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803A -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단말, 서버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단말,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803A
KR20220020803A KR1020217038492A KR20217038492A KR20220020803A KR 20220020803 A KR20220020803 A KR 20220020803A KR 1020217038492 A KR1020217038492 A KR 1020217038492A KR 20217038492 A KR20217038492 A KR 20217038492A KR 20220020803 A KR20220020803 A KR 20220020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terminal
information
server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스케 하마사코
요스케 마사키
Original Assignee
라인 페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페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페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1Detail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의 정보 처리 방법은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서버로부터 단말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를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에 관한 처리를 제어부에 의해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결제는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실행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단말, 서버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단말,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단말 또는 단말 사용자의 전자 화폐(전자 머니)의 관리나 전자 화폐에 의한 결제 등을 실현하는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상품의 구매 금액을 결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 화폐에 의한 결제는, 예를 들어, 단말의 통신 환경이나 통신 상황에 따라서는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 등, 사용하기 불편한 경우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6671호 공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의 정보 처리 방법은,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서버로부터 단말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를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에 관한 처리를 제어부에 의해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결제는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서버로부터 단말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를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결제는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은,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를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결제는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에 근거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되, 프로세서는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서버로부터 단말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와, 제 1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결제는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를 관리하는 서버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결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단말에 제 1 코드 정보를 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것과,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진 제 1 유효 기한과 수신된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제어부에 의해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르면,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를 관리하는 서버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결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단말에 제 1 코드 정보를 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것과,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진 제 1 유효 기한과 수신된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기초하여 결제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르면,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를 관리하는 서버는,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저장하는 저장부와, 결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단말에 제 1 코드 정보를 송신하고,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진 제 1 유효 기한과 수신된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기초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따르면,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를 관리하는 서버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에 근거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되, 프로세서는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와, 결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단말에 제 1 코드 정보를 송신하여,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진 제 1 유효 기한과 수신된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근거하는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도 1]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매장 POS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각종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2]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각종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1] 제 1 실시예에 관한 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 제 1 실시예에 관한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3] 제 1 실시예에 관한 사용자 등록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 제 1 실시예에 관한 매장 등록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 제 1 실시예에 관한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 제 1 실시예에 관한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7] 제 1 실시예에 관한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8] 제 1 실시예에 관한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9] 제 1 실시예에 관한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0] 제 1 실시예에 관한 결제용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1] 제 1 실시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2] 제 1 실시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3] 제 1 실시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4] 제 1 실시예에 관한 각종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15] 제 1 변형예에 관한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6] 제 1 변형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7] 제 1 변형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8] 제 1 변형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9] 제 1 변형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0] 제 1 변형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1] 제 1 변형예에 관한 단말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2] 제 1 실시예에 관한 각종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1] 제 2 실시예에 관한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2] 제 2 실시예에 관한 각종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3] 제 2 변형예에 관한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4] 제 2 변형예에 관한 코드 갱신 조건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5] 제 2 변형예에 관한 각종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1] 제 3 실시예에 관한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2] 제 3 실시예에 관한 계정별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1] 제 4 실시예에 관한 제 1 코드 표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2] 제 4 실시예에 관한 제 2 코드 표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3] 제 4 실시예에 관한 제 3 코드 표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 제 5 실시예에 관한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법적 사항의 준수>
본 명세서에 기재된 공개는 통신 비밀 등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실시국의 법적 사항 준수를 전제로 하는 것임을 유의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 등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와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 …)과 매장 POS 시스템(40)이 접속된다.
서버(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20)에, 단말(20) 사이에서의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송수신을 실현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10)는 단말(20)과 통신을 행하여 전자 결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의 일례)를 실현하는 서비스(이하, 「결제 서비스」라고 함)를 제공한다. 또,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단말(2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30)는 하나 이상의 단말(20)과 하나 이상의 서버(10)와 하나 이상의 매장 POS 시스템(40)을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네트워크(30)는 상기의 각종 장치가 접속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30)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은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라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네트워크(3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가상 프라이빗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 VPN),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LAN(wireless LAN: W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무선 WAN(wireless WAN: WWAN), 대도시권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인터넷의 일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의 일부, 휴대 전화망,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무선 LAN,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등록 상표)), 위성 통신 등,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은 각 실시 형태에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단말이라면 어떤 단말이라도 좋다. 단말(20)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스마트폰, 휴대 전화(피처폰), 컴퓨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케이블, 위성 세트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휴대용 컴퓨터 장치(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웨어러블 단말(안경형 장치, 시계형 장치 등)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20)은 정보 처리 단말이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단말(20A), 단말(20B) 및 단말(20C)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2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 X가 사용하는 단말을 단말(20X)로 표현하고, 사용자 X 또는 단말(20X)에 대응 지어진, 소정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X로 표현한다. 또, 사용자 정보는 소정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어카운트에 대응 지어진 사용자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소정 서비스에 의해 부여되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아이콘 이미지,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취미 취향, 사용자의 식별자 등의 사용자에게 대응 지어진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 정보 처리 장치, 정보 관리 장치의 일례)는 단말(20)에 대하여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서버(10)는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라면 어떤 장치라도 좋다. 서버(1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 장치, 컴퓨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휴대용 컴퓨터 장치(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DA,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혹은 다른 종류의 컴퓨터나 통신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0)는 정보 처리 장치로 표현되어도 좋다. 서버(10)와 단말(20)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서버(10)와 단말(20)은 각각 정보 처리 장치로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 서버(10)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매장 POS 시스템(40)은 서버(10)를 운용하는 사업자와 제휴하고 있는 매장에 도입되어 사용되는 POS 시스템이다.
이 매장 POS 시스템(40)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와 코드 레지스터(60)와 매장 서버(70)가 포함된다.
[각 장치의 하드웨어(HW) 구성]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HW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단말의 HW 구성
도 1은 단말(20)의 HW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20)은 제어부(21)(CPU: 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 저장부(28), 통신 I/F(22)(인터페이스), 입출력부(23), 표시부(24), 마이크(25), 스피커(26), 카메라(27), 시계부(29A), 위치 산출용 정보 검출부(29B)를 구비한다. 단말(2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B)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또, 단말(20)의 HW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은 마이크(25), 카메라(27) 등, 개개의 구성 요소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 간에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 등의 각종 장치와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이 있다. 통신 I/F(22)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부(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서버(10) 등의 각종 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22)는 서버(10) 등의 각종 장치로부터 송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22)를 단순히 통신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22)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된 경우에는 통신 회로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입출력부(23)는 단말(2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 및 단말(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입출력부(23)는 입력부와 출력부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고, 입력부와 출력부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취하여,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력부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키보드 등의 하드웨어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부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스피커(음성 출력), 렌즈(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3D(three dimensions) 출력이나 홀로그램 출력),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24)는 프레임 버퍼에 기입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부(24)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프로젝션 매핑, 홀로그램, 공기중 등(진공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음)에 이미지나 텍스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 이러한 표시부(24)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입출력부(23)가 터치 패널인 경우, 입출력부(23)와 표시부(24)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시계부(29A)는 단말(20)의 내장 시계이며, 시각 정보(계시 정보(計時情報))를 출력한다. 시계부(29A)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수정 발진기를 이용한 시계 등으로 구성된다. 시계부(29A)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계시부나 시각 정보 검출부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또, 시계부(29A)는 NITZ(Network Identity and Time Zone) 규격 등을 적용한 클럭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위치 산출용 정보 검출부(29B)는 제어부(21)가 자신의 단말(20)의 위치를 산출(측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이하, 「위치 산출용 정보」라고 칭함)를 검출(측정)하는 기능부이다. 위치 산출용 정보 검출부(29B)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위치 계산용 센서부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위치 산출용 정보 검출부(29B)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20)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센서나 유닛인 위성 위치 센서(위성 측위 유닛)나, 관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20)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센서나 유닛인 관성 측정 센서(관성 측정 유닛(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등을 포함한다.
위성 측위 유닛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서 수신된 측위용 위성으로부터 발신되는 측위용 위성 신호를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RF 수신 회로나, RF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상관 연산 처리 등을 행하여 측위용 위성 신호를 포착하고, 측위용 위성 신호로부터 취출한 위성 궤도 데이터나 시각 데이터 등의 정보를 위치 산출용 정보로서 출력하는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 등을 구비한다.
관성 측정 장치는 관성 항법 연산에 의해 단말(20)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인 관성 센서를 구비한다. 관성 센서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3축 가속도 센서나 3축 자이로 센서가 포함되어,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와 자이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각속도를 위치 산출용 정보로 출력한다.
제어부(2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구비하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이 때문에, 제어부(21)는 제어 회로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2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한다.
저장부(28)는 단말(20)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저장부(28)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의 각종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28)는 메모리(memory)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단말(20)은 프로그램(P)을 저장부(28)에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21)가 제어부(21)에 포함되는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저장부(28)에 저장되는 프로그램(P)은 제어부(21)가 실행하는 기능을 단말(20)에 실현시킨다. 또한, 이 프로그램(P)은 프로그램 모듈이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마이크(25)는 음성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된다. 스피커(26)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에 이용된다. 카메라(27)는 동영상 데이터 취득에 이용된다.
(2) 서버의 HW 구성
도 1에는 서버(10)의 HW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서버(10)는 제어부(11)(CPU), 저장부(15), 통신 I/F(14)(인터페이스), 입출력부(12), 디스플레이(13), 시계부(19)를 구비한다. 서버(1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B)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또, 서버(10)의 HW는 서버(10)의 HW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의 HW는 디스플레이(13)를 제외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1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구비하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1)는 대표적으로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며, 그 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코어, 멀티프로세서, ASIC FPGA라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1)는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5)는 서버(10)가 작동하는 데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저장부(15)는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의 각종 저장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15)는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저장부(15)는 메모리(memory)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 간에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 등의 각종 장치와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I/F(14)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부(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단말(20) 등의 각종 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14)는 단말(20) 등의 각종 장치로부터 송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14)를 단순히 통신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14)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된 경우에는 통신 회로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입출력부(12)는 서버(1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취하여,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12)는 대표적으로 키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웨어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로 실현된다. 또, 입출력부(12),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이나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서, 입출력부(12)는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13)는 대표적으로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로 실현된다. 또, 디스플레이(13)는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 이들 디스플레이(13)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13)는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시계부(19)는 서버(10)의 내장 시계이며, 시각 정보(계시 정보)를 출력한다. 시계부(19)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 클럭으로서의 RTC(Real Time Clock)나 시스템 클럭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시계부(19)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계시부나 시각 정보 검출부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3) 매장 POS 시스템 구성
도 2는 매장 POS 시스템(40)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매장 POS 시스템(40)은 서버(10)를 운용하는 사업자와 제휴하고 있는 매장에 도입되어 사용되는 POS 시스템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와 코드 레지스터(60)와 매장 서버(70)를 포함한다.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는 POS 통신 I/F(57)(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매장의 유선 통신 I/F나 무선 통신 I/F)에 의해 코드 레지스터(60)나 매장 서버(70)와 통신 접속되고, 코드 레지스터(60)에서의 회계 시에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판독한 것에 기초하여, 결제 요구 정보를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하고, 서버(10)에서 결제가 이루어진 후, 결제 결과에 관한 정보(예컨대, 후술하는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를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로부터 수신한다.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제어부(51)와 입출력부(52)와 표시부(53)와 통신 I/F(54)와 저장부(55)와 사운드 출력부(56)와 POS 통신 I/F(57)와 코드 리더(58)와 시계부(59)를 구비한다.
코드 리더(58)는 2차원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코드 리더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고,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제시되는 2차원 코드(예컨대, QR 코드(등록 상표))로서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2차원 코드 리더(예컨대, QR 코드 리더)를 포함한다.
코드 레지스터(6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OS 통신 I/F(57)에 의해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나 매장 서버(70)와 통신 접속되고,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가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에 기초하여, 판매한 상품의 총액이나 단말(20) 사용자의 전자 화폐의 잔액 등의 정보를 인쇄한 영수증을 발행한다. 또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레지스터(60)와 일체로 하여, 또는 코드 레지스터(60)와 별개로 마련되고, 고객 측에 표시면을 향하게 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코드 레지스터(60)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 가능하게 구성된 레지스터이며, 결제 애플리케이션 대응의 거치 단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매장 서버(7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자체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나, 자체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나, 자체 매장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나, 자체 매장에서의 상품 판매나 서비스 제공에 따른 매상에 관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관리한다. 매장 서버(70)는 POS 통신 I/F(57)에 의해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나 코드 레지스터(6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매장 서버(70)는 반드시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와 직접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코드 레지스터(60)를 통해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가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는 코드 레지스터(60)로 전달된 후, 코드 레지스터(60)로부터 매장 서버(70)로 전송되도록 하는 등 할 수도 있다.
(4) 기타
서버(10)는 프로그램(P)을 저장부(15)에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1)가 제어부(11)에 포함되는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저장부(15)에 저장되는 프로그램(P)은 제어부(1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서버(10)에 실현시킨다. 이 프로그램(P)은 프로그램 모듈이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20) 및/또는 서버(10)의 CPU가 프로그램(P)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단말(20)의 제어부(21) 및/또는 서버(10)의 제어부(11)는 제어 회로를 갖는 CPU뿐만 아니라,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 칩,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으로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나 전용 회로에 의해 각 처리를 실현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들 회로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를 하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VLSI, 슈퍼 LSI, 울트라 LSI 등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21)는 제어 회로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P)(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저장 매체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에 프로그램(P)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P)은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기능을 저장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P)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베이스의, 또는 다른 집적 회로(IC)(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HDD(Hard Disk Drive), HHD(Hybrid Hard Drive), 광디스크, ODD(Optical Disk Drive), 광자기 디스크, 광자기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켓, FDD(Floppy Disk Drive), 자기 테이프, SSD(Solid State Drive), RAM 드라이브, 보안 디지털 카드 또는 드라이브,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적절한 경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저장 매체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P)을 저장할 수 있으면, 어떤 장치 또는 매체라도 좋다. 또한, 저장 매체를 메모리(memory)라고 표현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P)을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P)은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서버(10) 및/또는 단말(20)에 제공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한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는 프로그램(P)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단말(2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서버(10)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의 제어부(2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서버(10)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단말(20)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의 제어부(1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단말(20)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판정의 구성은 필수가 아니라, 판정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 소정의 처리가 작동되거나, 판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소정의 처리가 행해지거나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ActionScript, JavaScript(등록 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Objective-C, Java(등록 상표) 등의 컴파일러 언어, HTML5 등의 마크 업 언어 등을 사용하여 실장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적당히 「통신 I/F에 의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것은 장치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제어부(프로세서 등)의 제어에 기초하여, 통신 I/F를 통해(통신부를 통해),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기한」의 용어는 일정 기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기한」의 용어에 대신하여 「기간」의 용어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기한」의 용어를 기간이 종료하는 시각이나 일시(日時)(일정 시각이나 일정한 일시)의 의미로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1 실시예>
최근,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하는 애플리케이션(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 전자 화폐에 의한 전자 결제용 애플리케이션(결제 애플리케이션), 전자 화폐의 송금용 애플리케이션(송금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나, 이들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또는 전체 기능을 집약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이 보급되고 있고, 단말(20) 사용자가 이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전자 화폐에 관한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 사용자가 단말(20)에 저장되어 실행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를 행하는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는 오프라인에서도 결제를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결제 서비스 사업자」라 칭한다. 또, 결제 서비스 사업자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나 서버(10)의 사업자라고 표현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결제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서버(10)가 운용·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적절하게 「Payment App」이라 칭하여 도시·설명한다.
또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은 이른바 메시징 서비스(MS: Messaging Service)의 기능을 갖지 않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도록 하여도 좋고, MS의 기능을 갖는 복합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메시징 서비스에는 단말(20) 사이에서의 간단한 메시지 등의 콘텐츠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MS: Instant Messaging Service)를 포함하여도 좋고,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은 이른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기능을 갖지 않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도록 하여도 좋고, SNS의 기능을 갖는 복합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MS(IMS를 포함함)는 SNS의 하나의 형태(일 형태)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MS와 SNS는 구별하여도 좋고, 구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결제 서비스 사업자와 제휴하고 있는 매장을 「가맹점(가맹 점포)」라고 칭하며, 도 1에서는 「가맹점 S1」, 「가맹점 S2」, …와 같이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자 화폐」란, 물리적 화폐와 구별되는 전자적인 화폐로서, 결제 애플리케이션에서 관리되는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가 소유하는 전자적인 화폐를 의미하고, 「결제」란, 이 전자 화폐를 이용한 전자 결제를 의미한다.
또, 전자 화폐는 「전자 머니」나 「디지털 통화(디지털 화폐)」라고 표현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전자 화폐(전자 머니)」나 「디지털 통화(디지털 화폐)」로서, 법정 통화를 이용하여도 좋고,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전자 화폐(전자 머니)」나 「디지털 통화(디지털 화폐)」는 암호 통화(암호화 자산)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가상 통화에는 쿠폰 등의 물적 화폐를 포함하여도 좋다.
<결제 방법>
(1) 온라인 결제
먼저, 일 양태로서, 온라인 결제 방법에 대하여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온라인」이란, 단말(20)이 서버(10)와 통신 가능인 것을 나타내고, 「온라인 상태」란, 그 온라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온라인 결제」란,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에 의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서는, 단말(20)과 서버(10)의 통신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통신 회사(통신 캐리어)가 설치하는 기지국 등을 개재하여 실현되는, 무선 LAN 통신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제 1 통신 방식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제 1 통신 방식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패킷 통신(소위, 단말(20)에서의 모바일 데이터 통신)이 포함된다.
또한, 통신 방식으로서, 제 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제 2 통신 방식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무선 LAN(예컨대, WiFi(등록 상표))이 포함된다.
또한, 제 1 통신 방식과 제 2 통신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통신 방식에 의해 단말(20)과 서버(10)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온라인 상태」라고 정의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도 3-1은 이 경우에서의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단말(20)의 제어부(21)가 실행하는 처리,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의 제어부(51)가 실행하는 처리, 서버(10)의 제어부(11)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각 처리에서의 각 단계를 알파벳의 대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나타내며, 본 명세서에서는 「단계」의 용어는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순서도는 어디까지나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를 예시하는 것이며, 이하에 설명하는 순서도에서 일부 단계를 실행하지 않아도 좋고, 추가 단계를 삽입하여도 좋다.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의 다른 흐름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선, 제어부(21)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생성을 의뢰하기 위한 코드 생성 의뢰 정보를 통신 I/F(22)에 의해(통신 I/F(22)를 통해) 서버(10)로 송신한다(A110).
이하에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정보」란, 부호화(인코딩) 등에 의해 코드 이미지에 저장되는 정보나 코드 이미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하, 원래의 정보라는 의미에서 「원 정보」라고 칭함)와, 원 정보가 저장된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즉, 「코드 정보」에는 「원 정보」와 「코드 이미지」가 포함된다.
「원 정보」는 「인코딩 정보」나 「저장 정보」 등과 같이 표현하여도 좋고, 그렇게 표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하에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라고 하면, 「코드 정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정의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불과하며,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코드 정보」의 용어를 「원 정보」의 의미로 사용하게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코드」의 용어를 「코드 이미지」의 의미로 사용하게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원 정보의 일례로서, 서버(10)에 의해 코드 생성 의뢰 정보의 송신원의 단말(20)마다, 또는 단말(20) 사용자마다 고유하게 생성되는 번호이고, 소정 자릿수의 무작위 번호인 「결제용 번호」를 예시한다. 결제용 번호는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와 관련지어진 정보이고, 서버(10)에 의한 결제에 사용되는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드 생성 의뢰 정보에 기인하여 서버(10)에 의해 생성되는 결제용 코드를 「단말 표시용 코드」라 칭하고, 이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를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라 칭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에는 상기의 결제용 번호가 저장된다.
결제용 번호나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는 코드 이미지에 의한 결제를 행하기 위한 「제 1 정보」의 일례이며, 서버(10)로부터 송신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의 생성을 서버(10)에 의뢰하는 정보를 코드 생성 의뢰 정보로 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즉, 본 처리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의 생성을 단말(20)로부터 서버(10)에 의뢰하는 것으로 하고, A110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의 생성을 의뢰하는 코드 생성 의뢰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말 표시용 코드」란, 결제 유형 「단말 코드 표시」에서의 결제에 사용되는 코드로 설명한다.
결제 유형 「단말 코드 표시」에서는, 단말(20) 사용자가 매장 등에서 지불할 때, 단말(20)에 저장되어 있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단말(20)에 표시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매장의 코드 레지스터(60)에서 직원에게 제시한다. 그리고, 이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 등으로 판독해 냄으로써 결제를 실현한다.
단말 표시용 코드는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매장 등의 직원에게 제시되는 코드(코드 이미지)이기 때문에, 「제시용 코드」나 「사용자 제시용 코드」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A110에서 송신하는 코드 생성 의뢰 정보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단말(20)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식별 정보(예컨대, 단말 ID), 자신의 단말(20)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 ID),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예컨대, 애플리케이션 ID) 등의 정보가 여기에 포함된다.
통신 I/F(14)에 의해 단말(20)로부터 코드 생성 의뢰 정보를 수신하면(C110), 제어부(11)는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C12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소정의 자릿수(예컨대, 10자리 ~ 12자리 정도의 자릿수)의 무작위 숫자를 발생시키는 방법(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정 자릿수의 무작위 숫자를 결제용 번호로서 발생시킨다. 그리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적어도 결제용 번호를 원 정보로서 포함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결제용 번호를 인코딩(부호화)하고 도형화(이미지화)하여, 2차원 코드(예컨대, QR 코드)의 이미지로 나타내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수신된 코드 생성 의뢰 정보에 포함되는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발생시킨 결제용 번호를 관련지어 저장부(15)에 저장시킨다.
이어서, 제어부(11)는 생성된 단말 표시용 코드(이 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통신 I/F(14)에 의해 단말(20)로 송신한다(C130). 단말(20)은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부터 단말 표시용 코드(이 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수신한다(A130). 이 경우, 제어부(2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수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표시부(24)에 표시한다.
그 후, 표시부(24)에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매장의 직원 등에게 제시되면, 제어부(51)는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코드 리더(58)로 판독하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B150).
그 후, 제어부(51)는 결제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배포)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지어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API) 등을 이용하여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에 액세스하고, 적어도 판독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로부터 디코딩에 의해 취득한 결제용 번호와 매장 또는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하, 「매장 식별 정보」라 칭함)와, 결제 예정인 금액(이하, 「결제 예정 금액」이라 칭함)을 포함하는 결제 요구 정보를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한다(B160).
통신 I/F(14)에 의해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로부터 결제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C160), 제어부(11)는 결제 처리를 행한다(C170). 구체적으로는 수신된 결제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결제용 번호가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져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제 가능」이라고 판정하고, 그 결제용 번호와 관련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의 전자 화폐의 잔액(결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와 관련지어진 전자 화폐의 잔액)(이하, 단지 「잔액」이라 칭함)으로부터 결제 예정 금액을 감산하여 결제한다.
그 후, 제어부(11)는 매장용의 결제 완료 통지(이하,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라고 칭함)를 통신 I/F(14)에 의해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로 송신한다(C180).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결제가 완료(성공)한 취지와, 결제한 일시(결제 일시)와, 결제한 금액(결제 금액) 등의 매장용 결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어부(11)는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이하,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라고 칭함)를 통신 I/F(14)에 의해 단말(20)로 송신한다(C190).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결제가 완료(성공)한 취지와, 결제한 일시(결제 일시), 결제한 매장의 매장 식별 정보(결제 매장 식별 정보), 결제한 금액(결제 금액) 등의 단말용 결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 여기서는 서버(10)에 의한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와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가 서버(10)로부터 송신되는 것으로 하지만, 잔액 부족 등에 의해 서버(10)가 결제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결제를 할 수 없었던 취지의 통지(예컨대, 결제 에러 통지, 결제 NG 통지)를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 및 단말(20)로 송신하도록 하면 좋다.
다른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로부터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B180), 제어부(51)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통신 I/F(22)에 의해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21)는 수신된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에 기초하여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로서 단말(20)에 저장하고 있는 잔액을 갱신한다. 또한, 제어부(21)는 결제 결과를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A190). 그리고, 제어부(21)는 처리를 종료한다.
도 3-2는 단말(20)에서 실행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메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메인 화면은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했을 때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며, 화면 상단에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인 「Payment APP」이 표시되어 있다. 그 아래의 프레임 내에는 잔액(여기에서는, 「3,000엔」)이 표시되어 있으며, 그 옆에는 전자 화폐를 충전(추가)하기 위한 충전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아래에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각종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의 기능 아이콘 중 「코드」로 표시된 아이콘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표시부(24)에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코드 아이콘」이다. 이 코드 아이콘이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터치 조작되면,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코드 생성 의뢰 정보가 송신되고, 서버(10)에 의해 단말 표시용 코드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단말 표시용 코드가 서버(10)로부터 단말(20)로 송신되어, 도 3-3에 나타내는 코드 표시 화면이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된다.
도 3-3은 코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코드 표시 화면에는 화면 상단에 「코드」의 문자가 표시되고, 그 아래에 결제 방법과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포인트와, 그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포인트 탭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아래에는 서버(10)로부터 취득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로서, 바코드로 표시되는 1차원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와 QR 코드로 표시되는 2차원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 QC0이 표시 화면 내의 다른 영역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또한, 바코드 아래에는, 일례로서, 12자리의 결제용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로는 그 코드를 표시하는 기한(이하, 「코드 표시 기한」이라 칭함)이 있다.
코드 표시 기한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에서 단말 표시용 코드가 표시되는 기간이다. 코드 표시 기한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에서 단말 표시용 코드가 표시된(표시가 시작된) 일시로부터 코드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이라 할 수 있다. 코드 표시 시간은 적절히 설정 변경이 가능하지만,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5분」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2차원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 QC0 아래에는 갱신 마크 및 갱신 문자와 함께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이 카운트다운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잔여 시간은 단말(20)의 시계부(29A)에 의해 계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잔여 시간이 「0」으로 되면, 코드 표시 화면은 닫히고, 단말 표시용 코드는 비표시로 된다. 이후에 단말(20) 사용자가 결제를 실행하려는 경우는, 서버(10)로부터 단말 표시용 코드를 재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말(20) 사용자는 코드 표시 기한 내에 도 3-3의 코드 표시 화면을 코드 레지스터(60)로 매장의 직원에게 제시하고,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에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결제를 행한다. 이 경우,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는 전술한 API 등을 이용하여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에 액세스하여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10)에 의해 결제 처리가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온라인 결제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예시했지만, 상기의 처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말(20)과 서버(10)가 통신 가능한 상태(온라인 상태)인 것이 필요하다. 물론,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와 서버(10)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지하 등 전파 상황이 나쁜 곳에서 결제할 경우나, 행사장 등의 회선이 혼잡한 상황에서 결제하는 경우, 단말(20)의 일정 기간(예컨대, 한달)의 통신량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등하여 통신 제한이나 통신의 속도 제한이 걸려 있는 경우 등에서, 단말(20)과 서버(10)가 통신 불능(또는 통신 곤란)으로 되어, 결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상정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결제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2) 오프라인 결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양태로서의 오프라인 결제 방법에 대하여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오프라인」이란, 단말(20)이 서버(10)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오프라인 상태」란, 이 오프라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오프라인 결제」란, 오프라인 상태에서 서버(10)에 의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제로서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는 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4는 이 경우에서의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에 있어서는 전술한 흐름도와 마찬가지이다.
도 3-4의 흐름도는 도 3-1의 흐름도를 오프라인 사양으로 고쳐 기록한 것이다. 도 3-1의 흐름도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온라인 상태에서의 처리 단계(예컨대, A240),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처리 단계(예컨대, A250, B250, B280), 오프라인 상태에서 온라인 상태로 복귀한 경우의 처리 단계(예컨대, A290, C290)가 상이하다.
A130 이후, 제어부(21)는 수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이 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저장부(28)에 스톡(stock)한다(A240).
여기서, 「스톡」은 수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를 나중에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저장부(28)에 저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스톡」을 단순히 「저장」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스톡하는 것을 「단말 표시용 코드를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에 저장시킨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 처리에서는 오프라인 결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로부터 취득한 단말 표시용 코드(이 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단말(20)의 저장부(28)에 스톡(저장)시켜 둔다. 그리고,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결제가 필요하게 된 경우에,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사용하여, 서버(10)와 통신할 필요없이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240 이후, 오프라인 상태로 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단말(20)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이하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오프라인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한다.
(A) 단말(20)에서의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정기적인 타이밍이나 특정 타이밍에, 서버(10)로부터 접속 확인 요구가 단말(20)로 송신되고, 단말(20)로부터는 그 접속 확인 요구에 대하여, 식별 정보(예컨대,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접속 응답이 서버(10)로 송신되도록 한다. 이 경우, 단말(20)의 제어부(21)는, 서버(10)로부터 접속 확인 요구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오프라인 상태로 되었다고 판정한다.
(B) 단말(20)에서의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정기적인 타이밍이나 특정 타이밍에, 단말(20)로부터 식별 정보(예컨대, 애플리케이션 ID)를 포함하는 접속 통지가 서버(10)로 송신되고, 서버(10)로부터는 그 접속 통지에 대하여 접속 확인이 단말(20)로 송신되도록 한다.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접속 통지를 송신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의 제어부(21)는 접속 통지의 송신 에러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에 오프라인 상태로 되었다고 판정한다.
또, 단말(20)이,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을 취득하는 라이브러리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20)의 통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오프라인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오프라인 상태에서, A240에서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표시부(24)에 표시되어(A250), 사용자에 의해 매장의 직원 등에게 제시되면, 제어부(51)는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코드 리더(58)로 판독시키는 제어를 행한다(B250). 그리고, 제어부(51)는 B16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B160 후,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로부터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B280), 수신된 매장용 결제 완료 통지에 기초하여 매장의 직원 등은 오프라인 결제가 완료(성공)한 것을 단말(20) 사용자에게 구두로 통지한다.
C180 이후, 제어부(11)는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를 단말(20)로 송신한다(C290). 그러나, 오프라인 상태에서, 단말(20)은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를 수신할 수 없다. 단말(20)이 온라인 상태로 복귀하면, 서버(10)로부터 송신된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가 단말(20)에서 수신된다. 그리고, 통신 I/F(22)에 의해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21)는 수신된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에 기초하여 결제 결과를 표시부(24)에 표시한다(A290).
이상에 설명한 처리는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처리의 일례이다.
오프라인 결제는, 상기와 같이,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에 의해 생성된 단말 표시용 코드를 단말(20)에 스톡하여 둔다. 그리고, 오프라인 상태로 된 경우, 스톡하여 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행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결제는, 상기와 같이, 서버(10)에 의해 생성된 단말 표시용 코드를 단말(20)에 스톡하여 둔다. 이 경우, 단말(20) 사용자가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고 남겨두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와 단말 표시용 코드가 관련지어지는(연결되는) 시간이 길어져 버린다.
이와 같은 것에 기인하여, 예를 들어, 단말(20)에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가 해커 등에 의해 도난되거나, 단말(20)에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가 단말(20)에 표시되었을 때, 그 코드 이미지가 다른 사용자의 단말(20)의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되는 등으로 인해, 부정 결제에 이용되는 등의 위험이 있다.
<기능 구성>
(1) 서버의 기능 구성
도 4-1은 본 실시예에서의 서버(10)의 제어부(1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단말(20) 사용자가 단말(20)에 저장되어 있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전술한 결제 유형 「단말 코드 표시」에 의한 결제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서버(10)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결제 관리 처리부(111)를 구비한다.
결제 관리 처리부(111)는,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결제 관리 처리 프로그램(151)에 따라, 단말(20)에서 실행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각종 정보나 데이터의 관리나, 단말(20) 또는 단말(20) 사용자의 전자 화폐에 의한 결제를 관리하기 위한 결제 관리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결제 관리 처리부(11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에 의해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부(1111)와, 결제 처리에 의해 결제를 실행하는 결제 처리부(1113)와, 코드 유효 기한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코드 유효 기한 관리 처리부(1115)를 기능부로서 포함한다.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부(111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2차원 코드로 표시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2차원 코드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정보를 갖는 표시 방식의 코드이며, 작은 정사각형을 상하 좌우로 배열시킨 매트릭스형 코드(이하, 「매트릭스 코드」라 칭함)나, 1차원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바코드)를 상하로 복수를 겹친 스택형 코드(이하, 「스택 코드」라 칭함)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간명화를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매트릭스 코드의 일례인 QR 코드(등록 상표)를 단말 표시용 코드의 일례로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와는 달리, QR 코드 이외의 매트릭스 코드로서, SP 코드나 베리코드(vericode), 맥시코드, CP 코드, 카멜레온 코드 등의 코드를 사용해도 좋고,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매트릭스 코드가 아닌 각종 스택 코드를 사용해도 좋고,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부(1111)가, 단말 표시용 코드로서, 2차원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QR 코드) 외에도 1차원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바코드)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것은 매장에 따라서는 2차원 코드의 판독에는 대응하지 않지만, 1차원 코드의 판독에는 대응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결제 처리부(1113)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매장 POS 시스템(40)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4-2는 본 실시예에서의 서버(10)의 저장부(15)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장부(15)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제어부(11)에 의해 판독되고 결제 관리 처리로 실행되는 결제 관리 처리 프로그램(151)이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5)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이터로서, 사용자 등록 데이터(153)와 매장 등록 데이터(155)와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157)와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가 저장된다.
사용자 등록 데이터(153)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20) 및 단말(20) 사용자 등록 데이터이며, 그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 4-3에 나타낸다.
사용자 등록 데이터(153)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사용자명과 단말 전화번호와 단말 메일 어드레스와 애플리케이션 ID와 인증 패스워드와 기타 등록 정보가 관련지어져 저장된다.
사용자명은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20) 사용자의 이름이며, 단말(20) 사용자가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때 등록하는 명칭이 저장된다.
단말 전화번호는 이 사용자명의 사용자 단말(20)의 전화번호이며, 단말(20) 사용자가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 등록하는 단말(20)의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단말 메일 어드레스는 이 사용자명의 사용자 단말(20)의 메일 어드레스이며, 단말(20) 사용자가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 등록하는 단말(20)의 메일 어드레스가 저장된다.
단말 전화번호나 단말 메일 어드레스는 단말(2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하, 「단말 식별 정보」라 칭함)의 일례이다.
애플리케이션 ID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계정(계정 정보)이며,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ID이다. 이 애플리케이션 ID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에 의해 고유 ID가 설정되어 저장된다.
인증 패스워드는 이 사용자명의 사용자 단말(20)에서 결제용 인증 처리(이하, 단지 「인증 처리」라 칭함)를 할 때에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는 인증용 패스워드이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패스워드가 저장된다.
또, 결제용의 인증 처리는 반드시 실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실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인증 패스워드를 등록 데이터(153)에 저장시켜 둘 필요는 없다.
기타 등록 정보는 이 사용자명의 사용자의 기타 등록 정보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결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아이콘의 이미지 데이터인 사용자 아이콘 이미지나 사용자의 프로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매장 등록 데이터(155)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서버(10)의 사업자)와 제휴하고 있는 매장의 등록 데이터이다. 이 매장 등록 데이터(155)의 일례인 매장 등록 데이터(155A)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 4-4에 나타낸다.
매장 등록 데이터(155A)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업종과 매장명과 매장 위치 정보와 매장 POS 시스템 정보와 매장 ID가 매장 정보로서 관련지어져 저장된다.
업종에는 매장의 업종이 저장된다. 이 업종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편의점」, 「슈퍼마켓」, 「약국」, 「선술집」, 「백화점」, 「레스토랑」, 「서점」, 「시계 매장」 등의 다양한 업종이 포함된다.
매장명에는 각 업종 각각에 대하여 그 업종에 포함된(속하는) 매장의 매장명이 저장된다.
매장 위치 정보에는 이 매장명의 매장의 소재지의 위치 정보(이하, 「매장 위치 정보」라 칭함)가 저장된다. 이 매장 위치 정보는 매장의 소재지를 2차원 또는 3차원 위치 좌표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매장의 소재지를 경위도(위도, 경도, 경우에 따라서는 고도)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매장 POS 시스템 정보에는 이 매장에서 사용되는 매장 POS 시스템(4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 매장 POS 시스템 정보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가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나 매장 서버(70)와 통신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매장 POS 시스템(40)은 서버(10)와 연계하여 처리하기 위해,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로부터 제공(배포)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용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전에 취득하여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나 매장 서버(70)에 저장시켜두고, 이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매장에서의 결제 처리용 프로그램으로부터 호출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가 일례이며,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는, 예를 들어, API를 기동하여 서버(10)로의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10)로부터의 정보 수신을 실현한다.
또한, 서버(1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매장의 업종, 매장명, 매장 위치 정보, 매장 POS 시스템 정보 등의 정보를, 그 매장의 매장 서버(70)로부터 수신하여 매장 등록 데이터(155)에 저장시켜 두도록 할 수 있다.
매장 ID는 이 매장명의 매장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 기능하는 ID이다. 이 매장 ID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에 의해 매장마다 고유의 ID가 설정되어 저장된다.
매장 ID는 매장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157)는 각 단말(20)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스택형으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며, 그 일례인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157A)의 구성예를 도 4-5에 나타낸다.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157A)에는 단말(20)마다 또는 단말(20) 사용자마다 생성되는 결제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다.
각 결제 관리 데이터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ID와 잔액과 포인트와 1일 한도 설정 금액과 자동 충전 설정과 결제 내역 데이터가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ID에는 사용자 등록 데이터(153)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ID가 저장된다.
잔액에는 애플리케이션 ID와 관련지어진 잔액이 저장된다.
포인트에는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지어진 각종 서비스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업자와 제휴하고 있는 가맹점에서 적립할 수 있는 포인트가 저장된다. 포인트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1포인트당 1엔 상당의 가치를 갖고, 상품권이나 상품 등으로 교환할 수 있는 것 외에, 결제 애플리케이션에서 현금화하여 결제에 이용할 수도 있다.
1일 한도 설정 금액에는 이 애플리케이션 ID를 소유하는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가 결제에 사용 가능한 금액의 1일당 상한 금액이 저장된다.
자동 충전 설정은 잔액이 얼마 남지 않은 금액(예컨대, 「500엔」)이나 「0 엔」으로 되었을 경우에 전자 화폐를 자동적으로 보충(자동 충전)할지 여부의 설정이며,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자동 충전이 설정된 경우에는 「ON」이 저장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OFF」가 저장된다. 자동 충전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 사용자가 등록하고 있는 은행 계좌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결제 내역 데이터는 이 애플리케이션 ID의 사용자의 결제 내역에 관한 데이터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이 애플리케이션 ID에 대하여, 서버(10)에 의해 결제가 행해진 일시인 결제 일시와, 결제한 매장의 ID인 매장 ID와, 그 매장 ID의 매장명인 결제 매장명과, 결제한 금액인 결제 금액이 관련지어져 시계열로 저장된다.
또, 상기의 결제 관리 데이터에는 반드시 상기의 모든 정보를 저장하게 할 필요는 없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포인트, 1일 한도 설정 금액, 자동 충전 설정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결제 관리 데이터에 저장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결제할 때마다 결제 내역 정보를 단말(20)에 송신하여 단말(20)에 저장시키도록 하여, 서버(10)에는 결제 내역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는 코드(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며, 그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 4-6에 나타낸다.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마다 생성된 코드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다.
각 코드 관리 데이터에는 애플리케이션 ID가 저장됨과 동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생성 일시와 코드 No와 결제용 번호와 코드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져 시계열로 저장된다.
코드 생성 일시에는 시계부(19)에 의해 계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한 일시가 저장된다.
코드 No에는 그 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오래된 순서로 일련 번호가 설정되어 저장된다.
결제용 번호에는 그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할 때 발행한 결제용 번호가 저장된다.
코드 유효 기한은 그 단말 표시용 코드를 사용한 결제를 유효로 하는 기간이며, 생성한 단말 표시용 코드마다 서버(10) 측에서 관리되는 기한이다.
예를 들어, 서버(10)가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한 일시를 「코드 생성 일시」로 하고, 서버(10)에 의해 설정되는 코드의 유효 시간을 「코드 유효 시간」으로 한다. 이 경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생성 일시부터 코드 유효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이 코드 유효 기한 관리 처리부(1115)에 의해 코드 유효 기한으로 설정되어 저장된다.
코드 유효 기한은 서버(10)에 의해 설정되는 기한이며, 그 단말 표시용 코드를 사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기한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 유효 시간은 적절히 설정 변경 가능하지만,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6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과 같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단, 너무 긴 시간을 코드 유효 시간으로 설정하면,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와 단말 표시용 코드가 관련지어지는(연결되는) 시간이 길어져 버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 때문에, 코드 유효 시간은 길어도 24시간 정도로 하면 좋다.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그 단말 표시용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행한 후, 코드 관리 데이터로부터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그 단말 표시용 코드에 관련지어져 있는 코드 유효 기한이 경과한 경우에도 코드 관리 데이터로부터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사용 불가로 된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를 코드 관리 데이터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와 관련지어, 그 단말 표시용 코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사용 가능/사용 불가」를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 불가로 된 단말 표시용 코드에 대해서는 플래그를 「사용 불가」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중, 예를 들어, 코드 생성 일시는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신하여, 또한 이것에 추가하여 사용자 등록 데이터(153)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전화번호 등의 단말 식별 정보를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2) 단말의 기능 구성
도 4-7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의 제어부(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20)은 제어부(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11)를 구비한다.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11)는 저장부(28)에 저장되어 있는 결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281)에 기초하여 결제에 관한 처리를 위한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1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코드 표시 처리부(2113)를 기능부로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제에 관한 처리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서버(10)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단말 표시용 코드의 생성을 서버(10)에 의뢰하는 처리나 생성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함), 서버(10)로부터 취득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스톡하는 처리,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처리(코드 표시 처리),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를 서버(10)로부터 취득하는 처리 등의 결제를 행하고 나서 어떤 관련이 있는 처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제를 행하고 나서 관련이 있는 처리로서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처리 전반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4-8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20)의 저장부(28)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장부(28)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로부터 사전에 다운로드하는 등하여 취득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 결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281)가 저장된다.
결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281)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82)과 결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283)가 포함된다.
결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283)에는 결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결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283)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와 결제용 데이터(2832)와 매장 데이터(2833)가 저장된다.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는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로부터 취득한 단말 표시용 코드가 스톡된 데이터이며, 그 데이터의 일례인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 4-9에 나타낸다.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수신 일시와 코드 No와 코드 데이터와 코드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져 저장된다.
코드 수신 일시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이 그 단말 표시용 코드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일시가 저장된다.
코드 No에는 단말(20)이 그 단말 표시용 코드와 함께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코드 No가 저장된다.
코드 데이터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이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코드 유효 기한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이 단말 표시용 코드와 함께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그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 설정되는 코드 유효 기한이 저장된다.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에 저장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 데이터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그 단말 표시용 코드를 이용하여 서버(10)에 의해 결제 처리가 행해지고, 서버(10)로부터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를 수신한 후(오프라인 결제를 행한 경우에는, 온라인 상태로 복귀하여 서버(10)로부터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를 수신한 후),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로부터 삭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그 단말 표시용 코드에 관련지어져 있는 코드 유효 기한이 경과한 경우에도,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로부터 삭제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사용 불가로 된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를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와 관련지어, 그 단말 표시용 코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사용 가능/사용 불가」를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 불가로 된 단말 표시용 코드에 대해서는 플래그를 「사용 불가」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중, 예를 들어, 코드 수신 일시나 코드 유효 기한은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에 저장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이 서버(10)로부터 단말(20)로 송신되는 것으로 하지만, 이와는 달리,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이 서버(10)로부터 단말(20)로 송신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에는 코드 유효 기한을 저장하지 않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수신 일시와 코드 No와 코드 데이터를 관련지어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변형예에서도 후술한다.
또한, 코드 수신 일시 대신 또는 이것에 더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에 저장시킨 일시(이하, 「코드 저장 일시」라 칭함)를 저장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코드 데이터에는 반드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의 데이터를 저장시켜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 또는 그것에 더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의 원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결제용 번호)를 저장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결제용 데이터(2832)는 단말(20)에 저장되는 결제용 데이터이며, 그 일례인 결제용 데이터(2832A)의 구성을 도 4-10에 나타낸다.
결제용 데이터(2832A)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ID와 포인트와 잔액과 1일 한도 설정 금액과 자동 충전 설정과 결제 내역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21)는, 온라인 상태로 복귀된 후에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에 기초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에 의해 결제된 일시인 결제 일시와, 서버(10)에 의해 결제된 매장의 ID인 매장 ID와, 그 매장 ID의 매장의 명칭인 결제 매장명과, 서버(10)에 의해 결제된 금액인 결제 금액을 관련지어 결제 내역 데이터에 시계열로 저장시킨다.
매장 데이터(2833)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의 매장 등록 데이터(155A)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매장 정보가 저장된다.
매장 데이터(2833)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결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281)의 갱신 타이밍에 서버(10)로부터 최신 매장 정보가 단말(20)로 전달되어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8)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데이터(289)가 저장된다.
단말 데이터(289)는 단말(20)에 관한 데이터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전화번호나 단말 메일 어드레스 등의 단말 식별 정보나 단말(20) 측에서의 각종 설정 정보 등이 이것에 포함된다.
<표시 화면 예>
도 4-11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메인 화면의 구성은, 도 3-2와 마찬가지이며, 여기에서는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코드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도 4-12는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는 코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코드 표시 화면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오프라인 상태에서 도 4-11과 같이 「코드 아이콘」이 터치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이 코드 표시 화면에서는 단말(20)의 저장부(28)에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판독시키고, 그 코드 이미지로서, 바코드로 표시되는 1차원의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와 QR 코드로 표시되는 2차원의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 QC1이 표시 화면 내의 상이한 영역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또한, 1차원의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 아래에는 12 자릿수로 표시되는 결제용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오프라인 결제를 행할 경우, 단말(20) 사용자는 상기의 코드 표시 화면을 코드 레지스터(60)로 매장의 직원에게 제시하고,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에서 판독하는 것으로 결제를 행한다. 이 경우,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판독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로부터 디코딩에 의해 취득한 정보(이 예에서는 결제용 번호)나,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판독한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구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하여 서버(10)가 결제를 수행하게 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도 4-13은 오프라인 상태에서 온라인 상태로 복귀한 후,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단말용 결제 완료 통지에 기초하여 표시부(24)에 표시되는 결제 결과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결제 결과 화면은 도 4-12의 코드 표시 화면의 화면 중앙부에 「결제 완료」의 문자와 함께 「「결제 내역」으로부터 상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결제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아이콘」이 팝업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의 표시 화면 예에서는 단말(20) 사용자가 온라인 상태/오프라인 상태 중 어느 하나인지를 의식하지 않고, 예를 들어, 코드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처리>
도 4-14는 본 실시예에서의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단말(20)의 제어부(21)가 실행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일례인 제 1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의 제어부(51)가 실행하는 매장 결제 처리의 일례인 제 1 매장 결제 처리, 서버(10)의 제어부(11)가 실행하는 결제 관리 처리의 일례인 제 1 결제 관리 처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14의 흐름도는 도 3-4의 흐름도를 일부 고쳐 기록한 것이다. 도 3-4의 흐름도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A330 ~ A350, B350, B360, C320, C330, C370 등의 단계가 상이하다.
이 처리는, 예를 들어,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ID로 설명한다.
C110 이후, 서버(10)의 제어부(11)는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를 행한다(C32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소정의 자릿수(예컨대, 10자리 ~ 12자리 정도의 자릿수)의 무작위 숫자를 발생시키는 방법(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정 자릿수의 무작위 숫자를 결제용 번호로서 발생시킨다. 그리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적어도 결제용 번호를 원 정보로서 포함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결제용 번호를 인코딩(부호화)하고 도형화(이미지화)하여, 2차원 코드(예컨대, QR 코드)의 이미지로 나타내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 중 수신된 코드 생성 의뢰 정보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ID의 코드 관리 데이터에, 시계부(19)의 계시 정보에 근거하는 코드 생성 일시와 설정한 코드 No와 발생시킨 결제용 번호와 생성한 단말 표시용 코드에 대하여 설정한 코드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저장시킨다.
계속해서, 제어부(1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No와 함께 생성한 단말 표시용 코드(이 예에서는 코드 이미지)와, 그 단말 표시용 코드에 대하여 설정한 코드 유효 기한을 통신 I/F(14)에 의해 단말(20)로 송신한다(C330).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부터 단말 표시용 코드(이 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와 코드 유효 기한을 수신하면(A330), 단말(20)의 제어부(21)는 수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이 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스톡한다(A340). 구체적으로는, 수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데이터와 수신된 코드 유효 기한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수신 일시와 관련지어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에 저장시킨다.
오프라인 상태에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코드 표시 조작이 이루어지면, 코드 표시 처리부(2113)가 코드 표시 처리를 행한다(A35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
그 후, 표시부(24)에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매장의 직원 등에게 제시되면, 제어부(51)는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코드 리더(58)로 판독하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B350).
그 후, 제어부(51)는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API) 등을 이용하여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에 액세스하고, 적어도 판독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로부터 디코딩에 의해 취득한 결제용 번호와 매장 식별 정보와 결제 예정 금액과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판독한 시각(이하, 「코드 판독 시각」이라 칭함)을 포함하는 결제 요구 정보를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한다(B360).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로부터 통신 I/F(14)에 의해 결제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C160), 제어부(11)는 결제 처리를 행한다(C370).
구체적으로는 수신된 결제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결제용 번호가 애플리케이션 ID와 관련지어져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수신된 결제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코드 판독 시각이, 그 애플리케이션 ID의 코드 관리 데이터에서의, 그 결제용 번호와 관련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코드 유효 기한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결제 가능」이라고 판정하고,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157A) 중, 그 애플리케이션 ID의 결제 관리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잔액에서 결제 예정 금액을 감산하여 결제한다.
또, 단말(20)에 스톡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는 오프라인 결제뿐만 아니라 온라인 결제로도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즉, 단말(20) 측에서 오프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검출)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온라인 상태/오프라인 상태에 관계없이 단말(20)에 스톡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드>
상기의 처리는 단말(20)이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의 생성을 서버(10)에 의뢰하는 것으로 하고, 서버(10)에 의해 생성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단말(20)로 송신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20)이 원 정보(이 예에서는 결제용 번호)의 생성을 서버(10)로 의뢰하는 것으로 하고, 서버(10)에 의해 생성된 원 정보가 단말(20)로 송신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3-1의 처리에서는, A110에서, 제어부(21)는 원 정보의 생성을 서버(10)에 의뢰하는 코드 생성 의뢰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이 코드 생성 의뢰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1)는 C120에서 원 정보를 생성하고, C130에서 생성한 원 정보를 단말(20)로 송신한다.
A130에서, 원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21)는 수신된 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생성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
마찬가지로, 도 3-4의 처리에서는, A130에서 원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21)는, A240에서, 수신된 원 정보를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스톡되어 있는 원 정보를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A250에서, 제어부(21)는 생성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
마찬가지로, 도 4-14의 처리에서는, A330에서 원 정보와 코드 유효 기한을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21)는, A340에서, 수신된 원 정보와 코드 유효 기한을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코드를 표시시키는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스톡되어 있는 원 정보를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A350에서, 제어부(21)는 생성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
또한, 상기와는 달리, 단말(20)이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의 생성을 서버(10)에 의뢰하고, 서버(10)에 의해 생성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단말(20)에 송신되지만, 단말(20) 측에서는,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스톡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로부터 디코딩에 의해 취득한 원 정보를 스톡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실시예의 효과>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서버에 의해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코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코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예는 단말(20)이 서버(10)에 의해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일례)이 관련지어진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일례)를 서버(10)로부터 통신 I/F(22)를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20)은 수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를 제어부(21)에 의해 저장부(28)에 저장한다.
또한, 단말(20)은, 저장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에 기초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표시부(24)에 표시시키는 코드 표시 처리(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에 관한 처리의 일례)를 제어부(21)에 의해 실행한다.
그리고, 결제는 코드 표시 처리에서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에 의해 판독된 코드 판독 시각(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의 일례)과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10)에 의해 실행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의 통신 환경이나 통신 상황이 열악한 경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결제가 적절하게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진 제 1 유효 기한 내가 아니면,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에 저장된 코드 정보가 해커 등에 의해 도난당하거나, 단말에 저장된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 이미지가 단말에 표시될 때, 그 코드 이미지가 다른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되는 등으로 인해, 부정 결제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는 단말(20)이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82)(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일례)을 판독하고,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82)에 근거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프로세서는 서버(10)에 의해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일례)이 관련지어진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와 결제용 번호(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일례)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와, 저장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에 근거하는 코드 표시 처리(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에 관한 처리의 일례)를 실행한다.
그리고, 결제는 코드 표시 처리에서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에 의해 판독된 코드 판독 시각(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의 일례)과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10)에 의해 실행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는 단말(20)이 단말 표시용 코드와 그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의 일례)을 서버(10)로부터 통신 I/F(22)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코드 유효 기한을 제어부(21)에 의해 단말 표시용 코드에 관련지어져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시키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서버에 의해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진 제 1 유효 기한을 단말 측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실시예는 서버(10)가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일례)와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일례)을 관련지어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한다.
서버(10)는 코드 표시 처리를 행하는 단말(20)에,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를 통신 I/F(14)에 의해 송신하고, 결제용 번호와 코드 표시 처리로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에 의해 판독된 코드 판독 시각(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의 일례)을 통신 I/F(14)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10)는 수신된 결제용 번호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과 수신된 코드 판독 시각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제어부(11)에 의해 행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서버는 단말의 통신 상황이나 통신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수신된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와 단말에서 실행된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결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는 서버(10)가 메모리에 저장된 결제 관리 처리 프로그램(151)(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일례)을 판독하고, 결제 관리 처리 프로그램(151)에 근거하는 결제 관리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프로세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일례)와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일례)을 관련지어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하는 처리와, 코드 표시 처리를 행하는 단말(20)에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를 송신하고, 결제용 번호와 코드 표시 처리로 표시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에 의해 판독된 코드 판독 시각(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의 일례)을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된 결제용 번호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과 수신된 코드 판독 시각에 근거하는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 변형예(1)>
제 1 실시예에서는, 코드가 표시되고 나서 코드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을 「코드 표시 기한」으로 정의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가 표시되고 나서 코드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이 종료하는 시각이나 일시를 「코드 표시 기한」으로 정의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 1 실시예에서는, 코드 생성 일시로부터 코드 유효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을 「코드 유효 기한」으로 정의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가 표시되고 나서 코드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이 종료하는 시각이나 일시를 「코드 유효 기한」으로 정의하여도 좋다.
또한, 코드 생성 일시를 코드 유효 기한이 시작하는 일시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가 단말 표시용 코드를 단말(20)로 송신한 일시(이하, 「코드 송신 일시」라고 칭함)를 코드 유효 기한이 시작하는 일시로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즉, 「코드 송신 일시로부터 코드 유효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을 코드 유효 기한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단말(20)로 송신한 후, 코드 유효 기한을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시키도록 하면 좋다.
<제 1 변형예(2)>
제 1 실시예에서는 서버(10)로부터 단말 표시용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 정보의 일례)와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의 일례)이 송신되고, 이를 단말(20)에서 수신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283)에 사전에 코드 유효 시간을 저장하여 둔다. 그리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생성 일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의 일례)가 서버(10)로부터 송신되도록 하고, 단말(20)이 서버(10)로부터 코드 생성 일시를 수신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은 수신된 코드 생성 일시와 결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283)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 유효 시간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기한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드 송신 일시를 코드 유효 기한이 시작하는 일시로 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코드 유효 기한이 시작하는 일시가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로서 서버(10)로부터 단말(20)로 송신되도록 한다. 그리고, 단말(20)이 코드 유효 시간과 수신된 코드 유효 기한이 시작하는 일시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기한을 특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외에도,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기한이 종료하는 일시가,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로서, 서버(10)로부터 단말(20)로 송신되도록 한다. 그리고, 단말(20)이 코드 유효 시간과 수신된 코드 유효 기한이 종료하는 일시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기한을 특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변형예(3)>
제 1 실시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이 서버(10)로부터 단말(20)로 송신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은 서버(10)로부터 단말(20)로 송신되지 않도록 하고, 단말(20) 측에서는, 서버(10)에 설정된 코드 유효 기한을 알 수 없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나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에는 코드 유효 기한을 저장하지 않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수신 일시와 코드 No와 코드 데이터를 관련지어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단말(20) 측에서 임시의 코드 유효 기한(이하, 「임시 코드 유효 기한」이라 칭함)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수신 일시(또는 코드 저장 일시)로부터 코드 유효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을 임시 코드 유효 기한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단말(20)이 설정한 임시 코드 유효 기한을 이용하여 각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 설명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변형예(4)>
단말(20)의 저장부(28)의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는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로부터 취득한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지만,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로부터 취득한 복수(2 이상)의 코드를 저장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4-15는 이 경우에서의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에는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수신 일시와 코드 No와 코드 데이터와 코드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져 시계열로 저장된다.
이 경우, 단말(20)의 제어부(21)는, 코드 표시 처리에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 중 가장 오래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코드를 단말(20)에 스톡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결제를 복수 회 실행해야 하는 경우더라도, 즉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변형예(5)>
제 1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코드 정보」를 결제용 번호나 결제용 번호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증 정보의 일종인 토큰이나 토큰을 포함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본 발명에서의 「코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제용 번호를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무작위의 토큰을 발생시키는 방법(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발행한 토큰을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에 포함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서버(10) 측에서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발행된 토큰과 관련지어 저장부(15)의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의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시켜 두도록 하면 좋다.
「토큰」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가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가 정규의 단말(20) 또는 정규의 단말(20) 사용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의 일종이다. 「인증 정보」는 인증 기관이 발행하는 정보이며, 상기의 토큰은 서버(10)가 인증 기관으로 되고,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발행하는 인증 정보로서 기능한다.
또, 토큰은, 예를 들어, 「무작위 토큰」, 「액세스 토큰」, 「결제용 토큰」 등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토큰은 상기와 같이 무작위로 발행되기 때문에 단말 표시용 코드가 생성될 때마다 상이한 토큰으로 된다. 이 때문에 토큰은 이른바 일회용 패스워드로서 기능한다.
또한, 결제용 번호나 토큰 외에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판독한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는,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의 일례로서,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일종인 결제용 페이지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변형예(6)>
코드 표시 화면에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코드 표시 기한의 정보나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코드 표시 기한의 정보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표시 기한」,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 「코드 표시 기한이 종료하는 시각이나 일시」, 「코드 표시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 이들 코드 표시 기한의 정보는 코드 표시 기한에 관한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기한」,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 「코드 유효 기한이 종료하는 시각이나 일시」, 「코드 유효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 이들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는 코드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4-16은 본 변형예에서의 코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코드 표시 화면에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2차원의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 QC1의 아래에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표시 화면이 표시된 타이밍(표시가 시작된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부(29A)의 계시 시각에 기초하여 표시·갱신된다.
또, 이 표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쉽게 구분하도록, 도 3-3과 동일한 양태로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것과는 달리, 도 3-3과는 다른 양태로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을 표시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도 4-17은 본 변형예에서의 코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코드 표시 화면에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2차원의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 QC1의 위에 모래 시계 마크(이미지)과 함께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와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제 1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 중, 이 단말 표시용 코드에 관련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코드 유효 기한과 시계부(29A)의 계시 시각에 기초하여 표시·갱신된다.
도 4-18은 본 변형예에서의 코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코드 표시 화면은 도 4-16의 코드 표시 화면과 도 4-17의 코드 표시 화면을 조합시킨 코드 표시 화면이다.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 QC1의 상하에 각각 제 1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과 제 1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도 4-19는 본 변형예에서의 코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코드 표시 화면은 도 4-18과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코드 유효 기한 정보의 표시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로서,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가, 코드 유효 기한이 시작하는 시각부터 코드 유효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유효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2019/06/10 9:00부터 12시간 유효」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 4-16 내지 도 4-19의 코드 표시 화면은 오프라인 상태에서 표시되는 코드 표시 화면으로 할 수도 있고, 온라인 상태에서 표시되는 코드 표시 화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대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전술한 임시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를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변형예(6)의 효과>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코드 유효 기한이나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 등의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의 일례)를 코드 표시 화면 내의 영역(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의 표시 영역의 일례)에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를 단말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코드 유효 기한이나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 등의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 정보의 일례)와 단말(20)에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일례)를 코드 표시 화면 내의 영역(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의 표시 영역의 일례)에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와 제 1 코드 정보를 단말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오프라인 상태에서, 코드 유효 기한이나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 등의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의 일례)를 코드 표시 화면 내의 영역(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의 표시 영역의 일례)에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를 단말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통신 환경이나 통신 상황이 열악한 경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를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단말(20)에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일례)와 코드 표시 기한이나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 등의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과는 다른 제 1 코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의 일례)를 코드 표시 화면 내의 영역에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과는 다른 제 1 코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한을 단말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7)>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도 4-20은 본 변형예에서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메인 화면에는 전술한 「코드 아이콘」과는 별도로 「코드(오프라인)」로 나타낸 「코드(오프라인)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 「코드 아이콘」은 온라인 상태에서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고, 「코드(오프라인) 아이콘」은 오프라인 상태에서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도 4-21은 본 변형예에서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는 코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코드 표시 화면은 상기의 메인 화면에서 코드(오프라인) 아이콘이 터치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이 코드 표시 화면은 화면 상부에 「코드(오프라인)」라고 표시되고, 그 아래에 도 4-10의 코드 표시 화면과 마찬가지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 화면 예에서는 단말(20)이 오프라인 상태인 것을 검출한 경우에, 사용자 조작에 따라,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단말 표시용 코드를 사용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8)>
도 3-4의 처리의 A130에서, 단말(20)이 서버(10)로부터 단말 표시용 코드를 수신한 타이밍에, A240 및 A250의 처리를 행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를 표시부(24)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4-14의 처리의 A330에서, 단말(20)이 서버(10)로부터 단말 표시용 코드와 코드 유효 기한을 수신한 타이밍에, A340 및 A350의 처리를 행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를 표시부(24)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예컨대, 도 3-2)에서 코드 아이콘이 터치된 경우,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표시 화면으로 표시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9)>
제 1 실시예에서는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을 코드 판독 시각으로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코드 판독 시각이 아닌 일시 정보도 포함한 코드 판독 일시를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단말(20)에서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가 단말(20)에 표시된 시각(이하, 「코드 표시 시각」이라 칭함)이나 일시(이하, 「코드 표시 일시」라 칭함)를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다만,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는 단말(20)과 통신하고 있고, 단말(20)에 단말 표시용 코드가 표시된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10)는 시계부(19)의 계시 정보에 기초하여 코드 표시 시각이나 코드 표시 일시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상태에서, 서버(10)는 단말(20)과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서버(10)는 단말(20)에서 단말 표시용 코드가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어 코드 표시 시각이나 코드 표시 일시를 특정할 수 없다.
그래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이하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도 4-22는 본 변형예에서의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단말(20)의 제어부(21)가 실행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일례인 제 2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의 제어부(51)가 실행하는 매장 결제 처리의 일례인 제 2 매장 결제 처리, 서버(10)의 제어부(11)가 실행하는 결제 관리 처리의 일례인 제 2 결제 관리 처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22의 흐름도는 도 3-4의 흐름도를 일부 고쳐 기록한 것이다. 도 3-4의 흐름도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처리 단계(예컨대, A450, B450, B460, C470)가 상이하다.
이 처리는, 예를 들어, 단말(20)이나 단말(20)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ID로 설명한다.
A240 이후, 오프라인 상태에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코드 표시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1)가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를 행함과 함께, 코드 표시 처리부(2113)가 코드 표시 처리를 행한다(A450).
여기서, A240에서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에 기초하여 단말(20) 측에서 처리(가공·생성, 표시 등의 처리를 포함함)되는 결제용 코드를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라고 칭하고, 이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를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라고 칭한다.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는 단말 표시용 코드와 마찬가지로 결제 유형 「단말 코드 표시」에서의 결제에 사용되는 코드이지만, 온라인 결제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오프라인 결제에도 사용 가능한 코드이다.
또,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는 오프라인 결제뿐만 아니라, 온라인 결제에도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즉, 단말(20) 측에서 오프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검출)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온라인 상태/오프라인 상태에 관계없이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로부터 디코딩에 의해 취득한 결제용 번호, 또는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스톡되어 있는 결제용 번호와, 제어부(21)가 생성한 타임스탬프 정보를 인코딩(부호화)하고, 도형화(이미지화)하여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타임스탬프 정보란, 특정 사건(특정 이벤트)이 발생한 일시, 날짜, 시각 등을 나타내는 정보인 동시에, 그 타임스탬프 정보와 관련지어진 정보나 데이터(여기서는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가 어느 시각에 확실하게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전자적인 시각 인증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는 것」을 특정 사건으로 하고, 단말(20)의 제어부(21)는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표시된(표시가 개시된) 시각인 코드 표시 시각을 포함하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생성한다. 코드 표시 시각이나 타임스탬프 정보는 「시각 정보」의 일례이며, 단말(20)의 시계부(29A)에 의해 계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또, 매장에 따라서는 2차원 코드의 판독에는 대응하지 않지만, 1차원 코드의 판독에는 대응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2차원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QR 코드) 외에도 1차원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바코드)로 표시되는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코드 표시 시각에 대신하여, 시각에 더하여 날짜 정보도 포함하는 「코드 표시 일시」를 포함하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제3자가 원 정보를 해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결제용 번호나 타임스탬프 정보를 암호화한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타임스탬프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 표시 시각이나 코드 표시 일시 그 자체를 인코딩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코드 표시 처리에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적어도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
또, 상기와 같이,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에서 2차원의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 경우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2차원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에서, 1차원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도 생성하는 경우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2차원의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 외에, 1차원의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1차원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의 근방에 결제용 번호를 함께 표시시켜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그 후, 표시부(24)에 표시된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가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매장의 직원 등에게 제시되면, 제어부(51)는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된 확장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를 코드 리더(58)로 판독하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B450).
제어부(51)는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제어부(51)는 적어도 디코딩에 의해 취득한 결제용 번호 및 타임스탬프 정보와 매장 식별 정보와 결제 예정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구 정보를 통신 I/F(54)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한다(B460).
매장 코드 리더 장치(50)로부터 통신 I/F(14)에 의해 결제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C160), 제어부(11)는 결제 처리를 행한다(C470).
구체적으로는 수신된 결제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결제용 번호가 애플리케이션 ID와 관련지어져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수신된 결제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타임스탬프 정보로부터 특정된 코드 표시 시각이 그 애플리케이션 ID의 코드 관리 데이터에서의 그 결제용 번호와 관련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코드 유효 기한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결제 가능」이라고 판정하고,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157A) 중, 그 애플리케이션 ID의 결제 관리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잔액에서 결제 예정 금액을 감산하여 결제한다.
또, 전술한 코드 표시 기한 내의 결제인지 여부도 판정하는 것인 경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의 시계부(19)의 계시 시각과 수신된 결제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타임스탬프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코드 표시 시각과의 차이의 시간을 코드 표시 시간과 비교하여, 코드 표시 기한 내에 있는지 여부도 함께 판정하도록 하면 좋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10)가 결제하게 하였다. 그러나, 단말(20) 사용자가 반드시 코드 유효 기한 내에 서버(10)가 결제하게 하기 위한 수속을 행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코드 유효 기한이 경과하여 버린 경우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서버(10)로부터 재취득할 필요가 있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이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은 다른 각 실시예나 다른 각 변형예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재설명을 생략한다.
도 5-1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의 저장부(28)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82)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측 코드 갱신 처리로서 실행되는 단말 측 코드 갱신 처리 프로그램(2821)을 서브루틴 프로그램으로 포함한다.
<처리>
도 5-2는 본 실시예에서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좌측에 단말(20)의 제어부(21)가 실행하는 단말 측 코드 갱신 처리를 나타내고, 우측에 서버(10)의 제어부(11)가 실행하는 서버 측 코드 갱신 처리를 나타낸다. 이들 처리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전술한 단말(20)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와, 전술한 서버(10)의 결제 관리 처리 각각의 서브 처리로서 실행되는(예컨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최초에, 제어부(21)는 코드 갱신 조건 판정 처리를 행한다(D11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의 시계부(29A)에 계시되는 시각(이하, 「단말 계측 시각」이라 칭함)이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이 종료하는 시각(일시)으로부터 설정 시간 전의 시각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설정 시간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유효 시간이 「12시간」이라면, 이 절반의 「6시간」을 설정 시간으로 설정하고, 코드 유효 시간이 「24시간」이면, 이 절반의 「12시간」을 설정 시간으로 설정하는 등을 할 수 있다.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갱신하기 위해, 어느 정도 여유를 갖게 한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드 유효 기한이 종료하는 시각부터 설정 시간 전의 시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수신 시각(코드 일시)이나 코드 저장 시각(코드 저장 일시)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즉, 코드 갱신 조건의 판정 기준으로 하는 시각(기준 시각)은 코드 유효 기한이 종료하는 시각으로 하여도 좋고, 코드 수신 시각이나 코드 저장 시각으로 하여도 좋다.
또,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를 적용하는 경우, 하나의 단말 표시용 코드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단말 표시용 코드를 대상으로 하고, 이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D110의 판정을 행하면 좋다.
한편,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를 적용하는 경우는,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 각각을 대상으로 하고, 각각의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D110의 판정을 행하면 좋다.
설정 시간 전의 시각으로 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1)는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한다.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했다면(D120: 예), 제어부(21)는 온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D130). 그리고, 온라인 상태인 것으로 판정했다면(D130: 예), 제어부(2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ID와 갱신을 의뢰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No를 포함하는 코드 갱신 의뢰 정보를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한다(D160).
여기서, 「코드 갱신 의뢰 정보」는 단말(20)에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갱신(재취득이라고도 칭함)을 의뢰(신청이라고 칭함)하기 위한 정보이며, 코드 정보의 갱신에 관한 요청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코드 갱신 의뢰 정보」는 갱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새로운 단말 표시용 코드)의 송신을 의뢰하는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서버(10)의 제어부(11)는 단말(20)로부터 코드 갱신 의뢰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E110). 그리고, 수신했다고 판정하면(E110: 예), 단말 표시용 코드 갱신 처리를 행한다(E12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저장부(15)의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 중 수신된 코드 갱신 의뢰 정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ID의 코드 관리 데이터를 참조한다. 그리고, 그 코드 관리 데이터에, 수신된 코드 갱신 의뢰 정보에 포함된 코드 No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다면, 전술한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갱신을 위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 코드 No를 관련지어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 생성 일시와 결제용 번호와 코드 유효 기한을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갱신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이하에서는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라고 칭한다.
이어서, 제어부(21)는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와 그 코드 유효 기한을 통신 I/F(14)에 의해 단말(20)로 송신한다(E170).
그 후, 제어부(11)는 처리를 종료할지 여부를 판정하고(E190), 처리를 계속하는 것으로 판정했다면(E190: 아니오), E110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했다면(E190: 예), 서버 측 코드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말(20)로부터 코드 갱신 의뢰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E110: 아니오), 제어부(11)는 E190으로 처리를 이동한다.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부터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와 그 코드 유효 기한을 수신하면(D170), 제어부(21)는 대응하는 코드 No와 관련지어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 수신 일시와 코드 데이터와 코드 유효 기한을 갱신한다(D180). 이 갱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갱신 대상으로 한 단말 표시용 코드(오래된 단말 표시용 코드)는 이용 불가(사용 불가)로 된다.
또, D180에서 수신된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와 그 코드 유효 기한을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별도의 데이터(새로운 데이터)로서 저장시키도록 하고, 갱신 대상으로 한 단말 표시용 코드에는 「이용 불가」의 플래그를 설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등하여 갱신 대상으로 한 단말 표시용 코드(오래된 단말 표시용 코드)를 사용할 수 없게 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그 후, 제어부(21)는 처리를 종료할지 여부를 판정하고(D190), 처리를 계속하는 것으로 판정했다면(D190: 아니오), D110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했다면(D190: 예), 단말 측 코드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D120: 아니오), 또는 온라인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D130: 아니오), 제어부(11)는 D190으로 처리를 이동한다.
또, 이 처리에서, 단말 표시용 코드가 갱신된 경우, 단말(20)이 단말 표시용 코드가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단말 표시용 코드가 갱신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나 단말 표시용 코드가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푸시 통지에 의해 표시부(24)에 표시하거나,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경우, 표시부(24)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의 효과>
제 2 실시예는 단말(20)이 사전에 단말(20)에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일례)에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 일례)에 기초하여, 이 단말 표시용 코드와는 다른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코드 정보의 일례)를 서버(10)로부터 통신 I/F(22)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는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과는 다른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유효 기한의 일례)이 서버(10)에 의해 관련지어지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유효 기한과는 다른 제 2 유효 기한이 서버에 의해 관련지어진 제 2 코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 1 유효 기한이 경과하기 전에 제 2 코드 정보를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단말(20)이 단말 표시용 코드와 함께 그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의 일례)을 서버(10)로부터 통신 I/F(22)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코드 유효 기한을 제어부(21)에 의해 단말 표시용 코드에 관련지어져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시키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서버에 의해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진 제 1 유효 기한을 단말 측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단말(20)이 사전에 단말(20)에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코드 갱신 의뢰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코드 정보의 송신을 의뢰하는 정보의 일례)를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제 2 코드 정보를 송신하도록 서버에 의뢰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코드 정보의 일례)는 사전에 단말(20)에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일례)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일례)이 경과하기 전에 서버(10)로부터 통신 I/F(22)를 통해 수신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이 경과하기 전에, 서버로부터 제 2 코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단말(20)은,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의 수신에 기초하여, 수신된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와 그 코드 유효 기한에 갱신 대상으로 한 단말 표시용 코드와 그 코드 유효 기한을 각각 갱신하는 처리(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이용을 불가로 하는 처리의 일례)나 갱신 대상으로 한 단말 표시용 코드에 「이용 불가」의 플래그를 설정하는 처리(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코드 정보의 이용을 불가로 하는 처리의 일례)를 제어부(21)에 의해 행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2 코드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 1 코드 정보의 이용을 불가로 하기 때문에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오래된 제 1 코드 정보가 결제에 사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1)>
제 2 실시예에서는, 사전에 단말(20)에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코드 갱신 조건의 성공 여부를 판정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드 갱신 조건은 적절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도 5-3은 본 변형예에서 단말(20)의 저장부(28)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 결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283)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사용자 스케줄 데이터(2834)와 코드 갱신 조건 데이터(2835)가 포함된다.
사용자 스케줄 데이터(2834)는 단말(20)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이하, 「사용자 스케줄 정보」라 칭함)가 저장된 데이터이다. 사용자 스케줄 정보는 단말(2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갱신된다.
코드 갱신 조건 데이터(2835)는 코드 갱신 조건이 설정된 데이터이며, 그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 5-4에 나타낸다.
코드 갱신 조건 데이터(2835)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조건 유형과 조건 No와 코드 갱신 조건이 관련지어져 설정되어 있다.
<조건 유형 「CK1」>
조건 유형 「CK1」은 「시간」의 카테고리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조건 No 「CK1-1」~「CK1-3」의 코드 갱신 조건이 포함된다.
조건 No 「CK1-1」의 코드 갱신 조건으로서, 「단말 계시 시각이 코드가 유효 기한이 종료되는 시각부터 제 1 설정 시간 전의 시각으로 되었다」가 정해져 있다.
이것은 제 2 실시예에서 판정한 코드 갱신 조건과 마찬가지의 조건이다.
단, 제 1 설정 시간은 반드시 코드 유효 시간의 절반의 시간으로 할 필요는 없고, 적절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조건 No 「CK1-2」의 코드 갱신 조건으로서, 「단말 계시 시각이 설정 시각(설정 시간대)으로 되었다」가 정해져 있다.
이것은, 단말 계시 시각이 설정 시각으로 된 경우 또는 단말 계시 시각이 설정 시간대에 포함되는 시각으로 된 경우에,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설정 시각과 설정 시간대는 적절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심야 0시」나 「새벽 6시」 등의 시각을 설정 시각으로 설정하거나, 심야 시간대 등의 시간대를 설정 시간대로 설정해 둘 수 있다.
조건 No 「CK1-3」의 코드 갱신 조건으로서, 「코드를 전회에 갱신하고 나서 제 2 설정 시간이 경과」가 정해져 있다.
이것은 단말(20)에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전회에 갱신하고 나서 제 2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설정 시간은 적절한 설정 변경이 가능하지만, 코드 유효 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조건 유형 「CK2」>
조건 유형 「CK2」는 「사용자」의 카테고리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조건 No 「CK2-1」~「CK2-2」의 코드 갱신 조건이 포함된다.
조건 No 「CK2-1」의 코드 갱신 조건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코드 갱신 요구 조작 있음」이 정해져 있다. 이것은 단말(20) 사용자에 의해 단말 표시용 코드의 갱신을 요구하는 조작(이하, 「코드 갱신 요구 조작」이라 칭함)이 이루어진 경우에,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조건은 「사용자 동작」의 유형 조건이라고도 할 수 있다.
조건 No 「CK2-2」의 코드 갱신 조건으로서, 「사용자 스케줄 정보(또는 결제 정보)에 근거하는 갱신 권장 타이밍이 되었다」가 정해져 있다. 이것은 사용자 스케줄 데이터(2834)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스케줄 정보에 근거하는 갱신 권장 타이밍이 된 경우,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 사용자가 정기적인 타이밍(예컨대, 매주 무슨 요일, 매월 몇일)에, 통신 상황이 불안정해지는 장소에 위치하는 매장에서 쇼핑하여 결제를 행하는 경우(판매일 등)나 정기적으로 지하의 바에 가서 술을 마시고 결제를 행하는 경우는, 그 다음의 타이밍에서도 단말(20) 사용자는 동일 매장을 이용하여 결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고려된다.
그래서, 단말(20)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의 내역(예컨대, 사용자 스케줄 데이터(2834)에 포함되는 사용자 스케줄 정보의 내역)에 기초하여, 다음에 결제가 이루어질 타이밍(시각이나 일시)을 추정한다. 그리고, 그 타이밍보다 이전 타이밍(예컨대, 출발 전의 타이밍이나 출발 시의 타이밍,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의 타이밍)을 갱신 권장 타이밍으로서 설정하여 두는 등하여, 그 타이밍에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의 내역에 기초하여, 다음에 결제가 이루어질 타이밍을 추정하는 것을 대신하여, 또는 이것에 더하여 사용자의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용 데이터(2832)에 포함되는 결제 내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에 결제가 이루어질 타이밍을 추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조건은 「스케줄」이나 「결제」, 「내역」의 유형 조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조건 유형 「CK3」>
조건 유형 「CK3」은 「위치」의 카테고리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조건 No 「CK3-1」~「CK3-2」의 코드 갱신 조건이 포함된다. 이들 조건은 「단말 위치」나 「사용자 위치」, 「장소」의 유형 조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조건 No 「CK3-1」의 코드 갱신 조건으로서, 「산출 단말 위치가 설정 매장 근처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이것은 위치 산출용 정보 검출부(29B)에 의해 검출된 위치 산출용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단말(20)의 위치(이하, 「산출 단말 위치」라고 칭함)가 설정 매장 근처의 위치인 경우,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산출 단말 위치는 산출된 단말(20)의 위치이지만, 사용자가 단말(20)을 휴대하고 있으면, 산출된 단말(20)의 위치는 단말(20) 사용자의 위치와 동일하다. 즉, 사용자가 단말(20)을 휴대하고 있다고 전제하면, 단말(20)의 위치와 단말(20) 사용자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설정 매장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 측 또는 서버(10) 측에 사전 설정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등의 통신 환경이 열악한 장소에 위치하는 매장을 단말(2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단말(20) 측에서 설정 매장으로 설정하거나 서버(10) 측에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위치가 설정 매장에 근접한 타이밍에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갱신할 수 있다.
조건 No 「CK3-2」의 코드 갱신 조건으로서, 「산출 단말 위치가 설정 범위 내인 위치」가 정해져 있다. 이것은 산출 단말 위치가 설정 범위 내의 위치인 경우에,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결제 프로그램에 의한 결제에 대응할 수 있는 매장이 출점하는 이벤트가 개최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벤트가 개최되는 행사장에는, 많은 사람이 들러, 행사장 내에서 단말(20)을 이용하기 때문에, 통신 상황이 열악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벤트가 지하 등에서 개최되는 경우에는 통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사전에 단말(20) 측 또는 서버(10) 측에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이벤트가 개최되는 행사장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범위(예컨대, 반경 1km 이내)를 설정 범위로 설정해 둔다. 이 경우, 단말 위치가 소정 범위에 들어간 타이밍(단말(20) 사용자가 행사장에 접근한 타이밍)에 단말 표시용 코드가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조건 유형 「CK4」>
조건 유형 「CK4」는 「긴급」의 카테고리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조건 No 「CK4-1」의 코드 갱신 조건이 포함된다. 이 조건은 「세상의 상황」의 유형 조건이라고도 할 수 있다.
조건 No 「CK4-1」의 코드 갱신 조건으로서, 「재해 정보·방재 정보 수신」이 정해져 있다. 이것은 단말(20)이 지진 재해 정보, 기상 재해 정보, 수해 정보, 토사 재해 정보 등의 재해 정보·방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재해가 발생하면, 통신 인프라가 기능하지 않게 되어, 단말(20)이 오프라인 상태로 될 것으로 상정된다. 그래서, 단말(20)이 재해 정보· 방재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갱신해 둔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의 제어부(21)는 도 5-2의 단말 측 코드 갱신 처리의 D110에서, 코드 갱신 조건 데이터(2835)에 기초하여,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경우,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 코드 갱신 조건 데이터(2835)에서 각각의 코드 갱신 조건과 관련지어져 우선도를 설정하여 두도록 한다. 그리고, 소정의 우선도(임계값이 되는 우선도)보다 높은 우선도가 관련지어져 설정되어 있는 코드 갱신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경우,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했다고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코드 갱신 조건 데이터(2835)에 정해진 코드 갱신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코드 갱신 조건을 적용할지를, 단말(20) 측 또는 서버(10) 측에서 사전에 설정해 두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적용할 설정이 행해진 코드 갱신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제 2 변형예(1)의 효과>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설정 시각에 근거하는 서버(10)로부터 송신된, 서버(10)에 의해 새로운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3 유효 기한의 일례)이 관련지어진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3 코드 정보의 일례)를 통신 I/F(22)에 의해 수신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설정된 시각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송신된, 서버에 의해 제 3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3 코드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단말(20)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스케줄 정보, 사용자의 결제 내역, 단말(20)(단말(20) 사용자)의 위치 등)에 기초하여 서버(10)로부터 송신된, 서버(10)에 의해 새로운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4 유효 기한의 일례)이 관련지어진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4 코드 정보의 일례)를 통신 I/F(22)에 의해 수신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송신된, 서버에 의해 제 4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4 코드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재해 정보에 근거하는 서버(10)로부터 송신된, 서버(10)에 의해 새로운 코드 유효 기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5 유효 기한의 일례)이 관련지어진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5 코드 정보의 일례)를 통신 I/F(22)에 의해 수신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서버에 의해 취득된 재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제 5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져 서버로부터 송신된 제 5 코드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2)>
제 2 실시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갱신을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의뢰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표시용 코드 갱신을 의뢰하는 것이 아니라, 스톡하고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의 연장을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의뢰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5는 본 변형예에서의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좌측에 단말(20)의 제어부(21)가 실행하는 단말 측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처리를 나타내고, 우측에 서버(10)의 제어부(11)가 실행하는 서버 측 코드 유효 기한 처리를 나타낸다. 이들 처리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전술한 단말(20)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처리와, 전술한 서버(10)의 결제 관리 처리의 각각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처리이다.
최초로, 제어부(21)는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조건 판정 처리를 행한다(D210).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조건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도 5-4에 표시된 코드 갱신 조건과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를 적용하는 경우, 하나의 단말 표시용 코드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단말 표시용 코드를 대상으로 하고, 이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D210의 판정을 행하면 좋다.
한편,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를 적용하는 경우는,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 각각을 대상으로 하고, 각각의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D210의 판정을 행하면 좋다.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조건이 성립한 것으로 판정했다면(D220: 예), 제어부(21)는 온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D230). 그리고, 온라인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D230: 예), 제어부(21)는 인증 처리를 행한다(D24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인증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키고 사용자에게 인증 패스워드를 입력시킨다. 그리고, 입력된 인증 패스워드가 사전에 결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283)에 등록·저장되어 있는 인증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일치하는 경우는, 인증 결과를 「OK」로 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인증 결과를 「NG」로 한다.
인증 결과가 「OK」였다면(D250: 예), 제어부(2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ID와 코드 유효 기한의 연장을 의뢰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No를 포함하는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의뢰 정보를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한다(D260).
여기서,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의뢰 정보」는 단말(20)에 스톡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의 연장을 의뢰(신청)하는 정보이며, 코드 유효 기한의 연장에 관한 요청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의뢰 정보」는 연장된 코드 유효 기한의 송신을 의뢰하는 정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서버(10)의 제어부(11)는 단말(20)로부터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의뢰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E210). 그리고, 수신했다고 판정했다면(E210: 예),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처리를 행한다(E22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저장부(15)의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 중 수신된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의뢰 정보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ID의 코드 관리 데이터를 참조한다. 그리고, 수신된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의뢰 정보에 포함된 코드 No가 그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했다면, 그 코드 No와 관련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코드 유효 기한을 연장하여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장된 코드 유효 기한을, 이하에서는, 「연장 코드 유효 기한」이라 칭한다.
이어서, 제어부(21)는 연장 코드 유효 기한을 통신 I/F(14)에 의해 단말(20)로 송신한다(E270).
그 후, 제어부(11)는 처리를 종료할지 여부를 판정하고(E290), 처리를 계속하는 것으로 판정했다면(E290: 아니오), E210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했다면(E290: 예), 서버 측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말(20)로부터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의뢰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E210: 아니오), 제어부(11)는 E290으로 처리를 이동한다.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부터 연장 코드 유효 기한을 수신하면(D270), 제어부(21)는 대응하는 코드 No와 관련지어져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 유효 기한을, 수신된 연장 코드 유효 기한으로 갱신한다(D280).
그 후, 제어부(21)는 처리를 종료할지 여부를 판정하고(D290), 처리를 계속하는 것으로 판정했다면(D290: 아니오), D210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했다면(D290: 예), 단말 측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D220: 아니오)나, 온라인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D230: 아니오)나, 인증 결과가 「NG」라고 판정된 경우(D250: 아니오), 제어부(11)는 D290으로 처리를 이동한다.
또, 이 처리에서, 연장 코드 유효 기한을 서버(1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단말(20)이 코드 유효 기한이 연장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코드 유효 기한이 연장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나 코드 유효 기한이 연장된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푸시 통지에 의해 표시부(24)에 표시하거나, 또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표시부(24)의 결제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처리에서, 인증 처리는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고, 인증 처리를 생략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변형예(2)의 효과>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의뢰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연장을 서버에 의뢰하는 정보의 일례)를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의 연장을 서버에 의뢰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인증 처리(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의 사용자 인증에 대한 처리의 일례)의 실행에 기초하여, 연장 코드 유효 기한을 서버(10)로부터 취득하는 처리(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유효 기한의 연장에 관한 처리의 일례)를 제어부(21)에 의해 행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의 사용자 인증에 관한 처리의 실행에 기초하여, 제 1 유효 기한의 연장에 관한 처리를 단말의 제어부가 행하는 것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 연장 시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는 단말(20)이 서버(10)로부터 송신된, 연장 코드 유효 기한을 통신 I/F(22)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코드 유효 기한이 연장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20)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이 연장된 것을 단말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변형예(3)>
제 2 실시예에서,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10)가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갱신하여 단말(20)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없이, 서버(10)가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갱신하여 단말(20)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없이 서버(10)가 정보나 데이터를 단말(20)로 송신하는 것(서버(10)가 자발적으로 정보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푸시 송신」이라 칭한다.
이 경우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가 정기적인 타이밍이나 특정 타이밍에서 단말 표시용 코드 갱신 처리를 행한다.
또는 서버(10)가 전술한 코드 갱신 조건과 마찬가지의 조건에 기초하여, 언제든지 코드 갱신 조건의 성공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코드 갱신 조건이 성립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 표시용 코드 갱신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서버(10)는 갱신 단말 표시용 코드와 그 코드 유효 기한을 단말(20)로 푸시 송신한다.
또한, 제 2 변형예(2)에서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10)가 코드 유효 기한을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없이, 서버(10)가 코드 유효 기한을 연장하여 단말(20)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가 정기적인 타이밍이나 특정 타이밍에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처리를 행한다.
또는 서버(10)가 전술한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조건과 마찬가지의 조건에 기초하여, 언제든지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조건의 성공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조건이 성립한다고 판정한 경우,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서버(10)는 연장 코드 유효 기한을 단말(20)로 푸시 송신한다.
<제 2 변형예(4)>
제 2 실시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갱신하는 처리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갱신하는 처리가 아니라, 새로운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하는 처리로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새로운 단말 표시용 코드의 생성을 의뢰하는 신규 코드 생성 의뢰 정보를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송신한다. 서버(10)는 단말(20)로부터 신규 코드 생성 의뢰 정보를 수신했는지에 기초하여, 전술한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새로운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하고, 코드 생성 일시, 결제용 번호, 코드 유효 기한 등의 정보와 함께 코드 관리 데이터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서버(10)는 생성한 새로운 단말 표시용 코드나 그 코드 유효 기한에 대한 정보를 단말(20)로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코드 유효 기한의 설정 방법(코드 유효 기한을 어떻게 설정할지)에 관한 실시예이다.
제 3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은 다른 각 실시예나 다른 각 변형예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재설명을 생략한다.
도 6-1은 본 실시예에서 서버(10)의 저장부(15)에 저장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5)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계정별 관리 데이터베이스(152), 개최 이벤트 데이터(154), 코드 유효 기한 설정용 데이터(156)가 저장된다.
계정별 관리 데이터베이스(152)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계정별 관리 데이터이며, 그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 6-2에 나타낸다.
계정별 관리 데이터베이스(152)에는 계정별로 계정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다.
각 계정별 관리 데이터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ID와 신용 점수와 단말 위치 이력 데이터와 사용자 스케줄 데이터와 결제 내역 데이터와 오프라인 경향 데이터가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ID에는 사용자 등록 데이터(153)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ID가 저장된다.
신용 점수는 단말(20) 사용자의 사회적 신용을 수치나 순위 등으로 나타낸 것이다.
신용 점수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 사용자의 지불 실적, 연령, 근무 형태, 연봉 등을 기초로 산출되며, 수시로 갱신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신용 점수를 「0점」~「100점」의 점수 방식으로 수치화하고, 신용 점수 「100점」이 사용자의 사회적 신용이 가장 높고, 신용 점수 「0점」이 사용자 사회적 신용이 가장 낮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단말 위치 이력 데이터는 단말의 위치(이하, 「단말 위치」라고 칭함)의 이력이 저장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이 위치 산출 처리를 행하여 산출한 단말 위치(이하, 「산출 단말 위치」라고 칭함)가, 그 단말 위치가 산출될 때마다의 타이밍이나 정기적인 타이밍에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송신되고, 이 산출 단말 위치가 단말 위치로서 단말 위치 이력 데이터에 수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이와는 달리, 전술한 코드 생성 의뢰 정보나 코드 갱신 의뢰 정보,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정보 등을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송신할 때, 최신 단말 위치를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사용자 스케줄 데이터는 이 애플리케이션 ID의 단말(20) 사용자 스케줄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이다. 이 사용자 스케줄 데이터는 단말(20)의 저장부(28)에 저장되는 사용자 스케줄 데이터(2834)(도 5-3 참조)와 동기하여 수시로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결제 내역 데이터는 결제 관리 데이터베이스(157)에 저장되어 있는 결제 관리 데이터 중, 이 애플리케이션 ID의 결제 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결제 내역 데이터이다.
오프라인 경향 데이터는 이 애플리케이션 ID의 단말(20)이 오프라인 상태로 되는 경향을 분석한 자료이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는 과거에 단말(20)과 통신 불가로 된 기간을 오프라인 경향 데이터에 이력으로서 저장하여 두도록 할 수 있다.
개최 이벤트 데이터(154)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이용한 결제가 행해질 수 있는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이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이벤트의 개최 일시나 이벤트의 개최 장소, 이벤트에 출점하는 매장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들 정보는 서버(10)에 의해 이벤트의 주최 단체 등으로부터 사전에 취득되어, 개최 이벤트 데이터(154)에 저장된다.
코드 유효 기한 설정용 데이터(156)는 코드 유효 기한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이다. 이 코드 유효 기한 설정용 데이터(156)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상기의 계정별 관리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에서 특정되는 신용 점수, 위치(단말 위치, 사용자 위치) 사용자 스케줄, 결제 내역, 오프라인 경향 등을 판정 항목으로 하고, 이들 판정 항목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이 정해져 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생성 일시와 코드 유효 시간에 따라 코드 유효 기한이 정해지기 때문에,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코드 유효 기한을 설정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의이다.
(1) 신용 점수
신용 점수가 높을수록 사용자의 사회적인 신용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신용 점수가 높을수록 코드 유효 시간으로서 보다 더 긴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정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 점수에 대한 임계값(단계적인 임계값)에 근거하는 복수의 임계값 조건을 정해두고, 신용 점수가 어느 하나의 임계값 조건을 충족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 점수가 「80점 이상」이면, 코드 유효 시간을 「기준 코드 유효 시간×1.2」로 하고, 신용 점수가 「60점 이상 80점 미만」이면, 코드 유효 시간을 「기준 코드 유효 시간×1.0」으로 하고, 신용 점수가 「60점 미만」이면 코드 유효 시간을 「기준 코드 유효 시간× 0.8」로 하는 것 등을 정해 둘 수 있다.
「기준 코드 유효 시간」이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에 의해 디폴트로 설정되는 유효 시간이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6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등의 코드 유효 시간을 기준 코드 유효 시간으로 설정해 둘 수 있다.
(2) 단말 위치(사용자 위치)
코드 유효 기한 설정용 데이터(156)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위치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 측에서, 안전성이 높은 장소(핀 포인트의 위치나 일정 범위의 지역 등)와 안전성이 낮은 장소를 설정해 둔다.
여기서 말하는 「안전성」이란, 코드 유효 시간을 길게 하는 것에 리스크가 생기기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안전성이 높은 장소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이 타인에게 도둑맞을 가능성이 작은 장소(사용자가 단말(20)을 두고 올 가능성이 작은 장소 등), 예를 들어, 단말(20) 사용자의 자택 위치나 그 부근 지역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안전성이 낮은 장소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이 타인에게 도둑맞을 가능성이 작은 장소(사용자가 단말(20)을 두고 올 가능성이 작은 장소 등), 예를 들어, 주점 등의 음식점의 위치나 그 부근 지역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위치가 안전성이 높은 장소에 포함되는 경우는, 단말 위치가 안전성이 낮은 장소에 포함되는 경우보다도 코드 유효 시간으로 보다 더 긴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정해 두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위치가 안전성이 높은 장소에 포함되는 경우는 코드 유효 시간을 「기준 코드 유효 시간×1.2」로 하고, 단말 위치가 안전성이 낮은 장소에 포함되는 경우는 코드 유효 시간을 「기준 코드 유효 시간×0.8」로 하는 것 등을 정해 둘 수 있다.
(3) 사용자 스케줄
코드 유효 기한 설정용 데이터(156)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사용자 스케줄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이내나 소정 일수 이내에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에 가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 표시용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소정 시간 이내나 소정 일수 이내에 단말(20)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에 가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코드 유효 시간으로 기준 코드 유효 시간보다 긴 시간을 설정하면 좋다.
(4) 결제 내역
코드 유효 기한 설정용 데이터(156)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 사용자의 결제 내역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정해져 있다.
결제 내역에서, 단말(20) 사용자가 정기적인 타이밍(예컨대, 매주 무슨 요일, 매월 몇일)에 동일 매장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는 경우, 그 다음 타이밍에서도 단말(20) 사용자는 동일 매장을 이용하여 결제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 사용자가 정기적인 타이밍에 동일 매장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 코드 유효 시간으로서 기준 코드 유효 시간보다 긴 시간을 설정하면 좋다.
또한, 단말(20) 사용자가 결제하는 빈도나 횟수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ID와 관련지어진 결제 내역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위 기간에서 결제가 행해진 빈도(이하, 「결제 빈도」라고 칭함)나 횟수(이하, 「결제 횟수」라고 칭함)를 산출한다. 그리고, 결제 빈도가 높을수록 또는 결제 횟수가 많을수록 코드 유효 시간으로 보다 더 긴 시간을 설정하도록 정해 둘 수 있다.
(5) 오프라인 경향
코드 유효 기한 설정용 데이터(156)에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오프라인 경향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건이 정해져 있다.
단말(20)이 빈번하게 오프라인 상태로 되는 경우, 코드 유효 시간을 길게 설정해 두지 않으면, 만일의 경우에 결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위 기간에서의 단말(20)이 오프라인 상태로 되는 빈도(이하, 「오프라인 빈도」라고 칭함)나 횟수(이하, 「오프라인 횟수」라고 칭함)를 산출한다. 그리고, 오프라인 빈도가 높을수록 또는 오프라인 횟수가 많을수록 코드 유효 시간으로서 보다 더 긴 시간을 설정하도록 정해 둘 수 있다.
또, 상기의 판정 항목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20) 측에서 복수의 코드 유효 시간의 후보 중에서 하나의 코드 유효 시간을 사용자에게 선택시킨다. 그리고, 선택된 코드 유효 시간을 단말(20)로부터 서버(10)로 송신하도록 하여, 서버(10) 측에서 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 ID와 관련지어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코드 유효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10)의 제어부(1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도 4-14의 C320), 단말 표시용 코드 변경 처리(도 5-2의 E120),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처리(도 5-5의 E220)를 행하기 전에, 코드 유효 기한 설정 처리를 행한다.
코드 유효 기한 설정 처리에서 제어부(1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기한 설정용 데이터(156)를 참조하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상기한 복수의 판정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정 항목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기한을 설정하여도 좋고, 그 조합에 따라 코드의 유효 기한을 설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신용 점수가 높고, 오프라인 빈도나 오프라인 횟수가 많은 사용자는 동일한 신용 점수의 사용자보다 유효 기한을 길게 설정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제 3 실시예의 효과>
제 3 실시예는 코드 유효 기한은 단말(20)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는 서버(10)에 의해 설정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된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에 결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는 단말(20)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신용 점수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단말 사용자의 신용 점수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된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에 결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는 단말(20)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단말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된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가 결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는 단말(20)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단말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된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가 결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는 단말(20)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 표시용 코드에 근거하는 결제 내역이나 결제 빈도(또는 결제 횟수)(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 정보의 일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단말 사용자의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된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가 결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는 코드 유효 기한은 서버(10)에 의해 취득된 개최 이벤트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벤트에 관한 정보의 일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서버에 의해 취득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된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서버가 결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코드 표시 기한보다 코드 유효 기한 쪽이 먼저 경과하는 경우의 대책에 관한 실시예이다. 이 경우, 코드 표시 기한보다 코드 유효 기한 쪽이 먼저 경과하기 때문에,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제 4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은 다른 각 실시예나 다른 각 변형예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재설명을 생략한다.
도 7-1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의 코드 표시 처리부(2113)가 실행하는 코드 표시 처리의 일례인 제 1 코드 표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초로,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 중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결정한다(F110).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로부터 취득한 하나의 코드를 단말(20)에 스톡하는 경우에는,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A)(도 4-9 참조)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로 결정한다.
한편,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로부터 취득한 복수(2 이상)의 코드를 단말(20)에 스톡하는 경우는,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도 4-15 참조)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 중,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가장 오래된 단말 표시용 코드(코드 유효 기한이 가장 가까운 단말 표시용 코드)를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로 결정한다.
그 후,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F110에서 결정한 단말 표시용 코드에 관련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코드 유효 기한과, 시계부(29A)의 계시 시각에 기초하여,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전술한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정한다(F120).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판정했다면(F120: 예),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F110에서 결정한 단말 표시용 코드를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로부터 삭제한다(F130). 그리고,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 표시용 코드를 표시시킬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에러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킨 후(F140), 제 1 코드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지 않다고 판정했다면(F120: 아니오),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F110에서 결정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 1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한다(F150).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코드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나 코드 표시 기한에 관한 정보를 제 1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고,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제 1 코드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서,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 경우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삭제하고, 그 단말 표시용 코드가 표시부(24)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처리에서,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 경우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삭제하고, 그 단말 표시용 코드가 표시부(24)에 표시되지 않도록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일시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으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표시 시간만큼의 시간을 확보하는 버퍼를 단말(20)의 저장부(28)에 마련한다. 예를 들어, 코드 표시 시간을 「5분」으로 하면 「5분」 만큼의 시간을 확보하는 버퍼를 마련한다.
이 경우, 코드 표시 시간만큼의 시간이 버퍼에 확보되는 것에 의해, 단말(20)의 제어부(21)는 「실제의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 + 코드 표시 시간」을 코드 표시 기한의 잔여 시간으로 처리한다. 이 때문에, 실제의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은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 것에 관계없이, 제어부(21)는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 이상이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표시 화면이 표시부(24)에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도 7-2는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의 코드 표시 처리부(2113)가 실행하는 코드 표시 처리의 다른 예인 제 2 코드 표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전술한 처리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재설명을 생략한다.
이 처리는 도 7-1의 처리의 F130, F140의 단계를 각각 F230, F240의 단계로 변경한 것이다.
F110 이후,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판정했다면(F120: 예),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코드 표시 기한 변경 처리를 행한다(F23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과 동일 시간을 코드 표시 시간으로 설정한다. 즉, 코드 유효 기한과 코드 표시 기한이 동일하게 되도록 코드 표시 기한을 단축한다.
그 후,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F110에서 결정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 2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F240).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코드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나 변경한 코드 표시 기한에 관한 정보를 제 2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고,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제 2 코드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서는,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 경우, 코드 유효 기한과 코드 표시 기한이 동일하게 되도록 코드 표시 기한을 단축한 후,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한다.
도 7-3은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의 코드 표시 처리부(2113)가 실행하는 코드 표시 처리의 다른 예인 제 3 코드 표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전술한 처리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재설명을 생략한다.
이 처리는 도 7-1의 처리의 F110, F130, F140의 단계를, 각각, F310, F330, F340의 단계로 변경한 것이다.
이 처리에서는, 온라인 상태에서 서버(10)로부터 취득한 복수(2 이상)의 코드가 단말(20)에 스톡되는, 즉,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가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최초로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 중,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가장 오래된 단말 표시용 코드(코드 유효 기한이 가장 가까운 단말 표시용 코드)를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로 결정한다(F310).
그 후,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판정했다면(F120: 예),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단말 표시용 코드 변경 처리를 행한다(F330).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B)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표시용 코드 중,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 이상인 단말 표시용 코드로서 가장 오래된 단말 표시용 코드(코드 유효 기한이 가장 가까운 단말 표시용 코드)를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로 변경한다.
그 후,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F330에서 변경한 단말 표시용 코드의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 3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시킨다(F340).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코드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나 코드 표시 기한에 관한 정보를 제 3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고,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코드 표시 처리부(2113)는 제 3 코드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서는,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 경우,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 이상인 단말 표시용 코드를 표시 대상으로 변경한 후,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한다.
또, 이 처리에서는 코드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전에,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로 변경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코드 표시 처리부(2113)가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한 후,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조건을 충족한 경우는, 단말 표시용 코드 변경 처리를 행하여, 표시 중인 단말 표시용 코드를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 이상인 단말 표시용 코드로 변경하여, 표시 중의 코드 표시 화면에 반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코드 표시 화면의 표시 도중에, 단말 표시용 코드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의 각종 처리 외에도,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다고 판정한 경우,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에 관련지어져 설정된 코드 유효 기한을 연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이 코드 표시 시간보다 짧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21)는 코드 유효 기한이 종료되는 시각(일시)이, 코드 표시 기한이 종료하는 시각(일시)과 같게 되도록, 코드 유효 기한을 연장한다.
온라인 상태이면, 단말(20)은 서버(10)와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단말 측 코드 유효 기한 연장 처리(도 5-5 참조)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서버(10)와 통신을 행하여, 표시 대상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와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을 서버(10)로 연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상태에서 단말(20)은 서버(10)와 통신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오프라인 상태에서 상기의 처리는 어디까지나 단말(20) 측에서 코드 유효 기한을 연장하는 처리로 된다.
또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예를 들어, 도 4-17이나 도 4-18, 도 4-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20)의 표시부(24)에 표시하는 코드 표시 화면에는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결제용 번호 외에,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4-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 표시 화면에 코드 표시 기한의 정보는 표시시켰지만,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는 표시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코드 유효 기한과 코드 표시 기한이 동일하게 되도록 코드 표시 기한을 단축한 후, 코드 표시 화면에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는 표시시키지 않고, 코드 표시 기한의 정보를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코드 유효 기한을 코드 표시 기한에 통합하는 것으로 하여, 코드 유효 기한의 정보는 표시시키지 않고, 코드 표시 기한의 정보를 표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드 유효 기한은 실질적으로 코드 표시 기한과 동일하게 된다.
<제 4 실시예의 효과>
제 4 실시예는 코드 유효 기한이나 코드 유효 기한의 잔여 시간의 정보가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이들 정보를 코드 유효 기한으로부터 설정된 기한으로 변경하여 코드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제 1 유효 기한이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경우, 제 1 유효 기한으로부터 설정된 기한으로 변경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에서의 코드 정보의 표시 기한보다 이전에 제 1 유효 기한이 경과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예>
단말 표시용 코드에 관련지어진 코드 유효 기한으로서 서버(10)에 의해 오랜 기간이 설정된 경우, 보안이 낮아 단말(20)에 스톡된 단말 표시용 코드가 타인에게 도난되는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20)은 복수(2 이상)의 단말 표시용 코드의 생성을 의뢰하는 코드 생성 의뢰 정보를 통신 I/F(22)에 의해 서버(10)로 송신한다. 코드 생성 의뢰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10)는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에서, 서버(10)의 제어부(11)는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또는 시작 일시)와 종료 시각(또는 종료 일시)가 상이한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를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에 저장시킨다.
도 8은, 본 실시예에서, 서버(10)의 저장부(15)에 저장되는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의 일례이다.
이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는 도 4-6에 표시된 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59)와 마찬가지이지만, 각 코드 관리 데이터에 애플리케이션 ID와 함께 저장되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가 일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코드 관리 데이터에는, 애플리케이션 ID와 함께,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2개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1세트로 하고, 코드 생성 일시는 같지만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일시가 상이한 2세트(총 4개)의 단말 표시용 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이 표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ID 「U0001」의 단말(20) 또는 단말(20) 사용자에 대하여 코드 생성 일시를 「2019년 6월 10일 9시 00분」으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데이터로서, 코드 No 「C-n1」~「C-n4」의 4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코드 No 「C-n1」, 「C-n2」의 2개의 단말 표시용 코드는 코드 유효 기한을 「2019년 6월 10일 9시 00분 00초 ~ 2019년 6월 10일 14시 59분 59초」로 하는 코드이다. 즉, 이 2개의 단말 표시용 코드는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을 코드 생성 시각인 「9시 00분」으로 하고, 코드 유효 시간을 「6시간」으로 하는 코드이다.
한편, 코드 No 「C-n3」, 「C-n4」의 2개의 단말 표시용 코드는 코드 유효 기한을 「2019년 6월 10일 15시 00분 00초 ~ 2019년 6월 10일 20시 59분 59초」로 하는 코드이다. 즉, 이 2개의 단말 표시용 코드는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을 코드 생성 시각으로부터 6시간 경과 후의 「15시 00분」으로 하고, 코드 유효 시간을 「6시간」으로 하는 코드이다.
이와 같이, 코드 No 「C-n1」, 「C-n2」의 2개의 단말 표시용 코드와, 코드 No 「C-n3」, 「C-n4」의 2개의 단말 표시용 코드는, 코드 유효 시간은 같지만,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이 달라 결과적으로 코드 유효 기한이 다르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10)는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코드 생성 의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와 같은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생성된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각각의 코드 No와, 각각의 코드 유효 기한과 함께 단말(20)로 송신한다.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각각의 코드 No와 각각의 코드 유효 기한과 함께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28)의 단말 표시용 코드 스톡 데이터(2831)에 저장시킨다.
<제 5 실시예의 효과>
제 5 실시예는 단말(20)로부터 송신된 코드 생성 의뢰 정보(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 정보의 송신 의뢰에 관한 정보의 일례)에 기초하여, 단말(20)이 서버(10) 에 의해 제 1 코드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제 1 결제용 번호(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6 코드 정보의 일례)와, 서버(10)에 의해 제 2 코드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2 단말 표시용 코드 이미지나 제 2 결제용 번호(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 7 코드 정보의 일례)를 통신 I/F(22)에 의해 수신한다. 그리고, 제 1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은 제 2 코드 유효 기한의 개시 시각과 다르고, 제 1 코드 유효 기한의 종료 시각은 제 2 코드 유효 기한의 종료 시각과 다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의 일례로서, 단말은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이 다른 복수의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고, 단말 저장부에 저장된 단말 표시용 코드가 타인에게 도난되는 등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5 변형예>
제 5 실시예에서는, 서버(10)가 단말 표시용 코드 생성 처리에서,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또는 시작 일시)와 종료 시각(또는 종료 일시)이 다른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하여 단말(20)로 송신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가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또는 시작 일시)은 다르지만, 코드 유효 기한의 종료 시각(종료 일시)은 동일한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하여 단말(20)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코드 유효 기한의 종료 시각(종료 일시)이 같아지도록 코드 유효 시간을 변경하여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가 코드 유효 기한의 종료 시각(또는 종료 일시)은 다르지만, 코드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시작 일시)은 동일한 복수의 단말 표시용 코드를 생성하여 단말(20)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고, 그렇게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코드 유효 기한을 동일하게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수(1세트(1조)로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수)나 코드 유효 기한을 다르게 하는 단말 표시용 코드의 수(세트의 수, 조의 수) 등은 어떻게 설정하여도 좋다.
1: 통신 시스템, 10: 서버, 20: 단말, 30: 네트워크, 40: 매장 POS 시스템, 50: 매장 코드 리더 장치, 60: 코드 레지스터 70 매장 서버

Claims (31)

  1.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결제는,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상기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코드 정보와는 다른 제 2 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코드 정보는, 상기 제 1 유효 기한과는 다른 제 2 유효 기한이 상기 서버에 의해 관련지어지는,
    정보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 1 유효 기한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1 코드 정보와 관련지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코드 정보의 송신을 의뢰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드 정보는, 상기 제 1 유효 기한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처리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드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코드 정보의 이용을 불가로 하는 처리를 상기 제어부에 의해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의 연장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사용자의 인증에 관한 처리의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유효 기한의 연장에 관한 처리를 상기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고 연장된 상기 제 1 유효 기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제 1 유효 기한이 연장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된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제 3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져 있는 제 3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제 4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져 있는 제 4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재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제 5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져 있는 제 5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용 점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은, 상기 서버에 의해 취득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정보 처리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와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의 정보는, 상기 단말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처리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드 정보와, 상기 제 1 유효 기한과는 다른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한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3.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 기한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 1 유효 기한으로부터 설정된 기한으로 변경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코드 정보의 송신 의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제 6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6 코드 정보와, 상기 서버에 의해 제 7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7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6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은, 상기 제 7 유효 기한의 시작 시각과 다르고,
    상기 제 6 유효 기한의 종료 시각은, 상기 제 7 유효 기한의 종료 시각과 다른,
    정보 처리 방법.
  25.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결제는,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상기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26.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로서,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결제는,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상기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
  27.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로서,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근거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에 의해 제 1 유효 기한이 관련지어진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된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와,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되,
    상기 결제는,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과 상기 제 1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
  28.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를 관리하는 서버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상기 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단말에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것과,
    상기 제 1 코드 정보와,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 1 유효 기한과 수신된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처리를 상기 제어부에 의해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9.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를 관리하는 서버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상기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과,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단말로 송신하는 것과,
    상기 제 1 코드 정보와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 1 유효 기한과 수신된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처리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30.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단말에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드 정보와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 1 유효 기한과 수신된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서버.
  31. 코드 정보에 근거하는 결제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근거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코드 정보와 제 1 유효 기한을 관련지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와,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단말에 상기 제 1 코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코드 정보와,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수신된 상기 제 1 코드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제 1 유효 기한과, 수신된 상기 결제에 관한 처리에 근거하는 시각에 근거하는 상기 결제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
KR1020217038492A 2019-06-17 2020-05-22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단말, 서버 KR20220020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2044 2019-06-17
JP2019112044A JP2020204884A (ja) 2019-06-17 2019-06-17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サーバ
PCT/JP2020/020258 WO2020255621A1 (ja) 2019-06-17 2020-05-22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サー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803A true KR20220020803A (ko) 2022-02-21

Family

ID=7383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492A KR20220020803A (ko) 2019-06-17 2020-05-22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단말, 서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204884A (ko)
KR (1) KR20220020803A (ko)
CN (1) CN113826133A (ko)
WO (1) WO2020255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59033A (ja) * 2021-10-14 2023-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決済支援システム
JP7121183B1 (ja) * 2021-11-29 2022-08-17 PayPay株式会社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JP7403696B1 (ja) 2023-01-26 2023-12-22 PayPay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671A (ja) 2000-09-28 2002-06-21 Takashi Fujimoto 移動体電話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639A (ja) * 1984-10-29 1986-05-28 Riken Seiki Kk 工作機械用ワ−ククランプ装置
JP4361267B2 (ja) * 2002-12-27 2009-11-11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電子決済システム、電子決済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8250884A (ja) * 2007-03-30 2008-10-16 Cyber Coin Kk 認証システム、認証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サーバ、移動体通信端末、プログラム
JP2008257751A (ja) * 2008-07-28 2008-10-23 Kinsuke Yamawaki 取引情報の信用を担保する取引方法
JP2017027441A (ja) * 2015-07-24 2017-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チケット発券システム
JP6877913B2 (ja) * 2016-08-05 2021-05-26 株式会社東芝 端末装置、決済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438620B1 (ja) * 2018-07-19 2018-12-19 株式会社メルカリ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671A (ja) 2000-09-28 2002-06-21 Takashi Fujimoto 移動体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5621A1 (ja) 2020-12-24
JP2020204884A (ja) 2020-12-24
CN113826133A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4582B (zh) 用于利用主令牌生成子令牌的系统和方法
US106000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yment transactions for fraud using social media
KR20220020803A (ko)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단말, 서버
JP6815447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US9805366B1 (en) Associating payment information from a payment transaction with a user account
CN112119415A (zh) 生成方法、程序以及信息处理装置
CN112204598A (zh) 认证方法、程序、终端
JP7354162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JP2020030479A (ja) 決済装置、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09713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0204883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
CN110972500B (zh) 用于支付管理的系统和方法
JP730677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JP682516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WO2020261831A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
JP6765483B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
CN106030645B (zh) 登记系统和方法
JP7306771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US11297507B2 (en) Co-location security system
JP749391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WO2021014786A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
WO2020255620A1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
JP2020204882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
JP2020149081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端末、サーバ
JP746647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