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371A - 차광판, 카메라 유닛, 전자 기기, 및, 차광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광판, 카메라 유닛, 전자 기기, 및, 차광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371A
KR20220020371A KR1020227001188A KR20227001188A KR20220020371A KR 20220020371 A KR20220020371 A KR 20220020371A KR 1020227001188 A KR1020227001188 A KR 1020227001188A KR 20227001188 A KR20227001188 A KR 20227001188A KR 20220020371 A KR20220020371 A KR 20220020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plate
hole portion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아키 니시츠지
신이치 시마무라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67432A external-priority patent/JP70956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67431A external-priority patent/JP71729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67433A external-priority patent/JP7140079B2/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0/02789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015132A1/ja
Publication of KR2022002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02Local etching
    • C23F1/04Chemical m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02Local 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2Control effected by setting a graduated member on the camera in accordance with indication or reading afforded by a light meter, which may be either separate from or built into camera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광의 입사측에 위치하는 표면과, 표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이면과, 표면과 이면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한다. 구멍은, 제 1 구멍 부분과, 중앙 개구에 있어서 제 1 구멍 부분에 접속하는 제 2 구멍 부분을 구비하고, 제 1 구멍 부분은, 이면에 있어서의 이면 개구로부터 중앙 개구로 연장되어 있고,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제 2 구멍 부분은, 표면에 있어서의 이면 개구로부터 중앙 개구로 연장되어 있고,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표면 개구의 크기는 이면 개구의 크기보다 크다.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와 이면 개구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직선과, 이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보다 크다.

Description

차광판, 카메라 유닛, 전자 기기, 및, 차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차광판, 차광판을 구비하는 카메라 유닛, 카메라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및, 차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가 구비하는 카메라 유닛은, 외광에 대한 조리개로서 기능하는 차광판을 구비하고 있다. 소정의 형상을 가진 차광판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점에서, 수지제의 차광판이 다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 그러나, 수지제의 차광판은, 광 투과성을 가지므로, 외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뿐만 아니라, 구멍을 구획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외광을 투과시켜 버린다. 이와 같이, 수지제의 차광판에 의한 차광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높은 차광성을 가진 금속제의 차광판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를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8786호 국제 공개 제2016/060198호
그런데, 가공의 난이도가 낮고, 또, 단위 시간당 많은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금속제의 차광판을 제조할 때에는, 금속판을 금형에 의해 타발하는 타발 가공이 사용되고 있다. 타발 가공을 사용한 금속판의 가공에서는, 금형에 의해 금속판을 타발할 때에, 금속판에 변형이나 일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이로써 제품의 치수에 있어서의 정밀도를 담보하기 위해서, 금속판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금속판을 타발하는 것이 필요시된다. 이로써, 금속판에는, 금속판의 표면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금속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가진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을 갖는 차광판을 카메라 유닛에 탑재한 경우에는, 차광판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예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부터 차광판에 입사된 외광이,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고, 결과적으로 구멍을 통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구멍을 통과한 광은, 카메라 유닛이 구비하는 촬상부에 수광되고, 촬상부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고스트 및 플레어의 적어도 일방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금속제의 차광판에는, 차광판이 금속제이지만 이유가 새로운 과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구멍을 투과하도록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차광판, 카메라 유닛, 전자 기기, 및, 차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광판은, 금속제의 차광판으로서, 광의 입사측에 위치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구멍은, 제 1 구멍 부분과, 중앙 개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 부분에 접속하는 제 2 구멍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구멍 부분은, 상기 이면에 있어서의 이면 개구로부터 상기 중앙 개구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표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2 구멍 부분은, 상기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이면 개구로부터 상기 중앙 개구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표면 개구의 크기는 상기 이면 개구의 크기보다 크다. 상기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와 상기 이면 개구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직선과, 상기 이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보다 크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은, 상기 차광판을 구비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 기기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광판의 제조 방법은, 금속박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레지스트층을 배치하는 것과, 상기 레지스트층의 노광과 현상에 의해 각 레지스트층에서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이면에 형성된 상기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이면에 이면 개구를 갖고, 또한,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표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 제 1 구멍 부분을 상기 금속박에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한 후에,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표면에 표면 개구를 갖고, 또한,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 제 2 구멍 부분을 상기 제 1 구멍 부분에 접속하도록 상기 금속박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 부분이 상기 제 1 구멍 부분에 접속하는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와 상기 이면 개구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직선과, 상기 이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보다 커지도록, 상기 제 1 구멍 부분과 상기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하면,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와 이면 개구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직선과, 이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90°인 경우에 비해, 표면에 대해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차광판에 입사된 광 중에서, 이면 개구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광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는, 도 1 이 나타내는 차광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도 2 가 나타내는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차광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차광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차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의 차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의 차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의 차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광판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 은, 실시예 2-1 의 차광판에 있어서의 단면 구조를 촬영한 화상.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광판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 은, 실시예 3-1 의 차광판에 있어서의 단면 구조를 촬영한 화상.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차광판, 차광판의 제조 방법, 및, 실시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차광판]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차광판을 설명한다.
도 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차광판 (10) 은, 표면 (10F) 과, 이면 (10R) 과, 구멍 (10H) 을 구비하고 있다. 표면 (10F) 은, 광의 입사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이면 (10R) 은, 표면 (10F) 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구멍 (10H) 은, 표면 (10F) 과 이면 (10R) 사이를 관통하고 있다. 차광판 (10) 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제이지만,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차광판 (10) 에서는, 표면 (10F), 이면 (10R), 및,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이, 도시되지 않은 반사 방지막에 의해 덮여 있다. 반사 방지막은, 차광판 (10) 을 형성하는 금속보다 낮은 반사율을 갖고, 또한, 반사 방지막에 조사된 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차광판 (10) 이 반사 방지막에 의해 덮여 있어도, 차광판 (10) 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차광판 (10) 은, 차광판 (10) 이 덮는 렌즈의 형상에 따른 원 형상를 가지고 있다. 구멍 (10H) 은, 구멍 (10H) 이 대향하는 렌즈의 형상에 따른 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2 는, 차광판 (10) 의 표면 (10F) 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차광판 (10) 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 (10H) 은, 제 1 구멍 부분 (10H1) 및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구멍 부분 (10H1) 은, 이면 (10R) 에 있어서의 이면 개구 (H1R) 로부터 중앙 개구 (HC) (도 3 참조) 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구멍 부분 (10H1) 은, 이면 (10R) 으로부터 표면 (10F)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2 구멍 부분 (10H2) 은, 표면 (10F) 에 있어서의 표면 개구 (H2F) 로부터 중앙 개구 (HC) 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구멍 부분 (10H2) 은,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표면 개구 (H2F) 의 크기는, 이면 개구 (H1R) 의 크기보다 크다. 제 2 구멍 부분 (10H2) 은, 중앙 개구 (HC) 에 있어서 제 1 구멍 부분 (10H1) 에 연결되어 있다. 즉, 중앙 개구 (HC) 는, 차광판 (10)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는 도중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10F) 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이 호상이고, 또한,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의 곡률 중심이, 차광판 (10) 의 밖에 위치하고 있다. 또, 표면 (10F) 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이 호상이고,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의 곡률 중심이, 차광판 (10) 의 밖에 위치하고 있다.
차광판 (10) 에 있어서, 제 1 구멍 부분 (10H1) 의 직경이 제 1 직경 (DH1) 이고, 제 2 구멍 부분 (10H2) 의 직경이 제 2 직경 (DH2) 이다. 제 1 직경 (DH1) 은, 차광판 (10) 이 탑재되는 카메라 유닛에 따라 설정된다. 제 1 직경 (DH1) 은, 차광판 (10) 이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카메라 유닛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0.4 ㎜ 이상 1.0 ㎜ 이하여도 된다. 또, 제 1 직경 (DH1) 은, 차광판 (10) 이 예를 들어 차재 카메라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2.0 ㎜ 이상 7.0 ㎜ 이하여도 된다.
제 2 직경 (DH2) 에 대한 제 1 직경 (DH1) 의 백분율 (DH1/DH2 × 100) 은, 예를 들어 80 % 이상 99 % 이하여도 된다. 차광판 (10) 이, 스마트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 및,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전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유닛이, 피사체를 근거리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화각 (畵角) 은 커지지만, 렌즈가 피사체의 초점을 연결하는 데에 있어서는, 차광판 (10) 에는 큰 내경이 필요시 되지 않는다. 또, 카메라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차광판 (10) 의 외경을 크게 하는 것도 어렵다. 그 때문에, 제 2 직경 (DH2) 에 대한 제 1 직경 (DH1) 의 백분율은, 80 % 이상 90 % 이하여도 된다.
이에 반하여, 차광판 (10) 이, 차재 카메라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차재 카메라가, 피사체를 중거리 내지 원거리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화각은 작아지지만, 카메라 유닛이 배치되는 공간의 제약이 작기 때문에, 카메라 유닛이 구비하는 렌즈의 직경이 커진다. 이로써, 렌즈에 대해 넓은 범위의 광을 모으기 위해서, 차광판 (10) 에 있어서, 제 2 직경 (DH2) 에 대한 제 1 직경 (DH1) 의 비는, 90 % 이상 99 % 이하여도 된다.
또, 차광판 (10) 이, 스마트폰의 배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유닛이, 피사체를 근거리 내지 원거리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화각이 커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데에 있어서는, 제 2 직경 (DH2) 에 대한 제 1 직경 (DH1) 의 비는, 80 % 이상 90 % 이하여도 되고, 화각이 작아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데에 있어서는, 제 2 직경 (DH2) 에 대한 제 1 직경 (DH1) 의 비는, 90 % 이상 99 % 이하여도 된다.
차광판 (10) 의 두께 (T) 는, 예를 들어 10 ㎛ 이상 100 ㎛ 이하여도 된다. 차광판 (10) 의 두께 (T) 가 10 ㎛ 이상인 경우에는, 차광판 (10) 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박에 있어서의 휨이 차광판 (10) 의 형상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것이 억제된다. 또, 차광판 (10) 의 두께 (T) 가 100 ㎛ 이하인 경우에는, 구멍 (10H) 을 형성할 때의 에칭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3 은, 도 2 가 나타내는 차광판 (10) 의 단면 구조에 있어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판 (10) 의 이면 (10R) 이 이면 개구 (H1R) 를 구획하고, 중앙 개구 (HC) 에 있어서, 제 1 구멍 부분 (10H1) 이 제 2 구멍 부분 (10H2) 에 접속되어 있다. 차광판 (10)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이면 (10R) 과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제 1 거리 (D11) 이다. 차광판 (10)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 (10F) 과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제 2 거리 (D12) 이다. 차광판 (10) 에 있어서,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 (D12/D11) 가, 2.5 이상이다.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 (D12/D11) 가 커짐에 따라, 중앙 개구 (HC) 는, 상대적으로 이면 개구 (H1R) 에 가까워진다. 이로써, 제 1 구멍 부분 (10H1) 의 측면에 있어서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차광판 (10)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 (10H) 에 입사된 광의 일부가, 렌즈의 표면에 있어서 반사된 후, 제 1 구멍 부분 (10H1) 에 입사되고, 제 1 구멍 부분 (10H1) 으로부터 렌즈 (LN) (도 4 참조) 를 향하여 반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 (D12/D11) 는, 무한대에 가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구멍 (10H) 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에 있어서, 차광판 (10) 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박과, 금속박에 형성된 마스크와의 간극에 에칭액이 스며들고, 이로써, 서브미크론 정도의 깊이, 즉 제 1 거리 (D11) 를 가진 제 1 구멍 부분 (10H1) 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금속박이 100 ㎛ 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제 1 거리 (D11) 의 하한값이 0.1 ㎛ 정도이다. 따라서,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 (D12/D11) 의 상한값은, 1000 정도이다.
표면 (10F) 과 대향하는 시점에서 보아, 표면 개구 (H2F) 는 원상을 가지고 있다. 표면 (10F) 과 대향하는 시점에서 보아,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을, 표면 개구 (H2F) 의 중심에 대해 동심의 면에 의해, 표면 개구 (H2F)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5 등분한다. 이 경우에, 표면 (10F) 과 대향하는 시점에서 보아,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은, 표면 개구 (H2F) 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 1 영역 (R1), 제 2 영역 (R2), 제 3 영역 (R3), 제 4 영역 (R4), 및, 제 5 영역 (R5) 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 영역 (R1) 은,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 중, 표면 개구 (H2F) 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제 5 영역 (R5) 은,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 중,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표면 (10F) 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 즉 상기 서술한 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서는, 각 영역에 있어서, 표면 (10F) 에 대한,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의 일부에 있어서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직선, 즉 선분의 기울기가, 측면 중에서 각 영역에 포함되는 부분에서의 경사각이다. 제 1 영역 (R1) 에 있어서, 제 1 직선 (L11) 과 표면 (10F) 이 형성하는 각도가 제 1 경사각 (θ11) 이고, 제 2 영역 (R2) 에 있어서, 제 2 직선 (L12) 과 표면 (10F) 이 형성하는 각도가 제 2 경사각 (θ12) 이다. 제 3 영역 (R3) 에 있어서, 제 3 직선 (L13) 과 표면 (10F) 이 형성하는 각도가 제 3 경사각 (θ13) 이고, 제 4 영역 (R4) 에 있어서, 제 4 직선 (L14) 과 표면 (10F) 이 형성하는 각도가 제 4 경사각 (θ14) 이고, 제 5 영역 (R5) 에 있어서, 제 5 직선 (L15) 과 표면 (10F) 이 형성하는 각도가 제 5 경사각 (θ15) 이다.
표면 (10F)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 중, 제 1 영역 (R1) 의 제 1 경사각 (θ11) 이, 다른 영역에서의 경사각보다 크다. 즉, 5 개의 영역 중 제 1 영역 (R1) 의 제 1 경사각 (θ11) 이, 최대의 크기를 갖는다. 제 1 경사각 (θ11) 은, 제 2 경사각 (θ12), 제 3 경사각 (θ13), 제 4 경사각 (θ14), 및, 제 5 경사각 (θ15) 의 각각보다 크다. 또, 제 1 경사각 (θ11) 은, 50°이상 60°이하이다.
표면 (10F)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 중, 제 5 영역 (R5) 의 제 5 경사각 (θ15) 이, 제 4 경사각 (θ14) 보다 크다. 또, 제 1 영역 (R1) 으로부터 제 4 영역 (R4) 을 향하여,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 중에서, 각 영역에 포함되는 부분에서의 경사각이 작아진다. 즉,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제 1 경사각 (θ11), 제 2 경사각 (θ12), 제 3 경사각 (θ13), 제 4 경사각 (θ14) 의 순서대로, 경사각이 작아진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광판 (10) 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으로, 도 5 는, 표면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이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예에 있어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차광판의 두께에 대한 제 1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도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판 (10) 에 대해 표면 (10F)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표면 (10F) 에 형성된 표면 개구 (H2F) 로부터 구멍 (10H) 에 들어간다. 그리고, 구멍 (10H) 을 지난 광은 이면 (10R) 에 형성된 이면 개구 (H1R) 로부터 나옴으로써, 렌즈 (LN) 에 도달한다. 한편으로, 차광판 (10) 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 (10H) 에 입사된 광은,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반사되기 쉽다.
게다가, 이면 (10R) 과 중앙 개구 (HC) 사이의 제 2 거리 (D12) 에 대한 표면 (10F) 과 중앙 개구 (HC) 사이의 제 1 거리 (D11) 의 비 (D11/D12) 가 2.5 이상이기 때문에, 제 2 구멍 부분 (10H2) 의 크기를,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차광판 (10) 에 대향하는 렌즈 (LN) 에 의도하지 않은 광이 입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영역 (R1) 에 있어서의 제 1 경사각 (θ11) 이, 제 2 영역 (R2) 내지 제 5 영역 (R5) 의 각각에 있어서의 경사각보다 크다. 그 때문에, 제 2 구멍 부분 (10H2) 의 직경이 과잉으로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제 1 영역 (R1)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광을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보다 반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각 (θ11) 이 50°이상 60°이하이기 때문에,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 중, 표면 개구 (H2F) 를 포함하는 제 1 영역 (R1) 에 있어서,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광을 반사시키는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5 영역 (R5) 의 제 5 경사각 (θ15) 이, 제 4 영역 (R4) 의 제 4 경사각 (θ14) 보다 크기 때문에, 제 5 영역 (R5) 의 제 5 경사각 (θ15) 이, 제 4 영역 (R4) 의 제 4 경사각 (θ14) 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제 2 구멍 부분 (10H2) 의 직경이 확장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제 1 영역 (R1) 으로부터 제 4 영역 (R4) 을 향하여, 각 영역에서의 경사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 1 영역 (R1) 으로부터 제 4 영역 (R4) 에까지 걸쳐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의 기울기가 동일한 경우에 비해, 중앙 개구 (HC) 에 가까워질수록, 제 2 구멍 부분 (10H2) 에 입사된 광을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반사시키기 쉬워진다.
또,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제 2 구멍 부분 (10H2) 에 입사된 광은, 곡률 중심이 차광판 (10) 의 외측에 위치하는 호상을 가진 측면에 있어서 반사된다. 그 때문에, 반사광 중에서 가장 높은 휘도를 가진 정반사광은, 호상을 가진 측면으로부터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반사된다. 그러므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보다 억제된다.
차광판 (10) 에서는,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이, 곡률 중심이 차광판 (10) 의 밖에 위치하는 호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이 직선상을 갖는 경우에 비해,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에 입사된 광 중에서, 이면 개구 (H1R)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멍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보다 저하시킬 수 있다.
도 5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판 (100) 에 대해 표면 (100F)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차광판 (10) 에 대해 표면 (10F)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과 동일하게, 표면 (100F) 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구멍 (100H) 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구멍 (100H) 을 지난 광은 이면 (100R) 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나옴으로써, 렌즈 (LN) 에 도달한다. 이에 반하여, 표면 (10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표면 (100F) 에 입사된 광의 일부는, 표면 (100F) 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구멍 (100H) 내에 입사되고, 또한, 구멍 (10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된다. 측면에 입사된 광의 대부분은 정반사의 방향으로 반사되기 때문에, 측면에 입사된 광은, 측면으로부터 렌즈 (LN) 를 향하여 반사된다. 이로써, 의도하지 않은 광이 렌즈 (LN) 를 통하여 촬상부에 입사되어 버린다.
이상 설명한 차광판 (10) 은, 상기 서술한 카메라 유닛에 1 개 이상 구비된다. 또, 차광판 (10) 을 구비하는 카메라 유닛은, 각종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카메라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 및,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이어도 된다.
[차광판의 제조 방법]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차광판 (10)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 의 각각은, 차광판 (10) 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특정한 공정에 있어서의 금속박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 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금속박의 두께에 대한 제 2 직경 (DH2) 의 비가 실제의 차광판보다 축소되고, 또한, 금속박의 두께에 대한 제 1 직경 (DH1) 의 비가 실제의 차광판보다 축소되어 있다. 또, 도 6 내지 도 9 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제 2 직경 (DH2) 에 대한 제 1 직경 (DH1) 의 비가, 실제의 차광판보다 축소되어 있다. 또, 도 6 내지 도 9 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광판 (10) 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서, 차광판 (10) 이 갖는 구멍 (10H) 의 형성에 관련된 공정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판 (10) 을 형성할 때에는, 먼저, 차광판 (10) 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박 (10M) 을 준비한다. 금속박 (10M) 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의 박이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 금속박이어도 된다. 금속박 (10M) 의 두께는, 10 ㎛ 이상 100 ㎛ 이하이다. 금속박 (10M) 의 두께가 10 ㎛ 이상인 경우에는, 금속박 (10M) 의 휨이 차광판 (10) 의 형상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것이 억제된다. 또, 금속박 (10M) 의 두께가 100 ㎛ 이하인 경우에는, 구멍 (10H) 을 형성할 때의 에칭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금속박 (10M) 의 두께는, 금속박 (10M) 으로 제조된 차광판 (10) 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금속박 (10M) 의 표면 (10MF) 과 이면 (10MR) 에 레지스트층을 배치한다. 금속박 (10M) 의 표면 (10MF) 은,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에 상당하고, 또한, 금속박 (10M) 의 이면 (10MR) 은, 차광판 (10) 의 이면 (10R) 에 상당한다. 금속박 (10M) 의 표면 (10MF) 에는, 표면 레지스트층 (RF) 이 배치되고, 또한, 금속박 (10M) 의 이면 (10MR) 에는, 이면 레지스트층 (RR) 이 배치된다. 또한, 표면 (10MF) 및 이면 (10MR) 의 양방에는,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가 레지스트층 (RF, RR) 으로서 첩부 (貼付) 되어도 된다. 혹은, 표면 (10MF) 및 이면 (10MR) 의 양방에는, 레지스트층 (RF, RR) 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사용하여, 레지스트층 (RF, RR) 이 형성되어도 된다. 레지스트층 (RF, RR) 은, 네거티브형의 레지스트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포지티브형의 레지스트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층 (RF, RR) 의 노광과 현상에 의해, 레지스트층에서 레지스트 마스크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레지스트층 (RF) 의 노광 및 현상에 의해, 표면 레지스트층 (RF) 에서 표면 마스크 (RMF) 가 형성된다. 또, 이면 레지스트층 (RR) 의 노광 및 현상에 의해, 이면 레지스트층 (RR) 에서 이면 마스크 (RMR) 가 형성된다. 표면 마스크 (RMF) 는, 금속박 (10M) 에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구멍 (RMFh) 을 가지고 있다. 이면 마스크 (RMR) 는, 금속박 (10M) 에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구멍 (RMRh) 을 가지고 있다.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10MR) 에 형성된 이면 마스크 (RMR) 를 사용하여, 이면 (10MR) 에 이면 개구를 갖고, 또한, 이면 (10MR) 으로부터 표면 (10MF)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 제 1 구멍 부분 (MH1) 을 금속박 (10M) 에 형성한다. 제 1 구멍 부분 (MH1) 은, 차광판 (10) 이 갖는 제 1 구멍 부분 (10H1) 에 상당한다. 이 때, 금속박 (10M) 을 에칭하는 것이 가능한 에칭액을 사용하여, 금속박 (10M) 을 에칭한다. 또한, 금속박 (10M) 을 에칭하기 전에, 에칭액에 대한 내성을 가진 표면 보호막 (PMF) 에 의해, 표면 마스크 (RMF) 를 덮는다. 표면 보호막 (PMF) 은, 표면 마스크 (RMF) 의 마스크 구멍 (RMFh) 을 메워도 되고, 덮어도 된다. 표면 보호막 (PMF) 에 의해 표면 마스크 (RMF) 를 덮음으로써, 금속박 (10M) 의 표면 (10MF) 이, 금속박 (10M) 의 이면 (10MR) 과 동시에 에칭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이면 (10MR) 의 에칭에 의해 제 1 구멍 부분 (MH1) 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차광판 (10) 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이면 (10R) 과 중앙 개구 (HC) 사이의 거리보다 큰 깊이를 가진 제 1 구멍 부분 (MH1) 이 형성된다.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멍 부분 (MH1) 을 형성한 후에, 표면 (10MF) 에 형성된 표면 마스크 (RMF) 를 사용하여, 표면 (10MF) 에 표면 개구를 갖고, 또한, 표면 (10MF) 으로부터 이면 (10M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 제 2 구멍 부분 (MH2) 을, 제 1 구멍 부분 (MH1) 에 연결되도록 금속박 (10M) 에 형성한다. 제 2 구멍 부분 (MH2) 은, 차광판 (10) 이 갖는 제 2 구멍 부분 (10H2) 에 상당한다. 이 때, 제 1 구멍 부분 (MH1) 을 형성할 때와 동일하게, 금속박 (10M) 을 에칭하는 것이 가능한 에칭액을 사용하여, 금속박 (10M) 을 에칭한다. 또한, 금속박 (10M) 을 에칭하기 전에, 금속박 (10M) 의 이면 (10MR) 으로부터 이면 마스크 (RMR) 를 제거한다.
또, 금속박 (10M) 을 에칭하기 전에, 에칭액에 대한 내성을 가진 이면 보호막 (PMR) 에 의해, 금속박 (10M) 의 이면 (10MR) 을 덮고, 또한, 제 1 구멍 부분 (MH1) 내를 메운다. 이면 보호막 (PMR) 에 의해 금속박 (10M) 의 이면 (10MR) 을 덮음으로써, 금속박 (10M) 의 이면 (10MR) 이, 금속박 (10M) 의 표면 (10MF) 과 동시에 에칭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구멍 부분 (MH2) 의 에칭에서는, 제 1 구멍 부분 (MH1) 을 이면 보호막 (PMR) 에 의해 메운 상태에서, 금속박 (10M) 의 표면 (10MF) 을 에칭한다. 그 때문에, 표면 (10MF) 의 에칭이 이면 보호막 (PMR) 에 도달한 후에는, 금속박 (10M) 에 대한 에칭액의 공급이, 이면 보호막 (PMR) 에 의해 제어된다. 이로써, 금속박 (10M) 의 두께가 10 ㎛ 이상 100 ㎛ 이하라는 넓은 범위에 걸친 경우라도, 제 2 구멍 부분 (MH2) 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 1 구멍 부분 (MH1) 내가 이면 보호막 (PMR) 에 의해 메워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구멍 부분 (MH1) 과 제 2 구멍 부분 (MH2) 이 연결됨으로써 금속박 (10M) 이 관통되면, 제 1 구멍 부분 (MH1) 과 제 2 구멍 부분 (MH2) 의 접속부를 통해서, 에칭액이, 금속박 (10M) 의 이면 (10MR) 을 향하여 누출되어 버린다. 결과적으로, 제 1 구멍 부분 (MH1) 의 형상, 및, 제 2 구멍 부분 (MH2) 의 형상에 있어서의 정밀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제 1 구멍 부분 (MH1) 과 제 2 구멍 부분 (MH2) 을 형성한 후에, 표면 (10MF) 으로부터 표면 마스크 (RMF) 를 제거하고, 또한, 이면 (10MR) 으로부터 이면 보호막 (PMR) 을 제거한다. 또, 표면 마스크 (RMF) 및 이면 보호막 (PMR) 이 금속박 (10M) 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표면 (10MF), 이면 (10MR), 및, 제 1 구멍 부분 (MH1) 및 제 2 구멍 부분 (MH2) 을 구획하는 측면을 덮는 반사 방지막이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반사 방지막은, 금속박 (10M) 보다 낮은 반사율을 갖고, 또한, 반사 방지막에 입사된 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반사 방지막은, 예를 들어 흑색을 가진 피막이다. 반사 방지막은, 스퍼터법 또는 증착법 등의 성막 방법을 사용하여 금속박 (10M) 에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반사 방지막은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기 위한 액체에, 금속박 (10M) 을 접하게 함으로써, 금속박 (10M) 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차광판 (10) 의 제조 방법에 의해, 1 개의 구멍 (10H) 을 갖고, 차광판 (10)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이면 (10R) 과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에 대한 표면 (10F) 과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의 비가 2.5 이상인 차광판 (10) 이 제조된다.
상기 서술한 차광판 (10) 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면 보호막 (PMR) 을 형성하기 전에, 이면 마스크 (RMR) 를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면 마스크 (RMR) 를 덮고, 또한, 제 1 구멍 부분 (MH1) 내에 충전된 이면 보호막 (PMR) 을 형성하면 된다. 또, 이면 보호막 (PMR) 은, 표면 (10MF) 의 에칭에 의해 제 2 구멍 부분 (MH2) 이 형성된 후에, 이면 마스크 (RMR) 와 함께 이면 (10MR) 으로부터 제거되면 된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1]
30 ㎛ 의 두께를 가진 스테인리스 강박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강박의 이면에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에칭함으로써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한 후에, 스테인리스 강박의 표면에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에칭함으로써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제 1 구멍 부분과 제 2 구멍 부분을 갖고, 중앙 개구에 있어서, 270 ㎛ 의 장축 직경을 갖고, 75 ㎛ 의 단축 직경을 갖고, 또한, 타원 형상을 가진 중앙 개구를 가진 구멍을 갖는 차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 에 있어서, 중앙 개구를 850 ㎛ 의 직경을 가진 원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1-2 의 차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1 에 있어서, 중앙 개구를 490 ㎛ 의 직경을 가진 원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1-3 의 차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1 에 있어서, 중앙 개구를 6600 ㎛ 의 직경을 가진 원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1-4 의 차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1 에 있어서, 중앙 개구를 2510 ㎛ 의 직경을 가진 원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1-5 의 차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1-3 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강박의 두께를 25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1-6 의 차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1-2 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금형으로 타발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강박을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교예 1-1 의 차광판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1-1 의 차광판에 있어서, 표면 개구의 직경과 이면 개구의 직경은 동일하고, 또한, 실시예 1-2 의 제 2 직경과 동일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 의 차광판의 각각에 대해, 표면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VK-X1000 Series, (주) 키엔스 제조) 을 사용하여, 제 2 구멍 부분의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또, 이면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상동) 을 사용하여, 제 2 구멍 부분의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제 1 구멍 부분의 프로파일 및 제 2 구멍 부분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 (D12/D11) 를 산출하였다.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는,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한, 비교예 1 의 차광판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구멍 부분과 제 2 구멍 부분을 갖는 구멍을 갖지 않기 때문에, 표 1 에는,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를 기재하고 있지 않다.
Figure pct00001
표 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는, 실시예 1-1 에 있어서 3.84 이고, 실시예 1-2 에 있어서 3.35 이며, 실시예 1-3 에 있어서 2.61 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는, 실시예 1-4 에 있어서 2.90 이고, 실시예 1-5 에 있어서 2.57 이며, 실시예 1-6 에 있어서 84.65 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가, 2.5 이상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제 2 구멍 부분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각 차광판의 촬상 결과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의 측면을 표면 개구의 직경 방향을 따라 5 등분하고, 각 영역에 있어서의 경사각을 산출하였다. 산출 결과는, 이하의 표 2 및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한, 표 2 및 표 3 에 있어서, 수평 거리란, 표면 개구의 직경 방향을 따른 각 영역의 길이이다. 또, 표 2 및 표 3 에 있어서, 고저차란, 차광판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각 영역의 일단의 위치와 타단의 위치의 차이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2 및 표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에서는, 각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 거리를 6.5 ㎛ 또는 6.7 ㎛ 로 설정함으로써, 제 2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측면을 표면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5 등분하였다. 실시예 1-2 에서는, 각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 거리를 9.5 ㎛ 또는 9.6 ㎛ 로 설정함으로써, 제 2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측면을 표면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5 등분하였다. 실시예 1-3 에서는, 각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 거리를 8.1 ㎛ 로 설정하고, 또, 실시예 1-4 에서는, 각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 거리를 7.2 ㎛ 로 설정함으로써, 제 2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측면을 표면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5 등분하였다. 실시예 1-5 에 있어서, 각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 거리를 6.9 ㎛ 또는 7.1 ㎛ 로 설정함으로써, 제 2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측면을 표면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5 등분하였다. 실시예 1-6 에 있어서, 각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 거리를 7.7 ㎛ 또는 7.6 ㎛ 로 설정함으로써, 제 2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측면을 표면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5 등분하였다.
또, 표 2 및 표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6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5 영역 중에서, 제 1 영역에서의 제 1 경사각 (θ11) 이 가장 크고, 또한, 제 1 경사각 (θ11) 이 50°이상 60°이하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6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 1 경사각 (θ11) 으로부터 제 4 경사각 (θ14) 을 향하여, 경사각이 순서대로 작아지는 것, 및, 제 5 경사각 (θ15) 이 제 4 경사각 (θ14) 보다 큰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 차광판을 탑재한 카메라 유닛에 의해, 동일한 환경하에 있어서 동일한 물체를 촬영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6 의 각각의 차광판을 가진 카메라 유닛을 사용하여 촬영한 화상에는, 고스트 및 플레어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 (D12/D11) 가 2.5 이상임으로써, 고스트 및 플레어가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6 에서는,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 에 비해, 보다 고스트 및 플레어가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6 에서는,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 에 비해, 제 1 구멍 부분의 측면에 있어서의 면적이 매우 작고, 이로써, 렌즈에 입사된 광의 일부가, 렌즈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제 1 구멍 부분에 입사 되고, 또한 제 1 구멍 부분으로부터 렌즈를 향하여 반사되는 것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스트 및 플레어가 더욱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1 의 차광판을 가진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한 화상에는, 고스트 및 플레어가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차광판 (10) 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 (10H) 에 입사된 광은,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반사되기 쉽다.
(1-2) 이면 (10R) 과 중앙 개구 (HC) 사이의 제 1 거리 (D11) 에 대한 표면 (10F) 과 중앙 개구 (HC) 사이의 제 2 거리 (D12) 의 비 (D12/D11) 가 2.5 이상이기 때문에, 제 2 구멍 부분 (10H2) 의 크기를,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3) 제 1 영역 (R1) 에 있어서의 제 1 경사각 (θ11) 이, 제 2 영역 (R2) 내지 제 5 영역 (R5) 의 각각에 있어서의 경사각보다 큰 경우에는, 제 2 구멍 부분 (10H2) 의 직경이 과잉으로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제 1 영역 (R1)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광을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보다 반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1-4) 제 1 경사각 (θ11) 이 50°이상 60°이하인 경우에는,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 중, 표면 개구 (H2F) 를 포함하는 제 1 영역 (R1) 에 있어서,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광을 반사시키는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
(1-5) 제 5 영역 (R5) 의 제 5 경사각 (θ15) 이, 제 4 영역 (R4) 의 제 4 경사각 (θ14) 보다 큰 경우에는, 제 5 영역 (R5) 의 제 5 경사각 (θ15) 이, 제 4 영역 (R4) 의 제 4 경사각 (θ14) 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제 2 구멍 부분 (10H2) 의 직경이 확장되는 것이 억제된다.
(1-6) 제 1 영역 (R1) 으로부터 제 4 영역 (R4) 을 향하여, 각 영역에서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경우에는, 중앙 개구 (HC) 에 가까워질수록, 제 2 구멍 부분 (10H2) 에 입사된 광을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반사시키기 쉬워진다.
(1-7)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이, 곡률 중심이 차광판 (10) 의 외측에 위치하는 호상을 갖는 경우에는, 반사광 중에서 가장 높은 휘도를 가진 정반사광이, 호상을 가진 측면으로부터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반사된다.
(1-8)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이, 곡률 중심이 차광판 (10) 의 외측에 위치하는 호상을 갖는 경우에는,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에 입사된 광 중에서, 이면 개구 (H1R)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를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 1 구멍 부분]
·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은, 표면 (10F)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구멍 부분 (10H1) 이 이면 (10R) 으로부터 표면 (10F)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가 2.5 이상이면, 상기 서술한 (1-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제 2 구멍 부분]
·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은, 표면 (10F)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구멍 부분 (10H1) 이 이면 (10R) 으로부터 표면 (10F)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가 2.5 이상이면, 상기 서술한 (1-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제 2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측면]
· 제 1 영역 (R1) 으로부터 제 5 영역 (R5) 을 향하여, 각 영역에서의 경사각이 순서대로 작아져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가 2.5 이상이면, 상기 서술한 (1-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 제 1 영역 (R1) 으로부터 제 4 영역 (R4) 을 향하여, 각 영역에서의 경사각이 순서대로 작아지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 (R1) 내지 제 4 영역 (R4) 에 있어서, 각 영역에서의 경사각이 다른 영역에서의 경사각과 동등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가 2.5 이상이면, 상기 서술한 (1-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 제 5 영역 (R5) 의 제 5 경사각 (θ15) 은, 제 4 영역 (R4) 의 제 4 경사각 (θ14) 보다 작아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가 2.5 이상이면, 상기 서술한 (1-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 제 1 영역 (R1) 의 제 1 경사각 (θ11) 은, 50°보다 작아도 되고, 60°보다 커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가 2.5 이상이면, 상기 서술한 (1-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 제 1 영역 (R1) 의 제 1 경사각 (θ11) 은, 제 2 영역 (R2) 내지 제 5 영역 (R5) 의 적어도 1 개의 영역에 있어서의 경사각보다 작아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거리 (D11) 에 대한 제 2 거리 (D12) 의 비가 2.5 이상이면, 상기 서술한 (1-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차광판]
· 차광판 (1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차광판 (10) 은, 예를 들어, 철-니켈계 합금제여도 되고, 철-니켈-코발트계 합금제여도 된다.
철-니켈계 합금의 열팽창 계수는, 스테인리스강의 열팽창 계수보다 작다. 그 때문에, 철-니켈계 합금제의 차광판은, 외기온의 변화에 수반하는 변형이 작고, 이로써, 차광판 자체의 휨이나 열팽창 및 열수축에 수반하는 내경의 변형을 요인으로 하는 외기온의 변화에 수반하는 외광의 입사량에 있어서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광의 입사량이란, 차광판 (10) 을 통해서 렌즈에 입사되는 외광의 입사량이다. 그러므로, 차광판 (10) 이 철-니켈계 합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외광의 입사량에 있어서의 변화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고스트 및 플레어의 억제에 유효하다.
또한, 철-니켈계 합금은, 철과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예를 들어, 30 질량% 이상의 니켈과, 잔여분으로서의 철을 함유하는 합금이다. 철-니켈계 합금 중에서도, 36 질량% 의 니켈을 함유하는 합금, 즉 인바가, 차광판 (10)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인바에 있어서, 36 질량% 의 니켈에 대한 잔여분은, 주성분인 철 이외의 첨가물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다. 첨가물은, 예를 들어, 크롬, 망간, 탄소, 및, 코발트 등이다. 철-니켈계 합금에 함유되는 첨가물은, 최대여도 1 질량% 이하이다.
철-니켈-코발트계 합금의 열팽창 계수는, 철-니켈계 합금의 열팽창 계수보다 작다. 그 때문에, 철-니켈-코발트계 합금제의 차광판은, 외기온의 변화에 수반하는 변형이 보다 작고, 이로써, 차광판 자체의 휨이나 열팽창 및 열수축에 수반하는 내경의 변형을 요인으로 하는 외기온의 변화에 수반하는 외광의 입사량에 있어서의 변화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광판 (10) 이 철-니켈-코발트계 합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외광의 입사량에 있어서의 변화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고스트 및 플레어의 억제에 더욱 유효하다.
또한, 철-니켈-코발트계 합금은, 철, 니켈, 및,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예를 들어, 30 질량% 이상의 니켈, 3 질량% 이상의 코발트, 및, 잔여분으로서의 철을 함유하는 합금이다. 철-니켈-코발트계 합금 중에서도, 32 질량% 의 니켈과 4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의 코발트를 함유하는 합금, 즉 슈퍼 인바가, 차광판 (10) 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슈퍼 인바에 있어서, 32 질량% 의 니켈, 및, 4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의 코발트에 대한 잔여분은, 주성분인 철 이외의 첨가물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다. 첨가물은, 예를 들어, 크롬, 망간, 및, 탄소 등이다. 철-니켈-코발트계 합금에 함유되는 첨가물은, 최대여도 0.5 질량% 이하이다.
이와 같이, 차광판 (10) 이, 철-니켈계 합금제, 또는, 철-니켈-코발트계 합금제인 경우에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9) 외기온의 변화에 수반하는 차광판 (10)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외기온의 변화에 수반하는 외광의 입사량에 있어서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광의 입사량에 있어서의 변화에 수반하는 고스트 및 플레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여,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차광판의 형상이 상이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한편으로,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차광판, 및, 실시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차광판]
도 10 을 참조하여, 차광판을 설명한다.
도 10 은, 도 2 가 나타내는 차광판 (10) 의 단면 구조에 있어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계 심도가 0.4 ㎛ 인 촬상 조건에 있어서,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에 핀트를 맞춘 상태에서, 중앙 개구 (HC) 의 직경 방향을 따라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를 촬상했을 때에, 핀트가 맞는 차광판 (10)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차광판 (10) 의 최대폭이, 최대폭 (WM) 이다. 즉, 최대폭 (WM) 은,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로부터, 차광판 (10) 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피사계 심도 (DF) 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차광판 (10) 의 두께이다.
최대폭 (WM) 은, 7.0 ㎛ 이하이다. 또, 최대폭 (WM) 은, 차광판 (10) 의 두께 (T) 에 있어서의 30 % 이하이다. 최대폭 (WM) 은, 3.0 ㎛ 이하여도 된다. 또, 최대폭 (WM) 은, 1.0 ㎛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최대폭 (WM) 은, 7.0 ㎛ 이하인 것, 및, 차광판 (10) 의 두께 (T) 에 있어서의 30 % 이하인 것의 어느 것을 만족하는 한편으로, 타방을 만족하지 않아도 된다.
차광판 (10)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이면 (10R) 과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개구 거리 (D21) 이다. 개구 거리 (D21) 는, 0 ㎛ 보다 크고 3 ㎛ 이하여도 된다. 혹은, 개구 거리 (D21) 는,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이하여도 된다. 또한, 개구 거리 (D21) 는,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이하인 것을 만족하는 한편으로, 3 ㎛ 이하인 것을 만족하지 않아도 된다. 개구 거리 (D21) 는, 최대폭 (WM) 보다 작아도 되고, 최대폭 (WM) 과 거의 동등해도 된다.
차광판 (10) 에 대해 표면 (10F)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표면 (10F) 에 형성된 표면 개구 (H2F) 로부터 구멍 (10H) 에 들어간다. 그리고, 구멍 (10H) 을 지난 광은 이면 (10R) 에 형성된 이면 개구 (H1R) 로부터 나옴으로써, 렌즈 (LN) 에 도달한다. 한편으로, 차광판 (10) 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 (10H) 에 입사된 광은,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반사되기 쉽다.
또, 최대폭 (WM) 이 7.0 ㎛ 이하이기 때문에, 혹은, 최대폭 (WM) 이 차광판 (10) 의 두께 (T) 에 있어서의 30 % 이하이기 때문에,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이로써,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최대폭 (WM) 이 3.0 ㎛ 이하이면,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의 면적을 더욱 작게 하고, 이로써,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최대폭 (WM) 이 1.0 ㎛ 이상이면, 차광판 (10) 중에서 중앙 개구 (HC) 를 포함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가 1.0 ㎛ 이상임으로써, 중앙 개구 (HC) 부근에 있어서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중앙 개구 (HC) 를 통해서 차광판 (10) 을 투과하는 광의 광량이, 차광판 (10) 의 변형에서 기인하여 변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개구 거리 (D21) 가 0 ㎛ 보다 크고 3 ㎛ 이하, 혹은,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이하임으로써,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이로써,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 (10H) 을 통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실시예
도 11 을 참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2-1]
25 ㎛ 의 두께를 가진 스테인리스 강박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강박의 이면에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에칭함으로써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한 후에, 스테인리스 강박의 표면에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에칭함으로써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제 1 구멍 부분과 제 2 구멍 부분으로 형성되는 구멍을 가진 차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2-2]
실시예 2-1 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이 갖는 표면 개구의 제 2 직경을 크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2-2 의 차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2-3]
실시예 2-2 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이 갖는 표면 개구의 제 2 직경을 작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2-3 의 차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2-1]
실시예 2-1 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금형으로 타발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강박을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교예 1 의 차광판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1 의 차광판에 있어서, 표면 개구의 직경과 이면 개구의 직경은 동일하고, 또한, 실시예 2-1 의 제 2 직경과 동일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3 및, 비교예 2-1 의 차광판의 각각에 대해,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VK-X1000 Series, (주) 키엔스 제조) 을 사용하여, 최대폭 (WM) 을 측정하였다. 이 때,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에, 50 배의 대물 렌즈를 장착하였다. 또,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에 핀트가 맞는 상태에서,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측면을 관찰함으로써, 최대폭 (WM) 을 측정하였다.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에서는, 대물 렌즈가 갖는 배율에 의해, 초점이 맞는 범위, 즉 피사계 심도가 상이하다. 또, 피사계 심도 내에서는 핀트가 맞기 때문에,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의 위치에 따라, 차광판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폭은 상이하다. 그 때문에, 실제로는 핀트가 맞는 위치에서의 차광판의 두께는, 소정의 폭을 갖는다. 50 배의 대물 렌즈의 피사계 심도는 0.4 ㎛ 이다. 그래서, 피사계 심도가 0.4 ㎛ 이고,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에 핀트를 맞춘 상태에 있어서, 차광판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차광판의 폭에 있어서의 최대값을 최대폭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사계 심도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차광판의 두께가, 차광판의 최대폭 (WM) 이다. 최대폭 (WM) 의 측정 결과는, 표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3, 및, 비교예 2-1 의 각각을, 표면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절단하여, 측정 대상을 작성하였다. 이 중, 실시예 2-1 의 측정 대상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3, 및, 비교예 2-1 의 각각에 대해, 개구 거리를 측정한 결과는, 표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한, 비교예 2-1 의 차광판이 갖는 구멍은, 제 1 구멍 부분, 제 2 구멍 부분, 및, 중앙 개구를 갖지 않기 때문에, 비교예 2-1 에 대해서는, 최대폭 및 개구 거리를 표기하고 있지 않다.
Figure pct00004
표 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 의 최대폭 (WM) 은 2.3 ㎛ 이고, 실시예 2-2 의 최대폭 (WM) 은 0.6 ㎛ 이며, 실시예 2-3 의 최대폭 (WM) 은 6.96 ㎛ 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3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최대폭 (WM) 은 7.0 ㎛ 이하인 것이 확인되었다. 표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 의 개구 거리 (D21) 는 0.27 ㎛ 이고, 실시예 2-2 의 개구 거리 (D21) 는 0.10 ㎛ 이며, 실시예 2-3 의 개구 거리 (D21) 는 7.05 ㎛ 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도 1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 의 차광판에 있어서, 제 1 구멍 부분은, 이면 개구 (H1R) 와 중앙 개구 (HC) 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2-2 의 차광판, 및, 실시예 2-3 의 차광판도, 실시예 2-1 의 차광판이 갖는 구멍의 형상에 준한 형상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차광판에서 측정 대상을 형성하기 전에, 각 차광판을 탑재한 카메라 유닛에 의해, 동일한 환경하에 있어서 동일한 물체를 촬영하였다.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이하의 수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플레어도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크게 저감시키지 않을 정도의 플레어가 발생한다
△ 화상의 일부분에만 고스트가 발생하고,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크게 저감시키지 않을 정도의 플레어가 발생한다
× 화상의 광범위로 퍼지는 고스트, 및,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크게 저감시키는 플레어가 발생한다
표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 의 차광판을 사용한 경우의 평가 결과는 「◎」이고, 실시예 2-2 의 차광판을 사용한 경우의 평가 결과는 「○」이고, 실시예 2-3 의 차광판을 사용한 경우의 평가 결과는 「△」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표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의 차광판을 사용한 경우의 평가 결과는 「×」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3 에 의하면, 비교예 2-1 에 비해, 고스트 및 플레어가 저감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때문에,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3 에 의하면, 차광판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3 에 의하면, 비교예 2-1 에 비해 차광판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고스트 및 플레어가 확인된다. 그 때문에, 최대폭 (WM) 은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2-2 에 의하면, 비교예 2-1 에 비해 차광판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실시예 2-1 과 비교한 경우에, 차광판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광량의 차이는, 차광판의 강도 저하에 의한 변형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차광판의 변형을 억제하는 데에 있어서, 최대폭 (WM) 은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1) 최대폭 (WM) 이 7.0 ㎛ 이하임으로써,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이로써,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2-2) 최대폭 (WM) 이 3.0 ㎛ 이하임으로써,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2-3) 최대폭 (WM) 이 1.0 ㎛ 이상임으로써, 중앙 개구 (HC) 부근에 있어서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중앙 개구 (HC) 를 통해서 차광판 (10) 을 투과하는 광의 광량이, 차광판 (10) 의 변형에서 기인하여 변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2-4) 개구 거리 (D21) 가 3.0 ㎛ 이하임으로써,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이로써,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2-5) 개구 거리 (D21) 가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이하임으로써,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이로써,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2-6) 최대폭 (WM) 이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이하임으로써,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의 면적을 작게 하고, 이로써, 중앙 개구 (HC)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를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개구 거리]
· 개구 거리 (D21) 는, 3 ㎛ 보다 커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최대폭 (WM) 이 7.0 ㎛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2-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도, 최대폭 (WM) 이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이하이면, 상기 서술한 (2-6)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 개구 거리 (D21) 는,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보다 커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최대폭 (WM) 이 7.0 ㎛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2-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도, 최대폭 (WM) 이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이하이면, 상기 서술한 (2-6)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최대폭]
· 최대폭 (WM) 은, 0 ㎛ 보다 크고 1 ㎛ 미만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최대폭 (WM) 이 7.0 ㎛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2-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도, 최대폭 (WM) 이 차광판 (10) 의 두께에 있어서의 30 % 이하이면, 상기 서술한 (2-6)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 최대폭 (WM) 은, 3.0 ㎛ 보다 크고 7.0 ㎛ 이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서술한 (2-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제 1 구멍 부분]
· 제 1 구멍 부분 (10H1) 이 이면 (10R) 으로부터 표면 (10F)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은, 표면 (10F)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을 가져도 된다.
[제 2 구멍 부분]
·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은, 표면 (10F)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을 가져도 된다.
[차광판]
· 차광판 (1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차광판 (10)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있어서 열거된 어느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 제 2 실시형태의 차광판 (10) 은, 제 1 실시형태의 차광판 (10) 이 갖는 구조와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여,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차광판의 형상이 상이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한편으로,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차광판, 및, 실시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차광판]
도 12 를 참조하여, 차광판을 설명한다.
도 12 는, 도 2 가 나타내는 차광판 (10) 의 단면 구조에 있어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10F) 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와 이면 개구 (H1R) 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직선, 즉 선분이, 제 1 직선 (L31) 이다. 제 1 직선 (L31) 과 이면 (10R) 이 형성하는 각도가 제 1 각도 (θ31) 이다. 제 1 각도 (θ31) 는, 90°보다 크다. 또한, 표면 (10F) 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은, 표면 개구 (H2F) 의 중심을 지난다. 또, 표면 (10F) 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제 1 직선 (L31) 은, 중앙 개구 (HC) 와 이면 개구 (H1R) 를 연결하는 호의 현이다.
표면 (10F) 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를 지나고, 또한, 이면 (10R) 에 평행한 직선이, 기준 직선 (LR) 이다. 또, 중앙 개구 (HC) 의 가장자리와 표면 개구 (H2F) 의 가장자리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이, 제 2 직선 (L32) 이다. 기준 직선 (LR) 과 제 2 직선 (L32) 이 형성하는 각도가, 20°이상 40°이하여도 된다.
차광판 (10) 이, 스마트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 및,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전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유닛이, 피사체를 근거리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화각이 커지는 것에 대응하여, 기준 직선 (LR) 과 제 2 직선 (L32) 이 형성하는 각도는, 20°이상 30°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 어느 각도여도 된다. 또, 차광판 (10) 이 차재 카메라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유닛이, 피사체를 중거리 내지 원거리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화각이 작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기준 직선 (LR) 과 제 2 직선 (L32) 이 형성하는 각도는, 30°이상 40°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차광판 (10) 이, 스마트폰의 배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유닛이, 피사체를 근거리 내지 원거리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화각이 커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데에 있어서는, 기준 직선 (LR) 과 제 2 직선 (L32) 이 형성하는 각도는, 20°이상 30°이하여도 되고, 화각이 작아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데에 있어서는, 30°이상 40°이하여도 된다.
차광판 (10) 에 대해 표면 (10F)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표면 (10F) 에 형성된 표면 개구 (H2F) 로부터 구멍 (10H) 에 들어간다. 그리고, 구멍 (10H) 을 지난 광은 이면 (10R) 에 형성된 이면 개구 (H1R) 로부터 나옴으로써, 렌즈 (LN) 에 도달한다. 한편으로, 차광판 (10) 에 있어서,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 (10H) 에 입사된 광은,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에 있어서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반사되기 쉽다.
또, 제 1 직선 (L31) 과, 이면 (10R) 이 형성하는 각도가 90°인 경우에 비해, 표면 (10F) 에 대해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차광판 (10) 에 입사된 광 중에서, 이면 개구 (H1R)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광판 (10) 에 대향하는 렌즈 (LN) 에 의도하지 않은 광이 입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제 2 구멍 부분 (10H2) 에 입사된 광은, 호상을 가진 측면에 있어서 반사된다. 그 때문에, 반사광 중에서 가장 높은 휘도를 가진 정반사광은, 호상을 가진 측면으로부터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반사된다. 그러므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보다 억제된다.
차광판 (10) 에서는,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이, 곡률 중심이 차광판 (10) 의 밖에 위치하는 호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이 직선상을 갖는 경우에 비해,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에 입사된 광 중에서, 이면 개구 (H1R)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멍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보다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제 2 직선 (L32) 과 기준 직선 (LR) 이 형성하는 각도가 40°보다 큰 경우에 비해,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이고, 또한, 표면 (10F) 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어긋남량이 작은 방향으로부터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광이 입사된 경우에, 당해 측면에 입사된 광이,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반사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구멍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보다 억제된다.
실시예
도 13 을 참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3-1]
25 ㎛ 의 두께를 가진 스테인리스 강박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강박의 이면에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에칭함으로써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한 후에, 스테인리스 강박의 표면에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에칭함으로써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제 1 구멍 부분과 제 2 구멍 부분으로 형성되는 구멍을 가진 차광판을 얻었다. 또한, 제 1 구멍 부분의 제 1 직경은 490 ㎛ 이고, 제 2 구멍 부분의 제 2 직경은 571 ㎛ 였다.
[비교예 3-1]
실시예 3-1 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강박을 금형으로 타발함으로써, 스테인리스 강박을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교예 3-1 의 차광판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3-1 의 차광판에 있어서, 표면 개구의 직경과 이면 개구의 직경은 동일하고, 또한, 실시예 3-1 의 제 2 직경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3-2]
실시예 3-1 에 있어서,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한 후에, 제 2 구멍 부분의 바닥부와 이면 사이를 레이저 광선의 조사에 의해 타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교예 3-2 의 차광판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3-2 의 차광판에 있어서, 표면 개구의 직경은, 실시예 3-1 의 제 2 직경과 동일하고, 이면 개구의 직경은, 실시예 3-1 의 제 1 직경과 동일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3-1, 비교예 3-1, 및, 비교예 3-2 의 차광판의 각각을, 표면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절단하여, 측정 대상을 작성하였다. 실시예 3-1 의 측정 대상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도 1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1 의 측정 대상에 있어서, 제 1 직선 (L31) 과 이면 (10R) 이 형성하는 제 1 각도 (θ31) 가, 125°인 것, 즉 90°보다 큰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으로, 비교예 3-1 의 측정 대상에서는, 구멍을 구획하는 측면의 전체에 있어서, 측면과 이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90°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비교예 3-2 의 측정 대상에서는, 레이저 광선의 조사에 의해 형성된 측면과 이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90°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 차광판에서 측정 대상을 형성하기 전에, 각 차광판을 탑재한 카메라 유닛에 의해, 동일한 환경하에 있어서 동일한 물체를 촬영하였다. 실시예 3-1 의 차광판을 가진 카메라 유닛을 사용하여 촬영한 화상에는, 고스트나 플레어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3-1 의 차광판을 가진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한 화상, 및, 비교예 3-2 의 차광판을 가진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한 화상에는, 고스트 및 플레어의 적어도 일방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1) 이면 개구 (H1R)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3-2)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제 2 구멍 부분 (10H2) 에 입사된 광은, 호상을 가진 측면에 있어서 반사된다. 그 때문에, 반사광 중에서 가장 높은 휘도를 가진 정반사광은, 호상을 가진 측면으로부터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반사된다. 그러므로,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보다 억제된다.
(3-3) 차광판 (10) 에서는,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이, 곡률 중심이 차광판 (10) 의 밖에 위치하는 호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이 직선상을 갖는 경우에 비해,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구멍에 입사된 광 중에서, 이면 개구 (H1R) 의 근방에 있어서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을 보다 저하시킬 수 있다.
(3-4) 제 2 직선 (L32) 과 기준 직선 (LR) 이 형성하는 각도가 40°보다 큰 경우에 비해, 표면 (10F) 의 비스듬한 상방이고, 또한, 표면 (10F) 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어긋남량이 작은 방향으로부터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 광이 입사된 경우에, 당해 측면에 입사된 광이, 차광판 (10) 의 표면 (10F) 을 향하여 반사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구멍 (10H) 을 투과하도록 구멍 (10H) 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광량이 보다 억제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3 실시형태를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 2 각도]
· 제 2 직선 (L32) 과 기준 직선 (LR) 이 형성하는 제 2 각도 (θ32) 는, 40°보다 커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구멍 부분 (10H1) 이 이면 (10R) 으로부터 표면 (10F)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또한, 제 1 각도 (θ31) 가 90°보다 크면, 상기 서술한 (3-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제 1 구멍 부분]
· 제 1 구멍 부분 (10H1) 을 구획하는 측면은, 표면 (10F)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구멍 부분 (10H1) 이 이면 (10R) 으로부터 표면 (10F)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또한, 제 1 각도 (θ31) 가 90°보다 크면, 상기 서술한 (3-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제 2 구멍 부분]
· 제 2 구멍 부분 (10H2) 을 구획하는 측면은, 표면 (10F) 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선상을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구멍 부분 (10H1) 이 이면 (10R) 으로부터 표면 (10F)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제 2 구멍 부분 (10H2) 이 표면 (10F) 으로부터 이면 (10R) 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또한, 제 1 각도 (θ31) 가 90°보다 크면, 상기 서술한 (3-1) 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차광판]
· 차광판 (1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차광판 (10)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있어서 열거된 어느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 제 3 실시형태의 차광판 (10) 은, 제 1 실시형태의 차광판 (10) 이 갖는 구조, 및, 제 2 실시형태의 차광판 (10) 이 갖는 구조의 적어도 일방과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금속제의 차광판으로서,
    광의 입사측에 위치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제 1 구멍 부분과, 중앙 개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 부분에 접속하는 제 2 구멍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구멍 부분은, 상기 이면에 있어서의 이면 개구로부터 상기 중앙 개구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표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 2 구멍 부분은, 상기 표면에 있어서의 표면 개구로부터 상기 중앙 개구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표면 개구의 크기는 상기 이면 개구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와 상기 이면 개구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직선과, 상기 이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보다 큰 차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측면이 호상이고, 또한, 상기 제 2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상기 측면의 곡률 중심이, 상기 차광판의 밖에 위치하는 차광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측면이 호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구멍 부분을 구획하는 상기 측면의 곡률 중심이, 상기 차광판의 밖에 위치하는 차광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개구의 상기 가장자리를 지나고, 또한, 상기 이면에 평행한 직선과, 상기 중앙 개구의 상기 가장자리와 상기 표면 개구의 가장자리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이 형성하는 각도가, 20°이상 40°이하인 차광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은, 10 ㎛ 이상 100 ㎛ 이하의 두께를 갖는 차광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은, 철-니켈계 합금제, 또는, 철-니켈-코발트계 합금제인 차광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은, 인바제 또는 슈퍼 인바제인 차광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광판을 구비하는 카메라 유닛.
  9. 제 8 항에 기재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10. 금속박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레지스트층을 배치하는 것과,
    상기 레지스트층의 노광과 현상에 의해 각 레지스트층에서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이면에 형성된 상기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이면에 이면 개구를 갖고, 또한,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표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 제 1 구멍 부분을 상기 금속박에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한 후에,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표면에 표면 개구를 갖고, 또한,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 제 2 구멍 부분을 상기 제 1 구멍 부분에 접속하도록 상기 금속박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 부분이 상기 제 1 구멍 부분에 접속하는 중앙 개구의 가장자리와 상기 이면 개구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직선과, 상기 이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보다 커지도록, 상기 제 1 구멍 부분과 상기 제 2 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차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227001188A 2019-07-19 2020-07-17 차광판, 카메라 유닛, 전자 기기, 및, 차광판의 제조 방법 KR20220020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34037 2019-07-19
JP2019134036 2019-07-19
JP2019134038 2019-07-19
JPJP-P-2019-134037 2019-07-19
JPJP-P-2019-134038 2019-07-19
JPJP-P-2019-134036 2019-07-19
JP2019167432A JP7095667B2 (ja) 2019-07-19 2019-09-13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2019167431A JP7172926B2 (ja) 2019-07-19 2019-09-13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JP-P-2019-167431 2019-09-13
JPJP-P-2019-167433 2019-09-13
JPJP-P-2019-167432 2019-09-13
JP2019167433A JP7140079B2 (ja) 2019-07-19 2019-09-13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遮光板の製造方法
PCT/JP2020/027894 WO2021015132A1 (ja) 2019-07-19 2020-07-17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遮光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371A true KR20220020371A (ko) 2022-02-18

Family

ID=775166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190A KR20220019813A (ko) 2019-07-19 2020-07-17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
KR1020227001188A KR20220020371A (ko) 2019-07-19 2020-07-17 차광판, 카메라 유닛, 전자 기기, 및, 차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227001189A KR102617511B1 (ko) 2019-07-19 2020-07-17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190A KR20220019813A (ko) 2019-07-19 2020-07-17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189A KR102617511B1 (ko) 2019-07-19 2020-07-17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20220137270A1 (ko)
KR (3) KR20220019813A (ko)
CN (4) CN114144726A (ko)
TW (4) TW2023054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813A (ko) 2019-07-19 2022-02-17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
CN114669963B (zh) * 2022-03-26 2022-10-18 广东誉品实业有限公司 一种潜望式摄像模组外壳的制造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8786A (ja) 2008-06-27 2010-01-1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フィルム状遮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絞り、光量調整用絞り装置、又はシャッター
WO2016060198A1 (ja) 2014-10-16 2016-04-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15328D0 (en) * 1995-07-26 1995-09-20 Willson Peter D W Apparatus for modifying light quality:-diaphagm,colour changer and dimmer
JP2002229095A (ja) * 2001-02-06 2002-08-14 Nidec Copal Corp 絞り羽根
JP4439225B2 (ja) * 2003-09-08 2010-03-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バリヤ装置
CN1734306A (zh) * 2004-08-09 2006-02-15 日立麦克赛尔株式会社 遮光片、光学仪器及遮光片的制造方法
JP2006072151A (ja) * 2004-09-03 2006-03-16 Fujinon Corp 絞り板
JP4283195B2 (ja) 2004-09-17 2009-06-24 日昌株式会社 遮光部材供給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7249863B2 (en) * 2006-05-08 2013-02-07 Boston Scientific Limited Optical assembly for medical imaging devices
JP5338034B2 (ja) 2007-04-09 2013-11-13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耐熱遮光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絞り又は光量調整装置
US7705869B2 (en) * 2007-05-14 2010-04-27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 shielding member, a line head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line head
JP5256796B2 (ja) * 2007-05-14 2013-08-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イン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9239018A (ja) * 2008-03-27 2009-10-15 Orc Mfg Co Ltd 投影露光装置
TW200949298A (en) * 2008-05-29 2009-12-01 Asia Optical Co Inc Front diaphragm type lens and mold for manufacturing lens chamber
TWI495946B (zh) * 2011-01-26 2015-08-11 Hon Hai Prec Ind Co Ltd 遮光片及採用該遮光片的相機模組
JPWO2012147320A1 (ja) * 2011-04-28 2014-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TWI509306B (zh) * 2011-07-22 2015-11-2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TW201307983A (zh) * 2011-08-11 2013-02-16 Hon Hai Prec Ind Co Ltd 相機模組
CN103205712A (zh) * 2012-01-16 2013-07-17 昆山允升吉光电科技有限公司 蒸镀用沟槽掩模板
JP2014077854A (ja) * 2012-10-10 2014-05-01 Ntt Electornics Corp 光学回路
CN104884978B (zh) * 2012-12-21 2017-10-13 旭硝子株式会社 光学元件的制造方法、光学元件、光学系统及摄像装置
JP6317954B2 (ja) * 2013-10-15 2018-04-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15099262A (ja) * 2013-11-19 2015-05-2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電子機器
TWI507716B (zh) * 2013-11-22 2015-11-1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鏡頭及行動裝置
CN204086592U (zh) * 2014-08-29 2015-01-07 廖天聪 遮光片
JP2017015815A (ja) 2015-06-29 2017-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遮光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940717B1 (ja) 2015-07-01 2016-06-29 株式会社ニチベイパーツ レンズユニットに用いる遮光体の製造方法
JP6784015B2 (ja) 2015-11-26 2020-1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撮像装置
TWM527105U (zh) * 2016-04-15 2016-08-11 Newmax Technology Co Ltd 鏡頭結構之遮光片與鏡頭結構
JP6264523B1 (ja) * 2016-05-23 2018-01-24 凸版印刷株式会社 蒸着用メタルマスク、蒸着用メタルマ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蒸着用メタルマスク形成基材
KR101842174B1 (ko) * 2016-07-28 2018-05-14 최상규 스마트폰용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용 조리개 제조 방법
JP6314194B2 (ja) * 2016-10-06 2018-04-18 株式会社きもと 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06802528B (zh) * 2016-10-25 2019-08-0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遮光板、遮光板的加工方法及镜头模组
TWI625587B (zh) * 2016-11-14 2018-06-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遮光片、成像鏡頭與電子裝置
TWI621891B (zh) * 2017-05-25 2018-04-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二次模造環型光學元件、成像鏡片組、成像裝置及電子裝置
TWI667507B (zh) * 2018-04-20 2019-08-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環形光學元件、成像鏡頭以及取像裝置
KR20220019813A (ko) 2019-07-19 2022-02-17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차광판, 카메라 유닛, 및, 전자 기기
JP7172926B2 (ja) 2019-07-19 2022-11-16 凸版印刷株式会社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8786A (ja) 2008-06-27 2010-01-1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フィルム状遮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絞り、光量調整用絞り装置、又はシャッター
WO2016060198A1 (ja) 2014-10-16 2016-04-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41361A1 (en) 2022-05-05
TW202305436A (zh) 2023-02-01
CN118011710A (zh) 2024-05-10
TW202120986A (zh) 2021-06-01
TW202120988A (zh) 2021-06-01
KR102617511B1 (ko) 2023-12-22
US11936972B2 (en) 2024-03-19
US20220137270A1 (en) 2022-05-05
CN114127629A (zh) 2022-03-01
TWI761885B (zh) 2022-04-21
TW202120987A (zh) 2021-06-01
CN114144726A (zh) 2022-03-04
CN114127629B (zh) 2024-01-05
KR20220019813A (ko) 2022-02-17
KR20220019812A (ko) 2022-02-17
CN114144705A (zh) 2022-03-04
US20220141362A1 (en) 2022-05-05
TWI761884B (zh) 2022-04-21
TWI776187B (zh)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0371A (ko) 차광판, 카메라 유닛, 전자 기기, 및, 차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45933B1 (ko)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증착 마스크 제조 장치, 레이저용 마스크 및 유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6285515B1 (en) Lens
JP7364011B2 (ja)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KR102387728B1 (ko)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증착 마스크 제조 장치, 레이저용 마스크 및 유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23160895A (ja)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遮光板の製造方法
WO2021015131A1 (ja)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7095667B2 (ja)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7140079B2 (ja) 遮光板、カメラ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遮光板の製造方法
US20220139986A1 (en) Light shielding member, lens unit,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P3935427B1 (en)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JP7383224B2 (ja) 金属遮光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CN117434689A (zh) 成像镜头与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