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072B1 -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072B1
KR102545072B1 KR1020180084328A KR20180084328A KR102545072B1 KR 102545072 B1 KR102545072 B1 KR 102545072B1 KR 1020180084328 A KR1020180084328 A KR 1020180084328A KR 20180084328 A KR20180084328 A KR 20180084328A KR 102545072 B1 KR102545072 B1 KR 10254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node
display
display devices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670A (ko
Inventor
서호성
이형진
이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072B1/ko
Priority to US17/256,893 priority patent/US11409492B2/en
Priority to PCT/KR2019/008660 priority patent/WO2020017834A1/ko
Publication of KR2020000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상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정보를 출력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스템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식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신호에 기반한 영상을 함께 표시하도록 상호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시스템 내에서 컨텐츠신호의 전송 및 처리에 관한 에러가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식별하는 구조의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고, 복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예시로는 비디오 월(video wall)이 있다. 비디오 월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대화면 환경을 형성하는 시스템이다.
컨텐츠소스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중에서 한 가지 방식으로는 루프아웃(Loop-Out)이 있다. 루프아웃 방식은 일종의 직렬연결 방식으로서, 컨텐츠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고, 이 컨텐츠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 내에서 분기하며, 분기된 컨텐츠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입출력 형태가 시스템 내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된다.
루프아웃 방식으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하는 다양한 이유가 존재할 수 있는데, 그 이유에 따라서는 에러의 원인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디스플레이장치에 있는지 식별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에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와 같은 보안이 적용되는 경우에,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만 HDCP를 지원하지 않으면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 관리자 입장에서는 어느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식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시스템 내에서 에러의 원인이 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식별해 낼 수 있는 구조 또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단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후단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한 신호입출력부와;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정상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식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상태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영상신호가 송수신되는 복수의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지점에서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점은, 상기 신호입출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는 복수의 영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컨텐츠의 신호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영상프레임 사이의 변화가 제1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신호의 노이즈 강도의 변화율이 제2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과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정상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상태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영상신호가 송수신되는 복수의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지점에서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점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 및 프로세서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는 복수의 영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컨텐츠의 신호이며, 상기 복수의 영상프레임 사이의 변화가 제1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의 노이즈 강도의 변화율이 제2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정보를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신호 전송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각 노드에 기 설정된 테스트패턴의 영상을 인가하여 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노드에서 데이터가 디코딩될 때에 에러를 감지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노드에서 감지되는 노이즈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비정상 상태의 세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는 평행하게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대화면을 형성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옥외 등의 개방된 장소에서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는 먼 거리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쉽게 화면의 표시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대화면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통상적인 디스플레이장치(120)의 단일 화면 크기는 제조 상 한계가 있으므로,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장치(120)가 비디오 월을 구성함으로써 대화면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100)의 각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컨텐츠소스(11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신호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각 디스플레이장치(120)는 컨텐츠신호의 영상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에서, 시스템(100) 내 배치된 위치 또는 시스템(100) 내 자신의 ID에 대응하는 영역만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는 각기 대응하는 영상프레임의 일부 영역을 분담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스템(100) 전체적으로는 영상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월로 구현되는 시스템(100)을 예시로 들고 있지만,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가 반드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필요는 없으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매트릭스 이외의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컨텐츠소스(11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에 컨텐츠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아웃 방식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컨텐츠소스(11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 중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신호가 전송되면,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 내에서 컨텐츠신호가 분기하고, 분기된 컨텐츠신호 중 하나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로 전달되며 다른 하나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된다. 장치들 사이의 컨텐츠신호의 전송 구조는 케이블 및 무선통신 모두 가능하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가 이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고, 컨텐츠신호가 컨텐츠소스(110)로부터 각 디스플레이장치(120)에 대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전송 형태를 루프아웃 형태라고 편의상 지칭한다.
이하, 루프아웃으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20) 사이의 신호 전송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신호 전송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가 루프아웃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대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가 루프아웃으로 접속된 경우에 관해 나타내지만, 보다 많은 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서 상호간에 연이어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순차적으로 접속된 제1디스플레이장치(210), 제2디스플레이장치(220), 제3디스플레이장치(230) 및 제4디스플레이장치(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들 간의 접속이 HDMI 규격에 따른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접속 방식 및 규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장치들 간의 접속은 무선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HDMI 규격이 아닌 DisplayPort와 같은 별도의 규격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각각 신호가 입출력되는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와,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212, 222, 232, 242)를 포함한다. 또한, 각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는 신호가 입력되는 수신부(Rx1, Rx2, Rx3, Rx4)와, 신호가 출력되는 송신부(Tx1, Tx2, Tx3, Tx4)를 각각 포함한다. 각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모델이나 세부적인 하드웨어 사항이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가진다.
컨텐츠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컨텐츠소스(20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신호입출력부(211)의 Rx1에 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신호입출력부(211)는 컨텐츠신호를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프로세서(212)에 전달하는 한편, Tx1을 통해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로 출력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Rx2에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서 전달 및 처리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서, 컨텐츠소스(200)로부터의 컨텐츠신호는 모든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에 전달된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를 통해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들이 HDMI 규격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라면 DDC(Display Data Channel)을 통해, 장치들이 DisplayPort 규격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라면 AUX 채널을 통해 제어신호 또는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컨텐츠신호의 전송 과정에서의 접속불량, 컨텐츠 보안 인증, 내부 배선의 접속불량 등 다양한 요인에 따른 에러 때문에, 시스템에서 컨텐츠신호에 기반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 각각은, 시스템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 중에서 이러한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자체적으로 해당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 내에 복수의 노드(node)를 설정하고, 각 노드 별로 에러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는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 내의 각 하드웨어 구성 중에서, 컨텐츠신호가 송수신되는 지점을 대상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각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외부로부터 컨텐츠신호가 수신되는 수신부(Rx1, Rx2, Rx3, Rx4),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로부터 컨텐츠신호가 수신되는 프로세서(212, 222, 232, 242), 컨텐츠신호를 외부로 출력되는 송신부(Tx1, Tx2, Tx3, Tx4)가 각기 해당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에서 노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에러의 식별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310)와, 컨텐츠신호 등의 소정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마련된 신호입출력부(320)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30)와,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3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350)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36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예를 들면, 통신부(310)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서 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이나,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320)는 소정의 외부장치와 일대일 또는 일대다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에 대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신호입출력부(320)는 예를 들면, HDMI 포트, DisplayPort , USB 포트 등과 같이, 기 설정된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입출력부(320)는 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컨텐츠소스에 접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이 추가된다.
사용자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34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디스플레이부(330)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350)는 프로세서(360)에 의해 억세스되며,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저장부(350)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6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마이크로컨트롤러,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60)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6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의 하드웨어 주체가 된다. 즉, 프로세서(36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소프트웨어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소정 동작은 운영체제 또는 커널이 수행하거나 또는 커널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데, 프로세서(360)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도록 데이터의 연산,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운영체제 또는 커널을 실행시키고, 또한 커널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한다.
프로세서(360)는 신호입출력부(32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처리한다. 프로세서(360)는 컨텐츠신호가 영상컨텐츠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컨텐츠신호에 기반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60)는 디스플레이부(330)에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시스템 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것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시스템 내에서 에러가 발생한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식별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과정은 시스템 내의 각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41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시스템 내 상호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HDMI 규격에 따라서 상호 접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DDC를 통해 상호간 인식이 가능하다.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상호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총 개수와, 루프아웃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순서를 식별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별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인식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각 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상태를 자체적으로 체크하며, 체크된 결과를 상호간에 공유할 수 있다.
43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획득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즉,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저장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비정상적인 디스플레이장치를 식별한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주기적으로 각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기 저장된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식별되면, 44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 결과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이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제1디스플레이장치 이외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은 각자 수신되는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45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 결과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식별 결과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이외에, 별도로 지정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반면에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없고 모든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46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정상 상태의 식별 결과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이로써, 각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식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스는, 시스템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한 프로세스는, 시스템 내 상호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닌,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서 동일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서 프로세스가 개별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되는 경우의 장점에 관해 설명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동일하다. 즉,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만이 에러를 판단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게 마련된다면,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처가 곤란해진다.
또한, 대화면을 구성하는 비디오 월의 특성 상, 시스템의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는 용이성은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동일하지 않다. 예를 들어, 지상에 기립하게 설치된 시스템에서는 하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관리자의 접근이 용이한 반면, 상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관리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설치 위치, 설치 형태, 설치 환경 등에 따라서는, 시스템 내에서 관리자의 접근이 용이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동일한 프로세스가 수행됨으로써, 관리자가 임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접근하여 용이하게 에러가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루프아웃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각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상태정보에 의해 기 저장된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단지 개별 장치 단위로 에러를 판단하는 것이 아닌, 각 장치의 노드 단위로 에러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각기 에러 식별 프로세스를 진행함으로써,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관리자가 용이하게 시스템의 문제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에러 식별 프로세스의 전체 동작 또는 일부 동작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아닌, 컨텐츠소스 또는 별도의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에러 식별 프로세스는 개략적으로, 시스템 내 루프아웃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의 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제1단계,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제2단계, 저장된 각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에러가 발생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식별하는 제3단계, 에러 식별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게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각 단계들은 각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전자장치, 컨텐츠소스, 서버 등 다양한 장치 중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장치가 일부 단계를 분담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단계와 관련하여, 전자장치가 각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제2단계와 관련하여, 전자장치가 취득한 상태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서버가 각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3단계와 관련하여, 전자장치 또는 서버가 저장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에러가 발생할 디스플레이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4단계와 관련하여, 전자장치가 에러 식별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예시들은 설계 변경 가능한 다양한 케이스 중 몇 가지에 불과하며, 특정 동작이 특정 장치에서만 수행되는 경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1디스플레이장치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루프아웃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의 상태정보(500)를 취득하여 저장한다. 개별 디스플레이장치를 세트라고 지칭하고, 각 세트 별로 복수의 노드를 포함한다고 할 때, 상태정보(500)는 세트 내 노드 단위로 복수의 항목과, 각 항목에 관한 패러미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드는 각 세트 내에서 사전에 결정된 기준 포인트로서, 예를 들면 노드는 세트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입력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부, 신호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각 세트는 최초 전원이 턴온되면 초기화 과정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세트가 HDMI 규격에 따라서 루프아웃을 구성할 때, 초기화 과정에서는 DDC를 통해 상호 접속된 세트들이 인식되고, 인식된 세트들의 식별을 위한 인덱스 넘버가 각 세트 별로 부여된다. 예를 들면, 총 10대의 세트가 루프아웃 접속된 것으로 인식될 때, 컨텐츠소스를 기준으로 접속 순서에 따라서 10대의 세트가 SET 1, SET 2, SET 3 등으로 식별명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각 세트는 자신의 상태정보(500)를 타 세트와 공유함으로써, 각 세트는 세트 10대 모두의 상태정보(500)를 획득한다. 각 세트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정보(500)를 브로드캐스트하며, 또한 타 세트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상태정보(500)에 의해 기 저장된 상태정보(500)를 업데이트한다. 이로써, 모든 세트는 동일 시점에 동일한 상태정보(500)를 저장할 수 있다.
각 세트는, 저장된 상태정보(500)의 각 노드 별 항목의 패러미터를 체크하고, 어느 항목의 패러미터가 비정상을 나타내면, 해당 노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노드 1B의 4번째 항목이 비정상으로 체크된다면, 관리자는 SET 1의 노드 1B에 에러가 발생하며, 또한 노드 1B의 HDCP 상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상태정보(500)의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항목을 예시로 들고 있으나, 반드시 6개 항목 모두가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항목만이 상태정보(5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태정보(500)의 노드 별 항목은, Video Error Count, Unstable Count Measure, Lock Status, HDCP Status,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Status, HDP(Hot Plug Detect) Status 등을 포함한다. 물론, 설계 방식에 따라서 상태정보(500)는 이들 6가지 항목 이외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6가지 미만의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Video Error Count는 신호가 모든 노드에서 동일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항목이다. 각 세트가 상호 연계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각 세트는 동일한 컨텐츠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Unstable Count Measure는 각 노드의 노이즈가 허용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항목이다. 루프아웃의 특성 상 복수의 세트 중 접속순서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노드 또는 세트 단위로 체크되는 노이즈는 증가할 수 밖에 없으나, 정상적인 영상의 표시를 위해서 이 노이즈의 증가는 허용범위 이내가 되어야 한다.
이상 두 가지 항목에 관해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 상태정보(500)의 나머지 항목들에 관해 설명한다.
Lock Status는 복수의 세트가 HDMI 규격에 따라서 접속되는 경우에 각 세트가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루프아웃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노드의 Lock 상태가 ON이 되어야 한다. 만일 어느 한 노드의 Lock 상태가 ON이 아니면, 시스템 전체의 세트에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한다.
HDCP Status는 세트에서 암호화된 컨텐츠신호의 복호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세트가 암호화된 컨텐츠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이 컨텐츠신호를 복호화시켜야 하며, HDCP에 따르면 복호화에는 복호화 키를 필요로 한다. 만일 세트가 이 복호화 키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복호화 키에 오류가 있다면, 해당 세트는 정상적인 복호화를 수행할 수 없다.
HDCP가 적용되는 컨텐츠의 경우에, 루프아웃을 구성하는 시스템 전체의 세트의 노드 중 어느 하나만 HDCP 인증 상태가 비정상이면, 컨텐츠소스는 세트에 컨텐츠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전체 세트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각 노드의 HDCP Status를 체크함으로써, 어느 노드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식별될 수 있다.
EDID Status는 각 세트가 정상적으로 EDID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EDID는 해당 세트의 다양한 장치 속성에 관한 정보이다. 일 세트는 타 세트로부터 제공되는 EDID에 기초하여 해당 타 세트의 장치 속성을 판단한다.
HPD Status는 HDMI 규격에서 세트 또는 노드에 타 세트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송신측 세트는 수신측 세트에 대한 HPD 신호가 정상적이지 않다면, 수신측 세트에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HPD Status의 체크에 의해, 관리자는 여러 세트 사이의 호환성 이슈에 대처할 수 있다.
이하, 상태정보(500)의 몇 가지 항목들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각 노드에 기 설정된 테스트패턴의 영상을 인가하여 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각 노드의 Video Error Count 항목의 패러미터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기 설정된 테스트패턴을 가진 복수의 영상프레임을 포함하는 테스트신호(600)를 생성한다. 테스트패턴은 어떠한 형상, 컬러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공백도 가능하다. 다만, 테스트신호(600)의 복수의 영상프레임은 모두 동일한 테스트패턴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테스트패턴이 공백으로 마련된다면, 테스트신호(600)의 모든 영상프레임은 공백이 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시간 동안 테스트신호(600)를 각 세트에 인가하고, 각 세트의 각 노드에서 테스트신호(600)가 감지되는 결과를 취득한다. 각 세트는 테스트신호(600)가 인가되면, 각 노드에서 감지되는 테스트신호(600)의 결과를 디스플레이장치에 반환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테스트신호(600)가 인가되는 동안 특정 세트의 특정 노드에서 감지되는 복수의 영상프레임이 모두 동일한 컨텐츠이면, 즉 복수의 영상프레임이 모두 동일한 테스트패턴을 나타내면, 해당 노드에서의 Video Error Count 항목이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테스트신호(600)가 인가되는 동안 특정 세트의 특정 노드에서 감지되는 복수의 영상프레임이 서로 상이한 컨텐츠이면, 즉, 일부 영상프레임이 나머지 영상프레임과 상이한 테스트패턴을 나타내면, 해당 노드에서의 Video Error Count 항목이 비정상이라고 판단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노드로부터 취득한 각 영상프레임의 RGB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각 영상프레임의 테스트패턴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정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해당 노드에서의 PCB 설계상 문제가 있거나, 케이블 Loss가 있거나 하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ET 1의 노드 1B에서 테스트신호(600)의 복수의 영상프레임의 테스트패턴이 모두 동일하게 감지된다면, 노드 1B의 Video Error Count 항목은 정상이라고 간주된다. 반면, SET 3의 노드 3A에서 테스트신호(600)의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 일부 영상프레임의 테스트패턴에 차이가 감지된다면, 노드 3A의 Video Error Count 항목은 비정상이라고 간주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노드에서 데이터가 디코딩될 때에 에러를 감지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정 노드에서는 컨텐츠데이터의 디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비트의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원본 데이터 코드(710)를 디코딩하면 8비트의 변환 데이터 코드(720)가 된다고 한다. 이 경우에, 10비트가 8비트로 변환하고 남은 2비트는 가비지(garbage) 코드(730)가 된다. 원본 데이터 코드(710)의 실질적인 컨텐츠는 변환 데이터 코드(720)에 포함되므로, 가비지 코드(730)에는 실질적인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것이 정상이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는 노드에서 디코딩에 의해 발생하는 가비지 코드(730)를 체크하여 원본 데이터 코드(710)의 실질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가비지 코드(730)가 실질적인 컨텐츠를 포함하면 해당 노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가비지 코드(730)가 실질적인 컨텐츠를 포함하지 않으면 해당 노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노드에서 감지되는 노이즈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노드 별로 노이즈의 강도가 체크되면, 체크 결과가 그래프(800)로 나타날 수 있다. 본 그래프(800)의 가로축은 루프아웃의 접속 순서에 따른 복수의 노드를 나타낸다. 여기서, 가로축 상의 각 노드는 원점에 가까울수록 루프아웃 순서가 앞서며,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루프아웃 순서가 늦다.
컨텐츠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가 각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된 이후에 다음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되는 형태가 반복되는 루프아웃 구조의 특성 상, 세트 또는 노드의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늦어질수록, 해당 세트 또는 노드에서 감지되는 노이즈의 강도는 조금씩 증가한다. 그런데, 노이즈 강도가 완만하게 증가하지 않고 특정 노드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면, 즉 특정 노드로부터 다음 노드까지의 노이즈 강도의 변화폭이 임계치를 넘거나 특정 노드에서의 노이즈 강도의 변화율이 임계치를 넘는다면, 해당 특정 노드가 비정상 상태라고 간주될 수 있다.
본 도면의 예를 들면, 제1노드 및 제2노드 사이, 제2노드 및 제3노드 사이는 노이즈의 강도가 완만히 증가하였으며, 그 변동폭은 기 설정된 허용범위 이내로서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이 경우는 적어도 제1노드, 제2노드는 정상 상태라고 간주된다.
그런데, 제3노드 및 제4노드 사이는 노이즈의 강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노드 및 제4노드 사이의 노이즈의 강도의 변동폭 C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넘으면, 제3노드가 비정상 상태라고 간주된다. 예를 들면, 제3노드에서 케이블 접속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루프아웃을 구성하는 복수의 세트 중 어느 세트의 노드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식별하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식별 결과를 알려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식별 결과를 표시하는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비정상 상태의 세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900)는 복수의 세트 중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세트가 식별되면, 해당 세트에 관한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UI(910)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린다. 비정상 상태의 세트를 식별하는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다.
디스플레이장치(900)는 UI(910)를 자체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타 세트에 UI(910)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900)는 복수의 세트 중에서 일부 세트에만 UI(910)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복수의 세트 모두에 동일한 UI(910)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900)는 사전 등록된 관리자의 모바일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모바일장치에 UI(910)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UI(910)는 에러가 발생한 세트의 식별명, 해당 세트에서 에러가 발생한 노드, 예상되는 에러의 내용 등의 항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UI(910)가 표시되는 목적은 관리자가 UI(910)의 정보에 따라서 수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해당 항목들은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세트에서 에러가 발생한 노드의 값은, 디스플레이장치(900)가 식별하기 위한 노드의 값이 아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의 용어를 사용한다.
UI(910)의 에러 예상내용의 항목은, 디스플레이장치(900)가 상태정보에서 체크한 값에 대응하는 내용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900)는 상태정보에서 Unstable Count Measure 항목이 비정상을 나타내면, 케이블 접속불량으로 판단하고 이를 UI(910)에 기록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900)는 에러에 관한 결과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이 노드 단위의 에러를 감지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러한 한 가지 방식으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나의 노드에서만 에러가 감지되는 경우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다수 또는 모두의 동일 노드에서 에러가 감지되는 경우는, 그 에러의 원인이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Rx에서 에러가 감지되었다면, 본 에러의 원인은 케이블 접속 불량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수 또는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의 Rx에서 공통적으로 에러가 감지되었다면, 본 에러의 원인이 케이블 접속 불량일 확률은 희박하며, 디스플레이장치의 Rx의 회로 설계에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러가 감지되었을 때에 해당 에러의 원인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및 해결방안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동작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은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 자원이 해당 동작에 적합하지 않다면, 디스플레이장치에 통신 접속된 서버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에러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에 기초하여 원인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 가능하게 통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의 인스트럭션들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deep-running)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인스트럭션들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100 : 시스템
110 : 컨텐츠소스
12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6)

  1.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한 신호입출력부와;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노드와, 상기 제1노드로부터 상기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제2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상태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현재상태정보는 상기 제1노드에서의 노이즈 강도 및 상기 제2노드에서의 노이즈 강도 사이의 변화율을 포함하고,
    상기 변화율이 상기 정상상태정보에 지시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노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제1노드가 비정상 상태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제1노드가 비정상 상태임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 및 제2노드는, 상기 신호입출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에 대해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동일한 테스트패턴을 가진 복수의 영상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노드에서 감지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상이한 테스트패턴을 나타내면 상기 제1노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고,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노드와, 상기 제1노드로부터 상기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제2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상태정보는 상기 제1노드에서의 노이즈 강도 및 상기 제2노드에서의 노이즈 강도 사이의 변화율을 포함하고;
    상기 변화율이 상기 정상상태정보에 지시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노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1노드가 비정상 상태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제1노드가 비정상 상태임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 및 제2노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 및 프로세서에 대해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동일한 테스트패턴을 가진 복수의 영상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노드에서 감지되는 상기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상이한 테스트패턴을 나타내면 상기 제1노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084328A 2018-07-19 2018-07-19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4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28A KR102545072B1 (ko) 2018-07-19 2018-07-19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7/256,893 US11409492B2 (en) 2018-07-19 2019-07-12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08660 WO2020017834A1 (ko) 2018-07-19 2019-07-12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28A KR102545072B1 (ko) 2018-07-19 2018-07-19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70A KR20200009670A (ko) 2020-01-30
KR102545072B1 true KR102545072B1 (ko) 2023-06-19

Family

ID=6916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328A KR102545072B1 (ko) 2018-07-19 2018-07-19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09492B2 (ko)
KR (1) KR102545072B1 (ko)
WO (1) WO2020017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229A (ko) * 2020-08-13 202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508273B2 (en) * 2020-11-12 2022-11-22 Synaptics Incorporated Built-in test of a display driver
KR20230106941A (ko) * 2022-01-07 2023-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816385B2 (en) 2022-01-07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7580A (ja) * 2016-05-17 2017-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2785A (zh) * 2011-09-06 2013-03-2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用于电视墙的色彩调校系统
US9245311B2 (en) 2014-01-02 2016-01-26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actuators including anchored and suspended shutter electrodes
US9911176B2 (en) * 2014-01-11 2018-03-06 Userfu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s into sub-image portions for output to a plurality of displays such as a network video wall
KR102206171B1 (ko) 2014-10-27 2021-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지 체인 형태의 멀티비전 및 그의 id할당 방법
KR101548351B1 (ko) 2014-12-08 2015-08-28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다중신호 전송라인으로 제어되는 자가진단 및 복구형 전광판 시스템
KR102397438B1 (ko) 2015-09-04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03901B1 (ko) 2015-11-12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231849B (zh) * 2018-01-03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器件、装置及显示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7580A (ja) * 2016-05-17 2017-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834A1 (ko) 2020-01-23
US11409492B2 (en) 2022-08-09
KR20200009670A (ko) 2020-01-30
US20210286578A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072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18805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997383B2 (en) Smart driver
US110102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management service
CN107872725A (zh) 显示设备及其源设备控制方法
US11276366B2 (e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135127A1 (en) Display apparatus of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54989B2 (en) Semiconductor equipment managemen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864854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7578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1216328B2 (en) Server,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67769B2 (en) Check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CN103870111A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833914B (zh) Cob拼接墙的故障检测方法和系统
KR102485368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0460649B2 (en) Automatically selecting a set of parameter values that provide a higher link score
US1125265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41071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23004773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1018170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51912B1 (ko)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
US20220004368A1 (en) System for providing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method for providing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20085175A (ko) 적재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32492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31556A (ko) 웹 기반 데이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장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