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505A - 방폭구조의 집진기 - Google Patents

방폭구조의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505A
KR20220019505A KR1020200099987A KR20200099987A KR20220019505A KR 20220019505 A KR20220019505 A KR 20220019505A KR 1020200099987 A KR1020200099987 A KR 1020200099987A KR 20200099987 A KR20200099987 A KR 20200099987A KR 20220019505 A KR20220019505 A KR 2022001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olt shaft
closing cover
cov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042B1 (ko
Inventor
안진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드테크
Priority to KR102020009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0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01D46/0093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fire or expl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때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 내압을 자동적으로 배기하여 폭발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장치의 설치나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방폭구조의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크기의 수집공간(12)이 형성된 집진본체(11)와; 상기 집진본체(11)의 상면에 배열 형성된 복수개의 점검구(20) 및 상기 점검구(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커버(21)와; 상기 개폐커버(21)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본체(11)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될 때에 자동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수단(30)은 상기 개폐커버(21)의 일측에 근접되거나 상기 개폐커버(21)를 관통하여 상기 집진본체(11) 상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축(31)과; 상기 볼트축(31) 상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커버(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5)과; 상기 스프링(35)을 지지하도록 상기 볼트축(31) 상에 체결되는 조임너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폭구조의 집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폭구조의 집진기{Dust collector of explosion 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방폭구조의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집진기 내부의 압력증가에 따른 폭발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방폭구조의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악취나 먼지 또는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도록 된 것으로, 대개 집진본체의 내부에 일정 용량의 백필터가 내장되거나 공기를 회전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장치 등이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집진기는 사용처나 설치장소 등에 따라서 집진과정에서 고온 고압의 공기를 처리해야 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집진본체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폭발 등의 위험이 따를 수 있는 반면에, 종래의 집진기 구조에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방폭창 등이 거의 구비되지 않아 장치의 구동중에 안전상의 위험을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집진기의 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릴리프밸브를 장착할 수 있으나, 통상의 릴리프밸브의 경우에는 방폭창과 같이 일시에 내압을 해소할 수 있는 배기용량을 갖는 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기의 이물질에 의한 고장이나 작동신뢰성이 감소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866호(2014. 12. 1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집진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때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 내압을 자동적으로 배기하여 폭발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장치의 설치나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방폭구조의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 크기의 수집공간(12)이 형성된 집진본체(11)와;
상기 집진본체(11)의 상면에 배열 형성된 복수개의 점검구(20) 및 상기 점검구(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커버(21)와;
상기 개폐커버(21)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본체(11)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될 때에 자동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수단(30)은
상기 개폐커버(21)의 일측에 근접되거나 상기 개폐커버(21)를 관통하여 상기 집진본체(11) 상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축(31)과;
상기 볼트축(31) 상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커버(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5)과;
상기 스프링(35)을 지지하도록 상기 볼트축(31) 상에 체결되는 조임너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구조의 집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지지수단(30)은 상기 스프링(35)의 일단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커버(21) 상에 접촉되는 커버지지판(34)과;
상기 스프링(35)의 타단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너트(37)에 접촉되는 편평한 판형태의 지지판(36a)이거나 상기 지지판(36a)의 둘레를 따라 둘레벽(36b)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5)의 단부측이 삽입 가능한 캡형태의 탑커버(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구조의 집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지지수단(30)에는 상기 커버지지판(34) 상에 스프링(35)의 타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둘레벽(41b)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지지판(34)과는 별도로 된 지지판(41a) 상에 둘레벽(41b)이 형성된 캡형태의 베이스커버(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구조의 집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볼트축(31)은 상기 집진본체(11) 상에 결합되는 일정 크기의 제1 볼트축(32)과, 상기 조임너트(37)가 체결되는 제2 볼트축(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볼트축(32)과 제2 볼트축(33)은 연결너트(38)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구조의 집진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기(10)의 개폐커버(21)를 탄성지지수단(30)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집진기(10)의 내부에 고온 고압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내압을 자동적으로 배출하여 안전상의 위험과 장치의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지지수단(30)의 구성 중에 개폐커버(21) 상에 접촉되는 커버지지판(34)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커버지지판(34)에 의해 복수개의 개폐커버(21)를 동시에 지지하는 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장치의 설치개수를 줄여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지지수단(30)에는 캡형태의 탑커버(36)나 베이스커버(41)가 구비되어 스프링(35)의 일단 또는 양단이 삽입된 상태로 지지됨에 따라, 장치의 작동중에 스프링(35)이 정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뒤틀리는 것 등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장치의 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35)을 결합하도록 된 볼트축(31)이 제1 볼트축(32)과 제2 볼트축(33)로 구성되어 연결너트(38)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집진기 상에 설치된 볼트를 이용하여 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기설치된 집진기를 방폭구조로 형성하는 데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에 따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기(10)는 일정 크기의 수집공간(12)이 형성된 집진본체(11) 상에 피처리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유입덕트(13)와 배출덕트(14)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덕트(14) 측에 공기를 흡출하기 위한 블로어수단(15)이 결합되며, 상기 집진본체(11)의 하부에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호퍼(16)가 연장되어 수거포대(17)로 배출 처리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집진기(10)는 필터방식 등에 따라 상기 수집공간(12) 상에 필터백(18)이 내장됨과 동시에 이 필터백(18)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한 탈진수단(19) 등이 내장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집진본체(11)의 상면에 복수개의 점검구(20)와 개폐커버(21)가 구비되고, 이 개폐커버(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30)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데, 이를 도 2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본체(11)의 상면에는 수집공간(12) 상에 필터백(18)이나 탈진수단(19) 등을 설치하거나 교체 또는 점검하기 위한 복수개의 개폐커버(21)가 배열 형성되는데, 각 개폐커버(21)는 복수개의 탄성지지수단(30)이 둘레를 따라 체결되고, 상기 탄성지지수단(30)은 개폐커버(21)의 일측을 개별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두개의 개폐커버(21)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위치되는데, 이와 같은 탄성지지수단(3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 등을 도 3과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본체(11)의 상면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수집공간(12) 상의 구성에 대응되어 복수개의 점검구(20)와 그 점검구(20)를 커버하는 개폐커버(21)가 장착되고, 이 개폐커버(21)는 탄성지지수단(30)에 의해 지지되어 집진본체(11)의 수집공간(12) 상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탄성지지수단(30)은 집진본체(11) 상에 직립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볼트축(31)과 상기 볼트축(31) 상에 결합되어 개폐커버(2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5) 및 상기 스프링(35)을 압축하도록 상기 볼트축(31) 상에 체결되는 조임너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35)의 하단부에 개폐커버(21)에 접촉된 커버지지판(34)이 결합되거나 이에 더하여 별도의 베이스커버(41)가 결합되고, 상단부에 상기 조임너트(37)에 접촉되는 캡형태의 탑커버(36)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볼트축(31)은 상기 개폐커버(21)의 일측에 근접되어 직립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35)은 일정 직경으로 권선된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조임너트(37)는 체결작업 상의 편리함을 감안하여 링형태의 손잡이를 갖는 통상의 아이너트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볼트축(31)은 상기 개폐커버(21)를 직접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커버지지판(34) 자체를 생략하고, 스프링(35)에 의해 직접적으로 개폐커버(21)를 탄지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는 하나의 탄성지지수단(30)에 의해 두개의 개폐커버(21)를 동시에 지지할 수 없는 구조가 되어 탄성지지수단(30)의 개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 자체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지지판(34)은 설치위치에 따라 두개의 개폐커버(21)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개폐커버(21)의 외곽에 위치되는 경우에 개폐커버(21)의 일측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일측이 편평함과 동시에 타측이 직각방향으로 하향된 절곡부(4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절곡부(40)는 스프링(35)의 탄지력의 일부가 개폐커버(21)가 없는 허공에 가해짐에 따른 힘의 불균형과 그에 따른 지지면의 들뜸을 방지하여 장치의 설치상태가 불안정한 것을 해소하고, 커버지지판(34)의 일부가 개폐커버(21)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른 안전상의 위험 등을 줄이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집진기를 방폭구조로 변경하는 데에 편리함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이를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축(31)은 별도로 된 제1 볼트축(32)과 제2 볼트축(33)을 연결너트(38)에 의해 상호 연결한 것으로, 상기 제1 볼트축(32)은 통상의 육각볼트를 사용하여 헤드부분을 집진본체(11) 상에 용접 고정하고, 상기 제2 볼트축(33)은 전산볼트로 구비되어 연결너트(38)에 의해 제1 볼트축(32) 상부에 연장되도록 결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탑커버(36)와 베이스커버(41)는 스프링(35)의 상단과 하단을 삽입하도록 된 캡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이는 지지판(36a,41a)의 둘레를 따라 둘레벽(36b,41b)이 형성되는데, 상기 탑커버(36)는 지지판(36a) 자체로 대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지지판(34)의 경우에 둘레벽(41b)이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볼트축(31) 상에 커버지지판(34), 베이스커버(41), 스프링(35) 및 탑커버(36)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에, 조임너트(37)를 제2 볼트축(33) 상에 체결하여 탑커버(36)를 가압함에 따라 스프링(35)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한 상태로 결합하는데, 통상적으로 기존의 집진기의 개폐커버(21)는 본 발명의 제1 볼트축(32)과 같은 볼트부재를 집진본체(11) 상에 용접하고 커버지지판(34)에 의해 개폐커버(21)의 상면을 누른 후에, 조임너트(37)를 볼트부재 상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탄성지지수단(30)을 제작하게 되면, 종래의 고정체결수단을 해체하거나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탄성지지수단(30)을 제작할 수 있음에 따른 장치의 제작이나 기존의 집진기를 방폭구조로 변경하는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집진기 11: 집진본체
12: 수집공간 18: 필터백
19: 탈진수단 20: 점검구
21: 개폐커버 30: 탄성지지수단
31: 볼트축 32: 제1 볼트축
33: 제2 볼트축 34: 커버지지판
35: 스프링 36: 탑커버
37: 조임너트 38: 연결너트
40: 절곡부 41: 베이스커버

Claims (4)

  1. 일정 크기의 수집공간(12)이 형성된 집진본체(11)와;
    상기 집진본체(11)의 상면에 배열 형성된 복수개의 점검구(20) 및 상기 점검구(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커버(21)와;
    상기 개폐커버(21)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본체(11)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될 때에 자동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된 탄성지지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수단(30)은
    상기 개폐커버(21)의 일측에 근접되거나 상기 개폐커버(21)를 관통하여 상기 집진본체(11) 상에 고정 설치되는 볼트축(31)과;
    상기 볼트축(31) 상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커버(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5)과;
    상기 스프링(35)을 지지하도록 상기 볼트축(31) 상에 체결되는 조임너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구조의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30)은 상기 스프링(35)의 일단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커버(21) 상에 접촉되는 커버지지판(34)과;
    상기 스프링(35)의 타단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너트(37)에 접촉되는 편평한 판형태의 지지판(36a)이거나 상기 지지판(36a)의 둘레를 따라 둘레벽(36b)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5)의 단부측이 삽입 가능한 캡형태의 탑커버(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구조의 집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30)에는 상기 커버지지판(34) 상에 스프링(35)의 타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둘레벽(41b)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지지판(34)과는 별도로 된 지지판(41a) 상에 둘레벽(41b)이 형성된 캡형태의 베이스커버(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구조의 집진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축(31)은 상기 집진본체(11) 상에 결합되는 일정 크기의 제1 볼트축(32)과, 상기 조임너트(37)가 체결되는 제2 볼트축(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볼트축(32)과 제2 볼트축(33)은 연결너트(38)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구조의 집진기.
KR1020200099987A 2020-08-10 2020-08-10 방폭구조의 집진기 KR10243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87A KR102435042B1 (ko) 2020-08-10 2020-08-10 방폭구조의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87A KR102435042B1 (ko) 2020-08-10 2020-08-10 방폭구조의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05A true KR20220019505A (ko) 2022-02-17
KR102435042B1 KR102435042B1 (ko) 2022-08-22

Family

ID=8049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987A KR102435042B1 (ko) 2020-08-10 2020-08-10 방폭구조의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2891A (zh) * 2022-03-16 2022-06-10 绵阳高新区资江电子元件有限公司 一种自动急停保护式芯包生产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216U (ja) * 1992-01-08 1993-07-27 新東ダストコレクタ株式会社 集塵機におけるガス抜き用自動開閉弁
KR940023070U (ko) * 1993-03-05 1994-10-22 윤영환 폐기물 소각로의 자동압력 배출장치
KR19990022888U (ko) * 1999-04-30 1999-07-05 김희갑 소각로의연소실압력감소장치
KR101432120B1 (ko) * 2013-02-06 2014-08-21 대성종합이앤씨 주식회사 용기커버의 지지구조
KR101475866B1 (ko) 2014-07-16 2014-12-23 (주)한성플랜트 백필터 집진장치
KR20160023499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제이텍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216U (ja) * 1992-01-08 1993-07-27 新東ダストコレクタ株式会社 集塵機におけるガス抜き用自動開閉弁
KR940023070U (ko) * 1993-03-05 1994-10-22 윤영환 폐기물 소각로의 자동압력 배출장치
KR19990022888U (ko) * 1999-04-30 1999-07-05 김희갑 소각로의연소실압력감소장치
KR101432120B1 (ko) * 2013-02-06 2014-08-21 대성종합이앤씨 주식회사 용기커버의 지지구조
KR101475866B1 (ko) 2014-07-16 2014-12-23 (주)한성플랜트 백필터 집진장치
KR20160023499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제이텍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2891A (zh) * 2022-03-16 2022-06-10 绵阳高新区资江电子元件有限公司 一种自动急停保护式芯包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042B1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941B2 (en) Filter element arrangement and portable air cleaner incorporating same
KR102435042B1 (ko) 방폭구조의 집진기
EP1688078A3 (en) A multi-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ATE448724T1 (de) Staub- und schmutzsammeleinheit für staubsauger
US7761957B2 (en) Vacuum canister with dual removable motors
CN201807236U (zh) 脱硫吸收塔外置式石膏浆液过滤器
KR20040047086A (ko) 개별 분리형 백 필터 유닛을 구비하는 집진기
CN210569017U (zh) 一种新风机的壳体结构
CN200989221Y (zh) 一种压气蜗流壳体
KR20220079186A (ko) 공기청정기
CN2580996Y (zh) 抽屉式波纹阻火器
KR200144179Y1 (ko) 여과포의 교환이 용이한 백 필터식 집진기
JP3139693U (ja) ロータリーバルブと集塵機
CN212731574U (zh) 一种碳酸钙生产车间用除尘装置
CN209386447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102653227B1 (ko) 필터백 진동탈진 멀티집진장치
CN215462660U (zh) 一种组合式火星捕捉器
CN217763798U (zh) 一种紧凑型空气净化器风道结构
CN210786614U (zh) 方便维护的柜式空气净化器o型高效滤网密封装置
CN216703746U (zh) 一种滤筒除尘器
CN215027114U (zh) 一种可拼装式新型滤筒除尘器
CN217472894U (zh) 高效净油机
CN218421823U (zh) 一种新型的空气净化用废气收集处理设备
CN212106938U (zh) 多线接触密封旁路阀
CN112221266B (zh) 一种带有过滤结构的微型真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