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829B1 -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829B1
KR100860829B1 KR1020080054615A KR20080054615A KR100860829B1 KR 100860829 B1 KR100860829 B1 KR 100860829B1 KR 1020080054615 A KR1020080054615 A KR 1020080054615A KR 20080054615 A KR20080054615 A KR 20080054615A KR 100860829 B1 KR100860829 B1 KR 100860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high pressure
suction
water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호
Original Assignee
(주) 옥당산업
곽주호
황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옥당산업, 곽주호, 황진호 filed Critical (주) 옥당산업
Priority to KR102008005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66Disposal of asbesto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석면 제거 장치는 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고압수 발생장치(10); 상기 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고압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고압 파쇄 분사건(20);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양측 또는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흡입건(30); 상기 흡입건(30)과 연결되어 흡입하는 흡입펌프(40); 상기 흡입펌프(40)로부터 흡입된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분리시키는 원심분리기(5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관(61)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면 흡입장치(60);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석면, 제거 장치, 제거 방법, 분사건, 흡입건, 원심분리기

Description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Asbestos Removing Apparatus and Eco-friendly Asbestos Remov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고압수를 사용하여 건축구조물에 부착된 석면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된 석면제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석면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석면제거시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석면제거 장치와 습식과 건식공법에 의한 친환경적 석면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의 위험성이 알려지기 전 석면 혹은 석면이 함유된 물질을 이용한 각종 내,외장재가 시공되었다. 이러한 석면은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건축용 자재인, 밀보드·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내화재·보온재·단열재·전기절연재·전해막용재(電解膜用材),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대단히 넓고 광범위하다.
이러한 석면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석면분진이 장기간 호흡기를 통해서 흡입하게 되면 석면폐(폐선유증), 폐암악성중피종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하철과 같은 공공구조물에 석면이 방음과 단열을 목적으로 시공되어 있어 시급히 이를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석면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7789호(발명의 명칭: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석면 제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고압수 발생장치(110); 초고압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초고압 파쇄 분사건(12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하는 석면 흡입장치(130);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140); 건물의 넓은 영역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가능하도록 이동시키는 대차작업대(150); 석면이 부착된 일정면적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보양막(160); 상기 보양막(160)을 지지하는 지지대(1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하는 석면 흡입장치(130)는 도 2에서와 같이 파쇄작업실(151) 하부에서 흡입관(121)을 통하여 흡입호스(131)로 흡입되어 석면 분리·여과장치(140)로 보내져 석면을 분리 및 여과시키게 된다.
이러한 석면 제거 장치는 초고압수를 석면이 부착된 부위에 분사하여 제거하게 되므로 파쇄 작업실 내부에서 분쇄된 석면과 미립자의 물에 흩날리게 되어 스모그와 같이 파쇄 작업실 내부를 뒤덮게 되어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장치는 작업실 하부에 집진기(180)가 설치되어 있으나, 석면 제거부위에서 발생되는 스모그를 제거하기에는 역부족이며, 이에 따라 1차로 초고압수를 사용하여 석면 제거 작업을 수행한 다음 제거되지 않은 남아 있는 스모그가 제거된 상태에서 석면 잔해물들을 확인하고 다시 한번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석면 제거 시스템은 석면을 초고압수로 파쇄하여 제거하기 위해서는 분당 40리터 정도의 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물의 소비량이 많아 석면을 함유한 폐수의 처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석면을 함유한 모든 분쇄물들은 작업대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는데 흡입과정이 원활하지 못하여 폐수처리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의 속도가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작업차의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 어렵고 재조립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기동성있는 대처가 미흡하고 협소한 공간내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석면분진과 미립자의 물이 흩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공개특허 특개평1-304270호(발명의 명칭: 석면 제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석면 제거장치는 워터젯을 이용하여 석면을 제거하며 워터젯 노즐 주위에 커버가 구비되어 제거하려는 부위의 석면을 제거할 때 석면 분진이 흩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거된 석면 분진 및 파편은 하부로 낙하되어 기액분리기 및 고액분리기를 거쳐 석면 분진 및 파편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석면 제거장치는 기액분리기 및 고액분리기로 석면 분진과 파편 및 분사액이 낙하되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기액분리기로 이동되는 가연호스가 막히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를 밀착된 상태에서만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또한, 밀착된 커버 내부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제거되지 않은 남아 있게 되어 석면 잔해물들을 다시 한번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워터젯에 분사건이 구비되지 않아 분사를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구조물에 쓰여진 석면을 고압수로 제거시 석면 분진과 미세 물입자의 흩날림에도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석면 제거효율을 높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면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면의 파쇄, 제거에서부터 석면의 폐기처리 및 폐수의 처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체계화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시간을 단축하며 아울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면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면 제거 장치는 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고압수 발생장치(10); 상기 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고압수를 고압호스(21)를 통해 이송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분사노즐(22)이 구비된 고압 파쇄 분사건(20);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양측 또는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에 의한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흡입부(31)가 구비된 복수개의 흡입건(30); 상기 흡입건(30)과 연결되어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흡입펌프(40); 상기 흡입펌프(40)로부터 흡입된 석면 분진 및 미세물 입자를 분리시키는 원심분리기(5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관(61)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면 흡입장치(60); 상기 흡입관(6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71)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과 상기 흡입건(30)은 일체로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분사노즐(22)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31)는 상기 분사노즐(22)의 주위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은 전단부에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의 비산을 방지하는 콘 형태의 비산방지 커버(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분사압력은 350~800 bar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70)는, 상기 흡입호스(71)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72); 상기 침전조(72)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73); 상기 침전조(72)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74); 상기 응집조(74)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되도록 하는 여과기(7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70)는, 상기 응집조(74) 및 상기 여과기(75)가 다수개 구비되어 번갈아 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침전조(72), 상기 응집조(74)에 침전 또는 응집된 석면은 포장되어 폐기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호스(21),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흡입관(61) 및 흡입호스(71)를 이동시키는 대차작업대(80); 상기 대차작업대(8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보양막(90); 상기 보양막(90)이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1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양막 내부에 설치되어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시키는 집진기(11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양막(90)은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가 상기 보양막의 중간부위를 지지되도록 하여 2중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는 상기 보양막(90)이 건물 내부와 접하여 밀폐되도록 탄성복원이 가능한 탄성재(10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대차작업대(80)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파쇄 작업실(81)이 구비되고, 상기 대차작업대(80)의 하부에는 360도 선회가능하며 이동가능한 바퀴(82)가 구비되며, 상기 파쇄 작업실(81)은 상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석면 제거 방법은 a) 대차작업대(8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일정면적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보양막(90)을 설치시키는 단계; b) 고압수 발생장치(10)에 의해 발생된 고압수를 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분사시켜 건물에 부착 된 석면을 파쇄 및 제거시키는 단계; c) b)단계에서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석면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과 미세물입자를 흡입펌프(40)의 작동에 의해 흡입건(30)으로 흡입시키는 단계; d) c)단계에서 흡입된 석면 분진과 미세물입자를 원심분리기(50)로 원심분리하여 석면과 물로 분리시키는 단계; e) b)단계에서 제거된 파쇄 석면을 석면 흡입장치(60)에 의해 흡입시키는 단계; f) 흡입관(6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71)를 통해 석면 분리·여과장치(70)로 이송되어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단계; g) d)단계에서 분리된 석면과 f)단계에서 분리된 석면을 포장하여 폐기처리하는 단계; h) d)단계에서 분리된 물과 f)단계에서 여과된 물을 폐수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단계 이전에 석면 제거를 위한 예비조사 및 계획수립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b) 단계시 대차작업대(80)를 이동시키며 a) ~ h)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b) 단계시 석면 분진을 집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준비 단계에 있어 구조물을 미리 습윤상태나 비산상비를 위한 전처리 공정이 없이 바로 고압수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고압수로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파쇄하여 제거하고, 제거과정에서 석면 분진과 미세물입자의 비산으로 인한 작업자의 시야가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석면 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거되지 않은 잔류석면은 일반철거장비와 흡입건을 사용하여 제거하여 고압수를 이용한 습식석면제거와 건식석면제거를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장치에 사용된 분사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장치의 대차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이중 보양막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장치를 이용한 석면 제거 공정도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석면 분리·여과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석면 제거 장치는 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고압수 발생장치(10); 상기 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고압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고압 파쇄 분사건(20);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양측 또는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흡입건(30); 상기 흡입건(30)과 연결되어 흡입하는 흡입펌프(40); 상기 흡입펌프(40)로부터 흡입된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 를 분리시키는 원심분리기(5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관(61)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면 흡입장치(60);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압수 발생장치(10)는 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고압수 발생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7789호에 개시된 2500bar정도의 초고압을 발생시키고 분당 사용되는 물의 량이 20~40 리터인 초고압수 발생장치와는 달리 물의 사용량이 적게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건축구조물에 부착되어있는 석면물질들은 굳이 2500 bar정도의 고압이 아니더라도 제거가 충분히 가능하며 이때 적정한 압력은 350 bar 에서 800 bar 정도이면 충분하다. 또한 석면제가가 빠르게 진행되고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물을 사용해야한다는 점도 실제 석면제거 공사를 통하여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압수 발생장치(10)는 (주) 클린텍에서 생산되는 DSCF 0338 모델을 사용하며 사양은 [표 1]과 같다.
[표 1] 고압수 발생장치 사양
Figure 112008041631883-pat00001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은 상기 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고압 수를 고압호스(21)를 통해 이송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분사노즐(22)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분사노즐(22)은 독일 Stttner사 제품으로 제품명은 ST-558이며 사양은 아래표와 같다.
[표 2] 분사노즐 사양
Figure 112008041631883-pat00002
상기 흡입건(30)은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양측 또는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에 의한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흡입부(31)가 구비되며, 복수개로 된다. 상기 흡입건(30)은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여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스모그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석면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잔류된 석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석면제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건(3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과 별도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에 일체로 구비되 어도 무방하다.
상기 흡입건(30)이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과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양측 또는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흡입건(30)이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과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중앙에 상기 분사노즐(22)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31)는 상기 분사노즐(22)의 주위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또,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전단부에는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의 비산을 방지하는 콘 형태의 비산방지 커버(23)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에 의해 제거된 파쇄 석면은 상기 비산방지 커버(23) 내부 및 외부로 낙하되며, 상기 비산방지 커버(23) 내부로 낙하된 파쇄 석면은 흡입펌프(40)에 의해 원심분리기로 이송되고, 상기 비산방지 커버(23) 외부로 낙하된 파쇄 석면은 흡입관(61)으로 흡입되어 흡입호스(71)를 통해 이송되며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70)로 이송되어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흡입펌프(40)는 상기 흡입건(30)과 연결되어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펌프(40)에 의해 흡입된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는 상기 원심분리기(50)로 이송된다.
상기 원심분리기(50)는 상기 흡입펌프(40)로부터 흡입된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석면 흡입장치(60)는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고압수 분사에 의해 파쇄되어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하게 된다.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70)는 상기 흡입관(6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71)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게 된다.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7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호스(71)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72)와, 상기 침전조(72)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73)와, 상기 침전조(72)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74) 및 상기 응집조(74)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되도록 하는 여과기(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70)는, 상기 응집조(74) 및 상기 여과기(75)가 다수개 구비되어 번갈아 가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석면의 분리 및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침전조(72) 또는 상기 응집조(74)에 침전 또는 응집된 석면은 포장되어 폐기처리되게 된다.
상기 대차작업대(80)는 상기 고압호스(21),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흡입관(61) 및 흡입호스(7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건물의 넓은 영역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가능하도록 이동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대차작업대(80)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파쇄 작업실(81)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 작업실(81)은 잭(Jack)과 같은 유압식 장비를 이용하여 상하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 작업실(81)의 외부는 견고한 아크릴재를 이용하여 감싼다. 상기 파쇄 작업실(81)의 상부에는 스폰지재 구조물(미도시됨)을 부착하여 유압식 장비를 이용하여 천정부분에 완전 밀착 작업을 하여 파쇄작업을 한다.
아울러, 상기 대차작업대(80)의 하부에는 360도 선회가능하며 이동가능한 바퀴(8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차 작업대(80)에 바퀴(82)가 구비됨에 따라 이동이 원활하고 기동성이 증대되게 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양막(90)은 상기 대차작업대(8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일정면적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양막(90)은 석면 파쇄시 석면이 공기중으로 전파되어 타 지역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공간을 차단막으로 밀폐 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보양막 내부에 설치되어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시키는 집진기(11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00)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보양막(90)을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100)의 지지에 의해 상기 보양막(90)은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가 상기 보양막의 중간부위를 지지되도록 하여 2중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는 지지된 상기 보양막(90)이 건물 내부와 접하여 밀폐되도록 탄성복원이 가능한 탄성재(101)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재(101)는 스폰지 등을 사용하며 파이프 형태로 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의 처리 대상은 석면 자체는 물론 이 석면이 함유된 물질이며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방법은 a) 보양막(90)을 설치시키는 단계; b) 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 및 제거시키는 단계; c) 석면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과 미세물입자를 흡입시키는 단계; d) 석면 분진과 미세물입자를 원심분리기(50)로 분리시키는 단계; e)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시키는 단계; f)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단계; g) 분리된 석면을 포장하여 폐기처리하는 단계; h) 분리된 물과 여과된 물을 폐수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건축구조물의 석면함유 정도를 사전 조사하고 석면 제거의 계획을 수립한다.
이 단계는 건축 구조물의 석면 함유물질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의 석면 지도를 작성하는 등의 석면 제거를 위한 예비조사 및 시료를 채취하여 제거 계획을 수립하는 계획수립 단계를 포함한다.
예비조사 단계는 사전 조사 과정으로 처리 용적 및 시간, 인원을 결정하고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반드시 거처야 하는 단계이다. 건물의 구조, 층수, 면적, 평면도, 주변환경, 석면함유물질의 존재여부확인, 석면함유물질의 종류별 구분함과 아울러 시료를 채취하고, 시료채취구역을 석면함유물질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즉, 부스러지는 석면함유물질과 부스러지지 않는 석면함유물질 그리고, 보온단열재 등을 구분하고, 이들의 위치, 발생량, 석면함유물질의 상태를 구분하여 석면 지도를 작성한다.
시료채취분석결과에 따라 제거대상 석면함유물질의 부위별 해체절차를 수립해야 하며, 만일에 사고를 대비하여 피난계획, 응급처치계획, 화재예방계획을 수립한다.
계획수립단계는 작업 예정 구역이 실내인가, 실외인가에 따라 준비과정이 달라진다.
사전조사가 끝나면 장비의 배치 및 보양의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대차작업대(8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일정면적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보양막(90)을 설치한다.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파쇄 하기 전에 석면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예정구역 내,외부에 비닐 시트 혹은 방진 시트로 된 보양막을 설치하며 2중으로 설치한다.
보양막 설치 후 고압수 발생장치(10)에 의해 발생된 고압수를 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분사시켜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 및 제거시키는 습식석면제거를 실시한다. 이때, 집진기(110)를 이용하여 석면 분진을 집진시킨다.
습식석면제거시에는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석면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과 미세물입자를 흡입펌프(40)의 작동에 의해 흡입건(30)으로 흡입시키고, 흡입된 석면 분진과 미세물입자를 원심분리기(50)로 원심분리하여 석면과 물로 분 리시키며, 고압수 발생장치(10)에 의해 발생된 고압수를 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분사시켜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 및 제거시킬 때 제거된 파쇄 석면을 석면 흡입장치(60)에 의해 흡입시킨다. 또한, 흡입관(6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71)를 통해 석면 분리·여과장치(70)로 이송되어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킨다.
습식석면제거가 끝나면 석면 제거 정도를 확인한다. 습식공법으로 제거되지 않은 석면은 일반적인 철거장비인 건식장비를 사용하여 남아있는 석면함유 잔유물을 제거하며 흡입건(30)으로 동시에 흡입시켜 석면 분진을 발생치 않으면서 잔유 석면물질을 제거하고 마무리한다. 최종적으로 점검하여 잔유물이 남았지 않나 다시 한번 확인한다.
원심분리기(50)에 의해 분리된 석면과 석면 분리·여과장치(70)에 의해 분리된 석면을 포장하고 석면폐기물 처리업체로 이송하여 폐기처리하며, 석면 분리·여과장치(70)에 의해 여과된 물과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물은 폐수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을 사용하여 석면을 제거하는 습식석면제거 방법과 일반 철거 장비와 흡입건(30)을 동시에 사용하는 건식석면제거 방법 두가지를 병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은 하나의 실예에 불과하고 석면함유물질의 발생량 및 작업 조건 그리고 환경에 따라서는 약간씩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석면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 개략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장치에 사용된 분사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장치의 대차작업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이중 보양막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장치를 이용한 석면 제거 공정도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석면 분리·여과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압수 발생장치 20: 고압 파쇄 분사건
21: 고압호스 22: 분사노즐
23: 비산방지커버 30: 흡입건
31: 흡입부 40: 흡입펌프
50: 원심분리기 60: 석면 흡입장치
61: 흡입관 70: 석면 분리·여과장치
71: 흡입호스 72: 침전조
73: 교반용 에어컴프레셔 74: 응집조
75: 여과기 80: 대차작업대
81: 파쇄 작업실 90: 보양막
100: 지지대 101: 탄성재
110: 집진기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고압수 발생장치(10);
    상기 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고압수를 고압호스(21)를 통해 이송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분사노즐(22)이 구비된 고압 파쇄 분사건(20);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양측 또는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에 의한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흡입부(31)가 구비된 복수개의 흡입건(30);
    상기 흡입건(30)과 연결되어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흡입펌프(40);
    상기 흡입펌프(40)로부터 흡입된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분리시키는 원심분리기(5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관(61)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면 흡입장치(60);
    상기 흡입관(6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71)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되, 상기 흡입호스(71)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72)와, 상기 침전조(72)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73)와, 상기 침전조(72)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74) 및 상기 응집조(74)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되도록 하는 여과기(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면 분리·여과장치(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70)는,
    상기 응집조(74) 및 상기 여과기(75)가 다수개 구비되어 번갈아 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72), 상기 응집조(74)에 침전 또는 응집된 석면은 포장되어 폐기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고압수 발생장치(10);
    상기 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고압수를 고압호스(21)를 통해 이송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분사노즐(22)이 구비된 고압 파쇄 분사건(20);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양측 또는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압 파쇄 분사건(20)에 의한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흡입부(31)가 구비된 복수개의 흡입건(30);
    상기 흡입건(30)과 연결되어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흡입하는 흡입펌프(40);
    상기 흡입펌프(40)로부터 흡입된 석면 분진 및 미세물입자를 분리시키는 원심분리기(5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관(61)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면 흡입장치(60);
    상기 흡입관(6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71)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70);
    상기 고압호스(21),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흡입관(61) 및 흡입호스(71)를 이동시키는 대차작업대(80);
    상기 대차작업대(8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보양막(90);
    상기 보양막(90)이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1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양막(90)은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가 상기 보양막의 중간부위를 지지되도록 하여 2중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에는 상기 보양막(90)이 건물 내부와 접하여 밀폐되도록 탄성복원이 가능한 탄성재(10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054615A 2008-06-11 2008-06-11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KR100860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15A KR100860829B1 (ko) 2008-06-11 2008-06-11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15A KR100860829B1 (ko) 2008-06-11 2008-06-11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829B1 true KR100860829B1 (ko) 2008-10-02

Family

ID=4015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615A KR100860829B1 (ko) 2008-06-11 2008-06-11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8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443B1 (ko) 2011-03-25 2011-07-25 이종일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9063B1 (ko) * 2013-12-06 2015-07-23 주식회사 중앙환경기술 관성과 흡착의 방법으로 유해석면 초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장치
KR20160141548A (ko) 2015-06-01 2016-12-09 장용호 석면자재의 해체 및 철거 또는 자연발생석면작업장에서 활용 가능한 가습식 석면 안정화 시스템.
JP7347885B1 (ja) 2022-09-30 2023-09-20 株式会社日本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 アスベスト除去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7276B2 (ja) * 1988-06-01 1998-01-28 株式会社ハッコー アスベストの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7276B2 (ja) * 1988-06-01 1998-01-28 株式会社ハッコー アスベストの除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443B1 (ko) 2011-03-25 2011-07-25 이종일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9063B1 (ko) * 2013-12-06 2015-07-23 주식회사 중앙환경기술 관성과 흡착의 방법으로 유해석면 초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장치
KR20160141548A (ko) 2015-06-01 2016-12-09 장용호 석면자재의 해체 및 철거 또는 자연발생석면작업장에서 활용 가능한 가습식 석면 안정화 시스템.
JP7347885B1 (ja) 2022-09-30 2023-09-20 株式会社日本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 アスベスト除去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829B1 (ko)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CN104588387B (zh) 用于抛光、打磨、拉丝平台铝镁粉尘的控制收集装置
KR100807789B1 (ko)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KR101742145B1 (ko) 이동식 석면 오염 토양 정화 장치
CA2677038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filtering air in an urban environment
CN104785043A (zh) 一种车间自动除尘装置
CN105908666A (zh) 非接触式无尘扫地车
KR100983643B1 (ko) 석면처리 특수차량
CN106268156A (zh) 一种金属破碎机除尘装置
WO2008004129A2 (en) Fluorescent bulb compactor and mercury vapor recovery system
KR101062834B1 (ko) 석면 고형시료 채취장치
KR100241139B1 (ko) 에어 나이프를 이용한 이동식 분진비산억제장치 및 방법
KR20100072948A (ko) 석면이 함유된 천정 마감재 제거 장치 및 방법
CN201260650Y (zh) 一种带水力喷射器的真空吸尘器
CN209393716U (zh) 一种用于环保包装袋生产的废料处理装置
CN106582178A (zh) 一种安全过滤的电气自动化除尘设备
KR101002024B1 (ko) 석면 제거장치
JP2016056521A (ja) アスベスト含有壁の処理方法
CN208427102U (zh) 一种带有除尘装置的颚式破碎机
KR20100088358A (ko) 석면 제거장치
DE10047443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eitigen von Bodenbelägen
JP2707276B2 (ja) アスベストの除去装置
KR101002023B1 (ko) 구조물 내부 표면의 석면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CN209491812U (zh) 一种等离子环保除尘器
CN102101119B (zh) 制样室除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