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558A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558A
KR20220022558A KR1020200103653A KR20200103653A KR20220022558A KR 20220022558 A KR20220022558 A KR 20220022558A KR 1020200103653 A KR1020200103653 A KR 1020200103653A KR 20200103653 A KR20200103653 A KR 20200103653A KR 20220022558 A KR20220022558 A KR 20220022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ngle
sliding
waterproof rub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호
Original Assignee
케이플랜 주식회사
황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플랜 주식회사, 황병호 filed Critical 케이플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558A/ko
Publication of KR20220022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은,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조인트의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 한 쌍의 상기 고정 앵글유닛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무 플레이트와, 상기 고무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착탈 결합부를 구비하는 방수고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RUBBER SEAL FIXING TOOL AND JOINT FOR CONNECTING UPPER PLATES OF BRIDGE EXPANSIVELY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수고무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상부 구조, 즉 거더라고 불리는 교량 상부 구조물은 하중,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변형 발생을 없애기 위해 상부 거더끼리는 소정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이격시켜주게 되는데, 이격된 공간에는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 거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또는 고가도로 등의 연접한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 자체의 단부를 보호하면서도 교량이나 고가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 장치로,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이프(Creep) 등에 의한 이동과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주로 도 1과 같은 구조의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복수 개의 핑거(50) 파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거더가 수평 방향으로 신축되어 상부 거더에 틈새(gap)가 커지더라도 차량이 원활하게 그 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도 1과 같은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가장 대표적이기는 하지만,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136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408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5706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25870호 등에도 다양한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다만, 상기 문헌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 나사 조립 구조가 대부분이어서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하자율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실제 하자가 발생하면 어차피 콘크리트를 깨서 장치를 들어낸 후, 교체하거나 보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로스(loss)가 크다. 이에, 최근에는 핑거 조인트라 불리는 신축이음 구조의 적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교량 신축이음 구조에는 러버 실(rubber seal)이라고도 불리는 방수고무가 적용되는데, 방수고무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방수고무를 빼내 청소하거나 혹은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현존 기술의 경우,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방수고무를 해당 고정 구조물에서 빼내기가 어려워 유지보수가 매우 힘들어진다. 즉 마찰계수가 높은 노후화된 고무 교체 시 고무 머리 단부가 절단됨으로써 사실상 교체가 쉽지 않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136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408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5706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258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고무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조인트의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 한 쌍의 상기 고정 앵글유닛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무 플레이트와, 상기 고무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착탈 결합부를 구비하는 방수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 앵글유닛은,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 통과공을 구비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하여 고정되는 유닛 베이스; 및 상기 유닛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이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결합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 네크; 및 상기 연장 네크와 연결되고 상기 착탈 결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소를 이루되 일측에 출입 개구가 형성되는 고리형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출입 개구를 통해 상기 고리형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결합 몸체부; 상기 결합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부; 및 상기 결합 몸체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결합부의 내벽에 지지되는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고무 체결앵글이 핑거 조인트 또는 레일 조인트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핑거(FINGER) 방식으로 서로 배치되면서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며, 콘크리트 구조물로 적용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FINGER PLATE); 및 한 쌍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을 신축 가능하게 차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은,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 한 쌍의 상기 고정 앵글유닛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무 플레이트와, 상기 고무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착탈 결합부를 구비하는 방수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고정 앵글유닛은,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 통과공을 구비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하여 고정되는 유닛 베이스; 및 상기 유닛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이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결합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 네크; 및 상기 연장 네크와 연결되고 상기 착탈 결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소를 이루되 일측에 출입 개구가 형성되는 고리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출입 개구를 통해 상기 고리형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결합 몸체부; 상기 결합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부; 및 상기 결합 몸체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결합부의 내벽에 지지되는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고무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시공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이미지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적용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이 레일 조인트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시공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이미지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고무 체결앵글(120)은 한 쌍의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각각 고정되며, 콘크리트 구조물(110)들 사이의 이격 공간을 신축 가능하게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곳을 통해 이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고무 체결앵글(120)은 방수고무(150)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고무 체결앵글(120)은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130),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 그리고, 방수고무(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앵글유닛(130)은 체결볼트(B)로 한 쌍의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각각 고정되는 금속 구조물이다. 부식에 강한 비철 금속으로 고정 앵글유닛(130)이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콘크리트 구조물(110)은 교량 신축이음장치가 적용되는 교량 구조물일 수 있다. 즉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 적용되더라도 관게는 없다.
고정 앵글유닛(130)은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각각 고정된다. 고정 앵글유닛(130)은 한 쌍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앵글유닛(130)은 체결볼트(B)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 통과공(132)을 구비하며,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접하여 고정되는 유닛 베이스(131)와, 유닛 베이스(131)의 일측에 형성되고,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이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 레일(13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은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130)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슬라이딩 앵글유닛(140) 역시, 고정 앵글유닛(130)처럼 한 쌍으로 적용되며, 부식에 강한 비철 금속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은 슬라이딩 결합 레일(13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블록(141)과, 슬라이딩 블록(14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 네크(142)와, 연장 네크(142)와 연결되고 착탈 결합부(15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소를 이루되 일측에 출입 개구(144)가 형성되는 고리형 결합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은 일체형 구조의 한 몸체일 수도 있지만, 시공의 편의를 위해 분절형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모양이 같은 여러 개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을 고정 앵글유닛(13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인데,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방수고무(150)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수고무(150)는 고무 플레이트(151)와 한 쌍의 착탈 결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 플레이트(151)는 실질적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이 벌어질 때를 대비해서 고무 플레이트(151)는 아래로 처진 여유면적을 갖는다.
착탈 결합부(153)는 고무 플레이트(151)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이다.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이 한 쌍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착탈 결합부(153) 역시, 이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착탈 결합부(153)는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의 출입 개구(144)를 통해 고리형 결합부(143) 내에 배치되는 결합 몸체부(154)와, 결합 몸체부(154)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부(155)와, 결합 몸체부(154)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고리형 결합부(143)의 내벽에 지지되는 서포터(1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5 내지 도 7처럼 우선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130)을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배치하여 체결볼트(B)로 고정한 후, 고정 앵글유닛(130)들에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 결합한 다음,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에 방수고무(150)를 조립하면 간단하게 시공이 마무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라면 방수고무(150)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고무(150)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의 시공 구조도, 도 9는 도 8의 부분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적용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고무 체결앵글(220)은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200)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200)는 종래와 달리, 구조적인 안전성을 꾀할 수 있음은 물론 하자율을 줄여 유지보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200)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210, FINGER PLATE)와,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210)에 결합하는 방수고무 체결앵글(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210)는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핑거(FINGER) 방식으로 서로 배치되면서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는 구조물이다. 핑거 플레이트(210)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110)에 대응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핑거 플레이트(210)의 상판은 도시된 것처럼 평평하지 않은 예컨대, 복수의 홈(groov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은 소음 감소를 위한 복수의 소음 감소용 홈으로 작용할 수 있다. 소음 감소용 홈은 직선형, 곡선형 등 다양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음 감소용 홈이 형성되면 이곳을 지나는 차량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핑거 플레이트(210)의 상판에 소음 감소용 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항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핑거 플레이트(210)가 시공될 때, 그 일측에는 커버 플레이트(201, COVER PLATE)가 덧대어 시공된다. 커버 플레이트(201)는 볼트(202)에 의해 고정된다. 핑거 플레이트(210)의 하부 일측에는 드레인 파이프(203, DRAIN PIPE)가 시공된다. 드레인 파이프(203)를 통해 빗물 등이 하수로 배수될 수 있다.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210)는 거더의 상판을 이루는데, 이때의 거더는 PC 박스 거더(PC BOX GIRDER) 또는 스틸 박스 거더(STEEL BOX GIRDER)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거더에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200)가 설치된 이후에는 무수축 콘크리트(205)로 시공 부위가 충전된다. 무수축 콘크리트(205)의 내부에는 복수의 철근(206)이 배근된다. 복수의 철근(206)은 비직선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무수축 콘크리트(205)를 보강한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220)은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210)에 각각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2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신축 가능하게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수고무 체결앵글(220)은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230),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 그리고, 방수고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 앵글유닛(230)이 한글 ㄱ자 형상을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이 고정 앵글유닛(230)의 수직 벽체에 각각 조립된다는 점에서만 상이할 뿐 실질적인 기능과 역할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구조 설명은 피한다.
이에,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230)을 핑거 플레이트(210)에 배치하여 체결볼트(B)로 고정한 후, 고정 앵글유닛(230)들에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 결합한 다음,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140)에 방수고무(150)를 조립하면 간단하게 시공이 마무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방수고무(150)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방수고무(350) 역시, 고무 플레이트(351)와 한 쌍의 착탈 결합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 결합부(353)는 슬라이딩 앵글유닛(140, 도 4 참조)의 출입 개구(144, 도 4 참조)를 통해 고리형 결합부(143, 도 4 참조) 내에 배치되는 결합 몸체부(354)와, 결합 몸체부(354)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부(355)와, 결합 몸체부(354)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고리형 결합부(143)의 내벽에 지지되는 서포터(356)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356)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달리 긴 직선 바아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상이하지만, 효과는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의 방수고무(350)가 적용되더라도 방수고무(350)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방수고무(450) 역시, 고무 플레이트(451)와 한 쌍의 착탈 결합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 결합부(453)는 슬라이딩 앵글유닛(140, 도 4 참조)의 출입 개구(144, 도 4 참조)를 통해 고리형 결합부(143, 도 4 참조) 내에 배치되는 결합 몸체부(454)와, 결합 몸체부(454)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부(455)와, 결합 몸체부(454)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고리형 결합부(143)의 내벽에 지지되는 서포터(456)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456)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달리 긴 직선 바아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상이하지만, 효과는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 몸체부(454) 내에 추가의 통공부(457)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추가의 통공부(457)는 착탈 결합부(453)에 탄성력을 제공해서 착탈 결합부(453)가 고리형 결합부(143)에 쉽게 빠지지 않고 잘 결합하게 하거나 내부의 와이어가 와이어 통과부(455)에 잘 끼워지게 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의 방수고무(450)가 적용되더라도 방수고무(450)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의 요부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방수고무(550) 역시, 고무 플레이트(551)와 한 쌍의 착탈 결합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 결합부(553)는 슬라이딩 앵글유닛(140, 도 4 참조)의 출입 개구(144, 도 4 참조)를 통해 고리형 결합부(143, 도 4 참조) 내에 배치되는 결합 몸체부(554)와, 결합 몸체부(554)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부(555)와, 결합 몸체부(554)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고리형 결합부(143)의 내벽에 지지되는 서포터(556)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556)의 형태가 제1 실시예와 달리 삼각 치형의 구조를 이루고, 또한 그 내부에 관통공(556a)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이하지만, 효과는 동일하다. 특히, 본 실시예처럼 서포터(556) 내에 관통공(556a)이 형성되면 서포터(556)의 자체 탄성력이 커져서 착탈 결합부(553)가 고리형 결합부(143)에 쉽게 빠지지 않고 잘 결합하게 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방수고무(550)가 적용되더라도 방수고무(550)가 이탈하지 않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쉽게 빼낼 수 있어서 작업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이 레일 조인트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고무 체결앵글(620) 역시,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630),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640), 그리고, 방수고무(6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고무(650)의 사이즈가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작지만, 이는 크기에만 차이가 있을 뿐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640)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한다는 점에서는 기능이 동일하다.
한편,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630) 역시, 콘크리트 구조물(610)에 시공되는 조인트, 즉 레일 조인트(690)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경우, 방수고무 체결앵글(620)이 레일 조인트(690)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콘크리트 구조물 120 : 방수고무 체결앵글
130 : 고정 앵글유닛 131 : 유닛 베이스
132 : 볼트 통과공 133 : 슬라이딩 결합 레일
140 : 슬라이딩 앵글유닛 141 : 슬라이딩 블록
142 : 연장 네크 143 : 고리형 결합부
144 : 출입 개구 150 : 방수고무
151 : 고무 플레이트 153 : 착탈 결합부
154 : 결합 몸체부 155 : 와이어 통과부
156 : 서포터

Claims (7)

  1.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조인트의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
    한 쌍의 상기 고정 앵글유닛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무 플레이트와, 상기 고무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착탈 결합부를 구비하는 방수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앵글유닛은,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 통과공을 구비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하여 고정되는 유닛 베이스; 및
    상기 유닛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이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결합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 네크; 및
    상기 연장 네크와 연결되고 상기 착탈 결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소를 이루되 일측에 출입 개구가 형성되는 고리형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출입 개구를 통해 상기 고리형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결합 몸체부;
    상기 결합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부; 및
    상기 결합 몸체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결합부의 내벽에 지지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고무 체결앵글이 핑거 조인트 또는 레일 조인트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6.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핑거(FINGER) 방식으로 서로 배치되면서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며, 콘크리트 구조물로 적용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FINGER PLATE); 및
    한 쌍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을 신축 가능하게 차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은,
    거더(GIRDER)의 상판을 이루되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앵글유닛;
    한 쌍의 상기 고정 앵글유닛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앵글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무 플레이트와, 상기 고무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착탈 결합부를 구비하는 방수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앵글유닛은,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볼트 통과공을 구비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하여 고정되는 유닛 베이스; 및
    상기 유닛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이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앵글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결합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 네크; 및
    상기 연장 네크와 연결되고 상기 착탈 결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소를 이루되 일측에 출입 개구가 형성되는 고리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출입 개구를 통해 상기 고리형 결합부 내에 배치되는 결합 몸체부;
    상기 결합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고 소정의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부; 및
    상기 결합 몸체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리형 결합부의 내벽에 지지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KR1020200103653A 2020-08-19 2020-08-19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KR20220022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53A KR20220022558A (ko) 2020-08-19 2020-08-19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53A KR20220022558A (ko) 2020-08-19 2020-08-19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58A true KR20220022558A (ko) 2022-02-28

Family

ID=8049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653A KR20220022558A (ko) 2020-08-19 2020-08-19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5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21A (ko) 2002-06-25 2005-02-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블록킹 아티팩트들 검출 방법
KR20080057065A (ko) 2006-12-19 2008-06-24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용 GaN 웨이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21A (ko) 2002-06-25 2005-02-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블록킹 아티팩트들 검출 방법
KR20080057065A (ko) 2006-12-19 2008-06-24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전자 소자용 GaN 웨이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822B1 (ko) 온도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의한 일부타정식 사장교의시공방법
KR100930253B1 (ko)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KR10074304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부재
CN102296545A (zh) 铁路混凝土桥梁既有伸缩缝的快速修复方法
CN101135138A (zh) 连续刚构桥竖转施工方法
KR20220022558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고무 체결앵글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 신축이음용 조인트
KR20170134279A (ko) 거푸집 겸용 배수 부재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방법
KR101847902B1 (ko) 강재형 수로교
KR100700947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CN103882802B (zh) 一种公路跨越铁路的桥梁防护结构
KR100427908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CN103388302A (zh) 一种安装有刚性铰的桥梁
KR102141603B1 (ko) 교량 신축이음용 핑거 조인트
KR102117689B1 (ko) 교량 신축이음용 레일 조인트
JP4827612B2 (ja) 壁高欄の伸縮間隙被覆構造
CN203472863U (zh) 设有维修门的机车车体侧墙
KR101317953B1 (ko) 분절식 레일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37199A (ko) 교량용 이동식 외장재
KR102279873B1 (ko)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KR20110060395A (ko) 내풍안정성의 제고 및 간편 유지보수를 위한 케이블지지 장대교량의 유틸리티 라인 배치구조
KR10039927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CN210368662U (zh) 一种高架桥梁施工π型支架
CN219059740U (zh) 高架桥伸缩装置构造
KR200272143Y1 (ko)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CN213656020U (zh) 一种管道补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4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917

Effective date: 2022011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