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789B1 -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789B1
KR100807789B1 KR1020070075828A KR20070075828A KR100807789B1 KR 100807789 B1 KR100807789 B1 KR 100807789B1 KR 1020070075828 A KR1020070075828 A KR 1020070075828A KR 20070075828 A KR20070075828 A KR 20070075828A KR 100807789 B1 KR100807789 B1 KR 10080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water
high pressure
crushed
ul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주호
황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콘시스
주식회사 콘크리닉
주식회사 아스크리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콘시스, 주식회사 콘크리닉, 주식회사 아스크리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콘시스
Priority to KR102007007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475Waste asbesto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석면 제거 시스템은 초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초고압수 발생장치(10); 초고압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하는 석면 흡입장치(30);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40); 건물의 넓은 영역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가능하도록 이동시키는 대차작업대(50); 석면이 부착된 소정 공간을 밀폐시키는 보양막(60); 상기 보양막(60)을 지지하는 지지대(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석면, 제거, 초고압수 발생장치, 분사건, 석면 흡입장치, 분리, 여과, 보양막

Description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Asbestos Removing System and Asbestos Removing Method}
본 발명은 석면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압수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초고압수로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파쇄하여 제거하고, 제거과정에서 석면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며 흡입기를 이용하여 석면함유 건축폐기물을 흡입하여 석면함유 폐기물과 폐수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석면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의 위험성이 알려지기 전 석면 혹은 석면이 함유된 물질을 이용한 각종 내,외장재가 시공되었다. 이러한 석면은 아스베스토스, 돌솜이라고도 하며, 광물 조성상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는데, 그 중 하나는 크리소타일(chrysotile)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면으로 온석면(溫石綿)이라 하여 질이 좋은 것은 실이나 직물로 이용되고, 다른 하나는 각섬석질(角閃石質) 석면으로 섬유는 약하지만, 화학약품에는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크리소타일도 각섬석질 석면도 사문암(蛇紋岩) 중에 맥상(脈狀)을 이루어 산출된다. 석면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 온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건축용 자재인, 밀보드·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내화재·보온재·단열재·전기절연재·전해막용재(電解膜用材),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대단히 넓고 광범위하다.
그런데, 이러한 석면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석면 분진을 장기간 호흡기를 통해 흡수하게 되면 석면폐(폐선유증), 폐암악성중피종(肺癌惡性中皮腫)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러한 석면의 종류 중 청석면(Crocidolite)이 가장 위험하며, 다음으로 갈석면(Amosite), 그 다음으로 백석면(Chrysotile) 이다. 석면은 대단히 미세한 섬유로 단섬유(單纖維)의 굵기가 10만분의 3미리로 머리털의 5000분의 1에 지나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단섬유 몇 개가 모여야만 겨우 현미경에 보일 정도이며 이것이 호흡과정에서 흡입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악성중피종은 그로씨트라이트 즉 청석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흉막(胸膜)과 복막(腹膜)의 중피(中皮)에 발생하는 악성종암(惡性腫癌)인 것이다. 따라서,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자 중에는 석면폐에 걸리거나 폐암, 악성중피종으로 사망하는 예가 많고, 그에 따라는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이러한 석면 분진은 석면을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작업자들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가족 및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데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자는 작업 도중 의류에 석면이 점착, 흡착되고 이 분진이 가정이나 대기 중에서 비산됨으로서, 작업자와 근접된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주어 악성중피종에 걸리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하철과 같은 공공구조물에 석면이 방음과 단열을 목적으로 시공되어 있어 시급히 이를 제거하고 처 리하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2672호(발명의 명칭: 석면폐기물처리방법)에서는 건축구조물에서 석면함유 건축폐기물을 수거 후 석면을 분리 폐기물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석면을 함유하고 있는 건축구조물에서 석면함유물을 파쇄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이를 석면폐기물 처리지정업체에 인도하기 전까지의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29573호(발명의 명칭: 석면 및 이 석면이 함유된 물질의 제거방법)에서는 건축물의 시공,보수 ,철거과정에서 발생되는 석면 및 석면이 함유된 물질을 제거하되 제거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방법으로 스크래핑과 같은 방법 또는 각종 장비를 사용하여 석면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거된 석면 함유물을 운반보관하는 단계 그리고 시멘트와 혼화하여 양생하는 단계까지를 포함하고 있는데 특징으로 하며 습윤제 또는 계면활성제, 표면침투피막제, 침투제 등을 선택적으로 석면 함유면 위에 살포하는 단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
전술한 방법들은 석면의 파쇄, 제거에서부터 석면의 폐기처리 및 폐수의 처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체계화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구조물에 쓰여진 석면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면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면의 파쇄, 제거에서부터 석면의 폐기처리 및 폐수의 처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체계화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시간을 단축하며 아울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석면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초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초고압수 발생장치(10); 상기 초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초고압수를 고압호스(21)를 통해 이송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관(31)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면 흡입장치(30); 상기 흡입관(3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41)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40);를 포함하되,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상기 흡입호스(41)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42); 상기 침전조(42)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43); 상기 침전조(42)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44); 상기 응집조(44)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되도록 하는 여과기(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압호스(21),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흡입관(31) 및 흡입호스(41)를 이동시키는 대차작업대(50); 상기 대차작업대(5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보양막(60); 상기 보양막(60)이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70);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양막 내부에 설치되어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시키는 집진기(80);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아울러,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상기 응집조(44) 및 상기 여과기(45)는 다수개 구비되어 번갈아 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전조(42), 상기 응집조(44)에 침전 또는 응집된 석면은 포장되어 폐기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초고압수 발생장치(10)는 상수도를 이용하거나 급수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양막(60)은 상기 지지대(70)의 상부가 상기 보양막의 중간부위를 지지되도록 하여 2중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70)의 상부에는 상기 보양막(60)이 건물 내부와 접하여 밀폐되도록 탄성복원이 가능한 탄성재(7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대차작업대(50)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파쇄 작업실(51)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 작업실(51)은 상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석면 제거 방법은 a) 대차작업대(5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소정 공간을 밀폐시키는 보양막(60)을 설치시키는 단계; b) 초고압수 발생장치(10)에 의해 발생된 초고압수를 초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분사시켜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 및 제거시키는 단계; c) 제거된 파쇄 석면을 석면 흡입장치(30)에 의해 흡입시키는 단계; d) 흡입관(3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41)를 통해 석면 분리·여과장치(40)로 이송되어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단계; e) 분리된 석면을 포장하여 폐기처리하는 단계; f) 여과된 물을 폐수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d) 단계의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상기 흡입호스(41)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42); 상기 침전조(42)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43); 상기 침전조(42)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44); 상기 응집조(44)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되도록 하는 여과기(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a)단계 이전에 석면 제거를 위한 예비조사 및 계획수립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c) 단계 또는 d) 단계시 대차작업대(50)를 이동시키며 a) ~ f)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b) 단계 또는 c) 단계시 석면 분진을 집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준비 단계에 있어 구조물을 미리 습윤상태나 비산상비를 위한 전 처리 공정이 없이 바로 초고압수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초고압수로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파쇄하여 제거하고, 제거과정에서 석면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며 흡입기를 이용하여 석면함유 건축폐기물을 흡입하여 석면함유 폐기물과 폐수를 분리하여 처리하므로 석면을 함유한 구조물의 파쇄 및 제거 작업시 분진의 발생이 없고, 신속하고 안전한 석면제거가 가능하며, 현장에서 폐수를 직접 정화하여 폐수를 처리하게 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이 훨씬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석면 제거 장치 및 석면 제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석면 제거 장치 및 석면 제거 방법은 석면을 파쇄시 석면이 공기중으로 전파되어 타 지역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공간을 보양막으로 밀폐시키고 초고압수 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초고압의 물로 석면을 함유한 구조물을 파쇄하며 이를 흡입장치에 의하여 흡입하여 석면 함유물과 석면을 함유하지 않은 폐수로 분리하여 분리된 석면을 지정된 석면 처리 업체로 운반하는 과정까지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철 내에서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제거하는 공정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석면 제거 공정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파쇄작업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이중 보양막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보양막 설치를 위한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분사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석면 분리·여과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가설물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석면 제거 장치는 초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초고압수 발생장치(10); 초고압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하는 석면 흡입장치(30);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40); 건물의 넓은 영역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가능하도록 이동시키는 대차작업대(50); 석면이 부착된 소정 공간을 밀폐시키는 보양막(60); 상기 보양막(60)을 지지하는 지지대(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초고압수 발생장치(10)는 초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타 방법의 경우 분당 물의 소비량이 200리터 정도이고 발생되는 압력이 800bar이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본 발명의 초고압수 발생장치는 2500bar정도의 초고압을 발생시키고 분당 사용되는 물의 량이 40 리터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고압수 발생장치(10)는 상수도를 이용하거나 급수차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고압 파쇄 분사건(20)은 상기 초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초고압수를 고압호스(21)를 통해 이송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파쇄에 필요한 초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사양은 다음 표와 같다.
최고사용압력 245MPa
전장 약 1000mm
유량 최대 20 l/min
회전수 최대2000rpm
구동방식 에어모터
공기제공압력 0.4MPa (4kgf/㎠)
공기소비량 최대 800NL/min
중량 약 7kg
상기 석면 흡입장치(30)는 상기 초고압 파쇄 분사건(20)의 초고압수 분사에 의해 파쇄되어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하게 된다.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상기 흡입관(3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41)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게 된다.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호스(41)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42)와, 상기 침전조(42)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43)와, 상기 침전조(42)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44) 및 상기 응집조(44)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되도록 하는 여과기(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상기 응집조(44) 및 상기 여과기(45)는 다수개 구비되어 번갈아 가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석 면의 분리 및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침전조(42) 또는 상기 응집조(44)에 침전 또는 응집된 석면은 포장되어 폐기처리되게 된다.
상기 대차작업대(50)는 상기 고압호스(21),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흡입관(31) 및 흡입호스(4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건물의 넓은 영역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가능하도록 이동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대차작업대(50)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파쇄 작업실(51)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 작업실(51)은 잭(Jack)과 같은 유압식 장비를 이용하여 상하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 작업실(51)의 외부는 견고한 아크릴재를 이용하여 감싼다. 상기 파쇄 작업실(51)의 상부에는 스폰지재 구조물(미도시됨)을 부착하여 유압식 장비를 이용하여 천정부분에 완전 밀착 작업을 하여 파쇄작업을 한다.
상기 보양막(60)은 상기 대차작업대(5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소정 공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양막(60)은 석면 파쇄시 석면이 공기중으로 전파되어 타 지역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공간을 차단막으로 밀폐 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보양막 내부에 설치되어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시키는 집진기(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70)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보양막(60)을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70)의 지지에 의해 상기 보양막(60)은 상기 지지대(70)의 상부가 상기 보양막의 중간부위를 지지되도록 하여 2중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70)의 상부에는 지지된 상기 보양막(60)이 건물 내부와 접하여 밀폐되도록 탄성복원이 가능한 탄성재(71)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재(71)는 스폰지 등을 사용하며 파이프 형태로 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의 처리 대상은 석면 자체는 물론 이 석면이 함유된 물질이며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방법은 보양막(60)을 설치시키는 단계; b)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 및 제거시키는 단계; c)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시키는 단계; d)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단계; e) 분리된 석면을 포장하여 폐기처리하는 단계; f) 여과된 물을 폐수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대차작업대(5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소정 공간을 밀폐시키는 보양막(60)을 설치한다.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파쇄 하기 전에 석면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예정구역 내,외부에 비닐 시트 혹은 방진 시트로 된 보양막을 설치하며 2중으로 설치한다.
이때, 보양막(60) 설치 단계 이전에 건축 구조물의 석면 함유물질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의 석면 지도를 작성하는 등의 석면 제거를 위한 예비조사 및 시료를 채취하여 제거 계획을 수립하는 계획수립 단계를 포함한다.
예비조사 단계는 사전 조사 과정으로 처리 용적 및 시간, 인원을 결정하고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반드시 거처야 하는 단계이다. 건물의 구조, 층수, 면적, 평면도, 주변환경, 석면함유물질의 존재여부확인, 석면함유물질의 종류별 구분함과 아울러 시료를 채취하고, 시료채취구역을 석면함유물질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즉, 부스러지는 석면함유물질과 부스러지지 않는 석면함유물질 그리고, 보온단열재 등을 구분하고, 이들의 위치, 발생량, 석면함유물질의 상태를 구분하여 석면 지도를 작성한다.
시료채취분석결과에 따라 제거대상 석면함유물질의 부위별 해체절차를 수립해야 하며, 만일에 사고를 대비하여 피난계획, 응급처치계획, 화재예방계획을 수립한다.
계획수립단계는 작업 예정 구역이 실내인가, 실외인가에 따라 준비과정이 달라진다.
먼저, 작업예정구역을 설치하고 초고압발생장치와 급수차 또는 상수도관에서 물을 유입할수있는지 여부를 확인 후 초고압발생장치에 급수작업 준비를 한다. 급수준비가 끝나면 초고압발생장치로부터 초고압수관을 연결하여 작업예정구역내로 초고압수관을 유입한다. 다음으로는 흡인장비를 설치하고 작업예정구역까지 흡수라인을 설치한다.
초고압수로 파쇄라인과 흡입장치로부터 흡입라인의 설치가 완료가 된 후 파쇄시 석면의 분진 유출을 막기 위한 보양작업을 실시한다.
실내인 경우 작업예정구역의 모든 통풍구를 밀폐하여 석면 분진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작업예정구역의 출입문, 창문, 환기구, 배출구를 일정 두께의 비닐 시트 혹은 방진 시트로 밀폐하여 석면 분진의 유출을 최소화하고, 여기에 조명기구, 기계장치 및 각종 기기 등을 밀봉한다.
도 8에서와 같이 벽체용 비닐 보양막은 0.1 mm 이상의 비닐로 보양하며 바닥 보양시트는 적어도 0.15mm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는데 이는 작업 중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밀폐력 및 차폐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작업예정구역의 천장, 벽, 바닥 등에도 비닐보양막 혹은 바닥보양시트를 부착, 설치한다. 이때 바닥보양시트는 바닥면에서 20cm이상 올라오게 설치한다. 이중 보양막 스폰지에 비닐 보양막으로 감싸서 고정시킨다. 석면 파쇄시 발생된 분진은 부압 집진기가 정화하게 되는데 부압 집진기는 56 m3/min정도의 흡인능력을 가진 기기를 사용한다. 부압 집진기는 작업공간 35 m 전후 간격으로 설치한다. 35 m 전후에 탈의실 샤워실을 설치한다.
한편, 작업구역이 실외인 경우 즉, 지붕 및 외벽마감재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건물 높이 이상으로 방진시트 및 바닥시트를 설치하여 석면 제거작업에 따른 분진의 외부 비산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
작업구역에 각 작업에 필요한 장치를 설치한다. 예컨대, 부압제진장치를 비롯하여 진공펌프, 환기장치 등을 설치함과 아울러 제거 작업 시에 발생하는 석면분진을 작업장내로 한정시켜 유해분진이 외부환경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한 다.
작업구역과 외부를 연결하는 출입통로에 정화구역 다시 말해 오염제거구역을 설치하여 석면분진 및 유해분진의 외부환경배출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
오염제거구역은 작업통제구역, 장비실, 목욕실, 탈의실 등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진공펌프, 에어 샤워기, 샤워기, 수납장 등이 설치되고, 적어도 두겹의 비닐시트로 공간을 구획하여 작업자의 출입 시 석면분진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작업구역 내에 석면분진농도측정장비를 설치하며, 제거작업이 시작하기 전에 실내공기 중의 석면분진을 측정하여 후속작업의 공기상태와 비교한다. 이 과정은 작업자의 건강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며, 농도에 따라 작업 시간도 조절하여야 한다.
한편, 작업 구역 내에는 기존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기계공조설비 작동금지) 제거작업에 사용되는 장치의 전원은 작업장 밖의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는 작업 중 화재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고, 작업을 효율적으로 배전선 등에 걸리거나 혹은 장치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보양막 설치 후 초고압수 발생장치(10)에 의해 발생된 초고압수를 초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분사시켜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 및 제거시키게 된다.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헤체 또는 제거 하기 이전에 작업장의 실내 공기를 측정하여 적합한 석면 방진마스크를 결정하며, 작업 중 주기적으로 농도를 측정하여 분진의 유출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건강에 주위를 기울인다.
보양작업이 완료 후 보양공간내에 작업용대차 또는 틸트업(tilt-up) 작업대를 설치한다. 작업대는 3m×4m크기가 적절하다. 벽체와 바닥에 보양작업이 완료된 대차위에서 2500bar초고압수 발생장치를 통해 고압호수로 전달된 초고압수를 이용하여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파쇄한다. 파쇄된 석면을 함유한 구조물 부스러기들은 작업용 대차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작업용 대차 바닥부분에 경사를 만들어주고 홈을 만들어 떨어진 폐기물들이 한곳으로 모이게 하고 풍량이 40m3 인 흡입관과 흡인호스를 이용하여 석면 폐기물과 폐수는 보양작업이 완료되어 밀폐된 석면분리 및 침전 폐수여과실로 보내지게 된다.
일정구간의 석면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물의 파쇄가 끝나면 작업용대차를 3m 정도 이동시켜 대차안의 폐기물과 석면을 깨끗이 제거한 후 파쇄 작업을 개시한다.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35m정도가 구획으로 나눠진 작업을 끝내면 다음 구획으로 넘어간다. 대차 밖으로 떨어진 수분함유 폐기물은 회수하여 이중 밀봉한다. 폐기물질 은 2중 비닐 백, 2중 비닐시트 혹은 견고한 용기 등으로 포장하여 테이프로 밀봉 처리한 후 석면이 들어 있다는 표식을 부착한다.
이어서, 제거된 파쇄 석면을 석면 흡입장치(30)에 의해 흡입시키게 된다.
흡입관(3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41)를 통해 석면 분리·여과장치(40)로 이송되어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게 된다. 분리된 석면은 포장하여 폐기처리하게 되며,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하게 된다.
대차바닥의 홈으로 유입된 폐기물은 흡입하여 드럼통에 모이게 된다.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석면함유 폐기물은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1차 여과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1차 여과장치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침전시키고 완전히 침전이 끝난 2 ~3 시간 후 침전되지 않은 폐수는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방류한다. 이때 필요하다면 pH 처리로 중화시켜 방류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침전된 침전석면은 시멘트와 섞어서 경화시키는 고형화 과정을 통해 고형화되며 석면제거 과정에서 사용된 폐기물과 함께 이중밀봉처리 되어 지정폐기물업체로 인도한다.
물론 이러한 단계들은 하나의 실예에 불과하고 석면함유물질의 발생량 및 작업 조건 그리고 환경에 따라서는 약간씩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석면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철 내에서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을 제거하는 공정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석면 제거 공정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쇄작업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이중 보양막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보양막 설치를 위한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분사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석면 분리·여과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가설물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초고압수 발생장치 20: 초고압 파쇄 분사건
21: 고압호스 30: 석면 흡입장치
31: 흡입관 40: 석면 분리·여과장치
41: 흡입호스 42: 침전조
43: 교반용 에어컴프레셔 44: 응집조
45: 여과기 50: 대차작업대
51: 파쇄 작업실 60: 보양막
70: 지지대 71: 탄성재
80: 집진기

Claims (15)

  1. 초고압의 물을 발생시키는 초고압수 발생장치(10);
    상기 초고압수 발생장치(10)로부터 발생된 초고압수를 고압호스(21)를 통해 이송되어 분사되도록 하여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제거된 파쇄 석면을 흡입관(31)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면 흡입장치(30);
    상기 흡입관(3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41)를 통해 이송되며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석면 분리·여과장치(40);를 포함하되,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상기 흡입호스(41)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42);
    상기 침전조(42)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43);
    상기 침전조(42)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44);
    상기 응집조(44)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되도록 하는 여과기(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호스(21), 초고압 파쇄 분사건(20), 흡입관(31) 및 흡입호스(41)를 이동시키는 대차작업대(50);
    상기 대차작업대(5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보양막(60);
    상기 보양막(60)이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7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양막 내부에 설치되어 석면 제거시 발생되는 석면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시키는 집진기(8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상기 응집조(44) 및 상기 여과기(45)는 다수개 구비되어 번갈아 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42), 상기 응집조(44)에 침전 또는 응집된 석면은 포장되어 폐기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압수 발생장치(10)는 상수도를 이용하거나 급수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양막(60)은 상기 지지대(70)의 상부가 상기 보양막의 중간부위를 지지되도록 하여 2중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0)의 상부에는 상기 보양막(60)이 건물 내부와 접하여 밀폐되도록 탄성복원이 가능한 탄성재(7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작업대(50)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파쇄 작업실(51)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 작업실(51)은 상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장치.
  11. a) 대차작업대(50) 주위의 제거될 석면이 부착된 소정 공간을 밀폐시키는 보양막(60)을 설치시키는 단계;
    b) 초고압수 발생장치(10)에 의해 발생된 초고압수를 초고압 파쇄 분사건(20)으로 분사시켜 건물에 부착된 석면을 파쇄 및 제거시키는 단계;
    c) 제거된 파쇄 석면을 석면 흡입장치(30)에 의해 흡입시키는 단계;
    d) 흡입관(31)으로 흡입된 파쇄 석면이 흡입호스(41)를 통해 석면 분리·여과장치(40)로 이송되어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분리시키며 분리된 물을 여과시키는 단계;
    e) 분리된 석면을 포장하여 폐기처리하는 단계;
    f) 여과된 물을 폐수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d) 단계의 상기 석면 분리·여과장치(40)는,
    상기 흡입호스(41)를 통해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제에 의해 석면을 응집시켜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42);
    상기 침전조(42) 내부로 이송된 파쇄 석면과 물의 혼합물에 응집제가 혼합되도록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 및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용 에어컴프레셔(43);
    상기 침전조(42)로부터 침전되지 않은 석면과 물의 혼합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조(44);
    상기 응집조(44)로부터 응집시키고 남은 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물은 폐수처리되도록 하는 여과기(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c) 단계 또는 d) 단계시 대차작업대(50)를 이동시키며 a) ~ f)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b) 단계 또는 c) 단계시 석면 분진을 집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제거 방법.
  15. 삭제
KR1020070075828A 2007-07-27 2007-07-27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KR10080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828A KR100807789B1 (ko) 2007-07-27 2007-07-27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828A KR100807789B1 (ko) 2007-07-27 2007-07-27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789B1 true KR100807789B1 (ko) 2008-02-27

Family

ID=3938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828A KR100807789B1 (ko) 2007-07-27 2007-07-27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7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643B1 (ko) 2009-08-20 2010-09-24 (주)로터스지이오 석면처리 특수차량
KR101002023B1 (ko) 2009-01-30 2010-12-16 서울메트로 구조물 내부 표면의 석면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KR101080177B1 (ko) 2011-05-09 2011-11-07 (주)세종이엔씨 이동식 석면오염토양 정화 장치
KR101350968B1 (ko) 2012-10-24 2014-01-14 한국광해관리공단 석면 오염 토양의 이동식 정화 장치
KR101539063B1 (ko) * 2013-12-06 2015-07-23 주식회사 중앙환경기술 관성과 흡착의 방법으로 유해석면 초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장치
KR20160141548A (ko) 2015-06-01 2016-12-09 장용호 석면자재의 해체 및 철거 또는 자연발생석면작업장에서 활용 가능한 가습식 석면 안정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4270A (ja) * 1988-06-01 1989-12-07 Hakko Co Ltd アスベストの除去装置
US6129094A (en) 1997-07-11 2000-10-10 Valley Systems, Inc. Method of high pressure cleaning
JP2006083600A (ja) 2004-09-16 2006-03-30 Aqua West:Kk 埋設石綿管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20060029573A (ko) * 2004-10-02 2006-04-06 김용대 석면 및 이 석면이 함유된 물질의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4270A (ja) * 1988-06-01 1989-12-07 Hakko Co Ltd アスベストの除去装置
US6129094A (en) 1997-07-11 2000-10-10 Valley Systems, Inc. Method of high pressure cleaning
JP2006083600A (ja) 2004-09-16 2006-03-30 Aqua West:Kk 埋設石綿管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20060029573A (ko) * 2004-10-02 2006-04-06 김용대 석면 및 이 석면이 함유된 물질의 제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23B1 (ko) 2009-01-30 2010-12-16 서울메트로 구조물 내부 표면의 석면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KR100983643B1 (ko) 2009-08-20 2010-09-24 (주)로터스지이오 석면처리 특수차량
KR101080177B1 (ko) 2011-05-09 2011-11-07 (주)세종이엔씨 이동식 석면오염토양 정화 장치
KR101350968B1 (ko) 2012-10-24 2014-01-14 한국광해관리공단 석면 오염 토양의 이동식 정화 장치
KR101539063B1 (ko) * 2013-12-06 2015-07-23 주식회사 중앙환경기술 관성과 흡착의 방법으로 유해석면 초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장치
KR20160141548A (ko) 2015-06-01 2016-12-09 장용호 석면자재의 해체 및 철거 또는 자연발생석면작업장에서 활용 가능한 가습식 석면 안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789B1 (ko) 석면 제거 시스템 및 석면 제거 방법
KR100983643B1 (ko) 석면처리 특수차량
US97138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contaminating surface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toxic products
KR20100072948A (ko) 석면이 함유된 천정 마감재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860829B1 (ko)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KR100241139B1 (ko) 에어 나이프를 이용한 이동식 분진비산억제장치 및 방법
JP3881864B2 (ja) 廃棄物処理設備の解体システム
KR101003224B1 (ko) 흡입구에 경사체가 내설된 분리형 음압기
KR101002024B1 (ko) 석면 제거장치
KR101002023B1 (ko) 구조물 내부 표면의 석면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KR20100088358A (ko) 석면 제거장치
KR20040006204A (ko) 석면 함유 건축재의 석면제거공법
JP2011011184A (ja) 汚染機器の解体方法
JP4179615B2 (ja) 埋設石綿管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JP3618737B2 (ja) 焼却炉の解体処理設備
KR102447780B1 (ko) 폐석면 파분쇄 연속 장치
CN215029673U (zh) 一种高效土木施工用建筑废料处理装置
CN204594773U (zh) 一种建筑和汽车材料中石棉样品前处理设备
CN216421951U (zh) 一种环保工程机械液压缸钢管打磨设备
KR20100088357A (ko) 석면 제거장치
KR20060029573A (ko) 석면 및 이 석면이 함유된 물질의 제거방법
CN214717348U (zh) 一种土木工程建筑用废料处理设备
JP2013113593A (ja) 除染方法及び装置
CN210332108U (zh) 一种施工过程有害物质环保处理防护设备
JP2001334223A (ja) 研掃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