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472A -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472A
KR20220015472A KR1020217043337A KR20217043337A KR20220015472A KR 20220015472 A KR20220015472 A KR 20220015472A KR 1020217043337 A KR1020217043337 A KR 1020217043337A KR 20217043337 A KR20217043337 A KR 20217043337A KR 20220015472 A KR20220015472 A KR 2022001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adio wave
wave transmitting
disposed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후 자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52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3/66High-frequency adaptations
    • H01L27/3225
    • H01L27/324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33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with a light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2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223/66High-frequency adaptations
    • H01L2223/6644Packaging aspects of high-frequency amplifiers
    • H01L2223/6655Matching arrangements, e.g. arrangement of inductive and capacitiv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2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223/66High-frequency adaptations
    • H01L2223/6661High-frequency adaptations for passive devices
    • H01L2223/6677High-frequency adaptations for passive devices for antenna, e.g. antenna included within housing of semiconducto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ransceiver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와 전파 투과 구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는다. 전파 투과 구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캐어링되고, 또한 전파 투과 구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고, 제 2 투과율은 제 1 투과율보다 크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의해 전파 투과 구조를 캐어링함으로써, 전파 투과 구조의 작용에 의해,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가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의 방사 성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
본 출원은 2019년 6월 30일에 출원된 출원번호 201910588888.8이고, 발명의 명칭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선행 출원의 내용은 도입 방식으로 본문에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기존의 제4세대(4th-Generation, 4G) 이동통신은 이미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 제5세대(5th-Generation, 5G) 이동통신은 빠른 통신 속도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5G 이동 통신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4G 이동 통신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수백 배나 더 빠르다. 5G 이동통신은 주로 밀리미터파 신호를 통해 구현된다. 하지만 밀리미터파 안테나가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밀리미터파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 내부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며, 밀리미터파 신호가 전자 기기의 스크린을 투과하여 방사될 때, 전자 기기의 스크린의 비교적 낮은 투과율로 인해 안테나 방사 성능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 또는 외부 밀리미터파 신호가 전자 기기의 스크린을 투과할 때, 전자 기기의 스크린의 투과율이 비교적 낮다. 보다시피, 종래의 기술에서 5G 밀리미터파 통신 신호의 통신 성능이 좋지 않다.
본 출원은 종래의 전자 기기의 스크린이 밀리미터파 통신 신호에 대한 투과율이 낮다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서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와 전파 투과 구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는다. 전파 투과 구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캐어링되고, 또한 전파 투과 구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고, 제 2 투과율은 제 1 투과율보다 크다.
제 2 양태에서 본 출원은 안테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안테나 어셈블리는 안테나 모듈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안테나 모듈은 프리셋 범위 내에서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프리셋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제 3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전자 기기는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 4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전자 기기는 제 1 안테나 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 및 제 1 전파 투과 구조를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모듈은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제 1 안테나 모듈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며,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는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의해 캐어링되고, 또한 제 1 전파 투과 구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한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전자 기기는 제 1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고, 제 2 투과율은 제 1 투과율보다 크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2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출원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출원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출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N개의 안테나 어셈블리로 구성된 RF 안테나 어레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된 안테나 모듈로 구성된 RF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9는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은 본 출원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1은 본 출원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1 양태에서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와 전파 투과 구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는다. 전파 투과 구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캐어링되고, 또한 전파 투과 구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고, 제 2 투과율은 제 1 투과율보다 크다.
제 1 양태의 제 1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적층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전파 투과 구조는 커버 플레이트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2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 채널층, 소스 및 드레인을 포함한다. 게이트는 기판의 한쪽에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층은 게이트를 커버하고, 채널층은 게이트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게이트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 및 드레인은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에 연결된다. 전파 투과 구조는 단일층 구조이며, 전파 투과 구조는 게이트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또는 전파 투과 구조는 소스 및 드레인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3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 채널층, 소스 및 드레인을 포함한다. 게이트는 기판의 한쪽에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층은 게이트를 커버하고, 채널층은 게이트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게이트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 및 드레인은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에 연결된다. 전파 투과 구조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은 게이트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은 소스 및 드레인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4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광층, 제 1 절연층, 채널층, 소스, 드레인, 제 2 절연층, 게이트 및 평탄화층을 포함한다. 차광층은 기판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절연층은 차광층을 커버하고, 채널층은 제 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차광층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 및 드레인은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에 연결된다. 제 2 절연층은 소스 및 드레인을 커버한다. 게이트는 제 2 절연층 위에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는 단일층 구조이며, 전파 투과 구조는 차광층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또는 전파 투과 구조는 게이트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며, 또는 전파 투과 구조는 소스 및 드레인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5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광층, 제 1 절연층, 채널층, 소스, 드레인, 제 2 절연층, 게이트 및 평탄화층을 포함한다. 차광층은 기판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절연층은 차광층을 커버한다. 채널층은 제 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차광층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 및 드레인은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에 연결된다. 제 2 절연층은 소스 및 드레인을 커버한다. 게이트는 제 2 절연층 위에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과 차광층, 게이트 및 소스 중 임의의 두 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6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광층, 제 1 절연층, 채널층, 소스, 드레인, 제 2 절연층, 게이트 및 평탄화층을 포함한다. 차광층은 기판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절연층은 차광층을 커버한다. 채널층은 제 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차광층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 및 드레인은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에 연결된다. 제 2 절연층은 소스 및 드레인을 커버한다. 게이트는 제 2 절연층 위에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 제 2 전파 투과층 및 제 3 전파 투과층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과 차광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과 게이트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3 전파 투과층과 소스는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7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은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의 재료는 투명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이다.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전파 투과 구조의 재료는 화소 전극의 재료와 같다.
제 1 양태의 제 8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 향하게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는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은 어레이 기판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은 컬러 필터 기판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8 실시예를 기반으로, 제 9 실시예에서, 컬러 필터 기판은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은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은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은 공통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10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기판 및 기판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제 1 전극은 발광층 및 제 2 전극보다 기판에 더 인접하여 배치된다. 발광층은 기판을 등진 제 1 전극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2 전극은 제 1 전극을 등진 발광층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전극은 제 1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전극은 제 2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발광층은 제 1 전압 및 제 2 전압의 작용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전파 투과 구조는 단일층 구조이고, 전파 투과 구조는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11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기판 및 기판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제 1 전극은 발광층 및 제 2 전극보다 기판에 더 인접하여 배치된다. 발광층은 기판을 등진 제 1 전극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2 전극은 제 1 전극을 등진 발광층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전극은 제 1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전극은 제 2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발광층은 제 1 전압 및 제 2 전압의 작용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전파 투과 구조는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은 제 1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은 제 2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10 실시예 또는 제 11 실시예를 기반으로, 제 12 실시예에서, 제 1 전극은 양극이고, 제 2 전극은 음극이며, 또는 제 1 전극은 음극이고, 제 2 전극은 양극이다.
제 1 양태의 제 3 실시예, 제 5 실시예, 제 8 실시예, 또는 제 11 실시예를 기반으로, 제 13 실시예에서, 제 1 전파 투과 구조는 스루홀을 갖는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에서의 제 2 전파 투과 구조의 정투영은 스루홀 내에 위치한다.
제 1 양태의 제 14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서로 마주 향하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전파 투과 구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다.
제 1 양태의 제 15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스크린 본체와, 스크린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전파 투과 구조는 스크린 본체에 대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전파 투과 구조는 연장부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 2 양태에서, 본 출원은 안테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안테나 어셈블리는 안테나 모듈 및 제 1 양태, 제 1 양태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15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안테나 모듈은 프리셋 범위 내에서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프리셋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제 3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전자 기기는 제 2 양태에 따른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 4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전자 기기는 제 1 안테나 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 및 제 1 전파 투과 구조를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모듈은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제 1 안테나 모듈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며,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는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의해 캐어링되고, 또한 제 1 전파 투과 구조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한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전자 기기는 제 1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고, 제 2 투과율은 제 1 투과율보다 크다.
제 4 양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 2 안테나 모듈 및 제 2 전파 투과 구조를 더 포함한다. 제 2 안테나 모듈과 제 1 안테나 모듈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2 안테나 모듈은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밖에 위치한다. 제 2 안테나 모듈은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제 2 안테나 모듈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에 대하여 제 3 투과율을 갖는다. 제 2 전파 투과 구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캐어링된다. 또한, 제 2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전자 기기는 제 2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에 대하여 제 4 투과율을 갖는다. 제 4 투과율은 제 3 투과율보다 크다.
제 4 양태의 제 1 실시예를 기반으로, 제 2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스크린 본체와, 스크린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모듈 및 제 2 안테나 모듈은 모두 스크린 본체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는 제 1 안테나 모듈과 제 2 안테나 모듈은 모두 연장부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는 제 1 안테나 모듈은 스크린 본체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 2 안테나 모듈은 연장부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부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는 점이 자명하다. 본 출원에 기재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얻을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와 전파 투과 구조(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0)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는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캐어링되고, 또한 전파 투과 구조(120)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일부 영역을 커버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는 전파 투과 구조(12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고, 제 2 투과율은 제 1 투과율보다 크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직접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베어링 필름(bearing film)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내장될 수 있다. 전파 투과 구조(120)가 베어링 필름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배치되는 경우, 베어링 필름은 플라스틱(예를 들어,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플렉서블 회로 기판(flexible circuit board), 인쇄 회로 기판 등일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PET 필름은 컬러 필름, 방폭 필름(explosion-proof film) 등일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일부 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전부를 커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서로 마주 향하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내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외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전자 기기에서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과,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과 적층 배치된 커버 플레이트(100b)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은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100b)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 위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을 보호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커버 플레이트(100b)에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에 가까운 커버 플레이트(100b)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을 등진 커버 플레이트(100b)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파 투과 구조(120)는 커버 플레이트(100b)에 내장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00b)는 독립된 부품이기 때문에, 전파 투과 구조(120)는 커버 플레이트(100b)에 배치되고, 또한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에 가까운 커버 플레이트(100b)의 표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을 등진 커버 플레이트(100b)의 표면에 배치되는 경우, 전파 투과 구조(120)와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결합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전부를 커버하고,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에 가까운 커버 플레이트(100b)의 표면에 직접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단일 주파수 단일 편파, 단일 주파수 이중 편파, 이중 주파수 이중 편파, 이중 주파수 단일 편파, 광대역 단일 편파, 광대역 이중 편파 등 특성 중 임의의 한가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이중 주파수 공진 응답, 단일 주파수 공진 응답, 광대역 공진 응답 또는 다중 주파수 공진 응답 중 어느 하나를 갖는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전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배치된 전파 투과 구조(120)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의해 여기될 수 있고, 전파 투과 구조(120)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따라 프리셋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파 투과 구조(120)에 의해 생성된 RF 신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를 투과하여 자유 공간으로 방사될 수 있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여기되어 프리셋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를 투과하여 자유 공간으로 방사되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의 양이 증가된다. 즉 전파 투과 구조(120)를 배치함으로써,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는 전파 투과 구조(120)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유전율은 프리셋 재료의 유전율과 동일할 수 있다. 프리셋 재료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이 비교적 높고, 프리셋 재료의 등가파 임피던스는 자유 공간의 등가파 임피던스와 같거나 비슷하다.
RF 신호는 밀리미터파 대역(millimeter wave band) 또는 테라헤르츠 대역(terahertz band)의 RF 신호일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 제5세대(5th generation wireless systems, 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3GPP TS 38.101 프로토콜의 규정에 따라 5G NR(new radio)는 주로 FR1 주파수 대역 및 FR2 주파수 대역의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FR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는 450MHz 내지 6MHz이며, Sub-6GHz 주파수 대역이라고도 한다. FR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는 24.25MHz 내지 52.6MHz이며, 밀리미터파(mm Wave) 대역에 속한다. 3GPP 릴리스 15 버전은 현재 5G 밀리미터파의 주파수 대역은 n257(26.5~29.5GHz), n258(24.25~27.5GHz), n261(27.5~28.35GHz), n260(37~40GHz)을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의해 캐어링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작용에 의해,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가 전자 기기(1)에 적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의 방사 성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1)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파 투과 구조(120)의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하, ‘광 투과율’이라고 함)은 프리셋 투과율보다 크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프리셋 투과율은 80%일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파 투과 구조(120)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적용되고, 전파 투과 구조(120)의 광 투과율이 프리셋 투과율보다 크기 때문에, 전파 투과 구조(120)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투과율이 높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정상적인 표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도 2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편리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단지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111b)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어레이 기판(111)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은 기판(111a)과, 기판(111a)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111b)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111b)는 게이트(510), 게이트 절연층(520), 채널층(530), 소스(540) 및 드레인(550)을 포함한다. 게이트(510)는 기판(111a)의 한쪽에 설치된다. 게이트 절연층(520)은 게이트(510)를 커버하고, 채널층(530)은 게이트 절연층(520) 위에 배치되고 또한 게이트(5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채널층(530)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530)에 연결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단일층 구조이며 또한 게이트(510)와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111b)는 평탄화층(580)을 더 포함한다. 평탄화층(580)은 소스(540) 및 드레인(550)을 커버한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의해 캐어링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작용에 의해,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가 전자 기기(1)에 적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의 방사 성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1)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와 게이트(510)가 동일한 층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전파 투과 구조(120)와 게이트(510)는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구조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구조와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소스(540) 및 드레인(55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111b)는 평탄화층(580)을 더 포함한다. 평탄화층(580)은 소스(540), 드레인(550) 및 전파 투과 구조(120)를 커버한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의해 캐어링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작용에 의해,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가 전자 기기(1)에 적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의 방사 성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1)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게이트(510)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전파 투과 구조(120)와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어레이 기판(111)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은 기판(111a)과, 기판(111a)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111b)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111b)는 게이트(510), 게이트 절연층(520), 채널층(530), 소스(540) 및 드레인(550)을 포함한다. 게이트(510)는 기판(111a)의 한쪽에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층(520)은 게이트(510)를 커버하고, 채널층(530)은 게이트 절연층(520) 위에 배치되고 또한 게이트(5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채널층(530)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530)에 연결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121) 및 제 2 전파 투과층(122)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게이트(510)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122)은 소스(540) 및 드레인(55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의해 캐어링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작용에 의해,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가 전자 기기(1)에 적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의 방사 성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1)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와 게이트(510)가 동일한 층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게이트(510)는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 2 전파 투과층(122)은 소스(540) 및 드레인(550)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어레이 기판(111)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은 기판(111a)과, 기판(111a)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111b)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111b)는 차광층(590), 제 1 절연층(560), 채널층(530), 소스(540), 드레인(550), 제 2 절연층(570), 게이트(510) 및 평탄화층(580)을 포함한다. 차광층(590)은 기판(111a)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절연층(560)은 차광층(590)을 커버하고, 채널층(530)은 제 1 절연층(560) 위에 배치되고 또한 차광층(59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채널층(530)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530)에 연결된다. 제 2 절연층(570)은 소스(540) 및 드레인(550)을 커버한다. 게이트(510)는 제 2 절연층(570) 위에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단일층 구조이며 또한 차광층(59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게이트(510)와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소스(540) 및 드레인(55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111b)는 평탄화층(580)을 더 포함한다. 평탄화층(580)은 게이트(510)를 커버한다. 도 6에서는 전파 투과 구조(120)가 소스(540) 및 드레인(55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캐어링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작용에 의해,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가 전자 기기(1)에 적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의 방사 성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1)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파 투과 구조(120)와 게이트(510)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거나, 또는 전파 투과 구조(120)와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어레이 기판(111)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은 기판(111a)과, 기판(111a)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111b)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111b)는 차광층(590), 제 1 절연층(560), 채널층(530), 소스(540), 드레인(550), 제 2 절연층(570), 게이트(510) 및 평탄화층(580)을 포함한다. 차광층(590)은 기판(111a)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절연층(560)은 차광층(590)을 커버한다. 채널층(530)은 제 1 절연층(560) 위에 배치되고 또한 차광층(59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채널층(530)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530)에 연결된다. 제 2 절연층(570)은 소스(540) 및 드레인(550)을 커버한다. 게이트(510)는 제 2 절연층(570) 위에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121) 및 제 2 전파 투과층(122)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 및 제 2 전파 투과층(122)과 차광층(590), 게이트(510) 및 소스(540) 중 임의의 두 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도 7에서는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차광층(59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122)과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 것을 예시한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캐어링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작용에 의해,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가 전자 기기(1)에 적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 모듈의 방사 성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1)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전파 투과층(121) 및 제 2 전파 투과층(122)과 차광층(590), 게이트(510) 및 소스(540) 중 임의의 두 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1 전파 투과층(121) 및 제 2 전파 투과층(122)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차광층(59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차광층(590)은 차광층(590)을 등진 기판(111a)의 표면으로부터 채널층(530)으로 입사하는 광선으로 인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이 비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출원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어레이 기판(111)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은 기판(111a)과, 기판(111a)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111b)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111b)는 차광층(590), 제 1 절연층(560), 채널층(530), 소스(540), 드레인(550), 제 2 절연층(570), 게이트(510) 및 평탄화층(580)을 포함한다. 차광층(590)은 기판(111a)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절연층(560)은 차광층(590)을 커버한다. 채널층(530)은 제 1 절연층(560) 위에 배치되고 또한 차광층(59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채널층(530)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채널층(530)에 연결된다. 제 2 절연층(570)은 소스(540) 및 드레인(550)을 커버한다. 게이트(510)는 제 2 절연층(570) 위에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121), 제 2 전파 투과층(122) 및 제 3 전파 투과층(123)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차광층(59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122)과 소스(540) 및 드레인(55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3 전파 투과층(123)과 게이트(510)는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출원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는 어레이 기판(111), 컬러 필터 기판(112) 및 액정층(113)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과 컬러 필터 기판(112)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 향하게 배치된다. 액정층(113)은 어레이 기판(111)과 컬러 필터 기판(112) 사이에 설치된다. 어레이 기판(111)은 화소 전극(610)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610)의 재료는 투명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이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는 화소 전극(61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전파 투과 구조(120)의 재료는 화소 전극(610)의 재료와 같다. 화소 전극(610)은 박막 트랜지스터(111b)의 드레인(5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화소 전극(610)은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111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화소 전극(610)은 그 중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111b)에 결합된 것을 예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출원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111) 및 컬러 필터 기판(112)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과 컬러 필터 기판(112)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 향하게 배치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제 1 전파 투과층(121) 및 제 2 전파 투과층(122)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은 어레이 기판(111)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122)은 컬러 필터 기판(112)에 배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는 액정층(113)을 더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과 컬러 필터 기판(112)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 향하게 배치되고, 액정층(113)은 어레이 기판(111)과 컬러 필터 기판(11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컬러 필터 기판(112)은 화소 전극(610)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11)은 공통 전극(1121)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화소 전극(61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122)은 공통 전극(1121)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화소 전극(610)과 공통 전극(1121)은 협력하여 액정층(113)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한다.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도 11은 본 출원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기판(111a) 및 기판(111a)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발광 소자(700)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700)는 제 1 전극(710), 발광층(730) 및 제 2 전극(72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710)은 발광층(730) 및 제 2 전극(720)보다 기판(111a)에 더 인접하여 배치된다. 발광층(730)은 기판(111a)을 등진 제 1 전극(710)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2 전극(720)은 제 1 전극(710)을 등진 발광층(730)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전극(710)은 제 1 전압을 로드(load)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전극(720)은 제 2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발광층(730)은 제 1 전압 및 제 2 전압의 작용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단일층 구조이고, 전파 투과 구조(120)는 제 1 전극(710) 또는 제2 전극(72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도 12에서는 전파 투과 구조(120)와 제 1 전극(710)이 동일한 층에 배치된 것을 예시한다.
이하, 발광 소자(7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전극(710)은 양극이고, 제 2 전극(720)은 음극이다. 제 1 전극(710)은 정공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 2 전극(720)은 전자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1 전극(710)에 의해 생성된 정공과 제 2 전극(720)에 의해 생성된 전자는 발광층(730)에서 결합되어 광선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전극(710)은 음극이고, 제 2 전극(720)은 양극이다. 또한, 발광 소자(700)는 정공 주입 수송층(740) 및 전자 주입 수송층(750)을 더 포함한다. 제 1 전극(710)이 양극이고 제 2 전극(720)이 음극인 경우, 정공 주입 수송층(740)은 제 1 전극(710)과 발광층(73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전극(710)에 의해 생성된 정공을 발광층(730)으로 수송한다. 전자 주입 수송층(750)은 제 2 전극(720)과 발광층(730)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전극(720)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발광층(730)으로 수송한다.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도 13은 본 출원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기판(111a) 및 기판(111a)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발광 소자(700)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700)는 제 1 전극(710), 발광층(730) 및 제 2 전극(72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710)은 발광층(730) 및 제 2 전극(720)보다 기판(111a)에 더 인접하여 배치된다. 발광층(730)은 기판(111a)을 등진 제 1 전극(710)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2 전극(720)은 제 1 전극(710)을 등진 발광층(730)의 한쪽에 배치된다. 제 1 전극(710)은 제 1 전압을 로드(load)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전극(720)은 제 2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발광층(730)은 제 1 전압 및 제 2 전압의 작용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제 1 전파 투과층(121) 및 제 2 전파 투과층(122)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제 1 전극(71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제 2 전파 투과층(122)은 제 2 전극(72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전극(710)은 양극이고, 제 2 전극(720)은 음극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전극(710)은 음극이고, 제2 전극(720)은 양극이다. 발광 소자(700)는 정공 주입 수송층(740) 및 전자 주입 수송층(750)을 더 포함한다. 제 1 전극(710)이 양극이고 제 2 전극(720)이 음극인 경우, 정공 주입 수송층(740)은 제 1 전극(710)과 발광층(73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전극(710)에 의해 생성된 정공을 발광층(730)으로 수송한다. 전자 주입 수송층(750)은 제 2 전극(720)과 발광층(730)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전극(720)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발광층(730)으로 수송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제 2 전파 투과층(122) 사이에 절연층(761)이 배치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출원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스크린 본체(410)와, 스크린 본체(410)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된 연장부(420)를 포함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스크린 본체(4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적층 배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 및 커버 플레이트(100b)를 포함하고, 전파 투과 구조(1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에 대향하는 커버 플레이트(100b)의 표면에 배치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은 본 출원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구조는 본 출원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구조와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전파 투과 구조(120)는 연장부(42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파 투과 구조(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서로 커플링되는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제 2 전파 투과층(122)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는 스루홀(1251)을 갖는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에서의 제 2 전파 투과 구조(126)의 정투영은 스루홀(1251) 내에 위치한다.
전파 투과 구조(12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제 2 전파 투과층(122)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제 2 전파 투과층(122)은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전파 투과 구조(12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한 투과율은 전파 투과 구조(120)가 배치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보다 높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은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복수의 공진 소자(120b)를 포함한다. 공진 소자(120b)는 주기적으로 배치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는 본 출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복수의 공진 소자(120b)를 포함한다. 공진 소자(120b)는 비주기적으로 배치된다.
도 20,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도 20은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2는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2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121), 제 2 전파 투과층(122) 및 제 3 전파 투과층(123)을 포함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제 2 전파 투과층(122) 사이에는 제 1 유전체층(111)이 배치된다. 제 2 전파 투과층(122)과 제 3 전파 투과층(123) 사이에는 제 2 유전체층(112)이 배치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 제 1 유전체층(111), 제 2 전파 투과층(122), 제 2 유전체층(112) 및 제 3 전파 투과층(123)은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된다.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치(patch)(1211)를 포함한다. 제 2 전파 투과층(122)은 주기적으로 배치된 그리드 구조(1221)를 포함한다. 제 3 전파 투과층(123)은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제 2 패치(1231)를 포함한다. 제 1 패치(1211) 또는 제 2 패치(1231)의 사이즈(L1)가 작을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쪽으로 이동하고 대역폭은 좁아진다. 제 2 전파 투과층(122)의 그리드 구조(1221)의 폭(W1)이 작을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쪽으로 이동하고 대역폭은 넓어진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주기(P)가 클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쪽으로 이동하고 대역폭은 넓어진다. 전파 투과 구조(120)가 두꺼울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쪽으로 이동하고 대역폭은 좁아진다. 유전체 기판(110)의 유전율이 클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쪽으로 이동하고 대역폭은 좁아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그리드 구조(1221)는 4개의 제 1 패치(1211)에 대응하고, 하나의 그리드 구조(1221)는 4개의 제 3 패치(1231)에 대응하며, 전파 투과 구조(120)의 하나의 주기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23은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등가 회로도이다. 상기 등가 회로도에서는 제 1 전파 투과층(121)의 인덕턴스(inductance), 제 3 전파 투과층(123)의 인덕턴스, 및 제 2 전파 투과층(122)의 정전 용량(capacitance)과 같은 프리셋 주파수 대역에 영향을 덜 미치는 요인은 무시하고 있다. 상기 등가 회로도에서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커패시터(C1)에 해당하고, 제 2 전파 투과층(122)은 커패시터(C2)에 해당하며, 제 1 전파 투과층(121)과 제 2 전파 투과층(122)의 커플링 커패시턴스(coupling capacitance)는 커패시터(C3)에 해당하고, 제 3 전파 투과층(123)은 인덕턴스(L)에 해당한다. 또한, Z0은 자유 공간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나타내고, Z1은 유전체 기판(110)의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Z1=Z0/(Dk)1/2이다.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f0은 f0=1/[2π/(LC)1/2]이다. 대역폭 Δf와 중심 주파수 f0의 비율 Δf/f0은 (L/C)1/2에 정비례한다. 보다시피, 제 1 패치(1211) 또는 제 2 패치(1231)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쪽으로 이동하고,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좁아진다. 제 2 전파 투과층(122)의 그리드 구조(1221)의 폭이 작을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쪽으로 이동하고,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전파 투과층(120a)의 주기가 클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 쪽으로 이동하고,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넓어진다. 전파 투과층(120a)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쪽으로 이동하고,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좁아진다. 유전체 기판(110)의 유전율이 클수록 프리셋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쪽으로 이동하고,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좁아진다.
제 1 유전체층(111) 및 제 2 유전체층(112)은 일반적으로 6 내지 7.6 범위의 유전율을 갖는 유리로 이루어진다. 프리셋 주파수 대역이 20GHz 내지 35GHz일 때, 제 1 패치(1211)의 사이즈 범위는 일반적으로 0.5mm 내지 0.8mm이다. 제 2 전파 투과층(128)에 있어서의 그리드 구조의 중실 부분의 폭 범위는 일반적으로 0.1mm 내지 0.5mm이다. 한 주기의 길이 범위는 일반적으로 1.5mm 내지 3mm이다. 전파 투과 구조(120)를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적용하는 경우, 안테나 모듈(200)의 상면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0 이상이면 되며, 일반적으로 0.5mm 내지 1.2mm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 24는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120)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120)와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제 4 실시예에서 제 1 패치(1211)는 직사각형 패치이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치(1211)를 포함하고, 제 1 패치(1211)는 원형이다. 선택적으로, 원형 제 1 패치(1211)의 직경 D의 범위는 0.5 내지 0.8mm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전파 투과층(123)은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제 2 패치(1231)를 포함한다. 제 2 패치(1231)는 원형이다. 선택적으로, 원형 제 2 패치(1231)의 직경 D의 범위는 0.5 내지 0.8mm이다. 제 3 전파 투과층(123)의 구조는 제 1 전파 투과층(121)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도 25는 본 출원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12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120)와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제 4 실시예에서, 제 1 패치(1211)는 직사각형 패치이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치(1211)를 포함하고, 제 1 패치(1211)는 환상이다. 제 1 패치(1211)의 재료가 금속이고, 또한 제 1 패치(1211)가 환상인 경우에 전파 투과 구조(120)의 투명도(가시광 투과율)를 높일 수 있다. 환상 제 1 패치(1211)는 외경(Do) 및 내경(Di)을 갖는다. 외경 Do는 통상 0.5~0.8mm의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외경 Do와 내경 Di의 차(즉, Do-Di)의 값이 작을수록, 전파 투과 구조(120)의 가시광 투과율은 높아지지만,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은 커진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가시광 투과율과 삽입 손실을 겸하여 고려하도록, Do-Di의 값은 통상 0.5mm 이상이다. 제 3 전파 투과층(123)의 구조는 제 1 전파 투과층(121)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26은 본 출원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12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120)와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제 4 실시예에서, 제 1 패치(1211)는 직사각형 패치이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전파 투과층(121)은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치(1211)를 포함하고, 제 1 패치(1211)는 정방형 환상 패치이다. 정방형의 환상 제 1 패치(1211)는 외측변 및 내측변을 포함한다. 외측변의 길이 Lo는 통상 0.5~0.8mm의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외측변의 길이(Lo)와 내측변의 길이(Li)의 차(즉, Lo-Li)의 값이 작을수록, 전파 투과 구조(120)의 가시광 투과율은 높아지지만, 삽입 손실은 커진다. 전파 투과 구조(120)의 가시광 투과율과 삽입 손실을 겸하여 고려하도록, Lo-Li의 값은 통상 0.5mm 이상이다. 제 3 전파 투과층(123)의 구조는 제 1 전파 투과층(121)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27은 본 출원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의 제 1 전파 투과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120)는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치(1211)를 포함한다. 각 제 1 패치(1211)는 모두 정방형 금속 그리드 패치이다. 구체적으로, 제 1 패치(1211)는 복수의 제 1 브랜치(1212) 및 복수의 제 2 브랜치(1213)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브랜치(12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브랜치(1213)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 2 브랜치(1213)와 제 1 브랜치(1212)는 서로 교차되고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 1 브랜치(1212)는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제 1 브랜치(1212)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제 2 브랜치(1213)는 제 1 브랜치(1212)와 수직으로 교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패치(1211)의 변의 길이는 0.5 내지 0.8mm 범위에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도 2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안테나 어셈블리(10)는 안테나 모듈(200) 및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안테나 모듈(200)은 프리셋 범위 내에서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의 전파 투과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는 프리셋 범위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셈블리(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는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0)를 예시로 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도 29는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자 기기(1)는 안테나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안테나 어셈블리(10)는 상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도 30은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자 기기(1)는 안테나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안테나 어셈블리(10)는 상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스크린 본체(410)와, 스크린 본체(410)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된 연장부(420)를 포함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스크린 본체(4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도 32는 본 출원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3은 도 32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자 기기(1)는 안테나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안테나 어셈블리(10)는 상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스크린 본체(410)와, 스크린 본체(410)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된 연장부(420)를 포함한다. 전파 투과 구조(120)는 연장부(42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 34를 참조하면, 도 34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안테나 모듈(20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칩(230), 절연 기판(2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를 포함한다. RF 칩(230)은 여기 신호(RF 신호라고도 함)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RF 칩(23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보다 전파 투과 구조(12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절연 기판(24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RF 칩(230)은 절연 기판(240)에 내장된 전송 라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절연 기판(240)은 제 1 표면(240a) 및 제 1 표면(240a)에 대향하는 제 2 표면(240b)을 포함한다. 절연 기판(24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제 1 표면(240a)에 배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절연 기판(240)에 내장된다. 도 34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제 1 표면(240a)에 배치되고, RF 칩(230)은 제 2 표면(240b)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RF 칩(230)에 의해 생성된 여기 신호는 절연 기판(240)에 내장된 전송 라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로 전송된다. RF 칩(230)은 절연 기판(240)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 신호는 절연 기판(240)에 내장된 전송 라인을 통해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여기 신호를 수신하고, 여기 신호를 기반으로 밀리미터파 신호를 생성한다.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패치 안테나일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RF 칩(23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보다 전파 투과 구조(12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RF 칩(230)이 여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는 전파 투과 구조(120)를 등진 절연 기판(240)의 한쪽에 있다. 즉, RF 칩(230)은 절연 기판(240)의 제 2 표면(240b)에 인접하고 절연 기판(240)의 제 1 표면(240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각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적어도 하나의 송전점(251)을 포함한다. 각 송전점(251)은 모두 전송 라인을 통해 RF 칩(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송전점(251)과 각 송전점(251)에 대응하는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다. 송전점(25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의 입력 임피던스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송전점(251)과 각 송전점(251)에 대응하는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의 입력 임피던스를 조정한다.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의 입력 임피던스와 RF 칩(230)의 출력 임피던스가 일치하도록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의 입력 임피던스를 조정한다.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의 입력 임피던스와 RF 칩(230)의 출력 임피던스가 일치하는 경우, RF 신호에 의해 생성된 여기 신호의 반사량이 가장 작다.
도 35를 참조하면, 도 3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2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200)과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모듈(200)은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모듈(200)은 RF 칩(230), 절연 기판(240),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 및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를 포함한다. RF 칩(230)은 여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절연 기판(240)은 제 1 표면(240a) 및 제 1 표면(240a)에 대향하는 제 2 표면(240b)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제 1 표면(240a)에 배치된다. RF 칩(230)은 제 2 표면(240b)에 배치된다. RF 칩(230)에 의해 생성된 여기 신호는 절연 기판(240)에 내장된 전송 라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로 전송된다. RF 칩(230)은 절연 기판(240)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 신호는 절연 기판(240)에 내장된 전송 라인을 통해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로 전송된다.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여기 신호를 수신하고, 여기 신호를 기반으로 밀리미터파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RF 칩(230)은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보다 전파 투과 구조(12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RF 칩(230)이 여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는 전파 투과 구조(120)를 등진 절연 기판(240)의 한쪽에 있다.
또한, 각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적어도 하나의 송전점(251)을 포함한다. 각 송전점(251)은 모두 전송 라인을 통해 RF 칩(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송전점(251)과 각 송전점(251)에 대응하는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절연 기판(240)에 내장된다. 제 2 안테나 방사체(260)와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와 결합되어 적층 안테나를 형성한다. 제 2 안테나 방사체(260)와 제 1 안테나 방사체(250)가 결합되어 적층 안테나를 형성하는 경우,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RF 칩(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RF 칩(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에서 방사되는 밀리미터파 신호와 결합하고, 또한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결합된 제 1 안테나 방사체(250)에서 방사되는 밀리미터파 신호를 기반으로 새로운 밀리미터파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모듈(200)이 HDI(High Density, Interconnect)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절연 기판(240)은 코어층(241) 및 코어층(241)의 대향하는 양측에 적층 배치된 복수의 배선층(242)을 포함한다. 코어층(241)은 절연층이고, 일반적으로 각 배선층(242) 사이에 절연층(243)이 배치되어 있다. 전파 투과 구조(120)에 인접하는 코어층(241)의 한쪽에 위치하고 또한 코어층(24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배선층(242)의 외부 표면은 절연 기판(240)의 제 1 표면(240a)을 형성한다. 전파 투과 구조(120)를 등진 코어층(241)의 한쪽에 위치하고 또한 코어층(24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배선층(242)의 외부 표면은 절연 기판(240)의 제 2 표면(240b)을 형성한다.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제 1 표면(240a)에 배치된다.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절연 기판(240)에 내장된다. 즉,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안테나 방사체를 배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다른 배선층(24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절연 기판(240)의 표면에 배치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 기판(240)이 8층 구조인 것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절연 기판(240)은 다른 층수일 수도 있다. 절연 기판(240)은 코어층(241), 제 1 배선층(TM1), 제 2 배선층(TM2), 제 3 배선층(TM3), 제 4 배선층(TM4), 제 5 배선층(TM5), 제 6 배선층(TM6), 제 7 배선층(TM7) 및 제 8 배선층(TM8)을 포함한다. 제 1 배선층(TM1), 제 2 배선층(TM2), 제 3 배선층(TM3), 제 4 배선층(TM4)은 코어층(241)의 하나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배선층(TM1)은 제 4 배선층(TM4)보다 코어층(241)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코어층(241)을 등진 제1 배선층(TM1)의 표면은 절연 기판(240)의 제 1 표면(240a)이다. 제 5 배선층(TM5), 제 6 배선층(TM6), 제 7 배선층(TM7) 및 제 8 배선층(TM8)은 코어층(241)의 하나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8 배선층(TM8)은 제 5 배선층(TM5)보다 코어층(241)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코어층(241)을 등진 제 8 배선층(TM8)의 표면은 절연 기판(240)의 제 2 표면(240b)이다. 일반적으로 제 1 배선층(TM1), 제 2 배선층(TM2), 제 3 배선층(TM3), 제 4 배선층(TM4)은 안테나 방사체를 배치할 수 있는 배선층이며, 제 5 배선층(TM5)은 접지 전극이 배치된 접지층이며, 제 6 배선층(TM6), 제 7 배선층(TM7) 및 제 8 배선층(TM8)은 안테나 모듈(200)의 송전망 및 제어 라인이 배치된 배선층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코어층(241)을 등진 제 1 배선층(TM1)의 표면에 배치되고,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제 3 배선층(TM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5에서는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제 1 배선층(TM1)의 표면에 배치되고,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제 3 배선층(TM3)에 배치된 것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는 코어층(241)을 등진 제 1 배선층(TM1)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안테나 방사체(260)는 제 2 배선층(TM2) 또는 제 4 배선층(TM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연 기판(240)의 제 1 배선층(TM1), 제 2 배선층(TM2), 제 3 배선층(TM3), 제 4 배선층(TM4), 제 6 배선층(TM6), 제 7 배선층(TM7) 및 제 8 배선층(TM8)은 모두 제 5 배선층(TM5)의 접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절연 기판(240)의 제 1 배선층(TM1), 제 2 배선층(TM2), 제 3 배선층(TM3), 제 4 배선층(TM4), 제 6 배선층(TM6), 제 7 배선층(TM7) 및 제 8 배선층(TM8)은 모두 스루 홀을 갖는다. 스루 홀에 금속 재료를 배치함으로써 제 5 배선층(TM5)의 접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 배선층(242)의 구성 요소가 접지된다.
또한, 제 7 배선층(TM7) 및 제 8 배선층(TM8)에는 전력선(271)과 제어선(272)이 배치되어 있다. 전력선(271) 및 제어선(272)은 각각 RF 칩(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력선(271)은 RF 칩(230)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어 라인(272)은 RF 칩(23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RF 칩(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도 36을 참조하면, 도 3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N RF 안테나 어레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자 기기(1)는 M×N개의 안테나 어셈블리(10)로 구성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한다. M은 양의 정수이고, N은 양의 정수이다. 도 36은 4×1개의 안테나 어셈블리(10)로 구성된 안테나 어레이를 예시한다. 안테나 어셈블리(10)의 안테나 모듈(200)에서, 절연 기판(240)은 복수의 금속화 비아 홀 그리드(metalized via hole grid)(244)를 더 포함한다. 금속화 비아 홀 그리드(244)는 각 제 1 안테나 방사체(250)를 둘러쌈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제 1 안테나 방사체(250) 사이의 격리도(isolation)를 향상시킨다. 도 37을 참조하면, 도 3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된 안테나 모듈로 구성된 RF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금속화 비아 홀 그리드(244)가 복수의 안테나 모듈(200)로 RF 안테나 어레이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경우, 금속화 비아 홀 그리드(244)는 인접한 안테나 모듈(200) 사이의 격리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따라서 각 안테나 모듈(200)에 의해 생성된 밀리미터파 신호의 간섭을 감소하고 심지어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200)에 관하여, 안테나 모듈(200)이 패치 안테나, 또는 적층 안테나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안테나 모듈(200)은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 자기 전기 다이폴 안테나(magnetic electric dipole antenna), 준야키 안테나(quasi-Yagi antenna)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어셈블리(10)는 패치 안테나, 적층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 자기 전기 다이폴 안테나, 준 야기 안테나(quasi-Yagi antenna)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여러가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N개의 안테나 어셈블리(10)의 유전체 기판(110)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구조로 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전자 기기(1)를 더 제공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도 38은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자 기기(1)는 제 1 안테나 모듈(210),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 및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를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모듈(210)은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제 1 안테나 모듈(210)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며,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는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캐어링된다. 또한,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고,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프리셋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전자 기기(1)는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는다. 제 2 투과율은 제 1 투과율보다 크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는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는 중간 프레임(80) 및 배터리 커버(90)를 더 포함한다. 중간 프레임(8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를 캐어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배터리 커버(9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와 협력하여 중간 프레임(80) 및 다른 전자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도 38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적층 배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과 커버 플레이트(100b)를 포함하고,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는 커버 플레이트(100b)를 등진 디스플레이 스크린(100a)의 한쪽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도 39는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는 본 출원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와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1)는 제 2 안테나 모듈(220) 및 제 2 전파 투과 구조(126)를 더 포함한다. 제 2 안테나 모듈(220)과 제 1 안테나 모듈(210)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2 안테나 모듈(220)은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밖에 위치한다. 제 2 안테나 모듈(220)은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제 2 안테나 모듈(220)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의 일부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에 대하여 제 3 투과율을 갖는다. 제 2 전파 투과 구조(126)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에 캐어링된다. 또한, 제 2 전파 투과 구조(126)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전자 기기(1)는 제 2 전파 투과 구조(126)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에 대하여 제 4 투과율을 갖는다. 제 4 투과율은 제 3 투과율보다 크다.
제 1 전파 투과 구조(125) 및 제 2 전파 투과 구조(126)는 모두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 투과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110)는 스크린 본체(410)와, 스크린 본체(410)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된 연장부(420)를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모듈(210) 및 제 2 안테나 모듈(220)은 모두 스크린 본체(4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 40을 참조하면, 도 40은 본 출원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는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와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모듈(210)과 제 2 안테나 모듈(220)은 모두 연장부(42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 41을 참조하면, 도 41은 본 출원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는 본 출원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와 거의 같다. 다른 점이라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모듈(210)이 스크린 본체(410)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 2 안테나 모듈(220)은 연장부(42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이상,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에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변경, 수정, 교체 및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선 및 윤색도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1)

  1.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와 전파 투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캐어링되고, 또한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상기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제 2 투과율은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적층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 채널층, 소스 및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기판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층은 상기 게이트를 커버하고, 상기 채널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게이트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은 상기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상기 채널층에 연결되며,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단일층 구조이며,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게이트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또는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게이트 절연층, 채널층, 소스 및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기판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층은 상기 게이트를 커버하고, 상기 채널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게이트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은 상기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상기 채널층에 연결되며,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파 투과층은 상기 게이트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파 투과층은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광층, 제 1 절연층, 채널층, 소스, 드레인, 제 2 절연층, 게이트 및 평탄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기판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은 상기 차광층을 커버하고, 상기 채널층은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차광층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은 상기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상기 채널층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절연층은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을 커버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제 2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단일층 구조이며,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차광층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또는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게이트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며, 또는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광층, 제 1 절연층, 채널층, 소스, 드레인, 제 2 절연층, 게이트 및 평탄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기판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은 상기 차광층을 커버하고, 상기 채널층은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차광층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은 상기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상기 채널층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절연층은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을 커버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제 2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파 투과층 및 상기 제 2 전파 투과층과 상기 차광층, 상기 게이트 및 상기 소스 중 임의의 두 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광층, 제 1 절연층, 채널층, 소스, 드레인, 제 2 절연층, 게이트 및 평탄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기판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연층은 차광층을 커버하고, 상기 채널층은 상기 제 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차광층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은 상기 채널층의 대향하는 양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모두 상기 채널층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절연층은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을 커버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제 2 절연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 배치된 제 1 전파 투과층, 제 2 전파 투과층 및 제 3 전파 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파 투과층과 상기 차광층은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파 투과층과 상기 게이트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전파 투과층과 상기 소스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은 화소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전극의 재료는 투명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이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의 재료는 상기 화소 전극의 재료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파 투과층은 상기 어레이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파 투과층은 상기 컬러 필터 기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은 공통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파 투과층은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파 투과층은 상기 공통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기판 및 기판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발광층 및 상기 제 2 전극보다 상기 기판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기판을 등진 상기 제 1 전극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을 등진 상기 발광층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제 2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의 작용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단일층 구조이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발광층 및 상기 제 2 전극보다 상기 기판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기판을 등진 상기 제 1 전극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을 등진 상기 발광층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제 2 전압을 로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 1 전압 및 상기 제 2 전압의 작용에 의해 발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제 1 전파 투과층 및 제 2 전파 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파 투과층은 상기 제 1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파 투과층은 상기 제 2 전극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 2 전극은 음극이며, 또는 상기 제 1 전극은 음극이고, 상기 제 2 전극은 양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4. 제 4 항, 제 6 항, 제 9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파 투과 구조는 스루홀을 갖고, 상기 제 1 전파 투과 구조에서의 상기 제 2 전파 투과 구조의 정투영은 상기 스루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서로 마주 향하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내부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스크린 본체와, 상기 스크린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스크린 본체에 대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7. 안테나 어셈블리로서,
    안테나 모듈 및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프리셋 범위 내에서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리셋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셈블리.
  18. 전자 기기로서,
    제 17 항에 기재된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전자 기기로서,
    제 1 안테나 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 및 제 1 전파 투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은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며, 프리셋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에 대하여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제 1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의해 캐어링되고, 또한 상기 제 1 전파 투과 구조는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제 1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RF 신호에 대하여 제 2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제 2 투과율은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제 2 안테나 모듈 및 제 2 전파 투과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과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제 1 프리셋 방향 범위 밖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의 일부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에 대하여 제 3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제 2 전파 투과 구조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에 캐어링되고, 또한, 상기 제 2 전파 투과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프리셋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 2 전파 투과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2 RF 신호에 대하여 제 4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제 4 투과율은 상기 제 3 투과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본체는 스크린 본체와, 상기 스크린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어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 및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모두 상기 스크린 본체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또는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과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모두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또는 상기 제 1 안테나 모듈은 상기 스크린 본체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217043337A 2019-06-30 2020-06-19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 KR202200154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88888.8A CN112235005B (zh) 2019-06-30 2019-06-30 显示屏组件、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201910588888.8 2019-06-30
PCT/CN2020/096942 WO2021000746A1 (zh) 2019-06-30 2020-06-19 显示屏组件、天线组件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472A true KR20220015472A (ko) 2022-02-08

Family

ID=7410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337A KR20220015472A (ko) 2019-06-30 2020-06-19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85078A1 (ko)
EP (1) EP3979508A4 (ko)
JP (1) JP2022537219A (ko)
KR (1) KR20220015472A (ko)
CN (1) CN112235005B (ko)
WO (1) WO20210007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066B2 (ja) * 1996-08-05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7583335B2 (en) * 2000-06-27 2009-09-01 Citizen Holding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209035B2 (en) * 2004-07-06 2007-04-24 Catcher, Inc. Portable handheld security device
CN101398580B (zh) * 2007-09-26 2010-08-1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制造方法
JP4889661B2 (ja) * 2008-01-29 2012-03-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マルチキャリア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
CN101546733B (zh) * 2008-03-28 2011-07-27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Tft-lcd阵列基板和彩膜基板的制造方法
JP4770928B2 (ja) * 2009-01-13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固体撮像素子
JP5515540B2 (ja) * 2009-09-10 2014-06-11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
US8824140B2 (en) * 2010-09-17 2014-09-02 Apple Inc. Glass enclosure
JP2012093381A (ja) * 2010-10-22 2012-05-17 Yamaha Corp 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
CN102637926B (zh) * 2012-04-13 2015-02-04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装置
GB2513089B (en) * 2013-01-07 2019-12-11 Nokia Technologies Oy A speaker apparatus for a mobile device
CN104103877A (zh) * 2014-06-24 2014-10-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阻抗型频率选择表面
CN105186132B (zh) * 2015-10-13 2016-07-06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低损耗微单元低通频率选择表面天线罩及制作方法
WO2017090417A1 (ja) * 2015-11-25 2017-06-01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アンテナ付き筐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アンテナ付き筐体の製造方法
CN108365122A (zh) * 2017-09-30 2018-08-0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以及电子设备
WO2019103966A1 (en) * 2017-11-27 2019-05-31 Intel Corporation Display integratable hybrid transparent antenna
CN108494925A (zh) * 2018-01-25 2018-09-04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天线组件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0746A1 (zh) 2021-01-07
CN112235005A (zh) 2021-01-15
US20220085078A1 (en) 2022-03-17
EP3979508A4 (en) 2022-08-03
JP2022537219A (ja) 2022-08-24
EP3979508A1 (en) 2022-04-06
CN112235005B (zh)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3225A1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11205850B2 (en) Housing assembly,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P3761450A1 (en)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s
US20220085493A1 (en) Housing assembly,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2234363A (zh) 壳体组件、天线组件及电子设备
WO2021073450A1 (en) Antenna integrated display screen
CN113381182B (zh) 一种耦合馈电天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20220094039A1 (en) Housing assembly,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015472A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전자 기기
WO2021000732A1 (zh) 壳体组件、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112310604B (zh) 电子设备
CN112312690B (zh) 壳体组件、天线组件及电子设备
WO2023142928A9 (zh) 一种通信设备
WO2023225984A1 (zh) 阵列基板、显示面板和用于制造阵列基板的方法
KR20230101675A (ko) 전자 장치
KR20230101678A (ko) 전자 장치
WO2024037707A1 (en) Mesh pattern antennas on glass for back cover and display directions using through glass vias
CN115882192A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