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68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680A
KR20190103680A KR1020180024398A KR20180024398A KR20190103680A KR 20190103680 A KR20190103680 A KR 20190103680A KR 1020180024398 A KR1020180024398 A KR 1020180024398A KR 20180024398 A KR20180024398 A KR 20180024398A KR 20190103680 A KR20190103680 A KR 20190103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sh
washing
water collec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200B1 (ko
Inventor
주병현
이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200B1/ko
Priority to PCT/KR2019/002435 priority patent/WO2019168379A1/ko
Publication of KR2019010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8Arrangements to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s, e.g. self-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9Filter clean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대상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와 연결되고,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집수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집수관을 포함하는 섬프와, 집수관을 통하여 집수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펌프와, 집수부에 배치되어 집수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고,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메쉬(mesh) 및 제1 메쉬의 통공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2 메쉬를 포함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행정에 따라 제1 메쉬 또는 제2 메쉬가 집수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척행정에 따라 필터효율을 조절 가능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가 수용되는 세척실 내부에는 식기에서 분리되어 나온 이물질과 혼합된 세척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게 된다. 필터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필터링된 세척수가 세척펌프에 의해 순환하며 식기를 지속해서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의 구조에 관한 특허로서 공개특허 10-2017-0081937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오염물질이 많은 세척수를 필터링할 때에 오염물질이 필터의 그물망(메쉬)에 걸려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세척수의 순환이 원활히 되지 못하여 식기세척기의 세척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기세척기의 동작 중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세척수가 원활히 순환되지 않게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식기세척기의 세척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세척 행정에 따라 필터 효율을 조절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와 연결되고,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집수관을 포함하는 섬프와, 상기 집수관을 통하여 상기 집수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펌프와, 상기 집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수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고,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메쉬(mesh) 및 상기 제1 메쉬의 통공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2 메쉬를 포함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행정에 따라 상기 제1 메쉬 또는 상기 제2 메쉬가 상기 집수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가 일정한 면적 비율로 상기 필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식기세척기는 상기 집수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필터회전체 및 상기 필터회전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필터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필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와 함께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과 상기 캠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상기 구동모터에 제공하는 회전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기는 접촉된 부분이 선형으로(linearly) 이동하여 온오프되고, 온오프될 시 상기 구동모터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구동모터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필터로 전달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세척행정은, 제1 행정과, 상기 섬프의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이 제1 행정 보다 적은 제2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제1 행정 시 상기 제1 메쉬가 상기 집수관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행정 시 상기 제2 메쉬가 상기 집수관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섬프는,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필터를 향하여 더 돌출되어 상기 필터의 측면 일부를 커버하는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1 메쉬 또는 상기 제2 메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집수관을 향하도록 상기 필터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집수부의 상기 집수관과 대향하는 측면을 향하는 메쉬를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필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섬프는, 상기 집수관을 둘러싸며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필터를 향하여 더 돌출되는 처마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메쉬의 통공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3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제1 메쉬, 상기 제2 메쉬 및 제3메쉬가, 일정한 면적 비율로 상기 필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세척행정에 따라 필터가 회전하며 세척수가 통과되는 메쉬를 변경함으로써, 오염물질이 많은 세척행정에서 필터가 막히는 현상(클로깅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세척행정에 따라, 서로 상충되는 필터의 효율과 세척수 순환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세척효과가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세척행정에 따라 이용되지 않는 필터를 통한 세척수의 유동을 방지하는 차단벽을 구비함으로써, 필터로 유입된 세척수의 유동을 유도하여, 듀얼 메쉬필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필터와 필터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실(12a)을 형성하는 터브(12)와, 터브(12)의 전면에 구비되어 세척실(12a)을 개폐하는 도어(20)와, 터브(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00)와, 터브(12)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암(13, 14, 15)과, 섬프(100)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암(13, 14, 15)에 공급하고 스팀을 생성하는 세척펌프(150)와, 도어(20)에 구비되어 세척펌프(150)에서 생성된 스팀을 세척실(12a)로 분사하는 스팀노즐(195)과, 세척펌프(150)와 스팀노즐(195)을 연결하는 스팀호스(190)와, 섬프(100)에 배치되어 복수의 분사암(13, 14, 15)으로 세척수를 분배하는 전환밸브(130)와, 섬프(100)의 집수부(102)에 배치되어 집수부(102)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200)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세척대상인 식기를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1)는, 터브(12) 및 식기세척기(1)의 구성요소 일체를 수용할 수 있다.
터브(12)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척실(12a)을 형성한다. 터브(12)의 바닥(12b)에는 세척수가 섬프(100)로 유입되는 연통홀(12c)이 형성된다. 세척실(12a)에는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복수의 랙(rack)(16, 17)이 구비된다. 복수의 랙(16, 17)은 세척실(12a)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랙(16)과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랙(17)을 포함한다. 하부랙(16)과 상부랙(17)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터브(12)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암(13, 14, 15)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분사암(13, 14, 15)은, 최하단에 배치되어 하부랙(16)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로우분사암(13)과, 로우분사암(13)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랙(17)을 향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어퍼분사암(14)과, 어퍼분사암(14)의 상측인 세척실(12a)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분사암(15)을 포함한다.
복수의 분사암(13, 14, 15)은 복수의 분사암 연결유로(18, 19, 21)를 통해 세척펌프(15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복수의 분사암 연결유로(18, 19, 21)는 로우분사암(13)과 연결되는 로우분사암 연결유로(18), 어퍼분사암(14)과 연결되는 어퍼분사암 연결유로(19) 및 탑분사암(15)과 연결되는 탑분사암 연결유로(21)를 포함한다.
섬프(100)는 터브(12)의 바닥(12b)의 하측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집수한다. 섬프(100)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급수유로(23)와 연결된다. 급수유로(23)에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22)가 구비된다. 급수밸브(22)가 개방되면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는 급수유로(23)를 통하여 섬프(100)로 유입된다. 급수유로(23)에는 급수유로(23)를 통하여 섬프(100)로 유동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미터(27)가 구비된다.
섬프(100)는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세척기(1)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24)가 연결된다. 배수유로(24)에는 섬프(100) 내의 세척수를 배수유로(24)를 통하여 배수하는 배수펌프(25)가 구비된다. 배수펌프(25)가 구동하면 섬프(100)에 저장된 세척수는 배수유로(24)를 통하여 케이스(11) 외부로 유동된다.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한다. 세척펌프(150)는 전환밸브(130)와 세척수 공급유로(180)로 연결된다. 세척펌프(150)가 구동되면 섬프(100)에 저장된 세척수는 집수유로(170)를 통하여 세척펌프(150)로 유입된 후 세척수 공급유로(180)를 통하여 전환밸브(130)로 압송된다.
세척펌프(150)는 세척수 공급유로(180)로 이송되는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세척펌프(150)는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세척펌프(150)는 스팀호스(190)와 연결된다. 세척펌프(15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190)를 통하여 스팀노즐(195)로 공급된다.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의 일측방에 설치된다. 세척펌프(150)는, 종래에 공지된 펌프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히터(140)는 세척펌프(150)의 하측에 결합되어 세척펌프(150) 내의 세척수를 가열한다. 히터(140)는 세척펌프(150)가 동작할 때 세척펌프(150) 내를 유동하는 세척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히터(140)는 세척펌프(150)가 정지하였을 때, 세척펌프(150)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히터(140)에 의하여 생성된 온수는 복수의 분사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터브(12) 내로 분사된다. 히터(140)에 의하여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190)를 따라 유동하여 스팀노즐(195)을 통하여 터브(12) 내로 토출된다.
스팀노즐(195)은 도어(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팀을 세척실(12a)로 분사한다. 스팀노즐(195)에서 분사된 스팀은 하부랙(16) 및/또는 상부랙(17)에 수납된 세척대상에 작용된다.
전환밸브(130)는 섬프(100)를 복수의 분사암(13, 14, 15) 중 적어도 하나와 선택으로 연결한다. 전환밸브(130)는 세척펌프(150)에 의해 압송되는 세척수를 로우분사암(13), 어퍼분사암(14) 및 탑분사암(15)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전환밸브(130)는 세척수 공급유로(180)와 복수의 분사암 연결유로(18, 19, 21)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체크밸브(175)는 섬프(100)와 세척펌프(150) 사이에 배치되어 섬프(100)에서 세척펌프(150) 방향으로 열린다. 체크밸브(175)는 섬프(100)에서 세척펌프(150)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열리고 세척펌프(150)에서 섬프(100)로 스팀이 유동되지 않도록 닫힌다. 체크밸브(175)는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회동되어 열린다. 체크밸브(175)는 집수유로(170) 내부에 배치되거나 집수유로(170)와 세척펌프(150) 사이에 연결되어 집수유로(170)를 개폐한다.
체크밸브(175)는 히터(140)가 스팀을 생성할 때 닫힌다. 체크밸브(175)는 세척펌프(150)가 동작하여 세척수를 유동할 때 열리고 세척펌프(150)가 정지하여 세척수가 유동하지 않을 때 닫힌다. 체크밸브(175)는 세척펌프(150)의 세척수의 유동압력에 의하여 개방된다. 실시예에 따라 체크밸브(175)는 전자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체크밸브(175)는 배수펌프(25)의 동작시 닫힘 상태에서도 세척펌프(150)에서 섬프(100)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형성된다.
필터(200)는 연통홀(12c)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다. 필터(200)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들(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0)는, 섬프(100)의 집수부(102)에 배치되어, 집수부(102)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걸러진 세척수가 세척펌프(1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200)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메쉬(mesh)(211) 및 제1 메쉬(211)의 통공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2 메쉬(212)를 포함하고, 세척행정에 따라 제1 메쉬(211) 또는 제2 메쉬(212)가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관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200)에서 채집되는 이물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필터(2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100)는, 터브(12)의 바닥(12b)에 결합되는 섬프바디(101)와,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102)와, 전환밸브(130)가 배치되는 밸브결합부(104)와, 섬프바디(10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팀호스(190)를 지지하는 스팀호스지지부(103)를 포함한다.
섬프바디(101)는 터브(12)의 바닥(12b)의 하측에 배치되어 터브(12)에 결합된다. 섬프바디(101)는 대략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섬프바디(101)는 상면에 세척수를 집수부(102)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02)는 집수된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집수부(102)는 터브(12)의 연통홀(12c)에 대응되어 연통홀(12c)의 하측에 배치된다. 집수부(102)의 측면에는, 급수유로(23)가 연결되어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집수부(102) 내로 유입되는 급수관(102a)과, 배수펌프(25)가 장착되며 배수유로(24)가 연결되어 집수부(102) 내의 세척수가 유출되는 배수부(102c)와, 집수유로(170)와 연결되어 집수부(102) 내의 세척수가 유출되는 집수관(102b)이 형성된다.
밸브결합부(104)에는 전환밸브(130)가 구비된다. 밸브결합부(104)는 전환밸브(130)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밸브결합부(104)는 대략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밸브결합부(104)에는 세척수 공급유로(180)와 연통되는 공급홀(104a)이 형성된다.
스팀호스지지부(103)는 섬프바디(101)의 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스팀호스(190)를 지지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섬프(100)는, 집수부(102)에서 필터(200)를 향하여 더 돌출되어 필터(200)의 측면 일부를 커버하는 차단벽(106)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벽(106)은, 제1 메쉬(211) 또는 제2 메쉬(212) 중 어느 하나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필터(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집수부(102)의 집수관(102b)과 대향하는 측면을 향하는 메쉬를 커버하여, 차단벽(106)이 커버하는 메쉬를 통과하여 세척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차단벽(106)은, 필터(200)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고, 필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 형상일 수 있다.
차단벽(106)은, 원형 파이프관을, 파이프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자른 형상일 수 있다.
차단벽(106)은, 상하 길이가 필터(200)의 바디 측면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벽(106)의 상단은 필터(200)의 어퍼프레임(221)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필터(200)가 회전될 시 차단벽(106)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벽(106)의 하단은 필터(200)의 로워프레임(225)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필터(200)가 회전될 시 차단벽(106)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단벽(106)은, 내측면이 원통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200)가 집수부(102)로 삽입되어 후술하는 필터회전체(23, 도 8)에 결합되었을 시, 차단벽(106)와 일부 접촉되거나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집수관(102b)과 반대쪽의 메쉬에 대한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다.
차단벽(106)은, 섬프(100)의 집수부(10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집수부(102)의 일부가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차단벽(106)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차단벽(106)은, 집수부(102)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벽(106)은, 집수부(102)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측면이 형성되어, 집수부(10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섬프(100)는, 집수관(102b)을 둘러싸며 집수부(102)에서 필터(200)를 향하여 더 돌출되는 처마리브(107)를 포함할 수 있다.
처마리브(107)는, 집수관(102b)의 상측에, 집수관(102b)의 직경보다 더 길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구비되어, 터브(12) 하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필터(200)를 거치지 않고 집수부(102)로 유입된 세척수가 집수관(102b)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처마리브(107)는, 집수부(102) 내부에, 집수부(102) 상단 및 하단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처마리브(107)는, 집수부(102)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리브(108) 사이에 배치되어, 처마리브(107)가 배치되는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처마리브(107)는, 집수부(102)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돌출리브(108)에 의하여 수평 방향의 양단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마리브(107)는, 일단이 필터(200)와 접촉되도록 집수부(102) 내측으로 연장되어, 필터(200)의 메쉬를 통과한 세척수만 집수관(102b)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처마리브(107)는, 내측단이 필터(200)의 필터프레임(220)과 접촉되도록 집수부(102)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지만,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량은 적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마리브(107)는, 일단이 필터(200)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집수부(102)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은 세척수 일부는 집수관(102b)으로 곧바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량은 많을 수 있지만,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이물질이 많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처마리브(107)는, 필터(200)를 통과하고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량과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고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어, 복수의 분사암(13, 14, 15)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처마리브(107)는, 차단벽(106)과 함께 필터(200)를 내측으로 지지하여, 집수부(102) 내에서 필터(20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200)가 회전 시 또는 세척수의 유동에 의해 필터(200)가 움직일 시, 처마리브(107) 및 차단벽(106)에 의해 필터(200)가 원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처마리브(107) 및 돌출리브(108)는,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고 집수관(102b)로 곧바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아예 차단할 수 있다. 즉, 처마리브(107)에 의하여 집수관(102b)의 상측에 베리어가 형성되고, 돌출리브(108)에 의하여 집수관(102b)의 양측으로 베리어가 형성되어, 집수부(102)로 유입되어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고 집수관(102b)를 향하여 유동하는 세척수를 제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처마리브(107) 및 돌출리브(108)는, 필터(200)를 통과하여 집수관(102b)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과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고 집수관(102b)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의 일측방에 설치될 수 있다.
세척펌프(150)는, 섬프(100)의 집수관(102b)과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150)는, 집수관(102b)을 통하여 집수부(102)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다. 세척펌프(150)는, 집수관(102b)과 연결되는 세척수유입관을 구비할 수 있다.
세척펌프(150)는, 세척수 공급유로(180)와 연결되는 세척수유출관를 구비할 수 있다. 세척펌프(150)는, 세척수유출관 및 세척수 공급유로(180)를 통하여 전환밸브(130)과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150)는, 스팀호스(190)과 연결되는 스팀배출관을 구비할 수 있다. 세척펌프(150)는, 스팀배출관 및 스팀호스(190)를 통하여 스팀노즐(195)과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 인하여 스팀호스(190)는 세척펌프(150)에서 스팀호스(190)까지 스팀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향하거나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팀호스(190)는 스팀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을 향하는 부분이 없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필터와 필터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필터(2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세척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200)는, 터브(12) 내부로 일부 돌출되어, 터브(12)의 바닥(12b)을 따라 세척수가 유입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0)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들이 구비되어, 세척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0)는, 필터프레임(220)에 의해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0)은, 바디의 상단을 이루고, 중앙홀이 형성된 원판 형상인 어퍼프레임(221)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0)은, 어퍼프레임(221)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메인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0)은, 어퍼프레임(221)에서 아래로 연장되고, 메인프레임(222) 보다 폭이 얇은 서브프레임(223)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0)은, 어퍼프레임(221)과 수평 또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띠 형상으로, 이웃하는 메인프레임(222)과 서브프레임(223)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프레임(224)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0)은, 바디 하단을 이루고, 원형의 띠 형상인 로워프레임(225)을 포함할 수 있다.
로워프레임(225)은, 후술하는 필터회전체(231)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돌기(2251)를 구비할 수 있다. 로워프레임(225)은, 후술하는 필터회전체(23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0)은, 바디의 상측에 필터(200)의 상단을 이루는 헤드프레임(226)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프레임(226)은, 원형의 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손잡이(2262)가 배치되는 헤드프레임 바디(2261)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프레임(226)은, 헤드프레임 바디(2261)과 어퍼프레임(221)을 연결하는 헤드프레임 브릿지(2263)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0)은, 필터(200)의 헤드와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어퍼프레임(221)의 중앙홀에 일부 삽입되는 헤드흡입구(227)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흡입구(227)는, 어퍼프레임(221)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판과, 수평판과 교차하는 복수의 수직판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필터(200)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필터(200)는, 바디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메쉬(211) 및 제1 메쉬(211)의 통공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2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0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행정에 따라 제1 메쉬(211) 또는 제2 메쉬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200)는,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메쉬(211)는, 복수의 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제1 메쉬(211)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메쉬(211)는 정사각형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쉬(211)는, 정사각형인 통공의 한변의 길이(L1)가 0.57mm~0.23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쉬(211)는, 필터(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메쉬(211)는, 메인프레임(222)과 서브프레임(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메쉬(212)는, 복수의 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제2 메쉬(212)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메쉬(212)는, 정사각형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메쉬(212)는, 정사각형인 통공의 한변의 길이(L2)가 제1 메쉬(211)의 통공의 한변의 길이(L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메쉬(212)의 정사각형인 통공의 한변의 길이(L2)는, 0.13mm~0.23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메쉬(212)는, 필터(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메쉬(212)는, 메인프레임(222)과 서브프레임(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200)는, 제1 메쉬(211) 및 제2 메쉬(212)가 일정한 면적 비율로 필터(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필터(200)는, 제1 메쉬(211) 및 제2 메쉬(212)에 의하여, 필터프레임(22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필터(200)의 측면의 나머지 부분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쉬(211) 미 제2 메쉬(212)는, 2:1~1:2의 면적 비를 가지면서, 필터(200)의 측면의 일부분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쉬(211)는, 필터(200)의 회전각도를 기준으로, 0도(기준 지점)에서 180도 사이의 영역에서 메인프레임(222)과 서브프레임(22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메쉬(212)는, 필터의 회전각도를 기준으로, 180도에서 360도 사이의 영역에서 메인프레임(222)과 서브프레임(22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쉬(211)는, 원통의 외주면의 형상으로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판을, 원통의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메쉬(211)는, 필터프레임(220)의 내측에 필터프레임(220)과 밀차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의 제1 메쉬(211)는 하나로 연결된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메쉬(211)에 관한 설명은, 제2 메쉬(212)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필터(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필터구동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구동부(230)는, 집수부(102)의 저면에 배치되어 필터(20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필터회전체(23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구동부(230)는, 필터회전체(2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구동부(230)는, 필터(20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필터(200)와 함께 회전하는 캠(233)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구동부(230)는, 캠(233)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구동모터(232)로 제공하는 회전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감지기는, 캠(233)의 회전 각도 및 또는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감지기는 캠(233)과 접촉되어 캠(233)이 일정 각도를 회전하였을 때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회전감지기는 캠(233)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일정 파장으로 음파 또는 빔을 이용해 캠(233)의 회전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필터구동부(230)는, 캠이 회전함에 따라 캠(233)과 접촉된 부분이 선형으로(linearly) 이동하여 온오프되고, 온오프될 시 구동모터(232)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23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회전체(231)는, 원형의 띠 형상인 테두리와, 중앙에 상하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인 회전중심부와, 테두리와 중앙의 회전중심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회전체(231)는, 테두리에 필터(200)의 결합돌기(2251)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필터(200)와 필터회전체(23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필터(200)는, 사용자가 손잡이(2262)를 잡고 필터(200)를 필터회전체(231)의 상측에서 아래로 삽입한 후 일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필터회전체(231)와 결합될 수 있다. 필터(200)는, 사용자가 손잡이(2262)를 잡고 결합 시와 반대 방향으로 필터(20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필터회전체(231)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필터회전체(231)는, 테두리의 직경이가 집수부(102)의 하단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필터(200) 내의 세척수가 로워프레임(225)의 중앙홀을 통해 하측으로 유출되지 않고, 메쉬들을 통해 측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필터회전체(231)는, 집수부(102) 내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필터회전체(231)의 회전중심부는, 집수부(102)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어 구동모터(232)와 결합할 수 있다. 필터회전체(231)의 회전중심부는, 집수부(102) 하단의 결합홀을 통하여 섬프(100) 외부까지 일정 길이 돌출되어, 캠(233) 및 구동모터(232)와 결합할 수 있다.
구동모터(232)는, 섬프(100) 외부에 집수부(10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구동부 필터회전체(23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구동모터(232)는, 필터(200) 및 필터회전체(231)와 동일한 회전축(X1)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232)의 회전력에 의해 필터(200)가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캠(233)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품으로서,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줄 수 있다. 캠(233)은, 중앙에 원통 형상의 바디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는 캠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회전중심으로부터 측면까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캠(233)은, 필터회전체(231)와 연결되어, 필터(200)와 동일한 회전축(X1)을 중심으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캠(233)은, 섬프(100) 외부에 집수부(10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캠(233)은, 필터(200)의 제1 메쉬(211) 및 제2 메쉬(212)의 위치에 대응되게 캠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캠(233)은, 제1 메쉬(211)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필터(200)가 배치되었을 때 캠(233)의 제1 캠돌기가 스위치(234)의 입력단을 누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캠(233)은, 제2 메쉬(212)가 집수관을 향하도록 필터(200)가 배치되었을 때, 캠(233)의 제2 캠돌기가 스위치(234)의 입력단을 누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234)는, 수평방향의 입력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다. 스위치(234)는, 입력단이 캠(233)과 접촉되게 배치되어, 캠(233)이 회전하면서 입력단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234)는, 캠(233)이 회전하며 캠돌기가 입력단을 누르면 스위치(234)가 온되며 구동모터(232)로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모터(232)는, 스위치(234)로부터 제어신호를 획득할 시 정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200)는, 제1 메쉬(211) 또는 제2 메쉬(212)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위치(234)는, 캠(233)이 회전하며 캠돌기가 입력단을 누르면 스위치(234)가 오프되며 구동모터(232)로 제공하던 제어신호를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모터(232)는, 스위치(234)로부터 수신 중이던 제어신호가 중단될 시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필터구동부(230)의 동작을 설명하면, 식기세척기(1)의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구동모터(232)가 작동을 개시하고, 구동모터(232)에 의하여 필터(200)가 회전하며 필터회전체(231) 및 캠(233)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필터(200)의 제1 메쉬(211) 또는 제2 메쉬(212)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이에 대응하여 캠(233)의 제1 캠돌기 또는 제2 캠돌기가 스위치(234)의 입력단을 눌러 스위치(234)가 온 또는 오프되게 된다.
스위치(234)가 온 또는 오프되게 되어 구동모터(232)로 제어신호가 송신되게 되면, 구동모터(232)는 정지하고 필터(200)는 제1 메쉬(211) 또는 제2 메쉬(212)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정지될 수 있다. 스위치(234)가 온 또는 오프되게 될 시 구동모터(232)로 송신되는 제어신호는, 스위치(234)가 기존에 송신하던 신호를 중단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구동모터(232)의 구동 중에 스위치(234)가 신호를 송신하다가 신호를 중단하는 것도 일종의 제어신호로 볼 수 있다.
필터구동부(230)는, 집수부(102)의 결합홀과 필터회전체(231) 사이에 게재되어, 결합홀을 통한 누수를 막는 실링부재(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235)는, 결합홀의 하단과 필터회전체(2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B-B’ 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복수의 세척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세척행정은, 제1 행정과, 섬프(100)의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이 제1 행정 보다 적은 제2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행정은, 세척실(12a) 내의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예비 세척행정일 수 있다. 예비 세척행정은, 본 세척행정에 앞서 식기에 부착된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 들을 떨어내기 위한 세척행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행정은, 예비세척행정 이후에 세척실(12a) 내의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본 세척행정일 수 있다.
본 세척행정에서 터브(12) 내의 세척수의 이물질의 양은 예비세척행정에서 터브(12) 내의 세척수의 이물질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또는, 본 세척행정에서 터브(12) 내의 세척수의 이물질의 입자 크기는, 예비세척행정에서 터브(12) 내의 세척수의 이물직의 입자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본 세척행정은 예비세척행정에서 식기에서 분리되지 않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행정이기 때문이다.
도 11은 제1 행정(예비 세척행정) 시의 필터(200)의 제1 메쉬가 집수관(102b)을 향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필터(200)는, 제1 행정(예비 세척행정) 시 제1 메쉬(211)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필터(200)로 유입된 세척수의 이물질 중에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교적 이물질의 크기가 크고 및/또는 이물질의 양이 많은 예비 세척행정 시, 이물질에 의해 필터가 막히는 클로깅(clogg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200)는, 제2 행정(본 세척행정) 시 제2 메쉬(212)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필터(200)로 유입된 세척수의 이물질 중에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200)의 필터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클로깅 현상은 필터에 형성된 구멍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말하며, 눈막힘 현상이라고도 한다. 필터는 메쉬의 크기에 따라 거를 수 있는 이물질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물질의 입도가 필터 메쉬의 통공의 크기보다 큰 경우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 내에 잔존하게 된다. 이렇게 걸러지는 이물질이 메쉬를 일정 부분 이상 덮는 경우 필터를 통과하는 유동량이 급격히 감소되게되는데, 이를 클로깅 현상 또는 눈막힘 현상이라고 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필터(200)는 세척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수는 통과시켜 순환이 일어나도록 하며, 이때 세척수는 필터(200)를 통과하며 압력이 어느정도 감소될 수 있다. 클로깅이 일어난 경우, 세척수 중의 이물질뿐만 아니라 세척수도 필터(200)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필터(200)를 통과해 집수관(102b)를 통하여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감소되게 된다. 이 경우, 식기세척기(1)의 분사암(13, 14, 1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감소하여 식기의 세척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세척펌프(150)는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노즐로 압송하는데, 세척펌프(150)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일정 수준 미만이되면 세척펌프(150)가 공회전을 하게되고, 이로인해 세척펌프(150)가 손상될 수 있고 세척펌프(150)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세척펌프(150)가 공회전하며 피로가 누적될 시 파손될 수도 있어, 세척펌프(150)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식기세척기(1)는, 이물질의 입도가 큰 행정에서는 통공의 크기가 큰 메쉬(제1 메쉬)가 집수관(102b)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필터링하고, 이물질의 입도가 작은 행정에서는 통공의 크기가 작은 메쉬(제2 메쉬)가 집수관(102b)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필터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링에 이용하는 메쉬를 선택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터브 내의 이물질의 양에 따라 필터효과를 조절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세척수가 식기세척기를 원활히 순환하도록 하여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터(200)는, 제2 메쉬(212)의 통공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3 메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0)는, 제1 메쉬(211), 제2 메쉬(212) 및 제3 메쉬가 일정한 면적 비율로 필터(2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200)는, 필터(200)의 회전각도를 기준으로 필터(200)의 측면을 120도 간격으로 3등분 하여, 0도~120도 사이의 측면 영역에는 제1 메쉬(211), 120도~240도 사이의 측면 영역에는 제2 메쉬(212), 240도~360도 사이의 측면 영역에는 제3 메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200)는, 제2 행정 이후의 제3 행정 시 제3 메쉬가 집수관(102b)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제2 메쉬를 이용할 때보다 더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식기세척기(1)는, 세척행정에 따라 메쉬를 변경가능한 필터를 이용하여, 이물질에 의한 클로깅 현상을 방지하며 이물질 제거 효과도 높임으로써, 세척시간을 단축하고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터브(12) 내의 세척수가 집수부로 유입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브(12) 내의 세척수는 터브(12) 하측의 경사면을 따라 필터(200)의 헤드흡입구(227)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터브(12) 내의 세척수 중의 일부는, 터브(12) 하단에 구비된 통공을 통과하여 섬프(100)의 상측면을 타고 집수부(102)로 유입될 수 있고 이 경우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은 세척수가 집수부(102)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200) 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메쉬를 통과하여 집수관(102b)로 토출될 수 있다. 세척수의 이물질은 메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은 세척수는 집수부(102)를 타고 하측으로 이동하여 처마리브(107)와 접할 수 있다.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은 세척수 중의 일부는, 처마리브(107)와 필터(2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필터(200)를 통과하지 않은 채로 집수관(102b)로 유입될 수 있다. 집수부(102)로 곧바로 유입된 세척수 중의 일부는, 필터(20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메쉬를 통하여 필터(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메쉬를 통해 필터(20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다시 메쉬를 통해 집수관(102b)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집수관(102b)과 대향하는 면을 향하느 메쉬를 통하여는 세척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벽(106)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공이 작은 메쉬를 통하여 이물질이 많은 세척수가 통과하며 메쉬가 막히는 클로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구성 중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기재하였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때, 구동모터(232’)는, 필터(200)의 제1 회전축(X1)과 다른 제2 회전축(X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232’)는, 섬프(100)의 집수부(102)의 일측면에, 구동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232’)의 구동부는, 필터(200)의 제1 회전축(X1)과 연결장치(236)에 의하여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모터(232’)의 구동부는 캠(233)과 연결장치(236)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장치(236)는, 기어, 체인 또는 벨트로 구성되어, 구동모터(232’)의 회전운동을 다른 부재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식기세척기는, 구동모터가 필터와 직결연결 되는 경우보다, 상하 방향의 부피감소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232)는, 식기세척기의 다른 부재들이 위치하지 않는 집수부(102)의 측면의 빈 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식기세척기 부재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232’)와 필터(200)의 회전비를 달리 구성할 수 있어, 구동모터(232’)의 구동력이 작은 경우에도 토크를 상승시켜 필터(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1: 케이스
12: 터브 16,17: 랙
20: 도어 100: 섬프
130: 전환밸브 23: 급수유로
24: 배수유로 26: 필터
13,14,15: 복수의 분사암 18,19,21: 복수의 분사암 연결유로
140: 히터 150: 세척펌프
170: 집수유로 175: 체크밸브
180: 세척수 공급유로 190: 스팀호스
195: 스팀노즐 200: 필터
220: 필터프레임 230: 필터구동부

Claims (11)

  1. 세척대상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와 연결되고,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집수관을 포함하는 섬프;
    상기 집수관을 통하여 상기 집수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펌프; 및
    상기 집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수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고,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메쉬(mesh) 및 상기 제1 메쉬의 통공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2 메쉬를 포함하고,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쉬 또는 상기 제2 메쉬가 상기 집수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메쉬 및 상기 제2 메쉬가, 일정한 면적 비율로 상기 필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필터회전체 및 상기 필터회전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필터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필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와 함께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상기 구동모터에 제공하는 회전감지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기는,
    상기 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과 접촉된 부분이 선형으로(linearly) 이동하여 온오프되고, 온오프될 시 상기 구동모터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필터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필터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필터로 전달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행정은,
    제1 행정과, 상기 섬프의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이 제1 행정 보다 적은 제2 행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제1 행정 시 상기 제1 메쉬가 상기 집수관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행정 시 상기 제2 메쉬가 상기 집수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는,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필터를 향하여 더 돌출되어 상기 필터의 측면 일부를 커버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1 메쉬 또는 상기 제2 메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집수관을 향하도록 상기 필터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집수부의 상기 집수관과 대향하는 측면을 향하는 메쉬를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필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는,
    상기 집수관을 둘러싸며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필터를 향하여 더 돌출되는 처마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메쉬의 통공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3 메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쉬, 상기 제2 메쉬 및 제3메쉬가, 일정한 면적 비율로 상기 필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80024398A 2018-02-28 2018-02-28 식기세척기 KR102431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98A KR102431200B1 (ko) 2018-02-28 2018-02-28 식기세척기
PCT/KR2019/002435 WO2019168379A1 (ko) 2018-02-28 2019-02-28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98A KR102431200B1 (ko) 2018-02-28 2018-02-28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80A true KR20190103680A (ko) 2019-09-05
KR102431200B1 KR102431200B1 (ko) 2022-08-09

Family

ID=6780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98A KR102431200B1 (ko) 2018-02-28 2018-02-28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200B1 (ko)
WO (1) WO20191683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727A (ko) 2020-12-28 202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362A (ko) * 2020-06-29 202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EP4154792A4 (en) * 2020-09-16 2023-07-26 Guangdong Midea White Home Appliance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Co., Ltd. DISHWASHING DEVICE AND FILTERING DEVICE THEREFO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453A (ko) *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356295B1 (ko) * 2006-09-26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101782651B1 (ko) * 2011-05-19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145A (ko) * 2003-12-19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102343467B1 (ko) * 2015-02-16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95B1 (ko) * 2006-09-26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20100037453A (ko) *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782651B1 (ko) * 2011-05-19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727A (ko) 2020-12-28 202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200B1 (ko) 2022-08-09
WO2019168379A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904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소음 감소방법
KR100606823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101283781B1 (ko) 식기 세척기
KR20110058045A (ko) 식기 세척기
KR20140066857A (ko) 식기 세척기
KR20190103680A (ko) 식기세척기
KR101507803B1 (ko) 식기 세척기
KR100772223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00772224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01645040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22548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72227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20070040879A (ko) 식기 세척기용 판형 유로제어밸브 및 이를 적용한 식기세척기
KR100686096B1 (ko) 식기 세척기
EP1973459B1 (en) Dish washer
KR20160100595A (ko) 식기 세척기
KR20050122354A (ko) 식기 세척기의 히터 장착구조
KR1012407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1356295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100772229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20060085782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20100031907A (ko) 식기세척기
KR101960312B1 (ko) 필터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100052217A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