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873B1 -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873B1
KR102279873B1 KR1020190149790A KR20190149790A KR102279873B1 KR 102279873 B1 KR102279873 B1 KR 102279873B1 KR 1020190149790 A KR1020190149790 A KR 1020190149790A KR 20190149790 A KR20190149790 A KR 20190149790A KR 102279873 B1 KR102279873 B1 KR 10227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structure
pier
new
discontinuous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806A (ko
Inventor
최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9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8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지간이 연속된 형태로 구성된 철도교량의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각을 교체하는 공법으로서, 교체를 위한 교각의 상부에 이웃하는 불연속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의 기존 지점보강재를 제거하고, 상기 브라켓 상에서 양 받침을 간격이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임시로 지지하는 제2 단계; 새로운 교각 및 새로운 상기 교각의 상부에 새로운 받침을 설치하는 제3 단계; 및 이웃하는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체를 위한 상기 교각을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RAILWAY BRIDGE REHABITATION METHOD USING SUPERSTRUCTURE CONTINUATION, SUPPORT TRASITION, AND PIER REPLACEMENT}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노후교각 교체 통하여 기존 철도 교량을 보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는 440여개의 무도상교량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중 85% 이상이 사용연수 50년 이상의 노후된 상황이다. 특히 무도상교량은 소음, 진동 및 충격이 심하게 발생하여 교체 등의 대책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는 신규 교량 건설 또는 장대레일 부설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신규 교량으로의 교체는 열차가 우회할 수 있는 선로를 확보하고 건설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으나, 많은 경우 우회 선로 확보가 어렵거나 높은 비용이 소요되어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까지 교량 교체는 대부분 우회로를 확보하는 방법 보다는 밀어내기 공법 등 열차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차단 시간 내에 신속히 상부구조를 교체하는 유도상화 공법의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유도상화 공법은 대부분 가격이 높지 않은 슬래브교로 교체를 진행하고 있음에도 신규 교량 건설 비용을 상회하는 높은 시공비가 소요되며, 도심지나 트러스교의 경우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무도상 교량에 장대레일을 설치하는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소음, 진동 및 충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우회로 확보도 필요없는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무도상 교량의 교각이 종방향 하중에 취약한 중력식 무근 콘크리트 교각이므로 장대레일 설치 시 궤도-교량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종방향 하중이 교량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존 중력식 무근 콘크리트를 종방향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성능을 갖는 교각으로 교체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무도상 교량의 상부구조가 강구조이며 적절한 유지관리만 이뤄질 경우 상당 기간 사용이 가능한 점을 감안할 때 교각의 교체와 장대레일 설치가 이뤄질 경우 기존 무도상 교량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상당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신규교각은 교량의 내진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단순지간이 연속된 형태로 구성된 철도교량의 경우 기존 공법으로는 열차 운행 지장 없이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교각 교체를 수행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철도운행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기존 중력식 무근 콘크리트 노후 교각을 신속하게 교체하고 교량의 안전성과 내진성능을 제고하여 공용수명을 경제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지점 이동과 교량 상부 연속화를 통하여 기존 철도운행에 영향을 주지 않고 기존 철도 강교량의 노후된 교각을 신속하게 교체하여 구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교각에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미리제작된 장치를 설치한 후 지점을 이동하여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기존 교각 사이에 설치된 신규 교각으로 지점을 이동하는 교량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단순지간이 연속된 형태로 구성된 철도교량의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각을 교체하는 공법으로서,
교체를 위한 교각의 상부에 이웃하는 불연속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의 기존 지점보강재를 제거하고, 상기 브라켓 상에서 양 받침을 간격이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임시로 지지하는 제2 단계;
새로운 교각 및 새로운 상기 교각의 상부에 새로운 받침을 설치하는 제3 단계; 및
이웃하는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체를 위한 상기 교각을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설치된 새로운 상기 교각과 상기 상부구조를 연결하는 받침은 고정받침을 포함하고,
기존 교각과 연속화된 상기 상부구조 양단을 연결하는 받침은 이동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이동된 상기 받침의 상부에 새로운 지점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새로운 상기 받침이 지지하는 상부구조에 상하 플랜지 보강재 및 수직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단순지간이 연속된 형태로 구성된 철도교량의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각을 교체하는 공법으로서,
새로운 교각 및 새로운 상기 교각의 상부에 새로운 받침을 설치하는 제1 단계
교체를 위한 교각의 상부에 이웃하는 불연속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의 기존 지점보강재를 제거하고, 상기 브라켓 상에서 양 받침을 간격이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임시로 지지하는 제3 단계;
이웃하는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체를 위한 상기 교각을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점 이동과 상부구조 연속화 및 노교각 교체를 이용한 교량의 보강 공법을 이용하면 기존 노후 교량의 구조적 성능을 신속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구조 연속화를 통하여 구조시스템을 고차부정정화하여 구조 성능 향상과 함께 진동 및 처짐 저감 등의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신규 교각 설치를 통하여 횡방향 저항력을 제고하여 장대레일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이 이루어질 철도 교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될 교각에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이 이동하고, 기존 지점보강재가 제거되며, 새로운 지점보강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교각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새로운 받침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될 교각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교각의 상부에 받침이 형성되어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이 이루어질 철도 교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교각 및 받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이 이동하고, 기존 지점보강재가 제거되며, 새로운 지점보강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새로운 받침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될 교각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종래 교각의 상부에 받침이 형성되어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교각의 상부구조(플레이트 거더 등)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휨이나 좌굴로부터 상부구조를 보강하는 지점보강재가 설치되어 있다.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는 경우 이러한 지점보강재로 인하여 연속화 시공이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교각 위에 브라켓(200)을 설치하고 받침을 임시 이동한 다음, 기존의 지점보강재를 제거하고 연속화하여 보다 견고한 연결부(C1, C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교각(N5)을 설치한 다음 새로운 교각(N5)의 상부에 신규 받침 및 신규 받침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에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철도 교량을 상부구조를 연속화함과 동시에 종방향 하중에 대한 충분한 저항력을 갖춘 철도 교량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 소음, 진동, 충격 등의 문제의 원인이었던 레일이음매없는 레일 설계를 통해 장대레일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데, 이때 기존 교량의 하부구조는 대부분 중력식 교각으로 종방향 하중에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장대레일 설치시 필연적으로 종방향 반력이 발생하여 레일 장대화를 위하여 기존 공법 적용이 어렵고 내진성에도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철도 교량에 장대레일 설치시 발생하는 종방향 반력을 신규교각이 전적으로 부담하고 종래 교각은 수직방향 하중만을 부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새로운 교각(N5)과 상부구조는 고정받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고, 종래 교각과 상부구조는 이동받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이 이루어질 철도 교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법이 적용되는 교량은 단순지간이 연속된 형태로 구성된 철도 교량으로서 복수의 불연속 상부구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구조와 교각의 결합은 한 쌍의 종래 받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 쌍의 종래 받침 중 하나는 고정받침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이동받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교각(N1, N2, N3, N4)에 종래 받침(10, 20, 30, 40, 50, 60)이 배치되고, 이러한 종래 받침(10, 20, 30, 40, 50, 60)은 교량의 불연속한 상부구조(M1, M2, M3)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될 교각에 브라켓(20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는 것이지만, 상부구조의 연속화의 경우 종래 상부구조에 설치된 기존의 지점보강재로 인하여 상부구조의 연속화 시공이 어려웠고,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연속화 시공을 위하여 상부구조의 기존의 지점보강재를 제거하는 것이다.
기존 지점보강재(100)를 제거하기 위하여 브라켓(200)을 설치하고, 종래 받침을 임시로 이동하여 상부구조를 지지하게 한 다음, 기존 지점보강재(100)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브라켓(200)을 이용한 공법은 조립식 브라켓(200) 공법일 수 있다.
조립식 브라켓(200)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착탈이 가능한 조립식-브라켓(BRACKET)을 잭(JACK)-받침장치로 제작하여 교각의 코핑부 상단을 덮는 형태로 구조물 손상(앵커볼트 無)과 교통통제 없이 교좌 받침부에 조립, 설치하여 잭을 설치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량 상부구조물을 지지, 인상하여 보수,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이 이동하고, 기존 지점보강재(100)가 제거되며, 새로운 지점보강재(30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지점보강재(100)를 제거하고, 새로운 지점보강재(300)를 임시 받침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교각(N5)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새로운 교각(N5)을 설치하면서 새로운 교각(N5)이 설치되는 상부의 상부구조에 수직보강재(400) 및 상하 플랜지 보강재(5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새롭게 설치되는 새로운 교각(N5) 및 이의 상부구조가 모든 종방향 힘을 지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새로운 받침(80)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교각(N5)의 상부에 새로운 받침(80)이 설치되고, 불연속 상부구조는 연결부(C1, C2)에 의하여 연속화된다. 그리고 교량의 모든 종방향 하중을 새로운 교각(N5)이 지지하기 위하여 연속화된 상부구조의 양단의 받침이 모두 이동받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 받침이 고정받침이라면 이를 새로운 이동받침(7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의 교체에는 앞서 설명한 브라켓(20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브라켓(200)을 이용하여 상부구조를 지지하면서 종래 고정받침을 새로운 이동받침(70)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될 교각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될 교각(N2, N3)이 모두 제거되고 새로운 교각(N5)이 연속화된 상부구조를 지지하고 있다. 이렇게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을 이용하여 기존 철도 교량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브라켓(200)을 설치하고, 기존 지점보강재(100)를 제거하였으며, 종래 받침을 이동하여 불연속 상부구조를 임시로 지지한 다음, 새로운 교각(N5) 및 새로운 받침(80)을 설치하는 순서로 이루어졌지만, 이에 반드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구속되는 것은 아니고, 선순위와 후순위가 바뀌어도 무방한 시공순서는 당업자에 의하여 자명하게 도출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교량 공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에서 나타내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순서는 종래 교각에 브라켓(200)을 설치하고 기존의 지점보강재를 제거하기 이전에, 새로운 교각(N5) 및 새로운 받침(80)을 먼저 설치하여 상부구조를 지지한 상태에서 교체될 종래 교각 상부에 브라켓(200)을 설치하고, 기존 지점보강재(100)를 제거한 다음, 불연속된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마지막으로 교체될 종래 교각을 제거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이 이루어질 철도 교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도면과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교각(N5) 및 받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교량에 새로운 교각(N5) 및 새로운받침을 추가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새로운 교각(N5) 및 새로운 받침(8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에는 휨이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보강재(400) 및 상하 플랜지 보강재(5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종방향 하중을 더욱 새로운 교각(N5) 및 새로운 교각(N5)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구조가 지지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20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이 이동하고, 기존 지점보강재(100)가 제거되며, 새로운 지점보강재(30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교각(N5) 및 새로운 받침(80)으로 상부구조를 지지한 상태로, 교체될 교각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존 지점보강재(100)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존 교각의 상부에 브라켓(200)을 설치한다. 브라켓(200)을 설치한 다음, 상부구조를 임시로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을 이동하고 새로운 지점보강재(30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기존 지점보강재(100)는 제거한다.
이렇게 기존 지점보강재(100) 제거와 새로운 지점보강재(300) 설치의 순서는 당업자에 의하여 자명하게 그 순서가 뒤바뀔 수 있다. 다만, 새로운 지점보강재(300)는 종래 받침이 이동한 다음 종래 받침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새로운 받침(80)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지점보강재(100)의 제거가 완료된 다음, 이웃하는 불연속 상부구조를 서로 연결부(C1, C2)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이로써, 상부구조는 연속화되어 장대화되고, 새로운 교각(N5)이 이렇게 장대화된 상부구조를 지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될 교각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와 같이 교체될 종래 교각이 제거되면 새로운 교각(N5)에 의하여 장대화된 상부구조가 이루어진다. 이때 새로운 교각(N5)이 종방향 하중을 모두 지지하도록 새로운 교각(N5)과 상부구조는 새로운 받침(80)인 고정받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고, 연속화된 상부구조의 양단은 이동받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20, 30, 40, 60: 종래 받침
M1, M2, M3: 상부구조
100: 기존 지점보강재
N1, N2, N3, N4: 기존 교각
200: 브라켓
300: 새로운 지점보강재
400: 수직보강재
500: 상하 플랜지 보강재
N5: 새로운 교각
C1, C2: 연결부
70: 새로운 이동받침
80: 새로운 받침

Claims (5)

  1. 단순지간이 연속된 형태로 구성된 철도교량의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각을 교체하는 공법으로서,
    교체를 위한 교각의 상부에 이웃하는 불연속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의 기존 지점보강재를 제거하고, 상기 브라켓 상에서 양 받침을 간격이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임시로 지지하는 제2 단계;
    새로운 교각 및 새로운 상기 교각의 상부에 새로운 받침을 설치하는 제3 단계; 및
    이웃하는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체를 위한 상기 교각을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설치된 새로운 상기 교각과 상기 상부구조를 연결하는 받침은 고정받침을 포함하고,
    기존 교각과 연속화된 상기 상부구조 양단을 연결하는 받침은 이동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이동된 상기 받침의 상부에 새로운 지점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새로운 상기 받침이 지지하는 상부구조에 상하 플랜지 보강재 및 수직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5. 단순지간이 연속된 형태로 구성된 철도교량의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각을 교체하는 공법으로서,
    새로운 교각 및 새로운 상기 교각의 상부에 새로운 받침을 설치하는 제1 단계
    교체를 위한 교각의 상부에 이웃하는 불연속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의 기존 지점보강재를 제거하고, 상기 브라켓 상에서 양 받침을 간격이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임시로 지지하는 제3 단계;
    이웃하는 상기 불연속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체를 위한 상기 교각을 제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KR1020190149790A 2019-11-20 2019-11-20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KR10227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790A KR102279873B1 (ko) 2019-11-20 2019-11-20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790A KR102279873B1 (ko) 2019-11-20 2019-11-20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806A KR20210061806A (ko) 2021-05-28
KR102279873B1 true KR102279873B1 (ko) 2021-07-20

Family

ID=7614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790A KR102279873B1 (ko) 2019-11-20 2019-11-20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8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490B1 (ko) 1999-06-11 2002-05-30 이승영 교량에 설치된 교좌장치를 교체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049A (ko) * 2004-03-24 2005-09-29 김정민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1105005B1 (ko) * 2009-03-06 2012-01-16 장신찬 받침빔이 구비된 신설 교량으로 교량을 교체 시공하는 방법
KR101520000B1 (ko) * 2013-06-28 2015-05-14 삼성물산 주식회사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490B1 (ko) 1999-06-11 2002-05-30 이승영 교량에 설치된 교좌장치를 교체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806A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23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idge pier replacement
KR100808212B1 (ko) 기능유지가 가능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용 가설벤트와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JP5666081B2 (ja) 既設橋梁の改築方法
US7478450B2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JP3728657B2 (ja) 鉄道橋の架替方法
KR100651663B1 (ko) 트러스 교량의 횡진동 저감 및 교량인상시 전도방지용보강장치
KR102105230B1 (ko)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는 철도교량 시공방법
KR20140147573A (ko) 합성형 교량의 변위관리 및 반전합성 경사지보공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214387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용 잭 받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 보수방법
KR102279873B1 (ko)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 지점 이동 및 교각 교체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KR100740888B1 (ko) 트러스 교량의 보수교체용 보강 지지구조 및 그 방법
JP2001059208A (ja) 鋼製アーチによる既設橋の補強工法
KR20120013740A (ko) 힌지 연결부를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및 그 시공 공법
CN112211112A (zh) 一种在既有桥梁上采用双导梁架桥机的钢箱梁安装方法
KR102350331B1 (ko) 지점 이동, 교각 보강 및 교량 상부구조 연속화를 이용한 철도 교량 보강 공법
JP5848716B2 (ja) 床版取り替え工法
JP2734986B2 (ja) 既設橋の改修工法
JP7368685B2 (ja) 橋梁の架替工法および橋梁上部構造
Hołowaty Removing weak spots from Polish railways
KR101214531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KR102273310B1 (ko) 상부구조 연속화를 이용한 교량의 급속교체 공법
KR20100036765A (ko) 온도고정점을 분할시킨 장경간 상로 아치 교량구조
JP6586305B2 (ja) 既設橋梁の架替工法
KR100603905B1 (ko) 기존 판형교 전체 거더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화 거더 및그 공법
KR102578491B1 (ko) 램프교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거더 해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