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945A - 기록 장치 및 액체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및 액체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945A
KR20220015945A KR1020210095480A KR20210095480A KR20220015945A KR 20220015945 A KR20220015945 A KR 20220015945A KR 1020210095480 A KR1020210095480 A KR 1020210095480A KR 20210095480 A KR20210095480 A KR 20210095480A KR 20220015945 A KR20220015945 A KR 2022001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container
liquid storage
ink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키 시마다
노부히로 도키
다이주 다케다
푸미에 가메야마
쇼타 아사다
겐 다케나가
유스케 다나카
유타 아라키
다이지 마루야마
아츠시 마츠야마
유스케 나라타니
고오스케 다나카
고야 이와쿠라
히데아키 마츠무라
데츠 하마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3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optical means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기록 장치는 액체를 토출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에 공급되는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챔버, 액체의 출구부, 및 저장 챔버와 출구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액체 저장 용기는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 측의 제1 측부 및 제1 측부의 반대 측의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유로는 제2 측부에 형성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및 액체 저장 용기{PRINTING APPARATUS AND LIQUID STORING CONTAINER}
본 발명은 기록 장치 및 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로 대표되는 것으로서, 액체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를 구비한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기록 헤드에 의해 소비되는 액체는 액체 저장 용기에 저장된다. 기록 장치가 사용시의 자세에 있는 경우, 액체 저장 용기 및 기록 헤드의 배치에 의한 수두차로 인해, 기록 헤드로부터 액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기록 장치는 수송 또는 포장 상태에 따라 사용시와는 다른 자세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송될 때 기록 장치의 측부가 상측으로 설정된 자세로 기록 장치가 설치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저장 용기는 기록 헤드의 액체 토출면 위쪽에 위치될 수 있다. 기록 헤드의 액체 토출면이 캡에 의해 덮이지 않고 이물질의 부착으로 인해 노즐의 메니스커스가 파손되는 경우, 중력에 의해 액체가 기록 헤드로부터 누출될 수 있다. 기록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인한 액체의 누출을 억제하는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77789호에는 잉크를 저장하는 2개의 저장 챔버(잉크 챔버)를 제공하여, 누출 잉크량을 저감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저장 챔버는 가요성 필름에 의해 부분적으로 밀봉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77789호에 개시된 잉크 탱크의 구성에서, 필름은 기록 장치의 외벽 측에 위치된다. 이 구성에서, 기록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외부 구성요소를 내장할 때 필름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잔량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해서, 잉크 탱크의 저장 챔버를 외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창문부가 기록 장치의 외벽에 자주 형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77789호의 구성에서, 필름은 창문부에 대면하며, 따라서 기록 장치의 외측으로부터의 이물질의 진입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은 필름을 파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록 장치가 사용시와 다른 자세로 설치될 때 액체의 누출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액체를 토출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에 공급되는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챔버, 액체의 출구부, 및 저장 챔버와 출구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가 제공되며, 액체 저장 용기는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 측의 제1 측부 및 제1 측부의 반대 측의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유로가 제2 측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록 장치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록 장치의 내부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캐리지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캐리지 및 액체 저장 용기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액체 저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액체 저장 용기의 본체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액체 저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액체 저장 용기의 본체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기록 장치의 다른 자세의 설명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기록 장치의 다른 자세의 설명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기록 장치의 다른 자세의 설명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기록 장치의 다른 자세의 설명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기록 장치의 다른 자세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 점에 유의한다. 실시형태에서는 다수의 특징이 설명되지만, 이러한 모든 특징을 필요로 하는 발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수의 특징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기록 장치의 개요>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장치(1)의 사시도이다. 기록 장치(1)는 기록 헤드가 왕복 이동하는 캐리지에 장착된 시리얼형의 잉크젯 기록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폭에 대응하는 영역에 액체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이 제공되는, 소위 풀-라인 기록 헤드를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와 같은, 다른 기록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 D1 및 D2는 서로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D3은 수직 방향 (중력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록 장치(1)의 사용시 각각의 방향에 관해,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기록 장치(1)는 수평면 상에 설치되고, D1 방향이 깊이 방향으로 설정되고, D2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설정되고, D3 방향이 높이 방향으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기록"은, 문자, 그래픽과 같은 유의미 정보의 형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무의미 또는 유의미의 여부 그리고 사람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시각화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기록 매체 상에 화상, 형상, 패턴 등의 형태 또는 매체의 가공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시트형 종이를 "기록 매체"로서 가정하지만, 예를 들어, 천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기록 장치(1)는 전체적으로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기록 장치(1)의 외벽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01)을 포함한다. 기록 장치(1)의 전방부에는, 기록 대상의 기록 매체가 배치되는 트레이(110)가 D1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트레이(110)의 위쪽에는 기록된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1)가 형성된다.
하우징(101)에는 복수의 창문부(104 내지 109)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창문부(104 내지 109)를 통해 하우징(101)의 내부 구성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창문부(104 내지 109)를 통해 액체 저장 용기(6)(도 3 참조) 내에 저장된 잉크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창문부(104 내지 109)는 하우징(101) 내에 형성된 개구이다. 창문부(104 내지 109)는 개구 대신 투광성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들 부재 각각은 유색 투광성 부재 또는 무색 투광성 부재일 수 있다. 창문부(104 내지 107)는 하우징(101)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창문부(104)는 좌측 단부에 형성되고, 창문부(105 내지 107)는 우측 단부에 형성된다. 창문부(104)와 창문부(105 내지 107) 사이에, 트레이(110) 및 배출구(111)가 위치된다. 창문부(108)는 하우징(101)의 좌측부의 전방측에 형성되고, 창문부(109)는 하우징(101)의 우측부의 전방측에 형성된다.
기록 장치(1)는 개폐 가능한 커버(102, 103)를 포함한다. 커버(102, 103)의 각각이 개방될 때, 커버 내측(의 하부 측)에 배치된 (후술되는) 액체 저장 용기를 액체 잉크로 재충전할 수 있다. 커버(102)는 기록 장치(1)의 상부의 전방 좌측 단부에 위치되고, 커버(103)는 기록 장치(1)의 상부의 전방 우측 단부에 위치된다.
도 1 및 도 2에 추가로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한다. 도 3은 기록 장치(1)의 내부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캐리지(2)의 위치를 각각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캐리지(2) 및 복수의 액체 저장 용기(6B, 6C, 6M, 및 6Y)의 배치를 각각 도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하우징(10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상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인 점에 유의한다.
캐리지(2)는 D2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3)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 기구(미도시)에 의해 D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구동 기구는, 예를 들어 캐리지(2)에 연결된 무단 벨트를 갖는 벨트 전동 기구, 및 벨트 전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서 기능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캐리지(2)는 기록 헤드(9)를 장착된 상태로 D2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잉크 종류에 대응하는 2개의 기록 헤드(9)가 캐리지(2)에 장착된다(도 5a 참조). 기록 헤드(9) 중 하나는 액체 저장 용기(6B)에 저장된 액체 잉크를 토출하고, 다른 기록 헤드(9)는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각각에 저장된 액체 잉크를 토출한다. 각각의 기록 헤드(9)는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된 잉크 토출면(9a)을 포함하고, 잉크 토출면(9a)은 기록 매체(P)를 지지하는 플래튼(8)에 대면한다. 캐리지(2)의 이동 과정에서 기록 헤드(9)로부터 기록 매체(P)로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화상이 기록된다. 이 동작은 이하에서 기록 주사라고 지칭된다. 캐리지(2)의 이동 범위와 함께 잉크 토출면(9a)의 플래튼(8) 상의 이동 범위는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에 대응한다.
반송 유닛(7)은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기구이다. 반송 유닛(7)은 반송 롤러(7a)를 포함한다. 핀치 롤러(미도시)가 반송 롤러(7a)에 대해 가압되고, 기록 매체(P)는 닙부가 기록 매체(P)를 협지하면서 반송 롤러(7a)의 회전에 의해 D1 방향으로 전방측으로 반송된다. 반송 유닛(7)은 플래튼(8)과 잉크 토출면(9a) 사이의 부분을 통과하도록 기록 매체(P)를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반송 유닛(7)에 의한 기록 매체(P)의 반송 동작 및 기록 주사를 교호식으로 반복함으로써, 각각의 페이지의 화상이 기록 매체(P)에 기록될 수 있다.
캐리지(2)의 이동 범위의 일 단부에 회복 유닛(4)이 구비된다. 회복 유닛(4)은 각각의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회복 유닛(4)은 기록 헤드(9)를 덮는 캡(4a)을 포함한다. 캡(4a)은 각각의 기록 헤드(9)에 구비되고, 노즐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잉크 토출면(9a)을 캡핑한다. 또한, 회복 유닛(4)은 예를 들어 캡(4a)의 내부를 부압으로 설정함으로써 기록 헤드(9)로부터 잉크를 흡인하는 회복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a는 캐리지(2)가 이동 범위의 우측 단부(홈 포지션)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캐리지(2)는 회복 유닛(4) 위쪽에 위치되고, 이 위치에서 캡(4a)에 의한 잉크 토출면(9a)의 캡핑 및 기록 헤드(9)의 회복 동작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4b는 캐리지(2)가 이동 범위의 좌측 단부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캐리지(2)는 회복 유닛(4) 위쪽에 위치되지 않고, 따라서 잉크 토출면(9a)의 캡핑은 불가능하다.
액체 저장 용기(6B, 6C, 6M, 및 6Y)의 각각은 기록 헤드(9)에 의해 토출되는 액체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탱크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액체 저장 용기(6B, 6C, 6M, 및 6Y)는 이들이 전체적으로 지칭되는 경우 또는 서로 구별되지 않는 경우 액체 저장 용기(6)로 표현될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액체 저장 용기(6)는 기록 장치(1)에 고정된 고정 용기이다. 잉크 잔량이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는 액체 저장 용기(6)를 기록 장치(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 액체 저장 용기(6)를 잉크로 재충전한다.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는 다른 종류의 잉크를 저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액체 저장 용기(6B, 6C, 6M, 및 6Y)는 블랙 잉크, 시안 잉크, 마젠타 잉크, 옐로우 잉크를 각각 저장한다. 기록 헤드(9)에 의해 토출되는 액체 잉크의 종류의 개수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4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4개 이외의 복수의 종류가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액체 저장 용기의 개수는 단지 액체 잉크의 종류의 개수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는 동일한 구조의 용기이며, 액체 저장 용기(6B)는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보다 큰 용량을 갖는 용기이다. 따라서, 액체 저장 용기(6B)는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 보다 D2 방향의 폭이 넓은 용기이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기록 장치(1)의 전방부에서 좌측 단부에 배치된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투광성 재료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저장된 잉크의 잔량을 창문부(104 및 108)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잉크 재충전을 실행할 때, 사용자는 커버(102)를 개방한다. 이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상부를 노출하여, 잉크 재충전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액체 저장 용기(6C 내지 6Y)는 기록 장치(1)의 전방부에서 우측 단부에 D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기록 헤드(9)(또는 기록 헤드(9)에 의해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은 액체 저장 용기(6B)와 액체 저장 용기(6C 내지 6Y) 사이에 위치된다. 액체 저장 용기(6C 내지 6Y)는 또한 투광성 재료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액체 저장 용기(6C)에 저장되는 잉크의 잔량은 창문부(105)를 통해, 액체 저장 용기(6M)에 저장되는 잉크의 잔량은 창문부(106)를 통해, 그리고 액체 저장 용기(6Y)에 저장되는 잉크의 잔량은 창문부(107 및 109)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액체 저장 용기(6C 내지 6Y) 각각에 잉크를 재충전하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103)를 개방한다. 이는 액체 저장 용기(6C 내지 6Y)의 상부를 노출하여, 잉크 재충전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액체 저장 용기(6B, 6C, 6M, 및 6Y)의 각각은 개별 튜브(5)를 통해 기록 헤드(9)에 연결되고, 잉크가 튜브(5)를 통해 기록 헤드(9)에 공급된다. 튜브(5)는 가요성이며, 캐리지(2)의 이동 및 위치에 관계없이 잉크를 기록 헤드(9)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액체 저장 용기의 구조>
<액체 저장 용기(6B)의 구조>
액체 저장 용기(6B)의 구조는 도 5a 및 도 5b에 추가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분해 사시도이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전체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외부 형상을 갖고, 전방측부(6a), 좌측부(6b), 우측부(6c), 정상부(6d), 저부(6e) 및 후방측부(6f)를 포함한다. 전방측부(6a) 및 후방측부(6f)는 서로 대향하는 측부이며, 좌측부(6b) 및 우측부(6c)는 서로 대향하는 측부이다. 좌측부(6b) 및 우측부(6c)의 위치를 비교하면, 우측부(6c)는 기록 헤드(9) 측의, 장치 내측의 측부이며, 좌측부(6b)는 반대 측의 장치 외부측의 측부이다. 즉, 우측부(6c)는 기록 헤드(9)에 의해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 측의 측부이다. 후방측부(6f)에는 D3 방향의 중간부에 단차가 마련되고, 액체 저장 용기(6B)의 D1 방향의 폭은 정상부(6d) 측에서 짧고, 저부(6e) 측에서 길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본체(11), 및 본체(11)에 고정되는 밀봉 부재(12 및 13)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부재(12 및 13)는 가요성 필름이며, 본체(11)에 접합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밀봉 부재(12)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우측부(6c)에 배치되고, 본체(11)의 우측부의 개구 및 홈을 덮고 밀봉한다. 밀봉 부재(13)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좌측부(6b)에 배치되고, 본체(11)의 좌측부의 개구 및 홈을 밀봉한다. 본체(11)는 수지제의 중공 구조이며, 이하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형성 부재이다. 본체(11) 및 밀봉 부재(12 및 13)는 모두 투광성 부재이며, 따라서 액체 저장 용기(6B)의 내부를 외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다. 이들 부재의 각각은 유색 투광성 부재 또는 무색 투광성 부재일 수 있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본체(11)에 의해 정상부(6d)에 형성된 원통형 주입부(21)를 포함한다. 커버(102)가 개방될 때, 주입부(21)가 노출된다. 잉크 재충전을 실행할 때, 잉크가 주입부(21)로부터 주입된다. 주입부(21)에는 분리 가능한 덮개(20)가 부착된다. 본체(11)의 정상부(6d)에는 주입부(21)의 주위에 홈(21a)이 형성된다. 홈(21a)은 잉크 재충전시 주입부(21) 외측에 떨어지는 잉크를 수용한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본체(11)에 의해 후방측부(6f)의 단차부에 형성된 원통형 출구부(22)를 포함한다. 출구부(22)는 액체 저장 용기(6B)에 저장된 잉크의 출구이며, 기록 헤드(9)로의 잉크 유동을 위한 액체 출구이다. 출구부(22)에는 튜브(5)가 연결되고, 액체 저장 용기(6B)에 저장된 잉크는 출구부(22)로부터 튜브(5)를 통해 기록 헤드(9)로 공급된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본체(11)에 의해 정상부(6d)에 형성된 원통형 대기 연통부(23)를 포함한다. 대기 연통부(23)는 액체 저장 용기(6B) 내부를 대기에 연통시켜, 저장된 잉크의 유출과 함께 기액 교환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연통구이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본체(11)에 의해 전방측부(6a)에 형성된 잉크 시인면(25)을 포함한다. 잉크 시인면(25)은 잉크 시인면(25) 뒤의 저장 챔버(26)에 저장된 잉크의 잔량을 사용자가 외측(창문부(104 및 108))으로부터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투광면이다. 잉크 시인면(25)에는, 잉크 재충전 타이밍을 제공하는 잔량의 하한의 기준을 나타내는 하한 표시부(25b), 잉크 재충전을 실행할 때 상한의 기준을 나타내는 상한 표시부(25a), 및 회복 유닛(4)이 회복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잔량의 기준을 나타내는 표시부(25c)가 형성된다. 이들 표시부(25a 내지 25c) 각각은 본체(11)의 형상(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성 등) 또는 도표의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본체(11)에 의해 전방측부(6a)에 형성된 맞물림부(24a) 및 본체(11)에 의해 후방측부(6f)에 형성된 맞물림부(24b)를 포함한다. 맞물림부(24a 및 24b)는 하우징(101)에 형성된 맞물림부(미도시)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액체 저장 용기(6B)를 고정하고 위치결정한다.
액체 저장 용기(6B)는 저부(6e) 측에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 챔버(26)를 포함하고, 정상부(6d) 측에 버퍼 챔버(29a 내지 29e)를 포함한다. 저장 챔버(26)는 버퍼 챔버(29a 내지 29e)를 통해 대기 연통부(23)와 연통한다. 버퍼 챔버(29a 내지 29e)는 저장 챔버(26)로부터 대기 연통부(23)로 잉크가 흘러서 액체 저장 용기(6B)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저장 챔버(26)는 본체(11) 및 밀봉 부재(12)에 의해 획정된다. 본체(11)는, 저장 챔버(26)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개구부(26c)를 갖는 주변 벽부(26a, 26b, 및 26d 내지 26f)를 포함하고, 개구부(26c)는 밀봉 부재(12)에 의해 밀봉되어 액밀 저장 챔버(26)를 형성한다. 주변 벽부(26a, 26b, 및 26d 내지 26f)는 각각 저장 챔버(26)의 전방 벽부, 좌측 벽부, 상부 벽부, 저부 벽부, 및 후방 벽부를 형성한다. 개구부(26c)는 본체(11)의 우측부에 대해 개방되고, 밀봉 부재(12)는 저장 챔버(26)의 우측 벽부를 형성한다.
주변 벽부(상부 벽부)(26d)는 저장 챔버(26) 및 저장 챔버(26) 위쪽의 공간으로서 버퍼 챔버(29a 내지 29e)를 구획한다. 주변 벽부(상부 벽부)(26d)는 주변 벽부(26d) 위쪽의 공간으로서 주입 통로(28)와 연통부(26d')(도 7b 참조)에서 연통하고, 주입 통로(28)는 주입부(21)와 연통한다. 주입 통로(28)는 본체(11) 및 밀봉 부재(12)에 의해 획정된다. 주입부(21)로부터 주입된 잉크는 주입 통로(28)를 통해서 저장 챔버(26)에 유입하고, 저장된다. 주변 벽부(좌측 벽부)(26b)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좌측부(6b)의 하부를 형성하며 외측(좌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6g)를 포함한다. 돌출부(26g)는 창문부(108)로 돌출한다. 사용자는, 기록 장치(1) 외측으로부터, 투광성을 갖는 돌출부(26g)를 통해 저장 챔버(26)의 잉크 잔량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돌출부(26g)를 형성함으로써, 저장 챔버(26)의 잉크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저장 챔버(26) 내에, 본체(11)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27)가 배치된다. 리브(27)는 주변 벽부(좌측 벽부)(26b)로부터 개구부(26c)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고, 밀봉 부재(12)를 그 내측으로부터 지지하여, 밀봉 부재(12)의 요철의 발생을 저감한다.
저장 챔버(26)에 잉크의 최대량이 저장된 경우, 액면은 상한 표시부(25a)의 위치와 거의 일치한다. 출구부(22)는 상한 표시부(25a)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잉크의 최대량이 저장 챔버(26)에 저장된 경우, 잉크의 액면 위쪽에 출구부(22)가 위치되고, 잉크는 출구부(22)로부터 전혀 누출하지 않는다.
버퍼 챔버(29a 내지 29e)는 본체(11) 및 밀봉 부재(13)에 의해 획정된다. 본체(11)는 버퍼 챔버(29a 내지 29e)를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좌측부에 대해 개방되는 주변 벽부를 포함한다. 개구부가 밀봉 부재(13)에 의해 밀봉될 때, 버퍼 챔버(29a 내지 29e)가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 추가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액체 저장 용기(6B)에 구비된 유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유로(31)는 저장 챔버(26) 및 출구부(22)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1)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좌측부(6b)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1)는 본체(11)의 주변 벽부(좌측 벽부(26b))에 형성된 홈(31c) 및 홈(31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13)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1)는 D3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및 D1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체로서 L 형상을 갖는다. 유로(31)의 일 단부(31a)는 저장 챔버(26) 측의 단부이며, 주변 벽부(좌측 벽부(26b))의 전방부에서 하부를 관통하여 저장 챔버(26)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1)의 타단부(31b)는 출구부(22) 측의 단부이며, 출구부(22)와 연통한다.
유로(32)는 주입 통로(28) 및 버퍼 챔버(29a)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2)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좌측부(6b)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2)는 본체(11)에 형성된 홈(32c) 및 홈(32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13)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2)의 일 단부(32a)는 주입 통로(28) 측의 단부이며, 주입 통로(28)에 대해 개방된다. 단부(32a)는 주입 통로(28)의 좌측 벽부부터 우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형성된다. 유로(32)의 타단부(32b)는 버퍼 챔버(29a)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a)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3)는 버퍼 챔버(29a 및 29b)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3)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우측부(6c)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3)는 본체(11)에 형성된 홈(33c) 및 홈(33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12)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3)의 일 단부(33a)는 버퍼 챔버(29a)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a)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3)의 타단부(33b)는 버퍼 챔버(29b)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b)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4)는 버퍼 챔버(29b 및 29c)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4)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우측부(6c)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4)는 본체(11)에 형성된 홈(34c) 및 홈(34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12)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4)의 일 단부(34a)는 버퍼 챔버(29b)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b)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4)의 타단부(34b)는 버퍼 챔버(29c)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c)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5)는 버퍼 챔버(29c 및 29d)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5)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우측부(6c)에 굴곡되어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5)는 본체(11)에 형성된 홈(35c) 및 홈(35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12)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5)의 일 단부(35a)는 버퍼 챔버(29c)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c)에 대해 개방된다. 단부(35a)는 버퍼 챔버(29c)의 우측 벽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형성된다. 유로(35)의 타단부(35b)는 버퍼 챔버(29d)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d)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6)는 버퍼 챔버(29d 및 29e)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6)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우측부(6c)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6)는 본체(11)에 형성된 홈(36c) 및 홈(36c)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12)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6)의 일 단부(36a)는 버퍼 챔버(29d)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d)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6)의 타단부(36b)는 버퍼 챔버(29e)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e)에 대해 개방된다. 버퍼 챔버(29e)는 대기 연통부(23)와 연통한다.
저장 챔버(26) 및 대기 연통부(23)를 서로 연통시키는 각각의 유로(32 내지 36)에는 기액 분리 필름이 구비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이는 저장 챔버(26)로부터 대기 연통부(23)로 잉크가 유동할 때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외측으로의 잉크 누출을 저감할 수 있다.
<액체 저장 용기(6Y)의 구조>
도 5a 및 도 5b에 추가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액체 저장 용기(6Y)의 구조를 설명할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분해 사시도이다. 액체 저장 용기(6C 및 6M)는 액체 저장 용기(6Y)와 동일한 구조이며 그 설명을 생략하는 점에 유의한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액체 저장 용기(6B)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좌우 방향에서의 폭이 더 좁고 좌우의 구성이 교체되고 지지부(41a)가 구비되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액체 저장 용기(6Y)의 구성요소 중, 액체 저장 용기(6B)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시된다. 지지부(41a)는 하니스(미도시)를 지지하는 부분인 점에 유의한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전체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외부 형상을 갖고, 전방측부(6a), 좌측부(6b), 우측부(6c), 정상부(6d), 저부(6e) 및 후방측부(6f)를 포함한다. 전방측부(6a) 및 후방측부(6f)는 서로 대향하는 측부이며, 좌측부(6b) 및 우측부(6c)는 서로 대향하는 측부이다. 좌측부(6b) 및 우측부(6c)의 위치를 비교하면, 좌측부(6b)는 기록 헤드(9) 측의 장치 내측의 측부이고, 우측부(6c)는 반대 측의 장치 외부측의 측부이다. 즉, 좌측부(6b)는 기록 헤드(9)에 의해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 측의 측부이다. 후방측부(6f)는 D3 방향의 중간부에 단차가 마련되고, 액체 저장 용기(6Y)의 D1 방향의 폭은 정상부(6d) 측에서 짧고, 저부(6e) 측에서 길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액체 저장 용기(6B)의 본체(11)에 대응하는 본체(41), 본체(41)에 고정되고 액체 저장 용기(6B)의 밀봉 부재(12)에 대응하는 밀봉 부재(43), 및 본체(41)에 고정되고 액체 저장 용기(6B)의 밀봉 부재(13)에 대응하는 밀봉 부재(4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부재(42 및 43)는 가요성 필름이며, 본체(41)에 접합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밀봉 부재(43)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우측부(6c)에 배치되고, 본체(41)의 우측부의 개구 및 홈을 덮고 밀봉한다. 밀봉 부재(42)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좌측부(6b)에 배치되고, 본체(41)의 좌측부의 개구 및 홈을 밀봉한다. 본체(41)는 수지제의 중공 구조이며, 후술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형성 부재이다. 본체(41) 및 밀봉 부재(42 및 43)는 모두 투광성 부재이며, 이에 따라 액체 저장 용기(6Y)의 내부를 외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다. 이들 부재의 각각은 유색 투광성 부재 또는 무색 투광성 부재일 수 있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본체(41)에 의해 정상부(6d)에 형성된 원통형 주입부(21)를 포함한다. 커버(103)가 개방될 때, 주입부(21)가 노출된다. 잉크 재충전을 실행할 때, 잉크가 주입부(21)로부터 주입된다. 주입부(21)에는 분리 가능한 덮개(20)가 부착된다. 본체(41)의 정상부(6d)에는 주입부(21)의 주위에 홈(21a)이 형성된다. 홈(21a)은 잉크 재충전시 주입부(21) 외측에 떨어지는 잉크를 수용한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본체(41)에 의해 후방측부(6f)의 단차부에 형성된 원통형 출구부(22)를 포함한다. 출구부(22)는 액체 저장 용기(6Y)에 저장된 잉크의 출구이며, 기록 헤드(9)로의 잉크 유동을 위한 액체 출구이다. 출구부(22)에 튜브(5)가 연결되고, 액체 저장 용기(6Y)에 저장된 잉크는 출구부(22)로부터 튜브(5)를 통해 기록 헤드(9)에 공급된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본체(41)에 의해 정상부(6d)에 형성된 원통형 대기 연통부(23)를 포함한다. 대기 연통부(23)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내부를 대기와 연통시켜 저장된 잉크의 유출과 함께 기액 교환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연통구이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본체(41)에 의해 전방측부(6a)에 형성된 잉크 시인면(25)을 포함한다. 잉크 시인면(25)은 잉크 시인면(25) 뒤의 저장 챔버(26)에 저장된 잉크의 잔량을 사용자가 외측(창문부(107 및 109))으로부터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투광면이다. 잉크 시인면(25)에는, 잉크 재충전 타이밍을 제공하는 잔량의 하한의 기준을 나타내는 하한 표시부(25b), 잉크 재충전을 실행할 때 상한의 기준을 나타내는 상한 표시부(25a), 및 회복 유닛(4)이 회복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잔량의 기준을 나타내는 표시부(25c)가 형성된다. 이들 표시부(25a 내지 25c)의 각각은 본체(41)의 형상(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형성 등) 또는 도표의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본체(41)에 의해 전방측부(6a)에 형성된 맞물림부(24a) 및 본체(41)에 의해 후방측부(6f)에 형성된 맞물림부(24b)를 포함한다. 맞물림부(24a 및 24b)는 하우징(101) 내에 형성된 맞물림부(미도시)와 맞물려, 액체 저장 용기(6Y)를 고정하고 위치결정한다.
액체 저장 용기(6Y)는 저부(6e) 측에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 챔버(26)를 포함하고, 정상부(6d) 측에 버퍼 챔버(29a 내지 29e)를 포함한다. 저장 챔버(26)는 버퍼 챔버(29a 내지 29e)를 통해 대기 연통부(23)와 연통한다. 버퍼 챔버(29a 내지 29e)는 저장 챔버(26)로부터 대기 연통부(23)로 잉크가 흘러서 액체 저장 용기(6Y)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저장 챔버(26)는 본체(41) 및 밀봉 부재(42)에 의해 획정된다. 본체(41)는, 저장 챔버(26)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개구부(26c)를 갖는 주변 벽부(26a, 26b, 및 26d 내지 26f)를 포함하고, 개구부(26c)는 밀봉 부재(42)에 의해 밀봉되어 액밀 저장 챔버(26)를 형성한다. 주변 벽부(26a, 26b, 및 26d 내지 26f)는 각각 저장 챔버(26)의 전방 벽부, 우측 벽부, 상부 벽부, 저부 벽부, 후방 벽부를 형성한다. 개구부(26c)는 본체(41)의 좌측부에 대해 개방되고, 밀봉 부재(42)는 저장 챔버(26)의 좌측 벽부를 형성한다.
주변 벽부(상부 벽부)(26d)는 저장 챔버(26) 및 저장 챔버(26) 위쪽의 공간으로서 버퍼 챔버(29a 내지 29e)를 구획한다. 주변 벽부(상부 벽부)(26d)는 주변 벽부(26d) 위쪽의 공간으로서 주입 통로(28)와 연통부(26d')(도 9b 참조)에서 연통하고, 주입 통로(28)는 주입부(21)와 연통한다. 주입 통로(28)는 본체(41) 및 밀봉 부재(42)에 의해 획정된다. 주입부(21)로부터 주입된 잉크는 주입 통로(28)를 통해 저장 챔버(26) 내로 유동하고, 저장된다. 주변 벽부(우측 벽부)(26b)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우측부(6c)의 하부를 형성하며 외측(우측)에 돌출하는 돌출부(26g)를 포함한다. 돌출부(26g)는 창문부(109)로 돌출한다. 사용자는, 기록 장치(1) 외측으로부터, 투광성을 갖는 돌출부(26g)를 통해 저장 챔버(26)의 잉크 잔량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돌출부(26g)를 형성함으로써, 저장 챔버(26)의 잉크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저장 챔버(26) 내에, 본체(41)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27)가 배치된다. 리브(27)는 주변 벽부(우측 벽부)(26b)로부터 개구부(26c)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고, 밀봉 부재(42)를 그 내측으로부터 지지하여, 밀봉 부재(42)의 요철의 발생을 저감한다.
저장 챔버(26)에 잉크의 최대량이 저장된 경우, 액면은 상한 표시부(25a)의 위치와 거의 일치한다. 출구부(22)는 상한 표시부(25a)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저장 챔버(26)에 잉크의 최대량이 저장되는 경우, 잉크는 출구부(22)로부터 전혀 누출하지 않는다.
버퍼 챔버(29a 내지 29e)는 본체(41) 및 밀봉 부재(43)에 의해 획정된다. 본체(41)는 버퍼 챔버(29a 내지 29e)를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우측부에 대해 개방되는 주변 벽부를 포함한다. 개구부가 밀봉 부재(43)에 의해 밀봉될 때, 버퍼 챔버(29a 내지 29e)가 형성된다.
도 8a 및 도 8b에 추가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액체 저장 용기(6Y)에 구비된 유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유로(31)는 저장 챔버(26) 및 출구부(22)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1)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우측부(6c)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1)는 본체(41)의 주변 벽부(우측 벽부(26b))에 형성된 홈(31c) 및 홈(31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43)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1)는 D3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및 D1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체로서 L 형상을 갖는다. 유로(31)의 일 단부(31a)는 저장 챔버(26) 측의 단부이며, 주변 벽부(우측 벽부(26b))의 전방부에서 하부를 관통하여 저장 챔버(26)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1)의 타단부(31b)는 출구부(22) 측의 단부이며, 출구부(22)에 연통한다.
유로(32)는 주입 통로(28) 및 버퍼 챔버(29a)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2)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우측부(6c)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2)는 본체(41)에 형성된 홈(32c) 및 홈(32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43)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2)의 일 단부(32a)는 주입 통로(28) 측의 단부이며, 주입 통로(28)에 대해 개방된다. 단부(32a)는 주입 통로(28)의 우측 벽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형성된다. 유로(32)의 타단부(32b)는 버퍼 챔버(29a)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a)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3)는 버퍼 챔버(29a 및 29b)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3)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좌측부(6b)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3)는 본체(41)에 형성된 홈(33c) 및 홈(33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42)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3)의 일 단부(33a)는 버퍼 챔버(29a)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a)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3)의 타단부(33b)는 버퍼 챔버(29b)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b)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4)는 버퍼 챔버(29b 및 29c)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4)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좌측부(6b)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4)는 본체(41)에 형성된 홈(34c) 및 홈(34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42)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4)의 일 단부(34a)는 버퍼 챔버(29b)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b)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4)의 타단부(34b)는 버퍼 챔버(29c)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c)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5)는 버퍼 챔버(29c 및 29d)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5)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좌측부(6b)에 굴곡되어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5)는 본체(41)에 형성된 홈(35c) 및 홈(35c)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42)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5)의 일 단부(35a)는 버퍼 챔버(29c)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c)에 대해 개방된다. 단부(35a)는 버퍼 챔버(29c)의 좌측 벽부부터 우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형성된다. 유로(35)의 타단부(35b)는 버퍼 챔버(29d)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d)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6)는 버퍼 챔버(29d 및 29e)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유로이다. 유로(36)는 액체 저장 용기(6Y)의 좌측부(6b)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유로(36)는 본체(41)에 형성된 홈(36c) 및 홈(36c)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42)에 의해 획정된다. 유로(36)의 일 단부(36a)는 버퍼 챔버(29d)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d)에 대해 개방된다. 유로(36)의 타단부(36b)는 버퍼 챔버(29e) 측의 단부이며, 버퍼 챔버(29e)에 대해 개방된다. 버퍼 챔버(29e)는 대기 연통부(23)와 연통한다.
저장 챔버(26) 및 대기 연통부(23)를 서로 연통시키는 각각의 유로(32 내지 36)에는 기액 분리 필름이 구비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이는 저장 챔버(26)로부터 대기 연통부(23)로 잉크가 유동할 때,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외측으로의 잉크 누출을 저감할 수 있다.
<기록 장치의 자세>
기록 장치(1)가 사용시 이외의 자세로 설정될 때 잉크 누출이 억제되는 기구가 설명될 것이다. 도 10a는 기록 장치(1)가 사용시의 자세에 있을 때, 액체 저장 용기(6) 및 캐리지(2)(및 기록 헤드(9))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는 저장 챔버(26)에 잉크(10)의 최대량을 저장한다. 이 자세에서, D2 방향에서의 캐리지(2) 측은 내부측으로 지칭되고 반대 측은 외부측으로 지칭되고,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의 유로(31)는 액체 저장 용기(6) 외부측에 위치되고, 저장 챔버(26)의 벽부를 형성하는 밀봉 부재(12 및 42)는 내부측에 위치된다.
밀봉 부재(12 및 42)가 저장 챔버(26)의 벽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밀봉 부재(12 및 42)에 대한 손상은 직접적으로 잉크 누출로 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부재(12 및 42)는 필름이며 이에 따라 쉽게 손상된다. 밀봉 부재(12 또는 42)가 액체 저장 용기(6) 외부측에 위치되는 경우, 액체 저장 용기(6B 또는 6Y)를 장착할 때, 하우징(101)의 내벽면 또는 그 주변 구성요소와 접촉하여, 밀봉 부재(12 또는 42)가 손상될 수 있다. 사용 시, 밀봉 부재(12 및 42)는 창문부(108, 109)를 통해 이물질과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밀봉 부재(12 및 42)가 액체 저장 용기(6) 내부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밀봉 부재(12 및 42)의 보호 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손상을 구조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유로(31)가 액체 저장 용기(6) 외부측에 위치되는 점은 기록 장치(1)가 사용시 이외의 자세로 설정될 때 잉크 누출 억제에 기여한다. 사용시 도 10a에 도시된 자세(잉크의 최대량)로부터 다른 자세로 변할 때의 잉크 누출 억제에 대해서, 기록 장치(1)의 각각의 자세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캐리지(2)가 홈 포지션에 위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캐리지(2)는 정상적으로 기록 장치(1)의 동작이 종료할 때, 홈 포지션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도 10b는 기록 장치(1)의 우측부가 하측에 설정되고 기록 장치(1)의 좌측부가 상측에 설정된 자세의 예를 도시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B)는 상측에 위치되고,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 및 캐리지(2)는 하측에 위치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높이와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의 높이차는 작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9a)에서 메니스커스가 파손된 경우에도,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각각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할 가능성은 낮다.
한편, 액체 저장 용기(6B)는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나, 액체 저장 용기(6B)의 유로(31)는 저장 챔버(26)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즉, 유로(31)의 일 단부(31a)는 저장 챔버(26)의 잉크 액면 위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로(31)는 저장 챔버(26)의 잉크로 충전되지 않고, 잉크가 출구부(22)로부터 외측으로 유동하지 않는다. 그 결과, 액체 저장 용기(6B)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 또한 낮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예를 들어, 기록 장치(1)가 고지에 수송되거나 기록 장치(1)가 설치되는 영역에 열대성 저기압이 접근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이 경우, 액체 저장 용기(6B)에 대해, 유로(32)가 좌측부(6b)에 형성되고, 저장 챔버(26) 및 주입 통로(28)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액체 저장 용기(6B)는 잉크로 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잉크가 누출되는 가능성은 낮다.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 각각에 대해, 유로(32)가 우측부(6c)에 형성되고 저장 챔버(26) 및 주입 통로(28)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액체 저장 용기가 잉크로 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유로(32)의 단부(32a)가 돌출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주입 통로(28)에서 잉크의 액위가 돌출부의 높이 이상이 되지 않는 한, 잉크가 유로(32)에 유입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유로(32)에 유입하는 잉크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유로(33 내지 36)의 각각은 좌측부(6b)에 형성되기 때문에, 저장 챔버(26) 및 주입 통로(28)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잉크가 유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잉크가 누출되는 가능성 또한 낮다.
도 10c은 기록 장치(1)의 좌측부가 하측에 설정되고 기록 장치(1)의 우측부가 상측에 설정된 자세의 예를 도시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 및 캐리지(2)가 상측에 위치되고 액체 저장 용기(6B)가 하측에 위치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높이와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의 높이차는 작다. 따라서, 잉크 토출면(9a)에서 메니스커스가 파손된 경우에도,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각각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또한, 액체 저장 용기(6B)가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액체 저장 용기(6B)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 또한 낮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 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이 경우,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각각에 대해, 유로(32)가 우측부(6c)에 형성되고, 저장 챔버(26) 및 주입 통로(28)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액체 저장 용기가 잉크로 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잉크가 누출되는 가능성은 낮다.
액체 저장 용기(6B)에 대해, 유로(32)가 좌측부(6b)에 형성되고, 저장 챔버(26) 및 주입 통로(28)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액체 저장 용기(6B)는 잉크로 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유로(32)의 단부(32a)가 돌출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주입 통로(28)에서 잉크의 액위가 돌출부의 높이 이상이 되지 않는 한, 잉크가 유로(32)에 유입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유로(32)에 유입하는 잉크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유로(33 내지 36)의 각각이 우측부(6c)에 형성되기 때문에, 저장 챔버(26) 및 주입 통로(28)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잉크가 유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잉크가 누출되는 가능성 또한 낮다.
도 11a는 기록 장치(1)의 전방부가 하측에 설정되고 기록 장치(1)의 후방부가 상측에 설정된 자세를 예시한다. 이 자세에서, 캐리지(2)가 상측에 위치되고 액체 저장 용기(6)가 하측에 위치된다. 액체 저장 용기(6) 보다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이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잉크 토출면(9a)에서 메니스커스가 파손된 경우에도,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또한, 출구부(22)가 저장 챔버(26)에 저장된 잉크의 액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므로, 출구부(22)로부터 잉크가 유출하지 않는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그러나, 유로(32)의 단부(32a)가 액체 저장 용기(6)의 전방측부(6a)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주입 통로(28)에서 잉크의 액위가 단부(32a)의 높이 이상이 되지 않는 한, 유로(32)에 잉크가 유입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유로(32)에 유입하는 잉크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버퍼 챔버(29a 내지 29e) 및 유로(33 내지 36)는 주입 통로(28)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들 공간의 일부로의 잉크의 유입에 의해 액위가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잉크가 누출하는 가능성 또한 낮다.
도 11b는 기록 장치(1)의 전방부가 상측에 설정되고, 기록 장치(1)의 후방부가 하측에 설정되는 자세를 예시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가 상측에 위치되고, 캐리지(2)가 하측에 위치된다. 그러나, 유로(31)의 단부(31a)가 저장 챔버(26) 내의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유로(31)에 유입하는 가능성은 낮다. 즉, 유로(31)의 단부(31a)가 저장 챔버(26)의 잉크 액면 위쪽에 위치된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그러나, 주입 통로(28) 및 유로(32)의 단부(32a)가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 및 유로(32)에 유입하는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잉크가 누출하는 가능성 또한 낮다.
도 14a는 기록 장치(1)가 반전된 자세를 예시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와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의 높이차는 작기 때문에, 잉크 토출면(9a)에서 메니스커스가 파손된 경우에도,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또한, 유로(31)의 단부(31a)가 저장 챔버(26)의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유로(31)가 저장 챔버(26)의 잉크로 충전되지 않고, 출구부(22)로부터 잉크가 외측으로 유출하지 않는다. 이 점으로부터도,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저장 챔버(26)의 잉크는 주입 통로(28)에 유입하지만 유로(32)의 단부(32a)가 액체 저장 용기(6)의 정상부(6d)로부터 이격된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주입 통로(28)에서 잉크의 액위가 단부(32a)의 높이 이상이 되지 않는 한, 유로(32)에 잉크가 유입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유로(32)에 유입하는 잉크의 양이 저감될 수 있다. 게다가, 유로(33 내지 35)의 단부(33a 내지 35a)는 또한 버퍼 챔버(29a 내지 29c) 내의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버퍼 챔버(29a 내지 29c)의 일부 공간으로의 잉크의 유입에 의해 액위가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잉크가 누출하는 가능성 또한 낮다.
캐리지(2)가 이동 범위 내에서 홈 포지션의 반대 측의 단부(도 4b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되고, 잉크 토출면(9a)에서 노즐의 메니스커스가 파손된 경우를 이어서 설명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캐리지(2)는 정상적으로 홈 포지션에 위치되지만, 기록 장치(1)의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정전이 발생할 때 캐리지(2)가 홈 포지션 이외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잉크 토출면(9a)은 캡(4a)으로 덮이지 않으며, 이에 의해 잉크 토출면(9a)의 노즐의 메니스커스가 파손되는 가능성이 증가한다.
도 12a는 기록 장치(1)의 우측부가 하측에 설정되고 기록 장치(1)의 좌측부가 상측에 설정되는 자세의 예를 도시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B) 및 캐리지(2)가 상측에 위치되고,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 및 캐리지(2)가 하측에 위치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B)와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의 높이차는 작기 때문에, 액체 저장 용기(6B)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또한,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는 기록 헤드(9)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각각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이 경우, 도 10b에 도시된 예에 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이유로,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의 잉크가 대기 연통부(23)로부터 누출되는 가능성은 낮다.
도 12b는 기록 장치(1)의 좌측부가 하측에 설정되고, 기록 장치(1)의 우측부가 상측에 설정되는 자세의 예를 도시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가 상측에 위치되고, 액체 저장 용기(6B) 및 캐리지(2)가 하측에 위치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B)와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의 높이차는 작기 때문에, 액체 저장 용기(6B)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한편,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는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나,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유로(31) 각각은 저장 챔버(26)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즉, 유로(31)의 단부(31a)가 저장 챔버(26)의 잉크 액면 위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로(31)가 저장 챔버(26)의 잉크로 충전되지 않고, 출구부(22)로부터 잉크가 외측으로 유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액체 저장 용기(6C, 6M, 및 6Y)의 각각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도 낮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이 경우, 도 10c에 도시된 예에 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이유로,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의 잉크가 대기 연통부(23)로부터 누출되는 가능성은 낮다.
도 13a는 기록 장치(1)의 전방부가 하측에 설정되고, 기록 장치(1)의 후방부가 상측에 설정되는 자세를 예시한다. 이 자세에서, 캐리지(2)가 상측에 위치되고 액체 저장 용기(6)가 하측에 위치된다. 액체 저장 용기(6) 보다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이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의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또한, 출구부(22)가 저장 챔버(26)에 저장된 잉크의 액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고, 출구부(22)로부터 잉크가 유출하지 않는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이 경우, 도 11a에 도시된 예에 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이유로,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의 잉크가 대기 연통부(23)로부터 누출되는 가능성은 낮다.
도 13b는 기록 장치(1)의 전방부가 상측에 설정되고 기록 장치(1)의 후방부가 하측에 설정되는 자세를 예시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가 상측에 위치되고, 캐리지(2)가 하측에 위치된다. 그러나, 유로(31)의 단부(31a)가 저장 챔버(26)의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유로(31)에 유입하는 가능성은 낮다. 즉, 유로(31)의 단부(31a)가 저장 챔버(26)의 잉크 액면 위쪽에 위치된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에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이 경우, 도 11b에 도시된 예에 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이유로,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의 잉크가 대기 연통부(23)로부터 누출되는 가능성은 낮다.
도 14b는 기록 장치(1)가 반전된 자세를 예시한다. 이 자세에서, 액체 저장 용기(6)와 기록 헤드(9)의 잉크 토출면(9a)의 높이차는 작기 때문에,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또한, 유로(31)의 단부(31a)가 저장 챔버(26)의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유로(31)가 저장 챔버(26)의 잉크로 충전되지 않고, 출구부(22)로부터 잉크가 외측으로 유출하지 않는다. 이 점으로부터도,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에 저장된 잉크가 잉크 토출면(9a)으로부터 누출하는 가능성은 낮다.
이 자세에서 기록 장치(1)가 장기간 방치되어, 외기압이 변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증가하는 경우, 대기 연통부(23)로부터 액체 저장 용기(6)로 공기가 유입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되므로, 잉크 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방치 개시 시에 비해, 외기압이 감소하는 경우, 저장 챔버(26)의 잉크가 주입 통로(28)로부터 버퍼 챔버(29a)로 이동하는 기압 상태가 설정된다. 이 경우, 도 14a에 도시된 예에 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이유로, 각각의 액체 저장 용기(6)의 잉크가 대기 연통부(23)로부터 누출되는 가능성은 낮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기록 장치(1)가 사용시와 다른 방향 자세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잉크 유출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고, 잉크 누출량이 저감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는 기록 헤드(9)가 블랙 잉크용 기록 헤드 및, 시안 잉크, 마젠타 잉크, 및 옐로우 잉크용 기록 헤드로 제공되는 예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4색용 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 챔버(26)의 개수 및 버퍼 챔버(29a 내지 29e)의 개수는 단지 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는 돌출부(26g)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6)를 예시했지만, 액체 저장 용기(6)는 돌출부(26g)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방측부(6a)에 잉크 시인면(25)을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6)가 예시되었다. 그러나, 잉크 시인면(25)은 좌측부(6b) 또는 우측부(6c)와 같은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창문부(104 내지 109)를 포함하는 하우징(101)이 예시되었으나, 임의의 창문부가 없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액체를 토출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챔버, 상기 액체의 출구부, 및 상기 저장 챔버와 상기 출구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이며,
    상기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 측의 제1 측부 및 상기 제1 측부의 반대 측의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제2 측부에 형성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기 저장 챔버 측의 단부는, 상기 저장 챔버에 상기 액체의 최대량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제2 측부를 상측에 설정한 자세에 있는 경우 상기 저장 챔버 내의 상기 액체의 액면 위쪽에 위치되는,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기 저장 챔버 측의 단부는, 상기 저장 챔버에 상기 액체의 최대량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기록 장치의 전방부를 상측에 설정한 자세에 있는 경우 상기 저장 챔버의 상기 액체의 액면 위쪽에 위치되는,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는, 상기 저장 챔버에 상기 액체의 최대량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 장치가 사용시의 자세에 있는 경우 상기 저장 챔버의 상기 액체의 액면 위쪽에 위치되는,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는, 상기 저장 챔버에 상기 액체의 최대량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 장치가 상기 기록 장치의 전방부를 하측에 설정한 자세에 있는 경우 상기 저장 챔버의 상기 액체의 액면 위쪽에 위치되는,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제2 측부를 형성하며 상기 기록 장치의 외벽부에 형성된 창문부에 대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투광성을 갖는,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챔버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주변 벽부 및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1 밀봉 부재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측부에 배치되는,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주변 벽부 및 상기 출구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형성 부재에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2 밀봉 부재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벽부의 일부는 상기 제2 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의, 상기 저장 챔버 측의 단부는 상기 주변 벽부의 상기 일부에 대해 개방되는, 기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액체를 상기 저장 챔버로 주입하도록 구성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
  11. 액체를 토출하여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 수단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챔버, 상기 액체의 출구부, 및 상기 저장 챔버와 상기 출구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로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액체 저장 용기 및 제2 액체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이며,
    상기 제1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 측의 제1 측부 및 상기 제1 측부의 반대 측의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체 저장 용기의 상기 유로는 상기 제2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기록 영역 측의 제3 측부 및 제3 측부의 반대 측의 제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액체 저장 용기의 상기 유로는 상기 제4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기록 장치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기록 장치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기록 장치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기록 영역은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제1 액체 저장 용기와 상기 제2 액체 저장 용기 사이에 위치되는, 기록 장치.
  12.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챔버, 상기 액체의 출구부, 및 상기 저장 챔버와 상기 출구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이며, 상기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액체를 토출하여 기록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제공되고, 상기 액체 저장 용기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이 실행되는 기록 영역 측의 제1 측부; 및
    상기 제1 측부의 반대 측의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제2 측부에 형성되는, 액체 저장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챔버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챔버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주변 벽부 및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측부에 배치되는, 액체 저장 용기.
KR1020210095480A 2020-07-31 2021-07-21 기록 장치 및 액체 저장 용기 KR20220015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0771A JP2022027016A (ja) 2020-07-31 2020-07-31 記録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JP-P-2020-130771 2020-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945A true KR20220015945A (ko) 2022-02-08

Family

ID=8000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480A KR20220015945A (ko) 2020-07-31 2021-07-21 기록 장치 및 액체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827024B2 (ko)
JP (1) JP2022027016A (ko)
KR (1) KR20220015945A (ko)
CN (2) CN114055948B (ko)
BR (1) BR102021014384A2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0476B2 (ja) 1992-02-26 1999-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供給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082851A (en) 1997-11-14 2000-07-0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on printing apparatus and liquid supply method to be employed in the same
CN101925466B (zh) 2008-04-16 2012-08-08 株式会社御牧工程 喷墨打印机的墨供给装置及具有该墨供给装置的喷墨打印机
JP5487755B2 (ja) * 2009-06-26 2014-05-07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498098B2 (ja) 2015-10-30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液体収容部材
JP6891398B2 (ja) 2016-03-31 2021-06-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CN209492292U (zh) 2018-09-28 2019-10-15 兄弟工业株式会社 墨罐及具有其的喷墨打印机
US20200101748A1 (en) 2018-09-28 2020-04-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tank and inkjet printer
JP7257856B2 (ja) 2019-04-05 202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21014384A2 (pt) 2022-02-22
JP2022027016A (ja) 2022-02-10
US20220032633A1 (en) 2022-02-03
CN114055948A (zh) 2022-02-18
US20240042769A1 (en) 2024-02-08
CN114055948B (zh) 2023-11-24
CN117445554A (zh) 2024-01-26
US11827024B2 (en)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035B1 (ko) 기록 장치
US10391778B2 (en) Liquid cartridge provided with deformable member, movable member, and urging member for detection of remaining amount of liquid
US10384460B2 (en) Liquid cartridge provided with deformable member and movable member for detection of remaining amount of liquid
US7309121B2 (en) Liquid supplying system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9033479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mounted on liquid ejecting apparatus
KR102661718B1 (ko)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탱크
JP2002248787A (ja) 液体噴射装置
CN116278399A (zh) 喷墨记录设备和在将墨注入墨罐时防止墨滴落的墨罐
KR20220015945A (ko) 기록 장치 및 액체 저장 용기
US9809033B2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US20230405995A1 (en) Printing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US10286669B2 (en) Liquid cartridge having air communication pipe and liquid-consum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148461A (ko) 카트리지 및 밀봉 부재
JP5804135B2 (ja) 液体収容容器
JP6187098B2 (ja)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