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595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595A
KR20160100595A KR1020150023193A KR20150023193A KR20160100595A KR 20160100595 A KR20160100595 A KR 20160100595A KR 1020150023193 A KR1020150023193 A KR 1020150023193A KR 20150023193 A KR20150023193 A KR 20150023193A KR 20160100595 A KR20160100595 A KR 2016010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urse
course filter
sum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467B1 (ko
Inventor
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467B1/ko
Priority to EP16155855.6A priority patent/EP3056129B1/en
Priority to US15/045,017 priority patent/US10349806B2/en
Publication of KR2016010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6Tubula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4Flat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가 용이한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의 분사구조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 및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에 위치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코스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코스필터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바닥판에 낙하된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필터공이 형성되는 제1코스필터; 및 상기 제1코스필터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코스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코스필터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발명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섬프의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에는 회전하는 분사 노즐을 갖는 로터 타입의 분사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회전 노즐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러한 회전 노즐은 회전 반경 내의 범위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위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 노즐과, 세척조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고정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을 구비하여, 반사판의 이동에 따라 세척조의 전체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 노즐은 세척조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을 갖고 세척조의 후벽 측에 고정되고, 베인은 복수의 분사홀들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세척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척조의 전후 방향으로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가 용이한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의 분사구조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 및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에 위치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코스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코스필터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바닥판에 낙하된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필터공이 형성되는 제1코스필터; 및 상기 제1코스필터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코스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2코스필터는, 상기 섬프의 저수챔버에 수용된다.
상기 제2코스필터의 외측에는, 상기 제2코스필터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마이크로 필터가 구비된다.
상기 제1코스필터는 상기 섬프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1코스필터가 상기 섬프에 장착되면, 상기 제1코스필터에 의해 상기 제2코스필터 및 상기 마이크로 필터는 상기 섬프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가압된다.
상기 제1코스필터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간섭부가 구비되고, 상기 섬프에는 측면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고정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코스필터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고정부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상기 섬프에 고정된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1코스필터의 대향되는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간섭부 및 제2간섭부를 포함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간섭부에 대응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간섭부에 대응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코스필터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 필터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제1코스필터에 형성된 필터공보다 작은 크기의 필터공이 형성된 파인필터가 구비된다.
상기 파인필터에는 통과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코스필터는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섬프의 저수챔버 내에 인입되거나 저수챔버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파인필터에는 상기 통과홀의 주변을 따라 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코스필터에는 외측면에 돌출되어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단차부에 안착된다.
상기 제2코스필터는 연성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될 식기가 위치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위치되고,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 상기 섬프의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파인필터; 상기 파인필터에 안착되어 파인필터의 필터공보다 큰 크기의 필터공이 형성된 제1코스필터; 상기 섬프 내에 수용되고,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제2코스필터; 및 상기 제2코스필터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코스필터의 필터공보다 작은 크기의 필터공이 형성되는 마이크로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코스필터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간섭부가 구비되고, 상기 섬프에는 상기 간섭부를 간섭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부가 구비된다.
상기 파인필터에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코스필터는 상기 통과홀을 통과해 상기 섬프와 결합된다.
상기 파인필터는 상기 통과홀 주변에 구비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스필터의 외측에는 상기 단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1코스필터의 대향되는 양쪽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간섭부 및 제2간섭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1간섭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간섭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다.
상기 제1코스필터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마련된 피봇부가 마련된다.
상기 제1코스필터는, 상기 피봇부가 상기 통과홀 주변의 파인필터와 접촉된 상태로 피봇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피봇부는 상기 간섭부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1코스필터가 상기 섬프에 장착되면, 상기 제2코스필터와 상기 마이크로 필터는 상기 제1코스필터에 의해 가압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2코스필터는 연성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제2코스필터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마이크로 필터의 상부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필터 어셈블리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코스필터의 면적을 넓혀 코스필터에 의한 필터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실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 레일 어셈블리, 분사노즐어셈블리 및 바닥판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코스필터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필터 및 마이크로 필터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코스필터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전체 구조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30)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들(12a,12b)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들(311,313,320)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노즐들(311,313,320)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51)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와,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400)과, 베인(400)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420)를 포함한다.
세척조(30)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상부벽(31)과, 후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바닥판(35)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a)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2b)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311,313,320)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311,313,320)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회전 노즐(311)과,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회전 노즐(313)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회전 노즐(311)의 하단에는 분사홀들(3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회전 노즐(313)의 상단과 하단에는 분사홀들(314)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회전 노즐들(311,31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도록 마련되고, 세척조(30)의 일 측에 고정된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대략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하부 바스켓(12b)의 아래에 배치되고,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각각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은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의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인(400)의 일단부는 세척조(30)의 좌측벽(33)에 인접하고, 베인(400)의 타단부는 세척조(30)의 우측벽(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베인(400)은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노즐어셈블리(320)와 베인(400)을 포함하는 리니어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회전 노즐들의 경우에 회전 반경의 범위 내에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는 차별된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세척조(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고정 노즐(330)과, 세척조(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고정 노즐(3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 구비된 유입구들(315,333,343)은 바닥판 커버(600)에 구비된 노즐 유입구 연결부들(651a, 651b, 651c)과 연결될 수 있다. 노즐 유입구 연결부들(651a, 651b, 651c)은 분배장치(200)로부터 연장된 호스들(271a, 271b, 271c)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노즐들(311,313)과,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 역시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좌측 영역으로만 반사되고, 우측 고정 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우측 영역에만 반사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30)의 좌측과 우측을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반드시 좌측과 우측으로만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하여 분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유로 구조, 고정 노즐 어셈블리의 구조 및 세척수 분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는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가질 수 있다.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될 수 있다. 세척조(3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유동되어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세척 행정에서, 순환 펌프(51)가 가동되어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다. 순환 펌프(5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 장치(200)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 좌측 고정 노즐(330) 및 우측 고정 노즐(340)로 분배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의 펌핑력에 의해 분사 노즐들(311,313,320)에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과 중간 회전 노즐(313)은, 제 2 호스(271b)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은 제 1 호스(271a)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우측 고정 노즐(340)은 제 3 호스(271c)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200)는 총 4 개의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분배 장치(200)는 제 2 호스(271b)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로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모드, 제 3 호스(271c)를 통해 우측 고정 노즐(340)로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모드, 제 1 호스(271a)와 제 3 호스(271c)를 통해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로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3모드, 제 1 호스(271a)를 통해 좌측 고정 노즐(330)로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4모드를 가질 수 있다.
분배 장치(200)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더 다양한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분사 노즐들(311,313,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오물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는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순환시킨다. 세척 행정 중에 순환 펌프(51)는 가동 및 정지를 수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100)로 낙하한 오물은 섬프(10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분사 노즐들(311,313,320)로 순환되지 않고 섬프(100)에 남아 있게 된다.
배수 행정에서, 배수 펌프(52)가 가동하여 섬프(100)에 남아 있는 오물과 세척수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세척조(3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가 가동되어 식기를 건조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 레일 어셈블리, 분사노즐어셈블리 및 바닥판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후방 일측에 결합되는 바닥판 커버(600)를 포함한다. 바닥판 커버(600)에는, 레일 어셈블리(430) 및 노즐 어셈블리(300)가 결합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430) 및 노즐 어셈블리(300)는 체결부재(69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판 커버(600), 노즐 어셈블리(300) 및 레일 어셈블리(430)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620,453,34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레일 어셈블리(430), 노즐 어셈블리(300)가 상호 정렬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에서 노즐 어셈블리(300)의 고정 분사 노즐들(3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고 레일 어셈블리(430)에 결합되는 베인(400)에 의해 반사되어 식기를 향하므로, 고정 분사 노즐들(320)와 레일 어셈블리(430)의 정확한 위치 정렬이 요구되는 바,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통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는, 바닥판(35)에 형성되는 모터 통과홀, 유로 통과홀 등을 실링하고, 베인(400)을 구동하는 모터(530:도 1 참고)를 지지하고, 식기 세척기(1)의 레일 어셈블리(430)와 노즐 어셈블리(300)를 고정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430)는 베인(4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레일 어셈블리(430)는 베인(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440)을 포함한다. 레일(440)은, 세척조(30)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레일(440)은, 세척조(30)의 좌측벽(33)과 우측벽(34)을 기준으로 가운데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일(4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440)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의 형태로 마련되어, 베인(400)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레일(440)의 내부에는 모터(530)와 베인(400)을 연결하는 벨트(미도시) 등이 위치될 수 있다. 벨트에 의해 모터(530)의 구동력이 베인(400)에 전달되어 베인(400)이 레일(44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에 구비되는 필터 어셈블리(7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 및 섬프(100)에 장착되어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70)는 바닥판(35)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레일(440)이 세척조(30)의 중심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필터 어셈블리(70)는 레일(44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섬프(100)는 상면이 개구된 반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섬프(100)의 개구된 상면은 바닥판(35)의 배수구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섬프(100)는 바닥부(101), 측벽부(103) 및 바닥부(101)와 측벽부(103)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저수되는 저수챔버(110), 순환펌프(51)가 연결되는 순환포트(107) 및 배수펌프(52)가 연결되는 배수포트(108)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100)의 개구된 상면에는 필터 어셈블리(70)가 장착될 수 있다. 세척수는 자중에 의해 배수구 측으로 안내되도록 세척조(30)의 바닥판(35)은 배수구 측으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바닥판(35)에 낙하된 세척수는 배수구를 통해 섬프(100)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70)는, 바닥판(35)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파인 필터(71:fine filter), 섬프(100)에 장착되는 코스 필터(72:coarse filter) 및 마이크로 필터(73:micro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인 필터(71)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배수구 위에 대략 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파인 필터(71)는, 오물을 거르는 필터부(710) 및 코스필터(72)가 통과하는 통과홀(710)을 포함한다. 통과홀(710)은 파인 필터(71)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통과홀(710)의 주변에는 단차부(711)가 마련될 수 있다.
코스필터(72)는 파인필터(71)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오물을 거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코스필터(72)는 제1코스필터(72a) 및 제2코스필터(7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와 제2코스필터(72b)는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는 제2코스필터(72b)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와 제2코스필터(72b)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는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제2코스필터(72b)는 제1코스필터(72a)와 동일한 소재로 구비되거나,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연성 재료로도 제조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a)가 연성 재료로 구비되는 경우, 제2코스필터(72a)를 섬프(100)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는 파인필터(71)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파인필터(71)로부터 돌출된 제1코스필터(72a)는 필터프레임(721)에 의해 형성되고, 필터프레임(721)에는 비교적 큰 크기의 오물이 걸러진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필터공(721a)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721)은 복수의 리브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의 외측면에는 안착부(722) 및 간섭부(723)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간섭부(723)는 안착부(72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부(72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722)와 간섭부(723) 사이에 위치된 제1코스필터(72a)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제1코스필터(72a)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마련된 피봇부(724)가 마련될 수 있다. 간섭부(723)는 제1코스필터(72a)의 대향되는 양쪽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의 제1코스필터(72a)가 파인필터(71)에 장착되면, 안착부(722)는 파인필터(71)에 형성된 단차부(71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가 파일필터(71)에 장착되면, 간섭부(723)는 섬프(1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10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고정부(105)는 섬프(100)의 측벽부(103)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105)에 의해 간섭부(723)가 간섭됨으로써 제1코스필터(72a)가 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722)는 통과홀(710)의 주변에 마련된 단차부(711)에 대응되도록 링 형태로 제1코스필터(72a)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간섭부(723)는 제1코스필터(72a)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는 통과홀(710)을 통해 섬프(100)의 저수챔버(110) 내에 위치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에는 비교적 큰 오물이 걸러질 수 있도록 구비된 필터프레임(72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725)에는 복수의 필터공(725a)이 형성되어 제2코스필터(72b)로 유입된 세척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에는 일측방을 향해 형성된 개구부(726)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726)에는, 이물질을 걸를 수 있도록 필터리브(726a)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리브(726a)는 개구부(726)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필터피브(726a)에 의해 개구부(726)를 통과하는 세척수에 포함된 크기가 큰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개구부(726)를 통과한 이물질은 섬프(100)의 저수챔버(110) 내에 포집될 수 있다. 저수챔버(110) 내에 포집된 이물질들은 배수포트(10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는 개구부(726)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이 순환포트(107) 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코스필터(72)의 외측에는 마이크로 필터(73)가 위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73)는 제2코스필터(72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대략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73)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오물을 거르도록 구비된 필터부(730) 및 필터부(730)를 지지하는 프레임들(731,732,73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필터부(730)의 상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2프레임(731,732)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2 프레임(731,732)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프레임(733)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73)가 원통형으로 구비된 경우, 제1,2 프레임(731,732)은 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730)의 내부 공간인 수용부(734)에는 제2코스필터(72b)가 위치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의 필터공(725a)을 통과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마이크로 필터(73)의 필터부(730)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73)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섬프(100) 내의 저수챔버(110) 내에 포집될 수 있다. 저수챔버(110) 내에 포집된 이물질은 배수포트(10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저수챔버(110) 내에 포집된 이물질이 마이크로 필터(73)와 섬프(100)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순환포트(107)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필터(73)는 섬프(100)의 바닥부(101) 및 측벽부(103)에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섬프(100)의 바닥부(101) 및 측벽부(103)와 마이크로 필터(73)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마이크로 필터(73)의 제2프레임(732)과 제3프레임(733)에는 실링돌기 또는 실링홈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섬프(100)의 바닥부(101) 및 측벽부(103)에는 실링돌기 또는 실링홈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되어 실링돌기가 실링홈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73)에 의해 저수챔버(110)는 오물포집챔버(111)와 순환챔버(112)로 구획될 수 있다. 오물포집챔버(111)에는 배수펌프(52)가 연결되고, 순환챔버(112)에는 순환펌프(51)가 연결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의 하부는 오물포집챔버(11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를 통과한 세척수 및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오물포집챔버(111)에 유입될 수 있다.
오물포집챔버(111)로 유입된 세척수는 마이크로 필터(73)를 통과하여 순환챔버(112)로 유동할 수 있으나, 오물포집챔버(111)로 유입된 이물질은 마이크로 필터(73)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순환 챔버(112)로 유동하지 못하고 오물포집챔버(111)에 남아있게 된다. 오물포집챔버(110)에 포집된 이물질은 배수펌프(52)가 가동되면 세척수와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척조(30)에는 베인(400)이 장착되어 이동하는 레일(440)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는 배수구가 마련되고, 배수구의 하부에는 섬프(10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구에는 필터 어셈블리(70)가 장착될 수 있다. 배수구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필터 어셈블리(7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져 순환펌프(51)에 의해 펌핑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를 사용함에 따라 필터 어셈블리(70)에는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세척수가 필터 어셈블리(7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물질에 의해 필터 어셈블리(70)에 어느 정도 쌓이면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70) 내의 이물질을 버릴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70)는 세척수가 통과하는 코스필터(72)의 면적을 최대한 넓힐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코스필터(7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원통형일 수 있다. 코스필터(72)가 원통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코스필터가 판형으로 구비된 경우에 비해 코스필터(72)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세척수가 코스필터(72)에 형성된 크기가 큰 필터공을 통해 섬프(100)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스필터(72)는 제1코스필터(72a)와 제2코스필터(72b)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필터 어셈블리(70)의 상부에 레일(440)이 위치되더라도, 제1코스필터(72a)를 먼저 분리시킨 후 제2코스필터(72b)를 섬프(10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스필터(72)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코스필터(72)가 종래에 비해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구비되더라도 레일(44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코스필터(72)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스필터(72)의 면적을 넓혀 세척수가 필터 어셈블리(70)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고, 레일(440)을 따라 움직이는 베인(400)이 구비된 리니어 방식의 식기 세척기에서, 레일(440)에 필터 어셈블리(70)의 상부에 위치되더라도 필터 어셈블리(7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필터 어셈블리(70)가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파인 필터(71)의 경우,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파인필터(71)에 형성된 통과홀(710)은 레일(44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코스필터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필터 및 마이크로 필터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코스필터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70)를 세척조(30)에 장착시키기 위해, 일단 마이크로 필터(73)를 통과홀(710)을 통해 섬프(100)의 저수챔버(110)로 인입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73)가 섬프(100) 내로 인입된 후, 마이크로 필터(73) 내에는 제2코스필터(72b)가 인입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부(727)가 구비되어 마이크로 필터(73)의 제1프레임(731)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727)는 제1프레임(731)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는 마이크로 필터(73) 내에 삽입되어 마이크로 필터(73)와 함께 섬프(100) 내로 인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필터(73)와 제2코스필터(72b)가 섬프(100) 내에 인입되고 나면, 제1코스필터(72a)가 장착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의 간섭부(723)는 통과홀(710)을 통해 삽입되어 섬프(100)에 마련된 고정부(10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이때, 제1코스필터(72a)의 양쪽 외측면에 구비된 간섭부(723)를 각각 제1간섭부(723a) 및 제2간섭부(723b)라 하면, 제1간섭부(723a)의 단부로부터 제2간섭부(723b)의 단부까지의 직경은 D1이라 할 수 있다. D1은 파인필터(71)에 형성된 통과홀(710)의 직경(D2)보다 크다. 제1코스필터(72a)의 안착부(722)와 간섭부(723) 사이에는 제1코스필터(72a)의 측벽이 제1코스필터(72a)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인 피봇부(724)가 구비된다.
제2간섭부(723b)의 단부로부터 피봇부(724)까지의 최단거리(D3)는 통과홀(710)의 직경(D2)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제1간섭부(723a)를 통과홀(710)을 통해 삽입시킨 후, 피봇부(724)를 중심으로 제1코스필터(72a)를 회전시키면 제2간섭부(723b)가 통과홀(710)을 통과할 수 있다. 피봇부(724)가 파인필터(71)의 통과홀(710)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1코스필터(72a)가 회전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의 안착부(722)는 파인필터(71)의 단차부(71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간섭부(723a)와 제2간섭부(723b)가 통과홀(710)을 통과한 후, 간섭부(723)가 섬프(100)에 마련된 고정부(105)에 의해 간섭되도록 제1코스필터(72a)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코스필터(72a)가 섬프(100)의 고정부(105)에 의해 고정되면, 제2코스필터(72b) 및 마이크로 필터(73)를 가압할 수 있다. 제2코스필터(72b) 및 마이크로 필터(73)가 가압됨으로써 섬프(100)의 내측면과 필터 어셈블리(70) 간의 실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70)를 세척조(30)의 바닥판(35)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필터 어셈블리(70)를 장착시키는 경우의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간섭부(723)가 섬프(100)의 고정부(105)로부터 고정된 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다. 간섭부(723)가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면, 피봇부(724)가 통과홀(710)을 형성하는 파인필터(71)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제1코스필터(72a)를 피봇부(724)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간섭부(723a) 또는 제2간섭부(723b)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통과홀(710)을 빠져나온 후, 다른 하나도 통과홀(710)을 빠져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코스필터(72a)가 분리된 후, 제2코스필터(72b) 및 마이크로 필터(73)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1코스필터(72a)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코스필터(72b)와 마이크로 필터(73)가 분리되므로, 필터 어셈블리(70)의 상부에 레일(440)이 위치되더라도 제2코스필터(72b)와 마이크로 필터(73)는 레일(440)을 회피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스필터(72)가 긴 원통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코스필터(72)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코스필터(72)의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파인필터(71)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도 코스필터(72)를 통해 세척수가 섬프(100) 측으로 유입되어 세척수의 순환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코스필터(72)가 제1코스필터(72a)와 제2코스필터(72b)로 분리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코스필터(72)가 종래에 비해 크게 구비되더라도 필터 어셈블리(70)의 상부에 위치한 레일(440)을 회피하여 코스필터(7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1: 식기 세척기 10: 본체
11: 도어 12a, 12b: 바스켓
30: 세척조 35: 바닥판
51: 순환펌프 52: 배수펌프
100: 섬프 105: 고정부
107: 순환포트 108: 배수포트
110: 저수챔버
70: 필터 어셈블리 71: 파인필터
711: 통과홀 711: 단차부
72a: 제1코스필터 72b: 제2코스필터
722: 안착부 723: 간섭부
73: 마이크로 필터

Claims (27)

  1.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 및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에 위치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코스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코스필터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바닥판에 낙하된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필터공이 형성되는 제1코스필터; 및
    상기 제1코스필터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코스필터;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스필터는, 상기 섬프의 저수챔버에 수용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스필터의 외측에는, 상기 제2코스필터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마이크로 필터가 구비되는 식기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는 상기 섬프의 상부에 장착되는 식기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가 상기 섬프에 장착되면, 상기 제1코스필터에 의해 상기 제2코스필터 및 상기 마이크로 필터는 상기 섬프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가압되는 식기 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간섭부가 구비되고, 상기 섬프에는 측면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식기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고정부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상기 섬프에 고정되는 식기 세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1코스필터의 대향되는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간섭부 및 제2간섭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간섭부에 대응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간섭부에 대응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스필터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마이크로 필터의 상부에 안착되는 식기 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제1코스필터에 형성된 필터공보다 작은 크기의 필터공이 형성된 파인필터가 구비되는 식기 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필터에는 통과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코스필터는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섬프의 저수챔버 내에 인입되거나 저수챔버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식기 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필터에는 상기 통과홀의 주변을 따라 단차부가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에는 외측면에 돌출되어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단차부에 안착되는 식기 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스필터는 연성재료로 제조되는 식기 세척기.
  16. 세척될 식기가 위치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위치되고, 세척수가 저수되는 섬프;
    상기 섬프의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파인필터;
    상기 파인필터에 안착되어 파인필터의 필터공보다 큰 크기의 필터공이 형성된 제1코스필터;
    상기 섬프 내에 수용되고,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제2코스필터; 및
    상기 제2코스필터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코스필터의 필터공보다 작은 크기의 필터공이 형성되는 마이크로 필터;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간섭부가 구비되고, 상기 섬프에는 상기 간섭부를 간섭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식기 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필터에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코스필터는 상기 통과홀을 통과해 상기 섬프와 결합되는 식기 세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필터는 상기 통과홀 주변에 구비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스필터의 외측에는 상기 단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식기 세척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1코스필터의 대향되는 양쪽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간섭부 및 제2간섭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1간섭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간섭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식기 세척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마련된 피봇부가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는, 상기 피봇부가 상기 통과홀 주변의 파인필터와 접촉된 상태로 피봇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식기 세척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부는 상기 간섭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식기 세척기.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필터가 상기 섬프에 장착되면, 상기 제2코스필터와 상기 마이크로 필터는 상기 제1코스필터에 의해 가압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식기 세척기.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스필터는 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식기 세척기.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스필터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마이크로 필터의 상부에 안착되는 식기 세척기.
KR1020150023193A 2015-02-16 2015-02-16 식기 세척기 KR102343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93A KR102343467B1 (ko) 2015-02-16 2015-02-16 식기 세척기
EP16155855.6A EP3056129B1 (en) 2015-02-16 2016-02-16 Dishwasher
US15/045,017 US10349806B2 (en) 2015-02-16 2016-02-16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93A KR102343467B1 (ko) 2015-02-16 2015-02-16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595A true KR20160100595A (ko) 2016-08-24
KR102343467B1 KR102343467B1 (ko) 2021-12-28

Family

ID=5540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193A KR102343467B1 (ko) 2015-02-16 2015-02-16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49806B2 (ko)
EP (1) EP3056129B1 (ko)
KR (1) KR1023434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79A1 (ko) * 2018-02-28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20080455A (ko) * 2020-12-07 2022-06-1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RP20220726T1 (hr) * 2016-04-01 2022-08-05 Mallinckrodt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Aparat i postupak za filtriranje tekućih čestica iz plin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5165A2 (en) * 1997-01-22 1998-07-29 SMEG S.p.A. Improved filtering device for dishwashers
KR20130136354A (ko) * 2012-06-04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50001592A (ko) * 2013-06-27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에 구비되는 섬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879B1 (ko) * 2002-11-28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필터 청소장치
KR20070080911A (ko) 2006-02-09 2007-08-14 주식회사 폼텍 충격흡수용 범퍼 구조
US20100037923A1 (en) 2008-08-14 2010-02-18 Whirlpool Corporation Removable dishwasher filtration system
KR101582877B1 (ko) 2009-04-03 2016-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645040B1 (ko) 2010-03-31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EP2517611A1 (en) 2011-04-29 2012-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Filter
US8733376B2 (en) 2011-05-16 2014-05-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filter assembly
KR101768229B1 (ko) 2011-05-19 2017-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청소장치
US8834647B2 (en) * 2011-08-05 2014-09-16 General Electric Company Manual removable filter system for a dishwasher
CN202446037U (zh) * 2011-12-29 2012-09-26 海尔集团公司 洗碗机过滤系统
EP2818090B1 (en) 2013-06-27 2016-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and sump assembly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5165A2 (en) * 1997-01-22 1998-07-29 SMEG S.p.A. Improved filtering device for dishwashers
KR20130136354A (ko) * 2012-06-04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50001592A (ko) * 2013-06-27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에 구비되는 섬프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79A1 (ko) * 2018-02-28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20080455A (ko) * 2020-12-07 2022-06-1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467B1 (ko) 2021-12-28
EP3056129B1 (en) 2020-10-07
US20160235273A1 (en) 2016-08-18
US10349806B2 (en) 2019-07-16
EP3056129A1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933B1 (ko) 식기 세척기
KR101582877B1 (ko) 식기세척기
KR101016311B1 (ko) 식기 세척기
CN104622403B (zh) 喷射单元、喷射喷嘴及其制造方法、以及洗碗机
CN104248413B (zh) 洗碗机及其集水槽总成
KR101964646B1 (ko) 식기세척기
KR102088846B1 (ko)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US8104489B2 (en) Dishwasher
KR102079942B1 (ko) 식기 세척기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KR20150054610A (ko) 분사유닛, 분사노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1645040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0595A (ko) 식기 세척기
KR20070040879A (ko) 식기 세척기용 판형 유로제어밸브 및 이를 적용한 식기세척기
KR20150080358A (ko) 식기세척기
KR102431200B1 (ko) 식기세척기
KR20150001592A (ko) 식기 세척기 및 그에 구비되는 섬프 어셈블리
KR101782651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US8622065B2 (en) Dish washer
KR10176822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청소장치
KR20190014896A (ko) 식기세척기
KR20180106057A (ko) 식기세척기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101980705B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