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257B1 -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257B1
KR101847257B1 KR1020160010763A KR20160010763A KR101847257B1 KR 101847257 B1 KR101847257 B1 KR 101847257B1 KR 1020160010763 A KR1020160010763 A KR 1020160010763A KR 20160010763 A KR20160010763 A KR 20160010763A KR 101847257 B1 KR101847257 B1 KR 10184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bicycle
acceleration sensor
brightn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200A (ko
Inventor
안운상
Original Assignee
안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운상 filed Critical 안운상
Priority to KR1020160010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2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controlled by inerti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62K2207/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가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자전거 운전자가 감속할 때뿐만 아니라 자전거가 바닥이 고르지 않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이나 과속방지 턱이나 장해물과 같이 안전주행을 방해할 수 있는 구간에서 브레이크등을 점등하여 뒤에서 뒤따르는 자전거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쉽고 저렴하게 제작하여 보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감속이나 장해물이 있는 경우 브레이크등이 감속 정도나 장해물의 높이에 따라 다른 밝기로 점등되게 구성하므로, 뒤따르는 자전거 운전자가 그 밝기를 통해 적절하고 안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고 쾌적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BRAKE WARNING LIGHT SYSTEM}
본 발명은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달리던 자전거가 감속하면 감속한 비율만큼의 밝기로 브레이크등이 점등되게 하여 안전주행을 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자전거가 고르지 못한 노면이나 가속방지 턱과 같은 장애물을 넘으면서 상하 높이 변화가 발생할 때도 그 높이 변화에 비례한 밝기로 브레이크등이 점등되게 하여 뒤따라오는 자동차나 자전거 이용자에게 장애물이 있음을 알려 안전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최근 웰빙(참살이) 바람이 불면서 자신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하거나 출퇴근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근래에는 자전거 도로를 많이 확충하여 자전거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도로를 많이 확보하고 있다.
한편, 자전거에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과 뒤에서 주행하는 차량이나 다른 자전거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후미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후미등은 뒤의 차량에서 조사한 광원을 반사하는 방식이나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한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후미등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180856호
자전거에 장착하여 악세사리로서의 미적 효과와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주변 관찰자에게 표시하는 장치로서, 발전기를 회전축 중앙이나 좌우 측에 장착하여 발생한 전기를 축전지에 저장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축전지 또는 건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진행방향(회전방향)을 미리 표시하거나 정지의사를 주변 관찰자에게 표시하는 장치이다. 좌측이나 우측에 스위치를 부착하여 좌우의 방향전환 표시를 하고 핸들에 부착된 제동 레버에 감지 스위치를 부착하여 정지신호를 주변 관찰자에게 알려주어 상호 간의 도로상에 발생하는 접촉사고를 미리 방지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실용 제20-2011-0003735호
자전거의 진행방향 표시 및 정지 상황을 타인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하는 램프에 관한 것으로, 팔목 탈부착 착용하여 2차 스위치 기능인 쇠구슬이 이동 접지하여 자동으로 상하램프를 편리하게 작동함과 타인에게 자신의 위치와 진행과정을 쉽게 알리게 함으로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팔찌형 정지 및 진행방향 지시 점멸등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0891호
종래의 물받이와 후미등은 개별로 장착하도록 되어있어 오수도로 주행시 물받이 미장착으로 뒷바퀴로 인한 오수튀김에 후미등손상과 신체적 불쾌감 등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미등 구조에 인출식 물받이를 내장하여 오수도로 주행시 물받이를 인출, 오물 튀김을 차단하여 후미등 보호 및 신체오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자전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자전거에 장착한 후미등은 기본적으로 자전거 뒤에서 주행하는 차량이나 자전거 이용자에게 앞에 자전거가 있음을 알려주기 위한 것일 뿐, 앞에서 달리는 자전거가 잠시 멈추거나 서는 동작(제동)까지 표시할 수 없었다.
(2) 이처럼 앞에서 주행하던 자전거가 갑자기 브레이크를 잡는 동작에 대하여 뒤에서 주행하는 자동차나 자전거에 확실하게 알려주지 못함에 따라 자전거와 자동차 사이나, 자전거와 자전거 사이에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인명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3)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자전거에 브레이크등을 더 구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하고 있다.
(4) 하지만, 이처럼 후미등과 별도로 브레이크등을 자전거에 더 구성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는 데에는 다소 도움이 되나 이러한 구성의 추가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5) 자전거의 폭이 좁아서 제동 상태를 알려주는 두 개의 브레이크등과 후미등을 한 곳에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6) 이에 이들 등을 분리하여 장착하는 방법도 있으나 브레이크등 또는 후미등이 자전거 옆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고, 이는 이용자가 자전거에 타거나 내릴 때 걸려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7) 특히, 기존의 브레이크등은 자전거 이용자가 브레이크를 작동하는지에 대한 여부 등을 이용하여 제동 여부를 확인한 다음 브레이크등을 점등하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레버나 케이블 등이 고장이 나면 브레이크등을 정확하게 점멸시킬 수 없어 안전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8) 이처럼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과 이를 바탕으로 브레이크등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그리고 실질적으로 점멸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등을 모두 자전거에 구성해야 하므로, 한정된 크기의 자전거에 이러한 구성을 모두 장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180856호 (등록일 : 2000.02.22) 한국공개실용 제20-2011-0003735호 (공개일 : 2011.04.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0891호 (공개일 : 2011.03.0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추가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자전거 운전자가 감속할 때뿐만 아니라 자전거가 바닥이 고르지 않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이나 과속방지 턱이나 장해물과 같이 안전주행을 방해할 수 있는 구간에서 브레이크등을 점등하여 뒤에서 뒤따르는 자전거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쉽고 저렴하게 제작하여 보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감속이나 장해물이 있는 경우 브레이크등이 감속 정도나 장해물의 높이에 따라 다른 밝기로 점등되게 구성하므로, 뒤따르는 자전거 운전자가 그 밝기를 통해 적절하고 안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고 쾌적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는, 자전거에 장착하여 자전거의 주행방향(X축), 이 주행 방향(X축)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Y축), 그리고 중력 방향과 나란한 수직 방향(Z축)의 3축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10); 자전거에 장착하여 브레이크 작용이 일어났을 때 점등하는 브레이크등(20); 및 상기 가속도 센서(10)의 검출 신호를 바탕으로 브레이크등(20)의 점등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자전거에 장착한 제어기(3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30)는, (1) 상기 X축 또는 상기 XY축을 통해 얻은 자전거 속도가 현재 주행 중인 속도보다 감속하면 브레이크등(20)의 최대밝기를 기준으로 감속 비율[(감속 후 속도)/(감속 전 속도)]의 밝기로 단계를 나눠 브레이크등(20)을 점등하며, (2) 상기 Z축을 통해 자전거가 상하로 미리 정한 높이 이상 움직임에 따라 지형 변화나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Z축의 높이 변위가 높아짐에 따라 밝기가 밝아지게 설정하여 미리 제어기(30)에 저장한 밝기로 점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속도 센서(10)는, 질량이 움직인 거리를 검출하는 관성식 가속도 센서, 가속도에 따라 변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전압식 가속도 센서, 또는 측정과 방향 설정에 사용하는 자이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속도 센서(10)는, X축과 Y축 그리고 Z축에 대하여 각각 하나씩 설치하거나, 하나의 가속도 센서로 3축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등(20)은,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이웃한 4개가 격자,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이 되게 배치한 LED 소자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기(30)는, 상기 (1)과 상기 (2)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더 밝은 세기를 선택하여 점등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자전거로 주행하다가 멈추거나 감속한 경우 감속한 비율로 브레이크등의 밝기를 달리하여 점등하므로 뒤따라오는 이용자가 이를 통해 감속 정도를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어 안전주행에 도움을 준다.
(2) 특히, 자전거가 요철이 있는 노면을 주행하거나 과속방지 턱과 같이 높이가 있는 장해물을 넘을 때 생긴 높이 변화에 따라 브레이크등의 밝기를 달리하여 점등시켜 주므로, 뒤따라오는 이용자에게 장해물이 있음을 경고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안전주행을 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경고장치로서, 자전거가 3축 방향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서와 그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브레이크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추가 구성하는 것으로 경고 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게다가, 이러한 구성은 이미 출고하여 사용 중이던 자전거에도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의 작동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자전거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주행방향(X축)과 수평 방향(Y축) 그리고 수직 방향(Z축)으로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10), 감속이나 정지 그리고 장해물을 통과할 때 점등할 수 있는 브레이크등(20), 그리고 상기 가속도 센서(10)의 검출 신호를 바탕으로 이 브레이크등(20)을 점멸 제어하는 제어기(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X축과 Y축의 변위를 통해 자전거의 주행 변위를 얻어 감속 비율에 따라 브레이크등(20)을 그 비율의 밝기를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Z축 변위로 자전거가 험로나 장해물을 넘는 것을 판단하여 그 높이에 따라 브레이크등(20)의 밝기를 다르게 점등하게 하여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X"축은 자전거가 주행하는 방향을, "Y"축은 이 X축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을, "Z"축은 중력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가속도 센서(10)는, [도 1]과 같이, 자전거의 움직임 변위를 검출하여 제어기(30)로 출력한다. 이때, 검출하는 변위는 자전거가 주행하는 방향(X축)과 중력 방향(Z축) 그리고 이들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Y축)에서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10)는 XYZ축에 대하여 하나씩 장착하여 변위를 검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3축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하나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필요한 변위를 검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10)는 이처럼 이동 중인 자전거에서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질량이 움직인 거리를 검출하는 관성식 가속도 센서나 가속도에 따라 변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전압식 가속도 센서 또는 측정과 방향 설정에 사용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속도 센서(10)에서 검출한 XYZ축에 대한 변위 신호는 후술할 제어기(30)로 출력되며, 이에 대한 활용은 제어기(3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브레이크등(20)은, [도 1]과 같이 제어기(30)의 제어로 점멸되며, 통상적으로 자전거 프레임 등에 자전거 뒤에서 점멸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크등(20)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벌브로 구성하여 장착하고 전류나 전압의 세기를 통해 점등한 밝기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LED 소자를 사용하여 크기가 작으면서도 직진성이 우수하여 식별이 쉬울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등(20)은 이처럼 LED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미리 정한 크기에 인접한 4개의 소자가 격자나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배치함으로써, 점등하는 밝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LED 소자를 4×8 형태로 배치한 경우, 50% 밝기로 점등하는 경우, (짝수 행)×(홀수 열)과 (홀수 행)×(짝수 열)에 위치한 LED 소자만 점등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는 후술할 제어기(30)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밝기 제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기(30)는, [도 1]과 같이, 상술한 가속도 센서(10)에서 검출한 신호를 바탕으로 브레이크등(20)의 밝기를 달리하여 점등하게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기(30)는 크게 (1)주행 중 감속할 때, 그리고 (2)장해물을 넘을 때로 구분할 수 있다.
(1) 주행 중 감속할 때
주행 중 감속은 자전거를 주행하다가 앞에 장해물이 있거나 교차로와 같이 서행해야 하는 상황을 말한다. 이러한 주행 중 감속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장치 작동"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를 사용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초기화"는 장치 작동 과정에서 경고 장치를 사용할 것으로 선택한 경우 검출 변위 등을 "0"으로 초기화하는 하는 과정을, "XYZ축 변위 검출"은 자전거를 주행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 센서를 통해 자전거가 주행하는 방향(XY축)과 자전거가 장해물을 넘는 방향(Z축)의 변위를 검출하는 과정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중 감속은, [도 2]와 같이, Z축의 변위가 없을 때, 주행 방향의 XY축 변위를 검출하여 감속 상태인지 확인한다. 이때의 확인은 현재의 XY축 변위를 통해 현재 속도(V1)를 구하고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난 다음 나중 속도(V2)를 구한 다음, 현재 속도(V1)가 나중 속도(V2)보다 빠르면 감속인 것으로 판단한다(V1>V2). 여기서, XY축 변위는 가속도 형태로 얻은 값을 적분하거나 단위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통해 구하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XY축 변위는 X축 또는 Y축 변위가 있을 경우 그 한쪽 변위만 해당하나, 실질적으로 주행할 때는 통상 X축과 Y축에서 변위가 발생하므로, 이 XY축 변위의 합력이나 분력의 합을 통해 속도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속 비율은 속도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가속도의 비율로 계산하여 이용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어기는 감속인 것으로 판단하면 감속 비율을 계산하여 브레이크등을 점등한다. 이때, 감속 비율은 이들 속도 비(V2/V1)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감속 후 속도)/(감속 전 속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속도는 가속도를 적분하거나 단위 시간을 곱해 구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속할 때 브레이크등의 밝기는 브레이크등을 최대로 밝혔을 때를 100%로 보고 이 밝기에 감속 비율을 곱한 비율로 브레이크등을 점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감속 비율이 소수점 이하와 같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경우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점등 제어가 실질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이 감속 비율이 속한 단계의 밝기로 브레이크등을 점등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브레이크등의 점등 단계를 1단계(감속 비율이 0~0.2), 2단계(감속 비율이 0.2~0.4), 3단계(감속 비율이 04~0.6), 4단계(감속 비율이 0.6~0.8), 5단계(감속 비율이 0.8~1)로 구분하여 계산한 감속 비율이 속한 단계의 밝기로 브레이크등을 점등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의 단계는 각 단계를 브레이크등의 밝기를 20%씩 높여서 점등하게 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감속 비율로 브레이크등을 점등하는 방법은, LED 소자의 경우 가장 밝을 때의 전압을 100으로 보고 감속 비율 또는 상술한 단계에 따라 전압의 세기를 줄이면서 브레이크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격자 형태로 배열한 LED 소자를 하나씩 걸러서 점등되게 하여 약 50% 정도의 밝기로, 세 개 중에서 하나를 점등하게 제어하여 약 30% 정도의 밝기로 점등하게 하는 제어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기가 브레이크등이 완전히 점등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이 감속 비율이나 단계로 브레이크등을 점등하므로, 뒤에서 주행하는 주행자는 브레이크등의 밝기를 보고 대략 감속 정도를 알 수 있어 이에 알맞은 속도로 안전주행할 수 있다.
(2)장해물을 넘을 때
제어기는, [도 2]와 같이,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한 XYZ축 변위에서, Z축 변위가 발생하면, 이를 바탕으로 장해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알맞게 제어한다. 이때, Z축 변위는, 예를 들어서, 2㎝ 이하인 경우는 노면 등이 고르지 않으나 장해물로 판단하지 않게 하고, 2㎝ 이상을 장해물을 넘는 것으로 판단하게 한다. 이처럼 장해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최소한의 높이는 미리 제어기에 저장한 다음, 이 설정 값과 검출한 Z축 변위를 비교하여 장해물을 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
한편, 이처럼 Z축 변위가 제어기에 미리 저장한 설정 값과 비교하여 변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기는 이 Z축 변위와 설정 변위를 비교하여 설정 밝기로 브레이크등을 점등한다.
여기서, 설정 변위는 미리 제어기에 저장해 놓은 것으로, 그 높이를 예를 들어서 0~1㎝(0%), 1~2㎝(20%), 2~3㎝(40%), 3~4㎝(60%), 4~5㎝(80%), 5~6㎝(100%)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괄호 안은 해당 설정 변위에 있을 경우 브레이크등의 점등할 밝기를 "%"로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제어기는 Z축 변위가 설정 변위의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여 그 설정 변위에 상당한 밝기로 브레이크등을 점등한다. 이때의 점등 방식은 상술한 "(1)주행중 감속"의 경우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1)주해중 감속과 (2)장해물을 넘을 때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때에 따라서 이들 두 가지 경우가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기는 (1)과 (2)의 밝기를 계산한 다음 더 강한 세기로 브레이크등이 점등되게 제어함으로써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가속도 센서
20 : 브레이크등
30 : 제어기

Claims (5)

  1. 자전거에 장착하여 자전거의 주행방향(X축), 이 주행 방향(X축)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Y축), 그리고 중력 방향과 나란한 수직 방향(Z축)의 3축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10); 자전거에 장착하여 브레이크 작용이 일어났을 때 점등하는 브레이크등(20); 및 상기 가속도 센서(10)의 검출 신호를 바탕으로 브레이크등(20)의 점등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자전거에 장착한 제어기(3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30)는,
    (1) 상기 X축 또는 상기 XY축을 통해 얻은 자전거 속도가 현재 주행 중인 속도보다 감속하면 브레이크등(20)의 최대밝기를 기준으로 감속 비율[(감속 후 속도)/(감속 전 속도)]의 밝기로 단계를 나눠 브레이크등(20)을 점등하며,
    (2) 상기 Z축을 통해 자전거가 상하로 미리 정한 높이 이상 움직임에 따라 지형 변화나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Z축의 높이 변위가 높아짐에 따라 밝기가 밝아지게 설정하여 미리 제어기(30)에 저장한 밝기로 점등하게 하고,
    상기 (1)과 (2)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더 밝은 세기를 선택하여 점등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10)는,
    질량이 움직인 거리를 검출하는 관성식 가속도 센서, 가속도에 따라 변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전압식 가속도 센서, 또는 측정과 방향 설정에 사용하는 자이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10)는,
    X축과 Y축 그리고 Z축에 대하여 각각 하나씩 설치하거나, 하나의 가속도 센서로 3축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등(20)은,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이웃한 4개가 격자,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이 되게 배치한 LED 소자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5. 삭제
KR1020160010763A 2016-01-28 2016-01-28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KR10184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763A KR101847257B1 (ko) 2016-01-28 2016-01-28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763A KR101847257B1 (ko) 2016-01-28 2016-01-28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200A KR20170090200A (ko) 2017-08-07
KR101847257B1 true KR101847257B1 (ko) 2018-04-10

Family

ID=5965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763A KR101847257B1 (ko) 2016-01-28 2016-01-28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2057B (zh) * 2019-08-07 2024-03-19 梅州市明眸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于自行车或摩托车把手上的刹车警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200A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6894B2 (en) Safety device
US10906603B2 (en) Bicycle
CN202368719U (zh) 自行车激光警示灯
JP4821093B2 (ja) 車両装置
KR101748804B1 (ko) 자전거 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형 안전 시스템
JP2009089758A (ja) 小型電動車両
US9340246B2 (en) Bicycle brake light with graduated deceleration dependent lighting
KR101847257B1 (ko)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WO2016045596A1 (zh) 检测车体平衡的方法、车体平衡状态的控制方法及动平衡车
JP2021088321A (ja) ライダー支援システム、及び、ライダー支援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9311519A (zh) 包括辅助照明装置的机动车
CN101401760B (zh) 小型电动车辆
KR20170064630A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JP6530497B2 (ja) 自動二輪車および自動二輪車のライト点灯装置
KR102270041B1 (ko) 주행 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전동킥보드
JP2010149577A (ja) 同軸二輪車
CN109311520A (zh) 包括用于停放操作的辅助照明装置的机动车
CN207257848U (zh) 带有警示作用的自行车
CN108010234B (zh) 一种用于高空作业的安全警示设备
JP5951976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267012B1 (ko) 보행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안내 시스템
KR101363706B1 (ko) 주행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레저 장비용 헬멧 장치
KR20120093640A (ko) 자전거 운전자용 입는 안전장치
KR101251399B1 (ko)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CN106580572A (zh) 带夜间行驶功能的残疾人电动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