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662A - 수도물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도물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662A
KR20220021662A KR1020200102508A KR20200102508A KR20220021662A KR 20220021662 A KR20220021662 A KR 20220021662A KR 1020200102508 A KR1020200102508 A KR 1020200102508A KR 20200102508 A KR20200102508 A KR 20200102508A KR 20220021662 A KR20220021662 A KR 2022002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opening angle
power receiving
tap w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찬
Original Assignee
손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찬 filed Critical 손정찬
Priority to KR102020010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662A/ko
Publication of KR2022002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 손잡이에 결합되어 손잡이의 개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수도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는,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전결합부와, 상기 수전결합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클램핑부와, 상기 수전결합부와 클램핑부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수전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전몸체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전몸체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개방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도물 절수장치{Water-saving divice}
본 발명은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 손잡이에 결합되어 손잡이의 개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수도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의 배출량을 절약하고자 할 때에는 수도꼭지본체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 수도물의 배출량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수도물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를 상,하로 각도조절하는 방법으로 수도물 배출량을 조절하고 있다.
종래 수도꼭지본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절수기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89779호 및 등록특허 제10-1478608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수도꼭지본체의 배출구 속에 장착되어 수도꼭지본체의 인입부로 유입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도물의 유속 및 유량 등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절수기구는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조립부품의 갯수가 많아 조립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비숙련의 사람은 수도꼭지본체에 절수기구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수도꼭지본체를 개폐작동시키기 위해서 손잡이를 1∼3회 정도 회전시켜야 하는 관계로 수도꼭지본체를 완전개방하거나 또는 완전폐쇄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여러번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수도꼭지본체를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수도물을 소량으로 배출시키는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겠으나, 수도꼭지본체를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시키기 위한 개폐작동은 빠르게 진행되지 못하고 느리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수도꼭지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올리고 내리는 방법으로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수도꼭지본체를 완전개방 및 완전폐쇄시키는 작동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수도물을 소량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손잡이를 일정각도로 올리고자 할 때 조심스럽게 천천히 올려야 하는 관계로 수도물을 소량으로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작업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고속도로 휴게소 등과 같은 공공장소의 화장실 등에서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수세실에 설치된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가 상,하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도물의 낭비가 많아지게 된다는 것으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휴게실의 수세실을 이용하는 사람이 손을 씻고잘 할 때에는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를 위로 완전히 들어 올리게 되기 때문에 수도꼭지본체는 완전개방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수도물이 최대로 많이 배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수도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의 휴게실에 마련되어 있는 수세실 등에 설치되는 수도꼭지에는 절수장치를 장착하여 많은 사람들이 수도꼭지본체를 사용할 때 수도물이 적당량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도물을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절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478608호(2014.12.26. 공고)
수전 손잡이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개방시키는 동작에서 손잡이의 개방각도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수도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수도물 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는,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전결합부와, 상기 수전결합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클램핑부와, 상기 수전결합부와 클램핑부를 결합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전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전몸체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전몸체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개방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방각도조절부는, 수전몸체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방각도조절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샤프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각도조절부의 내부에 인입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가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링너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형성되는 인입홈 및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 일측에서 상기 인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볼트너트의 스크류 작용에 의하여 수전몸체와 간섭되어 수전 손잡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수전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도물의 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샤프트부의 인입홈과 개구부의 걸림돌기에 의하여 원하는 길이만큼 샤프트부를 이동시킨 후에 고정시킴으로써 샤프트부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수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에 있어서, 샤프트부와 개구부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가 수전몸체에 결합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물 절수장치(1)는, 수전몸체(10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전결합부(10)와, 상기 수전결합부(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수전몸체(10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클램핑부(20)와, 상기 수전결합부(10)와 클램핑부(20)를 결합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수전결합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전몸체(100)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전몸체(10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개방각도조절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수전결합부(10)는 수전몸체(10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수전몸체(10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전결합부(10)는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전몸체(100)의 외경과 같거나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클램핑부(20)와 함께 조여져 수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전결합부(10)는 소정의 폭을 가져 사용자가 쉽게 장착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개방각도조절부(40)가 형성된 상태에서 수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전결합부(10), 바람직하게는 수전몸체(100)를 감싸면서 반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전결합부(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수전결합부(10)에 의해 감싸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수전몸체(100) 영역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클램핑부(20) 및 상기 클램핑부(20)와 수전결합부(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20)는 수전몸체(100)를 중심으로 수전결합부(10)에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수전결합부(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전몸체(100)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조여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수전결합부(10) 및 클램핑부(20)는 수전몸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압으로부터 영향을 크게 받지 않도록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클램핑부(20)는 수전몸체(100)에 조여지는 과정에서 쉽게 인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대한 일 실시예로, 상기 클램핑부(20)는 상기 수전결합부(10)의 양측에 인접 형성되는 제1삽입부(22)로부터 반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제1클램핑본체(21)가 연결부(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수전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22)는 연결부(30)가 삽입되어 수전결합부(10)와 클램핑부(20)를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개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0)의 일측은 수전결합부(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삽입부(22)를 관통하여 이루어지며 타측에는 상기 제1삽입부(22)보다 큰 직경을 가진 고정부를 통해 제1클램핑본체(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제1클램핑본체(21)를 수전결합부(10)를 향해 밀착시키게 되면 클램핑부가 조여지면서 내부에 설치된 수전몸체(100)를 감싸게 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부(30)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을 가진 볼트형으로 이루어져 회전작용을 통해 제1클램핑본체(21)를 조여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클램핑부(20)는 상기 수전결합부(10)의 양측에 인접 형성되는 제2삽입부(24)로부터 사각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제2클램핑본체(23)가 연결부(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클램핑본체(23)는 반원형이 아닌 사각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휴대할 경우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밖의 사항은 제1클램핑본체(21)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전결합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전몸체(100)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전몸체(10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개방각도조절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각도조절부(40)는 수전몸체(100)의 레버(L)를 위아래로 동작하여 수도물이 나오도록 하는 구성에서 레버가 당겨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개방각도조절부(40)는 수전결합부(100)의 일측에서 수전몸체(100)의 하부를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방각도조절부(40)가 레버(L)의 회전을 제한하여 배출되는 수도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방각도조절부(40)는, 수전몸체(1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방각도조절부(40)에 형성되는 개구부(41)로부터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샤프트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L)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수전몸체(100)에 결합되는 수전결합부(10)의 개방각도조절부(40)는 수전몸체(1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L)가 당겨지면 수전몸체(100)와 결합된 개방각도조절부(40)도 함께 당겨지게 되고, 여기서 상기 개방각도조절부(40)에서 수전몸체(1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부(50)가 수전몸체(100)에 걸려 더이상 당겨지지 않도록 제한됨으로써 일정각도만큼 당겨진 상태로 수도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부(50)는 개방각도조절부(40)에 형성되는 개구부(41)로부터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41)는 샤프트부(5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샤프트부(50)가 후술하는 회전 작용에 의해 개방각도조절부(40)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5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1)는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각도조절부(40)의 내부에 인입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61)이 형성되며,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50)가 개구부(41)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링너트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부(50)가 개구부(41)에서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샤프트부(50)와 개구부(41)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샤프트부(50)가 회전되면서 개구부(4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50)를 회전시키기 위해 발생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부(50)를 회전시키 위한 링너트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너트부(6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진 원판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부(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6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홀(61)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링너트부(6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부(50)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개방각도조절부(4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너트부(60)가 개방각도조절부(40)의 내부에 인입 설치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링너트부(60)가 회전작용에 의해 개방각도조절부(4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각도조절부(40)는 링너트부(60)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지지해주는 제1조절부본체(40a)와 제2조절부본체(4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너트부(60), 샤프트부(50) 및 개방각도조절부(40)는 상호 결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고, 링너트부(60)의 회전작용에 의하여 샤프트부(5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레버(L)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50)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형성되는 인입홈(51) 및 상기 개구부(41)의 내주면 일측에서 상기 인입홈(5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홈(51)은 샤프트부(50)의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샤프트부(50)의 중심축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되어 형성되는 인입홈(51)을 가진다. 상기 인입홈(5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41)의 내주면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42)가 인입홈(51)에 걸리도록 이루어져 상기 샤프트부(5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샤프트부(50)에 형성되는 인입홈(5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걸림돌기(42)는 인입홈(51)에 걸려 샤프트부(50)가 일정부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샤프트부(50)가 링너트부(60)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나사산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인입홈(51)이 걸림돌기(42)와 동일선상이 위치되었을 때 링너트부(60)를 걸림돌기(42)를 향해 일정부분 밀어주게 되면 샤프트부(50)의 인입홈(51)이 걸림돌기(42)에 밀착하여 샤프트부(50)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고정이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수도물 절수장치
10 : 수전결합부
20 : 클램핑부
21 : 제1클램핑본체
22 : 제1삽입부
23 : 제2클램핑본체
24 : 제2삽입부
30 : 연결부
40 : 개방각도조절부
41 : 개구부
42 : 걸림돌기
50 : 샤프트부
51 : 인입홈
60 : 링너트부
61 : 삽입홀
100 : 수전몸체
L : 레버

Claims (3)

  1.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전결합부;
    상기 수전결합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클램핑부;
    상기 수전결합부와 클램핑부를 결합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전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전몸체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전몸체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개방각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수도물 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각도조절부는,
    수전몸체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방각도조절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샤프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물 절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샤프트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각도조절부의 내부에 인입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가 개구부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링너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물 절수장치.
KR1020200102508A 2020-08-14 2020-08-14 수도물 절수장치 KR20220021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508A KR20220021662A (ko) 2020-08-14 2020-08-14 수도물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508A KR20220021662A (ko) 2020-08-14 2020-08-14 수도물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62A true KR20220021662A (ko) 2022-02-22

Family

ID=8049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508A KR20220021662A (ko) 2020-08-14 2020-08-14 수도물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16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08B1 (ko) 2007-10-02 2015-01-06 카즈미 도이우치 절수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08B1 (ko) 2007-10-02 2015-01-06 카즈미 도이우치 절수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361C2 (ru)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водослив
JPS598713B2 (ja) 側部入口ボ−ルコツク
US6474621B1 (en) Water control apparatus for showers
JPS63107627A (ja) トイレットタンクフロ−ト弁組立体
US8893321B2 (en) Drai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220021662A (ko) 수도물 절수장치
RU2687330C1 (ru) Поворотное душ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порным клапаном
KR102146322B1 (ko) 수도물 절수장치
MXPA04006701A (es) MANGUERA DE REGADERA QUE COMPRENDE UNA VáLVULA DE DOS VIAS, Y LA VáLVULA DE DOS VIAS PARA UNA MANGUERA DE REGADERA.
CN206786066U (zh) 角阀开关装置
EP0815375A1 (de) Sanitäres mischventil
JP2559020Y2 (ja) 1本の操作レバーにより多段階制御される蛇口装置
CN211039688U (zh) 一种出水装置
CN208442324U (zh) 一种双开关水龙头
KR200368380Y1 (ko) 풋 터치 절수장치
KR100528504B1 (ko) 다양한 양변기 구조에 설치 가능한 자동 물내림 장치
US11933030B2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for faucet piece
KR200262563Y1 (ko)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JP4116742B2 (ja) 吐水装置
JP2024062546A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の節水装置
KR101051279B1 (ko) 누름 개폐식 밸브
KR200312328Y1 (ko) 샤워기
WO2023179807A1 (en) Device for water savings with adjustable mechanism of flow regulation
JP2000213017A (ja) 吐水具
JP3640839B2 (ja) 洗浄便座の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