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218A -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218A
KR20130039218A KR1020110103736A KR20110103736A KR20130039218A KR 20130039218 A KR20130039218 A KR 20130039218A KR 1020110103736 A KR1020110103736 A KR 1020110103736A KR 20110103736 A KR20110103736 A KR 20110103736A KR 20130039218 A KR20130039218 A KR 20130039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vision
panel
protectiv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중
Original Assignee
강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일중 filed Critical 강일중
Priority to KR102011010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9218A/ko
Publication of KR2013003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측의 경계면(절단면)들이 밀착 배치되어 하나의 멀티 비전 패널을 형성하는 다수의 표시 패널부와,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의 상측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 기판과,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의 하측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 기판과,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을 상기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에 접착 고정시키는 상부 및 하부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MULITI VISION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 전계 발광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을 이용하여 제작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에 대한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평판 표시장치의 적용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평판 표시장치를 이용한 초대면적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하나의 평판 표시패널로 100인치 이상의 초대면적의 화면을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복수의 평판 표시패널을 이용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표시패널들을 연이어 배치하여 대면적의 화면을 구현한 표시장치이다. 이와 같은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는 각 단위 표시패널에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화면을 각 단위 표시패널에 분할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한 방식으로써, 근래에는 복수의 표시패널들을 접합하여 대면적의 화면을 구현한 타일드 방식의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타일드 방식의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의 경우, 각각의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존재하는 비 표시 영역(베젤 영역)으로 인해 경계면에서의 이질감이 생겨 단일 디스플레이와는 큰 품질적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09-105265호에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이용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른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의 경우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비 표시 영역 간이 중첩되도록 배치하여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패널들간의 단차로 인해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기울어저 보이게 되고, 단차 부분의 공간에 이물질이 쉽게 침투하여 시인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단차로 인해 외부의 작은 압력에도 패널이 쉽게 깨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그 품질적 한계를 여전히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패널이 픽셀 간격보다 작은 베젤 영역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패널 간의 픽셀이 일치되도록 정렬시켜 인접한 패널간의 경계면에서 육안으로 이질감을 식별하기 힘들 정도로 품질이 향상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표시 패널의 불량 개선을 통해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측의 경계면(절단면)들이 밀착 배치되어 하나의 멀티 비전 패널을 형성하는 다수의 표시 패널부와,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의 상측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 기판과,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의 하측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 기판과,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을 상기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에 접착 고정시키는 상부 및 하부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제작되고, 장변 영역의 베젤의 사이즈가 픽셀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표시 패널부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패널부의 단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패널부의 표시 영역에는 유기 발광 소자가 마련되고, 비 표시 영역에는 회로소자 또는 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와 하부 보호 기판 사이의 내부 멀티 비전 패널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 필름으로 반투명 필름 또는 도프 패턴이 있는 투명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접착 필름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패널부의 비 표시 영역 일부에 정렬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보호 기판에 정렬 마크에 대응하는 기준마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표시 패널부가 밀착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멀티 비전 패널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인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고, 장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직사각형 판 형태의 다수의 표시 패널부와,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한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보호 기판 상에 상기 다수의 표시 패널부의 장변 영역이 밀착되도록 표시 패널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부가 부착된 하부 보호 기판 상에 상부 보호 기판을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보호 기판에 하부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접착 필름 상에 표시 패널부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호 기판을 커버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부 상에 상부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접착 필름 상에 상부 보호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기판 내에 형성된 표시 패널부를 절단하여 단일의 표시 패널부를 제작하되, 불량화소가 발생된 표시 패널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불량 화소가 발생된 표시 패널부의 불량 화소 영역을 절단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널 조각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 조각의 절단면 영역이 밀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부는 단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고, 장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직사각형 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착 배치된 상기 패널 조각을 하부 보호 기판과 상부 보호 기판으로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패널이 픽셀 간격보다 작은 베젤 영역을 갖는 다수의 유기 전계 발광 패널을 밀착 배치하여 인접한 패널들의 경계영역에서의 베젤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대면적의 화면을 단일 패널로 제작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패널의 배치 일정하게 함으로 인해 인접한 패널들 간의 픽셀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불량 화소 영역을 절단하여 제작된 패널 조각을 멀티비전 형태로 제작함으로 인해 표시 패널 불량 개선이 가능하여 수율 향상이 가능하고, 다양한 사이즈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단면 개념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부의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부의 유기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다른 표시 패널부의 정렬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대형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작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단면 개념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부의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부의 유기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는 일측의 경계면(절단면)들이 밀착 배치되어 하나의 멀티 비전 패널(10)을 형성하는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와, 상기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보호하는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201, 202)과, 상기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상기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201, 202)에 접착 고정시키는 상부 및 하부 접착 필름(301, 302)을 포함한다.
일 표시 패널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으로 제작되고, 장변 영역의 베젤(비 표시 영역) 사이즈가 픽셀들 간의 간격 보다 작은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판은 장변과 단변의 길이의 비가 1: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장변과 단변의 길이의 비가 1: 10이하인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로 유기 전계 발광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전계 발광 패널의 경우 초박형의 제작이 가능하고, 픽셀별로 단독 발광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픽셀 간격보다 얇은 베젤 형성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PDP(Plasma Display Panel)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우 베젤을 픽셀 간격보다 얇게 만드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OLED의 경우 이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OLED 패널로 구성된 다수의 표시 패널(100)은 직사각형 형태의 OLED 표시 영역(110)과, 표시 영역(110)의 단변 영역의 양 가장자리에 위치한 비 표시 영역(120)으로 분리되고, OLED 표시 영역에는 다수의 유기 발광 소자(130)로 구성된 다수의 픽셀이 마련되고, 상기 비 표시 영역(120)에는 다수의 픽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배선 단자 또는 회로 소자(140)가 마련된다. 물론 이러한 비 표시 영역(120)에 더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표시 영역(110)의 단변 영역 양 가장자리에 비 표시 영역(120)이 형성됨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단변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만 비 표시 영역(1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형태의 표시 패널(100)은 단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120)이 위치하고, 장변 영역에는 비 표시 영역이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표시 패널(100)의 장변 영역간을 인접하여 배치할 경우 인접한 표시 패널(100)들의 경계면에서의 이질감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110)에 마련된 유기 발광 소자(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131)과, 기판의 일 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132)을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 기판(131)으로는 광이 투과하는 투광성 물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베이스 기판(13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리, 플라스틱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름으로 유기 발광층(132)은 양전극(132-1), 유기물층(132-2) 및 음전극(132-3)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전극들은 그 발광 방식에 따라 투명 전극을 사용하거나, 반사율이 높은 전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물층(132-2)으로는 정공주입층(132-2a), 정공수송층(132-2b), 발광층(132-2c) 및 전자수송층(132-2d)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유기 발광 소자(130)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과 구조가 가능하고, 상술한 층 이외의 다양한 층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의 표시 패널(100)에는 상술한 유기 발광 소자(130) 하나가 매트릭스 배열되어 이들이 하나의 픽셀로 동작하거나, 3개의 유기 발광 소자(130)가 하나의 픽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픽셀 또는 하나의 유기 발광 소자에 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구성이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는 그 장변 영역이 밀착 배치되어 하나의 멀티비전 패널도 상부 보호 기판과 하부 보호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단일 패널 형태의 대면적 멀티 비전 패널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보호 기판(201)과 하부 보호 기판(202)으로 투광성 재질의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멀티 비전 패널(10)의 발광 방식에 따라 기판의 재질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즉, 전면 발광 또는 후면 발광 또는 양면 발광에 따라 기판의 재질이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멀티비전 패널(10)이 배치된 상부와 하부 보호 기판(201, 202) 사이에는 내부 멀티비전 패널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400)가 멀티비전 패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띠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밀봉 부재(10)로는 실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밀봉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 부재의 경우 두 기판 사이의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외부 습기등과 차단시킴으로 인해 표시 패널부(100)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가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그 배열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상부 또는 하부 보호 기판(201, 202)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접착 필름(301, 302)의 경우 반투명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트 패턴이 있는 투명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상부 보호 기판(201)에 고정시키는 상부 접착 필름(301)과, 하부 보호 기판(202)에 고정시키는 하부 접착 필름(302)을 구비한다.
상기의 상부 및 하부 접착 필름(301, 302)은 두광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의 양면에 접착 특성을 갖는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 필름 대신 투광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표시 패널의 국소 부위에 접착제를 바른 다음 보호 기판에 접착시켜 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 전체에 접착제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보호 기판(201, 202)과 부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국부적으로 접착제를 바를 경우, 접착제가 도포된 영역에서의 시인성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것이 이러한 시인성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부 보호 기판(201) 및/또는 하부 보호 기판(202)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상측에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부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의 장변 영역이 인접(즉, 밀착) 배치되어 하나의 대형 멀티 비전 패널(10)을 형성한다. 따라서, 인접한 표시 패널부(100) 내의 픽셀 패턴이 상호 일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만일 인접한 표시 패널부(100)의 픽셀 패턴이 어긋날 경우 화면이 어긋나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다른 표시 패널부의 정렬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부(100)의 비 표시 영역(120)의 일부에 정렬 마크(150)를 형성하고, 상부 보호 기판(201) 또는 하부 보호 기판(202)에 이 정렬 마크에 대응하는 기준 마크(210)를 형성하여 다수 패널 간의 픽셀 패턴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사전에 제작될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와 이에 해당하는 표시 패널부(100)의 개수와 표시 패널부(100)의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상부 보호 기판(201) 또는 하부 보호 기판(202)에 기준 마크(210)를 형성한다. 그리고, 표시 패널부(100)는 그 내부 유기 발광 소자 제작시 정렬을 위한 마크를 비 표시 영역에 형성한다. 이어서,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밀착 배치할 때, 표시 패널부(100)의 정렬 마크(150)와 기판(201, 202)의 기준 마크(210)를 일치시켜가면서 표시 패널부(100)를 배치하게 되면 이러한 픽셀 패널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부(100) 내의 베이스 기판이 투광성이고, 상부 또는 하부 보호 기판(201, 202)이 투광성이기 때문에 이들의 상측이나 하측 어느 영역을 통해서도 정렬 마크(150)와 기준 마크(210)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을 단순화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형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는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대형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6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대형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는 하부 보호 기판(202)과, 그 상부에 밀착 배열된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와,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하부 보호 기판(202)에 고정시키는 하부 접착 필름(302)과, 밀착 배열된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의 상측 영역을 밀봉하는 실링부(500)를 구비한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상부 기판을 생략하고, 실링부(500)를 사용한다. 실링부(500)는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를 밀봉하여 외부 충격과 습기로 부터 표시 패널부(100)를 보호하고, 표시 패널부(100)가 하부 보호 기판(20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링부(500)로는 광으로 경화되는 광 경화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패널부(100)는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열 경화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것 보다 광 경화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실링부(500)는 투광성을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 경화성 고분자를 실링부(500)로 다수의 표시 패널부(100) 상측에 도포할 경우 광 경화성 고분자를 유동성 물질과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성 물질은 비 휘발성의 물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 및 수분과 같은 외부 환경에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대면적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고, 장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직사각형 판 형태의 다수의 표시 패널부를 준비한다. 또한,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한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을 준비하고, 이들 간의 접속을 위한 상부 및 하부 접착 필름을 마련한다(S110).
이어서, 상기 하부 보호 기판의 상측면 상에 하부 접착 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하부 접착 필름에 다수의 표시 패널부를 순차적으로 밀착 배치한다(S120).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표시 패널부 간의 밀착 영역에는 베젤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다수의 표시 패널부 간의 정렬을 향상시킬 수 있어 이들 사이의 픽셀이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정렬된 다수의 표시 패널부에 의해 형성된 멀티 비전 패널 상면에 상부 접착 필름을 부착한다. 이후, 상부 접착 필름 상에 상부 보호 기판을 부착하여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를 제작한다(S130).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 보호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실링부를 사용하는 경우 실링부재를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의 다수의 표시 패널부 간의 픽셀 영역의 정렬을 위해 별도의 정렬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S140).
이를 위해 다수의 표시 패널부의 비 표시 영역으로 돌출된 외부 전극 단자들을 통해 화상 제어부에 접속시킨다. 이어서, 각 표시 패널부에 화상을 표시한다. 이후, 각 표시 패널부 경계면의 픽셀 어긋남을 검사한 이후 각 표시 패널부 별로 픽셀에 제공되는 신호 값을 조절하도록 제어부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픽셀 어긋남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별도의 표시 패널부를 제작하고, 이 표시 패널부 간을 인접되게 밀착 배치하여 대면적의 멀티 비전 패널을 제작함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패널 내의 불량 화소 라인 만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나머지 패널 조각을 본 실시예의 멀티비전 패널 제작 방법을 통해 제작함으로 인해 패널 제작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메인 기판(1000)에 각기 6개의 표시 패널(100)이 제작된다. 물론 도 8에서는 일 기판에 6개의 패널이 제작됨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적거나 더 많은 숫자의 패널이 제작될 수 있다.
이어서, 메인 기판(1000)을 절단하여 각기 6개의 표시 패널(100)을 제작한다. 이는 통상적인 표시 패널의 제작 방법이다.
도 9에서와 같이 6개의 표시 패널(100) 중 2개의 표시 패널(100) 내에 불량 화소가 발견되는 경우, 기존에는 이 2개의 표시 패널(100)을 폐기하였다. 이로인해 표시 패널(100) 제작 수율이 60%로 높지 않은 편이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 별로 절단한 다음, 불량 화소가 발견된 표시 패널을 분리한다.
이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 영역 중 불량 화소 영역을 절단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단변 방향에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회로 또는 단자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패널(100)의 불량 화소 영역 절단을 통해 적어도 2개의 표시 패널 조각(100a, 100b, 100c, 100d)이 마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 조각(100a, 100b, 100c, 100d)들을 앞서 언급한 멀티비전 제작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인접되게 밀착한다. 이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의 표시 패널(100)을 하나 더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는 6개의 표시 패널(100) 중 4개는 단일 표시 패널 형태로 동작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와 같은 멀티 비젼 표시 패널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패널(100) 제작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불량 화소 절단으로 인해 잔류하게 되는 표시 패널 조각(100a, 100b, 100c, 100d)은 다음번 메인 기판에서 발생된 표시 패널 조각(100a, 100b, 100c, 100d)과 결합되어 목표로 하는 표시 패널(100)과 동일한 사이즈의 멀티비전 표시 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표시 패널의 다양한 배치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작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표시 패널(100)의 장변을 밀착 배치하되, 장변의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다수의 표시 패널의 장변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표시 패널 그룹이 밀착 배치되어 하나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 그룹이 좌우 방향으로 밀착 배치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표시 패널의 장변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와 같이 장변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표시 패널 그룹이 밀착 배치되어 하나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 그룹이 상하 방향으로 밀착 배치된다.
물론 도 14와 도 15에서는 2개의 표시 패널 그룹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표시 패널 그룹이 밀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과 같이 어느 방향으로도 배치되어 멀티비전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의 멀티비전 디스플레이의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멀티 비전 패널 100 : 표시 패널부
110 : 표시 영역 120 : 비 표시 영역
130 : 유기 발광 소자 201, 202 : 보호 기판
301, 302 : 접착 필름 400 : 밀봉 부재
500 : 실링부

Claims (12)

  1. 일측의 경계면(절단면)들이 밀착 배치되어 하나의 멀티 비전 패널을 형성하는 다수의 표시 패널부;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의 상측을 보호하는 상부 보호 기판;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의 하측을 보호하는 하부 보호 기판; 및
    상기 멀티 비전 패널을 상기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에 접착 고정시키는 상부 및 하부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제작되고, 장변 영역의 베젤의 사이즈가 픽셀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표시 패널부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패널부의 단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부의 표시 영역에는 유기 발광 소자가 마련되고, 비 표시 영역에는 회로소자 또는 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하부 보호 기판 사이의 내부 멀티 비전 패널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으로 반투명 필름 또는 도프 패턴이 있는 투명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접착 필름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부의 비 표시 영역 일부에 정렬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보호 기판에 정렬 마크에 대응하는 기준마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표시 패널부가 밀착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멀티 비전 패널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인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8. 단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고, 장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직사각형 판 형태의 다수의 표시 패널부와,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한 상부 및 하부 보호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하부 보호 기판 상에 상기 다수의 표시 패널부의 장변 영역이 밀착되도록 표시 패널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부가 부착된 하부 보호 기판 상에 상부 보호 기판을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보호 기판에 하부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접착 필름 상에 표시 패널부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보호 기판을 커버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부 상에 상부 접착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접착 필름 상에 상부 보호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10. 메인 기판 내에 형성된 표시 패널부를 절단하여 단일의 표시 패널부를 제작하되, 불량화소가 발생된 표시 패널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불량 화소가 발생된 표시 패널부의 불량 화소 영역을 절단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널 조각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패널 조각의 절단면 영역이 밀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부는 단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고, 장변 영역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직사각형 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밀착 배치된 상기 패널 조각을 하부 보호 기판과 상부 보호 기판으로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KR1020110103736A 2011-10-11 2011-10-11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39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36A KR20130039218A (ko) 2011-10-11 2011-10-11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36A KR20130039218A (ko) 2011-10-11 2011-10-11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218A true KR20130039218A (ko) 2013-04-19

Family

ID=4843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736A KR20130039218A (ko) 2011-10-11 2011-10-11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2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62A1 (ko) * 2018-07-26 2020-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62A1 (ko) * 2018-07-26 2020-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81175B2 (en) 2018-07-26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 defective pixel of a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5294B2 (en) Tiled display with overlapping flexible substrates
KR10204573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109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9543368B2 (en) OLED array substrate having black matrix,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TW202209279A (zh) 顯示裝置
US8698987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marks in at least one corner of substrate
EP3240033B1 (en) Oled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ckag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101888448B1 (ko) 폴더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5351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0276812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842720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6218109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4765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EP3282481B1 (en) Package substrate, display panel and curved display panel
KR20150000571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220004275A1 (en) Touch structure and display panel
US20210004062A1 (en) Display mother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365530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JP2010107935A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378798B2 (ja) 平面表示素子
JP2001022293A (ja) 平面表示素子
KR20190070038A (ko) 배선 필름 및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US20200075685A1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190348477A1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30039218A (ko)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