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655A -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655A
KR20220025655A KR1020210072981A KR20210072981A KR20220025655A KR 20220025655 A KR20220025655 A KR 20220025655A KR 1020210072981 A KR1020210072981 A KR 1020210072981A KR 20210072981 A KR20210072981 A KR 20210072981A KR 20220025655 A KR20220025655 A KR 2022002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level
moving object
informa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준
문영준
이태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08,73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58891A1/en
Publication of KR2022002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60R16/0234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related to maintenance or repair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은,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METHOD, MOVING OBJECT, APPARATUS AND SYSTEM FOR MAINTAINING MOVING OBJECT}
본 개시는 동체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를 위한 방법, 공유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플릿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원활한 운영과 적시의 메인터넌스를 달성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차량 소유에 대한 개념이 약해지고, 공유된 차량에 대한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지역 또는 거주지에서 생활의 편의를 위해 차량이 공유되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니즈가 커지고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밀집된 지역에서의 공유 이동체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다량의 공유 이동체가 밀집 지역의 근방에 보관되어 관리될 수 있다.
공유 이동체가 대중적으로 활성화되면, 이동체의 각종 부품의 관리를 세밀하게 할 수 없다. 개인 소유의 차량은 소유자에 의해 원활한 메인터넌스가 이루어지나, 다량의 공유 이동체는 단일 운영 업체에서 메인터넌스가 수행되는데 기인한다. 더욱이 해당 부품 및 정비 요소가 안전과 직결되는 경우에 적시의 메인터넌스가 수행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인명 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메 인터넌스로 인해 공유 이동체의 가동률이 저하되어 이동체를 관리하는 플릿 시스템은 많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이용 요청에 이동체를 할당하지 못할 수 있다. 이동체는 많은 부품을 구비하고 있어, 부품의 이상이 있을 때마다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면, 플릿 시스템은 메인터넌스 관리에 많은 자원을 할애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공유 이동체의 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음과 아울러서, 적시의 메인터넌스가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플릿 시스템에서의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플릿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원활한 운영과 적시의 메인터넌스를 달성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플릿 시스템을 위한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은,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과 함께, 상기 부품의 가혹 사용을 계측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 및 상기 부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부품 별 환산 주행 거리 및 상기 환산 사용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환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수 레벨 및 상기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의 환산값이 상기 표준 정비값에 도달한 상기 부품을 상기 필수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부품의 환산값이 상기 표준 정비값의 소정 비율에 도달한 부품을 상기 잠재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에 속한 복수의 세부 데이터들마다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부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필수 레벨의 부품 외의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필수 레벨과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수 레벨과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들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필수 레벨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청함과 아울러서,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이 제 1 부품류에 속한 부품인 경우에,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이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인 경우에, 상기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보조 데이터는 상기 제 2부품류의 부품 별로 설정되며, 상기 필수 레벨로부터 초과된 소정 비율을 정의한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 별로 상기 이동체의 안전도 및 불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제 1 부품류의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개수가 제 1 값 이상이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3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류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한 경우,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4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용 요청과 사용자의 이용 누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 요청과 상기 이용 누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체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이동체의 부품이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도달할지를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할 부품의 발생이 예측되면,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불허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이동체의 사용 중에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의 사용 중에,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보수를 결정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체의 반납 요청을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체의 제어권 전환을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예약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 개수 이상의 부품들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들의 재고를 추론하는 부품 현황 정보 및 상기 이동체의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부품을 주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획득 단계,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의 분석 단계, 상기 필수 레벨 또는 상기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의 확인 단계, 및 상기 유지보수의 요청 단계는 상기 이동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플릿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실행가능한 이동체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의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되,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하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플릿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실행가능한 서버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되,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하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되며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실행가능한 플릿 시스템은, 상기 플릿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 상기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및 상기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체의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고,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하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플릿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원활한 운영과 적시의 메인터넌스를 달성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체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플릿 시스템에 기초하여 이동체를 공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플릿 시스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관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플릿 스팟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플릿 시스템에 의한 이동체 할당 및 메인터넌스 프로세스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이동체 개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이동체와 서버 간의 유지보수레벨 분석 및 유지보수 요청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이동체 부품 별 기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브레이크 패드의 유지보수레벨을 계측하기 위한 이동체 모듈 및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유지보수레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할당 과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할당 과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이용 중 유지보수 결정 및 이동체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부품 주문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이동체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체는 다른 이동체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는 셀룰라 통신, WAVE 통신,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또는 그 밖에 다른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다른 이동체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셀룰러 통신망으로서 LTE, 5G와 같은 통신망, WiFi 통신망, WAVE 통신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DSRC와 같이 이동체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의 통신과 관련하여, 이동체 보안을 위해 이동체 내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과 이동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이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 내부에서는 와이파이 통신처럼 이동체 내의 일정 범위 내의 디바이스에 대해서만 보안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와 이동체 운전자의 개인 소유 디바이스는 상호 간의 통신만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체와 이동체 운전자의 개인 디바이스는 외부 통신망과 차단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모듈에 기초하여 이동체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체에서 통신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이동체는 예를 들어, 이동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는 차량 (Autonomous Vehicle, Automated Vehicle 포함), 드론, 개인 모빌리티, 이동 오피스, 이동 호텔 또는 PAV(Personal Air Vehicle) 일 수 있다. 개인 모빌리티는 예컨대 안정적인 독립주행을 위해 적어도 3개의 휠을 포함하는 이동체, 또는 1개 또는 2개의 휠을 구비하더라도 균형을 유지하여 독립적으로 주행될 수 있는 이동체(예, 싱글 휠 세그웨이, 투 휠 세그웨이, 전동 킥보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모빌리티는 동력원으로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빌리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동력원을 활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개인 모빌리티는 한 명의 사용자만이 탑승 또는 이용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모빌리티는 소형 이동 수단으로 소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싱글 휠, 투 휠, 세그웨이류 및 전동 킥보드뿐만 아니라 전동 휠체어,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이륜차도 개인 모빌리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는 그 밖에 다른 이동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플릿 시스템에 기초하여 이동체를 공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이동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플릿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플릿 시스템은 컴퓨팅 장치들 간의 데이터 생성, 처리, 교환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플릿 시스템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서버, 복수 개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복수 개의 이동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서버는 플릿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을 처리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이동체 예약, 할당/반납을 처리하여 이동체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서버는 이동체로부터 이동체 상태 정보, 메인터넌스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체 전체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이동체와 관련된 정보 및 이동체 부품의 유지보수처리를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플릿 시스템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 및 복수 개의 이동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RSU(Road Side Unit)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바이스는 기타 통신이 가능하여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차량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체는 레일 등과 같이 구비된 영역을 이동하는 물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는 드론 등과 같이 비행하는 물체일 수 있다. 즉, 이동체는 이동 가능한 물체를 지칭할 수 있으며, 플릿 시스템에 기초하여 공유되는 이동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으로 서술하나, 이는 다른 이동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RSU는 도로 주변 장치로서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RSU는 건물이나 기타 지역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물을 지칭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RSU로 통칭하며,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조물이나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 공유 시스템일 수 있다. 플릿 시스템은 일정 영역에서 이동체가 공유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일정 영역이라 함은 아파트 단지, 근무 지역 등과 같이 지역적일 개념일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영역은 아파트 단지 내 및 아파트 단지에서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이 일정 영역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일정 영역은 근무지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이 적용되는 영역은 행정 구역으로 더 큰 영역이나, 도시 단위일 수도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정 영역은 플릿 시스템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는 기준 범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거나 시스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또는 디바이스)로서 인증 받은 사용자에게 이동체가 공유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사용자는 플릿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일정 범위 지역, 예컨대 소정 범위 지역의 아파트 등의 거주민과 특정 지역에 배치된 오피스의 근무자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사용자는 일정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가능한 플릿 시스템에 가입된 자로서, 서비스 지역 외의 사용자일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는 일정 서비스 지역에 접근하여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자일 수 있다.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아파트 입주민 및/또는 오피스 근무자가 등록한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이동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대상에게만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동체 보안 및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플릿 시스템에서 공유 이동체를 이용하는 특정 사용자는 다른 방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공유 이동체 플릿 시스템에는 공유 이동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공유 이동체이라 함은 시스템에 의해 공유될 수 있도록 인증 및 허가된 이동체일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이동체는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체일 수 있다. 이때, 플릿 시스템 관리자는 공유 이동체를 플릿 시스템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즉, 플릿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인증 또는 허가된 이동체만이 공유 이동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릿 시스템에서 공유 이동체에 대한 보안이나 관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릿 시스템에서는 공유될 이동체를 등록할 수 있다. 플릿 시스템에 공유 이동체로 등록하는 권한은 플릿 시스템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플릿 시스템에 등록될 수 있는 이동체는 동일한 아이디를 갖거나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릿 시스템에서 공유 이동체를 제공하고 있는 바, 공유 이동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이동체에 대한 관리는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체에 대한 잔류 기름 정보, 이동체 상태 정보 또는 이동체 운행 정보 등과 같이 공유 이동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플릿 시스템은 공유 이동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한 이동체에 대해서는 시스템을 통해 사용 권한을 제어하거나 수리를 위한 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공유 이동체 뿐만 아니라 개인 소유 이동체를 혼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유 이동체와 개인 소유 이동체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예컨대 이동체 보유 지시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지시 필드에서 개인 소유 이동체가 아닌 값으로 기록된 경우에는, 공유된 이동체가 개인 소유 없이 시스템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체로 지시될 수 있다. 반면, 지시 필드에서 개인 소유 이동체를 나타내는 값으로 기록된 경우에는, 이동체에 개인 소유가 존재하고, 이러한 이동체가 플릿 시스템에 공유 이동체로 제공됨을 지시할 수 있다. 개인 소유 이동체와 시스템이 제공하는 공유 이동체가 혼재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체 보유 지시 필드에 기초하여 플릿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플릿 시스템 제공 이동체의 경우, 이동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 제한이 없을 수 있다. 반면, 개인 공유 이동체의 경우에는 사용 제한이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플릿 시스템 이동체와 개인 공유 이동체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과금 체계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과 관련하여,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디바이스는 시스템과 인증 및 보안 절차 후에 공유된 이동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 입장에서 공유 이동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공유 이동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체와 컨택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체와 등록된 디바이스(또는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다. 즉, 플릿 시스템에는 인증 및 허가에 기초하여 특정 이동체 및 디바이스만 등록될 수 있다. 이때, 플릿 시스템은 등록된 이동체 및 등록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운영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현재 이용 중인 이동체에 대한 정보, 개별 이동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이동체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플릿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각각의 이동체는 이벤트 트리거에 기초하여 플릿 시스템으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 위치가 변경되거나 사용 여부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트리거링되는 경우, 이동체는 자신의 정보를 플릿 시스템(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플릿 시스템(또는 서버)는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등록된 디바이스가 항상 플릿 시스템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등록된 디바이스가 플릿 시스템의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활성화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릿 시스템의 리스트에 포함된 등록된 디바이스 중 현재 이동체를 이용 중에 있거나 이동체 이용을 위해 시스템을 활성화한 디바이스가 리스트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등록된 디바이스(비활성화 디바이스), 플릿 시스템의 이동체를 이용하고 있는 등록된 디바이스(활성화 디바이스) 및 이동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등록된 디바이스(임시 디바이스)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실제 사용 중인지, 사용 의사가 없는지 및 사용 의사가 있으나 사용 전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의 이동체를 이용하고 있는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사용 상태 정보가 더 지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 상태 정보는 사용 예상 시간 정보 또는 사용 위치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릿 시스템은 등록된 복수 개의 이동체 및 복수 개의 디바이스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 정보는 이동 개요 정보, 이용 상태 정보, 디바이스 위치 정보 및 이동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릿 시스템은 디바이스 위치 정보 및 이동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개요 정보는 이동체의 사용에서 발생된 개략적인 현황 정보로서, 이동체 타입, 누적 사용 기간, 누적 주행 거리, 청결 상태, 부품 상태 정보, 사고 횟수, 유지보수레벨, 이동체 레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열거한 데이터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체 개요 정보는 서버 및 해당 이동체에 저장, 갱신되며,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해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개요 정보는 이동체 공유를 위해 이동체가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이용 상태 정보는 이용 중인 이동체 정보, 이용 중인 이동체 예상 시간 정보, 디바이스 이동체 매칭 정보, 비활성화 디바이스 정보, 활성화 디바이스 정보, 비활성화 이동체 정보 및 활성화 이동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용 상태 정보는 현재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이용 중인 이동체 정보 및 이용 중인 이동체에 대한 예상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용 상태 정보는 리스트 형태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이동체 매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용 상태 정보는 활성화 디바이스 정보 및 비활성화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활성화 디바이스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디바이스 중에서 현재 이동체를 이용 중이고자, 이용하고자 준비 중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활성화 디바이스는 플릿 시스템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비활성화 디바이스는 플릿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으나, 이동체 공유를 이용하지 않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비활성화 디바이스는 플릿 시스템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거나 비활성화 시킨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플릿 시스템은 활성화 이동체 정보 및 비활성화 이동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복수 개의 이동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에 대한 상태 정보는 이동체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나 남은 운행 거리 정보 또는 주유 시점 정보 등과 같이 이동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이동체에 대한 상태 정보는 이동체 공유를 위해 이동체가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플릿 시스템은 상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 상태에 이상이 없고, 주유량이 충분한 이동체에 대해서는 활성화 이동체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 상태에 이상이 있는 이동체에 대해서는 비활성화 이동체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플릿 시스템은 비활성화 이동체에 대한 정보를 연계된 시스템 또는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계된 시스템 또는 서버는 비활성화 이동체에 대한 수리 또는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주유량이 일정 수준 이하의 이동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활성화 이동체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주유량이 일정 수준 이하의 이동체로 디바이스를 통해 공유되는 경우, 플릿 시스템은 알림을 통해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주유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연계된 지정 시스템(e.g. 특정 브랜드의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유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플릿 시스템은 과금이나 기타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와 무관하게 연계된 지정 시스템과 교환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체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지정된 장소에서 비용 지불 없이 주유를 할 수 있으며, 비용에 대해서는 플릿 시스템과 연계 시스템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임시 디바이스)는 플릿 시스템을 확인하여 이동체를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는 플릿 시스템을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체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플릿 시스템 또는 서버는 이동체 개요 정보, 이용 중인 이동체에 대한 정보, 이동체의 위치 정보 및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체를 디바이스에게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를 할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패에 대한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디바이스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의 이동체에 대해서만 할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디바이스는 이동체와 일정한 거리 내로 접근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이동체로 인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이용 가능한 가용 이동체 리스트에 기초하여 공유 이동체에 대한 태그를 통해 공유 이동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는 NFC, 블루투스 또는 교통카드와 같은 마그네틱에 기초하여 이동체에 대한 태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이동체는 디바이스가 태그된 경우, 플릿 시스템으로부터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 태그에 기초하여 인증이 완료되면 이동체의 문이 오픈될 수 있다.
인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과 관련하여, 디바이스가 이동체로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인증 신호가 이동체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와 디바이스가 이용할 수 있는 통신은 블루투스, NFC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태그 등일 수 있다. 즉, 일정 조건하에 인증을 위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가 해당 이동체로 접근 또는 태그하면 해당 이동체와 디바이스는 신호 교환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인증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이 포함된 그룹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신호를 이동체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수신한 인증 신호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가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는 인증 신호에 포함된 그룹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가 자신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동체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그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이동체는 디바이스로 이용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이나 기타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으로부터 이용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이동체는 인증 절차 수행 요청 신호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가 상술한 플릿 시스템(또는 서버)에 적법하게 등록되어 있고, 이동체 역시 플릿 시스템에 기초하여 적법하게 동작할 수 있는 경우, 이동체는 인증 절차 수행 요청을 위한 신호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인증 절차 수행 요청을 위한 신호에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암호키 정보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의 식별 정보와 디바이스 정보 모두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이동체의 식별 정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암호키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플릿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역시 인증 절차 수행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이동체의 식별 정보, 암호키 정보 및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플릿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로부터 수신한 신호 및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의 식별 정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암호키 정보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플릿 시스템은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이용 가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플릿 시스템은 인증 확인 정보를 이동체 및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플릿 시스템은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이용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이용하는 시간 및 추가 정보도 지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는 인증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이동체 문을 오픈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 이용을 위한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인증이 끝나면, 이동체와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가 이동체를 이용하는 동안에 이동체는 디바이스와 주기적인 신호 교환을 통해 이용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동체는 이용 중에 서버와 주기적인 데이터 교환을 통해 부품 별 모니터링 정보,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서버와 송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도 메인터넌스와 관련된 요청, 정보를 이동체와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플릿 시스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관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플릿 시스템에서는 이동체 및 디바이스가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플릿 시스템에는 사용자별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별 정보는 사용자 식별 아이디 또는 사용자의 식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 이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사용자별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 선호 정보, 이용 현황 정보, 등급 정보 및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플릿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주요 이용 경로 등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거주지, 근무지 등과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정적 위치 정보, 및 이용 요청 당시의 위치 정보와 이용 예정시의 위치 정보 등과 같이 동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한 이동체의 타입, 플릿 시스템에 제공되는 플릿 스팟의 이용 구역, 이동 경로, 목적 지점, 이용 중 주차 지점에 기초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성향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 사용을 위한 추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복수 사용자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 할당 및 분배를 위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선호 정보는 사용하는 이동체의 빈도나 선호도를 고려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호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지정하거나 추정된 상기 이동체의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사용자의 선호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은 사용자의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등급 정보는 플릿 시스템에 대한 가입 정보와 이용 실적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현황 정보 및 이동체의 이용 후의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부여되는 등급 레벨일 수 있다. 일 예로, 가입 정보는 사용자가 플릿 시스템의 서비스에 대한 계약 조건으로서 장기 계약 여부, 프리미엄 회원 가입 여부 등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용 실적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체를 이용하는 빈도, 시간 혹은 거리에 따른 이용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체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 등급 레벨이 상향될 수 있다. 일 예로, 평가 정보는 이동체 이용 후의 청결 상태, 사고와 이동체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정비 발생, 급정거/과속 등의 사용자 자신의 불량 이용으로 인한 이동체 부품의 급격한 소모도 증가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후속 사용자, 반납 후 정비 센터 또는 이용 중/후에 감지되는 이동체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에 의해 상술한 요소들이 산출 혹은 추정될 수 있다. 또한, 평가 정보는 이동체에서 사용자의 흡연 혹은 악취 유발 행위 등으로 인해, 후속 사용자, 관리자에 의해 불량 사용으로 판정되거나, 이러한 판정이 누적되는 경우에 등급 레벨이 하향될 수 있다. 아울러, 평가 정보는 이동체를 사고없이 사용하거나 불필요한 정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양호하게 사용하는 경우에 등급 레벨이 상향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이용 완료된 이동체 및 서버로부터 생성되는 이동체의 사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플릿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용 패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 별로 생활 패턴 정보 및 탑승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생활 패턴 정보는 사용자의 소비 정보, 이동체의 과거 이용시 목적 지점, 이동체의 과거 이용시 경유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탑승 패턴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체의 이용 구역과 주차면, 이동체의 평균 탑승 인원수, 탑승자 연령과 성별, 탑승자 신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릿 시스템은 이용 패턴 정보를 고려하여 대면적의 플릿 스팟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결정하고 구역에 배치된 이동체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플릿 시스템은 이용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반납할 플릿 스팟의 구역과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라 최적의 주차면을 결정하여 이동체 예약시에 통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정보들은 일 예로, 플릿 시스템을 관제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술한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이동체에 장착 또는 태그가능한 식별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과 이동체에서 통신가능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다. 식별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이동체를 할당받아 이용하는 경우에 예약한 사용자인지를 식별하여 인증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식별 디바이스는 인증 용도 외에 이동체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이동체 및 플릿 시스템(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등급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등급 레벨에 따른 혜택 정보와 페널티 정보(이하, 혜택, 페널티로 약칭함)를 이동체 제어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식별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불량 사용을 이동체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실시간 판정된 평가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 하여금 평가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의 실시간 이동 경로, 목적 지점, 경유 지점 등과 같은 생활 패턴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 하여금 생활 패턴 정보를 갱신하거나, 예약 당시 지정된 반납 구역과 주차면을 변경하도록 운영할 수도 있다. 또한, 식별 디바이스는 예약 당시와 상이한 탑승 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 하여금 탑승 패턴 정보를 갱신하거나, 예약 당시 지정된 반납 구역과 주차면을 변경할 수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식별 디바이스의 형태는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도 4는 이동체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식별 디바이스는 사용자, 제어대상, 서비스 대상 식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진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ID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모듈, 사용자 식별 모듈, 식별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식별 디바이스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일수 있다. 또한, 식별 디바이스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 상술한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일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로서 이동체에 적용되는 SIM은 Mobility SIM (M-SIM) 또는 Vehicle SIM(V-SIM)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기존의 SIM과 동일하거나 호환되는 모듈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 폰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로서 USIM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체도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식별 디바이스 카드를 내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 적용되는 식별 디바이스는 Vehicle SIM을 VSIM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이동체에 적용되는 식별 디바이스로서 새로운 타입의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VSIM은 USIM 또는 다른 SIM과 호환될 수 있다. 또한, VSIM은 이동체 특성을 고려하여 다른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와 같이, 이동체 내부에 식별 디바이스를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도 4는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서와 같이 이동체 운전석에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 부분에 식별 디바이스를 적용하기 위한 파트가 존재할 수 있다. 미도시되어 있으나, 또 다른 일 예로서, 이동체 조수석의 보관함 내부에 식별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의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부분에 식별 디바이스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이동체 내외부에 적합한 부분에 식별 디바이스를 수용가능한 슬롯이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식별 디바이스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식별 디바이스가 툴키나 차키와 결합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툴키나 차키에 식별 디바이스가 장착될 수 있고, 차키에서 탈착된 식별 디바이스를 이동체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툴키 또는 차키는 근거리 통신(e.g. 블루투스, 비콘, NFC)을 통해 이동체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고,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개인의 고유성을 반영한 차키 또는 툴키가 식별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에 장착된 기존 디바이스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에는 기존 디바이스(e.g. 도로 비용 결제 단말기, 블랙박스)가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동체에 포함된 기존 단자(e.g. USB 포트, 시가잭)를 통해 식별 디바이스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식별 디바이스는 이동체에서 인증이 가능한 범위에서 어느 위치에나 적용 가능하며, 식별 디바이스가 이동체의 제어 유닛, 통신 유닛 또는 구성 부품(Parts)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이동체에 내장된 식별 디바이스 및 이동체의 스토리지는 이동체 자신의 개요 정보 및 메인터넌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유할 수 있다. 이동체 개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 사용 과정에서 누적적으로 발생된 데이터와 현재 상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현황 정보일 수 있다. 메인터넌스 정보는 이동체의 주행 거리 데이터, 사용 기간 데이터, 이동체 부품 별 메인터넌스와 관련된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메인터넌스 정보는 이동체의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분석된 각 부품의 유지보수레벨, 각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예컨대, 정비시간, 부품입수시간, 대기시간), 이동체의 예약 상황을 포함하는 이용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 개요 정보 및 메인터넌스 정보는 서버와 공유될 수도 있거나, 서버가 상술한 정보를 생성하여 보유하며, 해당 이동체에 전송하여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릿 스팟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플릿 시스템은 공유 이동체를 할당, 반납할 수 공간인 플릿 스팟을 보유하여 운영할 수 있다. 플릿 스팟은 소정 영역에서 공유 이동체를 보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일 수 있다. 일 예로, 소정 영역은 주택 지구들 및/또는 상업 지구들이 밀집된 지역의 부근의 영역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는 플릿 시스템이 많은 인원을 수용하거나 유동 인구가 많은 주거용 및/또는 상업용 건물들 근방에서 건물들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서비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플릿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자는 단순히 건물들에 상주한 사람뿐만 아니라, 플릿 스팟 주위 지역을 방문하거나 플릿 스팟을 경유하여 다른 이동체로 환승하는 사람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플릿 시스템을 이용하는 자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릿 시스템은 소수의 이동체로 운영할 수도 있으며, 플릿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확대 및 편의성을 위해 다량의 이동체로 운영될 수도 있다. 다량의 이동체로 운영되는 경우, 플릿 스팟은 다양한 종류의 많은 이동체를 수용하기 위해 대면적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플릿 스팟이 대면적 공간으로 운영될 때, 다수 이동체가 넓은 공간에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플릿 스팟 주변의 건물, 상주 인원수, 유동 인구 등을 감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릿 스팟은 다수의 이동체를 효율적 관리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역은 플릿 스팟 주변의 건물, 상주 인원수, 유동 인구 등과 같은 구역 주변 정보를 고려하여 수용 면적과 주차면이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상업용 건물이 밀집된 지역 부근에 있는 구역 A의 경우, 건물의 상주 인원, 방문 인원 및 공유 이동체의 예상 용도(예를 들어, 출장, 배송, 근무외 사적 업무 이용 등), 공유 이동체의 평균 사용 상태도(예를 들어, 청결 이용, 경정비 요청 빈도, 장거리 이동, 탑승자 평균 인원) 등을 고려하여, 이동체의 종류로서 세단 스타일의 중형, 소형 차량부터 7~11인의 탑승가능한 차량, 개인 모빌리티 등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대형 고급 세단 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배정될 수 있다. 또한, 구역 A에 배정된 중형, 소형 차량 등은 연식 및 청결도 등의 이동체 종별 측면에서, 중간에서 우수 레벨이 최우수 레벨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배정될 수 있으며, 대형 고급 차량은 우수에서 최우수 레벨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점하도록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거 지역 부근의 구역 D인 경우, 공유 이동체가 쇼핑, 출퇴근, 가족 동승, 개인 라이프 스타일에 속한 여러 용도 등 사적인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청결 이용, 경정비 요청 빈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구역 D에 세단 스타일의 소형에서 대형 차량과 7~11인의 탑승가능한 차량이 균일하게 할당될 수 있으며, 연식 및 청결도 측면에서 우수에서 최우수 레벨의 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도록 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릿 스팟의 구역들 중에 정비 또는 점검 구역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반납 예정의 이동체에 소정 시간 동안의 이용 예약이 없으며, 플릿 시스템이 해당 이동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다음 예약이 있더라도 플릿 시스템이 이동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정비가 요망되는 것을 판정하면,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의 이용자로 하여금 애초의 반납 구역이 아닌 정비 구역으로 반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플릿 시스템이 비 정비 구역에 주차된 미사용 이동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플릿 시스템은 해당 이동체를 기 지정된 구역으로 무인 또는 유인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기 지정된 정비 구역은 이동체 정비소, 세차장, 이동체 내부 청소 업체 등 이동체의 유지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 장소일 수 있다.
정비 구역은 상술한 서버(예컨대, 관리 서버)와 별도의 정비 서버를 구비할 있으며, 정비 서버는 이동체 및/또는 서버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메인터넌스 정보를 참조하여 부품의 유지보수가 실시되면, 유지보수된 부품과 관련된 메인터넌스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체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체와 서버는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정비 서버는 정비 데이터로서, 전체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 전체 메인터너스 스케쥴링 정보, 부품의 재고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열거한 정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들을 일정 수 단위로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릿 시스템은 사용자 그룹에 할당된 이동체 또는 전속적으로 할당된 이동체 그룹을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플릿 스팟의 특정 구역에 주로 수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플릿 시스템은 그룹 단위로 이동체들에 대한 유지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 정비 구역이 정비소, 세차장 등인 경우, 이동체 그룹 별로 이동체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한 지정 영역(정비소, 세차장, 차량 내부 청소 업체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이동체에 대한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한 경우, 플릿 시스템은 그룹 별로 지정 영역으로 이동체를 유인 또는 무인으로 이동시켜, 이동체에 대한 유지 및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체 그룹별로 이동체에 대한 유지 및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한정된 시간안에 보다 많은 수의 이동체에 대한 유지 및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 그룹 별로 이동체 유지 및 관리를 위한 지원 유닛을 배치하여, 이동체가 점검 시간을 가질 시 신속한 유지 및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원 유닛은 이동체에 유지 및 관리를 위해 배치되는 정비 차량일 수 있다.
플릿 시스템은 일 예로, 중앙의 서버가 이동체 할당/반납 상태, 위치와 사용 상태와 관련된 이동체 상태 정보, 이동체의 구역 재배치 등을 복수 구역별로 관리함과 아울러서, 상술한 사용자 별 각종 정보 등을 처리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릿 시스템은 각 구역을 담당하는 슬레이브 시스템이 배치되어 상술한 이동체와 관련된 태스크를 처리, 관리하고, 사용자의 이용 요청을 접수하여 특정 구역의 이동체가 할당될 때까지의 태스크 및 사용자 별 각종 정보는 중앙의 마스터 서버에 의해 관리되도록 분산 운영될 수도 있다. 마스터 서버는 슬레이브 시스템을 이동체 관련 태스크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앙의 서버가 이동체 및 사용자 별 정보를 처리하고, 모든 구역을 관리하는 것으로 기술하나, 이러한 처리가 마스터 서버와 슬레이브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플릿 시스템은 원칙적으로 플릿 스팟에서 이동체를 대여하여 해당 구역으로 반납하도록 운영되나, 사용자 별 등급 정보, 이용 패턴 정보 등에 따라 해당 구역 외의 다른 구역으로 반납할 수도 있도록 유연하게 운영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플릿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프리미엄 서비스 종류, 일시적 요청 및 등급 정보 등을 감안하여 이종의 플릿 시스템으로의 반납을 허용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구역들이 지면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주변 건물 및 인구 등의 분포에 따라, 사용자가 상호 간에 도보 및 단거리로 운영되는 개인 모빌리티 등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범위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구역들은 지면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층 건물 시설물 내에 층별 또는 층마다 획정된 복수의 영역들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플릿 시스템이 공유 이동체를 할당하고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플릿 시스템은 이동체 할당, 관리 및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 생성,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 공유 이동체 및 서버 간에 상호 전송된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할당 및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요청,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 공유 이동체 및 서버에 전부 내장되어, 서버가 각 컴퓨팅 장치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이동체 할당 및 관리 프로세서는 서버에 의해 주로 수행되고, 메인터넌스 프로세스에서 유지보수 요청을 위한 일련의 동작이 이동체에 의해 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서버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해당 이동체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또는 공유 이동체에 누적 집계되면서, 서버의 요청에 따라 요청 당시까지 누적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는 서버가 이동체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유지보수 요청과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동체의 동작들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버에도 실질적으로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플릿 시스템에 의한 이동체 할당 및 메인터넌스 프로세스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플릿 시스템의 서버(200)에 이동체 이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용 요청은 적어도 이동체 이용 시간을 포함하여. 서버(200)로 전송되는 이용 요청은 이동체 이용 시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예로, 이용 요청 메시지는 이동체 이용 시간과 함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일 례로, 사용자가 등록한 거주지 또는 근무지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확인된 이용 요청 당시의 위치 정보이거나 사용자가 이동체의 이용시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로 입력한 동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거주지 또는 근무지로 위치 정보가 기본적으로 설정되거나 이후에 설정되면, 위치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거주지 또는 근무지가 아닌 이용 요청 당시의 위치 정보 또는 별도로 이용 예정시 위치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위치 정보는 선택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용 요청은 이동체 이용 시간 외에, 이동체의 타입, 히스토리 정보, 선호 정보, 등급 정보,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동체 타입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요청 당시 선택한 이동체의 종류, 세부 종별일 수 있다. 종류는 소형에서 대형까지의 세단 스타일의 차량, SUV, 7~11인승의 차량, 짐수송용 차량 및 개인 모빌리티일 수 있다. 종별은 이동체의 메이커와 세부 모델, 연식, 청결도, 양호 정비 상태 등일 수 있다. 히스토리 정보, 선호 정보, 등급 정보 및 이용 패턴 정보는 앞서 설명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디바이스가 플릿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을 통해 상술한 정보의 포함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경우에, 이용 요청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외하고, 이동체 이용 시간과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정된 정보에 기반한 메시지일 수 있다. 미리 설정하더라도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술한 설정 정보 및 이용 시간과 함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용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것을 추가 설정 또는 요청 당시에 요구하면, 이용 요청 메시지는 상술한 정보들을 전부 포함하여 생성됨과 아울러서, 설정 정보에서 추론되는 사용자의 추정 위치 정보에 우선하여, 사용자가 요구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릿 시스템(또는 서버)는 이용 요청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결정하며, 해당 구역의 가용 이동체를 포함하는 가용 이동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용 요청이 이동체 이용 시간과 사용자의 위치 정보로 생성되는 메시지인 경우에, 서버는 이동체 이용 스케쥴링을 참고하여, 이용 시간에 가용가능한 각 구역의 이동체를 확인하고, 가용 이동체가 확인되는 구역들 중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최인접한 구역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구역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체를 정렬할 수 있다. 이동체 정렬은 소정의 개수까지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용 요청이 이동체 이용 시간과 함께, 위치 정보와 다른 정보의 조합 또는 위치 정보 없이 다른 정보로 생성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며, 다른 정보가 히스토리 정보 및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서버는 히스토리 정보 및/또는 선호 정보에서 파악된 이동체 타입 및 플릿 스팟의 과거/선호 이용 구역에 부합하는 이동체를 이용 스케쥴링에서 탐색할 수 있다. 서버는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서 타입에 대응하는 가용 이동체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 이용 시간에 이동체 타입 및 이용 구역에 상응하는 이동체가 없는 경우에, 서버는 타입과 이용 구역에 근접한 구역과 이동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히스토리 정보가 사용자의 이동 경로, 목적 지점, 이용 중 주차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서버는 1회성보다는 빈번하게 발생된 이동 경로, 목적 지점, 주차 지점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이와 같이 생성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체 이용 용도, 예를 들어 장거리 주행, 회사 방문 목적 출장, 쇼핑 또는 주택 방문 등의 개인 용도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정보를 통해 장거리 주행의 출장으로 분석되면, 서버는 예컨대 중급 이하, 최근 연식 및 낮은 누적 거리의 세단 타입의 가용 이동체를 전 구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이동체 타입과 이용 구역을 더 감안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이용 용도에 기반하여 확인된 이동체 중 타입과 이용 구역에 부합하는 구역과 이동체를 선별할 수 있다. 한편, 이용 요청은 히스토리 정보 및/또는 선호 정보가 사용자 위치 정보와 조합되는 메시지로 생성되어 구역을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 위치 정보가 히스토리 정보 및/또는 선호 정보의 이용 구역보다 우선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서버는 히스토리 정보 등에 의해 확인된 이동체들 중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위치에 최인접한 구역부터 멀어지는 구역까지 순으로 가용 이동체를 선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용 요청의 다른 정보는 등급 정보일 수 있다. 이용 요청은 이동체 이용 시간과 함께,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등급 정보의 조합 또는 위치 정보 없이 등급 정보로 생성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서버는 이용 요청한 사용자에게 등급 정보의 등급 레벨에 따라 부여되는 혜택과 페널티를 확인하며, 확인된 혜택 및 페널티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할당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이동체의 종류, 사양, 연식, 청결 상태, 할당 구역 등을 포함하는 할당 조건에 부합되는 가용가능한 이동체와 해당 이동체의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가 최고급 사양의 세단을 불허하면서 인접 구역의 할당을 고려하지 않는 낮은 등급 레벨의 등급 정보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용 요청의 세부 옵션으로 요청의 최고급 사양의 낮은 연식의 세단을 요구하더라도, 서버는 사용자의 세부 옵션을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는 최고급 사양보다 낮은 세단들로부터 가용가능한 이동체를 조회하고, 해당 사용자보다 높은 등급의 사용자의 이용 요청과 중복되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인접하지 않는 구역의 이동체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이용 요청의 다른 정보는 이용 패턴 정보일 수 있다. 이용 요청은 이동체 이용 시간과 함께,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이용 패턴 정보의 조합 또는 위치 정보 없이 이용 패턴 정보로 생성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용 패턴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별로 생활 패턴 정보 및 탑승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용 패턴 정보는 이용 요청 이전 또는 당시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이용 요청의 메시지에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의 동의에 따라 획득된 이동체의 주행 위치 정보, 이동체 이용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물품 및 서비스 구매/거래 데이터, 이동체 탑재된 영상 획득 장치와, UWB(Ulra Wide Band), 비컨, 블루투스, 와이파이, 운행자/탑승자 전부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장착된 식별 디바이스와 이동체 간의 통신 등으로부터 인식가능한 탑승 정보 등으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생활 패턴 정보와 탑승 패턴 정보는 주행 위치 정보, 구매/거래 데이터, 탑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추론될 수 있다. 예컨대 주행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체로 경유한 장소, 목적지, 주정차 장소 등으로서, 사용자가 쇼핑몰, 병원, 출장목적의 특정 건물 등일 수 있다. 구매/거래 데이터는 사용자가 이동체를 이용한 시간에 구매, 소비한 상품 및 서비스 목록일 수 있으며, 상품은 쇼핑몰, 시장, 아웃렛 및 의류매장 등에서 구매한 상품 등일 수 있으며, 서비스는 병원 진찰, 영화, 공연장 등의 문화 서비스 등일 수 있다. 생활 패턴 정보는 최근의 이동체 이용 시간 중에 높은 빈도로 이루어진 상품/서비스 목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근에 대형병원, 정형외과, 특수 질환 관련된 병원 등에서 결제 정보가 최근 빈번하면, 생활 패턴 정보는 최근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다른 항목보다 병원 서비스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이용 패턴 정보가 결제 정보 뿐만 아니라, 최근에 자주 방문한 병원 등으로 확인되는 주행 위치 정보와 병원 방문하는 이동체 이용 시간에 동안에 주로 탑승한 고령자 등의 탑승 정보로부터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주행 위치 정보, 구매/거래 데이터 탑승 정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동하는 정보이므로, 사용자의 최근 이용 시간을 통해 획득되는 상술의 정보가 이전 과거 정보보다 높은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이용 패턴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위치들, 구매 목록들, 탑승자들 등의 정보는 순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용 요청이 생활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이면, 서버는 이용 요청한 사용자에게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이동체의 할당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이용 요청한 사용자가 최근에 자주 방문한 경유지, 목적지, 구매/거래 데이터 등을 조회한 결과, 특정 쇼핑몰에서 많은 액수와 물량의 상품들을 구매한 것으로 확인함과 아울러서, 이용 요청에서 주행 예정 위치로서 쇼핑몰이 포함되는 메시지이면, 이동체의 종류, 사양, 연식, 청결 상태, 할당 구역 등을 포함하는 할당 조건에 부합되는 가용가능한 이동체와 해당 이동체의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로, 이용 요청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가 쇼핑몰에서 다량의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서버는 다량의 상품을 적재가능한 사이즈로 구성된 SUV 타입, 최신 아닌 3~4년 전의 연식, 중하 이상의 청결 상태를 갖는 가용가능한 이동체를 선정할 수 있다. 플릿 시스템에서 할당 및 반납 구역이 가급적 동일하도록 이동체를 배치히는 점을 감안하면, 서버는 사용자의 거주지와 가급적 인접한 구역부터 상술의 선정 이동체를 선정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주거지와 근접한 반납 구역으로 이동체를 반환함으로써, 사용자는 구매한 다량의 상품들을 단거리로 자신 거주지에 운반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이용 요청한 사용자의 이용 패턴 정보를 조회한 결과, 최근에 중년층의 운전자가 고령의 탑승자와 함께 특정 병원에서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병원 서비스 결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서버는 이동체 이용 시간이 병원 방문 주기에 실질적으로 맞게 요청되었다면, 이용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의 종류, 사양, 연식, 청결 상태, 할당 구역 등을 포함하는 할당 조건에 부합되는 가용가능한 이동체와 해당 이동체의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로, 서버는 복수의 인원이 편안한 승차감으로 탑승가능한 중형 이상의 세단 타입, 최신 연식, 우수 이상의 청결 상태를 갖는 가용가능한 이동체를 선정할 수 있다. 고령의 탑승자의 이용 편의를 위해, 서버는 사용자의 거주지와 가급적 인접한 구역부터 상술의 선정 이동체를 순차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서버(200)는 이용 요청에 부합하는 이동체(300)로부터 메인터넌스 정보를 수신하고, 정비 서버로부터 메인터넌스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메인터넌스 스케쥴링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체 이용 시간이 이동체(300)의 정비 시간과 중첩되는 이동체를 상기 리스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의 등급 정보, 이용 시간에 예상되는 날씨 정보 및 메인터넌스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체(300)를 선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서버(200)는 이용 요청을 통해 목적지, 경유지를 수신한 경우, 상술의 정보와 함께, 예상 주행 경로를 참조하여 이동체를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급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체 운전 패턴을 추정하는 평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 운전 패턴은 정비를 유발하는 이동체의 부적절한 사용과 사고 빈도, 이동체 부품의 급격한 소모를 유발하는 급정거/과속, 청결 불량을 유발하는 흡연, 악취 물건 탑재, 다수 동승자의 빈도일 수 있다. 이동체 운전 패턴은 정비 과정에서 해당 원인을 규명하여 확인되거나, 이동체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에 의해 검지된 센서 데이터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정보는 이동체 부품 별 유지보수 요구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서버(200)는 등급 정보(또는 평가 정보)에서 추정되는 이동체 운전 패턴에 따른, 해당 이동체의 의 상기 요구도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해당 이동체를 선정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등급 정보 외에도, 예상 주행 경로에서의 날씨 환경, 노면 상태, 도로 경사도 등을 참고하여, 상기 요구도를 변화량을 예측하고, 상기 변화량에 따라 해당 이동체를 선별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가용 이동체 리스트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선택한 이동체에 기초한 예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용 이동체 리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 요청에서의 이동체 이용 시간 단독으로 또는 이용 시간과 함께,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이동체의 타입, 히스토리 정보, 선호 정보, 등급 정보,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 및 이동체의 탑승 패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참조하여 선정된 복수 이동체들과 해당 이동체들이 배치된 구역들을 서로 결합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가용 이동체 리스트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이동체 개요 정보, 상세하게는 이동체 별로 메인터넌스와 관련된 개요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체 개요 정보를 할 수 있다. 도 7은 이동체 개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체 개요 정보는 누적 사용 기간, 누적 주행 거리와 함께, 청결도, 주요 부품의 개략적인 상태, 유지보수 요구도를 보여주는 유지보수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어서, 서버(200)는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300)를 사용자 디바이스(100)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이동체(300)로 통지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이용 개시를 위해 이동체(300)와 인증할 수 있으며, 개시 인증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이동체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 인증 메시지는 서버(200)로 전송되어, 서버(200)는 이동체(300)의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300)는 이용 개시 시점에서 이용 종료로부터 소정 시간까지, 이용 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서버(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0)도 관련 정보를 이동체(300) 및 디바이스(1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체(300)는 위치 정보, 주행 경로 정보, 경유지 정보, 주변의 객체 정보, 주변 환경 정보, 및 메인터넌스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200)는 이동체 이용, 제어 및 반납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 이용 후의 평가 정보 및 이동체(300)에서 전송된 유지보수요청의 대응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매인터넌스 프로세스과 관련된 정보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이동체와 서버 간의 유지보수레벨 분석 및 유지보수 요청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이동체(300)와 서버(200)는 이용 종료로부터 소정 시간까지, 매인터넌스 관련 정보, 평가 정보, 이용 중 이동체 제어 및 반납에 관여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용 개시 이후로, 이동체(300)와 서버(200)는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디바이스(100)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이동체(300)가 각 부품 별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체(300)는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고,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300)는 부품이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부품들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유지보수로 결정되면, 이동체(300)는 부품의 유지보수를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동체의 누적 사용 기간 데이터과 같이 이동체 이용에 무관하게 발생되는 데이터 외에,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는 이용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이므로 이용 중에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 정보의 생성 이후의 과정은 이동체 이용 중에 수행되거나, 이용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용 전, 후에 수행되는 경우, 과거 이용으로 누적된 모니터링 정보는 이동체(300)에 저장된 후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후 과정은 누적된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소정의 이벤트는 예를 들어, 일정 주기의 도래 또는 서버(200)의 요청일 수 있다.
상술한 메인터넌스 프로세서의 상세한 설명은 도 9a 및 도 9b를 통해 기술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반납 요청을 전송하여 이동체(300)의 이용 종료가 서버(200)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는 이용 종료가 확인될 때까지 생성되어 축적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동체(300)는 종료시까지 평가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하고, 서버(200)는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평가 정보가 등급 정보에 변경을 주는 경우, 등급 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해당 이동체(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200)로부터 종료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체(300)는 평가 기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 기초 정보는 예컨대, 이동체(300)의 가혹 이용도 데이터, 이동체(300) 이용 후의 청결도 데이터, 이용 후 이동체(300)의 정비 데이터. 이용 후 사고 데이터 및 후속 사용자의 평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기초 정보의 데이터는 이동체(300)에 탑재된 센서, 카메라, 정비 관제 서버에서 전달된 정비 데이터에 의해 검출되거나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가 기초 정보가 이동체(300)에서 생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사용자 디바이스(100)도 불량 청결, 정비로 인한 비용 신속 처리 등의 평가 기초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평가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 갱신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예를 들어 도 3에서 예시된 사항일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00)는 갱신된 평가 정보와 이동체의 사용 조건에 관한 이용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등급 정보를 유지 혹은 변경할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등급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용 현황 정보는 예를 들어,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컨트랙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랙트 정보는 가입 기간, 장기 예치 뿐만 아니라, 불량 사용한 이동체의 사용 중단을 신속히 해소하기 위한 특정 요청 정보, 예컨대 청결도, 유지보수 등의 신속처리 가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등급 정보에 따른 혜택 및 페널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이용 패턴, 이동체의 상태, 사용자와 운영자의 요청 등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우수의 등급 레벨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최고급에서 저급까지의 이동체 사양 전부의 범위로 이동체를 할당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이용 시간만을 지정한 이용 요청이 있는 경우에, 서버는 해당 시간에 가용가능한 이동체 중에 가장 높은 사양부터 소정 등급의 이동체를 가용 이동체 리스트에 포함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최우수 등급 레벨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이용 시간만을 지정한 이용 요청이 있는 경우에, 최고급, 우수 사양의 이동체 중에, 연식, 청결 상태, 할당 구역의 혜택 조건을 가급적 전부 충족하는 이동체가 제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혜택은 상술한 사항으로서, 이동체 기능, 연식, 청결 상태 등과 같은 이동체의 직접적인 조건과 관련될 수도 있으며, 플릿 서비스의 편의를 위한 부가 서비스일 수 있다. 부가 서비스도 등급 레벨 별로 차등화될 수 있다. 예컨대 최우수 등급 레벨은 낮은 등급 레벨의 사용자의 이용 요청과 중복되는 경우에, 낮은 등급 레벨의 사용자에 우선하여 인접 구역의 이동체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등급 레벨이 높은 사용자는 히스토리 정보 및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빈번히 이용되는 특정 이동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신에게 편리한 주차면을 필요에 따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서버(200)는 사용자의 불량 사용에 대해 페널티를 부여하여 현재의 등급 레벨에서 향유할 수 있는 혜택 일부를 제한할 수도 있으며, 누적되는 경우에 등급 레벨을 하향시킬 수도 있다. 다만, 서버는 사용자의 이용 불량을 판단하는 경우에, 정비 발생으로 인한 이동체 정비 시간, 비용 등의 유휴도가 소정값이 이하이면, 페널티의 적용은 등급 레벨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청결 열화, 부품의 소모도 역시 부품 별 기준값 이하이면, 페널티의 적용은 등급 레벨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과실로 인해 이동체 이용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등급 레벨에 무관하게 페널티가 적용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페널티 적용에 따른 등급 정보가 하향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갱신시에 장기 계약, 많은 액수의 예치금 거치, 다른 사용자에 비해 이동체를 양호하게 사용한 행위로 인한 이동체 부품의 통상적인 소모도(기준값)에 비해 낮은 소모율, 장기 무사고, 이동체의 청결 사용 내지 청소에 의해 청결도 상승 등의 액티비티를 행한 경우에, 서버는 상술한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이용 현황 정보 및 평가 정보를 조정함과 아울러서, 등급 레벨(등급 정보)를 상향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 정보 및 등급 정보가 갱신되면, 서버(200)는 상기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이동체(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체(300) 및/또는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가 이용한 이동체의 이용 제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이동체(300)는 이용 중에 각 부품 별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여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할 수 있다(S105).
모니터링 정보는 메인터넌스 대상이 되는 부품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데이터이며, 구체적으로 부품의 소모, 불량 발생에 영향을 미치거나 부품의 비정상에 근접한 상태를 검출하는 인자 데이터일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는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부품의 메인터넌스 주기는 주행 거리 및 사용 기간에 의존하므로, 기본적인 인자로 채용될 수 있다. 도 10은 이동체 부품 별 기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는 이동체의 누적 주행 거리 및 누적 사용 기간(또는 연식)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누적 주행 거리 및 누적 사용 기간은 각 부품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정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에 의해 상기 부품의 메인터넌스가 발생한 경우, 이동체(300)와 서버(200)는 메인터넌스 발생 지점을 체크하며, 공통으로 적용되는 주행 거리 및 사용 기간에서 체크된 지점을 참조하여 해당 부품의 주행 거리 데이터와 사용 기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체(300)는 애초에 부품 별로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를 카운트할 수 있다. 특정 부품에 메인터넌스가 발생한 경우, 이동체(300)는 해당 부품에 대한 주행 거리 및 사용 기간의 시작점을 메인터넌스 발생 지점으로 갱신하여, 거리와 기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니터링 정보는 거리와 기간 외에도, 부품 별 가혹 사용을 계측하거나 추정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혹 사용은 사용자의 해당 부품에 대한 가혹한 사용뿐만 아니라, 부품의 비정상에 근접한 상태에서 해당 부품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데이터는 부품 별로 상이한 세부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세부 데이터는 고정되지 않고, 이동체 이용으로 누적된 데이터에 대한 기계학습을 통해 가변될 수 있으며, 가변된 데이터는 서버(200)에 의해 이동체(3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에서의 브레이크 패드를 예로 들면, 통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브레이크 패드의 메인터넌스 주기, 즉 브레이크 패드의 통상 메인터넌스 주기는 표준 정비값에 상응하는 4년의 사용 기간 또는 2.5만 km의 주행 거리일 수 있다. 만약 이동체 이용 동안, 브레이크 패드에 대한 가혹한 사용이 발생한 경우, 브레이크 패드는 통상 메인터넌스 주기에 도달하기 전에 정상 이용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과도한 소모 내지 불량 상태일 수 있다. 더욱이, 브레이크 패드의 불량은 이동체 안전의 치명적인 결함일 수 있어, 브레이크 패드는 이동체 이용의 안전과 관련된 안전 부품(즉, 제 1 부품륨에 속한 부품으로서, 이하 '안전 부품'으로 칭함)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혹 사용으로 인한 브레이크 패드의 메인터넌스 시점은 통상 메인터넌스 주기보다 먼저 도래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통상 주기와 다른 시점에 메인터넌스가 요구되는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부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의 부가 데이터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압, 음향 측정, 브레이크 오일 레벨, 패드 내 임계두께 감지, 이동체 실내 바닥과 브레이크 페달의 간격, 급감속도, 주행 날씨 환경, 이용 중 차량 쏠림도, 주행 경로일 수 있으며, 상술한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니터링 정보는 이동체(300)의 계측 장치, 센서, 외부 및 내부 카메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1은 브레이크 패드의 유지보수레벨을 계측하기 위한 이동체 모듈 및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브레이크 패드의 정보 획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브레이크압, 브레이크 오일 레벨, 패드 내 임계두께 감지, 이동체 실내 바닥과 브레이크 페달의 간격은 이동체(300)에 탑재된 장치로서, 각각 브레이크 페달 압력 센서, 브레이크 오일 레벨 경고 스위치, 라이닝/패드 간극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로 계측되거나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측정, 급감속도, 이용 중 차량 쏠림도, 주행 경로는 이동체(300)에 탑재된 장치로서, 각각 음향 인식 센서, 차속 센서, 휠 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장치로부터 검지될 수 있다. 주변 환경 정보는 예컨대 주행 경로 상의 날씨 정보일 수 있으며 경로 주변의 이동체, RSU, 디바이스, 기지국, 클라우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주변 객체 정보는 예를 들어 경로 상의 노면 상태와 경사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동체에 탑재된 외측 카메라, IMU/자이로 센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정밀 지도 데이터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300)는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지보수레벨은 부품 별로 획득된 모니터링 정보로서,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체(300)는 이용 중에 누적된 주행 거리와 주행 거리를 도 12에 예시된 환산 거리 및 환산 기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에, 환산 거리와 환산 기간으로 표현되는 환산값은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고, 실제 주행 거리 및 사용 기간으로 지시되는 실제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즉, 유지보수레벨은 실제값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체(300)는 부품의 부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부품의 가혹 사용인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값에 부가 데이터를 추가하여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이동체(300)는 부품의 부가 데이터를 구성하는 세부 데이터들에, 부품의 소모, 불량 발생에 미치는 영향도를 반영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가중치 데이터는 서버(200)에서 전달될 수 있으며, 서버(200)는 이동체의 이용 과정에서 누적된 데이터에 기계학습을 통해 갱신된 가중치 데이터를 이동체(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에서 브레이크 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브레이크압, 음향 측정, 브레이크 오일 레벨, 패드 내 임계두께 감지는 부품의 비정상에 근접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세부 데이터에 해당하여, 다른 세부 데이터에 비해 높은 가중치(a)가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급감속도, 주행 날씨 환경, 차량 쏠림도는 사용자의 불량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세부 데이터에 해당하고, 다른 세부 데이터에 비해 낮은 가중치(b)가 적용될 수 있다.
가중치가 적용된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여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경우,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300)는 실제값에 상기 부가 데이터를 결합한 부품 별 환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환산값은 실제값과 상이하며, 가혹 사용으로 판정하는데 기초가 된 부가 데이터를 실제값에 결합한 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체(300)는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필수 레벨은 해당 부품의 메인터넌스가 요구되는 등급이며, 부품의 상기 환산값이 표준 정비값 이상일 경우, 이동체(300)는 상기 부품을 필수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가혹 사용이 없는 경우, 상기 환산값은 부품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중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실제값과 동일하며, 실제값이 표준 정비값 이상인 부품은 필수 레벨로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혹 사용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환산값은 실제값과 부가 데이터의 결합으로 산출된 값이며, 산출된 값이 표준 정비값 이상인 부품이 필수 레벨로 확인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품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더라도,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은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하다.
잠재 레벨은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이동체(300)는 부품의 환산값이 표준 정비값의 소정 비율에 도달한 부품을 잠재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소정 비율은 부품의 특성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엔진 오일의 잠재 레벨은 비안전 부품인 점을 감안하여 표준 정비값의 약 95%에 해당하는 환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동체(300)는 부품 별로 유지보수레벨로 환산값을 산출한 후 환산값을 표준 정비값과 비교하여, 각 부품에 대한 필수레벨 또는 잠재레벨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체(300)는 도 13a 및 도 13b에서와 같이, 각 부품 별로 확인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유지보수레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더하여, 이동체(300)는 도 12에서와 같이, 필수 또는 잠재 레벨 정보 뿐만 아니라, 부품 별로 매인터넌스 관련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매인터넌스 관련 정보는 레벨 정보 외에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부품 카테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원 정보는 예를 들어, 부품의 정비 예상 시간, 부품 입수 시간, 정비 대기 시간, 정비 비용일 수 있으며,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용 상태 정보는 예컨대 이동체의 후속 예약 상태일 수 있으며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체(300)는 유지보수레벨의 분석 결과 필수 레벨의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110). 확인 결과 도 13a에서와 같이 필수 레벨 부품이 존재하면, 이동체(300)는 필수 레벨로 확인된 부품에 안전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재차 확인할 수 있다(S115). 만약 필수 레벨 부품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체(300)의 동작은 도 9b에 도시된 과정을 이행할 수 있다. 안전 부품은 이동체의 이용의 안전과 관련된 부품으로서 표준 정비값에 해당될 때 메인터넌스가 실시되지 않는 경우 이동체의 안전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하는 부품일 수 있다. 제 1 부품류보다 안전 요구도가 낮은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 즉 비안전 부품은 표준 정비값에 해당될 때 메인터넌스가 오류로 간과하거나, 표준 정비값에 소정값 범위로 초과하더러도, 이동체의 안전에 위험을 유발하지 않으며, 이동체 이용에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부품일 수 있다. 안전 및 비안전 부품은 도 12에 예시된 부품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부품일 수 있다.
필수 레벨 부품이 안전 부품을 포함하면, 이동체(300)는 필수 레벨의 부품 외의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잠재 레벨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20).
확인 결과 잠재 레벨 부품이 전혀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체(300)는 필수 레벨의 안전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서버(200)에 유지보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30).
S120 단계에서 확인 결과 잠재 레벨 부품이 존재한다고 판정되면, 이동체(300)는 제 1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잠재 레벨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35). 제 1 보조 데이터는 잠재 레벨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 및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자원 정보와 이용 상태 정보는 상술한 예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2를 통해 배터리 교체와 관련된 자원 정보를 예로 들면, 이동체(300)는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된 메인터넌스 정보로서, 배터리 교체에 소요되는 정비 시간, 부품 입수 시간, 대기 시간, 정비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300)가 배터리 교체의 부품 입수 시간 또는 대기 시간이 평균값보다 현저히 많다고 판정하면, 잠재 레벨의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이동체의 예약 상황과 달리, 해당 이동체의 예약 건수, 시간이 많이 있거나 적더라도 대체 이동체의 개수가 적은 경우, 이동체(300)는 잠재 레벨의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자원 정보 중 부품이 비안전 부품일 경우, 제 1 보조 데이터는 부품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품의 특성 정보는 이동체의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비안전 부품 별로 설정되며, 필수 레벨로부터 초과된 소정 비율을 정의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특성 정보의 소정 비율은 상기 비안전 부품 별로 규정한 이동체의 안전도 및 불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특성 정보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일례로, 불편도는 비안전 부품에 대한 사용자의 불편 메시지의 개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 부품이 사용자에게 불편을 유발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고정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조정될 있다. 불편도에 따른 특성 정보의 소정 비율은 불편 메시지의 개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응하는 표준 정비값(또는 필수 레벨)의 초과 비율로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시트의 권장 교체 주기(필수 레벨)은 2년이나, 약 2.6 년 기간이 도과하면 사용자의 불편 메시지가 급증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판단되면, 시트에서의 특성 정보의 소정 비율은 1.3배로 설정될 수 있다.
잠재 레벨의 부품이 복수인 경우에, 이동체(300)는 복수의 부품 중 일부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체(300)는 일부의 잠재 레벨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미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체(300)가 S135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잠재 레벨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하면, 이동체(300)는 필수 레벨의 안전 부품과 유지보수가 결정된 잠재 레벨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요청 메시지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140).
S130 및 S140 단계에서 서버(200)가 유지보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버(200)는 정비 서버(200)에 유지보수 요청을 전송하여 이동체(300)의 부품의 메인터넌스를 예약하고, 유지보수가 완료될 때까지 이동체(300)의 제공을 중단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이동체(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정비 서버(20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이동체(300)의 메인터넌스 스케쥴링을 생성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케쥴링은 해당 이동체의 및 다른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 전체 메인터넌스 현황 정보를 고려하여 편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비 서버(200)는 이동체(300)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유지보수된 부품의 메인터넌스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서버(200) 및 해당 이동체(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비 서버(200)는 유지보수된 부품의 메인터넌스 정보만을 서버(200) 및 이동체(300)에 전송하고, 이동체(300) 및 서버(200)는 상기 정보를 해당 이동체(300)에 기 저장된 메인터넌스 정보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한편, S115 단계에서 필수 레벨 부품이 안전 부품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이동체(300)는 제 2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수 레벨의 비안전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25). 제 2 보조 데이터는 비안전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자원 정보, 이용 상태 정보 및 특성 정보는 는 상술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비안전 부품의 특성 정보와 관련하여, 도 12에서 비안전 부품에 해당하는 엔진 오일 교환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엔진 오일의 환산 거리가 표준 정비값을 초과하여 필수 레벨에 도달하더라도, 환산 거리가 표준 정비값의 1.5 배의 범위에서 안전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체(300)는 엔진 오일 교환을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2에서 비안전 부품에 해당하는 매트 및 시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매트 및 시트가 필수 레벨에 도달하더라도, 환산 기간이 표준 정비값의 1.3 배 범위에서 사용자에게 중대한 불편감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체(300)는 매트 시트의 교체를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에로, 불편감은 비안전 부품으로 인한 불편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인원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적용되거나, 사용자가 전송한 비안전 부품의 상세 상태 메시지(예컨대 비안전 부품의 이미지 사진)로부터 분석된 결과에 기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매트 및 시트가 필수 레벨에 도달하더라도, 매트 및 시트로 인한 청결, 냄새로 인한 불편 메시지의 개수가 기준값 미만이거나, 시트의 이미지로부터 분석된 결과로 교체없이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200)는 중대한 불편감이 유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25 단계에서 필수 레벨의 비안전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면, 이동체(300)는 S120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유지보수를 미진행할 것으로 결정하면, 이동체(300)의 동작은 도 9b의 과정으로 이행될 수 있다.
도 9b의 과정은 S110 및 S125 단계에서와 같이 필수 레벨 부품이 없는 경우, 잠재 레벨의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205)부터 개시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잠재 레벨 부품이 없으면, 이동체(300)는 현재 또는 장래의 이용을 제공하고, 유지보수 요청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이동체(300)는 도 13b에서와 같이 잠재 레벨의 부품이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이동체(300)는 잠재 레벨 부품이 안전 부품을 포함하는지를 확인하고, 안전 부품의 개수가 제 1 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5). 잡 레벨 부품이 안전 부품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이동체(300)는 제 2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수 레벨의 비안전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25). 이동체(300)는 제 3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잠재 레벨의 안전 부품에 대한 유지 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3 보조 데이터는 안전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자원 정보, 이용 상태 정보 및 특성 정보는 는 상술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 부품이 복수 개인 경우, 안전 유지보수로 결정된 안전 부품의 개수가 기준값 이상을 만족하여야 해당 부품의 유지보수가 진행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제 1 값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동체(300)는 잠재 레벨의 안전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미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이동체(300)는 현재 또는 장래의 이용을 제공하고, 유지보수 요청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잠재 레벨의 안전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동체(300)는 잠재 레벨의 비안전 부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S220). 비안전 부품이 존재하면, 이동체(300)는 제 4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수 레벨의 비안전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25). 제 4 보조 데이터는 비안전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및 이동체의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자원 정보, 이용 상태 정보 및 특성 정보는 는 상술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비안전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면, 이동체(300)는 상술한 확인 결과로 결정된 잠재 레벨의 안전 및 비안전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요청 메시지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230).
한편, S220 및 S225 단계에서 잠재 레벨의 비안전 부품이 없거나 비안전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의 미진행으로 결정되면, 이동체(300)는 확인 결과로 결정된 잠재 레벨의 안전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요청 메시지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235).
S230 및 S235 단계에서 서버(200)가 유지보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버(200)는 정비 서버(200)에 유지보수 요청을 전송하여 이동체(300)의 부품의 메인터넌스를 예약하고, 유지보수가 완료될 때까지 이동체(300)의 제공을 중단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이동체(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정비 서버(20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이동체(300)의 메인터넌스 스케쥴링을 생성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케쥴링은 해당 이동체의 및 다른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 전체 메인터넌스 현황 정보를 고려하여 편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비 서버(200)는 이동체(300)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유지보수된 부품의 메인터넌스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서버(200) 및 해당 이동체(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비 서버(200)는 유지보수된 부품의 메인터넌스 정보만을 서버(200) 및 이동체(300)에 전송하고, 이동체(300) 및 서버(200)는 상기 정보를 해당 이동체(300)에 기 저장된 메인터넌스 정보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메인터넌스 주기가 도래한 부품이 소수일 때 이동체의 이용 및 메인터넌스의 상황에 무관하게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면, 플릿 시스템에서 메인터넌스의 관리 부담이 증대되고, 이동체의 가동율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부품의 속성, 유지보수레벨, 이용 및 메인터넌스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실행하므로, 메인터넌스의 관리가 경감되고 이동체의 가동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할당 과정에 관한 순서도이다.
서버(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이용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05). 이용 요청은 도 6에서 설명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어서, 서버(200)는 요청한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10).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용 누적 정보로서, 예를 들어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등급 정보, 히스토리 정보 및 이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0)는 이용 요청에 부합하는 임시 가용 이동체 리스트를 생성하고, 임시 리스트 내에 적어도 잠재 레벨 이상의 부품을 갖는 이동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15). 여기서, 적어도 잠재 레벨 이상은 잠재 레벨 또는 필수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확인을 위해, 서버(200)는 임시 리스트 내의 이동체(300)로부터 메인터넌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메인터넌스 정보로 이동체 부품의 유지레벨보수를 확인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잠재 레벨 이상의 부품을 갖는 이동체(300)가 임시 리스트에 포함되면,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이동체의 이용시에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필수 레벨로 예측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20). 판단 결과 필수 레벨로 예측되면, 서버(200)는 필수 레벨 예상 이동체의 이용을 불허하도록, 해당 이동체를 제외한 가용 이동체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제시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필수 레벨이 있는 이동체가 없다고 판단되면, 서버(200)는 잠재 레벨의 이동체를 포함한 가용 이동체 리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S315 단계에서 임시 리스트 내에 잠재 레벨의 이동체가 없다고 판단되면, 서버(200)는 임시 리스트와 동일하도록, 이용 요청에 부합하는 가용 이동체 리스트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할당 과정에 관한 순서도이다.
서버(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동체(300)의 유지보수 종료 예정 시간 이후의 이용 예약을 접수하면(S405), 서버(200)는 이동체(300)의 실제 종료 시간이 초과되는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S410). 예측 결과 초과되면, 서버(200)는 이동체(300)의 이용 예약을 취소하면서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불사용을 통지하고, 예약 이동체의 대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문의할 수 있다(S420). 예측 결과 초과되지 않으면, 서버(200)는 요청된 이동체의 예약을 확정할 수 있다(S425).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이용 중 유지보수 결정 및 이동체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동체(300)는 이용 동안에,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고,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할 수 있다(S505). 계속하여, 이동체의 사용 중에, 필수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10). 확인 결과, 필수 레벨 부품이 있다고 확인되면, 이동체(300)는 필수 레벨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15). 이러한 결정은 도 9a, 9b에서의 유지보수여부 결정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필수 레벨 부품의 유지보수가 결정되면, 이동체(300)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반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525). 이와 동시에 또는 단독으로, 이동체(300)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체의 제어권 전환을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이동체(300)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는 정비 서버(200)에 유지보수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S530). 한편, S510 및 S515 단계에서 N으로 판정되면, 이동체(300)은 이용을 유지할 수 있다(S520).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부품 주문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각 이동체(300)는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할 수 있다(S605). 각 이동체(300)는 잠재 레벨 부품이 소정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10). 이 단계에서는 모든 이동체(300)로부터 수집된 잠재 레벨 부품의 종류 및 개수를 취합하도록, 서버(200)는 각 이동체로부터 잠재 레벨 부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정 개수 이상의 부품들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이동체(300)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는 잠재 레벨의 부품들의 재고를 추론하는 부품 현황 정보 및 이동체의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부품을 주문할 수 있다(S615). 부품 현황 정보는 정비 서버의 재고 정보 및/또는 메인터넌스 정보의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정 개수 미만의 부품들이 잠재 레벨이면, 이동체(300) 및/또는 서버(200)는 부품 주문 요청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장치는 상술한 이동체, 디바이스, 서버 및 RSU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연동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장치(1000)는 상술한 동작을 위해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송수신부(1030) 및 디스플레이(1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을 포함하거나, 상호 간의 데이터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예로, 장치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술한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55)

  1.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플릿 시스템을 위한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한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과 함께, 상기 부품의 가혹 사용을 계측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 및 상기 부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부품 별 환산 주행 거리 및 상기 환산 사용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환산값을 산출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레벨 및 상기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의 환산값이 상기 표준 정비값에 도달한 상기 부품을 상기 필수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부품의 환산값이 상기 표준 정비값의 소정 비율에 도달한 부품을 상기 잠재 레벨로 결정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에 속한 복수의 세부 데이터들마다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부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산출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필수 레벨의 부품 외의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필수 레벨과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레벨과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들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필수 레벨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청함과 아울러서,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이 제 1 부품류에 속한 부품인 경우에,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이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인 경우에, 상기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조 데이터는 상기 제 2부품류의 부품 별로 설정되며, 상기 필수 레벨로부터 초과된 소정 비율을 정의한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 별로 상기 이동체의 안전도 및 불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제 1 부품류의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개수가 제 1 값 이상이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3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류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한 경우,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4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용 요청과 사용자의 이용 누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 요청과 상기 이용 누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체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이동체의 부품이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도달할지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할 부품의 발생이 예측되면,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불허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이동체의 사용 중에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체의 사용 중에,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유지보수를 결정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체의 반납 요청을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체의 제어권 전환을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예약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 이상의 부품들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들의 재고를 추론하는 부품 현황 정보 및 상기 이동체의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부품을 주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획득 단계,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의 분석 단계, 상기 필수 레벨 또는 상기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의 확인 단계, 및 상기 유지보수의 요청 단계는 상기 이동체에서 수행되는,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방법.
  20. 플릿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실행가능한 이동체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체의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되,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한, 이동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품의 가혹 사용을 계측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것은 상기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 및 상기 부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부품 별 환산 주행 거리 및 상기 환산 사용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환산값을 산출하는, 이동체.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레벨 및 상기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부품의 환산값이 상기 표준 정비값에 도달한 상기 부품을 상기 필수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부품의 환산값이 상기 표준 정비값의 소정 비율에 도달한 부품을 상기 잠재 레벨로 결정하는, 이동체.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것는 상기 부가 데이터에 속한 복수의 세부 데이터들마다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부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산출하는, 이동체.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필수 레벨의 부품 외의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필수 레벨과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레벨과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들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것은,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필수 레벨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청함과 아울러서,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이동체.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부품이 제 1 부품류에 속한 부품인 경우에,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부품이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인 경우에,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제 2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여부를 결정하는, 이동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조 데이터는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 별로 설정되며, 상기 필수 레벨로부터 초과된 소정 비율을 정의한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 별로 상기 이동체의 안전도 및 불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이동체.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제 1 부품류에 속한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개수가 제 1 값 이상이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3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류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한 경우,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4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이동체.
  3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동체의 이용 요청과 사용자의 이용 누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체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이동체의 부품이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도달할지를 예측하고,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할 부품의 발생이 예측되면,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불허하도록 서버를 제어하는, 이동체.
  3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사용자의 이동체의 사용 중에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이동체의 사용 중에,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유지보수를 결정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체의 반납 요청을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체의 제어권 전환을 실행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예약 요청하는, 이동체.
  3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한 후에,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이동체.
  37. 플릿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실행가능한 서버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되,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한, 서버.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이동체의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과 함께, 상기 부품의 가혹 사용을 계측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서버.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것은 상기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 및 상기 부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부품 별 환산 주행 거리 및 상기 환산 사용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환산값을 산출하는, 서버.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레벨 및 상기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부품의 환산값이 상기 표준 정비값에 도달한 상기 부품을 상기 필수 레벨로 결정하고, 상기 부품의 환산값이 상기 표준 정비값의 소정 비율에 도달한 부품을 상기 잠재 레벨로 결정하는, 서버.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는 것는 상기 부가 데이터에 속한 복수의 세부 데이터들마다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주행 거리 데이터, 상기 사용 기간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부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산출하는, 서버.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필수 레벨의 부품 외의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필수 레벨과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레벨과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들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것은,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필수 레벨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청함과 아울러서,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서버.
  44.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부품이 제 1 부품류에 속한 부품인 경우에,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서버.
  45.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부품이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인 경우에,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조 데이터는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 별로 설정되며, 상기 필수 레벨로부터 초과된 소정 비율을 정의한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비율은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 별로 상기 이동체의 안전도 및 불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서버.
  47.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제 1 부품류에 속한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개수가 제 1 값 이상이면,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서버.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3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서버.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 레벨에 도달한 부품이 제 2 부품류에 속한 부품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류의 부품에 대해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서버.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를 결정한 경우,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자원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4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부품류의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요청하는, 서버.
  5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동체의 이용 요청과 사용자의 이용 누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체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이동체의 부품이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도달할지를 예측하고,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할 부품의 발생이 예측되면,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불허하도록 설정하는, 서버.
  5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로부터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사용자의 이동체의 사용 중에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것은,
    상기 이동체의 사용 중에,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유지보수를 결정하면,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이동체의 반납 요청을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체의 제어권 전환을 실행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예약 요청하는, 서버.
  5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한 후에,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서버.
  54.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 개수 이상의 부품들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잠재 레벨의 부품들의 재고를 추론하는 부품 현황 정보 및 상기 이동체의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부품을 주문하는, 서버.
  55.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되며 이동체의 메인터넌스 프로세스를 실행가능한 플릿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릿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
    상기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플릿 시스템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및 상기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체의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상기 부품 별 유지보수레벨을 분석하고,
    상기 유지보수레벨로 필수 레벨 또는 잠재 레벨에 해당하는 부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부품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하거나, 상기 부품이 잠재 레벨에 도달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의 상기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에 따라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를 요청하고,
    상기 잠재 레벨은 상기 필수 레벨보다 낮은 값이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주행 거리 데이터 및 사용 기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부품의 표준 정비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부품의 유지보수레벨이 상기 필수 레벨에 도달가능한, 플릿 시스템.
KR1020210072981A 2020-08-24 2021-06-04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25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08,735 US20220058891A1 (en) 2020-08-24 2021-08-23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intaining Moving Object, and Moving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497 2020-08-24
KR20200106497 2020-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655A true KR20220025655A (ko) 2022-03-03

Family

ID=8081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981A KR20220025655A (ko) 2020-08-24 2021-06-04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56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7370B2 (en) Distributed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s for connected fleet
US10360518B2 (en) Shared vehicle management device
US8825354B2 (en) System for supporting a user of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CN110271484B (zh) 车辆控制装置
JP2002074578A (ja) 車両共用システムにおいて車両を効率的に再配置する方法
CN111798622A (zh) 在车队系统中提供移动物体共享服务的方法及设备
US11847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moving object for fleet system
US2022005889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intaining Moving Object, and Moving Object
CN109978219B (zh) 车辆运行管理装置
WO2013137180A1 (ja) 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予約管理方法
US20220058761A1 (en) Method of returning a moving object for a fleet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US2022005853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llocating a moving object for a fleet system
US202002505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object
KR20220025655A (ko) 이동체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방법, 이동체, 장치 및 시스템
CN110249363B (zh) 停车位管理系统、停车位管理方法以及存储有程序的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057810A1 (en) Method for interlinking heterogeneous fleet systems, device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KR20220025651A (ko) 플릿 시스템을 위한 이동체 반납 방법 및 장치
KR20220025647A (ko)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플릿 시스템을 위한 이동체 할당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002490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sharing in fleet system
KR20220025646A (ko) 플릿 시스템을 위한 이동체 할당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421066B2 (ja) タイヤ空気圧管理システム、及びタイヤ空気圧管理方法
JP2002074574A (ja) 車両共用システムにおける車両のモニタリング
KR101924346B1 (ko) 실시간 차량 예약 관리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3001958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a micro mobility device
KR20220025658A (ko) 이종 플릿 시스템의 연동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