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334A - 반도체 전력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전력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334A
KR20220020334A KR1020227000423A KR20227000423A KR20220020334A KR 20220020334 A KR20220020334 A KR 20220020334A KR 1020227000423 A KR1020227000423 A KR 1020227000423A KR 20227000423 A KR20227000423 A KR 20227000423A KR 20220020334 A KR20220020334 A KR 2022002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type
power device
semiconductor pow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725B1 (ko
Inventor
이 공
쩬동 마오
?b동 마오
웨이 리우
레이 리우
유안린 유안
Original Assignee
수 조우 오리엔탈 세미컨덕터 콤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 조우 오리엔탈 세미컨덕터 콤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 조우 오리엔탈 세미컨덕터 콤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1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01L27/11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1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 H01L29/061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8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or junctions between the reg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2Field plates
    • H01L29/407Recessed field plates, e.g. trench field plates, buried fiel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0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ther device
    • H01L29/7804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ther device the other device being a pn-junction di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1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multiple gate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0852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of DMOS transistors
    • H01L29/0856Source regions
    • H01L29/0865Dis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는, n형 드리프트 영역의 최상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p형 바디 영역, 상기 p형 바디 영역 내에 위치한 제 1 n형 소스 영역 및 제 2 n형 소스 영역; 상기 제 1 n형 소스 영역과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의 제 1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게이트 구조;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내에 함몰되고, 상기 제 2 n형 소스 영역과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의 제 2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게이트 구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전력소자는 칩 사이즈가 작고 역방향 회복 속도가 빠르다.

Description

반도체 전력소자
본 출원은 2019년 11월 27일 중국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1911184108.X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개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반도체 전력소자의 기술분야에 속하며, 예를 들어, 칩 사이즈가 작고 역방향 회복 속도가 빠른 반도체 전력소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기술의 반도체 전력소자의 등가회로는 소스(101), 드레인(102), 게이트(103) 및 바디다이오드(104)를 포함하되, 여기서, 바디다이오드(104)는 반도체 전력소자의 진성 기생 구조이다. 관련 기술의 반도체 전력소자의 작동 메커니즘은, 1)게이트 소스 전압(Vgs)이 반도체 전력소자의 문턱 전압(Vth)보다 작고, 드레인 소스 전압(Vds)이 0V보다 큰 경우, 반도체 전력소자는 턴오프 상태이고; 2)게이트 소스 전압(Vgs)이 반도체 전력소자의 문턱 전압(Vth)보다 크고, 드레인 소스 전압(Vds)이 0V보다 큰 경우, 반도체 전력소자는 정방향으로 턴온되고, 이때 전류는 드레인에서 게이트측의 전류 채널을 거쳐 소스로 흐른다. 관련 기술의 반도체 전력소자는 턴오프될 때, 드레인 소스 전압(Vds)이 0V보다 작으면, 반도체 전력소자의 바디다이오드가 순바이어스 상태이고, 역방향 전류는 소스에서 바디다이오드를 거쳐 드레인으로 흐르고, 이때 바디다이오드의 전류에는 소수 캐리어를 주입한 현상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소수 캐리어는 반도체 전력소자가 다시 턴온될 때 역방향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역방향 회복 전류가 커지고, 역방향 회복 시간이 길어진다.
본 출원은 역방향 회복 속도가 빠른 반도체 전력소자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의 반도체 전력소자가 소수 캐리어 주입 문제로 인해 역방향 회복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는,
n형 드레인 영역, 상기 n형 드레인 영역 상에 위치한 n형 드리프트 영역,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의 최상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p형 바디 영역, 상기 p형 바디 영역 내에 위치한 제 1 n형 소스 영역 및 제 2 n형 소스 영역;
제 1 게이트 유전체층, 제 1 게이트 및 n형 플로팅 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제 1 게이트 유전체층 상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에서,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게이트는 상기 제 1 n형 소스 영역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 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게이트는 용량 결합을 통해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에 작용하며, 상기 제 1 n형 소스 영역과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의 제 1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게이트 구조; 상기 제 1 게이트 유전체층에 위치하는 하나의 개구부-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p형 바디 영역와 접촉하여 p-n접합 다이오드를 형성함-;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내에 함몰된 게이트 트렌치 및 상기 게이트 트렌치 내에 위치한 제 2 게이트 유전체층과 제 2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n형 소스 영역과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의 제 2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게이트 구조;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본 출원의 반도체 전력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는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에 가까운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의 일측 측벽을 커버한다.
선택 가능하게는, 본 출원의 반도체 전력소자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에 위치한 차폐 게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폐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게이트는 절연 유전체층을 통해 상기 제 2 게이트 및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과 격리된다.
선택 가능하게는, 본 출원의 반도체 전력소자에 있어서, 상기 차폐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 내로 위로 연장된다.
선택 가능하게는, 본 출원의 반도체 전력소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의 폭은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의 폭보다 크다.
선택 가능하게는, 본 출원의 반도체 전력소자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의 하방에서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는 정방향 차단 상태 및 정방향 턴온일 때, 높은 문턱 전압을 구비하고; 역방향으로 전도될 때, 제 1 전류 채널이 낮은 문턱 전압을 구비하게 되어, 제 1 전류 채널이 낮은 게이트 전압(또는 0V 전압)에서 턴온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전류 채널에서 흐르는 역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 반도체 전력소자에 기생되는 바디다이오드에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켜, 반도체 전력소자의 역방향 회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의 제 2 전류 채널은 수직되는 전류 채널이므로, 반도체 전력소자의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반도체 전력소자를 더 작은 부피로 패키징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수요되는 도면을 간략히 소개하도록 한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반도체 전력소자의 등가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의 제 1 실시예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의 제 2 실시예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통해,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명세서 도면에 예시한 개략도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층 및 영역의 사이즈를 확대하였고, 예시한 도형의 크기는 실제 사이즈를 대표하지 않는다.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명세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조로 인한 편차가 있는 획득한 형상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출원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의 제 1 실시예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는 n형 드레인 영역(20), n형 드레인 영역(20) 상에 위치한 n형 드리프트 영역(21), n형 드리프트 영역(21)의 최상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p형 바디 영역(22)(도 2에서는 단지 하나의 p형 바디 영역(22)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함), p형 바디 영역(22) 내에 위치한 제 1 n형 소스 영역(23) 및 제 2 n형 소스 영역(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전력소자는 제 1 n형 소스 영역(23)과 n형 드리프트 영역(23) 사이의 제 1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게이트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게이트 구조는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 n형 플로팅 게이트(25) 및 제 1 게이트(26)를 포함하고, 제 1 게이트(26) 및 n형 플로팅 게이트(25)는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 상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에서, n형 플로팅 게이트(25)는 n형 드리프트 영역(21)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제 1 게이트(26)는 제 1 n형 소스 영역(23)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25) 상으로 연장되며, 제 1 게이트(26)와 n형 플로팅 게이트(25)는 절연 유전체층(27)에 의해 격리되고, 제 1 게이트(26)는 용량 결합을 통해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25)에 작용한다. 절연 유전체층(27)은 일반적으로 이산화규소로 제조된다.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에는 하나의 개구부(28)가 형성되고, n형 플로팅 게이트(25)는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의 개구부(28)를 통해 p형 바디 영역(22)과 접촉하여 p-n접합 다이오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전력소자의 제 1 게이트(26)는 n형 플로팅 게이트(25) 상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n형 드리프트 영역(21)에 가까운 n형 플로팅 게이트(25)의 일측 측벽을 커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 1 게이트(26)가 n형 플로팅 게이트(25)를 커버하는 면적을 증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 n형 플로팅 게이트(26)에 대한 제 1 게이트(26)의 용량 결합률을 증가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는, 정방향 차단 상태일 때, n형 드레인 영역(20)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고, n형 플로팅 게이트(25)와 p형 바디 영역(22)에 의해 형성된 p-n접합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바이어스되며, n형 플로팅 게이트(25)에 양전하가 충전됨으로써, n형 플로팅 게이트(25)의 하방의 전류 채널의 문턱 전압(Vht1)이 감소하게 된다. n형 플로팅 게이트(25)의 전압은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에 위치한 개구부(28)의 위치와 관련되고, 선택 가능하게는,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에 위치한 개구부(28)는 n형 플로팅 게이트(25)의 하방에서 n형 드리프트 영역(21)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한다. 즉, 가로 방향에서, 개구부(28)의 중심으로부터 n형 드리프트 영역(21)에 가까운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의 일측단까지의 거리는 개구부(28)의 중심으로부터 제 1 n형 소스 영역(23)에 가까운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의 일측단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며, 다시 말해서, 가로 방향에서, 개구부(28)는 n형 드리프트 영역(21)에 더 가까운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의 영역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개구부(28)를 n형 드리프트 영역(21)에 더 가까운 제 1 게이트 유전체층(24)에 설치함으로써, n형 플로팅 게이트(25)에 양전하가 더 쉽게 충전될 수 있어, n형 플로팅 게이트(25)의 전압을 증가시키고, n형 플로팅 게이트(25)의 하방의 전류 채널의 문턱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전력소자는 정방향 차단 상태 및 정방향 턴온 상태일 때, 드레인 소스 전압(Vds)이 0V보다 크고, n형 플로팅 게이트(25)의 하방의 전류 채널의 문턱 전압(Vht1)이 전체 제 1 전류 채널의 문턱 전압(Vth)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작으므로, 제 1 전류 채널은 여전히 높은 문턱 전압(Vth)을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전력소자는 턴오프일 때, 소스 드레인 전압(Vsd)이 0V보다 크면, n형 플로팅 게이트(25)의 하방의 전류 채널의 문턱 전압(Vht1)이 제 1 전류 채널의 문턱 전압(Vth)에 대한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제 1 전류 채널이 낮은 문턱 전압(Vth)을 구비하게 되어, 제 1 전류 채널이 낮은 게이트 전압(또는 0V 전압)에서 턴온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전류 채널에서 흐르는 역방향 전류를 증가시키고, 반도체 전력소자에 기생되는 바디다이오드에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켜, 반도체 전력소자의 역방향 회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전력소자는 제 2 n형 소스 영역(33)과 n형 드리프트 영역(21) 사이의 제 2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게이트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게이트 구조는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내에 함몰된 게이트 트렌치 및 해당 게이트 트렌치 내에 위치한 제 2 게이트 유전체층(34)과 제 2 게이트(36)를 포함하고, 제 2 게이트(36)는 게이트 전압에 연결되어 제 2 n형 소스 영역(33)과 n형 드리프트 영역(21) 사이에 개재된 제 2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며, 제 2 전류 채널은 수직되는 전류 채널이므로, 반도체 전력소자의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반도체 전력소자를 더 작은 부피로 패키징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에서 제공한 반도체 전력소자의 제 2 실시예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전력소자의 제 2 게이트 구조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에 위치한 차폐 게이트(38)를 더 포함하되, 이때 제 2 게이트(36)는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차폐 게이트(38)는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차폐 게이트(38)는 절연 유전체층을 통해 제 2 게이트(36)와 격리되고, 본 실시예에서, 차폐 게이트(38)는 필드산화층(37)을 통해 n형 드리프트 영역(21)과 격리되고, 차폐 게이트(38)는 게이트 유전체층(34)을 통해 제 2 게이트(36)와 격리된다. 차폐 게이트(38)는 일반적으로 소스 전압에 연결되어 게이트 트렌치의 저부에 가로 방향 전압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전력소자의 내전압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도체 전력소자에 있어서, 차폐 게이트(38)는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 내로 위로 연장될 수도 있고, 이때,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의 폭은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의 폭보다 클 수 있으며, 해당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Claims (6)

  1. n형 드레인 영역, 상기 n형 드레인 영역 상에 위치한 n형 드리프트 영역,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의 최상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p형 바디 영역, 상기 p형 바디 영역 내에 위치한 제 1 n형 소스 영역 및 제 2 n형 소스 영역;
    제 1 게이트 유전체층, 제 1 게이트 및 n형 플로팅 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게이트 및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제 1 게이트 유전체층 상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에서,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게이트는 상기 제 1 n형 소스 영역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 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게이트는 용량 결합을 통해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에 작용하며, 상기 제 1 n형 소스 영역과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의 제 1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게이트 구조; 상기 제 1 게이트 유전체층에 위치하는 하나의 개구부-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p형 바디 영역와 접촉하여 p-n접합 다이오드를 형성함-;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내에 함몰된 게이트 트렌치 및 상기 게이트 트렌치 내에 위치한 제 2 게이트 유전체층과 제 2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n형 소스 영역과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의 제 2 전류 채널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게이트 구조; 를 포함하는 반도체 전력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는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에 가까운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의 일측 측벽을 커버하는 반도체 전력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전력소자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에 위치한 차폐 게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폐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게이트는 절연 유전체층을 통해 상기 제 2 게이트 및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과 격리되는 반도체 전력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 내로 위로 연장되는 반도체 전력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상부의 폭이 상기 게이트 트렌치의 하부의 폭보다 큰 반도체 전력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n형 플로팅 게이트의 하방에서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는 반도체 전력소자.
KR1020227000423A 2019-11-27 2019-12-05 반도체 전력소자 KR102604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184108.XA CN112864222B (zh) 2019-11-27 2019-11-27 半导体功率器件
CN201911184108.X 2019-11-27
PCT/CN2019/123317 WO2021103093A1 (zh) 2019-11-27 2019-12-05 半导体功率器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334A true KR20220020334A (ko) 2022-02-18
KR102604725B1 KR102604725B1 (ko) 2023-11-20

Family

ID=7598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423A KR102604725B1 (ko) 2019-11-27 2019-12-05 반도체 전력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5544A1 (ko)
JP (1) JP7173644B2 (ko)
KR (1) KR102604725B1 (ko)
CN (1) CN112864222B (ko)
WO (1) WO202110309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9882A (zh) * 2010-02-26 2011-08-31 苏州东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半导体存储器器件及其制造方法
CN109755309A (zh) * 2017-11-01 2019-05-14 苏州东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功率晶体管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5361A (en) 1990-03-08 1993-07-06 Matshshita Electronics Coropratio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H07106444A (ja) * 1993-10-01 1995-04-21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420457B1 (en) * 2002-11-14 2012-01-11 STMicroelectronics Srl Manufacturing method of an insulated gate power semiconductor device with Schottky diode
US20120019284A1 (en) * 2010-07-26 2012-01-2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Normally-Off Field Effect Transistor,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a Method for Programming a Power Field Effect Transistor
US8564047B2 (en) * 2011-09-27 2013-10-22 Force Mos Technology Co., Ltd. Semiconductor power devices integrated with a trenched clamp diode
CN103426910B (zh) 2012-05-24 2016-01-20 杰力科技股份有限公司 功率半导体元件及其边缘终端结构
NL2008948C2 (nl) 2012-06-06 2013-12-09 G A M Manshanden Man B V Scheepsschroef.
ITTO20120742A1 (it) * 2012-08-24 2014-02-25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a semiconduttore con modalita' operative lineare e a commutazione migliorate, metodo di fabbricazione del dispositivo a semiconduttore, e metodo di polarizzazione del dispositivo a semiconduttore
CN103247626A (zh) * 2013-05-02 2013-08-14 复旦大学 一种半浮栅器件及其制造方法
CN104576646B (zh) * 2013-10-11 2017-09-05 苏州东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芯片及其制造方法
US9324856B2 (en) * 2014-05-30 2016-04-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SFET having dual-gate cells with an integrated channel diode
KR102335772B1 (ko) 2015-04-07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게이트와 2차원 물질 채널을 포함하는 전자소자와 그 제조방법
DE102016107714B4 (de) 2015-08-14 2019-07-18 Infineon Technologies Dresden Gmbh Halbleitervorrichtung mit einer Transistorzelle, die einen Sourcekontakt in einem Graben umfasst,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Halbleitervorrichtung und integrierte Schaltung
US10896959B2 (en) * 2016-06-17 2021-01-19 HUNTECK SEMICONDUCTOR (SHANGHAI) CO. Ltd. Top structure of super junction MOSFETs and methods of fabrication
CN106229343B (zh) * 2016-08-12 2019-05-03 上海鼎阳通半导体科技有限公司 超结器件
CN109216175B (zh) * 2017-07-03 2021-01-08 无锡华润上华科技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栅极结构及其制造方法
CN109755310B (zh) * 2017-11-01 2021-01-01 苏州东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分栅结构的功率晶体管
CN110061057B (zh) * 2019-05-06 2020-08-18 重庆大学 一种具有集成隧穿二极管的超结功率mosf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9882A (zh) * 2010-02-26 2011-08-31 苏州东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半导体存储器器件及其制造方法
CN109755309A (zh) * 2017-11-01 2019-05-14 苏州东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功率晶体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3644B2 (ja) 2022-11-16
US20220285544A1 (en) 2022-09-08
WO2021103093A1 (zh) 2021-06-03
JP2022522762A (ja) 2022-04-20
KR102604725B1 (ko) 2023-11-20
CN112864222A (zh) 2021-05-28
CN112864222B (zh)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965B1 (ko) 트렌치형 전력 트랜지스터
KR20200027014A (ko) Igbt 전력소자
CN109755310B (zh) 一种分栅结构的功率晶体管
KR102288862B1 (ko) 전력 mosfet 소자
KR102604725B1 (ko) 반도체 전력소자
KR102519235B1 (ko) 반도체 초접합 전력소자
KR20220012348A (ko) 반도체 초접합 전력소자
JP7177552B2 (ja) Igbtパワーデバイス
CN113748520B (zh) Igbt器件
CN112864150B (zh) 超结功率器件
CN112885900B (zh) 一种igbt器件
CN115966590A (zh) 半导体功率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