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699A -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 Google Patents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699A
KR20220018699A KR1020200099079A KR20200099079A KR20220018699A KR 20220018699 A KR20220018699 A KR 20220018699A KR 1020200099079 A KR1020200099079 A KR 1020200099079A KR 20200099079 A KR20200099079 A KR 20200099079A KR 20220018699 A KR20220018699 A KR 20220018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lead
coupled
wir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우
정동욱
윤주희
강수민
박순호
Original Assignee
(주) 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텍 filed Critical (주) 뉴텍
Priority to KR102020009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699A/ko
Publication of KR2022001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3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flexible elements, e.g. cables, chain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산양식물을 수거, 이송 및 공급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으로서, 선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붐으로 형성된 붐조립체와, 상기 복수개의 붐 중 제1붐과 상기 포스트에 양단이 결합되는 데릭실린더와, 상기 복수개의 붐 중 제1붐과 제2붐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붐실린더와, 서로 인접하는 붐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인입와이어 및 인출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와이어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붐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인출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붐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붐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인입와이어 및 상기 인출와이어는 상기 붐실린더의 동작에 연계하여, 제2붐 이후의 붐을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며, 상기 인입와이어 및 상기 인출와이어 중 하나 이상은 리프체인(leaf cha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CRANE OF SHIP FOR MARINE CULTURE HAVING LEAF CHAIN}
본 발명은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붐실린더로 복수개의 붐을 동시에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으로서 리프체인을 이용하여 붐 구동시의 동력전달 효율과 안정성을 높인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촌 인구의 고령화 및 인건비 상승에 맞물려 수산업의 기계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선박에 수산물을 이송할 수 있는 크레인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선박의 갑판에 고정되는 포스트와, 포스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붐으로 형성된 붐조립체와, 붐조립체의 각도를 제어하는 데릭실린더와, 복수개의 붐을 인입 또는 인출하는 복수개의 붐실린더와, 아우터붐의 각도를 제어하는 아우터붐 실린더로 구성된다. 붐의 인입 및 인출과 관련하여 3개의 붐으로 구성된 3단 붐구조체의 경우, 두개의 실린더를 사용하여 제2붐과 제3붐을 인입 및 인출한다. 이때, 두개의 실린더는 모두 제1붐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의 로드는 제2붐에 연결되고, 제2실린더의 로드는 제3붐에 연결되어, 제2붐이 제1실린더의 동력으로 인출되고 나면, 이어서 제3붐이 제2실린더의 동력으로 인출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은 복수개의 붐이 복수개의 붐실린더에 의해 순차적으로 인입 및 인출됨으로, 인입 및 인출시 소요되는 시간이 길며, 많은 양의 연료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붐실린더로 인해 크레인의 중량이 증가하여 소형 선박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붐실린더로 복수개의 붐을 동시에 인입 및 인출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경량화가 가능한 크레인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편, 하나의 붐실린더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붐을 동시에 인입 및 인출함에 따른 부하 증가로 인해 보다 확실한 동력전달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붐실린더로 복수개의 붐을 동시에 인입 및 인출하되, 보다 확실한 동력전달구조를 가져 부하 증가를 수용할 수 있는 선박 작업용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산양식물을 수거, 이송 및 공급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으로서, 선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붐으로 형성된 붐조립체와, 상기 복수개의 붐 중 제1붐과 상기 포스트에 양단이 결합되는 데릭실린더와, 상기 복수개의 붐 중 제1붐과 제2붐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붐실린더와, 서로 인접하는 붐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인입와이어 및 인출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와이어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붐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인출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붐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붐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인입와이어 및 상기 인출와이어는 상기 붐실린더의 동작에 연계하여, 제2붐 이후의 붐을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며, 상기 인입와이어 및 상기 인출와이어 중 하나 이상은 리프체인(leaf cha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붐은 외주면에 상기 붐실린더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붐실린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붐은 외주면에 상기 붐실린더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붐실린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붐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제2붐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붐은 외주면에 제1인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인출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붐은 외주면에 상기 제1인출와이어가 안착되는 제1인출풀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인출와이어는 타단이 제3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3붐을 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인출와이어 고정부는 고정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붐은 내부에 제1인입와이어가 안착되는 제1인입풀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인입와이어는 일단이 제3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붐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3붐을 인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n(n≥2)붐은 외주면에 제n인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n인출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제n+1(n≥2)붐은 외주면에 상기 제n인출와이어가 안착되는 제n인출풀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n인출와이어는 타단이 제n+2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n+1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n+2붐을 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n인출와이어 고정부는 고정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n=2인 경우, 상기 제n인출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2붐실린더 고정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n+1(n≥2)붐은 내부에 제n인입와이어가 안착되는 제n인입풀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n인입와이어는 일단이 제n+2붐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n붐에 결합되며, 상기 제n+1붐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n+2붐을 인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붐 이후의 붐은 외주면에 흠들림 및 충격방지를 위한 탄성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포스트판과, 상기 복수개의 붐 중 제일 마지막에 위치한 제n붐과 결합되는 아우터붐과, 상기 제n붐과 상기 아우터붐에 양단이 결합되는 아우터붐 실린더와, 상기 포스트판의 회동을 제어하는 포스트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회전 제어부는, 상기 포스트판과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붐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외주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붐실린더로 복수개의 붐을 동시에 인입 및 인출하되, 보다 확실한 동력전달구조를 가져 부하 증가를 수용할 수 있는 선박 작업용 크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크레인의 중량이 경감되어 소형 선박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의 붐이 인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의 붐이 인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에 집게 및 커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에 훅크 및 커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이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의 붐조립체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붐조립체의 말단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인입롤러 및 체인 시작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의 붐이 인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1, 이하 크레인)은 포스트(100), 붐조립체(200), 데릭실린더(300), 붐실린더(400), 인출와이어(500) 및 인입와이어(6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스트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출와이어(500) 및 인입와이어(600) 중 하나 이상은 리프체인(leaf chai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는 후술하기로 한다.
포스트(100)는 붐조립체(20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이 선박에 고정된다. 이때, 포스트(100)는 일단에 선박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포스트판(700)이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판(700)은 판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박의 갑판에 고정되거나, 포스트 회전 제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붐조립체(200)는 수산양식물을 수거하고, 특정위치에 수산양식물을 이송 및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복수개의 붐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포스트(100)에 결합된다. 도 1은 세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붐조립체(200)는 포스트(100)에 결합된 제1붐(210), 제1붐(210)이 내부에 삽입되며 일부가 제1붐(210) 외부로 인출가능한 제2붐(220), 제2붐(220)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부가 제2붐(220) 외부로 인출가능한 제3붐(2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5에서는 세개의 붐(210, 220, 230)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를 도시하고 있지만, 붐조립체(200)는 네개 이상의 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포스트(100) 가까이 위치해 있는 붐의 순으로, 제1붐, 제2붐, …, 제n붐이 될 수 있다.
데릭실린더(300)는 붐조립체(200)의 각도를 조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은 포스트(100)에 결합되고 타단은 붐조립체(200)에 결합된다.
붐실린더(400)는 제2붐(22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은 제1붐(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붐(22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제1붐(210)의 외주면에는 붐실린더(40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붐실린더 고정부(211)가 형성되며, 제2붐(220)의 외주면에는 붐실린더(40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붐실린더 고정부(221)가 형성된다. 따라서, 붐실린더(400)의 동작에 의해 제2붐(220)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인출와이어(500)는 붐실린더(400)의 동작에 연계하여 제2붐(220) 이후의 붐을 동시에 인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n(n≥2)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의 경우, n-2개의 인출와이어가 요구된다. 본원발명에서는 포스트(100) 가까이 위치해 있는 인출와이어의 순으로, 제1인출와이어, 제2인출와이어, …, 제n인출와이어가 될 수 있다.
세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의 경우, 제1인출와이어(500)의 경우에는 일단은 제1붐(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인출와이어 고정부(212)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3붐(23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인출와이어 고정부(212)는 판상형태로, 중심에는 붐실린더(400)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붐(230)의 외주면에는 제1인출와이어 고정점(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인출와이어(500)의 타단은 제1인출와이어 고정점(2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인출와이어 고정점(231)은 제1인출와이어(500)와 제3붐(2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인출와이어 고정점(231)은 제1인출와이어(500)가 고정되어야 하는 붐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인출와이어 고정부(212)는 고정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네개 이상의 붐으로 형성된 붐조립체(200)의 경우, 제n(n≥2)인출와이어의 일단은 제n붐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n인출와이어 고정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n+2붐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n인출와이어 고정부는 고정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n+2붐의 외주면에는 제n인출와이어 고정점(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n인출와이어의 타단은 제n인출와이어 고정점(231)에 결합될 수 있다.
인입와이어(600)는 붐실린더(400)의 동작에 연계하여 제2붐 이후의 붐을 동시에 인입시키는 구성요소로서, n(n≥2)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의 경우, n-2개의 인출와이어가 요구된다. 본원발명에서는 포스트(100) 가까이 위치해 있는 인입와이어의 순으로, 제1인입와이어, 제2인입와이어, …, 제n인입와이어가 될 수 있다.
세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의 경우, 제1인입와이어(600)의 일단은 제2붐(220)에 삽입된 제3붐(23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붐(21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붐(230)의 외주면 및 제1붐(210)의 내주면에는 제1인입와이어 고정점(232, 2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인출와이어의 일단은 제1인입와이어 고정점(232)에, 타단은 제1인입와이어 고정점(2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인입와이어 고정점(231)은 제1인입와이어(600)와 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인입와이어 고정점(231)은 인입와이어(600)가 고정되어야 하는 제1붐(210) 및 제3붐(23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네개 이상의 붐으로 형성된 붐조립체(200)의 경우, 제n(n≥2)인입와이어는 일단이 n+1붐에 삽입된 제n+2붐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형성된 제n인출와이어에 고정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n+2붐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n+2붐의 외주면 및 제n붐의 내면에는 제n인입와이어 고정점(232, 2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n인출와이어의 일단은 제n인입와이어 고정점(232)에, 타단은 제n인입와이어 고정점(213)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크레인(1)은 인출풀리(222) 및 인입풀리(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풀리(222)는 인출와이어(500)의 이동을 돕는 구성요소로서, 인출와이어(500)는 일부가 인출풀리(222)에 안착되어 이동된다. 본원발명에서는 포스트(100) 가까이 위치해 있는 인출풀리(222)의 순으로, 제1인출풀리, 제2인출풀리, …, 제n인출풀리가 될 수 있다..
세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의 경우, 제1인출풀리(222)는 제2붐(2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인출와이어(50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네개 이상의 붐으로 형성된 붐조립체(200)의 경우, 제n(n≥2)인출풀리는 제n+1붐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n인출와이어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인입풀리(223)는 인입와이어(600)의 이동을 돕는 구성요소로서, 인입와이어(600)는 일부가 인입풀리(223)에 안착되어 이동된다. 본원발명에서는 포스트(100) 가까이 위치해 있는 인입풀리의 순으로, 제1인입풀리, 제2인입풀리, …, 제n인입풀리가 될 수 있다.
세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의 경우, 제1인입풀리(223)는 제2붐(2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인입와이어(60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네개 이상의 붐으로 형성된 붐조립체(200)의 경우, 제n(n≥2)인입풀리는 제n+1붐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n인입와이어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크레인(1)은 붐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안착패드(228, 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패드(228, 237)는 붐의 흔들림 및 충격방지를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두종류의 안착패드(228, 237)가 제2붐(220)과 제3붐(230)의 외주면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2붐(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착패드(228)는 제2붐(220)의 하면과 측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제2붐(220)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제2붐의 흔들림 및 충격을 방지한다.
제3붐(2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착패드(237)는 제3붐(230)의 측면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제3붐(230)의 인입 시, 제2붐(220)과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서로 다른 종류의 안착패드가 제2붐과 제3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지만, 서로 같은 종류의 안착패드가 제2붐과 제3붐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은 측면 일부를 덮는 안착패드(237)를 도시하고 있지만, 안착패드(237)가 붐의 측면을 전부 덮을 수도 있다.
본원발명은 인입와이어(600)가 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인출와이어(500)는 상부에 설치되어, 두 와이어(500, 600)는 서로 중첩되거나 교차되지 않기 때문에, 인입와이어(600) 및 인출와이어(500)가 서로 꼬임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1)의 붐이 인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크레인(1)은 도 1의 크레인(1)에서 붐실린더(400)가 작동하여 제2붐(220) 및 제3붐(230)이 인출된 상태이다. 이때, 제2붐(220)은 붐실린더(400)에 의해 인출되며, 제3붐(230)은 제1인출와이어(500)의해 인출된다.
제3붐(230)이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1인출와이어(500)는 제2붐(220)이 인출됨에 따라 제1인출풀리(222)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제2붐(220)의 내부에 위치하던 제1인출와이어(500)는 외부로 노출되며 제3붐(230)을 인출시킨다.
도 1의 크레인(1)은 도 2의 크레인(1)에서 붐실린더(400)가 작동하여, 제2붐(220) 및 제3붐(230)이 인입된 상태이다. 이때, 제2붐(220)은 붐실린더(400)에 의해 인입되며, 제3붐(230)은 제1인입와이어(600)에 의해 인입된다.
제3붐(230)이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1인입와이어(600)는 제2붐(220)이 인입됨에 따라 제1인입풀리(223)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제2붐(220) 내부에 위치한 인입와이어(600)가 제1붐(210)의 내주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3붐(230)을 인입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1)에 집게(244) 및 커터(225)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1)에 훅크(246) 및 커터(225)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트(100)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붐의 끝단에는 브라켓(2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세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와, 제3붐(230)에 브라켓(233)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1)은 브라켓(233)과, 아우터붐(240)과, 아우터붐실린더(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33)은 붐조립체(200)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붐 중 제일 마지막에 위치한 제n붐 즉, 포스트(100)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제n붐의 끝단에 아우터붐(24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포스트(100)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제n붐의 끝단에 형성된다. 이때, 포스트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제n붐과 브라켓(233)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붐(240)은 수산양식물을 수거하고, 특정위치로 수산양식물을 이송 및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일단은 브라켓(233)에 결합되고, 타단은 집게(244) 혹은 훅크(24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아우터붐(240)의 타단은 집게(244) 혹은 훅크(243)와의 결합을 위한 핀결합공(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핀결합공(241)으로 결합핀(242)이 삽입되고, 결합핀(242)에는 집게(244) 또는 훅크(243)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붐(240)은 부식방지를 위해 외주면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우터붐(240)은 브라켓(233) 없이 복수개의 붐 중 제일 마지막에 위치한 제n붐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붐실린더(900)는 아우터붐(240)의 각도를 조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은 브라켓(233)에 결합되고, 타단은 아우터붐(24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1)은 포스트 회전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 회전 제어부(800)는 포스트(100)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기어부(810)와, 베이스프레임(820)을 포함한다.
기어부(810)는 포스트판(700)과 결합하여 베이스프레임(820) 내부에 위치한 회전모듈(미도시)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포스트판의 결합공(7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포스트판(700)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820)은 기어부(81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선박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820)은 일단에 판상형태의 선박고정판(8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선박고정판(821)은 베이스프레임(820)이 선박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선박고정판(821)은 선박과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공(822)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베이스프레임(820)을 수산양식용 선박에 결합시키기 위해, 베이스프레임의 결합공(822)과 수산양식용 갑판에 형성된 결합공을 일치시킨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베이스프레임(820)을 선박의 갑판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820)은 기어부(810)와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부(810)에도 베이스프레임의 결합공(미도시)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프레임(820)의 외주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집게(244)는 커터(225)에 의해 커팅되어 갑판에 쌓인 해조류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조류를 집어 올려 전복 등이 양식되고 있는 가두리에 넣어 주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양식업자가 직접(수작업으로) 해조류를 선박에서 가두리로 투입하지 않아도 되어, 해조류를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작업과정도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이때, 집게(244)는 미끄러운 해조류가 집게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집게날(2441)을 오므렸을 때, 집게날(2441) 선단부의 일부가 상호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훅크(243)는 바닷속에 위치한 전복양식통 또는 양식망을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 전복 양식통을 들어올리는 작업은 전복양식작업에 있어서, 가장 힘든 작업이다. 종래에는 여러 명의 작업자들이 힘을 모아야만 선박에 실을 수 있었는데, 본 발명은 훅크(243)로 전복양식통을 손쉽게 들어올려 선박 위에 선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엄청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붐 중 하나의 붐에 제1커터고정부(224) 또는 제2커터고정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세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와, 제2붐(220)에 형성된 제1커터고정부(224)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4는 세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200)와, 제2붐(220)에 형성된 제2커터고정부(226)를 도시하고 있다.
제2붐(2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커터고정부(224) 또는 제2커터고정부(226)는 커터(225)를 제2붐(2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1커터고정부(224)는 제2붐(220)의 하면 일영역에 결합되는 U자 형의 고정고리(2241)와, 고정고리(2241)를 관통하는O자형의 제1로프(2242)를 포함한다. 이때, 커터(225)는 제1로프(2242)에 고정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225)의 결합부재(2251)로 제1로프(2242)가 삽입된다.
제2커터고정부(226)는 제2붐(220)의 상면 일영역에 결합되는 막대형상의 고정바(2261), 고정바(2261)의 양끝단에 고정되는 제2로프(2262)를 포함한다. 이때, 커터(225)는 제2로프(2262)에 고정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225)의 결합부재(2251)로 제2로프(2262)가 삽입된다. 고정바(2261)의 양 끝단에는 제2로프(226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수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붐(220)의 상면 일영역에는 고정바(2261)를 고정시키기 위한 ∩자 형의 고정부재(227)가 형성될 수 있다.
커터(225)는 양식로프에 결속된 해조류를 커팅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양식업자는 직접(수작업으로) 낫, 칼등과 같은 절단부재를 이용해 해조류를 커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해조류를 커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1)이 선박(A)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수산양식용 선박(A)의 선상에는 크레인(1)이 결합되어 있으며, 크레인(1)의 일단에는 집게(244)가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붐을 인입 또는 인출하면서 집게(244)로 해조류(B)를 집어올려 전복 등이 양식되고 있는 가두리에 넣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크레인(1)은 크레인 운전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운전부(1000)는 포스트(100)의 회전과, 붐조립체(200)의 각도와, 붐의 인입 및 인출과, 아우터붐(240)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포스트판 및 데릭실린더조절부(1010)와, 붐조절부(1030)와, 아우터붐조절부(1020)를포함한다.
포스트판 및 데릭실린더조절부(1010)는 포스트판(700)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미도시)과 데릭실린더(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는 포스트판 및 데릭실린더조절부(1010)의 조작으로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1)의 회전방향과 회전각도를 조정하고, 붐조립체(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붐조절부(1030)는 붐실린더(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는 붐조절부(1030)의 조작으로 복수개의 붐을 동시에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아우터붐조절부(1020)는 아우터붐(240)을 접고 펴는 동작과, 집게를 오므리고 펴는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는 아우터붐조절부(1020)의 조작으로 아우터붐(240)을 붐조립체(200)와 평행하게 접거나, 붐조립체(200)와 동일선상에 있도록 펼 수 있으며, 아우터붐(240)의 말단에 위치한 집게(244)를 펴거나 오므릴 수 있다. 이때, 포스트판 및 데릭실린더조절부(1010)와 아우터붐조절부(1020)는 조이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붐조절부(1030)는 밝기 레버(foot lever)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이스틱으로 형성된 포스트판 및 데릭실린더조절부(1010)에 상측으로 미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붐의 각도는 상승될 수 있으며, 반대로 하측으로 미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붐의 각도는 하강될 수 있다. 또한, 포스트판 및 데릭실린더조절부(1010)에 좌측으로 미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포스트판(700)은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반대로 우측으로 미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포스트판(700)은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포스트판(700)의 회전에 의해, 포스트판(700)에 결합된 포스트(100)도 함께 회전된다.
조이스틱으로 형성된 아우터붐조절부(1020)에 상측으로 미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집게는 펴질 수 있으며, 반대로 하측으로 미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집게는 오므려질 수 있다. 또한, 아우터붐조절부(1020)에 좌측으로 미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아우터붐(240)이 접힐 수 있으며, 반대로 우측으로 미는 동작이 입력될 경우, 아우터붐(240)이 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의 붐조립체 부분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붐조립체의 말단부분의 확대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인입롤러 및 체인 시작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총 3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조립체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와이어(600)는 리프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인출와이어(500)는 끈 또는 스트랩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출와이어(500)가 리프체인으로 이루어지거나, 인입와이어(600)와 인출와이어(500)가 모두 리프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리프체인(leaf chain)은 링크플레이트와 핀으로 구성되어, 확실한 동력전달과 함께 인장력과 유연성이 높으며, 피로강도, 수명, 표면유지력이 뛰어나다. 이러한 리프체인을 인입와이어 또는 인출와이어로 사용함으로써, 복수개의 붐을 동시에 인입 및 인출함에 따른 부하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조립체의 말단에 있어서 리프체인의 끝단에는 체인 고정바(60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붐실린더(400)의 작동에 의해 리프체인 형태의 인입와이어(600)의 작동에 의해 제2붐(220) 및 제3붐(230)의 인입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입풀리(223)가 리프체인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인입롤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롤러에 의해 리프체인 구동시 체인의 이탈 및 마모가 방지되며, 이로써 부품의 구성이 지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붐의 입출시에는 별도의 인출와이어(500)가 작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출와이어(500)의 작동에 의해 리프체인 형태의 인입와이어(600)는 그 역할과 구동력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와이어(500)를 리프체인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인(1)은 하나의 붐실린더(400)의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붐이 동시에 인입 및 인출되기 때문에, 인입 및 인출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연료의 사용도 감소된다. 특히, 동력전달구조로서 리프체인을 이용하기 때문에 동력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붐을 동시에 인입 및 인출함에 따른 부하 증가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선박
B : 해조류
1 :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100 : 포스트
200 : 붐조립체
300 : 데릭실린더
400 : 붐실린더

Claims (11)

  1. 수산양식물을 수거, 이송 및 공급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으로서,
    선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붐으로 형성된 붐조립체와,
    상기 복수개의 붐 중 제1붐과 상기 포스트에 양단이 결합되는 데릭실린더와,
    상기 복수개의 붐 중 제1붐과 제2붐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붐실린더와,
    서로 인접하는 붐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인입와이어 및 인출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와이어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붐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인출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붐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붐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인입와이어 및 상기 인출와이어는 상기 붐실린더의 동작에 연계하여, 제2붐 이후의 붐을 동시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며,
    상기 인입와이어 및 상기 인출와이어 중 하나 이상은 리프체인(leaf cha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붐은 외주면에 상기 붐실린더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붐실린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붐은 외주면에 상기 붐실린더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붐실린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붐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제2붐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붐은 외주면에 제1인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인출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붐은 외주면에 상기 제1인출와이어가 안착되는 제1인출풀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인출와이어는 타단이 제3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3붐을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출와이어 고정부는 고정바(bar)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붐은 내부에 제1인입와이어가 안착되는 제1인입풀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인입와이어는 일단이 제3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붐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3붐을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6. 제3항에 있어서,
    제 n(n≥2)붐은 외주면에 제n인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n인출와이어 고정부가 형성되고,
    제n+1(n≥2)붐은 외주면에 상기 제n인출와이어가 안착되는 제n인출풀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n인출와이어는 타단이 제n+2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n+1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n+2붐을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n인출와이어 고정부는 고정바(bar)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8. 제6항에 있어서,
    n=2인 경우, 상기 제n인출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2붐실린더 고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9. 제5항에 있어서,
    제n+1(n≥2)붐은 내부에 제n인입와이어가 안착되는 제n인입풀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n인입와이어는 일단이 제n+2붐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n붐에 결합되며, 상기 제n+1붐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n+2붐을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붐 이후의 붐은 외주면에 흠들림 및 충격방지를 위한 탄성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포스트판과,
    상기 복수개의 붐 중 제일 마지막에 위치한 제n붐과 결합되는 아우터붐과,
    상기 제n붐과 상기 아우터붐에 양단이 결합되는 아우터붐 실린더와,
    상기 포스트판의 회동을 제어하는 포스트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회전 제어부는,
    상기 포스트판과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붐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외주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KR1020200099079A 2020-08-07 2020-08-07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KR20220018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079A KR20220018699A (ko) 2020-08-07 2020-08-07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079A KR20220018699A (ko) 2020-08-07 2020-08-07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699A true KR20220018699A (ko) 2022-02-15

Family

ID=8032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079A KR20220018699A (ko) 2020-08-07 2020-08-07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6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8223B2 (en) Deepwater hoisting system and method
EP3018087A1 (en) Hoisting device
US10099905B2 (en) Crane
EP3837159A1 (en) Mooring and tensioning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KR101839355B1 (ko)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JP2016158516A (ja) 浮魚礁およびその施工方法ならびに回収方法
NO331908B1 (no) Flytende lofteinnretning
KR20220018699A (ko) 리프체인을 구비한 수신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US36624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shing
DE1943631B2 (de) Betätigungsein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der Schalen oder Finger eines mit dem Hubseil eines Krans oder Baggers verbundenen Greifers
KR20120008397A (ko) 로프 정리기
JP4360935B2 (ja) 荷掛け・荷卸し装置
CN203582361U (zh) 一种拖缆绞车
CN207061649U (zh) 一种基于液压驱动的自动脱、挂钩装置
KR20230097662A (ko)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CN108163727A (zh) 水产养殖用船舶的起重机
KR20160048279A (ko) 반잠수식 리그선의 스러스터 장착방법
JP7224189B2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CN115667070A (zh) 能够悬停的飞行器和运送悬挂在该飞行器上的负载的方法
KR101239928B1 (ko) 주낙용 양승장치
KR100579712B1 (ko) 어망인양장치
JP2010247954A (ja) ウインチ取付構造
JP4939295B2 (ja) 省力グラブ作業船
CN109220918A (zh) 扇贝自动倒笼机
CN218245232U (zh) 集鱼装置及养殖工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