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152A -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 Google Patents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152A
KR20220015152A KR1020200095301A KR20200095301A KR20220015152A KR 20220015152 A KR20220015152 A KR 20220015152A KR 1020200095301 A KR1020200095301 A KR 1020200095301A KR 20200095301 A KR20200095301 A KR 20200095301A KR 20220015152 A KR20220015152 A KR 20220015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asbestos
unit
inl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780B1 (ko
Inventor
윤진호
홍명환
주소영
이찬기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20009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7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부에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제1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가 형성된 파쇄부; 및 상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제2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제2 배출부가 형성된 분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는 하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는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와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와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가 결합 후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에 형성된 개폐부를 개방하여 제1 배출부의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제2 투입구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CONTINUOUS APPARATUS FOR CRUSHING AND GRINDING WASTE ASBESTOS}
본 발명은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면함유물질 무해화를 위한 전처리 단계로 건축물 등 석면이 함유된 폐기물로부터 파쇄 및 분쇄하여, 석면함유물질의 맞춤형 전처리-파/분쇄 및 최종적인 분말의 수집까지의 분진날림 방지 등 안정적인 석면함유물질의 파분쇄를 위한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구조물 천장, 지붕, 벽 등에는 각각 석면이 함유된 천장텍스와 슬레이트 등의 마감제가 설치되고 있으며, 보일러 및 선박 등의 배관단열재, 패킹, 자동차브레이크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천장텍스와 슬레이트 등에 함유된 석면은 산업화과정에서 국내외 전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섬유모양을 갖는 광물성 규산염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며,특히 백석면(Chrysotile), 청석면(Crocidolite) 및 갈석면(amosite) 등이 작업자에게 석면폐, 폐암 및 악성중피종 등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보건학적으로 가장 문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석면은 오래전부터 인체에 대한 유해성으로 사용이 금해지고 있으며 특히 건물에 사용되어 현재 국내에서는 대량의 폐석면이 발생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무해화 및 재활용 기술이 미흡하여 대부분 해체된 그대로의 폐기물을 지정폐기물 업체에서 매립하고 있음 또한, 지역주민들의 님비 현상 및 매립지의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 환경적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현재 석면함유물질의 무해화 연구가 대체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처리하는 시설 또한 미비하다.
또한, 석면함유물질의 무해화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해당 물질의 파쇄 및 분쇄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때 발생하는 석면 분진의 날림으로 인해 작업자의 인체에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242호(2010.02.01.)에서는 석면함유물질 분쇄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0941호(2016.02.24.)에서는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해체된 석면함유물질을 분쇄하여 미립화하는 장치로 분쇄하는 것만을 개시하고 있으며, 발생하는 석면의 분진날림 방지를 하지 못하므로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특허문헌 2에서는 파쇄와 분쇄의 일체형으로 한번에 파분쇄가 가능한 장치로, 파쇄 후 분쇄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이루어지는 장치로 투입할 수 있는 양과 미립화 하려는 분말의 입도 크기 제어의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정폐기물인 폐석면을 고형화나 이중 포장 후 매립하여 처리하고 있지만 고형화는 완전한 무해화 처리 기술이 아니며 좁은 국토 면적에서 매립지의 수용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용적인 처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242호(2010.02.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0941호(2016.02.2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석면 무해화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석면의 무해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석면 함유 물질의 분말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인체에 유해한 석면 분진의 유출 방지를 위하여 파쇄부터 분쇄까지의 분진 유출이 없는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제1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가 형성된 파쇄부; 및 상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제2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제2 배출부가 형성된 분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는 하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는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와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와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가 결합 후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에 형성된 개폐부를 개방하여 제1 배출부의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제2 투입구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출부는, 하단에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부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분진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부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출구의 하부 단턱부에는, 상기 개폐부가 개폐 동작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내측에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부 및 상기 분쇄부는 복수개의 배기팬과 비닐 커튼이 형성된 클린부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의 분리 위치의 상부에 배기팬이 배치되며, 배기팬과 연결되어 형성된 비닐 커튼이 배치되어 제1 배출부의 결합 분리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하며;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의 상부에 배기팬이 배치되며, 배기팬과 연결되어 형성된 비닐 커튼이 배치되어 발생하는 제2 투입구와 제1 배출부와 결합 분리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린부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후드가 구비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투입구에 석면함유물질을 투입시 발생할 수 있는 비산되는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린부스 내부에는 복수개의 파쇄부와 분쇄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파쇄부 또는 분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팬과 비닐커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는 석면함유물질의 무해화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파분쇄를 진행하고자 할 때에 사용함으로써 분진 날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석면 전용 파분쇄 연속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대부분 매립 처리되고 있던 폐석면에 대한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무해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는 파쇄부에서 분쇄부까지의 연속적인 장치로 폐석면의 원활한 이동 및 제어를 위해 연속적인 파분쇄 장비를 구축하여, 건축물 등에서 해체되어 나오는 석면함유물질을 최종적으로 무해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파분쇄 작업의 수행할 시에 발생하는 석면함유물질의 분진 위험과 유실 위험을 최소화하여 석면 분진의 위험이 없는 작업자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쇄장치(impact mill)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분쇄장치(Pin mill)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장치 및 분쇄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 내의 파쇄 장치 및 분쇄 장치가 연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분쇄 연속 장치를 위한 파쇄장치에 포함된 배출구 덮개 및 트레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쇄장치(impact mill)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분쇄장치(Pin mill)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장치 및 분쇄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 내의 파쇄 장치 및 분쇄 장치가 연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분쇄 연속 장치를 위한 파쇄장치에 포함된 배출구 덮개 및 트레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파쇄장치 및 분쇄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파쇄장의 (10)는 내부에 파쇄될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것으로써, 상부에 파쇄하고자 하는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호퍼(11, hopper)가 형성되고, 하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의 분쇄 장치(20)는 내부에 분쇄될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것으로써, 상부에 분쇄하고자 하는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호퍼(21)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25)가 형성되며, 배출구(25)가 구비된 포집 백(26)에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이 포집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는 클린부스(300)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클린부스(300)는 복수개의 배기팬(310 내지 340)이 구비되며, 각각의 배기팬의 하부에 배기팬(310, 320)과 연결된 비닐 커튼(311,321)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후드(350, flexible hoo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는, 석면함유물질을 파쇄하는 파쇄부(100)와 파쇄부에서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200)를 포함한다.
파쇄부(100)는 상부에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제1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하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130)가 형성되며, 제1 투입구(110)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111)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111)에 의해 파쇄부(100) 구동시 석면함유물질이 파쇄되며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11)의 상부에는 클린부스(300)에 구비된 플레시블 후드(350)가 배치되어 파쇄부(100)의 제1 투입구(110)에 석면함유물질을 투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분쇄부(200)는 상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제2 투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제2 배출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배출부(220)에는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을 포집할 수 있으며, 제2 배출부(220)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포집 백(221)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부(200)에서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은 제2 배출부(220)에 결합되어 구비된 포집 백(221)에 포집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분쇄부(200)에 투입된 석면함유물질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포집 백(221)에 분쇄되어 포집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파쇄부(100)의 제1 배출부(130)는 하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131)가 형성되며, 파쇄부(100)의 제1 배출부(130)는 분쇄부(200)의 제2 투입구(21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파쇄부(100)의 제1 배출부(130)와 분쇄부(200)의 제2 투입구(210)가 결합 후 파쇄부(100)의 제1 배출부(130)에 형성된 개폐부(131)를 개방하여 제1 배출부(130)의 파쇄되어 수용된 석면함유물질이 분쇄부(200)의 제2 투입구(210)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출부(130)는 하단에 분쇄부(200)의 제2 투입구(21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부 단턱부(133)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제1 배출부(130)의 개방된 개구(130-1)에 의해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의 분진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32)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부 단턱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구(130)의 하부 단턱부(133)에는, 분쇄부(200)의 제2 투입구(210)와 결합 시 충격 흡수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며, 개폐부(131)가 개폐 동작 시 충격을 흡수하며 소음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내측에 탄성부재(135)가 형성될 수 있다.
파쇄부(100)에 구비된 제1 배출부(13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살펴보면, 파쇄부(100)에서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을 수용하며, 파쇄부(100)로 제1 배출부(130)를 분리하고, 분리된 제1 배출부(130)의 상부에 커버(132)를 결합한다.
상부에 커버(132)가 결합된 제1 배출부(130)는 분쇄부(200)의 제2 투입구(210)에 결합하기 위해 이동시 커버(132)로 인하여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의 분진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부(130)는 분쇄부(200)의 제2 투입구(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결합 후 제1 배출부(130)의 개폐부(13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잡아 당겨, 개폐부(131)가 개방되도록 하여, 제1 배출부(130)에 수용된 석면함유물질이 제2 투입구(210)로 투입되어, 분쇄부(200)를 통해 석면함유물질이 분쇄될 수 있다.
또한, 분쇄부(200)에서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은 분쇄부(200)의 제2 배출부(220)를 통해 배출되며, 제2 배출부(220)에 결합되어 구비된 포집 백(221)에 포집되어 처리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에 포집 백(221)을 제2 배출부(220)로부터 분리하여, 포집 백(221)에 포집된 파쇄 및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을 개별적으로 운반 및 이송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파쇄부(100) 및 분쇄부(200)는 복수개의 배기팬(310,320)과 비닐 커튼(311, 321)이 형성된 클린부스(3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파쇄부(100)의 제1 배출부(130)의 분리 위치(z)의 상부에 배기팬(310)이 배치되며, 배기팬(310)과 연결되어 형성된 비닐 커튼(311)이 배치되어 제1 배출부(130)의 결합 분리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쇄부(200)의 제2 투입구(210)의 상부에 배기팬(320)이 배치되며, 배기팬(320)과 연결되어 형성된 비닐 커튼(321)이 배치되어 발생하는 제2 투입구(210)와 제1 배출부(130)와 결합 분리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클린부스(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후드(350)가 구비되어, 파쇄부(100)의 제1 투입구(110)에 석면함유물질을 투입시 발생할 수 있는 비산되는 분진을 안전하게 흡수하여 포집할 수 있다.
또한, 클린부스 내부에는 복수개의 파쇄부와 분쇄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파쇄부 또는 분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팬과 비닐커튼이 배치되어 석면함유물질의 파쇄부 및/또는 분쇄부의 파쇄 또는 분쇄시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을 흡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는 석면함유물질의 무해화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파분쇄를 진행하고자 할 때에 사용함으로써 분진 날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석면 전용 파분쇄 연속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대부분 매립 처리되고 있던 폐석면에 대한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무해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는 파쇄부에서 분쇄부까지의 연속적인 장치로 폐석면의 원활한 이동 및 제어를 위해 연속적인 파분쇄 장비를 구축하여, 건축물 등에서 해체되어 나오는 석면함유물질을 최종적으로 무해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파분쇄 작업의 수행할 시에 발생하는 석면함유물질의 분진 위험과 유실 위험을 최소화하여 석면 분진의 위험이 없는 작업자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파쇄장치(impact mill) 11: 호퍼(hopper)
12: 모터(motor) 13: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14: 배출구 20: 분쇄장치(pin mill)
21: 호퍼(hopper) 22: 마그네틱 피더(magnetic feeder)
23: 몸체(main body) 24: 호퍼 프레임(hopper frame)
25: 배출구 26: 포집 백(bag)
100: 파쇄부 110: 제1 투입구
111: 커버(cover) 130: 제1 배출부
131: 개폐부 132: 커버(cover)
133: 단턱부 135: 탄성부재
200: 분쇄부 210: 제2 투입구
220: 제2 배출부 221: 포집 백(bag)
300: 클린 부스(clean booth) 310: 배기팬
311: 비닐 커튼 320: 배기팬
321: 비닐 커튼 350: 플렉시블 후드(flexible hood)
Z: 배출부 분리 위치

Claims (6)

  1. 상부에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제1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가 형성된 파쇄부; 및
    상부에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투입되는 제2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쇄된 석면함유물질이 배출되는 제2 배출부가 형성된 분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는 하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는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와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와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가 결합 후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에 형성된 개폐부를 개방하여 제1 배출부의 파쇄된 석면함유물질이 제2 투입구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는,
    하단에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부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분진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부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의 하부 단턱부에는,
    상기 개폐부가 개폐 동작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내측에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 및 상기 분쇄부는 복수개의 배기팬과 비닐 커튼이 형성된 클린부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배출부의 분리 위치의 상부에 배기팬이 배치되며, 배기팬과 연결되어 형성된 비닐 커튼이 배치되어 제1 배출부의 결합 분리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하며;
    상기 분쇄부의 제2 투입구의 상부에 배기팬이 배치되며, 배기팬과 연결되어 형성된 비닐 커튼이 배치되어 발생하는 제2 투입구와 제1 배출부와 결합 분리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린부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후드가 구비되며,
    상기 파쇄부의 제1 투입구에 석면함유물질을 투입시 발생할 수 있는 비산되는 분진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린부스 내부에는 복수개의 파쇄부와 분쇄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파쇄부 또는 분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팬과 비닐커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KR1020200095301A 2020-07-30 2020-07-30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KR10244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01A KR102447780B1 (ko) 2020-07-30 2020-07-30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01A KR102447780B1 (ko) 2020-07-30 2020-07-30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152A true KR20220015152A (ko) 2022-02-08
KR102447780B1 KR102447780B1 (ko) 2022-09-27

Family

ID=8025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301A KR102447780B1 (ko) 2020-07-30 2020-07-30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7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546A (ja) * 1996-01-29 1997-08-05 Sumiyoshi Heavy Ind Co Ltd 掘削物の可搬式破砕装置
KR20070114245A (ko) * 2007-08-09 2007-11-30 박금자 분쇄기로부터 분쇄된 분말의 분리수거장치
KR20100010242A (ko) 2008-07-22 2010-02-01 유한회사 에스앤피 석면함유물질 분쇄장치
KR101315843B1 (ko) * 2011-10-18 2013-10-08 나노인텍 주식회사 중·고점도 분쇄 시스템
KR20160020941A (ko) 2014-08-14 2016-02-24 박대성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546A (ja) * 1996-01-29 1997-08-05 Sumiyoshi Heavy Ind Co Ltd 掘削物の可搬式破砕装置
KR20070114245A (ko) * 2007-08-09 2007-11-30 박금자 분쇄기로부터 분쇄된 분말의 분리수거장치
KR20100010242A (ko) 2008-07-22 2010-02-01 유한회사 에스앤피 석면함유물질 분쇄장치
KR101315843B1 (ko) * 2011-10-18 2013-10-08 나노인텍 주식회사 중·고점도 분쇄 시스템
KR20160020941A (ko) 2014-08-14 2016-02-24 박대성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780B1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9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izing reactive material such as batteries
US97138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contaminating surface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toxic products
JPH06502493A (ja) 移動式co2ブラスティング汚染除去システム
JP2008086948A (ja) 高圧水噴射装置及び高圧水噴流による処理回収システム
KR100807789B1 (ko)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KR102447780B1 (ko)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JP3776935B2 (ja) アスベストを含む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プラント
KR20100010242A (ko) 석면함유물질 분쇄장치
EP0137699A2 (en) Portable decontamination unit
KR102180292B1 (ko) 효율이 향상된 폐석면 무해화 처리시스템
US5457271A (en) Environmentally contained mobile chipper assembly
CN209631324U (zh) 一种板材废料粉碎机
KR20100072948A (ko) 석면이 함유된 천정 마감재 제거 장치 및 방법
CN215464688U (zh) 一种能回收再加工利用的土木工程建筑废料处理装置
KR100860829B1 (ko)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CN210230141U (zh) 一种防尘建筑垃圾处理装置
US11331526B2 (en) Method and stationary or movable device for neutralizing and recycling asbestos waste
KR10219397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폐석면 무해화 처리시스템
KR102037795B1 (ko) 친환경 스티로폼 처리장치
KR20040006204A (ko) 석면 함유 건축재의 석면제거공법
JP2007117909A (ja) 飛散性アスベストの処分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装置並びに該装置を搭載した車輌
CN207288327U (zh) 一种建筑施工用垃圾回收处理装置
KR102534046B1 (ko) 방사성원소 제염장치
KR101002024B1 (ko) 석면 제거장치
KR20210091872A (ko) 가수분해처리수단 및 유골의 사리화처리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동물장묘차량 및 이를 이용한 동물장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