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256A -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표백제 물품 - Google Patents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표백제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256A
KR20220020256A KR1020217037447A KR20217037447A KR20220020256A KR 20220020256 A KR20220020256 A KR 20220020256A KR 1020217037447 A KR1020217037447 A KR 1020217037447A KR 20217037447 A KR20217037447 A KR 20217037447A KR 20220020256 A KR20220020256 A KR 2022002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lorine
preferable
resin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나카무라
타카노리 미야베
타카후미 오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6Insoluble free body dispense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11D3/3953Inorganic 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0Applications used for bott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90~99질량%이며, (B)와 (C)의 질량비[(B)/(C)]가 1/99~20/80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상기 용기에 수용된 표백제 물품이다.

Description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표백제 물품
본 발명은,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표백제 물품에 관한 것이다.
염소계 표백제를 수용하는 용기에는,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제의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폴리올레핀은 기본적으로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분자골격을 갖고, 분자 내에 반응성이 높은 부분을 갖지 않으므로, 표백제에 포함되는 알칼리나 차아염소산염 등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용기의 외관에 장식성을 부여하고, 내용물을 광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용기의 수지에 착색제를 배합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용기 외면의 착색과 차광성을 부여하기 위해, 차광성을 갖는 안료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이 내층의 색과는 상이한 색상의 안료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구비한 블로우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단층이어도 내염소함유 수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산가를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와, 특정의 산가의 열가소성 수지와, 안료를 함유하는 착색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투명성, 광택성 등의 외관이 우수하고, 기계적 성능, 보향성, 가스배리어성, 리사이클성도 우수하다는 특장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필름, 시트, 중공용기 등의 각종 포장재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스테르결합을 가지므로, 알칼리성인 염소계 표백제를 수용하는 경우, 가수분해를 받기 쉽고, 장기보존시에는 기계적 특성이 열화된다.
상기와 같은 우수한 성질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염소계 표백제용의 용기에 이용하는 시도도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는, 투명성의 향상과 크랙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특정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특정량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3-34174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10-310705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7/150109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기재로 하는 용기에 염소계 표백제를 수용한 경우, 상기와 같이 기계적 특성이 열화될 뿐만 아니라, 착색했을 때의 색조도 서서히 변화하고, 용기 자체의 색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유효성분인 염소가 분해되어, 표백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 때문에, 표백제를 수용하여 장기보존했을 때에,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특히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특장인 외관도 우수하며, 목적으로 하는 색조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내용물을 열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용기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장기보존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용기의 색조를 유지하고,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과 용기를 포함하는 표백제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안료에 의해 착색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재로 하는 수지 조성물에, 안료에 대하여, 폴리아미드 수지를 특정의 비율로 함유시킨 용기를 염소계 표백제용의 용기로서 이용함으로써, 상기의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하의 〔1〕~〔14〕에 관한 것이다.
〔1〕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90~99질량%이며, 안료(B)와 폴리아미드 수지(C)의 질량비[(B)/(C)]가 1/99~20/80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2〕
폴리아미드 수지(C)가,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3〕
폴리아미드 수지(C)가,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4〕
폴리아미드 수지(C)가, 탄소수 4~20의 ω-아미노직쇄지방족 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ω-아미노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5〕
폴리아미드 수지(C)가,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MXD10,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10, 나일론 11 및 나일론 12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6〕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C)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 9질량% 이하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7〕
폴리에스테르 수지(A)가,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8〕
안료(B)가, 구리, 아연, 및 티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안료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9〕
상기 용기가 단층용기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10〕
상기 수지 조성물이, 리사이클 원료를 포함하고, 이 리사이클 원료가,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11〕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용기에 수용된 표백제 물품이며, 상기 용기가,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90~99질량%이며, 안료(B)와 폴리아미드 수지(C)의 질량비[(B)/(C)]가 1/99~20/80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백제 물품.
〔12〕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0.5~15질량% 함유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표백제 물품.
〔13〕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표백제 물품.
〔14〕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상기 〔11〕~〔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백제 물품.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보존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용기의 색조를 유지할 수 있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용기에 수용된 표백제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90~99질량%이며, (B)와 (C)의 질량비[(B)/(C)]가 1/99~20/80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상기 용기에 수용된 표백제 물품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본 발명의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이하, 간단히 「용기」라고도 한다.)는,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90~99질량%이며, (B)와 (C)의 질량비[(B)/(C)]가 1/99~20/80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100질량%로 하는 함유량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을 수용한 상태로의 장기보존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용기의 색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가 얻어지는 작용기구는 불명이나, 이하와 같이 추찰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외관의 장식성이나 의장성의 향상, 그리고 내용물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를 이용하여 색채를 부여하는 것이 행해지는데, 알칼리성인 염소계 표백제에 의해, 수지가 가수분해되는데다가, 염소계 표백제에 함유되는 차아염소산염에 의해, 색소가 분해되기 때문인지, 색조가 서서히 변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제로서, 분자상태로 수지 중에 용해되어 있는 염료가 아니라, 입자상태로 수지 중에 분산되어 있고, 내광성, 내수성이 우수한 안료를 이용함으로써 내용물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게다가 에스테르결합에 비해 극성이 높은 아미드결합을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안료에 대하여 적량 첨가함으로써, 폴리아미드가 안료입자 표면에 흡착하고, 안료를 덮고 있다고도 생각된다. 폴리아미드는, 폴리에스테르와 비교하여 가수분해에 강하고, 내알칼리성도 높으므로, 장기보존시에도 크랙 등의 수지 자체의 열화를 방지하면서, 색조의 변화도 억제하여, 내용물의 열화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디카르본산과 디올의 공중합체, 락톤 혹은 하이드록시카르본산의 중합체, 또한 이들 모노머의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디카르본산과 디올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디카르본산단위」라고도 한다.)와,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디올단위」라고도 한다.)를 갖는다.
디카르본산단위가,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디카르본산단위 중의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80몰% 이상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비정질이 되기 어렵고, 그 때문에,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용기를 제작한 경우, 열수축하기 어려워지고, 내열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디올단위가,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디카르본산단위와 디올단위의 조합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에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본산,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디올 등의 이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본산으로는, 설포프탈산, 설포프탈산금속염, 및 테레프탈산 이외의 방향족 디카르본산을 들 수 있다.
테레프탈산 이외의 방향족 디카르본산은,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및 4,4’-비페닐디카르본산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디올은,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폴리에스테르 수지(A)에는, 모노카르본산, 모노알코올 등의 단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카르복시기 및 하이드록시기로부터 선택되는 에스테르형성기를 적어도 3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공지의 직접에스테르화법이나 에스테르교환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중축합촉매로는, 안티몬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알루미늄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리사이클완료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고유점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는데, 0.5~2.0dL/g가 바람직하고, 0.6~1.5dL/g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유점도가 0.5dL/g 이상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이 충분히 높으므로, 용기는 구조물로서 필요한 기계적 성질을 발현할 수 있다.
한편, 고유점도는,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6/4질량비)혼합용매에, 측정대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하여 0.2, 0.4, 0.6g/dL용액을 조제하고, 25℃에서 자동점도측정장치(말번·파날리티컬사제, Viscotek DSV)에 의해 고유점도를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중, 90~99질량%이며, 9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2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3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98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7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6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내이면, 얻어지는 용기가 경량이 되고, 외관도 양호해진다.
<안료(B)>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안료(B)는, 용기의 외관을 목적의 색조로 착색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녹계, 청계, 황계, 적계의 각 색조의 안료가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그 중에서도 녹계 안료, 청계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고, 녹계 안료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안료(B)는, 금속원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아연, 및 티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안료가 바람직하고, 구리를 함유하는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안료에는, 무기안료와 유기안료가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기안료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무기안료 중에서도, 구리, 아연, 및 티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안료가 바람직하고, 구리를 함유하는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안료의 구체예로는, 산화구리·산화티탄·산화아연·벵갈라, 티탄옐로우·소성안료그린·산화크롬·코발트블루·실리카·알루미나 등의 금속산화물류, 카드뮴옐로우·카드뮴레드 등의 황화물류, 군청 등의 규산염류, 황연·크롬버밀리온 등의 크롬산염류, 탈크·카올린·클레이 등의 점토류, 염화구리·탄산구리·탄산칼슘·탄산마그네슘·아황산칼슘·황산칼슘·수산화알루미늄·황산바륨·탄산마그네슘 등의 무기염류, 카본블랙 등을 들 수 있고, 금속산화물류, 무기염류가 바람직하고, 무기염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안료 중에서도, 구리, 아연, 및 티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안료가 바람직하고, 구리를 함유하는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안료의 구체예로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아조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디옥사진계 안료, 티오인디고계 안료, 이소인디고계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프탈로시아닌계 안료가 바람직하다.
안료는, 분말 등의 고체의 상태로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A)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C) 혹은 이들의 혼합물에 배합할 수도 있는데, 미리 용매 등에 분산시킨 것(이하, 안료분산체라고도 칭한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를 용매 등에 분산시킴으로써,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용기에 성형할 때의 성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시판의 안료분산체로는, 구리계의 안료인 PIGMENT VERDE(컬러매트릭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용기 중의 안료의 평균입경은, 1~50000nm가 바람직하고, 1~1000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0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 안료(B)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중, 0.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7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7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C)는, 디카르본산과 디아민의 공중합체, 락탐 혹은 아미노카르본산의 중합체, 및 이들 모노머의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카르본산과 디아민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디카르본산과 디아민의 공중합체 중에서도, 디카르본산과 방향환구조를 갖는 디아민의 공중합체 및 디카르본산과 지방족 디아민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디카르본산과 방향환구조를 갖는 디아민의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 바람직한 태양인, 디카르본산과 방향환구조를 갖는 디아민의 공중합체(이하, 폴리아미드 수지(C1)라고도 한다.), 디카르본산과 지방족 디아민의 공중합체(이하, 폴리아미드 수지(C2)라고도 한다.) 및 락탐 혹은 아미노카르본산의 중합체(이하, 폴리아미드 수지(C3)라고도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카르본산과 방향환구조를 갖는 디아민의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C1))
폴리아미드 수지(C1)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디아민단위라고도 한다.)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디카르본산단위라고도 한다.)를 갖는다.
폴리아미드 수지(C1)의 디아민단위를 구성하는 화합물인 방향환구조를 갖는 디아민으로는, 자일릴렌디아민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1)는, 디아민단위 중에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디아민단위의 70몰% 이상을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로 함으로써, 이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여 얻어진 용기에 있어서의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에 의한 크랙의 발생을 효율좋게 억제하여, 색조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자일릴렌디아민은, 오르토, 메타, 파라 중 어느 자일릴렌디아민일 수도 있는데, 내약품성의 관점에서, 메타자일릴렌디아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1)의 디아민단위를 구성하는 화합물로서, 방향환구조를 갖는 디아민 이외의 디아민으로서,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지방족 디아민, 지환식 구조를 갖는 디아민을 들 수 있고, 색조를 효율좋게 유지하는 점과 입수성으로부터,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지방족 디아민이 바람직하다.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지방족 디아민으로는,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및 5-메틸노나메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디아민으로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아미노-3-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비스(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및 아미노에틸피페라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비스(헥사메틸렌)트리아민 등의 3가 이상의 다가 아민이나 부틸아민, 헥실아민, 및 옥틸아민 등의 모노아민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C1)는, 디카르본산단위 중에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디카르본산단위의 70몰% 이상을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용기의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 내성을 효율좋게 높일 수 있다.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으로는,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1,10-데칸디카르본산, 1,11-운데칸디카르본산, 1,12-도데칸디카르본산을 들 수 있고, 아디프산, 세바스산이 바람직하고, 아디프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C1)의 디카르본산단위를 구성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 이외에, 1,3-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데칼린디카르본산, 노보난디카르본산, 트리시클로데칸디카르본산, 펜타시클로도데칸디카르본산, 이소포론디카르본산, 및 3,9-비스(2-카르복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디카르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비페닐디카르본산, 테트랄린디카르본산 등의 방향환 구조를 갖는 디카르본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스산, 피로멜리트산, 및 트리카바릴산 등의 3가 이상의 다가 카르본산을 이용할 수도 있고, 모노카르본산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폴리아미드 수지(C1)를 구성하는 단위로서, 상술한 디아민단위, 디카르본산단위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아미노카르본산 등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는, 지방족 아미노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 방향족 아미노카르본산 등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본산단위에 이용되는 디카르본산, 다가카르본산 및 모노카르본산을 구성하는 화합물에는, 무수물 및 단쇄알킬에스테르가 포함된다. 단쇄알킬에스테르로는,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3, 즉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및 이소프로필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틸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미노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구성하는 화합물에는, 무수물인 락탐이 포함된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C1)의 디아민단위와 디카르본산단위의 조합으로서, 폴리아미드 수지(C1)가, 자일릴렌디아민(바람직하게는 메타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 수지(C)가, 자일릴렌디아민(바람직하게는 메타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디카르본산과 지방족 디아민의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C2))
폴리아미드 수지(C2)의 디아민단위를 구성하는 화합물인 지방족 디아민으로는, 탄소수 4~20의 지방족 디아민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및 5-메틸노나메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고, 헥사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이 바람직하고, 헥사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이 보다 바람직하고, 헥사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2)의 디아민단위를 구성하는 화합물로서, 지방족 디아민 이외의 디아민으로서, 방향환식 구조를 갖는 디아민, 지환식 구조를 갖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C2)는, 디카르본산단위를 구성하는 화합물로서,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본산과 지방족 디아민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으로는,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1,10-데칸디카르본산, 1,11-운데칸디카르본산, 1,12-도데칸디카르본산을 들 수 있고, 아디프산, 세바스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C2)의 디카르본산단위를 구성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 이외에, 상기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디카르본산, 방향환을 갖는 디카르본산을 들 수 있고, 구체적인 화합물은, 디카르본산과 방향환식 구조를 갖는 디아민의 공중합체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3가 이상의 다가카르본산을 이용할 수도 있고, 모노카르본산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디카르본산과 지방족 디아민의 공중합체인 폴리아미드 수지(C)의 디아민단위와 디카르본산단위의 조합으로서, 폴리아미드 수지(C)가, 탄소수 4~20의 지방족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탐 혹은 아미노카르본산의 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C3))
폴리아미드 수지(C3)가, 락탐 혹은 아미노카르본산의 중합체인 경우, ω-아미노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아미노카르본산단위라고도 한다.)는, 탄소수 4~20의 ω-아미노직쇄지방족 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4~20의 ω-아미노직쇄지방족 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3)의 아미노카르본산단위를 구성하는 화합물로서, 그의 무수물인 락탐, 탄소수 4~20의 ω-아미노직쇄지방족 카르본산을 들 수 있고, 입수성의 점에서 락탐이 바람직하다.
락탐으로는, ε-카프로락탐, 운데칸락탐, ω-라우릴락탐 등을 들 수 있고, ε-카프로락탐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4~20의 ω-아미노직쇄지방족 카르본산으로는, 6-아미노카프로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만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의 디아민단위, 디카르본산단위, 파라-아미노메틸안식향산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카르본산 등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도 공중합단위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C)의 예)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수지(C)의 구체예로는, 폴리아미드 MXD6(폴리자일릴렌아디프아미드), 폴리아미드 MXD10(폴리자일릴렌세바스아미드), 폴리아미드 MXD6I(이소프탈산 공중합폴리메타자일릴렌아디프아미드), 나일론 6(폴리카프로아미드), 나일론 66(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나일론 610(폴리헥사메틸렌세바스아미드), 나일론 612(폴리헥사메틸렌도데카아미드), 나일론 1010(폴리데카메틸렌세바스아미드), 나일론 11(폴리운데칸아미드), 나일론 116(폴리운데카메틸렌아디프아미드), 나일론 12(폴리도데칸아미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입수성, 색조유지성 및 크랙억제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MXD10,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10, 나일론 11 및 나일론 12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MXD10,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나일론 12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 MXD6 및 폴리아미드 MXD10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아미드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C)의 제조방법)
폴리아미드 수지(C)는, 용융중축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중축합법은, 디아민을 용융상태의 디카르본산에 직접 첨가하여, 중축합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응계를 균일한 액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디아민을 디카르본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그 동안, 반응온도가 생성되는 올리고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의 융점보다도 하회하지 않도록 반응계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중축합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의 중축합반응계내에는 아미드화 반응을 촉진하는 효과나, 중축합반응시의 착색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인원자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원자함유 화합물로는, 아미드화 반응을 촉진하는 효과가 높고, 또한 착색방지효과도 우수한 점에서, 차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칼륨, 차아인산리튬, 차아인산칼슘 등의 차아인산금속염이 바람직하고, 차아인산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의 중축합반응계내에 첨가하는 인원자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은, 폴리아미드 수지(C) 중의 인원자농도환산으로, 1~500ppm이 바람직하고, 3~450ppm이 보다 바람직하고, 5~400ppm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원자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을 상기 범위내로 함으로써 중축합반응 중의 폴리아미드의 착색을 방지함과 함께, 폴리아미드의 겔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용기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C)의 중축합반응계내에는, 인원자함유 화합물과 병용하여 알칼리금속 화합물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 화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용융중축합법으로 얻어진 폴리아미드 수지(C)는, 펠릿화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중합도를 높이기 위해 고상중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상중합은, 감압하, 펠릿을 가열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의 특성 등)
폴리아미드 수지(C)의 상대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5~4.2, 보다 바람직하게는 1.6~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3.8,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9~3.0이다.
폴리아미드 수지(C)의 상대점도를 상기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성형가공성이 안정되고, 외관이 양호한 용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C)의 상대점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0.2g 정칭(精秤)하고, 96질량% 황산 20mL에 20~30℃에서 교반용해한다. 완전히 용해한 후, 신속하게 캐논펜스케형 점도계에 용액 5mL를 취하고, 25℃의 항온조 중에서 10분간 방치 후, 해당 용액의 낙하시간(t)을 측정한다. 또한, 96질량% 황산의 낙하시간(t0)도 동일하게 측정한다. 하기 식으로부터, 측정한 t 및 t0의 값을 이용하여, 폴리아미드 수지의 상대점도를 산출한다.
상대점도=t/t0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C)의 함유량은,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5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4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9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C)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이면, 크랙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함유량이 9질량% 이하이면, 얻어지는 용기의 성형성, 외관이 양호해진다. 특히, 폴리아미드(C)의 함유량이 3.5질량% 이상이면, 얻어지는 용기의 색소유지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중의 안료(B)와 폴리아미드 수지(C)의 질량비[(B)/(C)]는, 1/99~20/80이며, 1/99~15/85가 바람직하고, 1/99~13/87이 보다 바람직하고, 3/97~13/87이 보다 바람직하고, 5/95~10/90이 더욱 바람직하다.
안료에 대하여, 폴리아미드를 상기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색조를 유지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폴리아미드 수지(C)의 질량비[(A)/(C)]는, 91/9~99/1이 바람직하고, 91/9~96/4가 보다 바람직하고, 91/9~95/5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는데,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의 합계량은, 용기 전체의 7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리사이클 원료>
본 발명의 용기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리사이클 원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환경부하의 저감의 관점에서, 리사이클 원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사이클 원료로는, 상술의 리사이클완료 폴리에스테르나, 리사이클완료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에는 안료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를 리사이클한 리사이클완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리사이클완료 폴리에스테르, 리사이클완료 폴리아미드, 그들에 포함되는 안료, 및 리사이클완료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및 안료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 상기 안료(B),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C)에 해당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각각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 상기 안료(B)의 함유량,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C)의 함유량에 더한다.
본 발명의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리사이클 원료를 포함하고, 이 리사이클 원료가,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사이클 원료를 포함하는 경우, 리사이클 원료의 함유율은, 1~20질량%가 바람직하고, 5~15질량%가 바람직하다. 리사이클 원료의 함유율이 이 범위이면, 본 발명의 효과인 크랙의 억제와 색조를 유지하면서, 환경부하도 저감할 수 있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용기가 함유하는 기타 성분으로는, 리사이클조제, 천이금속 등이 예시된다.
리사이클조제는, 리사이클완료 폴리에스테르를 얻음에 있어서, 리사이클공정에 있어서의 황변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화합물이며, 리사이클조제로서, 알데히드포착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리사이클조제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황변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고, 또한,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안트라닐아미드, 안트라닐산, 및 나일론 6I/6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는, 폴리아미드 수지(C)의 산화반응을 유기시켜 산소흡수기능을 높이고, 가스배리어성을 높일 목적으로, 천이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천이금속으로는, 산소흡수능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코발트, 철, 망간, 및 니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소흡수능이 양호하게 발현되는 관점에서, 천이금속을 포함하는 카르본산염, 탄산염, 아세틸아세토네이트착체, 산화물, 및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이금속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상기 성분에 더하여, 열안정제, 광안정제, 방습제, 방수제, 활제, 전착제 등의 첨가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의 제조방법 및 용기>
본 발명의 용기는, 적어도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용기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함유비율이 적은 성분의 혼련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미리 마스터배치를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안료(B)는 분말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는데, 소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A), 소량의 폴리아미드 수지(C) 혹은 이들의 혼합물과 혼련하여, 마스터배치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혼련하여, 마스터배치해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B)를 미리 용매 등에 분산시켜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안료분산액을 소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A), 소량의 폴리아미드 수지(C) 혹은 이들의 혼합물과 혼련하여, 마스터배치해두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안료분산액을 소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혼련하여, 마스터배치해두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안료(B)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수지(A)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미리 드라이블렌드방식으로 혼합한 후에, 용융혼련할 수도 있고, 안료(B)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수지(A)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드라이블렌드방식으로 혼합한 후에, 얻어진 드라이블렌드품을 그대로 사출성형기 등의 성형기로 성형할 수도 있는데, 드라이블렌드품을 그대로 사출성형기 등의 성형기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배치 혹은 수지 조성물을 용융혼련에 의해 얻을 때의 용융혼련온도는, 240~295℃가 바람직하고, 245~292℃가 보다 바람직하고, 250~290℃가 더욱 바람직하다.
마스터배치 혹은 수지 조성물을 용융혼련에 의해 얻을 때의 용융혼련의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1초~5분이 바람직하고, 3초~4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5초~3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혼련에 사용되는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개방형의 믹싱롤, 비개방형의 밴버리믹서, 니더, 연속혼련기(단축혼련기, 이축혼련기, 다축혼련기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료(B)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수지(A)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드라이블렌드방식으로 혼합할 때에, 상기의 리사이클 원료를 이들과 혼합할 수도 있다. 즉, 안료(B)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수지(A), 폴리아미드 수지(C) 및 리사이클 원료를, 미리 드라이블렌드방식으로 혼합한 후에, 용융혼련할 수도 있고, 안료(B)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수지(A), 폴리아미드 수지(C) 및 리사이클 원료를 드라이블렌드방식으로 혼합한 후에, 얻어진 드라이블렌드품을 그대로 사출성형기 등의 성형기로 성형할 수도 있는데, 드라이블렌드품을 그대로 사출성형기 등의 성형기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용되는 리사이클 원료는, 상기의 <리사이클 원료>의 항에서 설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리사이클완료 폴리에스테르, 리사이클완료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를 리사이클한 리사이클완료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형불량품이나 시장으로부터의 회수품으로부터 얻어지는 리사이클완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형불량품으로부터 얻어지는 리사이클완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형불량품을 회수함으로써,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사이클 원료의 형상은, 펠릿상, 플레이크상, 또는 분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방법으로는, 압축성형법, 압출블로우성형법, 사출블로우성형법, 연신블로우성형법을 들 수 있고, 연신블로우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출성형기로부터 금형 내에 용융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출하여 프리폼을 제조 후, 연신온도까지 가열하여 블로우연신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블로우성형법에 의해 얻어지는 경우에는, 그 연신배율은 2~30배가 바람직하고, 3~25배가 보다 바람직하고, 5~20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는, 보틀상의 중공용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성형기로 균질한 용기를 얻는 관점에서, 단층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는, 단층에서 우수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 내성이 얻어진다.
[표백제 물품]
본 발명의 표백제 물품은,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상기 용기에 수용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용기에 수용된 표백제 물품이며, 상기 용기가,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90~99질량%이며, (B)와 (C)의 질량비[(B)/(C)]가 1/99~20/80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백제 물품이다.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
본 발명의 용기가 수용하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하, 간단히 「표백제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백성분)
상기 표백제 조성물은, 표백성분으로서,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염소화이소시아눌산염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아염소산염, 염소화이소시아눌산염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차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염소화이소시아눌산염은,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알칼리금속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칼리금속으로는, 나트륨, 칼륨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백성분 중에서도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함유하는 경우, 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함유량은, 0.5~15질량%가 바람직하고, 1~12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9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2~8질량%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내이면, 양호한 표백성 및 보존안정성이 얻어진다.
(알칼리제)
상기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제는, 표백제 조성물 중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표백성분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에 더하여, 오염에 대하여 충분한 표백효과를 얻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알칼리제는, 알칼리금속수산화물,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규산염, 인산염 등을 들 수 있고, 알칼리금속수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알칼리금속으로는, 나트륨이나 칼륨이 바람직하다.
알칼리금속수산화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이 바람직하고, 수산화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표백제 조성물 중의 알칼리제의 농도는,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2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8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알칼리제의 농도가 상기 범위내이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안정성도 양호해짐과 함께, 충분한 표백효과가 얻어진다.
(킬레이트제)
상기 표백제 조성물은, 킬레이트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킬레이트제는, 표백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중금속을 트랩함으로써, 표백제 조성물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아미노포스폰산-N-옥사이드, 특히 〔니트릴로트리스(메틸렌)〕트리스포스폰산-N-옥사이드,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르본산염, 1-하이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염, 가교형 폴리카르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킬레이트제의 함유량은, 표백제 조성물 중에서 0.1~30질량%가 바람직하고, 0.3~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킬레이트제의 함유량이 이 범위내임으로써, 충분한 세정력이 얻어진다.
(계면활성제)
상기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다양한 표면물성을 갖는 물품에 대한 표백성능이 향상된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황산에스테르염, 카르본산염, 설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을 들 수 있고, 황산에스테르염, 카르본산염, 설폰산염이 바람직하고, 황산에스테르염, 카르본산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황산에스테르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황산에스테르염으로는,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을 들 수 있고,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이 바람직하다.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구체예로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이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알킬기는, 탄소수 12~18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2~14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2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에틸렌옥시기의 평균부가몰수는, 0.5~10이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트리에탄올아민염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염, 트리에탄올아민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트륨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카르본산염은, 지방산염, α-설포지방산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산염은, 알킬벤젠설폰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설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에스테르염은,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민옥사이드,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노지방산염을 들 수 있고, 알킬아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알칸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주로 위생화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용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아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01~7.0질량%가 바람직하고, 0.03~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3.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등)
상기 표백제 조성물은,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 중의 용매의 함유량은, 표백성분, 계면활성제, 알칼리제, 킬레이트제, 및 본 항에 든 기타 성분의 잔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백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용매로는, 물, 및 수혼화성의 유기용매를 들 수 있고,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은, 80~98질량%가 바람직하고, 88~9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90~98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내이면, 보존안정성이 우수하다.
수혼화성의 유기용매로는, 알코올류, 에테르류 등이 예시된다.
상기 표백제 조성물은, 추가로 형광염료; BHT(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의 라디칼 스캐빈저; 탄산칼슘, 실리카, 몬모릴로나이트, 스멕타이트 등의 연마제·유백제; 테르펜알코올계 향료로 대표되는 향료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의 pH는, 알칼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에 있어서의 pH는 11~13.8이 바람직하고, 11.3~13.7이 보다 바람직하고, 11.5~13.5가 더욱 바람직하다.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의 pH가 상기 범위내이면, 저장안정성 및 표백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재료, 평가방법, 및 보틀의 제조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재료
[용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상품명: 유니펫 BK-2180, 미쯔비시케미칼 주식회사제, 고유점도=0.83dL/g, 설폰산금속염기를 갖지 않는다)를 사용하였다. 사용에 있어서는, 제습건조기로, 150℃, 8시간 건조한 것을 이용하였다.
<안료(B)>
(안료분산체)
안료분산체의 PIGMENT VERDE(컬러매트릭스사제)를, 상기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용융혼련하여, 안료농도 3질량%의 마스터배치를 조제하였다.
(안료분말)
분말안료의 Irgalite Green GFNP(BASF컬러&이펙트재팬 주식회사제, Pigment Green 7, 염소화프탈로시아닌)를, 상기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용융혼련하여, 안료농도 3질량%의 마스터배치를 조제하였다.
<염료>
염료로서, 수지용 염료 SDN녹(綠)(오카다야사제)을 상기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용융혼련하여, 염료농도 3질량%의 마스터배치를 조제하였다.
상기 안료 및 염료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할 때에는, 안료 및 염료가 수지 조성물(용기) 중, 표 1에 나타낸 양이 되도록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였다.
<폴리아미드 수지(C)>
(MXD6)
교반기, 분축기, 냉각기, 온도계, 적하조, 및 질소가스도입관을 구비한 재킷부착된 50L 반응캔에, 아디프산 15kg, 차아인산나트륨일수화물 15g을 투입하고, 충분히 질소치환하고, 추가로 소량의 질소기류하에서 180℃로 승온하여, 아디프산을 균일하게 용융시킨 후, 계내를 교반하면서, 이것에 메타자일릴렌디아민 13.8kg을, 170분 동안 적하하였다. 이 동안, 내온은 연속적으로 245℃까지 상승시켰다. 한편, 중축합에 의해 생성되는 물은, 분축기 및 냉각기를 통과하여 계외로 제거하였다. 메타자일릴렌디아민의 적하종료 후, 내온을 추가로 260℃까지 승온하고, 1시간 반응을 게속한 후, 폴리머를 반응캔 하부의 노즐로부터 스트랜드로서 취출하여, 수랭 후 펠릿화하여 폴리머를 얻었다.
다음에, 상기의 조작으로 얻은 폴리머를 가열재킷, 질소가스도입관, 진공라인을 구비한 50L 회전식 텀블러에 넣고, 회전시키면서 계내를 감압으로 한 후, 순도 99용량% 이상의 질소로 상압으로 하는 조작을 3회 행하였다. 그 후, 질소유통하에서 계내를 140℃까지 승온시켰다. 다음에 계내를 감압으로 하고, 추가로 190℃까지 연속적으로 승온하여, 190℃에서 30분 유지한 후, 질소를 도입하여 계내를 상압으로 되돌린 후, 냉각하여 폴리아미드(폴리메타자일릴렌아디프아미드)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아미드는, 상대점도 2.7이었다.
(PA6)
나일론 6(폴리아미드 6, 상품명: UBE나일론 1022B, 우베코산 주식회사제)을 사용하였다.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
(차아염소산나트륨 6질량%)
시판의 표백제 키친하이타(카오 주식회사제, 차아염소산나트륨(6질량%),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나트륨, 수산화나트륨, pH: 13~13.5)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차아염소산나트륨 3질량%)
상기의 표백제 키친하이타를 동량(질량)의 이온교환수로 희석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3질량%의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을 얻었다.
2. 평가방법
[보관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500mL 보틀용기에, 상기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 500mL를 충전하고, 40℃의 환경하에서 6개월 보관 후의 보틀에 발생한 크랙의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색차측정(색조유지성의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용기와 동일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50μm의 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해당 필름을 상기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에 침지하고, 40℃의 환경하에서 1개월간 보관하였다. 일본전색공업 주식회사제의 색차계(ZE2000)를 이용하여, 표백제 침지 전후의 a값을 비교하고, 그 차의 값을 a값 변화로서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a값 변화의 수치가 작을수록, 색조유지성이 양호하다. 또한, 4단계 평가를 다음의 기준으로 행하였다. A~C가 실용상, 사용가능하다. 2.0 이하이면 A, 2.0 초과 3.5 이하이면 B, 3.5 초과 5.0 이하이면 C, 5.0 초과한 경우는 D로 하였다.
3. 보틀(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의 제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 2]
얻어진 보틀(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한 마스터배치, 및 폴리아미드를, 각 성분이 표 1에 나타낸 양이 되도록 계량한 후, 드라이블렌드하고, 프리폼사출성형기(스미토모중기계공업 주식회사제, 형식: SE130DU-CI)에 투입하고, 하기 조건에 의해 사출성형하여, 단층프리폼으로 하였다.
단층프리폼 성형조건은, 이하와 같다.
·프리폼 1개의 질량: 25g
·핫러너/실린더온도: 285℃
·핫러너노즐온도: 290℃
·금형냉각수온도: 15℃
·성형사이클타임: 33sec
추가로, 제작한 단층프리폼을 냉각 후, 블로우성형장치(주식회사 프론티어제, 형식: EFB-1000ET)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이축연신블로우성형하여, 단층보틀(높이 223mm, 몸통직경 65mm, 용량 500mL, 육후 330μm, 질량 25.0g)을 얻었다. 금형은, 500mL 페탈로이드바닥형, 블로우 전 표면온도(프리폼가열 후의 표면온도)는 107~110℃였다.
이축연신블로우 성형조건은, 이하와 같다.
·프리폼가열온도: 107~110℃
·연신로드용 압력: 0.5MPa
·1차 블로우압력: 0.5MPa
·2차 블로우압력: 2.5MPa
·1차 블로우지연시간: 0.32sec
·1차 블로우시간: 0.28sec
·2차 블로우시간: 2.0sec
·블로우 배기시간: 0.6sec
·금형온도: 30℃
상기와 같이 하여 보틀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보틀을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보틀(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의 제조에 있어서, 안료분산체를 함유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양을 94.5질량%로부터 95질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안료를 함유하지 않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보틀을 얻었다.
[유효염소농도측정(내용물보호성의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보틀용기에 상기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을 충전하고, 40℃의 환경하에서 6개월 보관 후의 보틀의 블리치액을 하기의 방법으로 분석하고, 차아염소산나트륨농도를 측정하였다. 초기의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의 유효염소농도와 보관시험 후의 유효염소농도의 차가 2% 이내이면 합격으로 하는 기준에 따라 용기의 내용물보호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3은 유효염소농도의 차가 2.5%로 불합격이었으나, 실시예 1은 0.8%로 합격이었다. 이 점에서, 실시예의 보틀에서 보관한 표백제 조성물은, 유효염소농도가 감소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방법: 유효염소를 구하려면, 차아염소산나트륨과 공존하는 아세트산용액 중에 있어서 요오드화칼륨으로부터 유리하는 요오드를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한다.
시료 10mL에 요오드화칼륨 2g 및 50%(v/v) 아세트산수용액 6mL를 첨가하여 밀전하고 잘 흔들어 섞어, 암소에 5분간 방지한다. 유리한 요오드를 0.1N 티오황산나트륨액으로 적정하고, 요오드가 환원되어 용액이 담황색을 나타내면서 종점이 가까워지면, 0.5% 전분용액 3mL를 첨가하여 청색이 소실된 지점을 종점으로 하였다. 유효염소(질량/체적(%))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유효염소(질량/체적(%))={(a-b)×f×0.0037221/v}×100/10×100
a: 시료의 적정량(mL)
b: 블랭크 적정량(mL)
f: 1.002
v: 시료채취량(mL)
실시예와 비교예의 평가결과에 따르면, 실시예의 보틀은, 보관시험에 있어서도 크랙의 발생이 없고, 색차측정에 있어서도, 색조의 변화가 적으며, 색조유지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장기보관시의 염소농도량의 변화도 적어, 내용보호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4. 리사이클플레이크의 제조
폐기보틀(불량품보틀)의 리사이클을 모방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보틀을 분쇄하고, 다음과 같이 리사이클플레이크를 제작하였다. 보틀을 분쇄하여 얻어진 플레이크를 진공건조기(자동시퀀스진공건조기, DP610P, 야마토과학 주식회사제)로 150℃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의 플레이크는 수분율측정장치(VA-236/CA-200, 주식회사 미쯔비시케미칼애널리틱제)를 이용하여 수분율이 500ppm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건조 후의 플레이크를 리사이클플레이크(리사이클완료 수지 조성물)로 하였다. 한편,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에서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보틀로부터 얻어진 플레이크를 각각 플레이크1, 플레이크2, 플레이크3 및 플레이크4로 하였다.
5. 보틀(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의 제조
[실시예 8~12 및 비교예 4~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한 마스터배치, 폴리아미드, 및 리사이클플레이크를, 각 성분이 표 2에 나타낸 제조시의 성분조성의 양이 되도록 계량한 후, 드라이블렌드하고, 프리폼사출성형기(스미토모중기계공업 주식회사제, 형식: SE130DU-CI)에 투입하고, 하기 조건에 의해 사출성형하여, 단층프리폼으로 하였다.
단층프리폼 성형조건은, 이하와 같다.
·프리폼 1개의 질량: 25g
·핫러너/실린더온도: 285℃
·핫러너노즐온도: 290℃
·금형냉각수온도: 15℃
·성형사이클타임: 33sec
게다가, 제작한 단층프리폼을 냉각 후, 블로우성형장치(주식회사 프론티어제, 형식: EFB-1000ET)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이축연신 블로우성형하고, 단층보틀(높이 223mm, 몸통직경 65mm, 용량 500mL, 육후 330μm, 질량 25.0g)을 얻었다. 금형은, 500mL 페탈로이드바닥형, 블로우 전 표면온도(프리폼가열 후의 표면온도)는 107~110℃였다.
이축연신블로우 성형조건은, 이하와 같다.
·프리폼가열온도: 107~110℃
·연신로드용 압력: 0.5MPa
·1차 블로우압력: 0.5MPa
·2차 블로우압력: 2.5MPa
·1차 블로우지연시간: 0.32sec
·1차 블로우시간: 0.28sec
·2차 블로우시간: 2.0sec
·블로우배기시간: 0.6sec
·금형온도: 30℃
상기와 같이 하여 보틀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보틀을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실시예와 비교예의 평가결과에 따르면, 리사이클완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실시예의 보틀은, 보관시험에 있어서도 크랙의 발생이 없고, 색차측정에 있어서도, 색조의 변화가 적어, 색조유지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4)

  1.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90~99질량%이며,
    안료(B)와 폴리아미드 수지(C)의 질량비[(B)/(C)]가 1/99~20/80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C)가,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C)가,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C)가, 탄소수 4~20의 ω-아미노직쇄지방족 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포함하는 ω-아미노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C)가,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MXD10,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10, 나일론 11 및 나일론 12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C)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 9질량% 이하인,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A)가,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80몰% 이상 포함하는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료(B)가, 구리, 아연, 및 티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안료인,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단층용기인,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리사이클 원료를 포함하고, 이 리사이클 원료가,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11.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용기에 수용된 표백제 물품이며,
    상기 용기가,
    폴리에스테르 수지(A), 안료(B) 및 폴리아미드 수지(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함유량이 90~99질량%이며,
    안료(B)와 폴리아미드 수지(C)의 질량비[(B)/(C)]가 1/99~20/80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백제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0.5~15질량% 함유하는, 표백제 물품.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표백제 물품.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이,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표백제 물품.
KR1020217037447A 2019-06-11 2020-06-04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표백제 물품 KR20220020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8922 2019-06-11
JP2019108922 2019-06-11
PCT/JP2020/022095 WO2020250794A1 (ja) 2019-06-11 2020-06-04 塩素系液体漂白剤組成物用容器及び漂白剤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256A true KR20220020256A (ko) 2022-02-18

Family

ID=7378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447A KR20220020256A (ko) 2019-06-11 2020-06-04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표백제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59425A1 (ko)
EP (1) EP3984913B1 (ko)
JP (1) JP7472907B2 (ko)
KR (1) KR20220020256A (ko)
CN (1) CN113906101A (ko)
WO (1) WO2020250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68909A (ja) * 2021-11-04 2023-05-1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多層容器、容器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再生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JP2023131810A (ja) 2022-03-10 2023-09-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多層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705A (ja) 1997-05-12 1998-11-24 Toyo Ink Mfg Co Ltd 耐塩素含有水性着色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2003341748A (ja) 2002-05-27 2003-12-03 Johnson Co Ltd ブロー容器
WO2017150109A1 (ja) 2016-02-29 2017-09-0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塩素系液体漂白剤組成物用容器及び漂白剤物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4484B2 (ja) * 1997-09-19 2007-10-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リサイクルポリエステルを用いた包装容器
BR0012815A (pt) * 1999-07-30 2002-05-07 Eastman Chem Co Mistura de polìmero, artigo, e, método para reduzir a permeabilidade a gás de poliéster
WO2007105628A1 (ja) * 2006-03-10 2007-09-2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体
JP2011132394A (ja) * 2009-12-25 2011-07-07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二軸延伸中空容器
JP2015024828A (ja) * 2013-07-24 2015-02-05 東罐興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ボトル
JP2015137295A (ja) * 2014-01-21 2015-07-3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インジェクション成形体
KR20170023774A (ko) * 2014-06-25 2017-03-06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705A (ja) 1997-05-12 1998-11-24 Toyo Ink Mfg Co Ltd 耐塩素含有水性着色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2003341748A (ja) 2002-05-27 2003-12-03 Johnson Co Ltd ブロー容器
WO2017150109A1 (ja) 2016-02-29 2017-09-0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塩素系液体漂白剤組成物用容器及び漂白剤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59425A1 (en) 2022-08-18
CN113906101A (zh) 2022-01-07
EP3984913A1 (en) 2022-04-20
EP3984913A4 (en) 2022-05-11
JPWO2020250794A1 (ko) 2020-12-17
EP3984913B1 (en) 2024-08-14
JP7472907B2 (ja) 2024-04-23
WO2020250794A1 (ja)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6734B1 (en) Polyamides and polyesters blended with a lithium salt interfacial tension reducing agent
JP5219821B2 (ja) 界面張力低下剤を使用した、ポリエステル中の高カルボキシルポリアミドの向上した分散物
JP6904329B2 (ja) 漂白剤物品
KR20220020256A (ko) 염소계 액체표백제 조성물용 용기 및 표백제 물품
WO2021177126A1 (ja) 多層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再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7246583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46584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06737B2 (ja) 多層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再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TW202212150A (zh) 多層容器、其製造方法、及再生聚酯之製造方法
JP2007246582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567277B2 (ja) 単層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再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WO2022153844A1 (ja) 多層中空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再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7006738B2 (ja) 多層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再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7246647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2136059A (zh) 多層容器、其製造方法、及再生聚酯之製造方法
JP2007246645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4195448A1 (ja) 多層容器、及び再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7246644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46643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