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058A -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에서 플레이팅하는 방법 및 편직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에서 플레이팅하는 방법 및 편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058A
KR20220024058A KR1020217041137A KR20217041137A KR20220024058A KR 20220024058 A KR20220024058 A KR 20220024058A KR 1020217041137 A KR1020217041137 A KR 1020217041137A KR 20217041137 A KR20217041137 A KR 20217041137A KR 20220024058 A KR20220024058 A KR 2022002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yarns
needle
edge
kn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뵈른늘레
롤란트 지멘딩어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22002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04B9/3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by pla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04B15/60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needle cylinders for purl work or for Links-Links loop 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편기에서 복합 바늘로 플레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편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두 개의 얀이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에 삽입된다. 싱커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 내로, 바늘 생크의 방향으로, 안내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얀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실린더에 고정 배치된 녹-오버 에지에 대해 이동된다. 싱커는 또한 가이드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적하는 이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녹-오버 에지에 대해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에서 플레이팅하는 방법 및 편직 장치
본 발명은 복합 바늘을 갖는 플레이팅된 편직 제품의 환편을 위한 방법 및 편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 및 플레이팅된 편직 제품의 제조를 위한 환편기의 많은 상이한 실시예들이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DE69024050T2는 루프 형성 동안 베이스 얀 및 파일 얀(pile yarn)을 홀딩하는 하향 경사 홀딩-다운 및 녹킹-오버 싱커(knocking-over sinker)를 갖는 환편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절차는 편직 밀도 또는 얀의 유형이 변경될 때 설정을 조정할 필요를 없애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시된 래치 바늘 대신 복합 바늘을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있다.
그러나, 실제로, 래치-클로저 이동이 없기 때문에 복합 바늘의 후크 내로 하나 이상의 얀의 삽입이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래치-클로저 이동은 후크를 향한 래치의 폐쇄 이동이며, 이 이동에 의해 외부에 있지만 후크 영역에 인접해 있는 얀은 래치에 의해 후크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경험에 따르면, 이러한 이유로 복합 바늘은 플레이팅된 편직 제품 제조에 사용되지 않는다.
DE4131508A1은 무엇보다도 복합 바늘 및 얀 삽입 수단을 갖는 파일 니트 패브릭의 제조를 기재하고 있다. 얀 삽입 수단은 삽입 영역 내에서 두 개의 얀을 둘러싸도록 의도되고 적어도 파일 얀의 경우 녹-오버 에지(knock-over edge)로 사용된다.
상기 언급된 간행물 중 어느 것도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에서 플레이팅된 편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편직기, 또는 싱커와 같은 편직 도구를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플레이팅된 편직 제품"이라는 용어는 특히 베이스 패브릭의 표면 위로 돌출된 루프들이 없는 편직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돌출 루프들이 있는 편직 제품을 파일 패브릭(pile fabric)이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선행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에서 플레이팅된 편직 제품을 안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편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적어도 2개의 얀이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으로 도입된다. 이를 위해 선행 기술의 얀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싱커는 실린더에 움직이지 않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녹-오버 에지에 대해, 얀들의 분리된 안내를 위한 가이드 수단을 통해 싱커가 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으로, 복합 바늘의 바늘 생크 쪽으로 안내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얀들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싱커는 길이 방향으로 녹-오버 에지에 평행하게, 그리고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에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상기 녹-오버 에지에 수직으로 이동하므로, 가이드 수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얀을 추적하는 이동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얀 및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얀이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에 삽입된다.
가이드 수단의 이동에 의해, 본 발명에 제공된 바와 같이, 모든 얀은 복합 바늘의 후크에 의해 단단히 포착되고, 또한 다른 얀(들)에 대해 필요한 순서 및/또는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추적 이동으로 인해 특히 탄성 얀이 그 경로에서 불필요하게 변위되지 않아서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서로에 대한 얀들의 필요한 순서 또는 위치는 높은 생산 속도에서도 훨씬 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복합 바늘을 사용하면 래치 바늘로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생산 속도가 가능하다.
싱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적어도 얀이 복합 바늘의 후크에 의해 단단히 둘러싸일 때까지 얀을 추적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추적 이동"이라는 용어는 싱커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이 적어도 간헐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얀의 경로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상기 경로에 근접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싱커가 경로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얀 가이드는 기계 내에서 고정 지점으로서 기계 프레임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배치된다. 얀은 적어도 주로 얀 가이드의 마지막 편향 지점으로부터 루프 형성이 일어나는 위치까지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된다. 얀이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하며 얀이 공급되는 경로는 종종 고정되어 있다. 이것은 인장 응력을 받는 얀이 기계 프레임과 관련하여 분명히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바늘과 싱커는 실린더와 싱커 홀더의 회전 운동에 의해 얀 가이드를 지나 이동된다. 바늘은 미끄러질 때 후크로 얀을 포착하기 위해, 추가로 실린더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승 및 후퇴 운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커는 싱커 홀더에 의해 그들에게 부과된 회전 운동에 더하여, 싱커 가이드 수단의 이동 경로가 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얀의 비스듬하게 하향 연장한 경로를 추적하는 그런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전진 운동을 수행하고, 가이드 수단의 이동 경로 또는 궤도는 얀의 경로에 부분적으로 상응한다. 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싱커 가이드 수단에 의해 안내되고 특히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얀의 고정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얀 가이드로부터 루프 형성 위치까지의 직선 경로가 아니며, 싱커 가이드 수단과의 첫 번째 접촉 위치에서, 싱커 가이드 수단이 얀과 맞물리지 않는 경우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점을 갖는다.
플레이팅은 특히 스포츠 분야에서 고도로 신축성 있는 편직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탄성 얀 및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얀을 사용하는 편직 공정을 지칭할 수 있다. 파일 편직물의 형성은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다. 코튼은 예를 들어 비탄성 얀으로 간주되지만 엘라스테인은 본 발명에서 전형적인 탄성 얀으로 간주된다.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은 일 부분이 후크의 내부면과 바늘 생크의 상단에 의해 제한되고 다른 부분이 바늘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바늘의 후크 팁으로부터 바늘 생크의 상부 에지까지 연장하는 가상선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인 것으로 이해된다. 후퇴하는 동안 바늘은 이 공간에 배치된 얀을 후크로 둘러싸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녹-오버 에지는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녹-오버 에지는 가로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된다. 녹-오버 에지는 실린더와 일체로 배치되거나 실린더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부품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적 이동은 선형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흔들리는 운동으로, 즉 곡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들의 조합도 바람직할 수 있다.
싱커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적하는 동안의 이동 후, 싱커는 루프의 녹-오버 동안 임의의 얀과 접촉하지 않도록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뒤로 이동한다. 루프 형성 동안 파일 루프가 싱커에 의해 홀딩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히 파일 형성 동안 이러한 이동은 불가능하다. 싱커가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추가 시간 덕분에 그리고 싱커를 사용한 파일 형성과는 달리, 싱커 이동의 유연한 시퀀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싱커는 루프의 녹-오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는 적어도 그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조기에 후퇴될 수 있다. 싱커는 루프 형성 중에 후퇴될 수 있거나 파일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얀과의 접촉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 후퇴되었을 수 있다.
홀딩 다운 수단은 전진될 수 있다. 즉, 기능적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홀딩 다운을 종종 둘러싸기라고도 한다. 따라서, 홀딩 다운 또는 둘러싸기의 기능을 갖는 싱커를 종종 홀딩 다운 싱커라고 한다. 루프를 홀딩 다운할 필요성은 그렇지 않으면 바늘이 올라갈 때 바늘에 의해 루프가 올라가고, 이는 균일하지 않은 루프 구조를 생성한다는 사실에서 파생된다. 마찰 기반 루프 상승은 균일하게 발생하지 않는다. 홀딩 다운 수단은 싱커 또는 추가 싱커에 배치될 수 있다. 홀딩 다운 수단은 복합 바늘이 상승하기 시작할 때 그 위에 매달린 루프를 취하여 완전히 전진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복합 바늘이 최상의 반전 위치에 도달하면 홀딩 다운 수단이 철회될 수 있다. 철회된 상태에서 홀딩 다운 수단은 기능하지 않는다. 즉, 얀과 접촉하지 않는다. 추가 싱커에 배치된 경우 홀딩 다운 수단은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 위로 이동될 수 있다. 편직 시스템에 추가 싱커를 배치하면 가이드 수단이 있는 싱커가 공간과 시간에 대해 훨씬 더 유연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얀 추적 이동이 각각의 얀의 경로에 따라 훨씬 더 잘 조정될 수 있다.
복합 바늘이 최상의 위치까지 상승하면, 홀딩 다운 수단 및 가이드 수단이 후퇴되어 얀이 복합바늘의 후크 영역에 다시 삽입되고 복합바늘의 후크에 의해 녹-오버 에지로 이동될 수 있다.
복합 바늘로 플레이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직 장치는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배치된 녹-오버 에지를 갖는 실린더, 복합 바늘, 적어도 2개의 얀 및 적어도 하나의 싱커를 포함한다. 싱커는 적어도 2개의 얀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싱커는 녹-오버 에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녹-오버 에지에 평행하게 이동하며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에 수직인 높이 방향으로 상기 녹-오버 에지에 수직으로 이동하여, 싱커가 실을 추적하는 가이드 수단의 이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얀을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으로, 바늘 생크 쪽으로 안내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얀(4, 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편직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얀과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제공된 바와 같이 가이드 수단이 있는 싱커의 배치에 의해, 모든 얀들은 후크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고, 또한 다른 얀(들)에 대해 필요한 순서 및/또는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추적 이동으로 인해, 특히 탄성 얀이 그 경로로부터 불필요하게 변위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얀의 필요한 순서는 높은 생산 속도에서도 훨씬 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고정 요소에 녹-오버 기능이 할당되고 적어도 하나의 개별 요소에 홀딩 다운 및 삽입 기능이 할당된 결과, 루프 형성 중 싱커의 정지가 필요하지 않으며 공간뿐만 아니라 시간적 측면에서도 유연하게 이동될 수 있다.
싱커 상의 가이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싱커의 단부 에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단부 에지는 적어도 하나의 싱커의 모든 이동 단계 동안 높이 방향에 평행한 에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얀들을 안내하고 및/또는 이들을 분리되게 유지하는 융기부들 및/또는 함몰부들이 에지 섹션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3개 이상의 얀이 후크 영역으로 안내되고 싱커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싱커는 적어도 하나의 싱커의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홀딩 다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싱커가 전진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싱커의 홀딩 다운 수단을 형성할 수 있는 에지가 녹-오버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홀딩 다운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싱커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싱커는 길이 방향으로,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 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편직 장치는 복합 바늘, 슬라이더 및 싱커와 같은 편직 도구의 이동을 시작하기 위한 실린더 구동 수단과 캠과 같은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직 장치는 얀 가이드 및 다른 얀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루프 형성 공정 동안 주어진 시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편직 시스템을 상징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제 2 시점에서 도 1의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제 3 시점에서 도 1의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제 4 시점에서 도 1의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제 5 시점에서 도 1의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제 6 시점에서 도 1의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은 제 7 시점에서 도 1의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8은 제 8 시점에서 도 1의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는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 위로 외부로부터 파지할 수 있는 추가 싱커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복합 바늘의 후크 영역 위로 내부로부터 파지할 수 있는 추가 싱커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변형된 편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루프 형성 공정 동안 주어진 시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편직 시스템(1)을 상징적으로 도시한다. 복합 바늘(3)은 루프를 넘어 이미 상승하기 시작했다. 싱커(6)는 최대 후퇴 위치에 있다. 콤파운드 바늘(3)의 후크에는 미리 소정의 깊이의 루프로 형성된 탄성 얀(4)과 비탄성 얀(5)이 감겨있다. 비탄성 얀(5)은 탄성 얀(4) 아래에 있고 여전히 녹-오버 에지(2)에 접촉하고 있다.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7)은 중괄호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7)은 후크(15), 바늘 생크(9) 및 슬라이더(16)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싱커(6)는 도 1의 왼쪽 끝에 안내 부분(8)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부분(8)에는 예를 들어, 높이 방향(H)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2개의 에지 섹션(11 및 12)이 있다. 2개의 함몰부가 각각 융기부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싱커(6)에는 높이 방향(H)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에지 섹션(11 및 12)이 형성되어 있다. 싱커(6)는 높이 방향(H)으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싱커(6)의 에지에 의해 형성된 홀딩 다운 수단(10)을 더 포함한다. 길이 방향(L), 높이 방향(H) 및 가로 방향(Q)이 좌표계로 표시된다.
도 2 내지 도 8은 루프 형성 공정의 다른 단계에서 도 1의 편직 시스템(1)을 도시한다. 따라서 좌표계 및 일부 도면 부호는 이들 도면에서 다시 도시 및 설명되지 않는다.
도 2에서, 복합 바늘(3)은 계속 상승하고 얀들(4 및 5)은 더 이상 후크(15)에 의해 녹-오버 에지(2)에 홀드 다운되지 않는다. 싱커(6)는 에지(13)로 얀들(14 및 15)을 홀드 다운하기 위해 전진했고 얀들이 복합 바늘(3)과 함께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서, 복합 바늘(3)은 상향 이동을 완료하여 최상의 위치에 도달하였다. 얀들(4와 5)은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을 떠나 싱커(6)의 에지(13)에 의해 홀드 다운된다. 얀들(4와 5)은 바늘(3)의 상향 경사를 극복하여 슬라이더(16)가 후크 영역(7)을 폐쇄하게 하고 얀들(4 와 5)이 슬라이더(16)와 후크(15)를 통해 넘어지게 한다.
도 4에서, 복합 바늘(3)은 후퇴 운동을 시작했고 싱커(6)는 후퇴 위치에 있어서 얀들(4, 5)이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7)으로 새로 도입될 수 있다.
도 5에서, 복합 바늘(3)은 후퇴 운동을 계속했고 싱커(6)는 가이드 수단(8)으로 얀(4)과의 접촉을 시작하기에 충분히 전진했다.
도 6에서, 싱커(6)가 길이 방향(L)으로 더 전진했고 더 나아가 높이 방향(H)으로 녹-오버 에지(2)에 접근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 위치에서, 싱커(6)는 얀(4)을 후크 영역(7)에 고정하고 얀들(4와 5)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한다.
도 7에서, 마지막으로 2개의 얀들(4, 5)이 있는 후크 영역(7)은 슬라이더(16)에 의해 폐쇄되고, 복합 바늘(3)이 후퇴 운동을 계속하고 더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두 개의 얀들(4와 5)은 복합 바늘(3)의 후크(15)에서 서로에 대해 올바른 순서와 올바른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도 8에서 복합 바늘(3)은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여 마지막 루프를 넘어뜨렸다. 싱커(6)는 이미 후퇴된 위치에 있으므로 더 이상 높이 방향으로 후크 영역(7)을 덮지 않으며 루프 녹오버를 방지할 수 없다.
도 9는 길이 방향(L)으로, 외부로부터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7) 위로 파지할 수 있는 추가 싱커(14)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편직 시스템(1)을 도시한다.
도 10은 길이 방향(L)으로, 내부로부터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7) 위로 파지할 수 있는 추가 싱커(14)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된 편직 시스템(1)을 도시한다.
1: 편직 장치
2: 녹-오버 에지
3: 복합 바늘
4: 탄성 얀
5: 비탄성 얀
6: 싱커
7: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
8: 싱커(6)의 가이드 수단
9: 복합 바늘(3)의 바늘 생크
10: 홀딩 다운 수단
11: 싱커(6)의 에지 섹션
12: 싱커(6)의 에지 섹션
13: 홀딩 다운 수단(10)을 형성하는 싱커(6)의 에지
14: 추가 싱커
15: 후크
16: 슬라이더
L: 길이 방향
Q: 가로 방향
H: 높이 방향

Claims (13)

  1. 적어도 2개의 얀들(4, 5)은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7)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싱커(6)는, 가이드 수단(8)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싱커(6)가 상기 얀들(4, 5)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복합 바늘(3)의 상기 후크 영역(7)으로, 바늘 생크(9)쪽으로 안내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얀들(4, 5)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실린더 상에 고정 배치되며 길이 방향(L) 및 가로 방향(Q)으로 연장되는 녹-오버 에지(2)에 대해 이동되는, 환편기에서 복합 바늘로 플레이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싱커(6)는 또한 상기 길이 방향(L)으로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L) 및 상기 가로 방향(Q)에 수직인 높이 방향(H)으로 상기 녹-오버 에지(2)쪽으로, 상기 가이드 수단(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얀들(4, 5)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는 이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얀(4) 및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얀(5)이 복합 바늘(3)의 상기 후크 영역(7)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6)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얀(4)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얀(5)을 추적하는 동안의 이동 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싱커(6)는 루프의 녹-오버 동안 임의의 얀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길이 방향( L) 및 높이 방향(H)으로 뒤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루프가 녹-오버된 후에, 홀딩 다운 수단(10)은 외부로부터 또는 내부로부터 상기 복합 바늘(3)의 상기 후크 영역(7) 위로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바늘(3)이 최상의 위치로 상승하면, 상기 홀딩 다운 수단(10)과 상기 가이드 수단(8)이 후퇴되어 얀(4, 5)이 상기 복합 바늘(3)의 상기 후크 영역(7)에 삽입되고 상기 녹-오버 에지(2)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복합 바늘로 플레이팅하기 위한 편직 장치(1)로서, 길이 방향(L) 및 가로 방향(Q)으로 연장되는 고정 배치된 녹-오버 에지(2)를 갖는 실린더, 복합 바늘(3), 적어도 2개의 얀들(4, 5),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얀(4, 5)의 분리된 안내를 위한 가이드 수단(8)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싱커(6)를 포함하는, 상기 편직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녹-오버 에지(2)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커(6)는 상기 길이 방향(L) 및 높이 방향(H)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싱커가 상기 얀들(4, 5) 중 하나를 추적하는 상기 가이드 수단(8)의 이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얀(4, 5)을 상기 복합 바늘(3)의 후크 영역(7) 내로, 바늘 생크쪽으로 더 안내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얀(4, 5)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장치(1).
  7. 제 6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얀(4, 5)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얀(4) 및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얀(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장치(1).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8)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커(6)의 단부 에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단부 에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커(6)의 모든 이동 단계 동안 상기 높이 방향(H)에 평행한 에지 섹션(11, 12)을 포함하고, 상기 얀들(4, 5)을 안내하고 및/또는 이들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융기부들 및/또는 함몰부들이 상기 에지 섹션들(11, 1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장치(1).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장치(1)는 홀딩 다운 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장치(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다운 수단(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커(6)에 배치되고 상기 홀딩 다운 수단(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커(6)의 에지(1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장치(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커(6)가 전진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커(6)의 상기 홀딩 다운 수단(10)을 형성하는 에지(13)는 상기 녹-오버 에지(2)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장치(1).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다운 수단(10)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싱커(1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장치(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싱커(14)는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상기 복합 바늘(3)의 후크 부분(7) 위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장치(1).
KR1020217041137A 2019-06-17 2020-05-28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에서 플레이팅하는 방법 및 편직 장치 KR20220024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80536.5 2019-06-17
EP19180536.5A EP3754077B1 (de) 2019-06-17 2019-06-17 Verfahren und strickvorrichtung zum plattieren auf einer mit schiebernadeln bestückten rundstrickmaschine
PCT/EP2020/064922 WO2020254089A1 (de) 2019-06-17 2020-05-28 Verfahren und strickvorrichtung zum plattieren auf einer mit schiebernadeln bestückten rundstrick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058A true KR20220024058A (ko) 2022-03-03

Family

ID=6691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137A KR20220024058A (ko) 2019-06-17 2020-05-28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에서 플레이팅하는 방법 및 편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25313B2 (ko)
EP (1) EP3754077B1 (ko)
JP (1) JP2022537313A (ko)
KR (1) KR20220024058A (ko)
CN (1) CN113950546B (ko)
PT (1) PT3754077T (ko)
WO (1) WO20202540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1110A (en) * 1922-10-20 1923-01-02 Nathan Halperi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knitted fabric
FR200727A (ko) * 1927-07-20
US2050962A (en) * 1935-07-26 1936-08-11 Scott & Williams Inc Sinker and method for plating and reverse plating
DE1785125B1 (de) * 1968-08-13 1971-10-14 Harry Appric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Maschenware
JP2767273B2 (ja) 1989-03-13 1998-06-18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プレーティングパイル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シンカー
DE4131508C2 (de) 1991-09-21 2002-04-18 Terrot Strickmaschinen Gmbh Strickmaschine
JPH0941202A (ja) * 1995-07-31 1997-02-10 Yamamoto:Kk パイル編み部分を有する編み製品
US5713220A (en) * 1995-07-31 1998-02-03 Nagata Seiki Kabushiki Kaisha Pile pattern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knitted article knitted by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DE19545770A1 (de) * 1995-12-07 1997-07-03 Schmidt Ursula Dorothea Durch Fadenflottungen gemusterte Plattierwar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uf Rundstrickmaschinen
CN100395391C (zh) * 2006-03-17 2008-06-18 东华大学 大筒径单面纬编三线添纱导纱器
BR112017013671B1 (pt) * 2015-01-19 2022-02-08 Lonati S.P.A. Máquina de tricô de malha circular, particularmente, do tipo de cilindro duplo com dedo de fio para tricô chapeado e método para tricô
EP3290555A1 (de) * 2016-09-02 2018-03-07 Ulrich Hofmann Nadel zur maschenbildung an einer strick- oder kettenwirkmaschine, strick- oder kettenwirkmaschine mit mehreren solcher nadel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nadel
CN206477100U (zh) * 2017-01-18 2017-09-08 广东天海花边有限公司 一种单面提花大圆机的单面三线添纱三角
CN108265381B (zh) * 2018-03-07 2019-07-12 石狮市宝翔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电脑提花圆纬机及其添纱提花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7313A (ja) 2022-08-25
EP3754077B1 (de) 2022-11-16
CN113950546A (zh) 2022-01-18
PT3754077T (pt) 2022-12-30
US11725313B2 (en) 2023-08-15
TW202113185A (zh) 2021-04-01
EP3754077A1 (de) 2020-12-23
WO2020254089A1 (de) 2020-12-24
CN113950546B (zh) 2023-07-04
US20220205153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62205A1 (ja) 横編機
CN108018645A (zh) 添纱编织方法及其使用的横机
KR960013904B1 (ko) 횡편기에 있어서 실안내방법 및 장치
KR102226578B1 (ko) 횡편기
CN110387636B (zh) 用于制造金银丝针织物的针织横机和方法
EP2568066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JP2023109287A (ja) 円形編み機構造
KR101941122B1 (ko) 편기용 니들 및 이를 갖는 환편기
KR102291231B1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CN107663709B (zh) 经编机和用于制造经编织物的方法
JP2013064205A (ja) ループプレッサーを備えた横編機
KR20220024058A (ko) 복합 바늘이 장착된 환편기에서 플레이팅하는 방법 및 편직 장치
US11136698B2 (en) Weft knitting machine knitting structure with changeable yarn positions
US4266410A (en) Method and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a looped pile warp knit fabric having a pile pattern
KR100974512B1 (ko) 트란스퍼잭 및 이를 구비한 횡편기 및 트란스퍼잭에 의한눈옮김 방법
US3238746A (en) Method of producing non-run hosiery
KR102232288B1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CN112176511B (zh) 可变换纱线位置的纬编机针织结构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CN114657685B (zh) 用于横机或编织机的针织系统
US2984092A (en)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KR20170097522A (ko) 환편기의 편침실린더 구조
EP2436811A2 (en) Stitch increasing method
KR101764370B1 (ko) 환편기
JP2007119970A (ja) 防縮性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