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322B1 - 수도물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도물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322B1
KR102146322B1 KR1020190073491A KR20190073491A KR102146322B1 KR 102146322 B1 KR102146322 B1 KR 102146322B1 KR 1020190073491 A KR1020190073491 A KR 1020190073491A KR 20190073491 A KR20190073491 A KR 20190073491A KR 102146322 B1 KR102146322 B1 KR 102146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water
angle
clamp
saving device
clam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찬
Original Assignee
손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찬 filed Critical 손정찬
Priority to KR102019007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물 절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도꼭지본체의 조절몸체의 일측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메인 가동클램프 및 서브 가동클램프로 구성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클램핑수단의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 각각의 자유단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와;
자유단은 상기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 각각의 끝단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돌부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지지구에 지지되는 조절너트에 나사조립되고, 머리부는 상기 메인 가동클램프의 끝단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메인 가동클램프를 탄력적으로 압착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핑볼트와;
상기 클램핑수단의 고정클램프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몸체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개방각도조절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수도물 절수장치{Water-saving device}
본 발명은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본체의 밸브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조절몸체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도물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의 배출량을 절약하고자 할 때에는 수도꼭지본체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 수도물의 배출량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수도물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를 상,하로 각도조절하는 방법으로 수도물 배출량을 조절하고 있다.
종래 수도꼭지본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절수기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89779호 및 등록특허 제10-1478608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수도꼭지본체의 배출구 속에 장착되어 수도꼭지본체의 인입부로 유입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수도물의 유속 및 유량 등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절수기구는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조립부품의 갯수가 많아 조립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비숙련의 사람은 수도꼭지본체에 절수기구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수도꼭지본체를 개폐작동시키기 위해서 손잡이를 1∼3회 정도 회전시켜야 하는 관계로 수도꼭지본체를 완전개방하거나 또는 완전폐쇄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여러번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수도꼭지본체를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수도물을 소량으로 배출시키는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겠으나, 수도꼭지본체를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시키기 위한 개폐작동은 빠르게 진행되지 못하고 느리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수도꼭지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올리고 내리는 방법으로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수도꼭지본체를 완전개방 및 완전폐쇄시키는 작동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수도물을 소량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손잡이를 일정각도로 올리고자 할 때 조심스럽게 천천히 올려야 하는 관계로 수도물을 소량으로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작업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고속도로 휴게소 등과 같은 공공장소의 화장실 등에서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수세실에 설치된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가 상,하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도물의 낭비가 많아지게 된다는 것으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휴게실의 수세실을 이용하는 사람이 손을 씻고잘 할 때에는 수도꼭지본체의 손잡이를 위로 완전히 들어 올리게 되기 때문에 수도꼭지본체는 완전개방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수도물이 최대로 많이 배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수도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의 휴게실에 마련되어 있는 수세실 등에 설치되는 수도꼭지에는 절수장치를 장착하여 많은 사람들이 수도꼭지본체를 사용할 때 수도물이 적당량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도물을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절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779호(2002. 09. 16.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78608호(2014. 12. 2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밸브손잡이를 상향으로 들어 올리거나 하향으로 내려주는 방법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수도꼭지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손잡이의 상향으로 들어 올리는 개방각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도꼭지본체의 수도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도꼭지본체에 장착되는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본체의 조절몸체의 일측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메인 가동클램프 및 서브 가동클램프로 구성되는 클램핑수단과;
막대형상으로서 일측에는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자유단을 가지고 있되, 상기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 각각의 끝단을 관통하여 조절너트에 나사조립되고, 상기의 머리부는 상기 메인 가동클램프의 끝단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메인 가동클램프를 탄력적으로 압착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핑볼트와;
상기 클램핑수단의 고정클램프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몸체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개방각도조절구;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수단은 고정클램프와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는 일측 및 타측 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 각각의 끝단은 지지대에 설치되는 클램핑볼트의 나사조임작동에 의해 수도꼭지본체의 조절몸체를 탄력적으로 감싸주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도꼭지본체에 장착되는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본체의 조절몸체의 일측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의 일단에 연결되어 조절몸체의 타측을 탄력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동클램프로 구성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클램핑수단을 형성하는 고정클램프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동클램프를 탄력적으로 압착하여 상기 클램핑수단을 조절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볼트축을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되는 캠작동간과;
상기 클램핑수단의 고정클램프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에 체결판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몸체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방각도조절구;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수단은 가동클램프의 일단에 돌출되어 있는 일측 연결판이 고정클램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끼움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클램프의 타단에는 캠작동간을 연결하기 위해 고정클램프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타측 끼움홈에 삽입된 채 타측 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연결판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볼트축이 삽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작동간은 손잡이부와, 캠작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캠작동부에는 연결볼트축의 나사부에 나사조립되는 조립너트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캠중심공과, 상기 연결볼트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상태로 조립되게 하는 캠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수단의 가동클램프 타단과 상기 캠작동간의 캠작동부 사이에는 연결볼트축이 관통하는 캠지지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각도조절구는 고정클램프에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이면 양측에 부착된 상태로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와, 상기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 사이에 삽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 각도조절구와, 상기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각도조절구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볼트 및 상기 중간 각도조절구의 일측에 일정각도로 돌출하는 각도조절레버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각도조절구의 고정판에는 체결판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일측에 볼플런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판에는 볼플런저의 볼을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볼고정홈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볼고정홈을 연결하는 볼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꼭지본체의 고정몸체 위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절몸체를 상향으로 들어 올리는 개방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기존에 사용하는 수도꼭지본체의 구조를 변경 내지 개선하지 않고 기존의 수도꼭지본체의 조절몸체를 감싸도록 설치하여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클램핑수단의 고정클램프와 개방각도조절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며,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개방각도조절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캠작동간 작동상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13의 (A)(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도물 절수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a) 및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b) 각각은 수도꼭지본체(100)의 고정몸체(110)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절몸체(120)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조절몸체(120)를 상,하 일정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본형과, 상기 조절몸체(120)를 상,하 일정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기능과 제어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해제기능을 가지고 있는 고급형으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a)(1b)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본형으로 구분되는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a)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a)는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를 감싸주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클램프(21)와 메인 가동클램프(22) 및 서브 가동클램프(23)로 구성되는 클램핑수단(2)과, 상기 클램핑수단(2)의 메인 가동클램프(22)와 서브 가동클램프(23)의 이동작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31)(32)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에 지지된 채 메인 가동클램프(22)와 서브 가동클램프(23)를 탄력적으로 조여주거나 플어주는 클램핑볼트(4)와, 상기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가 상,하로 개방되는 각도를 일정각도로 제어하기 위한 개방각도조절구(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수단(2)의 고정클램프(21) 양단에는 메인 가동클램프(22) 및 서브 가동클램프(23)가 회전가능하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22)(23) 각각의 끝단(22a)(23a)은 상기 지지대(3)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레일(31)(32)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22)(23) 각각의 끝단(22a)(23a)에는 상기 클램핑볼트(4)가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볼트(4)의 머리부(41)는 메인 가동클램프(22)의 끝단을 밀어주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 상기 클램핑볼트(4)의 자유단측에 나사조립되는 조절너트(42)는 서브 가동클램프(23)의 끝단(23a)을 지지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의 일단(도면상 우측부분 참조)에는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22)(23) 각각의 끝단(22a)(23a)을 안내레일(31)(32) 사이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요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3)의 타단(도면상 좌측부분 참조)에는 클램핑볼트(4)의 자유단측을 지지하기 위한 조립돌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돌부(34)에는 클램핑볼트(4)의 자유단측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조절너트(42)가 지지되는 너트지지구(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지지구(35)에는 조절너트(42)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지지홈(3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볼트(4)의 머리부(41)를 드라이버 등의 회전도구를 사용하여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머리부(41)는 메인 가동클램프(22)의 끝단(22a)을 압착하게 되고, 상기 클램핑볼트(4)의 자유단측에 나사조립된 조절너트(42)는 너트지지구(35)의 너트지지홈(3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브 가동클램프(23)의 끝단(23a)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클램핑볼크(4)를 계속 나사조임하게 되면 머리부(41)가 메인 가동클램프(22)를 탄력적으로 압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클램핑수단(2)이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를 견고하게 감싼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개방각도조절구(5)는 클램핑수단(2)을 구성하는 고정클램프(21)의 일측(도면상 중심부위 참조)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는 고정판(5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판(51)에 나사조립되는 체결볼트(52)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체결판(53)과, 상기 체결판(53)의 이면(도면상 하측부분 참조)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조절구(54)(55)와, 상기 일측 및 타측 조절구(54)(55) 사이에 삽탈가능하게 개재되는 중간 각도조절구(56)와, 상기 일측 각도조절구(54)와 중간 각도조절구(56) 및 타측 각도조절구(55)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볼트(57)와, 상기 중간 각도조절구(56)의 일측에서 일정각도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레버(58)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방각도조절구(5)의 타측 각도조절구(55)에는 조절손잡이(5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손잡이(59)에는 각도조절레버(58)의 각도 조절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조절각도 표시부(5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각도조절구(54) 및 중간 각도조절구(56) 각각의 중심에는 조립볼트(57)가 관통하는 관통공(54a)(5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 각도조절구(55)의 중심에는 조립볼트(57)가 나사조립되는 암나사공(5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볼트(57)의 일단에는 볼트손잡이(5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각도조절구(5)의 고정판(51)과 체결판(53)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52)는 체결판(53)과 고정판(51)을 관통하여 체결너트(52a)에 나사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한편, 상기 중간 각도조절구(56)의 양면 및 이에 마주하도록 조립되는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54)(55) 각각의 일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구조(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립볼트(57)의 나사조임작동으로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54)(55)와 중간 각도조절구(56)를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조립볼트(57)를 어느 정도 나사풀림하게 되면 중간 각도조절구(56)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각도조절레버(58)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고급형으로 구분되는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b)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부호는 다른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b) 역시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를 감싸주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클램프(61)와 가동클램프(62)로 구성되는 클램핑수단(6)과, 상기 클램핑수단(6)의 가동클램프(62)를 탄력적으로 압착하기 위한 캠작동간(7)과, 상기 클램핑수단(6)의 고정클램프(61) 일측에 형성된 고정판(81)을 포함하는 개방각도조절구(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b)의 클램핑수단(6)은 고정클램프(61)와 이의 일단(도면상 좌측부분 참조)에 형성된 일측 끼움홈(61a)에 일측 연결판(62a)이 삽입된 채 일측 핀축(63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가동클램프(6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클램프(62)의 타단(도면상 우측부분 참조)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절개부(6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작동간(7)은 손잡이부(71)와 캠작동부(7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캠작동부(72)에는 캠중심공(73)과 캠절개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작동간(7)은 클램핑수단(6)의 고정클램프(61) 타단(도면상 우측부분 참조)에 형성된 타측 끼움홈(61b)에 삽입된 채 타측 핀축(63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연결판(91)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볼트축(9)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압착작동을 가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볼트축(9)은 그 일단에 형성된 타측 연결판(91)이 고정클램프(61)의 타측 끼움홈(6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측 핀축(63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볼트축(9)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부(92)는 가동클램프(62)에 형성된 절개부(62b)와 캠작동간(7)의 캠작동부(72)에 형성되어 있는 캠절개부(74)를 관통하여 상기 캠작동부(72)의 캠중심공(73)에 삽입 설치되는 조립너트(93)에 나사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클램프(62)의 타단 즉, 절개부(62b)가 형성되어 있는 타단과 캠작동간(7)의 캠작동부(72) 사이에는 캠지지구(94)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캠지지구(94)에는 연결볼트축(9)이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된다.(도 7 및 도 9 참조)
상기 개방각도조절구(8)는 클램핑수단(6)의 고정클램프(61) 일측(도면상 중간부분 참조)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8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판(81)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볼트(8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체결판(83)과, 상기 체결판(83)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84)(85)와, 상기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84)(85) 사이에 개재되도록 조립되는 중간 각도조절구(86)와, 상기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84)(85)와 중간 각도조절구(86)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볼트(87) 및 상기 중간 각도조절구(86)의 일측에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돌출하는 각도조절레버(86a)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방각도조절구(8)의 조립볼트(87)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개방각도조절구(5)와 동일한 구조로서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84)(85)와 중간 각도조절구(86)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b)의 개방각도조절구(8)를 구성하는 조립볼트(87)의 볼트손잡이(87a) 역시 일측 각도조절구(84)에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방각도조절구(8)의 고정판(81)에는 체결판(83)을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82)와 볼플런저(88)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판(83)에는 볼플런저(88)에 형성된 볼(88a)이 고정되는 일측 및 타측 볼고정홈(89a)(89b)이 일정각도(대략 90°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볼고정홈(89a)(89b)을 연결하는 볼안내홈(89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81)의 이면에 형성된 삽입홈(부호 생략)에는 체결볼트(82)가 나사조립되는 체결너트(82a)가 은폐된 상태로 삽입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방각도조절구(8)의 고정판(81)에 형성되는 체결볼트(82)에는 체결판(83)의 조립공(83a)이 회전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체결판(8)을 고정판(8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함에 있어 중간 각도조절구(86)에서 일정각도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는 각도조절레버(86a)가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를 일정각도로 조절가능하도록 고정몸체(110)에서 일정각도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조립(도 12의 가상선부분 참조)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판(81)에 형성되어 있는 볼플런저(88)의 볼(88a)이 체결판(83)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볼고정홈(89a)에 고정되는 상태로 조립되도록 하며(도 13의 (A) 도시 참조), 이와 같이 조립되어 있는 체결판(83)을 도 13의 (B)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90°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각도조절레버(86a)가 수도꼭지본체(100)의 고정몸체(110)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가 되며, 이 경우에는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를 자유롭게 개폐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 각각의 개폐작동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a)의 설치상태 및 개폐작동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수도물 절수장치(1a)는 클램핑수단(2)의 고정클램프(21)와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22)(23)가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 외주를 감싸주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클램핑수단(2)의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22)(23) 각각의 끝단(22a)(23a)을 관통하는 클램핑볼트(4)를 나사풀림하여 상기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22)(23)가 벌어지도록 조절하게 되면 상기 클램핑수단(2)은 조절몸체(120) 외주 둘레보다 큰 직경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 외주보다 큰 직경으로 벌어지도록 조절된 상기 수도물 절수장치(1a)는 조절몸체(120)를 감싸주는 상태로 설치하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조절몸체(12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수도물 절수장치(1a)는 클램핑수단(2)의 고정클램프(21) 양단에 형성된 일측 및 타측 핀축(24)(25)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22)(23)를 도 4의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 조절하는 수단으로 조절몸체(120)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수도물 절수장치(1a)의 클램핑수단(2)이 조절몸체(120)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클램핑볼트(4)의 머리부(41)를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나사조임하게 되면 머리부(41)는 메인 가동클램프(22)의 끝단(22a)을 밀어주게 되고, 조절너트(42)는 너트지지구(35)에 지지된 상태에서 서브 가동클램프(23)의 끝단(23a)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볼트(4)를 계속하여 나사조임하게 되면 머리부(41)가 메인 가동클램프(22)의 끝단(22a)을 밀어주는 반면에, 조절너트(42)는 서브 가동클램프(23)의 끝단(23a)을 지지하는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클램핑수단(2)은 탄력적으로 압착작용으로 조절몸체(120) 외주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상기 수도물 절수장치(1a)의 각도조절레버(58)가 도 5 도시의 실선부분과 같이 고정몸체(110)에 지지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한 조절몸체(120)에 형성된 밸브손잡이(121)를 상향으로 들어올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에 형성된 밸브손잡이(121)를 상향으로 일정각도 들어올리고자 할 때에는 상기 수도물 절수장치(1a)의 각도조절레버(58)가 도 5 도시의 가상선부분과 같이 고정몸체(110)에서 일정각도 벗어나게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개방각도조절구(5)의 일측 각도조절구(54)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트손잡이(57a)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립볼트(57)를 나사풀림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중간 각도조절구(56)가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54)(55)와 이완된 상태가 되므로 각도조절레버(58)를 일정각도로 회전 조절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레버(58)를 조절손잡이(59)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각도 표시부(59a)에 표시된 조절각도를 기준하여 원하는 각도로 회전 조절한 다음, 앞서 나사풀림하였던 조립볼트(57)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54)(55) 및 중간 각도조절구(56)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레버(58)는 도 6의 (A) 도시와 같이 고정몸체(110)에서 일정각도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이어서 상기 수도꼭지본체(100)의 밸브손잡이(121)를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배출구(111)로 수도물이 배출되는데, 이때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는 각도조절레버(58)가 도 6의 (B)도시와 같이 고정몸체(110)에 지지되는 각도까지만 개방작동되므로 배출구(111)로 배출되는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b)의 설치상태 및 개폐작동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수도물 절수장치(1b)는 클램핑수단(6)의 고정클램프(61)과 가동클램프(62)는 일측 및 타측 핀축(63a)(63b)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도 11 도시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도물 절수장치(1b)는 캠작동간(7)을 회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를 감싸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조절몸체(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9의 도시와 같이 캠작동간(7)의 손잡이부(71)가 가동클램프(62)에 밀착되도록 회전된 상태일 때에는 캠작동부(72)가 연결볼트축(9)을 잡아당기는 상태로 상기 가동클램프(62)의 절개부(62b)가 형성되어 있는 타단을 탄력적으로 압착하게 되므로 상기 클램핑수단(6)은 고정클램프(61)와 가동클램프(62)가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 외주를 탄력으로 감싸주는 상태로 견고히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캠작동간(7)을 도 10 도시의 실선부분과 같이 도면상 반시계방향(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작동부(72)가 캠지지구(94)에서 이완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볼트축(9)을 가동클램프(62)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62b)에서 이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수도물 절수장치(1b)를 조절몸체(120) 외주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2의 도시와 같이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 외주를 감싸도록 고정 설치된 수도물 절수장치(1b)는 각도조절레버(86a)를 수도꼭지본체(100)의 고정몸체(110)에 지지된 상태(도면 중 실선부분 참조) 또는 고정몸체(110)에서 일정각도 이완된 상태(도면 중 가상선부분 참조)가 되도록 회전 조절하는 방법으로 조절몸체(120)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거나 또는 조절몸체(120)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물물 절수장치(1b)의 개방각도조절구(8)에 형성되어 있는 각도조절레버(86a)를 회전 조절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a)의 각도조절레버(58)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 실시에의 수도물 절수장치(1b)는 개방각도조절구(8)의 각도조절레버(86a)를 수도꼭지본체(100)의 고정몸체(110)에서 완전히 이완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8의 도시와 같이 클램핑수단(6)의 고정클램프(6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8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체결판(83)의 조립공(83a)이 고정판(81)에 형성되는 체결볼트(8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고, 또한 상기 고정판(81)에 형성되어 있는 볼플런저(88)의 볼(88a)이 체결판(83)에 형성된 일측 볼고정홈(89a)에 위치하도록 조립된 상태일 때에는 도 13의 (A)도시와 같이 체결판(83)이 고정판(81)과 일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체결판(83)을 도 13의 (B)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90°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판(83)은 체결볼트(82)를 축으로 하여 볼플런저(88)의 볼(88a)이 타측 볼고정홈(89b)에 위치하는 상태로 회전하여 정지하는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각도조절레버(86a)가 고정몸체(110)에서 완전히 이완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도물 절수장치(1b)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각도조절구(8)의 각도조절레버(86a)가 수도꼭지본체(100)의 고정몸체(110)에서 완전히 이완되도록 90°각도로 회전된 상태일 때에는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는 사용자 임의로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수도물 절수장치(1a)(1b)는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를 감싸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개방각도조절구(5)(8)의 각도조절레버(58)(86a)를 고정몸체(110)에 대하여 일정각도 이완되도록 회전 조절하는 방법으로 조절몸체(120)가 설정된 개방각도까지만 개방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써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수도물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공공장소 예를 들면, 고속도로 휴게소, 관공서 등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수도꼭지본체(100)의 조절몸체(120)에 설치하여 수도물 사용시 수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도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함께 공중 화장실의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1a,1b : 수도물 절수장치 2 : 클램핑수단
21 : 고정클램프 22,23 : 메인 및 서브 가동클램프
22a,23a : 끝단 24,25 : 일측 및 타측 핀축
3 : 지지대 31,32 : 안내레일
33 : 조립요홈 34 : 조립돌부
35 : 너트지지구 35a : 너트지지홈
4 : 클램핑볼트 41 : 머리부
42 : 조절너트 5 : 개방각도조절구
51 : 고정판 52 : 체결볼트
52a : 체결너트 53 : 체결판
54 : 일측 각도조절구 55 : 타측 각도조절구
56 : 중간 각도조절구 57 : 조립볼트
57a : 볼트손잡이 58 : 각도조절레버
59 : 조절손잡이 59a : 조절각도표시부
6 : 클램핑수단 61 : 고정클램프
61a,61b : 일측 및 타측 끼움홈 62 : 가동클램프
62a : 일측 연결판 62b : 절개부
63a,63b : 일측 및 타측 핀축 7 : 캠작동간
71 : 손잡이부 72 : 캠작동부
73 : 캠중심공 74 : 캠절개부
8 : 개방각도조절구 81 : 고정판
82,82a :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 83 : 체결판
83a : 조립공 84,85 :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
86 : 중간 각도조절구 86a : 각도조절레버
87 : 조립볼트 87a : 손잡이
88,88a : 볼플런저 및 볼 89a,89b : 일측 및 타측 볼고정홈
89c : 볼안내홈 9 : 연결볼트축
91 : 타측 연결판 92 : 나사부
93 : 조립너트 94 : 캠지지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수도꼭지본체에 장착되는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본체의 조절몸체의 일측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고정클램프의 일단에 연결되어 조절몸체의 타측을 탄력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동클램프로 구성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클램핑수단을 형성하는 고정클램프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동클램프를 탄력적으로 압착하여 클램핑수단을 상기 조절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볼트축을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되는 캠작동간과;
    상기 클램핑수단의 고정클램프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에 체결판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몸체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방각도조절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각도조절구의 고정판에는 체결판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일측에 볼플런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판에는 볼플런저의 볼을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볼고정홈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볼고정홈을 연결하는 볼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물 절수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각도조절구는 고정클램프에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이면 양측에 부착된 상태로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와, 상기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 사이에 삽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 각도조절구와, 상기 일측 및 타측 각도조절구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각도조절구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볼트 및 상기 중간 각도조절구의 일측에 일정각도로 돌출하는 각도조절레버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물 절수장치.
  8. 삭제
KR1020190073491A 2019-06-20 2019-06-20 수도물 절수장치 KR102146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91A KR102146322B1 (ko) 2019-06-20 2019-06-20 수도물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91A KR102146322B1 (ko) 2019-06-20 2019-06-20 수도물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322B1 true KR102146322B1 (ko) 2020-08-21

Family

ID=7223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91A KR102146322B1 (ko) 2019-06-20 2019-06-20 수도물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4288B1 (ja) * 2022-10-25 2023-01-30 迪夫 村田 シングルレバー水栓の節水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79Y1 (ko) 2002-07-03 2002-09-16 백남수 절수기
JP2003184141A (ja) * 2001-12-21 2003-07-03 Yoshio Matsuda レバー水栓節水具
JP2007063859A (ja) * 2005-08-31 2007-03-15 Shigenori Tamura カラン用節水具
JP4466974B1 (ja) * 2009-10-20 2010-05-26 重吉 浅沼 節水機
KR20110056846A (ko) * 2009-11-23 2011-05-31 정한일 호스용 클램프
KR20110005604U (ko) * 2009-11-30 2011-06-08 조주옥 수전용 안전홀더
KR101478608B1 (ko) 2007-10-02 2015-01-06 카즈미 도이우치 절수기구
KR20150145766A (ko) * 2014-06-19 2015-12-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전손잡이 고정시스템
KR20190056096A (ko) * 2017-11-16 2019-05-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비계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141A (ja) * 2001-12-21 2003-07-03 Yoshio Matsuda レバー水栓節水具
KR200289779Y1 (ko) 2002-07-03 2002-09-16 백남수 절수기
JP2007063859A (ja) * 2005-08-31 2007-03-15 Shigenori Tamura カラン用節水具
KR101478608B1 (ko) 2007-10-02 2015-01-06 카즈미 도이우치 절수기구
JP4466974B1 (ja) * 2009-10-20 2010-05-26 重吉 浅沼 節水機
KR20110056846A (ko) * 2009-11-23 2011-05-31 정한일 호스용 클램프
KR20110005604U (ko) * 2009-11-30 2011-06-08 조주옥 수전용 안전홀더
KR20150145766A (ko) * 2014-06-19 2015-12-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전손잡이 고정시스템
KR20190056096A (ko) * 2017-11-16 2019-05-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비계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4288B1 (ja) * 2022-10-25 2023-01-30 迪夫 村田 シングルレバー水栓の節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672B1 (en) Flow dividing device for gardening pipes
US7544906B2 (en) Switch actuation device
US8502095B2 (en) Switch actuation device
US9388558B2 (en) Drai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2146322B1 (ko) 수도물 절수장치
EP2317018A1 (en) A driving construction for driving washbasin, bidet, kitchen sink, bath tub, shower draining systems
CA2114855C (en) Diverter and volume control valve
US9431187B2 (en) Switch actuation device
US5031657A (en) Vandal-proof cover for a faucet
JP2007139057A (ja) 流量調整弁
WO2020169007A1 (zh) 一种带离合结构的排水阀开关及排水阀
MXPA04006701A (es) MANGUERA DE REGADERA QUE COMPRENDE UNA VáLVULA DE DOS VIAS, Y LA VáLVULA DE DOS VIAS PARA UNA MANGUERA DE REGADERA.
KR20130042332A (ko) 풋 밸브 시스템
CN109630702B (zh) 一种节水陶瓷水龙头
US20120266374A1 (en) Flush Valve
JPH09203480A (ja) 水栓におけるクリック機構
CN215806710U (zh) 一种多档位节水水龙头
CN113028128A (zh) 一种阀的按压行程补偿结构
CN104565511A (zh) 一种按压式延时自闭水龙头的调时装置
GB2272746A (en) Dispensing tap
KR200327357Y1 (ko) 절수형 급수전
CN210050321U (zh) 一种机械式延时水龙头
KR20220021662A (ko) 수도물 절수장치
WO2005054732A1 (fr) Soupape des w-c a commande multiple
US20220034417A1 (en) Group for mixing water for bathroom or kit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