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630A -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630A
KR20170064630A KR1020150170151A KR20150170151A KR20170064630A KR 20170064630 A KR20170064630 A KR 20170064630A KR 1020150170151 A KR1020150170151 A KR 1020150170151A KR 20150170151 A KR20150170151 A KR 20150170151A KR 20170064630 A KR20170064630 A KR 2017006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coupled
image
horizontal ba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수
강철원
강혜림
이경태
김봉석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630A/ko
Publication of KR2017006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2J6/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B62J2099/002
    • B62J2300/002
    • B62K22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 안장의 지주대(220)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재(11)가 형성된 수평바(10);와, 상기 수평바(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10)에 상향 만곡되는 지지바(20);와,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 각도조절수단(21)을 매개로 결합되는 받침대(30);와, 상기 받침대(30)에 고정되어 자전거 탑승자의 등에 주행방향 신호 영상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40);과, 자전거 핸들(240)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되어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여 광조사수단(4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A DEVICE FOR DIRECTION INDICATING OF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등에 자전거가 주행 중 좌측 또는 우측 방향전환 표시 영상이 사용자의 등에 조사될 수 있도록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에게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인지시킴으로써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놀이기구나 레저 스포츠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고유가 시대 또는 운동이나 건강에 발맞추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자전거 전용 도로는 극히 일부 지역에만 설치되었기 때문에, 자전거는 차량이 다니는 도로에서 운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자전거 운행 시 자전거 운전자는 물론이고 도보자, 차량 운전자 모두 자전거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자전거는 빛을 반사하지 못하는 어두운 재질로 이루어져 야간의 경우 자전거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려워 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LED와 같은 발광 수단을 구비하고 자전거에 탈부착할 수 있는 조명장비가 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 장비는 자전거의 위치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자전거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경우 움직이는 방향을 예측할 수 없어 사고의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전거의 핸들에 컨트롤러를 부착하고, 자전거의 지주대에 라이팅부를 결합시켜 무선으로 라이팅부를 제어할 수 있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대한민국 등허등록 제1553312호)"가 선행기술로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는 라이팅부의 표시가 작아 가독성 및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전거의 방향 지시 장치는 자전거의 감속이나 급격한 정지 시 뒷 차량으로 하여금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사고의 위험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허등록 제15533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자전거가 주행 중 좌측 또는 우측 방향전환 표시 영상이 사용자의 등에 조사될 수 있도록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에게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켜 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핸드브레이크에 장착되는 로드셀을 통해 자전거의 감속이나 정지 문자열이 탑승자의 등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뒷 차량에게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탑승자의 등과 더불어 지면 영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되, 지면을 향해 조사되는 지면 영상은 가로변의 길이보다 세로변의 길이가 더 길게 조사되도록 하여 뒷 차량 운전자에게 지면 영상의 글자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자전거 안장의 지주대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에 상향 만곡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각도조절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어 자전거 탑승자의 등에 주행방향 신호 영상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과, 자전거 핸들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되어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여 광조사수단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콘트롤러부는 자전거의 멈춤이나 속도 저감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핸드브레이크에 장작되는 로드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광조사수단은 레이저영사기 또는 빔프로젝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는 짐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4발명에서, 상기 받침판은 선택적으로 자전거의 프레임에 결합된 연결프레임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안장의 지주대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관체와, 상기 결합관체의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관체에 체결되는 가압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받침대는 각도조절수단에 2개 결합되고, 각 받침대에는 각각 광조사수단을 고정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7발명에서, 하나의 광조사수단은 자전거의 탑승자의 등에 영상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광조사수단은 지면을 향하는 지면 영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8발명에서, 지면을 향해 조사되는 지면 영상은 가로변의 길이보다 세로변의 길이가 더 길게 조사되도록 하여 뒷 차량 운전자에게 지면 영상의 글자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에 따르면, 자전거가 주행 중 좌측 또는 우측 방향전환 표시 영상이 사용자의 등에 조사될 수 있도록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에게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켜 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브레이크에 장작되는 로드셀을 통해 자전거의 감속이나 정지 문자열이 탑승자의 등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뒷 차량에게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자의 등과 더불어 지면 영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되, 지면을 향해 조사되는 지면 영상은 가로변의 길이보다 세로변의 길이가 더 길게 조사되도록 하여 뒷 차량 운전자에게 지면 영상의 글자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가 장착된 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광조사수단과 수평바와 지주바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에서 사용자가 탑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가 장착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의 주요부를 나태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사용자가 탑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가 장착된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광조사수단과 수평바와 지주바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가 주행 중 좌측 또는 우측 방향전환 표시 영상이 사용자의 등에 조사될 수 있도록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에게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인지시킴으로써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수평바(10)와, 지지바(20)와, 광조사수단(40) 및 콘트롤러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바(10)는 탑승자의 영상 조사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에 결합부재(11)가 결합되어 자전거(200)의 안장이 결합된 지주대(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1)는 안장(210)의 지주대(22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관체(111)와, 상기 결합관체(111)의 지주대(2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관체(111)에 체결되는 가압레버(11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결합관체(111)를 지주대(220)에 삽입시켜 수평바(1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가압레버(112)를 돌려 가압레버(112)에 결합된 볼트의 단부가 지주대(220)를 가압함으로써, 수평바(10)를 지주대(2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바(20)는 상기 수평바(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10)에 상향 만곡되어 광조사수단(40)의 높이가 탑승자의 등 높이에 근접하게 올려주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지지바(20)는 다른 일례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플랙시블 샤프트(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바(10)와 지지바(20)는 각각 2개로 분할되어 상호 간 결합되는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수평바(10)와 지지바(20)는 단일의 탄성돌기(D)와 다수의 홈부(H)를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길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 각도조절수단(21)을 매개로 결합되어 것이 받침대(30)이다.
이러한 받침대(30)는 자전거 탑승자의 등에 주행방향 신호 영상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40)을 안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30)에는 영구자석(31)이 고정될 수 있으며, 받침대(30)에 안착되는 광조사수단(40)은 하부에 금속판(41)을 접착시켜 영구자석(31)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30)에 광조사수단(40)을 탑재할 수 있는 함체(미도시)를 고정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일례로 받침대(30)를 없애고 지지바(20)의 끝단에 광조사수단(40)을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지지바(20)에 결합된 각도조절수단(21)은 받침대(30)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회전레버(211)가 포함되며, 상기 회전레버(211)를 조임을 조절하여 받침대(30)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한 후 자전거 탑승자의 등에 영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광조사수단(40)은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레이저영사기 또는 영상이 조사되는 빔프로젝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영사기 또는 빔프로젝터는 다양한 주행방향 신호 영상 이외에 교통표지판 또는 정지나 STOP과 같은 문자열(42)이 저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수단(40)은 자전거 핸들(240)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되는 콘트롤러부(5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조사수단(40)에는 수신모듈(미도시)이 내장되고, 상기 콘트롤러부(50)는 송신모듈(미도시)이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부(50)는 좌/우측 방향버튼(53,54)이 형성되고, 광조사수단(40)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원버튼(5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콘트롤러부(50)는 자전거의 멈춤이나 속도 저감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핸드브레이크(241)에 장작되는 로드셀(52)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셀(52)은 상기 콘트롤러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손으로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차량에 탑승된 상대방 운전자로 하여금 해당 자전거의 감속이나 정지 문자열(42)이 광조사수단(40)으로 하여금 조사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에서 사용자가 탑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자전거의 탑승자가 좌측(우측)으로 방향 전환을 할 경우에는 콘트롤러부(50)의 좌측(우측)방향버튼(53,54)을 누른다.
그러면 콘트롤러부(50)의 송신모듈(미도시)이 좌측(우측) 방향전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광조사수단(40)은 좌측(우측) 방향전환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면 좌측(우측) 주행방향 신호영상을 자전거 탑승자의 등에 조사하여 뒷 차량(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에게 자전거의 주행 방향을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을 하지 않을 경우, 평소 상기 광조사수단(40)은 자전거 표시가 그려진 도로표지판 영상을 자전거의 탑승자 등에 조사하여 뒷 차량에게 자전거가 주행 중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주행 중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하기 위해 핸드브레이크(241)를 가압하면 핸드브레이크(241)에 결합된 로드셀(52)이 이를 감지하고, 로드셀(52)의 감지신호는 콘트롤러부(50)를 통해 광조사수단(40)에 송신하여 광조사수단(40)이 자전거의 탑승자 등에 정지 또는 STOP 문자열(42) 영상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뒷 차량에게 자전거의 속도 저감이나 정지 여부를 인지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제 2실시예는 도 5 및 도 7과 같이, 수평바(10)의 상부에는 짐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판(1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 역시 도 6과 같이, 하부에 수평바(10)에 형성된 결합부재(11)가 구비되어 수평바(10)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받침판(12)은 도 8과 같이, 선택적으로 연결프레임(121)이 구비되어 자전거(200)의 프레임(230)에 결합시켜 사람을 탑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의 주요부를 나태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사용자가 탑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제 3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제 3실시예는 도 9와 같이, 받침대(30)가 각도조절수단(21)에 2개 결합되고, 각 받침대(30)에는 각각 광조사수단(40)을 고정시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수단(21)은 2개의 받침대(30)가 상호 간 간섭받지 않도록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10과 같이, 하나의 광조사수단(40)은 자전거의 탑승자의 등에 영상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광조사수단(40)은 지면을 향하게 영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광조사수단(40)으로 조사되는 영상은 상호 동일하거나 STOP 및 정지와 같은 동일한 뜻을 같은 문자열이 바람직하다.
지면을 향해 조사되는 지면 영상(43)은 가로변(431)의 길이보다 세로변(432)의 길이가 더 길게 조사되도록 하여 뒷 차량 운전자에게 지면 영상의 글자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뒷 차량 운전자의 위치가 지면 영상(43)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지면 영상(43)이 지면 상에 누워 있는 것으로 보이고, 지면 영상(43)에 가까워질수록 지면 영상이 점점 세워져, 지면 영상(43)에 사용된 기준 거리에 운전자가 정 위치할 경우 지면 영상(43)이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형태로 운전자에게 보이게 되므로, 지면 영상(43)의 가독성 및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지면 영상(43)이 마치 뒷 차량 운전자의 입장에서 세워졌다 도로 눕는 움직이는듯한 형태가 되므로 정지한 물체보다 이동하는 물체에 대한 인식이 빠른 인간의 특성상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수평바 11: 결합부재 111: 결합관체
112: 가압레버
12: 받침판 121: 연결프레임
20: 지지바 21: 각도조절수단 211: 회전레버
30: 받침대 31: 영구자석
40: 광조사수단 41: 금속판 42: 문자열
43: 지면 영상 431: 가로변
432: 세로변
50: 콘트롤러부 51: 전원버튼 52: 로드셀
53: 좌측 방향버튼 54: 우측 방향버튼
100: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200: 자전거 210: 안장 220: 지주대
230: 프레임 240: 핸들
241: 핸드브레이크
D: 돌기 H: 홈부

Claims (9)

  1. 자전거 안장의 지주대(220)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재(11)가 형성된 수평바(10);
    상기 수평바(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10)에 상향 만곡되는 지지바(20);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 각도조절수단(21)을 매개로 결합되는 받침대(30);
    상기 받침대(30)에 고정되어 자전거 탑승자의 등에 주행방향 신호 영상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40);
    자전거 핸들(240)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되어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여 광조사수단(4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부(50)는 자전거의 멈춤이나 속도 저감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핸드브레이크(241)에 장작되는 로드셀(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수단(40)은 레이저영사기 또는 빔프로젝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0)의 상부에는 짐을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판(1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2)은 선택적으로 자전거의 프레임(230)에 결합된 연결프레임(121)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1)는 안장(210)의 지주대(22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관체(111)와, 상기 결합관체(111)의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관체(111)에 체결되는 가압레버(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각도조절수단(21)에 2개 결합되고, 각 받침대(30)에는 각각 광조사수단(40)을 고정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하나의 광조사수단(40)은 자전거의 탑승자의 등에 영상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광조사수단(40)은 지면을 향하는 지면 영상(43)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지면을 향해 조사되는 지면 영상(43)은 가로변(431)의 길이보다 세로변(432)의 길이가 더 길게 조사되도록 하여 뒷 차량 운전자에게 지면 영상의 글자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1020150170151A 2015-12-01 2015-12-01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20170064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51A KR20170064630A (ko) 2015-12-01 2015-12-01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51A KR20170064630A (ko) 2015-12-01 2015-12-01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630A true KR20170064630A (ko) 2017-06-12

Family

ID=5921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151A KR20170064630A (ko) 2015-12-01 2015-12-01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6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33B1 (ko) * 2018-02-28 2019-05-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성을 향상시킨 킥보드
KR20200102569A (ko) 2019-02-21 2020-09-0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102192502B1 (ko) * 2019-07-23 2020-12-17 김보경 자전거용 주행의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건거
KR102406684B1 (ko) * 2021-01-19 2022-06-07 박진호 개인형 이동 장치용 깜빡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33B1 (ko) * 2018-02-28 2019-05-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성을 향상시킨 킥보드
KR20200102569A (ko) 2019-02-21 2020-09-0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102192502B1 (ko) * 2019-07-23 2020-12-17 김보경 자전거용 주행의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건거
KR102406684B1 (ko) * 2021-01-19 2022-06-07 박진호 개인형 이동 장치용 깜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4630A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US8325027B2 (en) Safety light device
US11352087B2 (en) Safety light
KR101748804B1 (ko) 자전거 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형 안전 시스템
JP2019093848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0454259Y1 (ko) 차량의 제동 및 가속의 심동 인디케이터
EP2154026A1 (en) Alarm system for maintaining safe distance between motor vehicles
US9340246B2 (en) Bicycle brake light with graduated deceleration dependent lighting
JP2009089758A (ja) 小型電動車両
AU2008229772B2 (en) Small-sized motorized vehicle
KR101813946B1 (ko) 후방 카메라가 장착된 세이프존 안내 자전거
KR102192502B1 (ko) 자전거용 주행의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건거
KR20110136540A (ko) 자전거용 전후방주시장치
CN203819124U (zh) 一种车用障碍物警示装置
JP4730880B2 (ja) 自動二輪車用の方向指示情報の表示方法およびカーブ情報の表示方法
KR101251399B1 (ko) 페달부를 이용한 자전거용 방향지시장치
KR20130037813A (ko) 방향 지시등 시스템
JP2018083474A (ja) 鞍乗型車両の駐停車照明装置
JP2014162284A (ja) 自転車
KR200461262Y1 (ko)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KR101847257B1 (ko) 자전거용 제동 경고장치
JP4849364B2 (ja) 自動二輪車用の方向指示情報の表示方法およびカーブ情報の表示方法
CN206870972U (zh) 汽车盲点探测系统的检测设备
KR200178877Y1 (ko) 휴대용 핸드 브레이크 스틱
KR20120010509A (ko) 유동추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용 방향지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