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690B1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690B1
KR102565690B1 KR1020180087407A KR20180087407A KR102565690B1 KR 102565690 B1 KR102565690 B1 KR 102565690B1 KR 1020180087407 A KR1020180087407 A KR 1020180087407A KR 20180087407 A KR20180087407 A KR 20180087407A KR 102565690 B1 KR102565690 B1 KR 10256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abinets
defective
information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289A (ko
Inventor
오상훈
강두성
김영국
이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690B1/ko
Priority to US17/256,827 priority patent/US11481175B2/en
Priority to EP19841696.8A priority patent/EP3786933A4/en
Priority to PCT/KR2019/008011 priority patent/WO2020022662A1/ko
Publication of KR2020001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0Dealing with defective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제공된다. 본 전자 장치는 통신부, 및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각 캐비닛에서 검출된 불량 화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캐비닛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각각 복수의 LEDs로 구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불량 화소를 검출하고, 불량 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별 LED 소자들의 불량으로 인한 불량 화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복수 개의 개별 소자들이 하나의 집합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불량 화소가 검출되면 그 개수만이 문제되었으며, 불량 화소의 위치까지 고려될 필요가 없었다.
한편, 최근에는 복수의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모듈형 LED 디스플레이 장치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모듈형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단위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불량 화소의 위치를 고려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검출된 불량 화소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불량 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부 및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각 캐비닛에서 검출된 불량 화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서 상기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각각 복수의 LEDs로 구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캐비닛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한 불량 화소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다른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한 불량 화소 및 상기 다른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불량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불량 화소가 포함된 복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불량 영역이 포함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불량 영역이 포함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다른 캐비닛과 교체가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 및 상기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캐비닛의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한 시간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특정한 시간마다 측정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각 캐비닛에서 검출된 불량 화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서 상기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각각 복수의 LEDs로 구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캐비닛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화면에서 상기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한 불량 화소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다른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한 불량 화소 및 상기 다른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불량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불량 화소가 포함된 복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불량 영역이 포함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불량 영역이 포함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다른 캐비닛과 교체가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 및 상기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캐비닛의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시간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특정한 시간마다 측정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검출한 불량 화소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시인 가능성이 높은 불량 화소 영역을 식별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불량 화소가 발생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과 교체하거나 그 위치를 이동하여 불량 화소의 시인성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불량 화소의 좌표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량 영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LEDs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불량 화소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불량 화소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불량 화소는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 중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화소를 의미한다.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는 복수의 LEDs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불량 화소는 불량이 발생된 LED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서 불량 화소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화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LEDs 중 불량이 발생한 LED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불량 화소가 발생된 경우, 전체 화면 대비 하나의 불량 화소의 크기는 매우 작다는 점에서, 불량 화소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으나, 불량 화소가 서로 인접하여 군집을 형성하는 경우, 불량 화소가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걸쳐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캐비닛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캐비닛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거나, 또는 복수의 캐비닛이 상호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불량 화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인접하여 발생하면서 불량 화소 군집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불량 화소 군집은 하나의 캐비닛 내에서 형성되거나, 복수의 캐비닛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불량 화소가 서로 인접하여 군집을 형성하게 되면, 불량 화소가 시인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불량 화소가 서로 인접하여 군집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불량 화소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캐비닛을 새로 교체하여 불량 화소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서로 인접하는 불량 화소가 복수의 캐비닛에서 발생하여 불량 화소 군집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캐비닛의 위치를 재배열하여 불량 화소 군집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 화소가 발생한 캐비닛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다른 캐비닛간에 서로 위치를 바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불량 화소 군집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불량 화소 군집이 분산되어 불량 화소가 서로 인접하지 않게 되는 경우, 불량 화소는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캐비닛(201, 202, 203,…, n)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캐비닛(201)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01-1, 201-2,…, 201-m)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는 복수의 캐비닛(201, 202, 203,…,n)에 서로 다른 번호를 부여하였으나, 복수의 캐비닛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의 캐비닛에 관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캐비닛(20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캐비닛(201)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01-1,…,201-m) 각각을 장착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201-1,…201-m)이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는 다른 캐비닛(202)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201)은 상하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다른 캐비닛(202, 207)과 결합되고, 다른 캐비닛(202)은 또 다시 상하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다른 캐비닛(203)과 결합되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가로 6개, 세로 3개의 캐비닛이 결합되어, 6x3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캐비닛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캐비닛 각각(201, 202, …, n)은 캐비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영상을 분할하여 각 캐비닛에 분할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캐비닛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분할 영상이 캐비닛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캐비닛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211-1,…211-6)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211-1,…211-6)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분할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01-1,…,201-m, 202-1,….,202-m,…,n-1,…,n-m) 각각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01-1,…,201-m,…,n-1,…,n-m) 각각은 서브 화소인 레드 LED (R), 그린 LED (G) 및 블루 LED (B)를 하나의 화소로 구현한 LED(121)를 복수 개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LEDs로 구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화소는 매트리스 형태(예를 들어, X x Y, 여기서 X, Y는 자연수)로 배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트릭스는 동일 배열(예를 들어, X = Y, 여기서 X, Y는 자연수)형태가 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배열(예를 들어, X ≠ Y, 여기서 X, Y는 자연수)형태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LED는 마이크로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LED는 약 5 ~ 100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LED로써, 컬러 필터 없이 스스로 빛을 내는 초소형 발광 소자를 의미한다.
다만, 이와 같은 LED 디스플레이 모듈은 일 실시 예일 뿐, 디스플레이 모듈은 OLED(organic LED), AMOLED(active-matrix OLE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LED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LED를 구동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한 영상 신호를 각 캐비닛(201, 202, …, n)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1-1,…, 201-m,…, n-1,…, n-m)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분할된 영상 신호를 각 캐비닛 (201, 202, …, n)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1-1,…, 201-m,…, n-1,…, n-m)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영상 신호는 전체 화면을 각 캐비닛(201, 202, …, n)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1-1,…, 201-m,…, n-1,…, n-m)의 개수만큼 분할한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일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가로 6개, 세로 3개로 배열된 총 18개의 캐비닛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가로 6개, 세로 3개로 나눠 총 18개의 화면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할된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캐비닛(201, 202, …, n)에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다. 가령, 전체 화면의 왼쪽 상단에 대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왼쪽 상단의 캐비닛에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캐비닛(201, 202, …, n)은 수신한 영상 신호를 분할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분할된 영상 신호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예이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수만큼 수신한 영상 신호를 분할하여, 분할된 영상 신호 각각을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영상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모듈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수신한 영상 신호에 대응되도록 LED를 구동(예를 들어, 온(On), 오프(Off) 또는 점멸(Flickering) 등)시키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LED가 영상 신호에 따라 구동되지 않는 경우, 영상 신호에 따라 구동 되지 않은 LED에 대응되는 화면에 불량 화소가 발생하게 된다.
불량 화소가 발생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불량 화소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캐비닛 중에서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캐비닛(211)이 불량 화소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불량 화소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불량 화소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불량 화소에 관한 정보에는,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캐비닛 정보, 불량LE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는 캐비닛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는 불량 화소가 발생한 캐비닛에서의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불량 화소의 위치를 좌표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화소 중 불량 화소에 대한 좌표 정보일 수도 있다.
불량 화소의 시간 정보는, 불량 화소가 발생한 시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이며, 불량 화소의 시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불량 화소를 감지한 시간일 수도 있다.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캐비닛 정보는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캐비닛의 식별 정보, 전체 화면에서의 캐비닛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불량 LED 정보는 불량 화소에 대응하는 레드 LED (R), 그린 LED (G) 및 블루 LED (B) 중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불량 화소가 발생하게 된 LE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불량 화소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불량 화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캐비닛에 대응되는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의 위치를 식별하고, 불량 화소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 전자 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복수의 캐비닛(201, 202, …, n)으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발생한 불량 화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구현 방식 등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유선통신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며, 접속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복수의 캐비닛(201, 202, …, n)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유선 이더넷(Ethernet),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란 블루투스(Bluetooth, BT),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5세대 네트워크(5G Networks)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이 등장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종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를 들면, 임베디드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복수의 캐비닛(201, 202, …, n)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각 캐비닛에서 검출된 불량 화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불량 화소의 좌표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면에서 불량 화소(210)는 불량 화소(210)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LED를 검게 표시하여 나타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캐비닛(201, 202, …, n)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캐비닛에 포함된 불량 화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불량 화소(210)의 위치 정보에는 각 캐비닛(201, 202, …, n)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불량 화소(210)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불량 화소(210)의 좌표 정보는 불량 화소(210)를 포함하는 캐비닛(203)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하나의 화소를 기준 화소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203)은 복수의 화소 중 임의의 한 화소를 선택하여 이를 기준 화소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준 화소의 좌표 값은 (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불량 화소가 기준 화소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 캐비닛(203)은 기준 화소의 x 좌표값(0)에서 불량 화소가 기준 화소로부터 오른쪽으로 떨어진 거리만큼 증가시켜 불량 화소의 x 좌표 값을 구할 수 있다.
불량 화소가 기준 화소의 왼쪽에 위치하는 경우, 캐비닛(203)은 기준 화소의 x 좌표값(0)에서 불량 화소가 기준 화소로부터 왼쪽으로 떨어진 거리만큼 감소시켜 불량 화소의 x 좌표 값을 구할 수 있다.
불량 화소가 기준 화소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 캐비닛(203-1)은 기준 화소의 y 좌표값(0)에서 불량 화소가 기준 화소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진 거리만큼 증가시켜 불량 화소의 y 좌표 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불량 화소가 기준 화소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 캐비닛(203-1)은 기준 화소의 y 좌표값(0)에서 불량 화소가 기준 화소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 거리만큼 감소시켜 불량 화소의 y 좌표 값을 구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거리는 픽셀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03)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03-1, 203-2,…,203-m)은 각각 13x8 의 픽셀들로 구성되어 있고, 캐비닛(203)의 좌측 상단의 화소(213)가 기준 화소가 된다고 가정한다.
캐비닛(203)은 기준 화소(213)의 좌표값을 (0,0)으로 설정하고, 불량 화소(210)는 기준 화소(213)로부터 오른쪽으로 26픽셀 떨어진 위치에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불량 화소(210)의 좌표를 (26,0)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기준 화소의 위치에 따라 불량 화소의 좌표 값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기준 화소가 캐비닛의 제일 좌측 하단의 화소인 경우, 불량 화소(210)의 좌표는 (26, 24)이 된다.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도록 하기 위하여, 캐비닛(203)이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불량 화소(200)의 좌표 정보에는 불량 화소(200)의 좌표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기준 화소(213)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캐비닛(203)으로부터 캐비닛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캐비닛의 식별 정보는 캐비닛의 ID, 캐비닛의 위치 정보 등 복수의 캐비닛(201,202,203,204)을 포함하는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가 발행한 캐비닛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프로세서(120)는 캐비닛(203)으로부터 수신한 캐비닛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 화소가 발생한 캐비닛의 위치 및 복수의 캐비닛(201,202,203,204)을 포함하는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캐비닛(201,202,203,204) 각각의 ID 정보, 전체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 등은 전자 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1캐비닛(201)은 디스플레이의 좌측상단에 놓여져 있고, 제1 캐비닛의 오른쪽으로는 제2 캐비닛(202)이 놓여지며, 제3 캐비닛(203)은 제1 캐비닛에 아래쪽에 놓여지고, 제4 캐비닛(214)는 제3 캐비닛(203)의 오른쪽 또는 제2 캐비닛(202)의 아래쪽에 놓여져 있다는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불량 화소(210)를 포함하는 캐비닛(203)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210)를 포함하는 캐비닛(203)의 위치를 식별한 후, 전체 화면에서 캐비닛(203)의 위치를 기초로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210)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캐비닛(201,202,203,214) 중 임의의 한 캐비닛을 기준 캐비닛으로 정하고, 복수의 캐비닛(201,202,203,214) 각각에 포함되는 화소 중 임의의 화소(211,212,213,214)를 기준 화소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캐비닛 및 기준 화소는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210)의 좌표를 식별하는데 기준이 되는 캐비닛 및 각 캐비닛에서의 화소를 의미한다.
복수의 캐비닛(201,202,203,214) 각각에 포함되는 기준 화소(211,212,213,214)는 각 캐비닛(201,202,203,204)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화소일 수 있다. 가령, 제1 캐비닛(201)의 가장 왼쪽 상단의 화소(211)가 기준 화소로 설정된 경우, 제2,3 및 4 캐비닛(202,203,204)의 가장 왼쪽 상단의 화소(212,213,214)가 제2,3, 및 4 캐비닛의 기준 화소로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불량 화소(210)를 포함하는 제3 캐비닛(203)이 제1캐비닛(201)의 바로 아래에 연결되어 있다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화면에서 제3 캐비닛(203)의 기준 화소(213)의 좌표 값(0, -25)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캐비닛(203)으로부터 수신한 불량 화소 정보(200)를 기초로 하여,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화소(200)의 좌표 값(26, -25)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제3 캐비닛(203)에서 화소(213)을 기준 화소로 하였을 때 불량화소(200)의 좌표 값은 (26,0)이었으나, 전체 화면에서 화소(201)을 기준 화소로 할 경우, 불량 화소(210)의 좌표 값은 (26,-25)가 된다.
다만, 상술한 프로세서(120)가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의 좌표 값을 식별하는 방법은 일 실시 예 일 뿐이며, 프로세서(120)는 다른 방법으로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의 좌표 값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복수의 캐비닛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하나의 불량 화소가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불량 화소가 발생한 경우에도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 각각의 좌표 정보는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식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불량 화소 위치의 주변에 다른 불량 화소가 존재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전체 화면에서 복수의 불량 화소가 포함된 불량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불량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량 영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복수의 캐비닛(201,202,203,204)에 존재하는 복수의 불량 화소(210, 251,…, 258)가 도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캐비닛(201,202,203,204) 각각으로부터 캐비닛에 포함된 불량 화소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불량 화소의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 화소의 전체 화면에서 위치를 식별하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불량 영역은 복수의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불량 화소 군집으로, 사용자가 시인 가능한 불량 화소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식별된 불량 화소(210, 251,…, 258)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불량 화소(210)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다른 불량 화소(251,…,257)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 불량 화소(210) 및 다른 불량 화소(251,…,257)를 포함하는 영역을 불량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불량 화소 간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하여, 유클리드 거리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불량 화소 A의 좌표가 (XA, YA)이고, 불량 화소 B의 좌표가 (XB,YB) 인 경우, 불량 화소 A 와 불량 화소 B 간의 거리 D는 아래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D =
불량 화소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특정 불량 화소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다른 복수의 불량 화소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프로세서(120)는 특정 불량 화소(210) 및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다른 복수의 불량 화소(251,…,257)를 불량 영역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설정된 거리 및 기설정된 개수는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는 불량 화소 군집의 최소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리는 화소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기설정된 거리를 3으로 하고, 기설정된 개수는 5개라고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불량 화소 각각에 대하여 거리가 3 이내에 존재하는 다른 불량 화소의 개수가 5개 이상인지 계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 예의 경우, 기설정된 거리를 3으로 하고, 기설정된 개수는 5개라고 설정된 경우, 불량 화소(210)으로부터 거리가 3이내에 존재하는 불량 화소(251, 252, 253, 254, 255, 256)의 개수가 5개 이상이므로, 프로세서(120)는 불량 화소(210, 251, 252, 253, 254, 255, 256)를 포함하는 영역을 불량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불량 영역을 식별한 후, 식별된 불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불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불량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불량 화소(210, 251, 252, 253, 254, 255, 256)의 좌표 정보, 불량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캐비닛(201, 203, 204) 정보, 전체 화면에서 불량 영역의 위치를 나타낸 이미지 정보, 교환되어야 하는 캐비닛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교환되어야 하는 캐비닛 정보는 복수의 불량 화소(210, 251, 252, 253, 254, 255, 256)를 포함하는 불량 영역을 분산 시켜 불량 영역에 대한 시인성을 낮추기 위하여 위치가 교환될 필요가 있는 캐비닛의 정보를 의미하며, 캐비닛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캐비닛 중 식별된 불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불량 화소(210, 251, 252, 253, 254, 255, 256)를 포함하는 캐비닛(201,203,204)을 식별하고, 식별된 캐비닛(201,203,204)에 기초하여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불량 영역이 포함된 복수의 캐비닛(201,203,204)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캐비닛(201,203,204)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캐비닛의 식별 정보, 전체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불량 영역이 포함된 캐비닛 중 다른 캐비닛과 교체가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203)을 식별하고, 식별된 캐비닛 및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중 식별된 캐비닛의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불량 영역이 포함된 캐비닛 중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은 불량 영역 판단의 기준이 된 불량 화소(210)를 포함하는 캐비닛이 될 수 있다.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의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을 식별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20)는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다른 캐비닛(201, 202, 204) 각각과 서로 교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 화면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이 교환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의 위치가 다른 캐비닛(201, 202, 204) 각각의 위치와 교환된다고 가정하여,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이 다른 캐비닛(201, 202, 204)과 교환되는 각각의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예측된 전체 화면을 이용하여,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이 다른 캐비닛(201,202,204)과 교체된 경우, 전체 화면에서 시인 가능한 불량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가령, 도 5에서 프로세서(120)는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과 캐비닛(201)이 교환되었다고 가정하고,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을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된 전체 화면을 이용하여, 캐비닛(203)과 캐비닛(201)이 교환된 후에도 불량 화소(258)을 기준으로 불량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20)는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과 캐비닛(202,204)이 각각 교환된 경우를 가정하고, 각각의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을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된 전체 화면을 이용하여, 캐비닛(203)과 캐비닛(202)이 교환된 경우 및 캐비닛(203)과 캐비닛(204)가 교환된 경우에는 불량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캐비닛(202, 204)의 우측에 캐비닛이 더 결합된 경우, 캐비닛(203)이 교환된 후의 전체 화면은 캐비닛(202,204)의 우측에 결합된 캐비닛을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203)이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204)과 교체된 경우, 캐비닛(203)은 전체 화면의 우측 하단에 존재하게 되고, 캐비닛(204)은 전체 화면의 좌측 하단에 존재하게 된다.
캐비닛(203) 및 캐비닛(204)의 위치가 교환된 후, 프로세서(120)는 캐비닛(203)의 위치 정보 및 캐비닛(204)의 위치 정보를 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캐비닛(203)의 식별 정보, 전체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 등은 캐비닛(204) 식별 정보, 전체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 등으로 변경되고, 캐비닛(204의 식별 정보, 전체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 등은 캐비닛(203)의 식별 정보, 전체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불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외부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a 및 도 6b는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외부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서(120)는 식별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식별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 영역이 발생한 캐비닛에 관한 정보를 나타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이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불량 영역이 발생한 캐비닛에 관한 정보뿐 만 아니라,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의 정보,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의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전체 화면에서 불량 영역이 발생한 캐비닛에 포함되는 복수의 LED가 주기적으로 ON/OFF 되도록 하고, 불량 영역이 발생한 캐비닛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주기적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불량 영역이 존재하는 캐비닛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외부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도 6b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외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외부 장치(30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외부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 화면 및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장치(3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관리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3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존재하는 불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불량 영역이 발생한 캐비닛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정보, 교체가 요구되는 캐비닛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보,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보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 화면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3 캐비닛의 제2 모듈과 제3 캐비닛의 제5 모듈을 교체하라는 메시지 및 제4 캐비닛의 제1 모듈과 제4 캐비닛의 제6 모듈을 교체하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부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캐비닛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300)는 캐비닛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교체가 필요한 캐비닛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여, 외부 장치(300)의 사용자가 교체가 필요한 캐비닛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교체가 필요한 모듈 정보가 아닌 캐비닛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디스플레이 모듈 단위로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캐비닛 단위로 교체가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3 캐비닛과 제4 캐비닛을 교체하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제3 캐비닛과 제4 캐비닛의 색상이 다른 캐비닛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내용 중 도 1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특정한 시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및 특정한 시간마다 측정된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외부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복수의 캐비닛이 위치한 장소의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는 불량 화소에 관한 정보 중 불량 화소가 발생한 시간 정보 또는 불량 화소가 감지된 시간 정보를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는 불량 화소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 화소가 발생된 시간에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불량 화소에 관한 시간 정보가 오전 5시 30분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에 오전 5시 30분의 환경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는 오전 5시 30분에 복수의 캐비닛이 위치한 장소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와 함께 이에 대응되는 주변 환경 정보를 외부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달리,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400)에 불량 화소가 발생한 시간 정보 또는 불량 화소가 감지된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400)가 수신된 불량 화소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 화소가 발생된 시간에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 대신 외부 장치(400)가 불량 화소가 발생된 시간에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400)는 수신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400)는 저장된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하여, 불량 화소가 발생되는 원인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부 장치(400)는 특정 주기마다 전자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불량 화소가 발생되는 원인을 식별할 수 있다.
불량 화소의 발생 원인을 식별한 후, 외부 장치(400)는 복수의 캐비닛이 식별된 불량 화소의 발생 원인과 유사한 환경에 놓여지는 경우, 복수의 캐비닛에 메시지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400)는 불량 화소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환경을 식별하여, 이에 대한 메시지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관리자의 단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불량 화소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화면의 품질을 장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400)가 별도의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4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 및 외부 장치(40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제1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제2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는 각각 도3에서의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와 동일한바, 이에 대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20)는 외부 장치(400)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및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특정 주기마다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외부 장치(400)로부터 불량 화소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는 불량 화소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불량 화소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때 전자 장치(10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400) 또는 다른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통신부(130)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2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400)에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40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130)는 다른 외부 장치(400)로부터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2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 이더넷(Ethernet)과 같이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200 내지 700) 및 음성 인식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란 블루투스(Bluetooth, BT),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200 내지 5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200 내지 500) 및 음성 인식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5세대 네트워크(5G Networks)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각 캐비닛에서 검출된 불량 화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910).
여기에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는, 각 캐비닛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그 후,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한다(S920).
이때,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화면에서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영역을 식별한다(S930).
이때,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한 불량 화소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다른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한 불량 화소 및 다른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영역을 불량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940).
이때, 식별된 불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불량 화소가 포함된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 영역이 포함된 캐비닛 중 다른 캐비닛과 교체가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식별된 캐비닛 및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중 식별된 캐비닛의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200: 디스플레이 장치
300: 외부 장치 400: 외부 장치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캐비닛 중 기 설정된 하나의 캐비닛을 기준 캐비닛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되는 화소 중 하나의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각 캐비닛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각 캐비닛의 기준 화소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각 캐비닛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기준 캐비닛 및 각각의 불량 화소의 상기 각 캐비닛 내에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서 상기 각각의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복수의 불량 화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복수의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의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배치 형태를 변경할 것을 제안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각각 복수의 LEDs로 구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되는 기준 화소는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서 동일한 위치의 화소인,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캐비닛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화면에서 상기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한 불량 화소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다른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한 불량 화소 및 상기 다른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불량 영역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불량 화소가 포함된 복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불량 영역이 포함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불량 영역이 포함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다른 캐비닛과 교체가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 및 상기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캐비닛의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한 시간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특정한 시간마다 측정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캐비닛 중 기 설정된 하나의 캐비닛을 기준 캐비닛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되는 화소 중 하나의 화소를 기준 화소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각 캐비닛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각 캐비닛의 기준 화소에 기초하여 식별된 상기 각 캐비닛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캐비닛 및 각각의 불량 화소의 상기 각 캐비닛 내에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비닛으로 구성되는 전체 화면에서 상기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영역의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배치 형태를 변경할 것을 제안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각각 복수의 LEDs로 구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 포함되는 기준 화소는 상기 복수의 캐비닛 각각에서 동일한 위치의 화소인,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캐비닛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화면에서 상기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면에서의 불량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한 불량 화소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다른 불량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한 불량 화소 및 상기 다른 불량 화소를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불량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불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불량 화소가 포함된 복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불량 영역이 포함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불량 영역이 포함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 중 다른 캐비닛과 교체가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캐비닛 및 상기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캐비닛 중 상기 식별된 캐비닛의 교체 대상이 되는 캐비닛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특정한 시간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불량 화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특정한 시간마다 측정된 상기 복수의 캐비닛의 주변 환경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80087407A 2018-07-26 2018-07-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07A KR102565690B1 (ko) 2018-07-26 2018-07-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256,827 US11481175B2 (en) 2018-07-26 2019-07-02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 defective pixel of a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9841696.8A EP3786933A4 (en) 2018-07-26 2019-07-02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PROCESS
PCT/KR2019/008011 WO2020022662A1 (ko) 2018-07-26 2019-07-02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07A KR102565690B1 (ko) 2018-07-26 2018-07-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89A KR20200012289A (ko) 2020-02-05
KR102565690B1 true KR102565690B1 (ko) 2023-08-10

Family

ID=6918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407A KR102565690B1 (ko) 2018-07-26 2018-07-26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81175B2 (ko)
EP (1) EP3786933A4 (ko)
KR (1) KR102565690B1 (ko)
WO (1) WO2020022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229A (ko) * 2020-08-13 202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16385B2 (en) 2022-01-07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4937432B (zh) * 2022-04-21 2023-02-14 深圳市灵星雨科技开发有限公司 Led显示屏自动智能参数设置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4933A1 (en) * 2013-12-03 2015-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mpensating for defective pixel of display
US20150187238A1 (en) * 2013-12-31 2015-07-02 Ultravision Holdings, Llc Modular Display Panel
US20160078800A1 (en) * 2014-09-17 2016-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display apparatus and led pixel error detection method thereof
US20170154557A1 (en) * 2015-11-30 2017-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9138B2 (en) 2004-02-24 2006-02-14 Eastman Kodak Company Tiled display comprising faceplate and displays with at least one defective pix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tiled display
US7129652B2 (en) 2004-03-26 2006-10-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plurality of loads
EP2048642A1 (en) * 2007-10-10 2009-04-15 Barco NV Reducing visibility of display errors
US8766880B2 (en) 2007-12-11 2014-07-01 Adti Media, Llc140 Enum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LED display
WO2010022350A2 (en) 2008-08-21 2010-02-25 Asic Advantage Inc. Light emitting diode fault monitoring
KR101113910B1 (ko) 2009-10-01 2012-02-29 주식회사 에버아이티 엘이디전광판의 엘이디화소 검사장치
US8963430B2 (en) 2011-04-21 2015-02-24 Microchip Technology Inc. Circuit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LED string operation
KR20130039218A (ko) 2011-10-11 2013-04-19 강일중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US9207904B2 (en) * 2013-12-31 2015-12-08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Multi-panel display with hot swappable display panels and methods of servicing thereof
KR102543039B1 (ko) 2016-07-29 2023-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암점 처리방법
KR101922850B1 (ko) * 2016-11-11 2018-11-29 주식회사 로스텍 Led 전광판 제어 방법,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led 전광판 콘트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4933A1 (en) * 2013-12-03 2015-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mpensating for defective pixel of display
US20150187238A1 (en) * 2013-12-31 2015-07-02 Ultravision Holdings, Llc Modular Display Panel
US20160078800A1 (en) * 2014-09-17 2016-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display apparatus and led pixel error detection method thereof
US20170154557A1 (en) * 2015-11-30 2017-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89A (ko) 2020-02-05
WO2020022662A1 (ko) 2020-01-30
US11481175B2 (en) 2022-10-25
EP3786933A4 (en) 2021-08-11
US20210366331A1 (en) 2021-11-25
EP3786933A1 (en)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690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6957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90384560A1 (en)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10242142A1 (en) Multiple display chrominance and luminance method and apparatus
US20150205565A1 (en) Multi-scre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10564913B2 (en) Display device of multi-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23071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comprising electronic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CN110609668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该电子设备的方法
JP2014194525A (ja) 画像表示装置、画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990341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8022552B (zh) 发光二极管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9959820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20023462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612789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setting ID thereof
US1148851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CN112602147A (zh) 显示装置、控制显示装置的方法及其记录介质
US20170262249A1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out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5497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54395B2 (en)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2634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inventory in a storage space
JP5440722B1 (ja) 画像処理装置
JP2017125952A (ja) ディスプレイ位置決定装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ディスプレイ位置決定方法
WO2023069104A1 (en) Color processing contr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