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358A - 석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석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358A
KR20100088358A KR1020090007527A KR20090007527A KR20100088358A KR 20100088358 A KR20100088358 A KR 20100088358A KR 1020090007527 A KR1020090007527 A KR 1020090007527A KR 20090007527 A KR20090007527 A KR 20090007527A KR 20100088358 A KR20100088358 A KR 20100088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trolley
blocking plate
fork lift
remova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박찬준
위영오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제이엠건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제이엠건설산업(주)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9000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358A/ko
Publication of KR2010008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천정면에 도포된 석면에 습윤제를 분사하여 분진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천정면으로부터 제거된 석면을 봉투에 모아 작업장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자를 환경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석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하부에 바퀴(101)가 설치된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의 상면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포크 리프트(120)와, 상기 대차(1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지지바(130)와, 상기 포크 리프트(12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지지바(13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21)와, 상기 포크 리프트(120)의 상면에 설치된 수용박스(140)와, 상기 수용박스(140)의 상단에 설치된 유도호퍼(150)와, 상기 유도호퍼(150)의 상부 양측면 및 후면에 설치된 차단판(160)과, 상기 유도호퍼(150)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작업공(171)이 형성된 투시창(17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석면, 분진, 제거, 포크 리프트, 승강, 흡입

Description

석면 제거장치{asbestos fiber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석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천정면에 도포된 석면에 습윤제를 분사하여 분진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천정면으로부터 제거된 석면을 봉투에 모아 작업장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자를 환경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석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면의 위험성이 알려지기 전 석면 혹은 석면이 함유된 물질을 이용한 각종 내,외장재가 시공되었다. 이러한 석면은 아스베스토스, 돌솜이라고도 하며, 광물 조성상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하나는 크리소타일(chrysotile)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면으로 온석면(溫石綿)이라 하여 질이 좋은 것은 실이나 직물로 이용되고, 다른 하나는 각섬석질(角閃石質) 석면으로 섬유는 약하지만, 화학약품에는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크리소타일도 각섬석질 석면도 사문암(蛇紋岩) 중에 맥상(脈狀)을 이루어 산출된다. 석면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건축용 자재인, 밀보드 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 내화재, 보온재, 단열재, 전기절연재, 전해막용재(電 解膜用材),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대단히 넓고 광범위하다.
이러한 석면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석면 분진을 장기간 호흡기를 통해 흡수하게 되면 석면폐(폐선유증), 폐암악성중피종(肺癌惡性中皮腫)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러한 석면의 종류 중 청석면(Crocidolite)이 가장 위험하며, 다음으로 갈석면(Amosite), 그 다음으로 백석면(Chrysotile) 이다.
석면은 대단히 미세한 섬유로 단섬유(單纖維)의 굵기가 10만분의 3미리로 머리털의 5000분의 1에 지나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단섬유 몇 개가 모여야만 겨우 현미경에 보일 정도이며 이것이 호흡과정에서 흡입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악성중피종은 그로씨트라이트 즉 청석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흉막(胸膜)과 복막(腹膜)의 중피(中皮)에 발생하는 악성종암(惡性腫癌)인 것이다. 따라서,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자 중에는 석면폐에 걸리거나 폐암, 악성중피종으로 사망하는 예가 많고, 그에 따르는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이러한 석면 분진은 석면을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작업자들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가족 및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데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자는 작업 도중 의류에 석면이 점착, 흡착되고 이 분진이 가정이나 대기 중에서 비산됨으로서, 작업자와 근접된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주어 악성중피종에 걸리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하철과 같은 공공구조물에 석면이 방음과 단열을 목적으로 시공되어 있어 시급히 이를 제거하고 처리하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2672호(발명의 명칭: 석면폐기물처리방법)에서는 건축구조물에서 석면함유 건축폐기물을 수거 후 석면을 분리 폐기물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건축구조물에서 석면함유물을 파쇄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이를 석면폐기물 처리지정업체에 인도하기 전까지의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29573호(발명의 명칭: 석면 및 이 석면이 함유된 물질의 제거방법)에서는 건축물의 시공,보수 ,철거과정에서 발생되는 석면 및 석면이 함유된 물질을 제거하되 제거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방법으로 스크래핑과 같은 방법 또는 각종 장비를 사용하여 석면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거된 석면 함유물을 운반 보관하는 단계 그리고 시멘트와 혼화하여 양생하는 단계까지를 포함하고 있는데 특징으로 하며 습윤제 또는 계면활성제, 표면침투피막제, 침투제 등을 선택적으로 석면 함유면 위에 살포하는 단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
전술한 방법들은 석면의 파쇄, 제거에서부터 석면의 폐기처리 및 폐수의 처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체계화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7789호(발명의 명칭 :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에서는 초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초고압수 발생장치; 상기 초고압수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초고압수를 고압호스를 통해 이송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초 고압파쇄 분사건;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관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면 흡입장치; 상기 흡입관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 여과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석면 분리, 여과장치는, 상기 흡입호스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 상기 침전조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 되도록 하는 여과기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고압수를 이용하여 석면을 파쇄하게 되므로 다량의 공압수를 사용하게 되고, 이때 사용된 고압수는 석면에 오염되므로 재처리하기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석면을 제거할 때 작업자가 근접된 상태로 작업하게 되므로 석면에서 발생되는 분진에 의해서 작업자가 환경오염에 노출되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물에 시공되어 있는 석면이 함유된 내장재(뿜칠 등)를 제거할 때 내장재는 물론, 내장제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석면분진을 포집하여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석 면에 근접한 상태로 작업하는 작업자를 환경오염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석면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표면의 석면 제거장치는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면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포크 리프트와, 상기 대차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지지바와, 상기 포크 리프트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지지바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포크 리프트의 상면에 설치된 수용박스와, 상기 수용박스의 상단에 설치된 유도호퍼와, 상기 유도호퍼의 상부 양측면 및 후면에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유도호퍼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작업공이 형성된 투시창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차단판의 일측에는 흡입호스가 연결되고, 그 흡입호스의 단부에는 흡입수단이 설치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차단판의 상측 둘레면에는 석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물 분사 노즐이 더 설치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차단판 및 투시창의 상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이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시공되어 있는 석면이 함유된 내장재(뿜칠 등)를 제거할 때 내장재는 물론, 내장제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석면분진을 포집하여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석면에 근접한 상태로 작업하는 작업자를 환경오염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차(100)가 마련되어 있고, 그 대차(100)의 하부에는 바퀴(101)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차(100)의 일 측면에는 손잡이(10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대차(100)의 상면에는 포크 리프트(12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대차(100)의 상면 일측에는 지지바(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130)의 하단 일측에는 포크 리프트(12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포크 리프트(120)의 상면에는 구조물의 천정면으로부터 제거된 석면을 수용하는 수용박스(14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수용박스(140)의 일면에는 도어(1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박스(140)의 상단에는 석면을 수용박스(140)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호퍼(15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유도호퍼(150)의 하부에는 석면을 보관하 기 위한 봉투(18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도호퍼(150)의 상부 양측면 및 후면에는 차단판(16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도호퍼(150)의 상부 전면에는 투시창(17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투시창(170)의 중앙에는 작업자가 손을 삽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작업공(1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60)의 일측에는 흡입호스(201)가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호스(201)의 단부에는 석면이 제거될 때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20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단판(160)의 상측 둘레면에는 석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물 분사 노즐(2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160) 및 투시창(170)의 상면에는 구조물의 표면과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19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물 표면으로부터 석면을 제거할 때에는 대차(100)를 이동시키는 것이며, 이때에는 손잡이(102)를 잡고 밀거나 당기면 대차(100)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101)가 회전되면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대차(100)를 이동시킬 때 흡입호스(201)를 매개로 연결된 흡입수단(200)을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21)를 작동시키면 포크 리프트(120)가 상승되는 것이고, 상기 포크 리프트(120)의 상단에 설치된 수용박스(14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차단판(160) 및 투시창(170)의 상면이 구조물의 표면 즉, 석면에 접촉되면 구동모터(121)의 동작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단판(160) 및 투시창(170)의 상면에는 패킹(19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패킹(190)이 구조물의 표면에 긴밀히 접촉되어 유도호퍼(150)의 상부 즉, 차단판(160)과 투시창(170)에 의해서 형성된 작업공간과 그 외측 둘레면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공급관(211)에 연결된 물 분사 노즐(210)을 통하여 물을 분사시켜 분사된 물에 의해서 석면의 습도가 상승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보호장구(장갑, 마스크 등)을 착용한 후 투시창(170)에 형성된 작업공(171)으로 손을 삽입하여 별도의 제거도구(스크레퍼 등)를 이용하여 구조물 표면의 석면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거된 석면은 하부로 낙하되고, 그 석면은 유도호퍼(150)에 유도된 후 봉투(180)의 내부에 모아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석면을 제거할 때 그 석면에서 미세한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분진은 흡입수단(20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호스(201)로 흡입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160)과 투시창(170)에 의해서 형성된 작업공간 내부의 석면이 제거된 후 구동모터(121)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고 대차(100)를 이동시킨 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석면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석면을 실시간으로 수거하여 석면으로 인한 주변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석면을 제거하는 작업공간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므로 작업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작업공간에 발생된 미세한 분진을 흡입수단으로 제거하여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봉투(180)에 석면이 차이면 수용박스(140)에 설치된 도어(141)를 개방하고 석면이 모아진 봉투(180)를 인출하여 그 봉투를 폐기하는 것이며, 이때 또 다른 봉투(180)를 설치하여 연속적인 제거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대차 101 : 바퀴
120 : 포크 리프트 121 : 구동모터
130 : 지지바 140 : 수용박스
150 : 유도호퍼 160 : 차단판
170 : 투시창 171 : 작업공
190 : 패킹 200 : 흡입수단
201 : 흡입호스 210 : 물 분사 노즐

Claims (4)

  1. 하부에 바퀴(101)가 설치된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의 상면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포크 리프트(120)와, 상기 대차(1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지지바(130)와, 상기 포크 리프트(12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지지바(13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21)와, 상기 포크 리프트(120)의 상면에 설치된 수용박스(140)와, 상기 수용박스(140)의 상단에 설치된 유도호퍼(150)와, 상기 유도호퍼(150)의 상부 양측면 및 후면에 설치된 차단판(160)과, 상기 유도호퍼(150)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작업공(171)이 형성된 투시창(17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60)의 일측에는 흡입호스(201)가 연결되고, 그 흡입호스(201)의 단부에는 흡입수단(20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60)의 상측 둘레면에는 석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물 분사 노즐(21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160) 및 투시창(170)의 상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19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KR1020090007527A 2009-01-30 2009-01-30 석면 제거장치 KR20100088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527A KR20100088358A (ko) 2009-01-30 2009-01-30 석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527A KR20100088358A (ko) 2009-01-30 2009-01-30 석면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358A true KR20100088358A (ko) 2010-08-09

Family

ID=4275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527A KR20100088358A (ko) 2009-01-30 2009-01-30 석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3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9973A (zh) * 2018-12-21 2019-03-22 奥士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高阶hdi板自动除钯清洗装置
CN113620197A (zh) * 2021-07-26 2021-11-09 广州励宏放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功能的液压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9973A (zh) * 2018-12-21 2019-03-22 奥士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高阶hdi板自动除钯清洗装置
CN113620197A (zh) * 2021-07-26 2021-11-09 广州励宏放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功能的液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2711C (en) Asbestos removal method and system
KR100807789B1 (ko)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CN209368758U (zh) 一种金属加工车间地面碎屑清理装置
KR20150126366A (ko) 하나 또는 복수의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72948A (ko) 석면이 함유된 천정 마감재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983643B1 (ko) 석면처리 특수차량
KR101002024B1 (ko) 석면 제거장치
KR20100088358A (ko) 석면 제거장치
KR100860829B1 (ko)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KR101003224B1 (ko) 흡입구에 경사체가 내설된 분리형 음압기
JP2003130316A (ja) 廃棄物処理設備の解体システム
KR20100088357A (ko) 석면 제거장치
JP5479791B2 (ja) 汚染機器の解体方法
KR101002023B1 (ko) 구조물 내부 표면의 석면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JP2012225156A (ja) 有害物流出防止システム及び有害物の除去方法
JPS60226970A (ja) 有害物質に汚染された構造物の流体噴射による加工方法
JP4179615B2 (ja) 埋設石綿管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JPS60107600A (ja) 固体構造物の破砕時に発生する塵埃の飛散防止方法および装置
JP3618737B2 (ja) 焼却炉の解体処理設備
CN201702680U (zh) 一种除尘喷砂机
CN218191481U (zh) 应用于手持式激光清洗机的松脱保险装置
KR102447780B1 (ko)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KR20090033199A (ko) 석면 마감재 철거 장치
JP2013113593A (ja) 除染方法及び装置
CN217394679U (zh) 一种鱼尾板打磨废料收集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