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724B1 - 석면 시료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석면 시료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724B1
KR102169724B1 KR1020200078431A KR20200078431A KR102169724B1 KR 102169724 B1 KR102169724 B1 KR 102169724B1 KR 1020200078431 A KR1020200078431 A KR 1020200078431A KR 20200078431 A KR20200078431 A KR 20200078431A KR 102169724 B1 KR102169724 B1 KR 102169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tates
asbestos
collect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석면조사기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석면조사기관 filed Critical (주)한국석면조사기관
Priority to KR102020007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66Disposal of asbesto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01N2001/2866Grinding or homogene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면이 포함되어 있는 벽을 갈아서 석면 가루를 생성하는 채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면 시료 채취 장치{ASBESTOS SAMPLING DEVICE}
본 발명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 성형기에 따라 배합된 필름을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면은 호흡기를 통해 폐에 침입함으로써 유발되는 석면폐증, 중피종, 폐암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석면이 함유된 건축 마감재를 조사하여 석면의 함유 여부, 함유된 석면의 종류, 함유량 등을 분석하고 있다.
건축 마감재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천장, 벽체, 바닥으로부터 석면 가루를 채취하는데, 이 과정에서 석면 가루를 포함하는 먼지가 비산되는데, 조사자는 이 먼지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건물 사용자들의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석면 조사를 실시하면서도 조사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비산되는 먼지를 줄일 필요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881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51443호
본 발명의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 따르면, 석면 시료 채취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비산될 가능성이 줄여서 조사자의 안전 및 비산된 먼지에 의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석면 시료 채취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전기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가 간단하면서도 채취를 위한 조작이 간단하여 빠르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면 시료 채취 장치는 석면이 포함되어 있는 벽을 갈아서 석면 가루를 생성하는 채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석면 시료 채취 장치는 채취부의 위에서 바람을 불어서 채취부에 의해 생성된 석면 가루를 아래 방향으로 날려보내는 송풍부, 채취부가 벽에 닿는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채취부가 생성한 가루를 보관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채취부는 아래 쪽에 기어가 형성되는 렉기어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는 수평 기어부, 피니언 기어로 수평 기어부와 맞물리며, 수평 기어부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수평 기어부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기어부, 내측에 기어가 형성되는 벨트로 제1 회전 기어부와 맞물리며, 제1 회전 기어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회전 기어부가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달 벨트부, 피니언 기어로 전달 벨트부와 맞물리며, 전달 벨트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달 벨트부가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기어부 및 제2 회전 기어부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앞쪽 방향 또는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외부면에 일측으로 구부러진 날카로운 톱니를 구비하여 앞쪽으로 회전할때는 벽을 갈 수 있는 톱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송풍부는 내부가 원기둥 형태로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은 막혀 있고, 다른 일측면이 뚫려 있는 송풍 본체부, 송풍 본체부의 막혀있는 일측의 하단 방향으로 가로로 긴 구멍인 송풍 배기부 및 송풍 본체부의 빈공간에 빈틈없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원기둥으로 앞쪽으로 이동하면 송풍 본체부의 내부 공기를 송풍 배기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뒤쪽으로 이동하면 송풍 배기부를 통해 송풍 본체부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부는 송풍 본체부의 하단으로 이어진 부분의 내측이 뚫려 있으며, 뚫려진 공간으로 채취부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조절 본체부, 조절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돌출되며, 뒤쪽의 일부가 함몰되는 제1 조절 고정부, 채취부의 좌측 및 우측에 돌출되며, 앞쪽의 일부가 함몰되는 제2 조절 고정부 및 제1 조절 고정부의 함몰된 부분과 제2 조절 고정부의 함몰된 부분에 끼워져서 배치되며, 채취부에 후방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조절 고정부와 제2 조절 고정부의 사이 간격을 가까워지게 하여 채취부가 벽에 닿을 수 있게 하고, 채취부에 가해지던 후방 압력이 없어지면, 제2 조절 고정부를 제1 조절 고정부로부터 멀어지게 조절하는 조절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관부는 채취부에 의해 생성된 시료를 보관하는 보관홈부 및 채취부의 하단에 부착하기 위해 보관홈부의 상측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자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관부는 상기 보관홈부의 측면 상부의 일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가 앞뒤 방향으로 뚫려 있는 보관 고정부; 및
두 개의 원기둥 형태의 막대기가 상기 조절 이동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조절 이동부가 앞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보관 고정부로 삽입되는 보관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석면 시료 채취 장치는 샘플링 과정을 수행하여 석면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샘플링 과정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의 앞부분이 벽에 닿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송풍 압박부 및 수평 기어부에 앞쪽 방향으로 압박을 가하는 압박 단계, 압박에 따라 제1 조절 고정부와 제2 조절 고정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톱니부가 벽에 닿으면서 멈추게 되는 조절 단계, 사용자가 수평 기어부에 앞쪽 방향으로 압박을 더 가하면, 톱니부가 회전하여 벽을 갈아내는 채취 단계, 사용자가 송풍 압박부에 앞쪽 방향으로 압박을 더 가하면, 송풍 복체부의 내부 공기가 상풍 배기부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내는 송풍 단계 및 채취 단계에서 갈아진 석면 가루가 송풍 단계의 바람에 의해 보관홈부로 이동하는 보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채취 단계는 수평 기어부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제1 회전 기어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단계, 제1 회전 기어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달 벨트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달 단계, 전달 벨트부가 회전하면, 제2 회전 기어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단계 및 제2 회전 기어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톱니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벽을 갈아내는 톱니 회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석면 시료 채취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비산될 가능성이 줄여서 조사자의 안전 및 비산된 먼지에 의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가 간단하면서도 채취를 위한 조작이 간단하여 빠르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시료 채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채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송풍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송풍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조절부의 외부 구성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조절부의 외부 구성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보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보관 이동부 및 보관 고정부의 평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보관 이동부 및 보관 고정부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시료 장치의 샘플링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는 샘플링 과정의 채취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시료 채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면 시료 채취 장치(10)는 채취부(100)를 포함한다.
채취부(100)는 석면이 포함되어 있는 벽을 갈아서 석면 가루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석면 시료 채취 장치(10)는 송풍부(300), 조절부(500) 및 보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300)는 채취부(100)의 위에서 바람을 불어서 채취부(100)에 의해 생성된 석면 가루를 아래 방향으로 날려보낼 수 있다.
조절부(500)는 채취부(100)가 벽에 닿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보관부(700)는 채취부(100)가 생성한 가루를 보관할 수 있다.
도 2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채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채취부(100)는 수평 기어부(110), 수평 기어부(130), 전달 벨트부(150), 제2 회전 기어부(170) 및 톱니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기어부(110)는 아래 쪽에 기어가 형성되는 렉기어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 기어부(130)는 피니언 기어로 수평 기어부(110)와 맞물리며, 수평 기어부(110)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수평 기어부(110)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달 벨트부(150)는 내측에 기어가 형성되는 벨트로 수평 기어부(130)와 맞물리며, 수평 기어부(130)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수평 기어부(130)가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 기어부(170)는 피니언 기어로 전달 벨트부(150)와 맞물리며, 전달 벨트부(150)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달 벨트부(150)가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톱니부(190)는 제2 회전 기어부(17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앞쪽 방향 또는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외부면에 일측으로 구부러진 날카로운 톱니를 구비하여 앞쪽으로 회전할때는 벽을 갈 수 있다.
도 3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송풍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송풍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송풍부(300)는 송풍 본체부(310), 송풍 배기부(330) 및 송풍 압박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본체부(310)는 내부가 원기둥 형태로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은 막혀 있고, 다른 일측면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송풍 배기부(330)는 송풍 본체부(310)의 막혀있는 일측의 하단 방향으로 가로로 긴 구멍의 형태일 수 있다.
송풍 압박부(350)는 송풍 본체부(310)의 빈공간에 빈틈없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원기둥으로 앞쪽으로 이동하면 송풍 본체부(310)의 내부 공기를 송풍 배기부(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뒤쪽으로 이동하면 송풍 배기부(330)를 통해 송풍 본체부(3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도 5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조절부의 외부 구성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조절부의 외부 구성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절부(500)는 조절 본체부(510), 제1 조절 고정부(530), 제2 조절 고정부(550) 및 조절 탄성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본체부(510)는 송풍 본체부(310)의 하단으로 이어진 부분의 내측이 뚫려 있으며, 뚫려진 공간으로 채취부(100)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다.
제1 조절 고정부(530)는 조절 본체부(510)의 좌측 및 우측에 돌출되며, 뒤쪽의 일부가 함몰될 수 있다.
제2 조절 고정부(550)는 채취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돌출되며, 앞쪽의 일부가 함몰될 수 있다.
조절 탄성부(570)는 제1 조절 고정부(530)의 함몰된 부분과 제2 조절 고정부(550)의 함몰된 부분에 끼워져서 배치되며, 채취부(100)에 후방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조절 고정부(530)와 제2 조절 고정부(550)의 사이 간격을 가까워지게 하여 채취부(100)가 벽에 닿을 수 있게 하고, 채취부(100)에 가해지던 후방 압력이 없어지면, 제2 조절 고정부(550)를 제1 조절 고정부(530)로부터 멀어지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서 보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관부(700)는 보관홈부(710) 및 자력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홈부(710)는 채취부(100)에 의해 생성된 시료를 보관할 수 있다.
자력부(730)는 채취부(100)의 하단에 부착하기 위해 보관홈부(710)의 상측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보관 이동부 및 보관 고정부의 평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보관 이동부 및 보관 고정부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보관부(700)는 보관 고정부(750) 및 보관 이동부(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 고정부(750)는 보관홈부(710)의 측면 상부의 일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가 앞뒤 방향으로 뚫려 있을 수 있다.
보관 이동부(770)는 두 개의 원기둥 형태의 막대기가 제2 조절 고정부(550)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고, 제2 조절 고정부(550)가 앞쪽 방향으로 이동하면 보관 고정부(750)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 시료 장치의 샘플링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석면 시료 채취 장치(10)는 샘플링 과정(S100)을 수행하여 석면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과정(S100)은 도 1에 나타난 석면 시료 채취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석면 시료 채취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샘플링 과정(S100)은 압박 단계(S110), 조절 단계(S130), 채취 단계(S150), 송풍 단계(S170) 및 보관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단계(S110)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10)의 앞부분이 벽에 닿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송풍 압박부(350) 및 수평 기어부(110)에 앞쪽 방향으로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조절 단계(S130)는 압박에 따라 제1 조절 고정부(530)와 제2 조절 고정부(55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톱니부(190)가 벽에 닿으면서 멈추게 될 수 있다.
채취 단계(S150)는 사용자가 수평 기어부(110)에 앞쪽 방향으로 압박을 더 가하면, 톱니부(190)가 회전하여 벽을 갈아낼 수 있다.
송풍 단계(S170)는 사용자가 송풍 압박부(350)에 앞쪽 방향으로 압박을 더 가하면, 송풍 본체부(310)의 내부 공기가 송풍 배기부(330)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낼 수 있다.
보관 단계(S190)는 채취 단계(S150)에서 갈아진 석면 가루가 송풍 단계(S170)의 바람에 의해 보관홈부(71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샘플링 과정의 채취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채취 단계(S150)는 제1 회전 단계(S151), 전달 단계(S153), 제2 회전 단계(S155) 및 톱니 회전 단계(S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단계(S151)는 수평 기어부(110)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수평 기어부(130)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전달 단계(S153)는 수평 기어부(130)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달 벨트부(150)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 단계(S155)는 전달 벨트부(150)가 회전하면, 제2 회전 기어부(170)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톱니 회전 단계(S157)는 제2 회전 기어부(170)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톱니부(190)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벽을 갈아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 따르면, 석면 시료 채취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비산될 가능성이 줄여서 조사자의 안전 및 비산된 먼지에 의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석면 시료 채취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전기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가 간단하면서도 채취를 위한 조작이 간단하여 빠르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석면 시료 채취 장치
100: 채취부
300: 송풍부
500: 조절부
700: 보관부

Claims (2)

  1. 석면이 포함되어 있는 벽을 갈아서 석면 가루를 생성하는 채취부를 포함하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에 따르면,
    상기 석면 시료 채취 장치는,
    상기 채취부의 위에서 바람을 불어서 상기 채취부에 의해 생성된 석면 가루를 아래 방향으로 날려보내는 송풍부;
    상기 채취부가 벽에 닿는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채취부가 생성한 가루를 보관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취부는,
    아래 쪽에 기어가 형성되는 렉기어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이동하는 수평 기어부;
    피니언 기어로 상기 수평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수평 기어부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평 기어부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기어부;
    내측에 기어가 형성되는 벨트로 상기 제1 회전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제1 회전 기어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회전 기어부가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달 벨트부;
    피니언 기어로 상기 전달 벨트부와 맞물리며, 상기 전달 벨트부가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전달 벨트부가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기어부;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부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앞쪽 방향 또는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외부면에 일측으로 구부러진 날카로운 톱니를 구비하여 앞쪽으로 회전할때는 벽을 갈 수 있는 톱니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는,
    내부가 원기둥 형태로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은 막혀 있고, 다른 일측면이 뚫려 있는 송풍 본체부;
    상기 송풍 본체부의 막혀있는 일측의 하단 방향으로 가로로 긴 구멍인 송풍 배기부; 및
    상기 송풍 본체부의 빈공간에 빈틈없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원기둥으로 앞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송풍 본체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송풍 배기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뒤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송풍 배기부를 통해 상기 송풍 본체부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송풍 본체부의 하단으로 이어진 부분의 내측이 뚫려 있으며, 뚫려진 공간으로 상기 채취부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조절 본체부;
    상기 조절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돌출되며, 뒤쪽의 일부가 함몰되는 제1 조절 고정부;
    상기 채취부의 좌측 및 우측에 돌출되며, 앞쪽의 일부가 함몰되는 제2 조절 고정부; 및
    상기 제1 조절 고정부의 함몰된 부분과 상기 제2 조절 고정부의 함몰된 부분에 끼워져서 배치되며, 상기 채취부에 후방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조절 고정부와 상기 제2 조절 고정부의 사이 간격을 가까워지게 하여 상기 채취부가 벽에 닿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채취부에 가해지던 후방 압력이 없어지면, 상기 제2 조절 고정부를 상기 제1 조절 고정부로부터 멀어지게 조절하는 조절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는,
    상기 채취부에 의해 생성된 시료를 보관하는 보관홈부;
    상기 채취부의 하단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보관홈부의 상측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자력부;를 포함하는 석면 시료 채취 장치.
  2. 삭제
KR1020200078431A 2020-06-26 2020-06-26 석면 시료 채취 장치 KR10216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31A KR102169724B1 (ko) 2020-06-26 2020-06-26 석면 시료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31A KR102169724B1 (ko) 2020-06-26 2020-06-26 석면 시료 채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724B1 true KR102169724B1 (ko) 2020-10-23

Family

ID=7303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431A KR102169724B1 (ko) 2020-06-26 2020-06-26 석면 시료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7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751A (ja) * 2006-06-29 2008-01-17 Shimizu Corp 石綿発塵量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53293A (ko) * 2009-11-14 2011-05-20 한광진 천장재 및 지붕재 시료 채취기구 와 이를 사용한 시료 채취 공법
KR20110083797A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석면시료 채취기
KR101051443B1 (ko) 2011-03-25 2011-07-25 이종일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2834B1 (ko) * 2011-07-12 2011-09-07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석면 고형시료 채취장치
KR101348816B1 (ko) 2012-03-17 2014-01-14 주식회사 미래환경분석 석면시료채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751A (ja) * 2006-06-29 2008-01-17 Shimizu Corp 石綿発塵量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53293A (ko) * 2009-11-14 2011-05-20 한광진 천장재 및 지붕재 시료 채취기구 와 이를 사용한 시료 채취 공법
KR20110083797A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석면시료 채취기
KR101051443B1 (ko) 2011-03-25 2011-07-25 이종일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2834B1 (ko) * 2011-07-12 2011-09-07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석면 고형시료 채취장치
KR101348816B1 (ko) 2012-03-17 2014-01-14 주식회사 미래환경분석 석면시료채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724B1 (ko) 석면 시료 채취 장치
CN208065191U (zh) 压迫板及x射线诊断装置
EP2365427A3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BR102016020384B1 (pt) Máquina agrícola compreendendo um conjunto de subsistemas controláveis, uma pluralidade de sensores, um sistema de geração de limiar de controle e um sistema de controle
JP6116930B2 (ja) X線ct装置
CN201053711Y (zh) 风幕导吸油烟机
CN106144243A (zh) 一种工艺品储藏用防潮防尘储存箱
KR20220049502A (ko)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CN208512718U (zh) 一种稳定性强的石块粉碎机
CN212386015U (zh) 一种3d打印装置
JP5889862B2 (ja) ゴム混練機およびゴム混練機の集塵方法
CN206779077U (zh) 仪器仪表用通风除尘设备
CN211549318U (zh) 一种整体四门触屏式密码保密柜
CN220000800U (zh) 一种具有旋转功能的电子烟
JP2005058642A (ja) 電気掃除機
JP2011147632A (ja) 注射器の廃棄分別装置
US9730565B2 (en) Vacuum device
US20140190324A1 (en) Microtome
CN215826479U (zh) 一种改进型汽车中控面板
CN212207168U (zh) 一种便携式伸缩式超薄x射线检测仪
CN216579434U (zh) 一种按摩仪气袋生产的切刀装置
CN220427153U (zh) 一种电工钢激光刻痕监控成像的设备
CN210673349U (zh) 一种车载摄片防护帘
CN207711667U (zh) 一种雕刻机空气净化装置
JP7165868B1 (ja) 掃除機及び掃除機と掃除機から塵埃を回収する回収装置とを備えた清掃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