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913A -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냉각 기기 - Google Patents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냉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913A
KR20220024913A KR1020227002431A KR20227002431A KR20220024913A KR 20220024913 A KR20220024913 A KR 20220024913A KR 1020227002431 A KR1020227002431 A KR 1020227002431A KR 20227002431 A KR20227002431 A KR 20227002431A KR 20220024913 A KR20220024913 A KR 2022002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asket
support frame
arm
connecting rod
rod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라비나 알란가르 수브라만야
란지스 케이 에스
바트 앤드류 누스
수셸 쿠마르 판다
암루스 엠 데바사하얌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하이엘 유에스 어플라이언스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하이엘 유에스 어플라이언스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5Synchronisation of cooperating drawer slides, i.e. with a coordination of the rail movement of different drawe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60Tiltably- or pivotally-arrang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냉각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모터를 이용하여 제1연결대 기구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연결대 기구는 제2연결대 기구에 연결되어, 제1연결대 기구의 회전은 제2연결대 기구를 가동하도록 한다. 제2연결대 기구의 가동은 가이드 칼럼과 수평 가이드 레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약되고, 여기서 상기 가이드 칼럼은 제2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은 지지 프레임 수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약 하에서, 제2연결대 기구는 대체적으로 선형 운동과 축회전을 진행한다. 제2연결대 기구의 일단 상에 저장 바구니를 연결하고, 여기서 제2연결대 기구의 축회전은 저장 바구니를 상승시킨다.

Description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냉각 기기
본 발명은 냉각 기기의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식 승하강 저장 바구니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냉각 기기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저장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단열실을 한정한다. 일부 냉각 기기는 음식물을 빙점 이상에서 저장하는 신선실 및 음식물을 빙점 이하에서 저장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신선실 및 냉동실은 케이스 내부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부동한 위치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그 중에 저장된 음식물이 편리하게 보이거나 접촉될 수 있는 냉장실을 더 선호한다. 그러나 냉각 기기의 케이스 내의 신선실 및 냉동실의 배치는 음식물의 가시성 및 가촉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일부 냉각 기기(일반적으로 양문형 냉각 기기로 칭함)에서, 케이스 내의 신선실은 냉동실의 바로 옆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냉각 기기 문안에 저장된 음식물을 넣고 꺼낼 수 있게 한다. 기타 냉각 기기(일반적으로 상냉장-하냉동 냉각 기기기로 칭함)에서, 케이스 내의 냉동실은 냉장실의 하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치는 비교적 넓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가지 경우는 모두 단열실의 밑판 부근의 공간을 이용하고 있고, 특히 노약자 사용자라면 넣고 꺼내기에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많은 냉각 기기는 단열실의 하부에 서랍을 제공하는 것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아래로 냉장고의 밑부분에 닿아야 하고, 또한 안으로 냉장고의 뒷부분으로 뻗어야 한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확실히 넣고 꺼내기에 도움이 되지만, 근본적인 문제점, 즉 음식물이 서랍 내에서 너무 낮게 저장되어 많은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릎을 꿇지 않으면 닿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전동식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을 가지는 냉각 기기가 냉각 기기 내장물의 가촉성 방면에서 활용적일 것이다.
아래의 서술에서 부분적으로 본 발명의 각 측면들과 유리한 점들을 기술하고, 또는 이들은 해당 서술에서 자명할 것이고, 또는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내용의 일 측면에 있어서, 냉각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냉각 기기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단열실 및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을 포함하고;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지지 프레임 수단, 가동적으로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는 저장 바구니, 제1연결대 기구, 모터 및 제2연결대 기구를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열실 내에 설치되고, 또한 수평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제1연결대 기구는 가동적으로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어, 저장 바구니와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모터는 제1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여기서 모터를 구동시키면 제1연결대 기구는 회전하게 되고; 제2연결대 기구는 제1암, 제2암 및 가이드 칼럼을 더 포함하고; 제2연결대 기구의 제1암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제1암의 제1단은 제1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제2연결대 기구의 제2암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제2암의 제1단은 저장 바구니에 연결되고, 상기 제2암의 제2단은 암의 각도를 180도 이하로 한정하는 암관절 위치에서 제1암의 제2단에 연결되고; 가이드 칼럼은 제2연결대 기구와 수평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또한 암관절 위치에서 제2연결대 기구에 연결된다.
본 발명 내용의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을 제공한다.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지지 프레임 수단, 가동적으로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는 저장 바구니, 제1연결대 기구, 모터 및 제2연결대 기구를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 수단은 수평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제1연결대 기구는 가동적으로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어, 저장 바구니와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하고; 모터는 제1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여기서 모터를 구동시키면 제1연결대 기구는 회전하게 되고; 제2연결대 기구는 제1암, 제2암 및 가이드 칼럼을 더 포함하고; 제2연결대 기구의 제1암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제1암의 제1단은 제1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제2연결대 기구의 제2암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제2암의 제1단은 저장 바구니에 연결되고, 상기 제2암의 제2단은 암의 각도를 180도 이하로 한정하는 암관절 위치에서 제1암의 제2단에 연결되고; 가이드 칼럼은 제2연결대 기구와 수평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또한 암관절 위치에서 제2연결대 기구에 연결된다.
아래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기타 특징, 측면 및 장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분에 속하고 일부분을 구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또한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하게 또한 실시 가능하게 가장 바람직한 실시 방식을 포함한 본 발명을 공개하였다.
도1은 본 발명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도1의 예시적 냉각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3은 도1의 예시적 기계실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여기서 냉장고 문은 열린 위치에 있고;
도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기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기의 일부분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여기서 하나의 문은 기본상 열린 위치로 뻗어 있고;
도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을 구비한 냉각 기기의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7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의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저장 바구니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의 각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지만, 저장 바구니는 생략하여 기타 유닛을 보이게 하고;
도7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의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저장 바구니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의 각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지만, 저장 바구니는 생략하여 기타 유닛을 보이게 하고;
도8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저장 바구니가 없음)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저장 바구니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의 각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8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저장 바구니가 없음)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저장 바구니가 부분적으로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의 각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8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저장 바구니가 없음)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저장 바구니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의 각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9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스프링으로 보조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저장 바구니가 없음)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여기서 저장 바구니는 하강된 위치에 있고;
도9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스프링으로 보조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저장 바구니가 없음)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여기서 저장 바구니는 상승된 위치에 있고;
도10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참조하여, 도면으로 그 하나 또는 다수의 예시를 설명하였다. 매개 예시는 모두 본 발명에 대해 해석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상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상황 하에서,본 발명에 대해 각종 수정과 변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은 해당 분야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서의 일부분 설명 또는 서술된 특징은 다른 실시예와 함께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동등 내용의 범위 내에서의 이런 종류의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아래에 여러개 단어에 대해 정의하였다. 정의된 단어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인정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유사하게는, "또는"은 일반적으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표시한다(즉 "A 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양자"를 표시함). "제1", "제2", "제3"은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한 수단과 다른 한 수단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지, 각 수단의 정확한 위치 또는 중요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내" 및 "외" 등 단어는 냉각 기기에 대응하는 내부 및 외부의 상대적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고, 특히 그 중에 한정된 음식물 저장실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내" 또는 "내부를 향해"는 냉각 기기 내부의 방향을 향하는 것을 가리킨다. "좌", "우", "앞", "뒤", "정상부" 또는 "바닥부" 등 단어는 사용자가 냉각 기기에 접근하는 시각을 참조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냉장고 앞에 서서 냉장고 문을 열고, 음식물 저장실 내로 손을 뻗어서 그 중의 음식물을 꺼낸다.
이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도면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냉각 기기(10)의 여러개 도면를 제공하였다. 도1은 냉각 기기(10)의 정면도이다. 도2는 예시적 냉각 기기(1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3은 냉각 기기(10)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여기서 한 쌍의 냉장고 문(40, 50)이 열린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냉각 기기(10)는 하우징 또는 케이스(1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또는 케이스는 세로 방향(V), 측 방향(L) 및 가로 방향(T)을 한정하고(예를 들면, 도2), 매개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는 세로 방향(V)을 따라 정상부(14)와 바닥부(16) 사이에서 연장되고, 측 방향(L)을 따라 제1측(예를 들면, 좌측)(18)과 제2측(예를 들면, 우측)(20) 사이에서 연장되며, 또한 가로 방향(T)을 따라 앞측(22)과 뒷측(24) 사이에서 연장된다.
케이스(12)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단열실(99)을 한정하고, 단열실(99)은 독립된 신선실(100) 및 냉동실(102)을 포함하며, 음식물을 수용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신선실(100)은 케이스(12)의 정상부(14) 또는 정상부(14)에 접근하여 설치된다. 냉동실(102)은 세로 방향(V)을 따라 신선실(100)의 하부(예를 들면, 케이스(12)의 바닥부(16) 또는 바닥부(16)에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나 신선실과 냉동실(100, 102)은 냉동 기기(10) 내의 다른 한 적합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냉각 기기(10)는 액체물 또는 얼음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분배 수단(132)을 더 포함한다. 분배 수단(132)은 분배기(134)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134)는 냉각 기기(10)의 외부에 위치하거나 설치되고, 예를 들면, 냉장고 좌측문(5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아래의 더 상세한 설명에 의하면, 냉각 기기(10)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을 포함하고(예를 들면, 도6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냉장고 문(40, 50)의 하부에 설치되어, 냉동실(102) 내의 음식물을 선택적으로 넣고 꺼내도록 구성된다.
냉각 기기(10)는 컨트롤러(144)를 더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44)는 냉각 기기(10)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44)는 분배 수단(132)과 통신(예를 들면, 전기적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어 패널은 범용I/O("GPIO")장치 또는 기능 모듈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어 패널은 다수의 입력 수단, 예를 들면 회전 다이얼, 버튼과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등 각종 기기, 기계 또는 기전의 입력 장치 중의 하나 또는 다수를 포함한다. 제어 패널은 하나 또는 다수의 시그널 라인 또는 공유 통신 버스를 통해 컨트롤러(144)와 통신(예를 들면, 전기적 연결)을 진행한다.
컨트롤러(144)는 메모리 및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장치(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등), 예를 들면 냉각 기기(10)의 작업과 관련되는 프로그래밍 명령 또는 마이크로 제어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범용 또는 전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DRAM과 같은 동적 임의 접근 메모리, 또는 ROM 또는 FLASH와 같은 판독 전용 메모리를 표시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비전이성 프로그래밍 명령을 실행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분리된 수단이거나, 프로세서 자체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컨트롤러(144)를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에 의지하지 않고, 독립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로직 회로(예를 들면, 스위치, 증폭기, 적분기, 비교기, 트리거, 논리곱 회로 등)의 조합을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냉각 기기(10)는 문(154)에 장착되는 핸들(152)을 포함한다. 문(154)을 포함하여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12)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핸들(152)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T)을 따라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을 냉동실(102)에서 밀어 넣고 잡아 당길수 있다.
통상적으로, 문(154)은 제1측(218)과 제2측(220) 사이에서 측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정상부(214)와 바닥부(216) 사이에서 세로 방향(V)을 따라 연장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문(154)은 외표면(158)(예를 들면, 케이스(12)에서 멀어짐) 및 내표면(160)(예를 들면, 케이스(12)를 향함)을 포함하고, 외표면(158) 및 내표면(160)은 측 방향(L)을 따라 제1측(218)에서 제2측(220)으로 연장된다. 조립된 후, 문(154)은 선택 가능하게 케이스 개구(162)를 커버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개구를 통해 냉동실(102)로 진입할 수 있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선실(100) 내에는 각종 저장 수단이 설치되어, 대체적으로 음식물 저장에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 수단은 문선반(116), 서랍(120) 및 선반(122)을 포함하고, 문선반(116), 서랍(120) 및 선반(122)은 신선실(100) 내에 설치된다. 문선반(116), 서랍(120) 및 선반(122)은 음식물(예를 들면, 음료수 또는 고체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음식물에 대한 정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도면에는 냉각 기기(10)(특히 냉동실(102))의 예시적 실시예의 여러개 개략도를 제공하였다. 도4 및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문(154)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12)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문(154)은 가로 방향(T)을 따라 기본상 열린 위치(도5)와 기본상 닫힌 위치(도4)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기본상 열린 위치에서, 메인 개구(162)는 총체적으로 커버되지 않고, 냉동실(102)로 진입할 수 있다(예를 들면 사용자는 메인 개구(162)를 통과함). 대비적으로, 닫힌 위치에서, 메인 개구(162)는 기본상 커버되고, 냉동실(102)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한다. 예를 들면, 문(154)은 케이스(12)와 결합할 수 있고, 세로 방향(V) 및 측 방향(L)을 따라 메인 개구(162)를 가로 질러(예를 들면, 도1을 참조), 이로써 가로 방향(T)을 따라 냉동실(102)의 적어도 일부분을 밀봉시킨다. 기타 실시예에서, 문(154)은 축회전 가능하게 케이스(12)에 설치되고, 이로써 문(152)이 열릴 때, 메인 개구(162)가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인 개스킷(172)은 문(154) 상(예를 들면, 문(154)의 내표면(160) 상)에 설치 또는 장착된다. 문(154)을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하면, 문(154)은 접촉 가능하게 개스킷(172)을 케이스(12)의 대응하는 외표면으로 압박한다. 상세하게는, 메인 개스킷(172)은 케이스(12)의 외표면과 맞대어 밀봉을 진행하여 냉동실(102)을 밀봉한다. 체환 실시예에서, 메인 개스킷(172)은 케이스(12)의 외표면(158)에 설치되고, 또한 문(154)이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케이스(12)는 메인 개스킷(172)을 문(154)의 내표면(160)으로 압박한다. 더 상세하게는, 메인 개스킷(172)은 문의(154)의 내표면과 맞대어 밀봉을 진행한다. 이해 가능한 것은, 메인 개스킷(172)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메인 개스킷(172)은 탄성 고무 또는 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제 도6,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의 예시적 실시예의 여러개 사시도를 제공하였다. 일반적으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저장 바구니를 상승시키도록 하여, 바구니 내에 담은 물품을 더 쉽게 꺼내서 이용하기가 편리하다. 특히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지지 프레임 수단(302), 저장 바구니(306), 제1연결대 기구(308), 모터(310) 및 제2연결대 기구(312)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모터(310)를 구동시키면, 모터(310)와 서로 연결된 제1연결대 기구(308)를 회전하게 한다. 제1연결대 기구(308)는 제2연결대 기구(31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제1연결대 기구(308)의 회전은 제2연결대 기구(312)를 선형 수평이동과 축을 따라 회전하게 한다. 저장 바구니(306)는 나아가 제2연결대 기구(312) 상에 연결되고, 이로써 제2연결대 기구(312)의 축회전은 저장 바구니(306)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이하,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 그 부품 및 그 상호 작용에 관련한 상세한 서술은 이러한 조작들을 진일보 설명할 것이다.
도6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 수단(302)은 케이스(12)에 설치되어, 저장 바구니(306)가 가로 방향(T)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하고, 내장실(102)로 수납된다. 이로써 지지 프레임 수단(30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실(102) 내에 수용된다. 지지 프레임 수단(302)은 제2연결대 기구(31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평 가이드 레일(304)을 더 포함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아래의 진일보 서술을 보기로 하자.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 수단(302)은 제1지지 프레임(3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프레임(332)은 냉동실(102) 내에 설치(예를 들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 수단(302)은 제1지지 프레임(3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제2지지 프레임(3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 프레임(334)은 냉동실(102) 내의 들이민 위치(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실(102) 외부의 내민 위치(도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저장 바구니(306)는 제2지지 프레임(334)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써 상기 들이민 위치와 상기 내민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외, 지지 프레임 수단(302)은 장착 프레임(3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착 프레임(336)은 제2지지 프레임(334)에 연결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장착 프레임(336)을 이용한 실시예에서, 장착 프레임(336)은 수평 가이드 레일(304)을 한정할 수 있고, 상기의 지지 프레임 수단(302)의 일반적 서술을 참조하여, 아래에 진일보 상세한 서술을 하기로 한다. 체환 실시예에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냉동실(102)(또는 기타 단열실(99))을 상대로 정지하고 움직이지 않는다(예를 들면, 슬라이딩 가능하지 않음). 일부 실시예에서, 제2지지 프레임(334)은 불필요한 것이고, 또한 장착 프레임(336)은 직접 제1지지 프레임(332)에 연결될 수 있다. 기타 체환 실시예에서, 제1지지 프레임(332) 및 장착 프레임(336)은 하나의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일체형 구조는 냉동실(102) 내 또는 문(154) 상에 설치된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문(154)은 지지 프레임 수단(302)에 설치 (예를 들면, 고정 설치) 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지지 프레임(334)은 문(154)에 연결되고, 또한 구동 하에 문(154)과 동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문(154)을 열고 닫을 때) 제2지지 프레임(334)은 문(154)과 함께 슬라이딩을 한다.
일부 실시에에서, 저장 바구니(306)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저장 바구니(306)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12)에 설치되어, 냉동실(102)에 수납된다. 선택적으로, 저장 바구니(306)는 제2지지 프레임(334)에 장착되어, 저장 바구니(306)는 또한 구동 하에 문(154)과 동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7A 및 도7B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의 사시도이고, 여기서 저장 바구니(306)를 생략하여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의 기타 부분을 장애가 없이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도7A 및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모터(310)를 더 포함하여, 저장 바구니(306)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적어도 일부분의 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모터(310)는 자동 잠금 웜 기어 박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자동 잠금 웜 기어 박스는 모터(310)에서 생성된 힘을 저항하는 것으로, 모터(310)가 운행하는 회전 속도(예를 들면, 1분당 회전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웜 기어 박스의 이러한 저항력은 모터가 우연히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우연한 회전은 부가된 하중(예를 들면, 상승된 위치에 있는 저장 바구니(306) 및 그 내부에 담은 물품의 중량)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다. 또한 혹은 또는, 모터(310)의 회전 속도의 감소는 직접적으로 비교적 낮은 속도로 저장 바구니(306)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전환하여, 저장 바구니(306)의 안전한 움직임에 유리하다. 기타 실시에에서, 모터는 본 발명과 일치한 해당 분야에서 기지의 기타 유형의 기어 박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터(310)는 커플러(309)에 부착(예를 들면, 고정 장착)되고, 상기 커플러(309)는 또한 축(311)에 부착(예를 들면, 고정 부착)된다. 축(311)은 연장되어 장착 프레임(336)을 통과하고, 이로써 축(311)을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에 정착시킨다. 또한 제1연결대 기구(308)는 축(311)과 연결된다. 이로써, 모토(310)를 구동시키면 커플러(309), 축(311) 및 제1연결대 기구(308)를 회전하게 한다. 상기 축(311)의 정착에 의해, 제1연결대 기구(308)는 (장착 프레임(336)을 경과하여) 가동적으로 지지 프레임 수단(302)에 장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8A 내지 도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대 기구(308)는 또한 제2연결대 기구(312)에 연결된다. 임의의 적합한 연결 방식(예를 들면, 키웨이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연결대 기구(312)는 제1암(314) 및 제2암(320)을 포함한다. 제1암(314)은 제1단(316) 및 제2단(318)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암(320)은 제1단(322) 및 제2단(324)을 구비한다. 제1암(314)의 제1단(316)은 제1연결대 기구(308)에 연결된다. 또한, 제1암(314)의 제2단(318) 및 제2암(320)의 제2단(324)은 암관절(326)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고, 제1암(314)과 제1암(314) 사이는 180도보다 작은 암각도(예를 들면, 고정된 암각도)를 한정한다. 이외, 제2암(320)의 제2단(324)은 저장 바구니(306)에 연결되고, 도10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로써 저장 바구니(306)는 가동적으로 지지 프레임 수단(302) 상에 부착된다.
다시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제2연결대 기구(312)는 가이드 칼럼(3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칼럼(330)은 제2연결대 기구(312)의 암관절(326) 위치에 연결된다. 가이드 칼럼(330)은 제2연결대 기구(312)와 수평 가이드 레일(304)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가이드 레일(304)과 상호 작용하고 또한 수평 가이드 레일(304)에 의해 지지된다. 수평 가이드 레일(304)은 리지, 협홈, 요홈 또는 임의의 가이드 칼럼(330)을 지지하고 또한 가이드 칼럼(330)이 세로 방향(V) 상에서의 가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형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예를 들면, 지지 프레임 수단(302))의 부분적 상방에는 보호 커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안전, 미관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의 가동 유닛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여(예를 들면, 음성 트리거,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으로 선택)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을 구동시킨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컨트롤러(144)에 전달된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사용자가 저장 바구니(306)를 승강 또는 하강하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경우, 컨트롤러(144)는 적응하는 방향을 따라 모터(310)를 구동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하강된 위치로부터 저장 바구니(306)를 상승시키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도8A에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시작된다. 구동 모터(310)는 커플러(309) 및 축(311)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유닛의 회전은 제1연결대 기구(308)가 유사한 회전을 하게 한다. 제1연결대 기구(308)와 제2연결대 기구(312) 사이에 연결이 존재함으로써, 제2연결대 기구(312)를 가동하게 한다. 제2연결대 기구(312)는 암관절(326) 위치에서 가이드 칼럼(330) 상에 연결되고, 또한 가이드 칼럼(330)의 가동이 수평 가이드 레일(304)의 제약을 받기 때문에, 상기 제2연결대 기구(312)의 가동은 수평 가이드 레일(304)과 거의 수평을 이룬다. 이외, 제2연결대 기구(312)는 가이드 칼럼(330)에 설치된 암관절(326)을 둘러싸고 축회전하며, 도8B-도8C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제2연결대 기구(312)의 이러한 축회전은 제2연결대 기구(312)의 제2암(320)을 상승 시킨다. 저장 바구니(306)는 제2연결대 기구(312)의 제2암(320)에 장착되어, 제2연결대 기구(312)의 가동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상승된 위치(도8C)에 도착할 때까지 상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 바구니(306)는 가동적으로 지지 프레임 수단(302)에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모터(310)의 회전은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이 기본상 곧은 수직선을 따라 저장 바구니(306)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해에 의하면, 저장 바구니(306)가 기본상 수직을 유지하는 거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연결대 기구(308) 및 제2연결대 기구(312)의 사이즈에 의해 확정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과부하 보호 장치를 더 포함하여, 모터(310)에 과중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상기 과부하 보소 장치는 중량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중량 부담 연결 위치(예를 들면, 제1연결대 기구(308)와 제2연결대 기구(312) 사이 또는 제2연결대 기구(312)와 저장 바구니(306) 사이)에 설치된다. 중량 센서는 저장 바구니(306)의 상승 및 그 내장물에 의해 생긴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중량 센서는 부가되는 하중과 전류 소모(예를 들면, 모터(310)측)를 서로 관련시키도록 구성되고, 과부하가 생길 때, 모터(31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이제 도9A 및 도9B를 참조하면,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나선형 스프링(340)을 더 포함한다. 나선형 스프링(340)은 지지 프레임 수단(302)의 수평 가이드 레일(304)과 수평을 이루도록 방향을 지정한다. 나선형 스프링(340)은 제1단(342) 및 제2단(344)을 구비한다. 나선형 스프링(340)의 제1단(342)은 가이드 칼럼(330)에 연결된다. 나선형 스프링(340)의 제2단(344)은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의 앞단(338)에 연결(예를 들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앞단(338)은 단열실(99)을 멀리하여 연장된다. 저장 바구니(306)가 상기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칼럼(330)은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의 앞단(338)에서 가장 멀리한 위치(예를 들면, 가로 방향(T)을 따라)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나선형 스프링(340)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의 앞단(338)의 방향을 따라 가이드 칼럼(330) 상에 힘을 부가시킨다. 해당 힘은 모터(310)가 저장 바구니(306) 및 그 내장물을 상승시키도록 도모하여, 모터(310)가 필요하는 회전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혹은 또는, 저장 바구니(306)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칼럼(330)은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의 앞단(338)에서 가장 접근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로써, 나선형 스프링(340)은 수축된 위치에 있게 된다. 유리하게는, 나선형 스프링(340)은 저장 바구니(306)를 하강된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나선형 스피링(340)의 장력을 극복하도록 하여, 저장 바구니(306)의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도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제1상승 상태 센서(346) 및 제2상승 상태 센서(348)를 더 포함한다. 도9A 및 도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승 상태 센서(346)는 지지 프레임 수단(302)에 설치되고, 또한 저장 바구니(306)의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칼럼(330)과 마주하게 한다. 제2상승 상태 센서(348)는 지지 프레임 수단(302)에 설치되고, 또한 저장 바구니(306)의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칼럼(330)과 마주하게 한다. 그러므로 저장 바구니(306)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칼럼(330)은 제1상승 상태 센서(346)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346)는 모터(310)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컨트롤러(144)를 리마인드한다. 마찬가지로, 저장 바구니(306)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칼럼(330)은 제2상승 상태 센서(348)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348)는 모터(310)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컨트롤러(144)를 리마인드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저장 바구니(306)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제1상승 상태 센서(346)는 제1연결대 기구(308)와 마주하고, 또한 저장 바구니(306)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제2상승 상태 센서(348)는 제1연결대 기구(308)와 마주한다. 상기에서 검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상승 상태 센서(346) 및 제2상승 상태 센서(348)는 제1연결대 기구(308)에 의해 트리거된 후, 컨트롤러(144)를 리마인드하여 모터(3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상승 상태 센서(346) 및 제2상승 상태 센서(348)는 위치 제한 스위치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1상승 상태 센서(346) 및 제2상승 상태 센서(348) 중의 하나 또는 두개는 홀 효과 센서이고, 자석의 자기장을 감응하는 것으로, 상기 자석은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 중의 가이드 칼럼(330) 또는 제1연결대 기구(308) 상에 또는 중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부가적 상승 상태 센서(예를 들면, 제1상승 상태 센서(346)와 제2상승 상태 센서(348) 사이에 설치)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저장 바구니(306)의 위치 인덱스를 검측하도록 하여, 흐름이 예상대로 진행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개홈 축(350)을 포함하고, 상기 개홈 축(350)은 저장 바구니(306)의 뒷측(352) 상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또한 혹은 또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300)은 지지 프레임 수단(302) 상에 설치된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354)를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354)는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354)의 앞측(358)에 있는 돌출부(356)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돌출부(356)와 개홈 축(350)은 매치된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돌출부(356)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홈 축(350) 중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저장 바구니(306)가 하강된 위치와 상승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356)는 개홈 축(350) 내에서 슬라이딩을 한다. 유리하게는, 돌출부(356)와 개홈 축(350)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저장 바구니(306)가 상승된 상태와 하강된 상태 사이(예를 들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를 경과할 때 기울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혹은 또는, 개홈 축(350)은 문(154)의 내표면에 설치되고 또한 그 내표면 상에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356)는 저장 바구니(306)의 앞측 상에 위치하여, 개홈 축(350)과 매치되고, 이로써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홈 축(350) 내에 수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이러한 실시예는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354)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해당 서면상 서술은 예시적으로 본 발명(가장 바람직한 실시방식을 포함)을 공개하였고, 또한 해당 분야의 임의의 당업자가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조하고 사용하며 및 임의의 수용된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특허 범위는 청구범위서에 의해 한정되고, 또한 해당 분야 당업자라면 생각해낼 수 있는 기타 예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예시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다를 것이 없는 구조 유닛을 포함하거나 해당 기타 예시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실질적 차이가 없는 동등한 구조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예시는 청구범위서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단열실;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단열실 내에 수용되고 또한 수평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수단;
    가동적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는 저장 바구니;
    가동적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 바구니와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1연결대 기구;
    상기 제1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구동시키면 상기 제1연결대 기구를 회전하도록 형성된 모터;
    제1암, 제2암 및 가이드 칼럼을 포함하는 제2연결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암의 제1단은 상기 제1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암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암의 제1단은 상기 저장 바구니에 연결되고, 상기 제2암의 제2단은 암의 각도를 180도 이하로 한정하는 암관절 위치에서 상기 제1암의 제2단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칼럼은 상기 제2연결대 기구와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암관절 위치에서 상기 제2연결대 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은,
    상기 단열실 내에 고정 설치된 제1지지 프레임;
    상기 제1지지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냉각 기기의 상기 단열실 내의 들이민 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냉각 기기의 상기 단열실 외부의 내민 위치 사이에서 가동하는 제2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장착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프레임은 또한 상기 냉각 기기의 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상기 단열실을 멀리하여 연장되는 앞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나선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의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과 수평을 이루도록 방향을 지정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제1단은 상기 가이드 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제2단은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의 상기 앞단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 상에는 제1상승 상태 센서 및 제2상승 상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 바구니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는 상기 제1연결대 기구와 마주하고, 또한 상기 저장 바구니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는 상기 제1연결대 기구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는 위치 제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는 홀 효과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 상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에 접근하여 제1상승 상태 센서 및 제2상승 상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 바구니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는 상기 가이드 칼럼과 마주하고, 또한 상기 저장 바구니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는 상기 가이드 칼럼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는 위치 제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는 홀 효과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상기 저장 바구니의 뒷측 상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개홈 축;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 상에 설치되는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의 앞측에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저장 바구니의 상기 개홈 축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은, 문의 내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개홈 축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의 저장 바구니는, 그 앞측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문의 상기 개홈 축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기.
  13. 수평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수단;
    가동적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는 저장 바구니;
    가동적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 바구니와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1연결대 기구;
    상기 제1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구동시키면 상기 제1연결대 기구를 회전하도록 형성된 모터;
    제1암, 제2암 및 가이드 칼럼을 포함하는 제2연결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암의 제1단은 상기 제1연결대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암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암의 제1단은 상기 저장 바구니에 연결되고, 상기 제2암의 제2단은 암의 각도를 180도 이하로 한정하는 암관절 위치에서 상기 제1암의 제2단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칼럼은 상기 제2연결대 기구와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암관절 위치에서 상기 제2연결대 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14. 제13항에 있어서,
    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문은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단열실을 멀리하여 연장되는 앞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은 나선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의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과 수평을 이루도록 방향을 지정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제1단은 상기 가이드 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제2단은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의 상기 앞단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 상에는 제1상승 상태 센서 및 제2상승 상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 바구니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는 상기 제1연결대 기구와 마주하고, 또한 상기 저장 바구니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는 상기 제1연결대 기구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 상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에 접근하여 제1상승 상태 센서 및 제2상승 상태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 바구니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상승 상태 센서는 상기 가이드 칼럼과 마주하고, 또한 상기 저장 바구니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상승 상태 센서는 상기 가이드 칼럼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구니의 뒷측 상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개홈 축;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설치되는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가이드의 앞측에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저장 바구니의 상기 개홈 축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문은, 문의 내표면 상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개홈 축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의 저장 바구니는, 그 앞측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문의 상기 개홈 축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KR1020227002431A 2019-07-26 2020-07-23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냉각 기기 KR20220024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22,771 US10932568B2 (en) 2019-07-26 2019-07-26 Motorized basket lifting mechanism
US16/522,771 2019-07-26
PCT/CN2020/103782 WO2021017997A1 (zh) 2019-07-26 2020-07-23 储物篮提升组件以及具有其的制冷电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913A true KR20220024913A (ko) 2022-03-03

Family

ID=7418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431A KR20220024913A (ko) 2019-07-26 2020-07-23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냉각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32568B2 (ko)
KR (1) KR20220024913A (ko)
CN (1) CN114127497B (ko)
WO (1) WO2021017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96320A1 (en) * 2019-03-22 2022-06-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943844A4 (en) * 2019-03-22 2022-11-23 LG Electronics Inc. FRIDGE
KR20210007647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2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1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39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6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4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8709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08707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20130185A1 (de) 2020-11-16 2022-05-19 Paul Hettich Gmbh & Co. Kg Haushaltsgerät mit einem Lagerbehälter
US11879643B1 (en) * 2021-04-09 2024-01-23 Sub-Zero Group Appliance with removable panel
US11796245B2 (en) * 2021-12-13 2023-10-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wing-up stora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9864A (en) * 1954-07-14 1956-03-27 Gen Motors Corp Vertically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support
US3759593A (en) * 1971-09-29 1973-09-18 G Walter Rack for bottles and cans
US5474376A (en) 1992-03-09 1995-12-12 Saunders; Donald W. Support linkage apparatus assembly
GB2396087B (en) * 2002-12-06 2006-03-29 Qualcomm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aptive control of data buffering in a data transmitter
KR100555826B1 (ko) 2003-10-04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690645B1 (ko) *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AU2004242445B2 (en) * 2004-07-16 2006-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100690646B1 (ko) * 2004-07-1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52583B1 (ko)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19732B1 (ko) * 2004-07-2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90647B1 (ko) * 2004-07-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08687B1 (ko) 2004-08-26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완충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US20060066189A1 (en) 2004-09-30 2006-03-30 Steve Bond Shelf extending and lifting system
US7784888B2 (en) 2004-10-26 2010-08-3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700777B1 (ko) 2005-03-0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바스켓 구동장치
US20070194674A1 (en) 2006-02-21 2007-08-23 Michael Salter Lifting and Barrier Mechanism
US7628461B2 (en) * 2006-07-20 2009-12-08 Maytag Corporation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US20090057514A1 (en) 2007-09-04 2009-03-05 Oh Sung I Mounting system adapted to extend and retract in a straight line
US8231190B2 (en) * 2008-02-01 2012-07-31 Whirlpool Corporation Articulated freezer drawers
KR20110080874A (ko) * 2010-01-07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어셈블리
US8827390B2 (en) * 2012-07-19 2014-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features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container
US9510679B2 (en) * 2012-11-09 2016-12-06 Ravi Nikhil Bhatt Drawer mechanism
US9107494B2 (en) 2013-03-14 2015-08-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9377238B2 (en) 2013-03-14 2016-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SE537015C2 (sv) 2013-03-21 2014-12-02 Handiquip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höj- och sänkbar skåpsinredning
DE102014114285A1 (de) * 2014-10-01 2016-04-07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Möbel und Haushaltsgerät
KR101649151B1 (ko) 2014-12-31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8088802A1 (en) 2016-11-10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06595211A (zh) 2016-11-10 2017-04-2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搁物架的升降同步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568291A (zh) 2016-11-10 2017-04-1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搁物架的升降同步系统
CN106642958B (zh) 2016-11-18 2019-08-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具有其的冰箱
KR20180064761A (ko) 2016-12-06 2018-06-15 (주) 프렉코 승강장치
CN108253680A (zh) * 2016-12-28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DE102018132800A1 (de) * 2018-05-15 2019-11-21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und Möbel oder Haushaltsgerät
CN109579425A (zh) * 2018-12-25 2019-04-0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和具有其的制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27497B (zh) 2023-03-21
US20210022496A1 (en) 2021-01-28
CN114127497A (zh) 2022-03-01
US10932568B2 (en) 2021-03-02
WO2021017997A1 (zh)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4913A (ko) 저장 바구니 상승 수단 및 이를 구비한 냉각 기기
CN106662390B (zh) 冰箱
KR100700776B1 (ko) 냉장고, 냉장고의 도어제어장치 및 도어제어방법
KR100458228B1 (ko) 식기세척기
KR10253091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90033189A1 (en) Door Actuation Device for Actuating the Door of a Refrigerator/Freezer Cabinet
US20060013677A1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US8220472B2 (en) Dishwasher machine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EP2299215A2 (e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90255292A1 (en) Refrigeration Device having a Height-Adjustable Carrier for Refrigerated Goods and a Safety Cut-Off System
KR20100126169A (ko)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시스템 및 구동 제어 방법
KR102530693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8292381B2 (en) Consumer appliance such as dishwasher with soft open door mechanism
JP2009186141A (ja) 冷蔵庫
KR20240014567A (ko)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CN103017470A (zh) 用于冰箱的电动抽屉组件及具有它的冰箱
EP2482703A1 (en) A built-in dishwasher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on its door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20090012693A (ko) 자동열림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JP4249118B2 (ja) 食器洗い機
KR101715936B1 (ko) 냉장고
JP4994130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CN112353141A (zh) 一种食品柜的控制方法
CN112021832A (zh) 一种食品柜
JP6920587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