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22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229A
KR20220021229A KR1020200101813A KR20200101813A KR20220021229A KR 20220021229 A KR20220021229 A KR 20220021229A KR 1020200101813 A KR1020200101813 A KR 1020200101813A KR 20200101813 A KR20200101813 A KR 20200101813A KR 20220021229 A KR20220021229 A KR 20220021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ule
waveguide
po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섭
권용식
김기보
김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229A/ko
Priority to PCT/KR2021/007908 priority patent/WO2022035046A1/ko
Publication of KR2022002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29A/ko
Priority to US18/109,032 priority patent/US1197780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기를 포함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어 복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영상 신호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복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어 영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셀 또는 서브 픽셀 단위로 동작이 되면서 다양한 색을 표현하는 출력 장치로서, 기술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는 고화질로 향상되어 왔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형화와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기술적 요구가 지속되어 왔다.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및 마이크로 LED 패널(Micro LED panel) 등에 이루기까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발광 다이오드 패널(LED) 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조명 장치용 광원은 물론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제품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위한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양산 수율이 낮고 대형 디스플레이에 하나의 패널로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생산되었다.
그런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개별적으로 전력과 영상 신호를 공급해야 했기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전원 커넥터와 신호 커넥터를 백보드에 연결하는 공정을 거쳐야 했다.
이러한 연결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과정 및 사용에 있어 백보드에 커넥터의 파손이 발생하거나, 백보드를 교체해야 할 상황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모두를 분리하여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기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호 결합하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 영상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기를 포함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어 복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복수의 발광 장치, 일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일 면에 대향되는 타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 중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장치에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출기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호 다른 영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직류 전압(DC bias)과 교류 신호(AC)를 중첩하여 인가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일부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는 각각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신호(AC)의 위상이 상호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이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일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상기 일 면에 대향되는 타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각각 복수 개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매트릭스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송출기를 복수 개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송출기는, 상기 복수의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출기는 상기 영상 신호를 전자기파 방식으로 송출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복수의 발광 장치, 일 측으로부터 전자기파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된 전자기파를 타 측으로 가이드하는 도파관, 상기 도파관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파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센싱하고, 센싱된 전자기파에서 영상 신호를 복원하는 리시버 및 상기 복원된 영상 신호 중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장치에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은, 일 측으로 상기 송출기로부터 전자기파를 전달받아 타 측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타 측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일 측과 연결 가능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은, 일 측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타 측으로부터 전자기파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의 일 측에 배치되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타 측에 삽입 가능한 돌출 부재 및 상기 도파관의 타 측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돌출 부재가 삽입되면 개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돌출 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홈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의 타 측에 배치되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돌출 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도어를 상기 홈 영역으로 이동 시킬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 부재는, 복수 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어에 삽입되면 분리되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상기 도파관의 외벽에 배치되는 금속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금속 프레임을 통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금속 프레임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출기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송출기의 개별 안테나의 송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파관의 일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기술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개시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측면', '좌측', '우측', '상부', '하부', '영역'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개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180)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베이스 모듈(180)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픽셀 또는 서브 픽셀 단위로 동작이 되면서 다양한 색을 표현하는 출력 장치로서, 예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및 마이크로 LED 패널(Micro LED panel) 등에 이루기까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기능에 따라 영상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이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0)은 외부로부터 전력과 영상 신호 등을 공급받고, 이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0)의 형상과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이 결합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대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 모듈(180)의 하면에는 지면에 접하고, 베이스 모듈(180)의 상면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이 결합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을 지지 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0)은 지면에 수직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 모듈(180)의 하면 또는 일 측면이 바닥 내지 벽면에 접하고, 베이스 모듈(180)의 다른 일 측면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이 결합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기(18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출기(185)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영상 신호를 무선 송출 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구동에 필요한 복수의 영상 신호를 포함한 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하여, 신호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혹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다채널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출기(185)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은 도 3a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베이스 모듈(180)은 각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189)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89)는 베이스 모듈(180)이 외부로부터 전력 케이블 등을 통하여 공급받은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로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88)의 전력 공급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결합 하우징에 전력 수용부가 내장되어 베이스 모듈(180)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과의 결합 부위에 커넥터를 포함하여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무선 전력 공급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까지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공급 장치(189)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해야 하는 전력에 따라 안테나의 개수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출기(185)와 무선 전력 공급 장치(189)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적으로 전원 및 영상 공급 케이블과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아도 되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조 공정 및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과 커넥터 파손과 이로 인한 부품 교체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향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에 적용되는 전원 사양이나 영상 신호의 사양이 변경되는 경우, 송출기(185)와 무선 전력 공급 장치(189)의 안테나를 교체하여, 모듈의 교체없이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베이스 모듈(180)에 결합되어 복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영상 신호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결합되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구체적인 구조는 도 2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각각이 개별적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또는 베이스 모듈(180)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영상 신호와 전력을 공급받는 모듈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을 커넥터 등에 의해 연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지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점검이 필요하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및 베이스 모듈(180)을 모두 분리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일부만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점검하고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기술 발전에 따라 발광 장치의 성능이 개선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질이 발전해가고 있기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을 분리하여 발광 장치를 교체할 수 있으며, 혹은 개선된 성능의 디스플레이 장치(1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교체 및 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커넥터의 파손 문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연결 문제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조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단일 규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조하여, 이를 적층할 수 있기에,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단일 규격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10)부터 초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까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조에 있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각각은, 복수의 발광 장치(110), 기판(111), 박막 트랜지스터 층(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 층, 112), 제1 통신부(130), 제2 통신부(135), 컨트롤러(140), 무선 전력 수신 장치(150), 무선 전력 전달 장치(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1)은 글래스 기판, 쿼츠 기판과 같은 투명 기판일 수 있으며, 또는 연성 기판,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1)의 일면에는 TFT 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TFT 층(112)은 복수의 발광 장치(110)에 제공되는 전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 장치(110)의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LED)일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 소자(LED)에 있어서도, μ-LED(micro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발광 장치(110)의 발광 소자로서 μ-LED로 예로 들면, 각 μ-LED는 R 서브 픽셀(Red color sub-pixel), G 서브 픽셀(Green color sub-pixel), B 서브 픽셀(Blue color sub-pixel)을 이룬다. 단일 픽셀(pixel)은 3개의 R, G, 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TFT 층(112)의 각각의 TFT는 서브 픽셀 단위로 형성된다.
각 픽셀 영역은 서브 픽셀 영역과, 각 서브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마이크로 LED는 TFT 층(112)의 픽셀 회로 영역에 전사되며, 각 마이크로 LED의 전극 패드들은 TFT 층(112)에 형성된 전극 패드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장치(110)는 상술한 발광 장치(110)들이 복수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발광 장치(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35)는 제1 통신부(130)가 배치된 일면에 대향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타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부에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30)와 제2 통신부(135)는 베이스 모듈(180)의 송출기(185)와 동일하거나, 이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통신부(130), 제2 통신부(135) 및 송출기(185)는 복수의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개별 구성 들이 구동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1 통신부(130)는 송출기(185)로부터 복수의 영상 신호는 전달받고, 전달받은 복수의 영상 신호를 제2 통신부(135)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제1 통신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신호는 송출기(185)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1 통신부(130)와 제2 통신부(135)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제1 통신부(230)와 제2 통신부(235)까지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타 면에 결합될 제3 디스플레이 모듈(300) 및 그 이후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장치에도 전달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0)은 각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에 개별적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도 베이스 모듈(180)에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복수의 영상 신호를 전달할 수 있기에, 베이스 모듈(180)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송출기(185)가 직접 영상 신호를 이격된 디스플레이 모듈(200)까지 전달하는 경우 이격 거리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므로 송출기(185)의 안테나의 출력을 높여야 하지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각각이 제1 통신부(130, 230)와 제2 통신부(135, 235)를 포함하여 송출기(185)로부터 이격된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영상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에, 송출기(185)의 출력을 최소화 할 있고, 이에 따라 신호 불안정과 신호 간섭, 전력 소비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제1 통신부(130)에서 전달받은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장치(110)에 제공하며, 복수의 발광 장치(110)의 각각의 전원, 휘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가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위치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이 결합됨에 따라 위치 센싱부(미도시)의 저항값과 전류 흐름이 달라져, 이를 통하여 위치 센싱부(미도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결합 상태와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센싱하여 컨트롤러(140)에 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센싱부(미도시)는 광모듈과 광학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이 적층됨에 따라 광모듈의 발광 소자의 갯수, 발광 횟수, 밝기 등이 달라지며, 하부로부터 전달받은 광학 정보와 상부로 전달하는 광학 정보를 달리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 240)는 위치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상태와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제1 통신부(130, 230)로 전달받은 복수의 영상 신호 중에서도 현재 위치에 따라 필요한 영상 신호를 각각의 컨트롤러(140, 240)는 추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컨트롤러(140)는 제1 통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와 동일한 영상 신호가 제2 통신부(135)를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30) 및 제2 통신부(135)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컨트롤러(140)는 제1 통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 중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또한 전달받은 영상 신호가 제2 통신부(135)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출기(185) 또는 제2 통신부(135)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서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응되는 신호를 구별 가능하게 송출하는 방법은 도 3a 내지 3c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각각은 전력 수신 장치 및 전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여, 베이스 모듈(180)의 전력 공급 방식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베이스 모듈(180)의 무선 전력 공급 장치(189)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150, 250)와 무선 전력 전달 장치(155, 25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무선 전력 전달 장치(155)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50)가 배치된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150)는 무선 전력 공급 장치(18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복수의 발광 장치(110), 제1 통신부(130), 제2 통신부(135), 컨트롤러(140)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개별 구성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공급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이 개별적으로 전원 공급 케이블과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아도 되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조 공정 및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과 커넥터 파손과 이로 인한 부품 교체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출기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송출기(185)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호 다른 영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30)와 제2 통신부(135)도 송출기(185)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의 컨트롤러(140, 240) 각각은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추출하여 발광 장치(110)에 제공해야 하기에, 복수의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안테나 배치 구조를 설명한다.
송출기(185)의 안테나는, 복수의 발광 장치(110)의 전원과 휘도 및 컨트롤러(140)의 동작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트렌스미터(Data Transmitter, Data TX)와 데이터를 전달받는 리시버(Data Receiver, Data RX) 및 각각의 채널의 영상신호(Vedio ch.#)를 송출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하나의 안테나 세트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부에 적층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테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송출기(185)는, 베이스 모듈(180)의 상단에 총 4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이 적층된 상황의 실시예로서, 4개의 안테나 세트를 포함하여 총 20개의 안테나가 일렬로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베이스 모듈(180)의 길이는 제한되기에, 베이스 모듈(180)의 상단에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증가함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안테나를 일렬로 배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송출기(18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테나가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며,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안테나와 중첩되어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송출기(185)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테나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며,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안테나와 중첩되어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송출기(185)는 복수의 안테나의 중첩 배치 구조를 통하여, 좌우 방향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만, 송출기(185)의 중첩된 안테나 간에는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에 송출에 제어가 요구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송출기(185)의 개별 안테나의 송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를 참고하면, 개별 안테나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는 송출 간격을 직류 전압(DC bias)과 교류 신호(AC)를 중첩하여 인가하며 제어함으로서, 인접한 중첩된 안테나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는 각각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AC)의 위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인가된 직류 전압 값에 따라 해당 시간에는 원하는 안테나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전송되는 신호는 교류 신호에 해당하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베이스 모듈(180)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과도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중 데이터를 전달하는 트렌스미터(Data TX)와 데이터를 전달받는 리시버(Data RX)가 일부 중첩되어 배치된 경우, Data TX와 Data RX는 서로 반대 위상의 교류 신호(AC)를 중첩하여 인가되어, 시간에 따라 직류 전압(DC bias)이 교번적으로 전달되고, 상호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의 안테나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영상 신호 안테나도 직류 전압(DC bias)과 교류 신호(AC)를 중첩하여 인가하고, 각각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AC)의 위상을 달리하여,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이 직류 전압(DC bias)이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영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인가해야 하는 영상 신호가 많은 경우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영상 신호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동시에 인가되는 안테나(Vidio 0과 Vidio 2 또는 Vidio 1과 Vidio 3)는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하여야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안테나의 방사 성능과 방사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 각각은 직류 전원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이오드 또는 트렌지스터 등의 회로 소자를 포함하여, 안테나의 전기적 경로를 변경해주어 임피던스를 변경시킴으로서, 안테나의 방사 성능과 방사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캡(186)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송출기(185) 또는 제2 통신부(135)는 돔형 캡(186)에 의하여 도포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거리에 따라 에너지가 감소하기에, 무선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상부로 전달하여야 영상 신호 전달에 소모되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동시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돔형 캡(186)은 돔 형상을 가지고 송출기(185) 또는 제2 통신부(135)를 덮어,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돔 상부 방향으로 모아 확산 시킬 수 있다.
돔형 캡(186)은 송출기(185) 전체를 한번에 도포할 수 있으며, 혹은 송출기(185)가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 각각을 개별적으로 도포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을 각각 복수 개로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은 매트릭스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은 상하 방향으로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며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매트릭스 형태로 적층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통신부(130)와 제2 통신부(135)가 배치되는 면을 달리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 각각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로부터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연결되며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매트릭스 형태 내에서 베이스 모듈(180)은 송출기(185)를 복수 개로 포함하며, 복수의 송출기(185)는 복수의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모듈(180)상에 적층되며 동일한 열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은 이에 대응되는 개별적인 송출기(185)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송출기(185)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된 무선 전력 공급 장치(189)로부터 무선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이 모듈형으로 조립되며 무선으로 영상 신호와 전력을 공급받음에 따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400)간의 발광 장치(110)들의 배열을 맞추는 작업에서도, 영상과 전원의 공급이 유지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송출기(185)는 영상 신호를 전자기파 방식으로 송출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각각은, 도파관(120, 220,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파관(120, 220, 320)은 일 측으로부터 전자기파를 전달받고 전달된 전자기파를 타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파관(120, 220, 320)은 송출기(185)에서 송출된 전자기파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며, 목표하는 지점까지 전자기파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전자기파를 포함한 파동은 3차원 공간에서 확산됨에 따라 진폭이 거리의 제곱으로 감소하게 되지만, 도파관(120, 220, 320)을 이용함으로서 1차원 내지 2차원으로 제한하여 파동을 가이드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파관(120)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관으로서, 전자기파가 가이드하는 과정에서 전자기파가 산란되고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파관(120) 내부 경로는 매끄럽고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의 도파관(120, 220, 320)의 타 측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의 도파관(120, 220, 320)의 일 측과 연결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중 베이스 모듈(180)에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은, 베이스 모듈(180)의 송출기(185)로부터 송출된 전자기파를 일 측으로 전달받아, 타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00, 300)의 도파관(220, 3220)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의 타 측에서 가이드된 전자기파를 일 측으로 전달받아, 다시 타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파관(120)을 포함하지 않고 베이스 모듈(180)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에 전자기파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이격 거리에 따라 에너지가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송출기(185)의 출력을 높여야 하며, 좌우측에 목표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도 전자기파가 전달될 수 있기에 별도의 전자기파 차단 경로를 마련해야 하며, 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컨트롤러(140)가 간섭되는 다수의 전자기파 신호 중 필요한 전자기파만을 추출하여 변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파관(120, 220, 320)을 적용함으로서, 송출기(185)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모듈(200, 300)까지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시키며, 좌우 방향의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전자기파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정밀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3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각각은, 기판(111), TFT 층(112), 복수의 발광 장치(110), 도파관(120), 금속 프레임(128), 리시버(129), 컨트롤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129)는 도파관(120)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어, 도파관(120)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센싱하고, 센싱된 전자기파에서 영상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리시버(129)는 복원한 영상 신호를 컨트롤러(140)에 전달할 수 있다.
리시버(129)는 전자기파를 전달받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센싱부는 도파관(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을 수 있으며, 혹은 도파관(120)에 슬릿(124)이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 센싱부는 슬릿(12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복원된 영상 신호 중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복수의 발광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장치(153)는 베이스 모듈(180)의 전력 공급 장치(188)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복수의 발광 장치(110), 리시버(129), 컨트롤러(140)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도파관(120)은 돌출 부재(121), 슬릿(124), 도어(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파관(12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으며, 매끈하고 평평한 내부면을 가질 수 있다. 전자파를 전달받는 도파관(120)의 일 측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타 측에 삽입 가능한 돌출 부재(121)를, 전자기파가 전달되는 도파관(120)의 타 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재(121)는 도파관(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파관(1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릿(124)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며, 도파관(120)의 외부와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슬릿(124)은 전자기파와 같은 파동이 통과하는 좁은 틈으로서, 미세하게 얇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모듈(180)의 송출기(185)에서 송출된 전자기파는 슬릿(124)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의 리시버(129)의 센싱부에 감지되고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베이스 모듈(180)의 송출기(185)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로 전기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도어(125)는 도파관(120)의 끝 단에 배치되어, 도파관(120) 내부 방향으로 접혀 들어가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돌출 부재(221)가 삽입되면 개방되고, 분리되면 닫히는 구조일 수 있다.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단에 적층되지 않은, 즉, 도 7에 도시된 매트릭스 구조에 있어 제3 디스플레이 모듈(300)과 같이, 최상층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어(325)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도파관(320)의 전자기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 와 도 10b를 참고하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의 도어(125) 상단으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도파관(220)의 돌출 부재(2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도파관(220)의 돌출 부재(221)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의 도어(125)를 밀어내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의 상부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도파관(220)의 하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도파관(220)은 베이스 모듈(180)과 결합하지 않아도,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모듈(180)의 송출기(185)로부터 전자기파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돌출 부재(221)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어(125) 내부로 인입되어, 도파관(120, 220) 외부는 결합 후에도 매끄럽고 평평한 면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120)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파관(120)의 일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고하면, 도파관(120)은 제1 핀(122), 제2 핀(123), 슬라이더(126), 홈 영역(1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122)은 도파관(120)의 일 측의 도어 측면 끝에 배치되고 제2 핀(123)은 도파관(120)의 타 측의 돌출 부재(121) 부근에 배치되어, 제1 핀(122)은 다른 도파관(220) 제2 핀(223)과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126)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돌출 부재(221)가 삽입되면 도어(125)를 하단으로 이동킬 수 있다. 상세히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제2 핀(223)과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1 핀(122)이 상호 연결되어, 돌출 부재(221)는 도어(125)를 슬라이더(126)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이동 시키고, 도어(125)는 슬라이더(126) 하단에 형성된 홈 영역(127)에 결합되며 배치될 수 있다.
홈 영역(127)은 도파관(120)의 내측에 배치되고 도어(125)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의 도어(125)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도파관(220)의 돌출 부재(221)가 삽입되면 홈 영역(127)에 결합되어 도파관(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홈 영역(127)은 도어(125)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홈 영역(127)에 도어(125)가 결합됨으로써 도파관(120)의 타 측의 내부는 매끈하고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돌출 부재(221)는 복수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돌출 부재(221)는, 돌출 부재(221)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돌출 부재(121)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4개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돌출 부재(221)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어(125)에 삽입되면, 돌출 부재(221)가 복수 개로 분리되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의 내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도파관(220)이 상호 연결될 때, 연결된 도파관 (120, 220)의 연결 부위는, 도어(125)는 홈 영역(127)에 배치되고, 돌출 부재(121)는 분리되어 도파관(120)의 내부 표면에 결합되어, 연결 부위의 도파관(120) 내부는 매끄럽고 평평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파가 도파관(120) 내부의 연결 부위에서도 평평한 내부 면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베이스 모듈(180)은 결합 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금속 프레임(128, 2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파관(120)의 외벽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마련되거나, 도파관(120)의 외벽이 절연 코팅될 수 있다.
결합 부재(182)에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82)는 송출기(185)와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구조 내부에 송출기(18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182)는 도파관(1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파관(120)의 도어(12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합 부재(182)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돌출 부재(121)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져, 돌출 부재(121)가 삽입되며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부재(182)의 상단으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도파관(120)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도파관(220) 및 제3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도파관(320)이 직선 방향으로 연결되며, 결합 부재(182)를 시작으로 송출된 전자기파는 제3 디스플레이 모듈(300)까지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달될 수 있다.
금속 프레임(128, 228)은 도파관(120, 220)의 외벽에 배치되고, 베이스 모듈(180)의 전력 공급 장치(188) 또는 다른 금속 프레임(128)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다른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력 수신 장치(153)는 전력 공급 장치(188)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공급받은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금속 프레임(128)을 통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200)로 공급하며, 제2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력 수신 장치(253)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금속 프레임(128)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금속 프레임(128)은 단일 도체로 형성되어, 베이스 모듈(18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각각에는 접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금속 프레임(128)은 양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복수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금속 프레임(128)은 베이스 모듈(180)의 결합 부재(182)의 외벽에 배치된 전력 공급 장치(188)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에 개별적으로 전원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아도 베이스 모듈(180)로부터 이격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200, 3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 사이의 도파관(120)의 연결 시 금속 프레임(128)의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200)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200, 300: 디스플레이 모듈 120 : 도파관
130 : 제1 통신부 135 : 제2 통신부
15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55 : 무선 전력 전달 장치
180 : 베이스 모듈

Claims (16)

  1.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기를 포함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에 결합되어 복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복수의 발광 장치;
    일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일 면에 대향되는 타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 중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장치에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기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호 다른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직류 전압(DC bias)과 교류 신호(AC)를 중첩하여 인가받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일부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는 각각에 인가되는 상기 교류 신호(AC)의 위상이 상호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이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일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상기 일 면에 대향되는 타 면에 배치되어 다른 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각각 복수 개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매트릭스 형태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송출기를 복수 개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송출기는,
    상기 복수의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기는 상기 영상 신호를 전자기파 방식으로 송출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복수의 발광 장치;
    일 측으로부터 전자기파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된 전자기파를 타 측으로 가이드하는 도파관;
    상기 도파관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파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센싱하고, 센싱된 전자기파에서 영상 신호를 복원하는 리시버; 및
    상기 복원된 영상 신호 중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장치에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은, 일 측으로 상기 송출기로부터 전자기파를 전달받아 타 측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타 측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일 측과 연결 가능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은, 일 측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타 측으로부터 전자기파를 전달받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의 일 측에 배치되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타 측에 삽입 가능한 돌출 부재 및
    상기 도파관의 타 측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돌출 부재가 삽입되면 개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돌출 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홈 영역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도파관의 타 측에 배치되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돌출 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도어를 상기 홈 영역으로 이동 시킬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복수 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어에 삽입되면 분리되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도파관의 타 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상기 도파관의 외벽에 배치되는 금속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금속 프레임을 통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 공급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금속 프레임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01813A 2020-08-13 2020-08-13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21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813A KR20220021229A (ko) 2020-08-13 2020-08-13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1/007908 WO2022035046A1 (ko) 2020-08-13 2021-06-23 디스플레이 장치
US18/109,032 US11977808B2 (en) 2020-08-13 2023-02-1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813A KR20220021229A (ko) 2020-08-13 2020-08-1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29A true KR20220021229A (ko) 2022-02-22

Family

ID=8024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813A KR20220021229A (ko) 2020-08-13 2020-08-1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77808B2 (ko)
KR (1) KR20220021229A (ko)
WO (1) WO20220350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0900B2 (ja) 2002-06-28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8238087B2 (en) 2010-01-06 2012-08-07 Apple Inc. Display module
KR101209449B1 (ko) 2011-04-29 2012-12-07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884839B2 (en) * 2012-01-09 2014-11-11 Greenwave Scientific, Inc. Amplified television antenna
KR101955331B1 (ko) * 2012-12-07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배선과 전기배선을 이용한 신호전달방식을 갖는 디스플레이
US9400627B2 (en) 2012-12-07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including signal transmission scheme using optical interconnection and electrical interconnection
KR101454283B1 (ko) 2014-05-08 2014-10-27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무선 데이터 전송 기반의 엘이디 전광판
EP3158583B1 (en) 2014-06-18 2022-01-26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Micro assembled led displays
TW201604770A (zh) * 2014-07-22 2016-02-01 建碁股份有限公司 顯示設備及顯示設備的控制方法
KR20160054249A (ko) * 2014-11-06 201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US10607571B2 (en) * 2017-08-14 2020-03-31 Thomas Frederick Utsch Method and system for the distribution of synchronized video to an array of randomly positioned display devices acting as one aggregated display device
US11150857B2 (en) * 2017-02-08 2021-10-19 Immersive Robotics Pty Ltd Antenna control for mobile device communication
FR3069378B1 (fr) 2017-07-21 2019-08-23 Aledia Dispositif optoelectronique
KR102336997B1 (ko) * 2017-08-16 2021-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06531B1 (ko) 2018-07-02 202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2805B1 (ko) 2018-07-04 2023-05-16 주식회사 루멘스 마이크로 엘이디 디스플레이 모듈
KR102545072B1 (ko) * 2018-07-19 202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65690B1 (ko) * 2018-07-26 2023-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47862A (ko) * 2018-10-25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타일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00225903A1 (en) * 2019-01-10 2020-07-16 Noy Cohen Modular display system
KR102617820B1 (ko) * 2019-01-14 2023-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월
CN111835097B (zh) * 2019-04-22 2022-0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无线充电设备及无线受电设备
DE102019123893A1 (de) * 2019-09-05 2021-03-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nzeigemodul, bildschir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zeigemoduls
KR102266972B1 (ko) * 2019-10-14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94353B1 (ko) 2019-11-11 2021-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
US11373016B2 (en) * 2020-04-30 2022-06-28 Flytech Technology Co., Ltd. Interactive information system with modula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7808B2 (en) 2024-05-07
WO2022035046A1 (ko) 2022-02-17
US20230195402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0279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930231B2 (en) Display module includ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KR10235200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10090361B2 (en) Edge-to-edge mobile terminal
CN111381712A (zh) 具有集成天线的显示设备
CN105191161A (zh) 便携式电子设备中的数据传输
CN104090680A (zh) 一种触控面板及其驱动方法和电子设备
US20120182406A1 (en) Multi View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EP4033478A1 (en) Rotating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CN106792287A (zh) 扬声器模块及其电子设备以及包含该电子设备的显示设备
EP3321922A2 (en) Display apparatus
CN110033701A (zh) 显示设备
KR1025355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212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8283A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CN103248425A (zh) 传送方法和传送系统
EP4057264A1 (en) Rotating type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9341885B2 (en) Dual-view display system comprising a first and second electro-holographic optical element
CN204302632U (zh) 液晶光栅及拼接屏
CN103676372A (zh) 显示面板以及包括其的显示装置
US20120050339A1 (en) Dynamic LED Driving Current Compensation for Cross-Panel Backlight Illumination Uniformity
US2014035510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converter therefor
US20230154388A1 (en) Pov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3008889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20415219A1 (en) Rotating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