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356A -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356A
KR20220019356A KR1020200099690A KR20200099690A KR20220019356A KR 20220019356 A KR20220019356 A KR 20220019356A KR 1020200099690 A KR1020200099690 A KR 1020200099690A KR 20200099690 A KR20200099690 A KR 20200099690A KR 20220019356 A KR20220019356 A KR 2022001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stance
distance sensing
present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정국
박홍인
김성원
양승우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356A/ko
Publication of KR2022001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62J6/028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rider-propelled cycles with or without additional source of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2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 B62J6/24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warning or informing the rider, e.g. low fuel warnin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주행 시 주행 방향의 도로 노면 상태를 감지하여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은 십자형상이며, 뒷단에 체결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홀더;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부;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을 향해 격자무늬 형상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을 향해 일직선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리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노면간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주행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리감지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거리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노면간의 거리가 동시에 모두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범위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Electric kickborad safety headlight}
본 발명은 야간 주행 시 주행 방향의 도로 노면 상태를 감지하여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탑승자들은 비교적 근거리를 이동할 때 자신만의 퍼스널 모빌리티를 활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란 1인용 이동 수단으로서 전동킥보드, 전동휠, 전동 스케이드보트, 전기자전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력원은 전기이므로 유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그 크기가 작아 이동수단 및 레져용품으로써 입지를 늘려가고 있다.
그러나 야간에 이용할 시 부족한 시야 확보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즉, 어두운 밤길 부족한 시야를 밝혀주기 위한 전조등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안전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주변에 조명이 없는 오래된 비포장도로, 시골길 등에서는 큰 돌과 같은 장애물, 움푹 파인 땅 등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6903호 ‘자전거 전조등 장치’는 자전거 핸들에 장착되는 전조등의 조사각도를 자전거의 핸들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전조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의 핸들 변화시 기울기 센서를 통해 측정 값을 바탕으로 전조등의 조사각도가 조절되어 코너링 등 사각지대에서 시야를 확보하여 충돌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도로 노면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여 무방비 상태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3880호‘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은 야간에 자전거의 주행 시 전조등을 통한 노면 및 주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사용자로 하여금 주행속도와 더불어 노면 상태나 내리막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나, 자전거가 이미 울퉁불퉁한 노면을 주행하고 있는 중에 자전거의 기울기 수치를 측정하여 노면 정보를 판단하는 것으로, 사전에 안전사고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6903호 ‘자전거 전조등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893880호‘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9680호‘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
본 발명은 야간 주행 시 시야확보가 어려운 도로 노면의 상태를 감지하여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은 십자형상이며, 뒷단에 체결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홀더;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부;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을 향해 격자무늬 형상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을 향해 일직선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리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노면간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주행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리감지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거리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노면간의 거리가 동시에 모두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범위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은 주행 방향에 장애물이 있거나 울퉁불퉁한 노면 등의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가 있는 위치로 조사중인 레이저를 점등시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자무늬 형상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키보드 안전 전조등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십자형상으로 구성되며 뒷단에 체결부(11)가 구비된 몸체(10); 상기 몸체(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홀더(20); 상기 홀더(20)에 구비되어 노면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부(30); 상기 홀더(20)에 구비되어 노면을 향해 격자무늬 형상(X)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40); 및 상기 홀더(20)에 구비되어 노면을 향해 일직선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조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뒷단에 체결부(11)가 결합되는 세로부(12)와, 상기 세로부(12) 앞단에 결합되는 가로부(13)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20)는 세로부(12)에 구비되는 제1홀더(21)와, 가로부(13)에 구비되는 제2홀더(22)를 포함한다.
이때, 제1홀더(21)와 제2홀더(22)에는 거리감지부(30), 제1조사부(40) 및 제2조사부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로부(1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제1홀더(21)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주행 중 진동, 외부충격에 의해 제1조사부(40) 또는 제2조사부가 탈착되지 않도록 제1홀더(21)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가로부(13)는 앞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에 제2홀더(22)가 결합된다. 상기 제2홀더(22)의 상측에는 제1조사부(40) 또는 제2조사부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제1홀더(21)와 동일하게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홀더(22)의 앞단에는 복수개의 거리감지부(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1)은 상기 거리감지부(30)에 의해 측정된 노면간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주행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2조사부(50)는 점등 또는 노면을 향해 조사되는 빛의 색의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주행방향에 장애물이 있음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사부(40)를 통해서 격자무늬 형상(X)의 굴곡변화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장애물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거리감지부(30)에 의해 측정된 노면간의 거리가 동시에 모두 소정의 거리 범위를 벗어날 경우, 거리 범위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10 : 몸체
11 : 체결부
12 : 세로부
13 : 가로부
20 : 홀더
21 : 제1홀더
22 : 제2홀더
30 : 거리감지부
40 : 제1조사부
50 : 제2조사부

Claims (3)

  1. 십자형상이며, 뒷단에 체결구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홀더;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부;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을 향해 격자무늬 형상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노면을 향해 일직선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조사부;를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노면간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주행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거리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노면간의 거리가 동시에 모두 소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범위값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KR1020200099690A 2020-08-10 2020-08-10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KR20220019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690A KR20220019356A (ko) 2020-08-10 2020-08-10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690A KR20220019356A (ko) 2020-08-10 2020-08-10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356A true KR20220019356A (ko) 2022-02-17

Family

ID=8049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690A KR20220019356A (ko) 2020-08-10 2020-08-10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935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680A (ko) 2016-01-27 2017-08-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
KR101816903B1 (ko) 2017-07-10 2018-01-09 한규훈 자전거 전조등장치
KR101893880B1 (ko) 2017-06-26 2018-08-31 주식회사 디자인드디자인 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680A (ko) 2016-01-27 2017-08-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
KR101893880B1 (ko) 2017-06-26 2018-08-31 주식회사 디자인드디자인 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
KR101816903B1 (ko) 2017-07-10 2018-01-09 한규훈 자전거 전조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3832T3 (es) Motocicleta con sensor de obstáculos
ES2379091T3 (es) Procedimiento de liberación para la activación de una estimación de la velocidad lateral para dispositivos de protección de ocupantes de un vehículo
JP6802053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の搭載構造
US7187270B2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US10654403B2 (en) Motorcycle comprising an auxiliary lighting device
US20080007042A1 (en) Motorcycle
JP5982325B2 (ja) 道路標示装置
KR20220019356A (ko) 전동킥보드 안전 전조등
JP6105658B2 (ja) 車両用灯火器
US11198480B2 (en) Headlamp with sensor
KR102012842B1 (ko) 매트릭스형 스마트 자동차 전조등
JP2012201165A (ja) 大型ダンプトラック
JP6780465B2 (ja) 鞍乗型車両の駐停車照明装置
JP2014162284A (ja) 自転車
TWM479265U (zh) 車輛尾燈裝置
US3088022A (en) Supplementary lighting arrangement for vehicles
US4429950A (en) Bicycle pedal reflector
US20070223240A1 (en) Auxiliary light assembly for a motorcycle
JP6013936B2 (ja) 自転車
KR101847257B1 (ko)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KR101255669B1 (ko) 이륜차용 주행라인 및 방향라인 표시장치
KR20210085734A (ko)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 장착장치
ES2282820T3 (es) Elemento aerodinamico de un vehiculo automovil.
KR20120010509A (ko) 유동추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용 방향지시장치
JP4237000B2 (ja) 車両用灯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