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972B1 -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972B1
KR102266972B1 KR1020190126618A KR20190126618A KR102266972B1 KR 102266972 B1 KR102266972 B1 KR 102266972B1 KR 1020190126618 A KR1020190126618 A KR 1020190126618A KR 20190126618 A KR20190126618 A KR 20190126618A KR 102266972 B1 KR102266972 B1 KR 10226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ptical
sub
determination unit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703A (ko
Inventor
김동현
장명훈
김양현
방주은
신종곤
우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7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서로 연결되어 화면을 구성하며 각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학 교정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각기 포함되는 상기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감지 및 판단하는 광학 판단부를 포함하는 광학 교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MODULE TYPE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 또는 다양한 용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높은 휘도를 가져 우수한 시인성을 가지며 우수한 방수 및 방진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하여 형성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실내외 전광판, 안내판, 광고판 등의 대형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서로 다른 휘도, 서로 다른 색좌표 등과 같은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초 설치 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학 특성을 균일화하기 위한 광학 교정(optical calibration)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최초 설치 후에 수행되는 광학 교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화면을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면서 수행된다. 즉, 일정 시간 동안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광학 특성을 감지하여 이를 광학 교정을 위한 별도의 광학 교정 장치(예를 들어, 별도의 컴퓨터)에 송부하고, 광학 교정 장치가 광학 교정을 위한 값을 계측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다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광학 교정한다. 이러한 광학 교정은 시간이 많이 들고 별도의 카메라, 별도의 광학 교정 장치 등의 설치, 연결 등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초 설치 시에만 수행되며 일정 시간 구동한 이후에 발생하는 광학 특성의 변화(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에 따른 광학 교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개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간단한 구동 방식에 의하여 광학 교정을 할 수 있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일정 시간 구동한 이후에 발생하는 광학 특성의 변화를 고려하여 실시간 및 자동으로 광학 교정이 가능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서로 연결되어 화면을 구성하며 각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학 교정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각기 포함되는 상기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감지 및 판단하는 광학 판단부를 포함하는 광학 교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각기 포함되는 상기 발광 소자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교정부는, 상기 광학 판단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전달받아 광학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교정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 회로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 각각에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각기 포함되는 상기 발광 소자와 각기 동일한 소비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교정부는 실시간 또는 자동으로 광학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판단부는, 상기 서브 발광 소자가 실장되는 서브 회로 기판, 그리고 상기 서브 발광 소자 및 상기 센서를 덮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학 판단부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판단부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서브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광학 판단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서브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2 광학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서브 발광 소자가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과 수평 또는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광학 판단부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별개로 구비되는 광학 판단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판단부가, 공통 회로 기판, 상기 공통 회로 기판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서브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제1 광학 판단부, 및 상기 공통 회로 기판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서브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제2 광학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판단부가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1 광학 판단부 및 상기 제2 광학 판단부에 각기 대응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1 광학 판단부 및 상기 제2 광학 판단부에 전체적으로 대응하는 공통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하면, 자체로 광학 교정부를 구비하여 별도의 카메라, 별도의 광학 교정 장치 등의 설치, 연결 등의 작업 없이 최초 설치 시 광학 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면서 발생하는 광학 특성의 변화를 감지 또는 판단하여 실시간 및 자동으로 광학 교정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간단한 구동 방식으로 최초 설치 시, 그리고 구동 중 실시간 및 자동으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학 교정을 할 수 있어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기 도 2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광학 판단 모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잘라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또는 "제2"의 표현은 서로 간의 구별을 위하여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의 (a) 및 (b)는 각기 도 2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참조로, 도 1의 하부 확대원은 발광 소자를 위주로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서로 연결되어 화면을 구성하며 각기 발광 소자(120)를 구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광학 교정(optical calibration)을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120)의 광학 특성을 감지 또는 판단하는 광학 판단부(40)를 포함하는 광학 교정부(OCP)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고정 및 지지되는 캐비닛(20)이 구비된다. 캐비닛(2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 형상,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캐비닛(20)은 내구성이 우수하며 방열 특성이 높고 열에 의한 변형이 적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20)이 금속 물질로 구성되어 우수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캐비닛(20)은 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캐비닛(20)의 전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캐비닛(20)은 내부에 개구부(20a)가 구비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테두리부(22)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비용을 절감하고 무게 및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회로부(30)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측에 위치한 회로 부재(124) 등이 개구부(20a)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발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20) 또는 테두리부(22)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 부분(22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서 제1 고정 부분(22a)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1 고정 부분(22a)에 체결, 고정, 또는 결합되는 제2 고정 부분(1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테두리부(22)에 오목한 형상 또는 홈 형상으로 구성된 제1 고정 부분(22a)이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로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된 형상의 제2 고정 부분(12)이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여기서, 테두리부(22) 또는 제1 고정 부분(22a)이 금속 물질로 구성되고, 제2 고정 부분(12)이 돌출부(12a), 그리고 돌출부(12a)의 외주변에 형성된 자석부(12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제2 고정 부분(12)을 구성하며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12a) 및 자석부(12b)가 오목한 형상 또는 홈 형상을 가지는 제1 고정 부분(22a)에 안착 및 밀착되고, 금속 물질의 테두리부(22)와 자석부(12b)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과 테두리부(22)이 자력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캐비닛(20)의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쉽고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캐비닛(20)을 탈부착할 수 있어 교체, 수리 시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캐비닛(20)의 물질, 구조 또는 형상, 캐비닛(2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고정 구조 또는 방식, 제1 고정 부분(22a) 및/또는 제1 고정 부분(12)의 구조 또는 방식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20)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화면을 구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면서 바닥면과 교차(일 예로, 수직)한 상태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복수의 열과 복수의 행을 구성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연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연결하여 화면을 구성하여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면적이 커져서 휘거나 단차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수평 방향(가로 방향, 도면의 x축 방향)에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하 방향(세로 방향, 도면의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수평 방향으로 장변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방향의 폭과 상하 방향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가 수평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장변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화면과 수직하는 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캐비닛(20) 또는 회로부(3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로 향하는 방향, 즉, 화상이 표시되는 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도면의 양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고,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캐비닛(20) 또는 회로부(30)로 향하는 방향, 즉,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면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방(도면의 음의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캐비닛(20) 상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여 평면으로 구성된 화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설치 위치, 설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경사지게 또는 곡면을 형성하도록 연결되거나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복수의 픽셀(PXL)을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PXL)은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가지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발광 소자(12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칩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간략한 도시 및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도 1에서는 하나의 픽셀(PXL)에 하나의 발광 소자(12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픽셀(PXL)에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픽셀(PXL)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각기 방출하는 적색 발광 소자(121R)(122R), 녹색 발광 소자(121G)(122G) 및 청색 발광 소자(121B)(122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간략한 도시 및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각 픽셀(PXL)을 대응하여 위치하는 적색 발광 소자(121R)(122R), 녹색 발광 소자(121G)(122G) 및 청색 발광 소자(121B)(122B)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120)를 모식화하여 도시하였다. 각 픽셀(PXL)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적색 발광 소자(121R)(122R), 녹색 발광 소자(121G)(122G) 및 청색 발광 소자(121B)(122B)의 배치, 위치, 배열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픽셀(PXL)에 단일의 광을 방출하는 단일의 발광 소자(120)가 구비되거나, 각 픽셀(PXL)에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백색 발광 소자가 더 구비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 소자(120)가 발광 다이오드 이외의 구조, 방식 등으로 발광하는 다양한 발광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회로 기판(110)과, 회로 기판(110)의 전면 상에서 복수의 픽셀(PXL)을 구성하도록 실장된 복수의 발광 소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110)은, 복수의 발광 소자(120)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복수의 발광 소자(120)와 회로부(30)를 연결하는 배선, 회로 패턴, 회로 부재(124) 등을 구비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120)를 회로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로 부재(124)는 발광 소자(120)의 구동 또는 발광 소자(1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124b), 회로부(30)와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30a)이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124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대로 회로 기판(110)의 후면에는 캐비닛(20)과의 고정을 위한 제2 고정 부분(12)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회로 기판(110)의 후면에는 완충 패드, 방열 패드, 방열판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회로 기판(110)으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 방식의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110) 상에는 발광 소자(120)에 의하여 방출되는 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블랙 매트릭스층(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여 명암 대비율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매트리스층은 카본 블랙(carbon black), 그래파이트(graphite), 폴리피롤(polypyrro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회로 기판(110) 및 발광 소자(120)의 전면에서 회로 기판(110) 및 발광 소자(120)를 덮는 투과층, 보호층(도시하지 않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과층, 보호층 등은 회로 기판(110) 및 발광 소자(120)로 침투하는 습기를 차단하고 회로 기판(110) 및 발광 소자(12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120)가 회로 기판(110)에 직접 결합하여 회로 기판(110)에 실장된 형태로 고정되어 발광 소자(120)가 칩-온-보드(chip-on-board, COB) 타입으로 실장될 수 있다. 그러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구비되어 복수의 픽셀(PXL)을 구성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120)를 하나의 회로 기판(110)에 실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구조 및 제조 공정, 그리고 회로부(30)와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취급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발광 소자(120)를 회로 기판(110) 또는 회로부(30)에 연결하는 방식, 구조, 형태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일 예로, 회로 기판(110)의 후면)에 광학 교정부(OCP)에 포함되는 광학 판단부(4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교정부(OCP)가 광학 판단부(4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광학 특성을 전달받아 광학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교정 회로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광학 판단부(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각기 포함되는 발광 소자(120)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42), 그리고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42)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는 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판단부(40)가, 서브 발광 소자(42)가 실장되는 서브 회로 기판(420), 서브 발광 소자(42) 및 센서(44)를 덮는 케이스(46), 확산 부재(48), 단열부(49)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교정 회로부(32)는 센서(44)에 의하여 감지된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42)의 광학 특성을 광학 판단부(40)로부터 전달받아 광학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판단부(4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모듈의 후면 쪽에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응하는 광학 판단부(40)가 각기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광학 판단부(4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쪽에 각기 별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후면 쪽에 제1 광학 판단부(401)가 구비되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후면 쪽에 제2 광학 판단부(402)가 구비되며,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3)의 후면 쪽에 제3 광학 판단부(403)가 구비되고,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4)의 후면 쪽에 제4 광학 판단부(40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내지 제4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1, 102, 103, 104)의 후면에 각기 중앙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캐비닛(20)의 개구부(20a)에 광학 판단부(40)가 위치하여 광학 판단부(40)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얇은 두께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 판단부(40)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을 기준으로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 광학 판단부(401, 402)에 대한 설명은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3 또는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3, 104)) 및 이에 대응하는 또 다른 광학 판단부(예를 들어, 제3 또는 제4 광학 판단부(403, 404))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광학 판단부(401)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후면에 고정되며 제1 발광 소자(121)에 대응하는 제1 서브 발광 소자(4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학 판단부(401)가, 제1 서브 발광 소자(421)가 실장되는 서브 회로 기판(420)과,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는 제1 센서(441)와, 적어도 제1 서브 발광 소자(421) 및 제1 센서(441)를 덮는 제1 케이스(4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학 판단부(401)가 확산 부재(48), 단열부(49)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 발광 소자(421)는 제1 발광 소자(121)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 발광 소자(421)가 제1 발광 소자(121)에 대응한다고 함은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와 제1 발광 소자(121)가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되거나 동일 회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시기에 생산되어 제공된 제품으로 구성되어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면서 발광 또는 열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발광 소자(421)는 각 픽셀(PXL)에 구비되는 제1 발광 소자(121)와 동일한 종류, 색상, 개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소자(121)가 각 픽셀(PXL)에 대응하도록 제1 적색 발광 소자(121R), 제1 녹색 발광 소자(121G) 및 제1 청색 발광 소자(121B)를 포함하면, 제1 서브 발광 소자(421)가 제1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1R), 제1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1G) 및 제1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학 판단부(40)에서 제1 서브 발광 소자(421)는 하나의 픽셀(PXL) 또는 복수의 픽셀(PXL)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121)가 복수의 픽셀(PXL)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 구비되는 제1 발광 소자(121) 또는 복수의 픽셀(PXL)의 개수에 대한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개수 또는 이에 의한 픽셀(PXL)의 개수의 비율이 10% 이내(일 예로, 5% 이내)일 수 있다.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개수가 증가되면, 비용 증가, 소비 전력 증가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개수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회로 기판(420)은, 제1 서브 발광 소자(421)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와 회로 기판(110) 및/또는 회로부(30)를 연결하는 배선, 회로 패턴, 회로 부재 등을 구비하여 제1 서브 발광 소자(421)를 회로 기판(110) 및/또는 회로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발광 소자(421)가 실장된 서브 회로 기판(42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 구비되며 제1 발광 소자(121)가 실장된 회로 기판(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서브 회로 기판(420)에 실장된 제1 발광 소자(121)의 발광 특성, 열화 특성 등의 다양한 특성과 회로 기판(110)에 실장된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발광 특성, 열화 특성 등의 다양한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경향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 구비되는 제1 발광 소자(121)가 실장된 회로 기판(110)의 잔여 부분, 일부 부분 등을 제1 서브 발광 소자(421)가 실장된 서브 회로 기판(420)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광학 판단부(401)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제1 케이스(461)의 내부에서 제1 센서(441)가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와 서로 대향하도록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441)가, 센서 회로 기판(44b)과, 센서 회로 기판(44b)에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 센서부(44a)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와 제1 센서(441)의 광 센서부(44a)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에서 방출된 광이 제1 센서(441)의 광 센서부(44a)에 충분하게 입사되도록 하여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광학 특성을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441)는 제1 서브 발광 소자(421)로부터 방출된 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학 특성 결과를 회로부(30)(일 예로, 교정 회로부(32))에 전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센서(441)가 제1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1R)에서 방출된 적색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적색광의 광학 특성, 제1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1G)에서 방출된 녹색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녹색광의 광학 특성, 제1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B)에서 방출된 청색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청색광의 광학 특성,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R, 421G, 421B)에서 방출된 백색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백색광의 광학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441)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 방식 등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제1 센서(441)의 위치, 배치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와 제1 센서(441) 사이에 확산 부재(48)가 위치할 수 있다. 확산 부재(48)는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광을 확산하여 제1 센서(441)에서 안정적이고 정밀한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제1 서브 발광 소자(421)가 제1 발광 소자(121)와 동일한 광학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보정 또는 보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산 부재(48)는 다양한 물질, 형상, 구조 등을 가지는 확산 시트, 확산 플레이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회로 기판(420)과 회로 기판(110) 사이에 단열부(49)가 위치할 수 있다. 단열부(4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물질을 포함하는 시트 등의 형상을 가지는 단열 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에어 갭(air ga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로 기판(110)과 서브 회로 기판(420) 사이에 단열부(49)가 위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광학 판단부(40)에 의한 열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단열부(49)가 단열 접착 시트로 구성되면 단열부(49)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110)과 서브 회로 기판(42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단열 특성을 향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회로 기판(110)의 후면에 서브 회로 기판(420), 제1 서브 발광 소자(421), 제1 센서(441) 등을 덮는 제1 케이스(46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461)는 외부 먼지 유입 등을 방지하여 제1 센서(441)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제1 서브 발광 소자(421), 제1 센서(441), 서브 회로 기판(42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케이스(461)는 수지, 금속 등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46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과 평행한 바닥면(46a)과, 바닥면(46a)의 가장자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측면(46b)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인접한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케이스(461)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좀더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110))에 접착 테이프, 스크류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스(461)의 내부에 위치한 서브 회로 기판(420), 제1 센서(441)가 접착 테이프, 스크류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회로 기판(110), 제1 케이스(461) 등에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확산 부재(48), 단열재(49) 등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회로 기판(110), 제1 케이스(461), 서브 회로 기판(420), 제 센서(441) 등에 물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서브 회로 기판(420)과 회로 기판(110)을 별도의 배선 및 커넥터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센서 회로 기판(44b)과 회로 기판(110)을 별도의 배선 및 커넥터로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서브 회로 기판(420)이 회로 패턴, 별도의 배선, 커넥터, 케이블 등에 의하여 회로 기판(110) 및/또는 회로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센서 회로 기판(44b)이 회로 패턴, 별도의 배선, 커넥터, 케이블 등에 의하여 회로 기판(110) 및/또는 회로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로부(30)가 회로 기판(110), 서브 회로 기판(420) 및 센서 회로 기판(44b)을 통하여 제1 발광 소자(121), 제1 서브 발광 소자(421) 및 제1 센서(441)을 구동 및 제어하여 광학 교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광학 판단부(402)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후면에 고정되며 제2 발광 소자(122)에 대응하는 제2 서브 발광 소자(4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학 판단부(402)가, 제2 서브 발광 소자(422)가 실장되는 서브 회로 기판(420)과, 제2 서브 발광 소자(422)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는 제2 센서(442)와, 적어도 제2 서브 발광 소자(422) 및 제2 센서(442)를 덮는 제2 케이스(4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학 판단부(402)가 확산 부재(48), 단열부(49)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서브 발광 소자(422)는 제1 발광 소자(122)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서브 발광 소자(422)가 제1 발광 소자(122)에 대응한다고 함은 제1 서브 발광 소자(422)와 제2 발광 소자(122)가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되거나 동일 회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시기에 생산되어 제공된 제품으로 구성되어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면서 발광 또는 열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2 서브 발광 소자(422)는 각 픽셀(PXL)에 구비되는 제2 발광 소자(122)와 동일한 종류, 색상, 개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 소자(122)가 각 픽셀(PXL)에 대응하도록 제2 적색 발광 소자(122R), 제2 녹색 발광 소자(122G) 및 제2 청색 발광 소자(122B)를 포함하면, 제2 서브 발광 소자(422)가 제1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2R), 제2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2G) 및 제2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 발광 소자(422)가 실장된 서브 회로 기판(420)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구비되며 제2 발광 소자(122)가 실장된 회로 기판(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서브 회로 기판(420)에 실장된 제2 발광 소자(122)의 발광 특성, 열화 특성 등의 다양한 특성과 회로 기판(110)에 실장된 제2 서브 발광 소자(422)의 발광 특성, 열화 특성 등의 다양한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경향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구비되는 제2 발광 소자(122)가 실장된 회로 기판(110)의 잔여 부분, 일부 부분 등을 제2 서브 발광 소자(422)가 실장된 서브 회로 기판(420)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광학 판단부(402)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센서(442)는 제2 서브 발광 소자(422)로부터 방출된 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학 특성 결과를 회로부(30)(일 예로, 교정 회로부(32))에 전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센서(442)가 제2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2R)에서 방출된 적색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적색광의 광학 특성, 제2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2G)에서 방출된 녹색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녹색광의 광학 특성, 제2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B)에서 방출된 청색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청색광의 광학 특성,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R, 422G, 422B)에서 방출된 백색광의 휘도, 색좌표 등의 백색광의 광학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그 외 제2 광학 판단부(402)의 서브 회로 기판(420), 제2 서브 발광 소자(422), 제2 센서(442), 확산 부재(48), 단열부(49), 제2 케이스(462) 등에 대해서는 제1 광학 판단부(401)의 서브 회로 기판(420), 제1 서브 발광 소자(421), 제1 센서(441), 확산 부재(48), 단열부(49), 제1 케이스(461) 등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1 또는 제2 광학 판단부(401, 402)에 대한 설명이 또 다른 광학 판단부(40)(예를 들어, 제3 광학 판단부(403), 제4 광학 판단부(404) 등)에 대응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서브 발광 소자(4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수평하게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수직하게 광을 방출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회로 기판(110)의 후면에 이와 평행하게 고정된 서브 회로 기판(420)에 서브 발광 소자(42)가 실장되어 후방으로 광을 방출하고, 이에 대향하는 케이스(46)의 바닥면(46a)의 내면에 센서(44)가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 판단부(40)의 발광 소자(42), 서브 회로 기판(420), 센서(44) 등의 배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발광 소자(4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수평하게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과 평행하게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서브 회로 기판(420)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교차하도록(일 예로, 수직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센서(44)가 이의 반대편에서 이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회로 기판(420)이 케이스(46)의 상부 쪽에 위치하고 서브 회로 기판(420)의 하부면에 서브 발광 소자(42)가 위치하여 하부 쪽으로 광을 방출하고, 센서(44)가 케이스(46)의 하부 쪽에 위치하며 광 센서부(44a)가 상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회로 기판(420), 센서(44)는 케이스(46)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법, 구조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확산 부재(48)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케이스(46), 서브 회로 기판(420), 센서(44) 등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반대로 센서(44)가 상부에 위치하고 서브 회로 기판(420)이 하부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에서는 단열부(49)가 구비되지 않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로부(30)는 캐비닛(20)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명확한 이해 및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도 2에서는 회로부(30)를 하나의 부분으로 도시하였으나, 회로부(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동하는 다양한 회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3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보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30a)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30)의 케이블(30a)의 커넥터를 각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케이블 커넥터(124a)에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회로부(3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좀더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부(30)와 디스플레이 모듈(10)과의 연결 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회로부(30)는 광학 판단부(40)에 의하여 감지 및/또는 판단되어 전달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구동, 전류 등을 제어하는 교정 회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로부(30) 또는 교정 회로부(32)가 서브 회로 기판(420)을 통하여 서브 발광 소자(42)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센서 회로 기판(44b)을 통하여 센서(44)를 구동하고, 센서(44)가 감지하여 판단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광학 특성을 전달받아 회로 기판(110)을 통하여 발광 소자(120)를 제어하여 광학 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교정 회로부(32)를 회로부(30)의 일부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교정 회로부(32)가 회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개의 회로 부분이거나 회로 기판(110), 서브 회로 기판(420), 센서 회로 기판(44b) 등에 구비된 회로 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캐비닛(20)과 회로부(30)의 후방에 백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백커버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회로부(30)가 캐비닛(20)과 백커버 사이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하거나 다양한 위치에 고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광학 판단부(40) 및 회로 교정부(32)를 포함하는 광학 교정부(OSP)를 이용한 광학 교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최초로 설치하고 회로부(30) 또는 교정 회로부(32)가 각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120)와 동일한 구동 조건으로 서브 발광 소자(42)를 구동한다.
즉, 회로부(30) 또는 교정 회로부(32)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1R, 121G, 121B)를 구동하는 구동 조건으로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R, 421G, 421B)를 구동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서 복수의 제1 적색 발광 소자(121R)에 인가되는 평균 소비 전력에 제1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1R)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1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1R)에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각 제1 적색 발광 소자(121R)와 각 제1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1R)에 동일한 소비 전력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서 복수의 제1 녹색 발광 소자(121G)에 인가되는 평균 소비 전력에 제1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1G)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1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1G)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서 복수의 제1 청색 발광 소자(121B)에 인가되는 평균 소비 전력에 제1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B)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1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B)에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회로부(30) 또는 교정 회로부(32)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2R, 122G, 122B)를 구동하는 구동 조건으로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R, 422G, 422B)를 구동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서 복수의 제2 적색 발광 소자(122R)에 인가되는 평균 소비 전력에 제2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2R)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2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2R)에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서 복수의 제2 녹색 발광 소자(122G)에 인가되는 평균 소비 전력에 제2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2G)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2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2G)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서 복수의 제2 청색 발광 소자(122B)에 인가되는 평균 소비 전력에 제1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B)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2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B)에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제1 센서(441)가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고, 제2 센서(442)가 제2 서브 발광 소자(422)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여, 이를 교정 회로부(32)에 전달한다. 그러면, 교정 회로부(3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1, 102))의 광학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120)(예를 들어,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1R, 121G, 121B) 및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2R, 122G, 122B))의 소비 전력을 각기 계산하여 이를 회로부(30) 및/또는 교정 회로부(132)를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1, 102))에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최초 설치 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비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광학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카메라, 별도의 광학 교정 장치 등을 이용한 광학 교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광학 교정을 위한 구조 및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동할 때 회로부(30) 또는 교정 회로부(32)가 각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120)와 동일한 구동 조건으로 서브 발광 소자(42)를 구동한다.
즉, 회로부(30) 또는 교정 회로부(32)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의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1R, 121G, 121B)를 구동하면서 이와 동일한 구동 조건으로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R, 421G, 421B)를 계속하여 실시간으로 구동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서 복수의 제1 적색 발광 소자(121R)에 인가되는 실시간 평균 소비 전력에 제1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1R)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1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1R)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서 복수의 제1 녹색 발광 소자(121G)에 인가되는 실시간 평균 소비 전력에 제1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1G)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1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1G)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서 복수의 제1 청색 발광 소자(121B)에 인가되는 실시간 평균 소비 전력에 제1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B)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1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B)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회로부(30) 또는 교정 회로부(32)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2R, 122G, 122B)를 구동하면 이와 동일한 구동 조건으로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R, 422G, 422B)를 계속하여 실시간 구동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서 복수의 제2 적색 발광 소자(122R)에 인가되는 실시간 평균 소비 전력에 제2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2R)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2 적색 서브 발광 소자(422R)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서 복수의 제2 녹색 발광 소자(122G)에 인가되는 실시간 평균 소비 전력에 제2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2G)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2 녹색 서브 발광 소자(422G)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서 복수의 제2 청색 발광 소자(122B)에 인가되는 실시간 평균 소비 전력에 제1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B)의 개수를 곱하여 복수의 제2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B)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1, 102)의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1R, 121G, 121B) 및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2R, 122G, 122B)의 색상 변경, 휘도 저하 등의 열화가 발생되면,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1R, 421G, 421B) 및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발광 소자(422R, 422G, 422B)에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게 반영될 수 있다.
정해진 시간마다 또는 연속적으로 제1 센서(441)가 제1 서브 발광 소자(421)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고, 제2 센서(442)가 제2 서브 발광 소자(422)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여, 이를 교정 회로부(32)에 전달한다. 그러면, 교정 회로부(3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1, 102))의 광학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120)(예를 들어, 제1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1R, 121G, 121B) 및 제2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소자(122R, 122G, 122B))의 소비 전력을 각기 계산하여 이를 회로부(30) 및/또는 교정 회로부(132)를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1, 102))에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비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광학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카메라, 별도의 광학 교정 장치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광학 교정을 할 수 있어 지속적인 자동 광학 교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100)를 사용하는 중에 광학 교정을 위한 별도의 작업 없이 자동 광학 교정이 가능하여 지속적으로 균일한 화면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1, 102)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외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3),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4) 등)이 구비된 경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전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구동 및 제어하여 전체적으로 광학 교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의하면, 광학 교정부(OCP)를 구비하여 별도의 카메라, 별도의 광학 교정 장치의 설치, 연결 등의 작업 없이 최초 설치 시 광학 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동하면서 발생하는 광학 특성의 변화를 감지 및 판단하여 실시간 및 자동으로 광학 교정을 하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간단한 구동 방식으로 최초 설치 시, 그리고 구동 중에 실시간 및 자동으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광학 교정을 할 수 있어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화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와 아래의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들을 서로 결합한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광학 판단 모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잘라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판단부(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별개로 위치하는 광학 판단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판단 모듈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별개로 위치한다고 함은 광학 판단 모듈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부분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판단부(40)는 회로부(도 1의 참조부호 30, 이하 동일) 또는 교정 회로부(도 1의 참조부호 32, 이하 동일)와 다양한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학 교정에 필요한 정보를 감지 및 판단하여 회로부(30) 또는 교정 회로부(32)에 제공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광학 판단부(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120)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42), 그리고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42)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판단부(40)는 공통 회로 기판(420a), 서브 회로 기판(420), 케이스(46), 확산 부재(48), 전면 케이스(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학 판단부(40)는 단열부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응하는 광학 판단부(4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별개로 구비되는 광학 판단 모듈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광학 판단 모듈에 제1 디스플레이 모듈(101)에 포함되는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서브 발광 소자(421)가 구비되는 제1 광학 판단부(40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포함되는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서브 발광 소자(422)가 구비되는 제2 광학 판단부(402)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그 외 제3 디스플레이 모듈(103)에 포함되는 제3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3 서브 발광 소자가 구비되는 제3 광학 판단부(403), 제4 디스플레이 모듈(104)에 포함되는 제4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4 서브 발광 소자가 구비되는 제4 광학 판단부(404) 등이 더 구비되면 이들도 하나의 광학 판단 모듈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광학 판단 모듈은 공통 회로 기판(420a)을 구비하고, 공통 회로 기판(420a)에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 포함되는 서브 회로 기판(420), 서브 발광 소자(42), 확산 부재(48), 케이스(46) 등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서브 회로 기판(420)의 전면에 전면 케이스(460)를 더 구비하여 광학 판단 모듈을 좀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전면 케이스(460)가 케이스(46)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래치 구조를 가져 케이스(46)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면 케이스(460)는 접착 테이프, 스크류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케이스(46), 공통 회로 기판(420a) 등에 고정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공통 회로 기판(420a)은,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회로 기판(420) 및 이에 실장된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42)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42)와 회로 기판(도 1의 참조부호 110, 이하 동일) 및/또는 회로부(30)를 연결하는 배선, 회로 패턴, 회로 부재, 케이블 커넥터(124c) 등을 구비하여 복수의 서브 발광 소자(42)를 회로 기판(110) 및/또는 회로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같이,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 각기 대응하도록 복수의 케이스(461, 462)가 구비되고, 확산 부재(48) 등이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 각기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 중에 수리, 교체 등이 필요한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가 있으면 해당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만 수리, 교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케이스(461, 462)는 공통 회로 기판(420a)의 후면에 접착 테이프, 스크류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변형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46)로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 전체적으로 대응하는 단일의 일체 구조를 가지는 공통 케이스(460a)가 구비되고, 확산 부재(48) 등이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 전체적으로 대응하도록 단일의 일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는 공통 회로 기판(420a) 외에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 대응하는 서브 회로 기판(420)을 별개로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 기판(110)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공통 회로 기판(420a) 위에 복수의 발광 소자(42)(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발광 소자(421, 422, 423, 424))를 함께 실장하여 공통 회로 기판(420a)에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는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에서 공통 회로 기판(420a)의 후면에 이와 평행하게 서브 회로 기판(420)이 고정되고, 케이스(46)의 바닥면의 내면에 센서(44)가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 판단부(40)의 서브 회로 기판(420), 센서(44) 등의 배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서브 회로 기판(420)이 공통 회로 기판(420a)의 후면과 교차하도록(일 예로, 수직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센서(44)가 이의 반대편에서 이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그리고 도 7을 참조한 실시예들은 광학 판단부(4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별개로 위치하는 광학 판단 모듈에 위치하는 것만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상술한 광학 판단부(40) 및 회로 교정부(32)를 포함하는 광학 교정부(도 1의 참조부호 OSP)를 이용한 광학 교정의 구동 또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광학 판단부(401, 402, 403, 404)를 하나의 광학 판단 모듈에 함께 구비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등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좀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간단한 구동 방식으로 최초 설치 시 및 실시간으로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광학 교정을 할 수 있어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화질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디스플레이 모듈
20: 캐비닛
30: 회로부
32: 교정 회로부
40: 광학 판단부
OCP: 광학 교정부

Claims (11)

  1. 서로 연결되어 화면을 구성하며 각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학 교정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각기 포함되는 상기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감지 또는 판단하는 광학 판단부를 포함하는 광학 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판단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서브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광학 판단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서브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2 광학 판단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판단부는, 상기 제1 서브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 판단부는, 상기 제2 서브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교정부는, 상기 제1 광학 판단부와 상기 제2 광학 판단부로부터 상기 제1 서브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서브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전달받아 광학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교정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회로부는 상기 제1 서브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서브 발광 소자 각각에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발광 소자와 각기 동일한 소비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광학 교정부는 실시간 또는 자동으로 광학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판단부는,
    상기 제1 서브 발광 소자가 실장되는 서브 회로 기판; 및
    상기 제1 서브 발광 소자 및 상기 제1 센서를 덮는 제1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발광 소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수평 또는 수직하게 위치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서로 연결되어 화면을 구성하며 각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별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학 교정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각기 포함되는 상기 발광 소자의 광학 특성을 감지 또는 판단하는 광학 판단부를 포함하는 광학 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판단부는,
    공통 회로 기판, 상기 공통 회로 기판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1 서브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1 광학 판단부; 및
    상기 공통 회로 기판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2 서브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제2 광학 판단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판단부가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1 광학 판단부 및 상기 제2 광학 판단부에 각기 대응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1 광학 판단부 및 상기 제2 광학 판단부에 전체적으로 대응하는 공통 케이스로 구성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90126618A 2019-10-14 2019-10-14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6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18A KR102266972B1 (ko) 2019-10-14 2019-10-14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18A KR102266972B1 (ko) 2019-10-14 2019-10-14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703A KR20190123703A (ko) 2019-11-01
KR102266972B1 true KR102266972B1 (ko) 2021-06-17

Family

ID=6853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618A KR102266972B1 (ko) 2019-10-14 2019-10-14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346B1 (ko) * 2022-07-07 2022-10-21 주식회사 미디어밸리 전력효율 및 화질이 개선된 led전광판
US11977808B2 (en) 2020-08-13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629A (ko) 2019-11-04 202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12B1 (ko) 2007-02-09 2014-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발생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578783B1 (ko) * 2014-11-07 2015-12-18 ㈜판타룩스 휘도값 자동 보정 시스템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064A (ko) * 2008-10-28 201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보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광학보정방법
KR102418607B1 (ko) * 2017-06-23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12B1 (ko) 2007-02-09 2014-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발생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578783B1 (ko) * 2014-11-07 2015-12-18 ㈜판타룩스 휘도값 자동 보정 시스템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7808B2 (en) 2020-08-13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KR102457346B1 (ko) * 2022-07-07 2022-10-21 주식회사 미디어밸리 전력효율 및 화질이 개선된 led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703A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972B1 (ko) 모듈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421626B1 (ko) 광원 유닛,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KR101156271B1 (ko) 조명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US8287149B2 (en)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same
JP6141347B2 (ja)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TWI428670B (z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backlighting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097541A1 (en) Led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090150A (zh) 背光源和使用该背光源的显示装置
JP2011134474A (ja) 面発光装置
JP2007165632A (ja) Led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60253935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180594B1 (ko) 곡면설치용 모듈과 프레임이 구비된 엘이디 전광판
KR20210075820A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3807934B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3005520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1292A (ko)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041744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EP3690523A1 (en) Display device
KR20080073950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295144B1 (ko) 백라이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199281B2 (en) Back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5440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323246B (zh)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驱动方法
KR101404651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3015037A1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