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646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646B1
KR101964646B1 KR1020120106356A KR20120106356A KR101964646B1 KR 101964646 B1 KR101964646 B1 KR 101964646B1 KR 1020120106356 A KR1020120106356 A KR 1020120106356A KR 20120106356 A KR20120106356 A KR 20120106356A KR 101964646 B1 KR101964646 B1 KR 101964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mpeller
rack
nozz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745A (ko
Inventor
김대규
주병현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646B1/ko
Priority to EP13183021.8A priority patent/EP2710946B1/en
Priority to AU2013224750A priority patent/AU2013224750B2/en
Priority to US14/024,662 priority patent/US9936851B2/en
Priority to CN201310445714.9A priority patent/CN103654673B/zh
Publication of KR2014003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과, 상기 탑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탑노즐은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랙의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바디와, 상기 노즐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바디로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랙에 배출시키는 배출홀과,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며 세척수의 공급범위를 구분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에 세척대상을 수납한 뒤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에 잔류하는 오물을 제거(경우에 따라 건조까지 가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10)가 구비된 캐비닛(200),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상부랙(220)과 하부랙(230), 터브(2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40), 상부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암(250), 하부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암(260), 제1유로(P1)를 통해 섬프(24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제2암(260)에 공급하는 펌프(P), 제1유로에서 분지되어(또는 펌프(P)에 직접 연결되어) 제1암(25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유로(P2)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기 섬프(240)는 급수유로(24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고, 배수유로(243)를 통해 섬프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하며 상기 제2유로(P2)는 밸브(V)를 통해 제1유로(P1)로 유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제1암(250)에 제공한다.
한편, 종래 식기세척기는 상부랙(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암(270)을 더 포함하였다.
상기 제3암(270)은 제2유로(P2)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부랙(2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식기세척기는 제3암(270)에 의해 상부랙에 수납되는 세척대상의 크기가 제한될 뿐 아니라 제3암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터브(21)에 마련하여야 했기 때문에 터브(21)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식기세척기는 제3암(27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제3암의 회전반경 내부에 위치된 세척대상에는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으나 제3암의 회전반경을 벗어난 위치에 있는 세척대상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식기세척기는 제1암(250)이 상부랙(220)과 하부랙(230) 사이에 위치해야만 상부랙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할 수 있었기 때문에 상부랙(220)과 하부랙(230) 사이에 제1암(250)이 구비되기 위한 공간이 필수적이었다.
한편,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터브(210)는 부피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랙(220, 230)의 높이나 하부랙(230)에 수납 가능한 세척대상의 크기가 제1암(250)의 위치에 의해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래 식기세척기는 제1암과 제3암에 의해 터브가 제공하는 세척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 및 제3암이 세척대상에 골고루 세척수를 공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세척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과 상부랙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타워노즐이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회전하는 유로전환부를 통해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유로와 타워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유로 중 어느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에 골고루 세척수를 공급하는 탑노즐이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과,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상기 랙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랙에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바디에 구비되는 배출홀, 상기 노즐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세척수의 공급범위가 구분되도록 비대칭형상을 가진 임펠러가 구비된 탑노즐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 관통홀이 구비된 임펠러바디와, 상기 임펠러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홀 및 제2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홀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범위가 상기 제2홀을 통한 세척수 공급범위와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제1홀까지의 거리는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제2홀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과,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상기 랙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랙에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바디에 구비되는 배출홀, 상기 노즐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랙에 비산(scattering)시키는 임펠러가 구비된 탑노즐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탑노즐은 상기 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바디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노즐바디에 고정된 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축의 중심은 상기 배출홀의 중심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노즐은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랙의 중심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는 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 관통홀이 구비된 임펠러바디와, 상기 축 관통홀로부터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다수 개가 상기 임펠러바디의 상부면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하나의 블레이드와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임펠러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홀,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가 상기 축 관통홀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홈,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상부랙 및 상기 상부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랙과, 상기 하부랙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암과, 상기 하부랙에 구비되는 랙고정부와, 상기 랙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랙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부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타워노즐과, 상기 하부암 내부의 수압에 따라 상기 하부암에서 인출되며, 상기 하부암에서 인출 시 상기 타워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타워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타워연결부와, 상기 상부랙의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상부랙에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바디에 구비되는 배출홀, 상기 노즐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랙에 비산(scattering)시키는 임펠러가 구비된 탑노즐과, 상기 하부암과 상기 노즐바디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척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과 상부랙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타워노즐이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회전하는 유로전환부를 통해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유로와 타워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유로 중 어느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에 골고루 세척수를 공급하는 탑노즐이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타워노즐과 하부랙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타워노즐, 랙고정부, 타워연결부 및 하부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타워노즐, 랙고정부, 타워연결부 및 하부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하부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의 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탑노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구비된 탑노즐과 종래 탑노즐의 구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2는 탑노즐에 구비된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탑노즐의 세척 성능시험 조건 및 세척 성능시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15는 탑노즐이 적용 가능한 식기세척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터브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3), 섬프의 상부에 위치하여 터브와 섬프를 구분하는 섬프커버(15),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척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16)를 포함한다.
상기 섬프(13)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섬프 급수유로(131), 섬프 내부의 세척수가 배수되는 섬프 배수유로(133)와 연결되며, 섬프커버(15)에는 후술할 분사암(6, 7) 및 탑노즐(8)을 통해 세척공간 내부에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로 회수하는 회수홀(151)이 구비된다.
터브(11) 내부에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이 구비되는데 상기 랙은 제1랙(191), 제1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랙(19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편의상 제1랙(191)은 상부랙, 제2랙(193)은 하부랙으로 칭한다.
상부랙(191)과 하부랙(193)은 도어(16)가 세척공간을 개방한 때 터브(1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는 도어(16)를 향하는 레일(111)이 구비되고, 상부랙과 하부랙에는 레일(111)에 각 랙을 지지시키는 휠(1911, 19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식기세척기는 터브(11)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랙(193)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하부암(6), 상부랙(191)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상부암(7), 상기 터브(11)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암(6)은 섬프커버(15)에 고정된 암홀더(17)에 의해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급수펌프(18) 및 급수유로를 통해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급수유로는 급수펌프(18)와 암홀더(17)를 연결하는 제1유로(21), 암홀더(17)와 탑노즐(8)을 연결하는 제2유로(2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암(7)은 제2유로 연결관(71)을 통해 제2유로(2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급수펌프(18)를 통해 섬프(13)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제1유로(21)를 통해 암홀더(17)로 공급되는데 암홀더(17)로 공급된 세척수 중 일부는 암홀더에 연통하는 하부암(6)으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제2유로(2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유로(23)로 유입된 세척수 중 일부는 제2유로 연결관(71)을 통해 상부암(7)으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탑노즐(8)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암(7)은 상부랙(191)의 상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상부암(7)은 세척수의 분사 시 세척수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로 연결관(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노즐(8)은 상부암(7)보다 높은 위치(터브(1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데 상기 탑노즐(8)은 제2유로(23)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 상부랙(191)과 하부랙(193)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단이다.
나아가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하부랙(193)에 고정되어 상부랙(191)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워노즐(3), 상기 하부암(6)에 구비되어 하부암(6) 내부의 수압에 따라 상기 타워노즐(3)에 착탈되는 타워착탈관(51)이 구비된 타워연결부(5)를 포함한다.
상기 타워노즐(3)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고정부(4)를 통해 상기 하부랙(193)에 착탈 가능한데 상기 타워노즐(3)은 랙고정부(4)에 결합하여 타워연결부(5)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타워유로(31), 상기 타워유로(31)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워유로(31)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데 개방된 상부면에는 상기 분사노즐(33)이 결합되고, 개방된 하부면에는 후술할 랙고정부(4)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타워유로(31)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타워유로(31)의 하부면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일정한 수압을 유지하면서 상부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사노즐(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워노즐(3)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연결관(331), 연결관을 통해 분사노즐(33)로 유입된 세척수가 분사노즐(33)의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홀(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31)은 분사노즐(33)이 회전될 수 있도록 타워유로(31)와 분사노즐(33)을 결합시키며, 상기 분사홀(333)은 분사노즐(33)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반발력에 의해 분사노즐(33)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분사홀(333)은 분사노즐(33)의 상부 표면에 나선형상(도 4 (b) 참고) 형상으로 배치되어 세척수의 분사 시 분사노즐(33)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랙고정부(4)는 하부랙(193, 도 3 참고)에 고정되어 타워유로(31)가 지지되는 랙고정바디(41)를 포함한다.
상기 랙고정바디(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디 관통홀(411) 및 랙결합부(4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결합부(413)는 랙고정바디(41)를 하부랙(193)에 착탈 시키는 수단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랙고정바디(4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랙결합부(413)은 랙고정바디(41)를 하부랙에 착탈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후크 구조 등)를 가지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411)은 랙고정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데 고정바디 관통홀(411)에는 후술할 타워연결부(5)의 착탈관바디(511)가 결합되는 착탈관 결합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관 결합부(43)에는 상기 착탈관바디(511)가 삽입되는 착탈관 수용홀(431)이 구비되는데, 착탈관바디(511)가 착탈관 수용홀(431)에 삽입되면 착탈관바디(511)와 타워유로(31)는 서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상기 하부암(6)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워연결부(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타워연결부(5)는 후술할 착탈관 챔버(67) 내부의 압력에 따라 하부암(6)에서 인출된 뒤 상기 착탈관 수용홀(431)에 연결되며, 타워연결부(5)가 착탈관 수용홀(431)에 연결되면 세척수는 타워유로(31)로 공급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타워연결부(5)는 하부암(6)의 착탈관 챔버(67)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워착탈관(51), 상기 하부암(6)에 고정되는 암고정바디(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워착탈관(51)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착탈관 바디(511), 상기 착탈관 바디(51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착탈관 플랜지(513)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랙고정부(4)에 구비된 착탈관 결합부(43)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타워유로(31)로 공급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착탈관 챔버(67) 내부의 수압에 의해 착탈관바디(511)가 착탈관 챔버(67)에서 인출되면 상기 착탈관바디(511)는 착탈관 수용홀(431)에 삽입되는데 착탈관 결합부(43)가 탄성재질로 구비되면 착탈관 수용홀(431)과 착탈관바디(511)가 밀착되어 타워유로(31) 내부의 세척수가 착탈관 수용홀(431)과 착탈관바디(511)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착탈관 결합부(43)가 탄성재질로 구비될 경우 상기 착탈관바디(511)의 지름이 착탈관 수용홀(431)의 지름보다 크게 구비되더라도 타워유로(31) 내부의 세척수가 착탈관 수용홀(431)과 착탈관바디(511)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암고정바디(53)는 착탈관 바디(511)가 관통하는 관통홀(531)을 포함하는데, 상기 관통홀(531)의 지름은 착탈관 바디(511)의 외주면 지름과 동일하게 구비되되 상기 착탈관 플랜지(513)의 지름보다는 작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착탈관 바디(511)가 하부암(6)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하부암(6)은 암홀더(17)에 연통하여 세척수가 유입되는 하부암 챔버(69), 상기 하부암 챔버(69)에 연통하며 상기 타워착탈관(51)이 수용되는 착탈관 챔버(67), 상기 하부암 챔버(69)에 연통하는 암유로(61)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유로(61)는 상부프레임(63)과 하부프레임(65)에 의해 형성되며 암유로 연통홀(657)을 통해 하부암 챔버(69)와 연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63)에는 암유로(61) 내부의 세척수를 하부랙(193)으로 분사하는 상부분사홀(631), 상기 타워착탈관(51)이 수용되는 프레임 관통홀(633), 상기 암고정바디(53)가 결합되는 고정바디 연결부(635)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65)에는 하부암 챔버(69)와 암유로(61)를 연결하는 암유로 연통홀(657), 암유로(61)로 유입된 세척수가 섬프커버(15)를 향해 분사되도록 하는 하부분사홀(651), 하부암 챔버(69)와 착탈관 챔버(67)를 구분하는 챔버격벽(653), 상기 챔버격벽에 구비되어 하부암 챔버(69)와 착탈관 챔버(67)를 연결하는 챔버연통홀(655)을 포함한다.
착탈관 챔버(67)는 하나의 암유로 연통홀(657)과 다른 하나의 암유로 연통홀(657)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프레임(65)의 표면에서 상부프레임(63)의 고정바디 연결부(635)를 향해 연장되는 벽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부암 챔버(6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65)의 하부에 암유로 연통홀(657)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하부암 챔버(69)는 암홀더(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암홀더 연결관(697), 상기 암홀더 연결관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하부암 챔버(69)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홀(691), 하부암 챔버(69)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기어 치합부(695), 하부암 챔버(69)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부기어 치합부(69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기어 치합부(695)는 후술할 유로전환부(9)의 하부기어(99)와 결합하여 유로전환부(9)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유입홀(691)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어 치합부(693)는 유로전환부(9)의 상부기어(97)와 결합하여 유로전환부(9)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수단이다.
상부기어 치합부(693)는 하부암 챔버(69)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착탈관 챔버(67)와 암유로 연통홀(657)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기어 치합부(693)는 착탈관 챔버(67)와 암유로 연통홀(657) 사이의 공간에 착탈관 챔버(67)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상부분사홀(631)은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유로(6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반발력에 의해 하부암(6)이 암홀더 연결관(69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세척수가 상부프레임(63)의 표면과 소정각도(a) 경사진 채 분사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하부분사홀(651)도 암유로(6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반발력에 의해 하부암(6)이 암홀더 연결관(69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세척수가 하부프레임(65)의 표면과 소정각도(b) 경사진 채 분사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하부분사홀(651)은 섬프커버(15)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하부암(6)이 회전하면 섬프커버의 회수홀(151)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부암 챔버(69)의 내부에는 하부암 챔버 내부의 압력에 따라 챔버연통홀(655)과 암유로 연통홀(657)을 교번적으로 개방하는 유로전환부(9)가 구비된다.
유로전환부(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암 챔버(69) 내부에 위치하는 전환부바디(91), 상기 전환부바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챔버연통홀(655)을 개방하는 챔버개방홀(93), 전환부바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암유로 연통홀(657)을 개방하는 암유로 개방홀(95)을 포함한다.
상기 전환부바디(91)는 하부암 챔버(69) 내부의 수압에 따라 하부암 챔버(69)의 바닥면에서 하부암 챔버의 상부면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구성으로 디스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환부바디(91)는 하부암 챔버(69) 내부의 수압이 높으면(하부암 챔버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하부암 챔버(69)의 바닥면에서 하부암 챔버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하고, 하부암 챔버 내부의 수압이 낮으면(하부암 챔버로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하부암 챔버의 상부면에서 하부암 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전환부바디(91)의 외주면에는 전환부바디(91)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플랜지(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92)는 하부암 챔버(69)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전환부바디(91)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며 전환부바디(91)가 왕복운동 중 수평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다만, 상기 플랜지(92)와 하부암 챔버(69) 내주면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92)에는 다수의 돌기(921, 전환부 돌기) 또는 다수의 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전환부바디(91)의 상부면에는 하부암 챔버(69)에 구비된 상부기어 치합부(693)에 결합하는 상부기어(97)가 구비되고, 전환부바디(91)의 하부면에는 하부기어 치합부(695)에 결합하는 하부기어(99)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부기어(97)는 상부기어 치합부(693)에 결합하여 전환부바디(91)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하부기어(99)는 하부기어 치합부(695)에 결합하여 전환부바디(91)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하부기어(99)와 하부기어 치합부(695)는 상부기어(97)와 상부기어 치합부(693)가 결합한 때 전환부바디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환부바디(91)를 회전시킨다.
상부기어(97)와 상부기어 치합부(693)는 서로 결합하여 전환부바디(91)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부기어(99)와 하부기어 치합부(695)는 서로 결합하여 전환부바디(91)를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하부암(6)에 구비된 챔버연통홀(655)과 암유로 연통홀(657)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90도 각도 이격되어 구비될 경우 챔버개방홀(93)의 중심과 암유로 개방홀(95)의 중심은 전환부바디(91)의 회전중심(C)을 지나는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기어 치합부(693)와 상부기어(97)의 형상은 상부기어 치합부(693)와 상부기어(97)가 치합될 경우 전환부바디(91)가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 45도 회전하여 챔버연통홀(655)과 암유로 연통홀(657)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기어 치합부(695)와 하부기어(99)의 형상은 하부기어 치합부(695)와 하부기어(99)가 치합될 경우 전환부바디(91)가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 45도 회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챔버개방홀(93)과 암유로 개방홀(95)은 전환부바디(91)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90도 각도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챔버연통홀(655)과 암유로 연통홀(657)은 직선상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8을 통해 유로전환부(9)의 운동을 설명하자면, 급수펌프(18)가 작동하지 않아 하부암 챔버(69)에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유로전환부(9)는 하부암 챔버(69)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이다(도 8(d)).
이 경우, 타워착탈관(51)은 착탈관챔버(67) 내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착탈관바디(511)는 타워유로(31)에 연결되지 않는다.
급수펌프(18)가 작동하여 제1유로(21)를 통해 암홀더(17)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부암(7)과 탑노즐(8)은 제2유로(23)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게 되고, 하부암 챔버(69)는 암홀더(17)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게 된다.
하부암 챔버(69)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유로전환부(9)는 하부암 챔버(69)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하여 상부기어(97)가 상부기어 치합부(693)에 결합된다(도 8 (a)).
상부기어(97)와 상부기어 치합부(693)가 결합하면 유로전환부(9)는 하부암 챔버(69) 내부에서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므로 챔버개방홀(93)은 챔버연통홀(655)을 개방시킨다.
이 경우 암유로 연통홀(657)은 전환부바디(91)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암유로(61)에는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다.
챔버연통홀(655)이 챔버개방홀(93)에 의해 개방되면 하부암 챔버(69) 내부의 세척수는 착탈관 챔버(67) 내부로 유입(화살표 참고)되고, 착탈관 챔버(67)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타워착탈관(51)은 수압에 의해 착탈관 챔버(67)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
타워착탈관(51)이 착탈관 챔버(67) 내부에서 상승하면 착탈관 바디(511)는 랙고정부(4)의 착탈관 수용홀(431)에 삽입되므로 착탈관 챔버(67) 내부의 세척수는 타워유로(31)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급수펌프(18)가 일시적으로 작동을 중단하면 하부암 챔버(69)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유로전환부(9)는 하부암 챔버(69)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한다(도 8 (b)).
유로전환부(9)가 하부암 챔버(69)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하면 하부기어(99)는 하부기어 치합부(695)에 결합되므로 유로전환부(9)는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챔버개방홀(93)의 중심과 챔버연통홀(655)의 중심은 서로 45도 이격된 상태가 되고, 암유로 개방홀(95)의 중심과 암유로 연동홀(657)의 중심도 서로 45도 이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착탈관 바디(511)는 착탈관 결합부(43)에서 분리된 뒤 착탈관 챔버(67)를 향해 이동하므로 착탈관바디(511)는 타워유로(31)에서 분리된다.
이후 급수펌프(18)를 통해 하부암 챔버(69)로 세척수가 재공급되면 유로전환부(9)는 하부암 챔버(69)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하므로 상부기어(97)는 상부기어 치합부(693)에 결합된다(도 8 (c)).
상부기어(97)와 상부기어 치합부(693)가 결합하면 유로전환부(9)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되므로 암유로 연통홀(657)은 암유로 개방홀(95)에 의해 개방된다.
이 경우 챔버연통홀(655)은 전환부바디(91)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착탈관 챔버(67)에는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다.
암유로 연통홀(657)이 암유로 개방홀(95)에 의해 개방되면 하부암 챔버(69) 내부의 세척수는 암유로(61)로 유입된다.
암유로(61)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부분사홀(631)과 하부분사홀(651)을 통해 하부랙(193) 및 섬프커버(15)에 각각 분사(화살표 참고)되며 이 과정에서 하부암(6)은 암홀더 연결관(697)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급수펌프(18)가 일시적으로 작동을 중단하면 하부암 챔버(69)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유로전환부(9)는 하부암 챔버(69)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한다(도 8 (d)).
유로전환부(9)가 하부암 챔버(69)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하면 하부기어(99)는 하부기어 치합부(695)에 결합되므로 유로전환부(9)는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챔버개방홀(93)의 중심과 챔버연통홀(655)의 중심은 서로 45도 이격된 상태가 되고, 암유로 개방홀(95)의 중심과 암유로 연동홀(657)의 중심도 서로 45도 이격된 상태가 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탑노즐(8)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탑노즐(8)은 상부랙(19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랙(191) 및 하부랙(193)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단으로 제2유로(23)에 연결된다.
종래 식기세척기의 경우 상기 탑노즐(8)은 하부암(6)이나 상부암(7)과 같은 구조를 가진 회전암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탑노즐(8)을 상부랙(191)의 상부에 위치시키면 동일한 세척용량을 가진 식기세척기에서 터브(11)의 높이를 최소화(식기세척기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탑노즐(8)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2유로(23)에 연결되는 노즐바디(81), 상기 노즐바디(81)의 하부에 위치하며 노즐바디(8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바디(81)는 제2유로(23)에 연통하여 세척수가 유입되는 노즐유입부(811), 상기 노즐바디(81)로 유입된 세척수가 노즐바디(81)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815)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유입부(811)에는 노즐바디(81)와 제2유로(23)를 결합시키는 유로고정부(81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노즐바디(81) 내부에는 상기 노즐유입부(81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상기 배출홀(815) 방향으로 안내하는 유로가이더(8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더(817)는 노즐유입부(811)에서 배출홀(815)을 향할수록 노즐바디(81)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노즐바디(81)에는 임펠러(83)가 고정되는 축(81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818)의 일단은 노즐바디(81) 내부에 고정되고 축(81)의 타단은 배출홀(815)을 관통하여 노즐바디(81)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다만, 상기 축(818)의 중심과 배출홀(815)의 중심은 소정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818)의 중심과 배출홀(815)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노즐바디(81)에 축(818)이 구비되면, 노즐바디(81)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의 대부분은 축(818)의 전방(X)으로 분사되고, 축(818)의 후방(Y)으로는 세척수가 거의 분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는 제2유로(23)를 통해 노즐바디(81)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한 것으로 도 11 (a)와 같이 축(818)의 전방(X)으로만 세척수가 공급되면 축(818)에 구비되는 임펠러(83)에 세척수가 골고루 공급되지 못해 상부랙(191)이나 하부랙(193)에 수납된 세척대상에 골고루 세척수를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탑노즐(8)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818)의 중심이 배출홀(815)의 중심과 소정거리(Z)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11 (b)).
즉, 탑노즐(8)이 터브(11) 상부면의 중심 또는 상부랙(191)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경우 상기 축(818)의 중심은 노즐유입부(811)가 위치된 방향(세척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배출홀(815)의 중심에서 소정거리(Z)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탑노즐(8)은 축(818)의 전방(X) 및 축의 후방(Y)으로 거의 동일한 양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다만, 축(818)의 중심과 배출홀(815)의 중심을 일치시키더라도 탑노즐(8)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23)가 터브(11)의 후방면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탑노즐(8)이 터브 상부면(113) 중심에서 터브의 후방면(노즐바디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면 축(818)의 중심과 배출홀(815)의 중심을 일정거리 이격시키지 않더라도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임펠러(83)는 축(818)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815)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세척대상이 수납된 공간인 랙(191, 193)의 전 영역에 세척수를 골고루 공급하는 수단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83)는 축(818)에 결합하는 임펠러 지지부(819)에 의해 상기 축(8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임펠러(83)는 상기 배출홀(815)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공급범위(세척수가 공급되는 거리)를 구분시키는 수단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임펠러(83)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임펠러(83)는 디스크 형상의 임펠러바디(831), 임펠러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 관통홀(833), 임펠러의 회전중심(NC)에서 임펠러바디(831)의 가장 자리를 향해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블레이드(835)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출홀(815)을 통해 노즐바디(81)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나선형상으로 구비된 블레이드(835)에 부딪치게 되므로 배출홀(815)을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면 임펠러바디(831)는 축(818)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임펠러바디(831)가 회전하면 배출홀(815)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임펠러바디(831)의 표면 및 블레이드(835)의 안내를 받게 되므로 배출홀(815)로부터 먼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바디(831)의 회전에 의해 배출홀(815)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상부랙(191)의 상부에 비산(scattering)될 수 있다.
한편, 임펠러바디(831)가 회전하면 배출홀(815)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블레이드(835)가 제공하는 힘을 전달받게 되므로 배출홀(815)에서 더욱 멀리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임펠러(83)가 상술한 구성만으로 구비되면 세척수를 탑노즐(8)로부터 먼 거리까지 공급할 수는 있지만 탑노즐(8)에 인접한 위치에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임펠러(83)는 임펠러바디(8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홀,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경사면(836),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절곡홈(8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제1홀(838)과 제2홀(839)로 구비될 수 있는데 각 홀은 하나의 블레이드(835)와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835)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탑노즐(8)의 하부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한편, 제1홀(838)에 의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영역과 제2홀(839)에 의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제2홀(839)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구비된 홀 플랜지(83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임펠러바디(831)의 회전중심에서 제1홀(838)에 이르는 거리(L1)는 임펠러바디(831)의 회전중심(NC)으로부터 제2홀(839)에 이르는 거리(L2)는 보다 더 크다.
따라서, 배출홀(815)을 통해 노즐바디(81)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블레이드(835)에 충돌하여 임펠러바디(831)를 회전시키고, 임펠러바디(831)의 회전 중 세척수는 제1홀(838) 및 제2홀(839)을 통해 임펠러바디(831)의 하부 영역에 공급된다.
이 경우 제2홀(839)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838)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영역(A1)의 외부영역(A2)에 세척수를 공급하게 될 것이다.
상기 경사면(836)은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임펠러바디(831)의 상부를 향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경사면(831)이 임펠러바디(831)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면 세척수를 탑노즐(8)에서 가장 먼 거리까지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836)은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에 두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경사면(836)은 임펠러바디(83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면(83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임펠러바디(831)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경사면(836)은 임펠러바디(831)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경사면(836)은 임펠러바디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절곡홈(837)은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가 임펠러바디의 회전중심(NC)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데 이를 통해 임펠러(83)는 홀(838, 839)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영역(A1, A2)과 경사면(836)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영역(A4) 사이에 위치된 공간(A3)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식기세척기는 제1홀과 제2홀의 길이 차,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사면(836)들의 경사각에 의해 상술한 임펠러(83)가 비대칭적 형상을 가지게 되고, 임펠러(83)의 비대칭적 형상에 의해 배출홀(815)에서 배출된 세척수의 공급범위가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축 관통홀(833)에서 상기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를 향해 임펠러바디(831)가 절개되어 구비되는 제2홀(839)은 홀 플랜지(8391)에 의해 제1홀(838)과 다른 길이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제1홀(838)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범위(A1)는 제2홀(839)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범위(A2)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836)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되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면 경사면(836)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A4 영역을 구분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임펠러(83)의 비대칭성은 절곡홈들(837)의 개수, 위치 또는 크기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다수의 절곡홈(837)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임펠러(83)의 비대칭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절곡홈(837)이 마주보지 않도록 구비되거나 홀수개의 절곡홈(837)들이 임펠러바디(8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임펠러(83)의 비대칭성을 유지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절곡홈(837)에 의한 세척수 공급범위를 구분하려면 각 절곡홈(837)의 크기(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에서 각 절곡홈까지의 거리, 또는 축 관통홀에서 각 절곡홈까지의 거리)가 서로 달리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상부랙 또는 하부랙)을 제1홀(838)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영역(A1)의 부피, 제2홀(839)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영역(A2)의 부피, 절곡홈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영역(A3)의 부피, 경사면에 의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영역(A4)의 부피가 약 1:2:3:4의 부피 비가 되도록 하고, 탑노즐(8)이 랙의 중심에 위치될 경우 임펠러바디의 중심(NC)에서 홀(838, 839), 절곡홈(837)에 이르는 거리는 도 13 (b)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랙의 높이가 일정할 경우 A1 내지 A4의 부피 비는 넓이 비와 동일한 바 A1 내지 A4의 넓이 비가 1:2:3:4가 되도록하고, 탑노즐(8)이 랙의 중심에 위치될 경우에도 임펠러바디의 중심(NC)에서 홀(838, 839), 절곡홈(837)에 이르는 거리는 도 13 (b)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의 가로길이는 480 내지 490mm, 세로길이는 520 내지 530mm를 가질 경우, 임펠러바디(831)의 회전중심(NC)으로부터 제1홀(838)에 이르는 거리(L1)은 9 내지 10mm, 회전중심(NC)로부터 제2홀(839)에 이르는 거리(L2)는 10 내지 11mm, 회전중심(NC)으로부터 절곡홈(837)에 이르는 거리(L3)는 19 내지 20m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836)은 임펠러바디(831)의 상부를 향해 5도 경사지게 구비되거나 임펠러바디(831)의 하부를 향해 5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경사면(836)은 임펠러바디(831)의 상부를 향해 5도 경사지게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경사면은 임펠러바디의 하부를 향해 5도 경사지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14는 도 13의 조건으로 설계된 탑노즐(8)의 성능시험 결과에 관한 것으로 도 14 (a)는 도 11 (a)와 같은 구조를 가진 탑노즐에 의한 세척성능 결과이고 도 14 (b)는 본 발명에 구비된 탑노즐(8)에 의한 세척성능 결과이다.
도 14에 도시된 세척 성능시험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인 랙(상부랙 또는 하부랙)을 81개의 공간으로 구분한 뒤 식기세척기를 작동시켜 81개의 공간에 저장된 세척수의 양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도 14의 시험은 가로길이는 480 내지 490mm, 세로길이 520 내지 530mm, 높이 129 내지 143mm의 랙을 81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실시한 것으로, 81개의 공간에 기재된 숫자는 각 공간에 저장된 세척수의 양을 표시한 것이다.
한편, 81개의 공간 중 어둡게 표시된 공간은 기준 미만의 세척수가 저장된 공간을 의미하고, 흰색으로 표시된 공간은 기준 이상의 세척수가 저장된 공간을 의미한다.
도 1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818)의 중심과 배출홀(815)의 중심이 일치하는 탑노즐의 경우(제2유로(23)는 랙의 후방에 위치됨) 랙의 전방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과 랙의 후방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의 비가 1.27:1이었다.
즉, 도 14 (a)를 통해 축(818)의 중심과 배출홀(815)의 중심이 일치하는 탑노즐의 경우 랙의 전방에 세척수가 더 많이 공급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암과 같은 구조를 가진 탑노즐의 경우에는 회전암의 회전반경 내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랙의 중심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이 회전암의 회전반경 외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랙의 가장자리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보다 많은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도 1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83)가 구비된 탑노즐(8)은 도 11 (a)의 구조를 가진 탑노즐에 비해 기준 미만의 세척수가 공급된 영역이 현저히 줄어들며 랙의 전 영역에 골고루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탑노즐(8)은 도 4와 같은 세척수 공급 시스템을 갖춘 식기세척기가 아닌 식기세척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탑노즐(8)은 도 15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19), 섬프 급수유로(13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고 섬프 배수유로(133)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되는 섬프(13), 랙(19)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 랙(19)의 상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8)이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분사암(6)은 급수펌프(18)와 제1유로(21)를 통해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받고, 탑노즐(8)은 제1유로(21)에서 분지된 제2유로(23)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게 된다.
제1유로(21)와 제2유로(23)의 분지점에는 각 유로(21, 23)의 교번적 개방, 각 유로(21, 23)의 동시개방이 가능한 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유로(2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달리 급수펌프(18)에 직접연결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에도 도 9 내지 도 12의 탑노즐(8)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식기세척기 1: 캐비닛 11: 터브
13: 섬프 15: 섬프커버 16: 도어
17: 암홀더 18: 급수펌프 191: 상부랙
193: 하부랙 2: 급수유로 3: 타워노즐
31: 타워유로 33: 분사노즐 4: 랙고정부
5: 타워연결부 6: 하부암 7: 상부암
8: 탑노즐 81: 노즐바디 811: 노즐유입부
813: 유로고정부 815: 배출홀 817: 유로가이더
819: 임펠러 지지부 83: 임펠러 831: 임펠러바디
833: 축 관통홀 835: 블레이드 836: 경사면
837: 절곡홈 838: 제1홀 839: 제2홀
8391: 홀 플랜지 9: 유로전환부

Claims (19)

  1.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
    상기 랙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랙에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바디에 구비되는 배출홀, 상기 노즐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 상기 노즐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축이 구비된 탑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 관통홀이 구비된 임펠러바디;
    상기 임펠러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홀 및 제2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홀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범위가 상기 제2홀을 통한 세척수 공급범위와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제1홀까지의 거리는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제2홀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비대칭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 관통홀로부터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는 블레이드,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가 상기 축 관통홀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홈,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경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은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며 하나의 절곡홈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범위가 다른 하나의 절곡홈을 통한 세척수 공급범위와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며 하나의 경사면은 상기 임펠러바디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경사면은 상기 임펠러바디의 하부를 향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노즐은 상기 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바디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축의 일단은 상기 노즐바디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축의 타단은 상기 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바디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중심은 상기 배출홀의 중심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탑노즐은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랙의 중심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는 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 관통홀이 구비된 임펠러바디;
    상기 축 관통홀로부터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하나의 블레이드와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임펠러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홀,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가 상기 축 관통홀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홈,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하나의 블레이드와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제1홀과 제2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의 블레이드와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가로 480 내지 490mm, 세로 520 내지 530mm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탑노즐은 상기 랙의 중심에 대응하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홀은 상기 축 관통홀로부터 9 내지 10mm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홀은 상기 축 관통홀로부터 10 내지 12mm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가로 480 내지 490mm, 세로 520 내지 530mm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탑노즐은 상기 랙의 중심에 대응하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절곡홈은 상기 축 관통홀로부터 19 내지 20mm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임펠러바디의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며,
    하나의 경사면은 상기 임펠러바디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경사면은 상기 임펠러바디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상부랙 및 상기 상부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랙;
    상기 하부랙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암;
    상기 하부랙에 구비되는 랙고정부;
    상기 랙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랙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부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타워노즐;
    상기 하부암 내부의 수압에 따라 상기 하부암에서 인출되며, 상기 하부암에서 인출 시 상기 타워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타워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타워연결부;
    상기 상부랙의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상부랙에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바디에 구비되는 배출홀, 상기 노즐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 상기 노즐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축이 구비된 탑노즐;
    상기 하부암과 상기 노즐바디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 관통홀이 구비된 임펠러바디;
    상기 임펠러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임펠러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홀 및 제2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홀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범위가 상기 제2홀을 통한 세척수 공급범위와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제1홀까지의 거리는 상기 축 관통홀에서 상기 제2홀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비대칭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암과 상기 급수펌프를 연결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에서 분지되며 상기 노즐바디에 연결되는 제2유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분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교번적으로 개방하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20106356A 2012-09-25 2012-09-25 식기세척기 KR101964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56A KR101964646B1 (ko) 2012-09-25 2012-09-25 식기세척기
EP13183021.8A EP2710946B1 (en) 2012-09-25 2013-09-04 Dishwashing machine
AU2013224750A AU2013224750B2 (en) 2012-09-25 2013-09-09 Dishwashing machine
US14/024,662 US9936851B2 (en) 2012-09-25 2013-09-12 Dishwashing machine
CN201310445714.9A CN103654673B (zh) 2012-09-25 2013-09-25 洗碗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56A KR101964646B1 (ko) 2012-09-25 2012-09-25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745A KR20140039745A (ko) 2014-04-02
KR101964646B1 true KR101964646B1 (ko) 2019-04-02

Family

ID=4908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356A KR101964646B1 (ko) 2012-09-25 2012-09-25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6851B2 (ko)
EP (1) EP2710946B1 (ko)
KR (1) KR101964646B1 (ko)
CN (1) CN103654673B (ko)
AU (1) AU2013224750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8351S1 (en) 2013-10-29 2016-01-26 Whirlpool Corporation Sprayer for dish washing machine
KR102288086B1 (ko) 2014-07-16 202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6137086B (zh) * 2015-04-24 2023-08-01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用炊具搁架及洗碗机
DE102015207582A1 (de) * 2015-04-24 2016-10-27 BSH Hausgeräte GmbH Sprüharm und Geschirrspülmaschine
US10575705B2 (en) * 2015-12-18 2020-03-03 Micro Matic Usa, Llc Glass rinser spin stop
DE102015016864B3 (de) * 2015-12-29 2017-05-04 i-clean Technologies GmbH Reinigerkartusche für lnnenraumreinigungsvorrichtung eines Gerätes
CN106012438B (zh) * 2016-06-30 2019-01-2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喷淋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CN105970539B (zh) * 2016-06-30 2018-09-1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喷淋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CN106149310B (zh) * 2016-07-29 2018-12-2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喷淋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KR101943323B1 (ko) 2017-01-02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9394122B (zh) * 2017-08-18 2024-01-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CN109965804B (zh) * 2017-12-28 2023-12-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CN109907715A (zh) * 2019-04-12 2019-06-21 广东洁诺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
CN113907670B (zh) * 2020-07-10 2024-02-2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3131A (ja) * 2006-09-20 2008-04-03 Hitachi Appliances Inc 食器洗い機
US20100116301A1 (en) * 2007-04-11 2010-05-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op spray device for dishwashers
KR101063527B1 (ko) * 2004-02-13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0032A (en) * 1960-08-15 1962-04-17 Dairy Equipment Co Liquid distribution device
US3292645A (en) * 1964-10-13 1966-12-20 Gen Motors Corp Reaction spray dishwasher having an improved water fill system
US3610532A (en) * 1969-01-21 1971-10-05 Henry J Modrey Balljet tank cleaner
US3809106A (en) 1972-08-23 1974-05-07 Fedders Corp Dishwasher with improved spray apparatus
IL86226A (en) 1988-04-29 1992-12-01 Mamtirim Dan Rotary sprinkler
DE69929610T2 (de) 1998-07-14 2006-08-03 Moen Inc., North Olmsted Taumelnde austragvorrichtung für fluide
WO2002055795A1 (fr) 2001-01-05 2002-07-18 Toto Ltd. Dispositif d'evacuation d'eau
DE10107301A1 (de) * 2001-02-16 2002-08-22 Aeg Hausgeraete Gmbh Sprüheinrichtung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S20050230502A1 (en) * 2004-03-31 2005-10-2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pray devices and nozzles
US7278591B2 (en) * 2004-08-13 2007-10-09 Clearman Joseph H Spray apparatus
KR101266868B1 (ko) 2006-07-12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7717361B2 (en) * 2006-08-31 2010-05-18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Distributor plate with diffuser on fixed shaft
US8079533B2 (en) 2009-02-23 2011-12-20 BEX Engineering, Ltd. Rotating spray nozz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505114U (zh) 2009-10-15 2010-06-16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喷臂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527B1 (ko) * 2004-02-13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JP2008073131A (ja) * 2006-09-20 2008-04-03 Hitachi Appliances Inc 食器洗い機
US20100116301A1 (en) * 2007-04-11 2010-05-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op spray device for dishwash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0946A3 (en) 2016-06-29
CN103654673B (zh) 2017-05-10
AU2013224750A1 (en) 2014-04-10
KR20140039745A (ko) 2014-04-02
EP2710946A2 (en) 2014-03-26
US20140083470A1 (en) 2014-03-27
EP2710946B1 (en) 2019-07-17
AU2013224750B2 (en) 2016-04-14
CN103654673A (zh) 2014-03-26
US9936851B2 (en)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646B1 (ko) 식기세척기
KR101633933B1 (ko) 식기 세척기
KR101909028B1 (ko) 식기세척기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KR102007843B1 (ko) 식기세척기
KR102040795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EP2710945A1 (en) Dishwashing machine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KR20100007340A (ko) 식기세척기
KR101769378B1 (ko) 식기세척기
KR101769377B1 (ko) 식기세척기
KR20060029567A (ko) 스월노즐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598753B1 (ko) 식기 세척기
US20230165429A1 (en) Dishwasher
KR20160100595A (ko) 식기 세척기
KR20220001362A (ko) 자동세정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20140037553A (ko) 식기세척기
KR102105963B1 (ko) 식기세척기
KR101980705B1 (ko) 식기세척기
CN209900839U (zh) 过滤系统和家用电器
KR102487215B1 (ko) 식기 세척기
CN110811469B (zh)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和洗碗机
KR101669282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