤
JP7310113B2 (ja) 眼科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吸着抑制方法
KR102365009B1 (ko) 디쿠아포솔을 포함하는 점안 조성물
KR102314706B1 (ko) 안압 강하용 점안 조성물
CA2758858C (en) Aqueous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anionic therapeutic agents
KR102444571B1 (ko) 세티리진 및 토코페솔란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JP5627235B2 (ja) 眼科用組成物
TW202342108A (zh) 多劑量眼用組成物
JP2004043516A (ja) 眼科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