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443B1 -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443B1
KR101051443B1 KR1020110027139A KR20110027139A KR101051443B1 KR 101051443 B1 KR101051443 B1 KR 101051443B1 KR 1020110027139 A KR1020110027139 A KR 1020110027139A KR 20110027139 A KR20110027139 A KR 20110027139A KR 101051443 B1 KR101051443 B1 KR 10105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flow rate
collecting
uni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일
신진호
오석률
김남진
Original Assignee
이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일 filed Critical 이종일
Priority to KR102011002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포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는 석면 여과필터가 다수 구성된 석면 포집부; 상기 석면 포집부에 다수 구성되는 석면 여과필터에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간, 석면의 채취가 시작되는 시간, 석면의 총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채취시 석면 포집부의 작동상태 및 순간 유량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석면 포집부의 강제 종료, 또는 석면 채취의 완료시 작업자에게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 송출부;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 공급펌프의 순간 유량 값과, 설정 데이터 시료 채취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석면 여과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석면 여과필터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량센서; 및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석면 채취시 해당 위치의 온도 및 대기압을 측정하며,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Asbestos Sampling System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석면 포집부에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를 장착하여 석면을 채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감소시켜 유해한 석면 및 먼지 등이 많은 현장에서 채취자의 노출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먼지 또는 석면의 밀도가 높아 접근이 어려운 현장에서도 채취가 가능한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아스베스토)이란 천연석으로 생산되는 광물군 중에서 높은 항장력과 유연성을 지닌 견사 모양의 특이한 광택을 나타내는 섬유상 집합을 이루는 것의 속칭으로서, 길고(Long) 가늘고(Thin) 강한(Strong) 섬유로서 쉽게 갈라지고 천으로 직포할 수 있으며, 내열성, 불활성, 절연성이 있어 불연소성, 내정도성, 화학적 불활성이 요구되는 곳에 흔히 쓰인다, 석면의 종류가 다양하여 30가지가 넘는다고 하나 일반적으로 사문석 계통인 백색면과 각섬석 계통인 청석면과 갈석면 등 3가지가 상업적으로 중요하며, 세계적으로 생산량은 백석면이 95%이상을 차지한다. 대부분은 건축자재와 자동차 부품, 섬유제품 등으로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석면은 섬유형태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매우 뻣뻣하고 특히, 체내보존성이 높아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매우 높아 극히 제한된 취급자만이 다룰 수 있고, 그 사용 및 제거, 폐기물 처리에 관한 엄격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석면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폐암, 악성중피종, 석면폐 등의 직업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석면을 법령에 의해 독성지정폐기물로 지정되어 발효되었으나, 현재로서는 단체 및 기관의 단속이 거의 없으므로 석면관련 근로자 및 국민 다수가 생명에 위협을 받아온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대중이 이용하는 지하철 구간이나 학교 및 기간시설 등의 석면부유량이 규정치의 수십배에 달하는 등 기 살포되어 있던 석면의 제거공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철거 및 해체건물 공사시에도 석면이 살포된 건축폐기물은 일반건축폐기물과 엄격하게 분류하여 별도로 매립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공사장에서 일반건축물과 함께 폐기처분하는 폐해가 잇따르므로 2차 공해를 유발시킴은 물론 현장작업자와 주 변 주민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노동부법에서는 유해성이 입증된 석면의 사용을 규제 또는 관리토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석면을 포집하는 석면 포집 장치를 해외 또는 국내에서 도입하여 측정하고 있는데 지금껏 사용자가 현장에서 설치하고 해당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가 포집이 끝나면 필터를 회수하여 분석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석면을 포집하여 측정하는 측정장소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 및 범위에 따라 하루 만에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철거 또는 해체작업시 일주일 또는 그 이상 일정한 시간을 두고 연속해서 측정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석면을 포집하는 작업자가 연속해서 현장을 방문하여 설정과 필터의 교환 및 회수 장비의 재충전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상당하게 소요되는 만큼, 매우 불편하고, 비합리적인 방식이고, 더불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포집된 석면의 측정 또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석면 포집부에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를 장착하여 석면을 채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감소시켜 유해한 석면 및 먼지 등이 많은 현장에서 채취자의 노출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먼지 또는 석면의 밀도가 높아 접근이 어려운 현장에서도 채취가 가능한 석면 채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에 대해 채취 시간, 총 채취량, 시료 채취유량 등을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하여 자동으로 채취함에 따라 현장의 무인화가 가능하고, 각각의 석면 포집부마다 정확한 측정시간에 채취가 가능하여 석면 시료의 신뢰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부고시의 조건에 따라 필터여과지 입구의 높낮이 변경이 쉬운 거치대의조합과 도난 및 훼손 방지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를 함으로서 기존대기중 석면조사시 필터여과지의 위치에 따른 위치 오류를 미리 방지하여 측정 신뢰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도가 높거나 우천(雨天)시에도 습도센서를 추가적용하여 설정한 습도 값보다 현재습도가 높거나 설정한 기압 값보다 현재의 기압이 낮을 경우를 자동으로 프로그램에서 판단하여 우천(雨天)가능성 또는 높은 습도일 경우에 채취를 종료 또는 지연하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또는 실내외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는 석면 여과필터가 다수 구성된 석면 포집부; 상기 석면 포집부에 다수 구성되는 석면 여과필터에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간, 석면의 채취가 시작되는 시간, 석면의 총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채취시 석면 포집부의 작동상태 및 순간 유량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석면 포집부의 강제 종료, 또는 석면 채취의 완료시 작업자에게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 송출부;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 공급펌프의 순간 유량 값과, 설정 데이터 시료 채취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석면 여과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석면 여과필터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량센서; 및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석면 채취시 해당 위치의 온도 및 대기압을 측정하며,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석면 포집부는 내부에 필터 여과지가 장착되며, 석면 채취 장소에 적어도 1개 ~ n개가 설치되고, 개구된 상부에 회전부재를 통해 회전하는 밀폐커버가 구비된 석면 여과필터; 상기 석면 포집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석면 여과필터 및 회전모터를 고정시키며, 공급펌프와 공급호스를 통해 석면 여과필터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송출부는 작업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종료, 또는 정상 완료시 이에 해당하는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여 신속하게 사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답이 없는 경우, 주기적으로 상황에 따른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여 기록하고, 석면 채취 종료시 종료시간, 총채취량, 시료채취시 유량, 채취시 온도 및 대기압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석면의 채취 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시간, 총채취량, 시료채취시 유량, 채취시 온도 및 대기압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는 석면 포집 방법에 있어서, (a) 석면의 채취가 필요한 장소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 n개의 석면 여과필터를 설치하는 단계; (b) 설치가 완료되면, 설정 데이터를 입력부를 통해 설정하는 단계; (c) 설정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설정 데이터를 초 단위로 확인하여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d) 석면 채취 시작시간이 현재의 시간에 도달하면, 석면의 채취를 진행하는 단계; (e)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시료채취시 필요한 순간 유량과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f)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면,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g) 상기 석면의 채취량과 설정 데이터가 동일하면, 석면 포집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의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는 구동시간, 석면 채취 시작시간, 채취된 석면의 총 채취량, 채취시 필요한 공기의 순간 유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석면의 채취가 완료된 후, 비교 분석하는 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기설정된 순간 유량과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순간 유량과 동일하게 공급하도록 하고, 이때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 순간 유량 등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순간 유량과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면, 현 상태의 유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으면, 석면의 채취를 재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석면 포집부에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를 장착하여 석면을 채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감소시켜 유해한 석면 및 먼지 등이 많은 현장에서 채취자의 노출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먼지 또는 석면의 밀도가 높아 접근이 어려운 현장에서도 채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에 대해 채취 시간, 총 채취량, 시료 채취유량 등을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하여 자동으로 채취함에 따라 현장의 무인화가 가능하고, 각각의 석면 포집부마다 정확한 측정시간에 채취가 가능하여 석면 시료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석면 여과필터에 구성된 밀폐커버 및 고정장치의 재질을 정전기발생이 쉬운 플라스틱 또는 절연체(絶緣體) 등이 아닌 전기(電氣) 전도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미세한 석면 또는 먼지 등이 필터여과지에 정전기의 방해 없이 정확하게 시료의 채취가 가능함은 물론, 정전기에 의해 채취를 방해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부고시의 조건에 따라 필터여과지 입구의 높낮이 변경이 쉬운 거치대의조합과 도난 및 훼손 방지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를 함으로서 기존대기중 석면조사시 필터여과지의 위치에 따른 위치 오류를 미리 방지하여 측정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습도가 높거나 우천(雨天)시에도 습도센서를 추가적용하여 설정한 습도 값보다 현재습도가 높거나 설정한 기압 값보다 현재의 기압이 낮을 경우를 자동으로 프로그램에서 판단하여 우천(雨天)가능성 또는 높은 습도일 경우에 채취를 종료 또는 지연하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채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채취 시스템의 석면 포집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채취 시스템이 석면을 포집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채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채취 시스템의 석면 포집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채취 시스템이 석면을 포집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면 포집 시스템은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는 석면 포집부(100), 석면 포집부(100)에 다수 구성되는 석면 여과필터(110)에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210),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0), 작업자에게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 송출부(230), 설정 데이터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110)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240), 석면 여과필터(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250)의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량센서(260) 및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석면 포집부(100)는 건축물에 설치되고, 석면 포집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주변의 석면을 채취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필터 여과지가 장착된 석면 여과필터(110)와, 석면 포집 시스템의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20)와, 석면 여과필터(110) 및 회전모터(1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석면 여과필터(110)는 내부에 석면이 포집되는 필터 여과지가 구성되어 있으며, 개구된 상부를 포집할 때에는 개방하고, 포집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개구된 석면 여과필터(110)의 상부를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노출을 최소화하여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커버(112)가 회전부재(1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모터(120)는 석면의 포집시, 환경부 고시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110)를 45°기울기로 기울어지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구성되는 밀폐커버(112)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석면의 채취시 개방된 석면 여과필터(110)로 석면이 유입되도록 석면 여과필터(11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고정부(130)는 회전모터(120)와 석면 여과필터(110)가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특히 공급펌프(250)와 공급호스를 통해 연결 되도록 이 공급호스가 안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공급호스는 석면 여과필터(110)의 밀폐커버(112)와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된다.
입력부(210)는 작업자가 석면을 채취하기 위해 건축물에 다수 구성되는 석면 포집부(100)들에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설정 데이터는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시간을 설정하고, 채취가 시작되는 시간을 년, 월, 일, 시, 분, 초 단위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채취되는 석면의 총 채취량을 미리 설정한다. 또한, 석면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적절한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을 설정하는 데이터이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채취시 작동상태 및 순간 유량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는 구성요소이다.
메세지 송출부(230)는 석면 포집부(100)가 작동의 오류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어 강제 종료되거나,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어 정상 완료되었을 때, 이를 작업자에게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구성요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CDMA 모뎀을 사용하도록 하고, 제어부(270)와 연동되어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즉, 석면 포집부(100)의 강제 종료시, 제어부(270)는 이에 해당하는 알림 메세지를 송출할 수 있도록 메세지 송출부(230)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 메세지, 또는 경고음을 발송하도록 하고, 석면의 채취가 정상 완료되었을 경우, 이에 해당하는 문자 메세지를 메세지 송출부(230)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가 해당 메세지를 확인하면, 이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사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응답이 없는 경우, 주기적으로 상황에 따른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밸브(240)는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채취 시작시간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110)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제어밸브(240)는 석면을 포집하기 위하여 1개 ~ n개가 설치되는 석면 여과필터(110)에 각각 기설정된 구동시간, 다시말해 석면 포집 채취 시작시간이 현재시간과 일치되었을 때, 자동으로 기설정된 채취 시작시간에 해당하는 석면 여과필터(110)에서 석면의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공급펌프(250)로부터 공기를 공급되도록 밸브를 개방하도록 하고, 기설정된 총 채취량에 도달하여 채취가 완료되거나, 갑작스런 오작동으로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이 정지되면,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밸브를 폐쇄하여 공기의 유입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유량센서(260)는 석면 여과필터(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250)의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공급펌프(250)가 석면 여과필터(110)마다 각각 기설정된 시료채취유량과 현재 공급펌프(250)의 순간 유량 값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시료의 채취를 더욱 정확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센서(260)는 제어부(270)와 연동하여 제어부(270)에서 전송되는 공급펌프(250)의 순간 유량 값과, 기설정된 시료 채취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석면 여과필터(11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제어부(270)는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입력부(210)에서 입력되는 설정 데이터를 전송받아 메모리부(280)에 저장하여 이를 기록하도록 하고, 설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20)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설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모리부(280)는 석면의 채취 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시간(년/월/일/시/분/초), 총채취량(적산유량), 시료채취시 유량(순간 유량), 채취시 온도 및 대기압 등을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 또는 기타 메모리 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70)는 석면 채취장소에 적어도 1개 ~ n개 까지 설치되는 다수의 석면 포집부(100)를 구동하기 위해 입력부(210)에 입력된 석면의 채취 시작시간 즉, 구동시간에 도달하면, 석면 포집부(100)에 구성된 회전모터(120)를 구동시켜, 석면 여과필터(110)가 하향 회전하면서 45°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밀폐커버(112)가 개방되도록 하여 석면의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준비함과 동시에, 다수의 석면 포집부(100) 중 구동시간에 도달한 석면 포집부(100)의 석면 여과필터(110)와 연결된 제어밸브(240)를 작동시켜 공급펌프(2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석면의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270)는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었을 경우, 메세지 송출부(230)로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여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한편, 석면의 채취 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시간(년/월/일/시/분/초), 총채취량(적산유량), 시료채취시 유량(순간 유량)과 함께, 채취시 제어부(270)에 구성된 온도센서(292) 및 대기압 센서(294)에 의해 온도 및 대기압 등을 측정하여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 또는 기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값을 프린트할 수 있는 출력부(미도시)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석면 채취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면의 채취가 필요한 장소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 n개의 석면 여과필터(110)를 설치한다.(S310)
설치가 완료되면,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시간, 석면 채취 시작시간, 채취된 석면의 총 채취량, 채취시 필요한 공기의 순간 유량 등의 설정 데이터를 입력부(210)를 통해 설정한다.(S320)
이때,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를 메모리부(280)에 저장하여 석면의 채취가 완료된 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S322)
설정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270)에서는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110)에 설정된 설정 데이터를 초 단위로 확인하여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여부를 체크하여 석면 채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한다.(S330)
이때, 석면을 채취하는 주변의 습도가 설정 데이터에 의한 설정 값보다 높으면(S332), 채취 날짜 또는 시간을 연장하고, 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한다.(S334)
그리고, 습도가 설정 값보다 낮으면, 석면을 채취하는 주변의 대기압이 설정 값과 비교하고, 주변의 대기압이 설정값보다 낮으면, 채취 날짜 또는 시간을 연장하며, 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습도가 설정값보다 낮고, 대기압이 설정값보다 높으면, 제어부(270)에서는 석면 여과필터(110)에 설정된 설정 데이터 중 구동시간, 석면 채취 시작시간이 현재의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석면 여과필터(110)를 구동하기 위한 석면 포집부(100), 제어밸브(240), 공급펌프(250), 유량센서(260) 등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석면의 채취가 진행되도록 한다.(S340)
또한, 제어부(270)에서는 유량센서(260)를 통해 공급펌프(25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체크하여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시료채취시 필요한 순간 유량과 공급펌프(250)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한지 확인한다.(S350)
만약, 기설정된 순간 유량과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공급펌프(2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순간 유량과 동일하게 공급하도록 하고,(S352) 이때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 순간 유량 등을 메모리부(280)에 저장한다.(S354) 또한, 순간 유량과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면, 현 상태의 유량을 유지하도록 한다.(S360)
이후, 석면의 채취가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의 총 채취량에 도달하여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S370) 석면의 채취량이 설정 데이터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순간 유량을 유지한 채, 석면의 채취를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채취가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한지 확인한다.(S380)
만약,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으면, 석면의 채취를 재차 수행하고, 설정 데이터와 동일하면,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을 정시한다.(S390)
또한,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의 데이터를 메모리부(280)에 저장한다.(S395)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석면 포집부에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를 장착하여 석면을 채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감소시켜 유해한 석면 및 먼지 등이 많은 현장에서 채취자의 노출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먼지 또는 석면의 밀도가 높아 접근이 어려운 현장에서도 채취가 가능하고,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에 대해 채취 시간, 총 채취량, 시료 채취유량 등을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하여 자동으로 채취함에 따라 현장의 무인화가 가능하고, 각각의 석면 포집부마다 정확한 측정시간에 채취가 가능하여 석면 시료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석면 여과필터에 구성된 밀폐커버 및 고정장치의 재질을 정전기발생이 쉬운 플라스틱 또는 절연체(絶緣體) 등이 아닌 전기(電氣) 전도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미세한 석면 또는 먼지 등이 필터여과지에 정전기의 방해 없이 정확하게 시료의 채취가 가능함은 물론, 정전기에 의해 채취를 방해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한편, 환경부고시의 조건에 따라 필터여과지 입구의 높낮이 변경이 쉬운 거치대의조합과 도난 및 훼손 방지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를 함으로서 기존대기중 석면조사시 필터여과지의 위치에 따른 위치 오류를 미리 방지하여 측정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습도가 높거나 우천(雨天)시에도 습도센서를 추가적용하여 설정한 습도 값보다 현재습도가 높거나 설정한 기압 값보다 현재의 기압이 낮을 경우를 자동으로 프로그램에서 판단하여 우천(雨天)가능성 또는 높은 습도일 경우에 채취를 종료 또는 지연하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는 발명으로, 석면에 의한 환경오염 측정 및 분석, 석면피해조사, 환경영향평가, 건축 또는 철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석면의 측정, 공장, 사무실, 공공장소, 도로, 학교, 지하철 또는 지하공간 등에서의 석면 감시, 대기중 석면조사를 시행하는 관공서 또는 민간업체 등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석면 포집부 110: 석면 여과필터
112: 밀폐커버 114: 회전부재
120: 회전모터 130: 고정부
210: 입력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메세지 송출부 240: 제어밸브
250: 공급펌프 260: 유량센서
270: 제어부 280: 메모리부
292: 압력센서 294: 대기압 센서

Claims (11)

  1. 건축물 내부 또는 실내외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는 석면 여과필터가 다수 구성된 석면 포집부;
    상기 석면 포집부에 다수 구성되는 석면 여과필터에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간, 석면의 채취가 시작되는 시간, 석면의 총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채취시 석면 포집부의 작동상태 및 순간 유량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석면 포집부의 강제 종료, 또는 석면 채취의 완료시 작업자에게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 송출부;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
    공급펌프의 순간 유량 값과, 설정 데이터 시료 채취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석면 여과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석면 여과필터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량센서; 및
    석면 포집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석면 채취시 해당 위치의 온도 및 대기압을 측정하며,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 포집부는
    내부에 필터 여과지가 장착되며, 석면 채취 장소에 적어도 1개 ~ n개가 설치되고, 개구된 상부에 회전부재를 통해 회전하는 밀폐커버가 구비된 석면 여과필터;
    상기 석면 포집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석면 여과필터 및 회전모터를 고정시키며, 공급펌프와 공급호스를 통해 석면 여과필터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송출부는 작업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종료, 또는 정상 완료시 이에 해당하는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여 신속하게 사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답이 없는 경우, 주기적으로 상황에 따른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여 기록하고, 석면 채취 종료시 종료시간, 총채취량, 시료채취시 유량, 채취시 온도 및 대기압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석면의 채취 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시간, 총채취량, 시료채취시 유량, 채취시 온도 및 대기압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시스템.
  7.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는 석면 포집 방법에 있어서,
    (a) 석면의 채취가 필요한 장소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 n개의 석면 여과필터를 설치하는 단계;
    (b) 설치가 완료되면, 설정 데이터를 입력부를 통해 설정하는 단계;
    (c) 설정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설정 데이터를 초 단위로 확인하여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d) 석면 채취 시작시간이 현재의 시간에 도달하면, 석면의 채취를 진행하는 단계;
    (e)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시료채취시 필요한 순간 유량과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f)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면,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g) 상기 석면의 채취량과 설정 데이터가 동일하면, 석면 포집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의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는 구동시간, 석면 채취 시작시간, 채취된 석면의 총 채취량, 채취시 필요한 공기의 순간 유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석면의 채취가 완료된 후, 비교 분석하는 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기설정된 순간 유량과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순간 유량과 동일하게 공급하도록 하고, 이때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 순간 유량 등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순간 유량과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면, 현 상태의 유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으면, 석면의 채취를 재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
KR1020110027139A 2011-03-25 2011-03-25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39A KR101051443B1 (ko) 2011-03-25 2011-03-25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39A KR101051443B1 (ko) 2011-03-25 2011-03-25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1443B1 true KR101051443B1 (ko) 2011-07-25

Family

ID=4492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139A KR101051443B1 (ko) 2011-03-25 2011-03-25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724B1 (ko) 2020-06-26 2020-10-23 (주)한국석면조사기관 석면 시료 채취 장치
KR102261476B1 (ko) * 2019-12-12 2021-06-07 주식회사 한국환경과학연구소 다채널 석면 샘플링 장치
KR102517951B1 (ko) * 2022-04-22 2023-04-03 유재방 비산성 석면 시료채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913A (ja) * 1987-10-01 1989-04-13 Gpac Inc 浮遊汚染物用濾過装置
US4838910A (en) 1987-09-18 1989-06-13 Critical Systems, Inc. Air driven filtration system
KR100860829B1 (ko) 2008-06-11 2008-10-02 (주) 옥당산업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KR101002023B1 (ko) 2009-01-30 2010-12-16 서울메트로 구조물 내부 표면의 석면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8910A (en) 1987-09-18 1989-06-13 Critical Systems, Inc. Air driven filtration system
JPH0194913A (ja) * 1987-10-01 1989-04-13 Gpac Inc 浮遊汚染物用濾過装置
KR100860829B1 (ko) 2008-06-11 2008-10-02 (주) 옥당산업 석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석면 제거 방법
KR101002023B1 (ko) 2009-01-30 2010-12-16 서울메트로 구조물 내부 표면의 석면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76B1 (ko) * 2019-12-12 2021-06-07 주식회사 한국환경과학연구소 다채널 석면 샘플링 장치
KR102169724B1 (ko) 2020-06-26 2020-10-23 (주)한국석면조사기관 석면 시료 채취 장치
KR102517951B1 (ko) * 2022-04-22 2023-04-03 유재방 비산성 석면 시료채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03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fugitive gas emissions at oil facilities
CN106871965B (zh) 一种多组分大气环境网格化监测仪
KR101051443B1 (ko)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US7748450B2 (en) Gas wellhead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CN205748466U (zh) 一种工地扬尘噪声监管系统
CN110907603B (zh) 轨道式巡检系统
CN205537740U (zh) 一种城市扬尘、噪声在线监测系统
US11255777B2 (en) Automated remote gas monitoring and flare control system
KR102278458B1 (ko) 자동환경 측정시스템
CN110215779A (zh) 绿色施工环境监测系统
CN104198661A (zh) 生态用地空气负氧离子的在线监测方法
KR101098416B1 (ko)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
CN216081578U (zh) 一种一体化智能观测站
CN206627148U (zh) 一种多组分大气环境网格化监测仪
CN210858785U (zh) 一种矿井巷道智能风门风量调节装置
CN205385563U (zh) 一种车载式扬尘噪声在线监测设备
CN208215627U (zh) 一种移动养护室
CN205541303U (zh) 一种用于地质灾害监测的裂缝与视频联动监测预警一体机
CN205506092U (zh) 电力管道的检测设备
CN215067380U (zh) 一种大气干湿沉降采集仪
CN110764562A (zh) 一种粮仓综合控制系统
KR20120039219A (ko) 입자상 대기오염물질 측정과 대기질 모니터링을 위한 파티클 카운팅 장치
CN208282856U (zh) 一种户外环境监测器
CN211122792U (zh) 一种园林测量装置
CN113055438A (zh) 一种多功能智能窨井盖、窨井数据处理系统及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