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280A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280A
KR20220022280A KR1020200103256A KR20200103256A KR20220022280A KR 20220022280 A KR20220022280 A KR 20220022280A KR 1020200103256 A KR1020200103256 A KR 1020200103256A KR 20200103256 A KR20200103256 A KR 20200103256A KR 20220022280 A KR20220022280 A KR 2022002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arm
flow path
wat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280A/ko
Priority to US17/398,607 priority patent/US11864710B2/en
Priority to EP21190792.8A priority patent/EP3957226A1/en
Publication of KR2022002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8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5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or tableware, e.g. nature or quant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Abstract

식기세척의 일 실시예는, 분사암을 구비하고, 분사암은 제1분사영역과 제2분사영역으로 물을 분사하는 영역이 분리되고,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 전체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제1분사영역으로 물을 분사하고,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세척대상물에는 제2분사영역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대상물에 더욱 강한 충격을 주어 세척을 완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DISH 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척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때, 세척에 사용되는 물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 내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물을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로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경우에, 물을 분사하는 세척과정이 종료된 후에도, 아직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세척대상물이 존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렇게 잔류 오염물질이 부착된 식기를 사용자가 찾아내고, 사용자가 직접 잔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2차적인 설거지를 했다.
이러한, 사용자에 의한 2차 설거지는 사용자의 별도의 수고가 드는 작업이므로, 사용자는 설거지를 위한 시간과 노력을 별도로 들여야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식기세척기를 사용하려는 의지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식기세척기의 구매 및 사용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과정이 종료된 후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세척대상물을 검색하고, 잔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별도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잔류 오염물질을 검색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잔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식기세척의 일 실시예는, 분사암을 구비하고, 분사암은 제1분사영역과 제2분사영역으로 물을 분사하는 영역이 분리되고,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 전체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제1분사영역으로 물을 분사하고,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세척대상물에는 제2분사영역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대상물에 더욱 강한 충격을 주어 세척을 완료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분사암에 카메라를 구비하고, 카메라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세척대상물을 검색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 전체를 세척하는 일반세척모드를 진행한 후, 발견된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세척대상물을 집중적으로 세척하는 집중세척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세척조, 세척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세척대상물에 물을 분사하되,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분사영역이 구비되는 분사암, 분사암에 구비되고, 복수의 분사영역으로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전환부, 분사암을 회전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유로전환부를 회전시키는 제2액추에이터, 및 분사암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분사영역은, 제1분사영역과, 제1분사영역과 분리되고 제1분사영역보다 물의 분사량 또는 분사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큰 제2분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암은 회전중심에 유로전환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장착부는, 중앙부에 형성되고, 유로전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가 끼워지는 중앙홀, 중앙부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1분사영역과 연결되는 제1연결홀, 및 원주방향으로 제1연결홀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제2분사영역과 연결되는 제2연결홀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분사암은, 한 쌍의 제1연결홀을 분리하고, 한 쌍의 제1분사영역을 분리하는 제1격벽, 및 제1연결홀과 제2연결홀을 분리하고, 제1분사영역과 제2분사영역을 분리하는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는, 중앙부에 장착부의 중앙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링 형상으로 장착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돌출부, 결합돌출부의 양쪽에 유로전환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회전함에 따라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함몰부, 및 유로전환부 중 함몰부를 제외한 부분으로 형성되고, 회전함에 따라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장착부의 외곽에는 유로전환부가 장착부에 결합하도록 가이드하고 링형상으로 유로전환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고, 유로전환부의 외곽에는 유로전환부의 외곽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장착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는 회전축이 유로전환부의 회전중심에 결합하여 유로전환부를 회전시키고, 유로전환부는 함몰부가 회전하여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는, 회전축이 분사암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분사암의 회전중심에 제1기어가 결합하고, 제1액추에이터의 회전축에 제2기어가 결합하고, 제1기어와 제2기어는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는 제2분사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분사암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분사영역은 분사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분사암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제2분사영역은 분사암의 일단부에 제1분사영역과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분사영역에는 물이 분사되는 복수의 제1분사홀이 형성되고, 제2분사영역에는 물이 분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1분사홀은 분사암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2분사홀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 각각의 제2분사홀이 분사암의 특정영역에 밀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분사영역에는 물이 분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홀이 형성되고, 카메라는 제2분사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분사암에 구비되는 제1분사영역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단계, 분사암에 구비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이미지로부터 세척대상물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분사암의 제2분사영역에 구비되는 제2분사홀을 오염물질에 접근시키는 단계, 제2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분사암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가 제1분사영역으로 물의 유동을 차단하고 제2분사영역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물의 유로를 전환하는 단계, 제2분사홀로 물을 분사하여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부위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부위를 세척함에 있어서, 제2분사홀이 오염물질에 근접한 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범위로 왕복회전하도록 분사암을 왕복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암은 제1분사영역과 제2분사영역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일반세척모드에서 제1분사영역으로 물을 분사하고, 집중세척모드에서 제2분사영역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대상물을 세척함으로써, 식기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암의 제1영역에 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카메라는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되어, 카메라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존재여부, 존재하는 위치 등을 더욱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중세척모드에서 제2분사홀이 오염물질에 근접한 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범위로 왕복회전하도록 분사암을 왕복회전시킴으로써 세척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암의 저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분사영역이 개방되고, 제2분사영역이 폐쇄된 상태에서 유로전환부가 분사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제1분사영역이 폐쇄되고, 제2분사영역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로전환부가 분사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제1분사영역이 개방되고, 제2분사영역이 폐쇄된 상태의 분사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분사영역이 폐쇄되고, 제2분사영역이 개방된 상태의 분사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구성요소의 배치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세척조(2),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 세척조(2)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sump), 세척조(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5), 및 수납부(5)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 7, 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세척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세척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할 수 있다.
세척조(2)는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상기 세척공간(21)에는 수납부(5) 및 분사암(6, 7, 8)이 구비될 수 있다. 세척조(2)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척조(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가 개방되면 수납부(5)가 식기세척기(1)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된 수납부(5)는 도어(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섬프(4)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41), 저장부(41)를 세척조(2)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 외부로부터 저장부(4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3), 저장부(41)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 및 저장부(41)의 물을 분사암(6, 7, 8)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와 공급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 상부에 구비되며, 세척조(2)와 섬프(4)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암(6, 7, 8)을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암(6, 7, 8)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의 저장부(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저장부(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분사암(6, 7, 8)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저장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저장부(41)의 물이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암(6, 7, 8)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암(6, 7, 8)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8)에 연결되는 제2공급유로(463), 및 공급유로들(461, 46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공간(21)에는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수납부가 구비된 식기세척기(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세척기(1)는 하나의 수납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부의 수에 따라서 분사암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수납부(5)는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섬프(4)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은 하부 랙(5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은 세척조(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세척조(2) 내주면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랙(51, 53) 하부에는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5)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세척조(2) 내에 구비되어 수납부(5)의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하부 분사암(6),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8)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섬프 커버(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 랙(51)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하부 분사암(6)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탑노즐(8)은 세척공간(21)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랙(51) 및 상부 랙(53)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유로(461)는 하부 분사암(6)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공급유로(463)는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8)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부 분사암(6)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부 분사암(6)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조는, 상부 분사암(7)에 대해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암(6)의 저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65)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분사암(6)은 세척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에 물을 분사하되,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분사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분사암(6)의 내부에는 제2공급유로(463)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 즉,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암(6)의 외부로 노출되는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와 분사홀이 구비되는 영역을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분사영역으로 지칭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영역은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영역(62)은 제1분사영역(61)과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암(6)에 유입되는 물은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으로 서로 분리된 영역을 유동하고,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을 유동하는 물을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은 분사암(6)의 내부에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암(6)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몰딩(molding)하여 제작함으로써, 분사암(6)에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이 형성될 수 있다.
식기의 세척과정에서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 전체를 동시에 세척하는 경우에는 물은 제1분사영역(61)으로 유동하여 전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영역(61)은 회전하는 분사암(6)이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 전체에 물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암(6)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분사암(6)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식기 전체에 대한 동시세척이 종료된 후, 하부 랙(51)의 일부 특정위치에 배치된 식기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경우에, 물은 제2분사영역(62)으로 유동하여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분사영역(61)으로 물을 유동시켜 식기전체를 세척하는 모드를 일반세척모드로 지칭하고, 제2분사영역(62)으로 물을 유동시켜 일부 식기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모드를 집중세척모드로 지칭한다.
집중세척모드에서는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세척되지 않고 식기의 표면에 비교적 견고하게 고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세척모드와 비교하여, 분사되는 물이 식기에 강한 충격을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2분사영역(62)은 상기 제1분사영역(61)보다 물의 분사량 또는 분사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분사영역(62)에서 물의 분사량을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제2분사영역(62)에서 물이 분사되는 집중세척모드에서는 급수펌프(45)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급수펌프(45)의 출력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2분사영역(62)에서 물의 분사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제2분사영역(62)에서 분사홀의 총단면적을 제1분사영역(61)에서의 분사홀의 총단면적보다 줄일 수 있다.
한편, 일반세척모드에서는 하부 랙(51)에 수납된 전체 식기를 세척하므로, 제1분사영역(61)은 분사암(6)의 길이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집중세척모드에서는 하부 랙(51)에 수납된 일부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제2분사영역(62)은 분사암(6)의 길이방향으로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65)는 분사암(6)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분사영역으로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분사암(6)에는 회전중심에 상기 유로전환부(65)가 장착되는 장착부(63)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65)는 분사암(6)의 장착부(63)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63)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1분사영역(61) 및 제2분사영역(62) 중 어느 하나의 분사영역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63)는 중앙홀(630), 제1연결홀(631) 및 제2연결홀(632)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홀(630)은 장착부(63)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부(65)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650)가 끼워질 수 있다. 유로전환부(65)는 이러한 구조로 장착부(63)에 결합하여, 장착부(6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연결홀(631)은 중앙부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분사영역(61)과 연결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유로전환부(65)에 의해 제1연결홀(631)이 개방되고 제2연결홀(632)이 폐쇄되며, 제1공급유로(461)를 통해 분사암(6)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1연결홀(631)을 통해 제1분사영역(6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분사영역(61)은 장착부(63)를 중심으로 분사암(6)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므로, 제1연결홀(631)은 중앙홀(630)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연결홀(632)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홀(63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영역(62)과 연결될 수 있다. 집중세척모드에서는 유로전환부(65)에 의해 제2연결홀(632)이 개방되고 제1연결홀(631)이 폐쇄되며, 제1공급유로(461)를 통해 분사암(6)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2연결홀(632)을 통해 제2분사영역(6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분사영역(62)은 분사암(6)의 일단부에 형성되므로, 제2연결홀(632)은 장착부(63)의 원주방향으로 한 쌍의 제1연결홀(631) 사이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63)의 외곽에는 제1돌출부(63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633)는 장착부(63)의 외곽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링형상으로, 상기 유로전환부(65)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633)는 유로전환부(65)가 상기 장착부(63)에 결합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장착부(63)에 끼워진 유로전환부(65)는 제1돌출부(633)에 의해 가이드되어 장착부(6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분사암(6)에는 제1격벽(641) 및 제2격벽(642)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암(6)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일부를 막도록, 예를 들어 몰딩에 의해 분사암(6)을 제작함으로써, 상기 분사암(6)에 상기 제1격벽(641)과 제2격벽(64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1격벽(6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제1연결홀(631)을 분리하고, 한 쌍의 상기 제1분사영역(61)을 분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격벽(641)은 한 쌍의 제1연결홀(631)이 서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위치에 이들 한쌍의 제1연결홀(631)을 분리하도록 형성되고, 분사암(6)의 횡방향으로 중앙홀(630)과 분사암(6)의 가장자리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격벽(6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홀(631)과 상기 제2연결홀(632)을 분리하고, 상기 제1분사영역(61)과 상기 제2분사영역(62)을 분리할 수 있다. 제2분사영역(62)이 분사암(6)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므로, 제2격벽(642)은 제2-1격벽(6421), 제2-2격벽(642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1격벽(6421)은 중앙홀(630)을 기준으로 제1분사영역(61)만 형성되는 분사암(6)의 일단부에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연결홀(631)과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연결홀(632)을 서로 분리하도록, 중앙홀(630)과 분사암(6)의 횡방향 가장자리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2격벽(6422)은 중앙홀(630)을 기준으로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이 모두 형성되는 분사암(6)의 타단부에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1연결홀(631)과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연결홀(632)을 서로 분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격벽(6422)은 일단은 상기 중앙홀(630)까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암(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부(65)는 결합돌출부(650), 함몰부(651) 및 폐쇄부(652)를 구비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65)의 중심에는 제2액추에이터(67)의 회전축이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유로전환부(65)는 제2액추에이터(67)에 의해 분사암(6)의 장착부(6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결합돌출부(650)는 중앙부에 장착부(63)의 상기 중앙홀(6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폭을 가진 링 형상으로 상기 장착부(63)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출부(650)가 장착부(63)의 중앙홀(630)에 끼워져, 유로전환부(65)는 장착부(63)에 결합할 수 있다.
함몰부(651)는 결합돌출부(650)의 양쪽에 상기 유로전환부(65)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홀(631) 및 상기 제2연결홀(6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폐쇄부(652)는 유로전환부(65) 중 상기 함몰부(651)를 제외한 부분으로 형성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홀(631) 및 상기 제2연결홀(6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함몰부(651)와 제1연결홀(631)이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 폐쇄부(652)는 제2연결홀(632)과 중첩되고, 이때 분사암(6)에 유입된 물을 제1연결홀(631)을 통해 제1분사영역(6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65)가 회전하여, 함몰부(651)와 제2연결홀(632)이 서로 중첩되고 폐쇄부(652)와 제1연결홀(631)이 서로 중첩되면, 분사암(6)에 유입된 물은 제2연결홀(632)을 통해 제2분사영역(6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65) 외곽에는 제2돌출부(65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돌출부(653)는 유로전환부(65)의 외곽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기 장착부(63)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653)는 장착부(63)의 제1돌출부(633)의 내측에 끼워지고, 유로전환부(65)가 장착부(6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에, 제2돌출부(653)는 제1돌출부(633)에 가이드되어 유로전환부(65)는 장착부(63)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제2돌출부(653)는 장착부(63)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함몰부(651)를 통과하는 물이 장착부(63)와 유로전환부(65)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로전환부(65)의 내측으로 스며들어 폐쇄부(652)에 의해 폐쇄된 연결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부(65)에 의해 제1연결홀(631)이 개방되고, 제2연결홀(632)이 폐쇄된 경우에, 제2돌출부(653)는 물이 장착부(63)와 유로전환부(65) 사이의 틈을 통해 제2연결홀(632)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돌출부(653)는 장착부(63)와 유로전환부(65)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 장착부(63) 및 유로전환부(65)의 접촉부위의 마모를 줄이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제1액추에이터(66)와 제2액추에이터(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66)는 분사암(6)을 회전시키고, 제2액추에이터(67)는 유로전환부(6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66)와 제2액추에이터(67)는, 예를 들어,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텝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67)는 회전축이 유로전환부(65)의 중심에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유로전환부(65)는 제2액추에이터(67)에 의해 장착부(6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66)가 제2액추에이터(67)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1액추에이터(66)는 회전축이 분사암(6)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암(6)의 회전중심에는 제1기어(691)가 결합할 수 있다. 제1기어(691)가 회전하면 분사암(6)은 회전하지만, 유로전환부(65)는 제1기어(691)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66)의 회전축에 제2기어(692)가 결합하고, 상기 제1기어(691)와 상기 제2기어(692)는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액추에이터(66)가 작동함에 따라 분사암(6)은 회전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67)는 회전축이 상기 유로전환부(65)의 회전중심에 결합하여 상기 유로전환부(6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유로전환부(65)는 상기 함몰부(651)가 회전하여 상기 제1연결홀(631) 및 상기 제2연결홀(6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도 5는 제1분사영역(61)이 개방되고, 제2분사영역(62)이 폐쇄된 상태에서 유로전환부(65)가 분사암(6)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제1분사영역(61)이 폐쇄되고, 제2분사영역(62)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로전환부(65)가 분사암(6)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부(65)의 함몰부(651)는 제1분사홀(611)과 중첩되고 폐쇄부(652)는 제2분사홀(621)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분사홀(611)은 개방되고, 제2분사홀(621)은 폐쇄되어, 분사암(6)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1분사홀(611)을 통해 제1분사영역(6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식기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액추에이터(67)에 의해 유로전환부(65)는 도 5의 상태에서 회전하여, 함몰부(651)는 제2분사홀(621)과 중첩되고 폐쇄부(652)는 제1분사홀(611)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분사홀(611)은 폐쇄되고, 제2분사홀(621)은 개방되어, 분사암(6)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2분사홀(621)을 통해 제2분사영역(6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식기세척기는 집중세척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분사암(6)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분사암(6)은 전체적으로 하부 랙(5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분사영역(61)은 상기 분사암(6)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암(6)의 양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분사영역(62)은 상기 분사암(6)의 일단부에 상기 제1분사영역(61)과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 사이에는 제2격벽(642)이 형성되어, 상기 제2격벽(642)에 의해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분사영역(61)에는 물이 분사되는 복수의 제1분사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1분사홀(611)은 상기 분사암(6)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 제1분사홀(611)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들 전체를 세척하므로, 제1분사홀(611)은 분사암(6)의 길이방향으로 비교적 고른 간격을 두고 분사암(6)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분사암(6)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분사홀(611)은 반드시 양단부에 대칭인 위치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제1분사홀(611) 사이의 간격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도 없다.
제2분사영역(62)에는 물이 분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집중세척모드에서 제2분사홀(621)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집중세척모드에서는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들 중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에 대하여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집중세척모드에서는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가 놓인 하부 랙(51)의 특정위치에만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제2분사홀(621)은 분사암(6)의 특정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제2분사홀(621)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제2분사홀(621)이 상기 분사암(6)의 특정영역에 밀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분사홀(621)을 분사암(6)의 특정영역에 밀집 배치함으로써,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에 물을 집중적으로 분사하여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6)에 구비되는 카메라(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68)는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중 일반세척이 종료된 후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카메라(68)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송받은 이미지로부터 식기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채도, 명도, 형상 등을 파악하여 세척되어야 할 잔류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식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카메라(68)는 제어부가 잔류 오염물질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집중세척모드에서 제어부는 제1액추에이터(66)의 동작을 제어하여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에 제2분사홀(621)이 근접하도록 분사암(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카메라(68)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의 위치를 되도록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68)를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에 되도록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카메라(68)가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에 가까이 위치할 수록 제어부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오염물질의 위치, 상태를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집중세척모드에서 세척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2분사영역(62)과 제2분사홀(621)을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에 되도록 근접시킬 필요가 있다. 전술한 이유로 카메라(68)와 제2분사영역(62)은 분사암(6)에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68)는 상기 제2분사영역(6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이유로 카메라(68)와 제2분사홀(621)은 분사암(6)에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68)는 상기 제2분사홀(621)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제1분사영역(61)이 개방되고, 제2분사영역(62)이 폐쇄된 상태의 분사암(6)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간략히 도시된 유로전환부(65)가 분사암(6)에 결합된 모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 및 도 8에서 해칭된 부분은 유로가 폐쇄된 것을 의미한다.
도 7의 상태에서, 분사암(6)으로 유입된 물은 제1분사홀(611)을 통과하여 분사암(6)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1분사영역(61)으로 유동하고, 제1분사홀(611)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도 7의 상태에서 일반세척모드가 진행되고, 상기 일반세척모드의 진행시 제1액추에이터(66)가 작동하여 분사암(6)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들 전체를 세척할 수 있다.
도 8은 제1분사영역(61)이 폐쇄되고, 제2분사영역(62)이 개방된 상태의 분사암(6)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간략히 도시된 유로전환부(65)가 분사암(6)에 결합된 모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의 상태에서 분사암(6)으로 유입된 물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사홀(621)을 통과하여 분사암(6)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분사영역(62)으로 유동하고, 제2분사홀(621)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도 8의 상태에서 집중세척모드가 진행되고, 상기 집중세척모드의 진행시 제1액추에이터(66)가 작동하여 제2분사홀(621)을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가 배치된 위치에 제2분사홀(621)을 근접시키고, 잔류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집중세척모드에서는 분사암(6)이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2분사홀(621)이 상기 오염물질에 근접한 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범위로 왕복회전하도록 상기 분사암(6)을 왕복회전시키는 상태에서 물을 분사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급수펌프(45), 제1액추에이터(66), 제2액추에이터(67), 카메라(68) 등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이들을 제어함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급수펌프(45)를 작동시켜, 분사암(6)에 구비되는 제1분사영역(61)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다(S110).
S110단계에서 식기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를 진행하고, 이때, 분사암(6)은 회전하고 제1분사영역(61)에서 물이 분사되어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들 전체를 세척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급수펌프(45)의 작동을 중지시켜 S110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S110단계가 종료된 후, 제어부는 상기 분사암(6)에 구비되는 카메라(68)가 촬영하는 이미지로부터 세척대상물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제어부는 S110단계에서 분사암(6)에 구비되는 카메라(68)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S110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1액추에이터(66)를 작동시켜 분사암(6)을 회전시켜서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의 이미지를 카메라(68)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전송받은 이미지로부터 식기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채도, 명도, 형상 등을 파악하여, 식기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지 여부, 세척되어야 할 잔류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식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식기에 오염물질이 잔류하지 않는 경우 식기세척과정은 종료하고, 식기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경우에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액추에이터(66)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암(6)의 제2분사영역(62)에 구비되는 제2분사홀(621)을 상기 오염물질에 접근시킬 수 있다(S130).
제어부는 제1액추에이터(66)를 제어하여 분사암(6)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제2분사홀(621)을 오염물질에 최대한 접근시킬 수 있다. 이때, 제2분사홀(621)에 인접한 위치에 카메라(68)가 배치되므로, 상기 카메라(68)도 오염물질에 접근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액추에이터(67)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암(6)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65)가 상기 제1분사영역(61)으로 물의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2분사영역(62)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물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S140).
S140단계에서 유로전환부(65)가 제1연결홀(631)을 폐쇄하고 제2연결홀(632)을 개방함으로써, 잔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집중세척의 준비가 완료된다.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S130단계와 상기 S140단계는 어느 단계를 먼저 진행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S130단계를 먼저 진행하고 S140단계를 나중에 진행하거나, 그 반대로 S140단계를 먼저 진행하고 S130단계를 나중에 진행하거나, 또는 S130단계와 S140단계를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가 다시 급수펌프(45)를 작동시킴으로써, 분사암(6)은 기 제2분사홀(621)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S150).
S150단계에서 분사암(6)에 유입된 물은 제2분사영역(62)을 유동하여 제2분사홀(621)로 분사되어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를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S150단계에서 분사암(6)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여 제2분사홀(621)을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에 근접한 상태로 둠으로써 세척효율를 높일 수 있다.
또는 S150단계에서, 제어부는 제1액추에이터(66)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2분사홀(621)이 상기 오염물질에 근접한 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범위로 왕복회전하도록 상기 분사암(6)을 왕복회전시킴으로써 세척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S150단계에서 카메라(68)는 세척 중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부위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미지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잔류 오염물질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S150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상기 S120 내지 S150단계를 진행하여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에 대한 집중세척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식기가 하부 랙(51)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각각의 식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집중세척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 첫번째 집중세척모드가 종료된 후에는 이미 제2분사영역(62)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유로전환기를 작동시켰으므로, 상기 S140단계를 생략하고, 상기 S120, S130 및 S150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사암(6)은 제1분사영역(61)과 제2분사영역(62)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일반세척모드에서 제1분사영역(61)으로 물을 분사하고, 집중세척모드에서 제2분사영역(62)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척대상물을 세척함으로써, 식기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사암(6)의 제1영역에 카메라(68)가 구비됨으로써, 카메라(68)는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되어, 카메라(68)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존재여부, 존재하는 위치 등을 더욱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2: 세척조
3: 도어 4: 섬프
45: 급수펌프 5: 수납부
51: 하부 랙 6: 분사암
61: 제1분사영역 611: 제1분사홀
62: 제2분사영역 621: 제2분사홀
63: 장착부 630: 중앙홀
631: 제1연결홀 632: 제2연결홀
633: 제1돌출부 641: 제1격벽
642: 제2격벽 6421: 제2-1격벽
6422: 제2-2격벽 65: 유로전환부
650: 결합돌출부 651: 함몰부
652: 폐쇄부 653: 제2돌출부
66: 제1액추에이터 67: 제2액추에이터
68: 카메라 691: 제1기어
692: 제2기어

Claims (13)

  1.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에 물을 분사하되,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분사영역이 구비되는 분사암;
    상기 분사암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분사영역으로 물이 유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전환부;
    상기 분사암을 회전시키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유로전환부를 회전시키는 제2액추에이터; 및
    상기 분사암에 구비되는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영역은,
    제1분사영역과, 상기 제1분사영역과 분리되고 상기 제1분사영역보다 물의 분사량 또는 분사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큰 제2분사영역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회전중심에 상기 유로전환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가 끼워지는 중앙홀;
    상기 중앙부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분사영역과 연결되는 제1연결홀; 및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홀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영역과 연결되는 제2연결홀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한 쌍의 상기 제1연결홀을 분리하고, 한 쌍의 상기 제1분사영역을 분리하는 제1격벽; 및
    상기 제1연결홀과 상기 제2연결홀을 분리하고, 상기 제1분사영역과 상기 제2분사영역을 분리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중앙부에 장착부의 상기 중앙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링 형상으로 상기 장착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결합돌출부;
    상기 결합돌출부의 양쪽에 상기 유로전환부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홀 및 상기 제2연결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함몰부; 및
    상기 유로전환부 중 상기 함몰부를 제외한 부분으로 형성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홀 및 상기 제2연결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외곽에는,
    상기 유로전환부가 상기 장착부에 결합하도록 가이드하고, 링형상으로 상기 유로전환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전환부의 외곽에는,
    상기 유로전환부의 외곽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기 장착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회전축이 상기 유로전환부의 회전중심에 결합하여 상기 유로전환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함몰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1연결홀 및 상기 제2연결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회전축이 상기 분사암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암의 회전중심에 제1기어가 결합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회전축에 제2기어가 결합하고,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서로 커플링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분사영역에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분사영역은 상기 분사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암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분사영역은 상기 분사암의 일단부에 상기 제1분사영역과 구분되어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영역에는 물이 분사되는 복수의 제1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영역에는 물이 분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분사홀은 상기 분사암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분사홀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제2분사홀이 상기 분사암의 특정영역에 밀집되어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영역에는 물이 분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분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분사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2. 분사암에 구비되는 제1분사영역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분사암에 구비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이미지로부터 세척대상물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암의 제2분사영역에 구비되는 제2분사홀을 상기 오염물질에 접근시키는 단계;
    제2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암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가 상기 제1분사영역으로 물의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2분사영역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물의 유로를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분사홀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부위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이 잔류하는 부위를 세척함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홀이 상기 오염물질에 근접한 위치에서 일정한 각도범위로 왕복회전하도록 상기 분사암을 왕복회전시키는,
    식기세척기 제어방법.
KR1020200103256A 2020-08-18 2020-08-18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22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56A KR20220022280A (ko) 2020-08-18 2020-08-18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7/398,607 US11864710B2 (en) 2020-08-18 2021-08-10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190792.8A EP3957226A1 (en) 2020-08-18 2021-08-11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56A KR20220022280A (ko) 2020-08-18 2020-08-18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280A true KR20220022280A (ko) 2022-02-25

Family

ID=7730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256A KR20220022280A (ko) 2020-08-18 2020-08-18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64710B2 (ko)
EP (1) EP3957226A1 (ko)
KR (1) KR202200222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6902B2 (en) 2017-08-03 2023-01-31 Idealab Loc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via ground image recogni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2505A1 (de) 2001-12-19 2003-07-1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zum Spülen von Spülgut i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US7935194B2 (en) 2007-08-27 2011-05-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argeted sensing
DE102009002667B4 (de) 2009-04-27 2016-03-24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und Umwälzpumpe mit Wasserweiche
JP2011224235A (ja) 2010-04-22 2011-11-10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US9119521B2 (en) 2010-06-09 2015-09-01 Whirlpool Corporation Spray assembly for a dishwasher
US8834648B2 (en) 2010-10-21 2014-09-1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controlled rotation of lower spray arm
US8696827B2 (en) * 2010-12-01 2014-04-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imaging device for measuring load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20279536A1 (en) 2011-05-04 2012-11-0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spray arm with diverting valve
EP3292808B1 (en) 2011-09-22 2019-05-1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KR20130033811A (ko) 2011-09-27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334614B1 (ko) 2014-06-12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DE102014215660A1 (de) 2014-07-17 2016-01-21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drehbar gelagerten optischen Erfassungsmittel
CN107752937B (zh) 2017-09-15 2020-02-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残留物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64710B2 (en) 2024-01-09
EP3957226A1 (en) 2022-02-23
US20220053993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033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 유로 제어 장치
KR102040795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18413B1 (ko) 식기세척기
KR20120140680A (ko) 식기 세척기
KR20070120392A (ko) 세척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20050105706A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20120078276A (ko) 식기세척기
KR2022002228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26598A (ko) 식기세척기
KR100769777B1 (ko) 식기 세척기
KR20110109343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20901A (ko) 식기세척기
JP4852788B2 (ja) 食器洗浄機
US20190343367A1 (en) Dish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90103680A (ko) 식기세척기
JP2004267661A (ja) 食器洗い機
JP2001218721A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767891B1 (ko) 식기 세척기
JP2010264160A (ja) 食器洗い機
JP3829777B2 (ja) 食器洗い機
KR10076527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JP4604355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3829795B2 (ja) 食器洗い機
KR19990076356A (ko) 상하교번 세척용 식기세척기
JP5104779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