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416B1 -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416B1
KR101098416B1 KR1020110066741A KR20110066741A KR101098416B1 KR 101098416 B1 KR101098416 B1 KR 101098416B1 KR 1020110066741 A KR1020110066741 A KR 1020110066741A KR 20110066741 A KR20110066741 A KR 20110066741A KR 101098416 B1 KR101098416 B1 KR 10109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filtration filter
flow rate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일
임호주
Original Assignee
이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일 filed Critical 이종일
Priority to KR102011006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석면 포집 장치는 내부에 필터 여과지가 장착되며, 개구된 상부에 회전부재를 통해 회전하는 밀폐커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석면 여과필터와,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와 회전모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석면 포집부; 및
석면 포집부의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하여 석면을 포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석면 포집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Iron Oxide Dust Collector of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석면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자동으로 각각 제어하여 작업자의 작업 시간 및 인력 소모를 감소하는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아스베스토)이란 천연석으로 생산되는 광물군 중에서 높은 항장력과 유연성을 지닌 견사 모양의 특이한 광택을 나타내는 섬유상 집합을 이루는 것의 속칭으로서, 길고(Long) 가늘고(Thin) 강한(Strong) 섬유로서 쉽게 갈라지고 천으로 직포할 수 있으며, 내열성, 불활성, 절연성이 있어 불연소성, 내정도성, 화학적 불활성이 요구되는 곳에 흔히 쓰인다. 석면의 종류가 다양하여 30가지가 넘는다고 하나 일반적으로 사문석 계통인 백색면과 각섬석 계통인 청석면과 갈석면 등 3가지가 상업적으로 중요하며, 세계적으로 생산량은 백석면이 95%이상을 차지한다. 대부분은 건축자재와 자동차 부품, 섬유제품 등으로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석면은 섬유 형태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매우 뻣뻣하고 특히, 체내 보존성이 높아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매우 높아 극히 제한된 취급자만이 다룰 수 있고, 그 사용 및 제거, 폐기물 처리에 관한 엄격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석면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폐암, 악성중피종, 석면폐 등의 직업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석면을 법령에 의해 독성 지정 폐기물로 지정되어 발효되었으나, 현재로서는 단체 및 기관의 단속이 거의 없으므로 석면 관련 근로자 및 국민 다수가 생명에 위협을 받아왔다.
특히, 대중이 이용하는 지하철 구간이나 학교 및 기간 시설 등의 석면부유량이 규정치의 수십배에 달하는 등 기살포되어 있던 석면의 제거 공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철거 및 해체 건물 공사시에도 석면이 살포된 건축 폐기물은 일반 건축 폐기물과 엄격하게 분류하여 별도로 매립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공사장에서 일반 건축물과 함께 폐기 처분하는 폐해가 잇따르므로 2차 공해를 유발시키고 현장 작업자와 주변 주민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노동부법에서는 유해성이 입증된 석면의 사용을 규제 또는 관리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석면을 포집하는 석면 포집 장치를 해외 또는 국내에서 도입하여 측정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현장에서 설치하고 해당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가 포집이 끝나면 필터를 회수하여 분석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석면을 포집하여 측정하는 측정 장소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 및 범위에 따라 하루 만에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철거 또는 해체 작업시 일주일 또는 그 이상 일정한 시간을 두고 연속해서 측정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석면을 포집하는 작업자가 연속해서 현장을 방문하여 설정과 필터의 교환 및 회수 장비의 재충전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상당하게 소요되는 만큼, 매우 불편하고, 비합리적인 방식이고, 더불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포집된 석면의 측정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석면 포집부에 복수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자동으로 각각 제어하여 석면을 채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석면 여과필터에 대해 채취 시간, 총 채취량, 시료 채취유량 등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자동으로 채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환경부 고시의 조건에 따라 필터 여과지 입구의 높낮이 변경이 쉬운 거치대 조합과 도난 및 훼손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석면 여과필터에 대해 채취 시간, 총 채취량, 시료 채취유량 등의 설정 데이터 이외에 풍속 및 풍향 측정부를 이용하여 풍향과 풍속 정보를 함께 측정하여 석면 시료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습/온도 센서를 추가 적용하여 습도가 높거나 우천시에도 우천 가능성 또는 높은 습도일 경우를 판단하여 석면 채취를 종료 또는 지연하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는,
내부에 필터 여과지가 장착되며, 개구된 상부에 회전부재를 통해 회전하는 밀폐커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석면 여과필터와,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와 회전모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석면 포집부; 및
상기 석면 포집부의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하여 석면을 포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석면 포집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는,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석면 여과필터가 하나 이상 형성된 석면 포집부;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간, 석면의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을 포함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석면 여과필터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밸브;
상기 석면 여과필터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순간 유량값과 상기 석면 여과필터마다 각각 설정된 시료채취 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석면 여과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센서;
상기 석면 포집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염원 주변의 풍향/풍속 신호를 감지하는 풍향 및 풍속 측정부; 및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간을 기초로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 제어 밸브, 유량센서, 풍향 및 풍속 측정부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제어하여 석면 채취와 관련한 작업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석면 포집 방법은,
석면 채취가 필요한 장소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석면 여과필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시간, 석면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 풍향 신호를 포함한 설정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동시간에 따라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석면 채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시료채취 유량과 상기 석면 여과필터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순간 유량값이 동일한 경우,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상기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의 석면 채취량과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상기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의 석면 채취량이 동일한 경우,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 측정한 석면 채취와 관련한 작업 데이터―상기 작업 데이터는 오염원 주변의 풍향/풍속 신호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석면 포집부에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를 장착하여 석면을 채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감소시켜 유해한 석면 및 먼지 등이 많은 현장에서 채취자의 노출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먼지 또는 석면의 밀도가 높아 접근이 어려운 현장에서도 채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시간, 석면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 등의 작업 데이터 이외에 오염원 주변의 풍속/풍향 정보를 측정하여 석면 채취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에 대해 채취 시간, 총 채취량, 시료 채취유량 등을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하여 자동으로 채취함에 따라 현장의 무인화가 가능하고,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마다 정확한 측정시간에 채취가 가능하여 석면 시료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석면 여과필터에 구성된 밀폐커버 및 고정장치의 재질을 정전기 발생이 쉬운 플라스틱 또는 절연체(絶緣體) 등이 아닌 전기(電氣) 전도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미세한 석면 또는 먼지 등이 필터 여과지에 정전기의 방해 없이 정확하게 시료의 채취가 가능하고 정전기에 의해 채취를 방해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환경부고시의 조건에 따라 필터 여과지 입구의 높낮이 변경이 쉬운 거치대의 조합과 도난 및 훼손 방지 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를 함으로써 기존 대기 중 석면 조사시 필터 여과지의 위치에 따른 위치 오류를 미리 방지하여 측정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습도가 높거나 우천(雨天)시에도 습도센서를 추가적용하여 설정한 습도 값보다 현재습도가 높거나 설정한 기압 값보다 현재의 기압이 낮을 경우를 자동으로 프로그램에서 판단하여 우천(雨天)가능성 또는 높은 습도일 경우에 채취를 종료 또는 지연하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의 석면 여과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의 석면 여과필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의 석면 여과필터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의 높이가 조절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를 이용한 석면 포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의 석면 여과필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의 석면 여과필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의 석면 여과필터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의 높이가 조절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되고, 제어장치(27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주변의 석면을 채취하는 장치로서, 석면 포집부(100)와 제어장치(270)가 내장되는 본체부(200),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석면 포집부(100) 및 석면 여과필터(11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70)를 포함한다.
석면 포집부(100)는 건축물에 설치되고, 제어장치(27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주변의 석면을 채취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필터 여과지가 장착된 석면 여과필터(110)와, 제어장치(270)의 제어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20)와, 석면 여과필터(110) 및 회전모터(1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석면 여과필터(1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석면이 포집되는 필터 여과지가 구성되어 있으며, 개구된 상부를 포집할 때에는 개방하고, 포집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개구된 석면 여과필터(110)의 상부를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노출을 최소화하여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커버(112)가 회전부재(1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석면 여과필터(110)는 석면의 유입시, 정전기에 의해 포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은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구성되며, 석면의 채취시 필터 여과지를 통과하고, 석면이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밀폐커버(112)와 대향되는 방향 즉, 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필터 여과지는 석면 여과필터(110)의 내부에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아울러, 밀폐커버(112)는 석면 여과필터(110)의 입구측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는 밀폐 케이스(118)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밀폐 케이스(118)의 내주면에는 석면 여과필터(110)와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고,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고무링(116)이 구성되며, 밀폐커버(112)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14)가 구성되어 석면 여과필터(110)와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모터(120)는 석면의 포집시, 환경부 고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면 여과필터(110)를 45°기울기로 기울어지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구성되는 밀폐커버(112)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석면의 채취시 개방된 석면 여과필터(110)로 석면이 유입되도록 석면 여과필터(11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고정부(130)는 회전모터(120)와 석면 여과필터(110)가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정전기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석면의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석면 여과필터(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공급호스를 통해 연결되도록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132)와, 연결부(132)의 중앙으로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관통되는 관통홀에 연결되며, 석면 여과필터(11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134)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130)는 양측으로 회전모터(120)가 고정 결합되도록 중앙으로 회전모터(120)의 회전축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36)가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석면 포집부(1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부(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어장치(270)의 제어에 따라 석면의 포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체부(200)는 상부에 석면 포집부(100)가 구성되며, 하부에 석면 포집부(1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70)가 내장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부(200)는 지면으로부터 석면 포집부(100)의 위치를 1.2 ~ 1.5m에 위치하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수단(260)이 구성되며, 석면 포집부(100)의 도난 및 훼손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잠금장치(204)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200)의 상부에는 석면 포집부(100)가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훼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직선 파이프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걸림쇠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부재(210)가 구비되며, 내부에 장착되는 석면 여과필터(110) 및 이 석면 여과필터(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등에 우천시 빗물이 내부에 유입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진 막음부재(220)가 구성된다.
여기서, 막음부재(220)는 본체부(200)에 구성된 석면 포집부(100)의 회수 및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작업자에 의해 본체부(200)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잠금장치(204)를 통해 본체부(200)에 잠금 설정된다.
또한, 본체부(200)에는 내부에 장착된 석면 여과필터(110)와 구동장치의 도난 및 훼손 방지 역할과 함께 대기중 석면을 채취하기 위한 금속성 그물망(230)이 석면 여과필터(110)의 하측에 구성된다.
한편, 본체부(200)는 석면 포집 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프레임(240)과, 지지 프레임(240)에 삽입되어 높이 조절수단(260)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되게 이동하는 가변 프레임(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240)은 석면 포집부(1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70)가 내장되며, 제어장치(270)를 조작하는 조작패널(242)과, 제어장치(270)의 유지 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44)가 구성된다.
가변 프레임(250)은 지지 프레임(240)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슬라이딩되는 가변 프레임(250)을 지지 프레임(240)에 고정시키는 높이 조절수단(260)이 구비된다.
높이 조절수단(260)은 본체부(200)의 프레임에 구성되어 환경부 고시에서 고시하는 1,2m ~ 1.5m의 범위로 석면 여과필터(110)를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가변 프레임(250)과 지지 프레임(24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장치(270)는 석면 채취 장소에 적어도 1개 ~ n개 까지 설치되는 다수의 석면 포집부(100)를 구동하기 위해 조작패널(242)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통해 석면 포집부(100)에 구성된 회전모터(120)를 구동시켜, 석면 여과필터(110)가 하향 회전하면서 45°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밀폐커버(112)가 개방되도록 하여 석면의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270)는 조작패널(242)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를 기록하도록 하고, 저장된 설정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입력한 설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 데이터는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시간을 설정하고, 채취가 시작되는 시간을 년, 월, 일, 시, 분, 초 단위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채취되는 석면의 총 채취량을 미리 설정한다. 또한, 석면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적절한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을 설정하는 데이터이다.
전술한 석면 포집부(100) 또는 본체부(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염된 주변의 풍향/풍속 신호를 감지하는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석면 포집 장치는 다수의 필터 여과지에 대해 채취 시간, 총 채취량, 시료 채취유량 등을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하여 자동으로 채취함에 따라 현장의 무인화가 가능하고,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마다 정확한 측정시간에 채취가 가능하여 석면 시료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필터 여과지에 구성된 밀폐커버(112) 및 고정부(130)의 재질을 정전기 발생이 쉬운 플라스틱 또는 절연체(絶緣體) 등이 아닌 전기(電氣) 전도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미세한 석면 또는 먼지 등이 필터 여과지에 정전기의 방해 없이 정확하게 시료의 채취가 가능하다.
석면 포집 장치는 정전기에 의해 채취를 방해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한편, 환경부고시의 조건에 따라 필터 여과지 입구의 높낮이 변경이 쉬운 거치대의 조합과 도난 및 훼손 방지 장치를 구성하여 채취를 함으로써 기존 대기 중 석면 조사시 필터 여과지의 위치에 따른 위치 오류를 미리 방지하여 측정 신뢰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석면에 의한 환경오염 측정 및 분석, 석면피해조사, 환경영향평가, 건축 또는 철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석면의 측정, 공장, 사무실, 공공장소, 도로, 학교, 지하철 또는 지하 공간 등에서의 석면 감시, 대기중 석면조사를 시행하는 관공서 또는 민간업체 등에 매우 유용하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는 상단에 고정되어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여 풍속 신호를 생성하는 풍속센서와, 풍속센서의 상단에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바람의 방향을 측정하여 풍향 신호를 생성하는 풍향센서를 포함하고, 풍향센서 내의 싱크로모터(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3상 신호를 SIN 신호와 COS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풍향센서에 내설되는 스코트 트랜스(미도시)와, 스코트 트랜스에 변환된 SIN 신호와 COS 신호 및 풍속센서에서 검출된 풍속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컨버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는 내부에 단자부를 갖는 풍속용 기둥체(410), 풍속용 기둥체(41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축(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풍속용 검출부(미도시)를 갖는 풍속센서와, 풍속용 회전체(420)의 상부에 비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풍향용 고정체(430)와 풍향용 고정체(430)의 상부와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3상 싱크로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축을 갖는 싱크로모터(미도시)가 형성된 풍향용 연결체(440)와, 풍향용 연결체(440)의 상부에 싱크로모터의 회전축과 바람 방향에 대응되게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바람의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풍향용 회전체(450)를 갖는 풍향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는 측정한 풍속/풍향 신호를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 측정한 석면 채취와 관련한 작업 데이터에 추가하여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제어장치(27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석면 포집 장치는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는 석면 포집부(100), 석면 포집부(100)에 다수 구성되는 석면 여과필터(110)에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310), 입력부(310)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0), 작업자에게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메세지 송출부(330), 설정 데이터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110)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밸브(340), 석면 여과필터(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350)의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유량센서(360) 및 석면 포집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석면 포집부(100)는 건축물에 설치되고, 석면 포집 장치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주변의 석면을 채취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필터 여과지가 장착된 석면 여과필터(110)와, 석면 포집 장치의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20)와, 석면 여과필터(110) 및 회전모터(1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석면 여과필터(110)는 내부에 석면이 포집되는 필터 여과지가 구성되어 있으며, 개구된 상부를 포집할 때에는 개방하고, 포집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개구된 석면 여과필터(110)의 상부를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노출을 최소화하여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커버(112)가 회전부재(1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부(130)는 회전모터(120)와 석면 여과필터(110)가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특히 공급펌프(350)와 공급호스를 통해 연결되도록 공급호스가 안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공급호스는 석면 여과필터(110)의 밀폐커버(112)와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된다.
입력부(310)는 작업자가 석면을 채취하기 위해 건축물에 다수 구성되는 석면 포집부(100)에 설정 데이터를 입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설정 데이터는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시간을 설정하고, 채취가 시작되는 시간을 년, 월, 일, 시, 분, 초 단위로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채취되는 석면의 총 채취량을 미리 설정한다. 또한, 석면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적절한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을 설정하는 데이터이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고, 채취시 작동상태 및 순간 유량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는 구성요소이다.
메세지 송출부(330)는 석면 포집부(100)가 작동의 오류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어 강제 종료되거나,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어 정상 완료되었을 때, 이를 작업자에게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는 구성요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CDMA 모뎀을 사용하도록 하고, 제어부(370)와 연동되어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즉, 석면 포집부(100)의 강제 종료시, 제어부(370)는 이에 해당하는 알림 메세지를 송출할 수 있도록 메세지 송출부(330)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 메세지, 또는 경고음을 발송하도록 하고, 석면의 채취가 정상 완료되었을 경우, 이에 해당하는 문자 메세지를 메세지 송출부(330)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가 해당 메세지를 확인하면, 이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사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응답이 없는 경우, 주기적으로 상황에 따른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밸브(340)는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채취 시작시간에 따라 석면 여과필터(110)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제어밸브(340)는 석면을 포집하기 위하여 1개 ~ n개가 설치되는 석면 여과필터(110)에 각각 기설정된 구동시간, 다시말해, 석면 포집 채취 시작시간이 현재시간과 일치되었을 때, 자동으로 기설정된 채취 시작시간에 해당하는 석면 여과필터(110)에서 석면의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공급펌프(350)로부터 공기를 공급되도록 밸브를 개방하도록 하고, 기설정된 총 채취량에 도달하여 채취가 완료되거나, 갑작스런 오작동으로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이 정지되면,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밸브를 폐쇄하여 공기의 유입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유량센서(360)는 석면 여과필터(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350)의 공기 유입량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공급펌프(250)가 석면 여과필터(110)마다 각각 기설정된 시료채취유량과 현재 공급펌프(250)의 순간 유량값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시료의 채취를 더욱 정확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센서(360)는 제어부(370)와 연동하여 제어부(370)에서 전송되는 공급펌프(350)의 순간 유량값과, 기설정된 시료 채취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석면 여과필터(11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제어부(370)는 석면 포집 장치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입력부(310)에서 입력되는 설정 데이터를 전송받아 메모리부(380)에 저장하여 이를 기록하도록 하고, 설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20)로 전송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설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모리부(380)는 석면의 채취 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시간(년/월/일/시/분/초), 총채취량(적산유량), 시료채취시 유량(순간 유량), 채취시 온도 및 대기압 등을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 또는 기타 메모리 장치로 구성된다.
제어부(370)는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로부터 풍향, 풍속 신호를 수신하여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의 작업 데이터를 메모리부(380)에 저장한다.
제어부(370)는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로부터 측정된 풍향, 풍속 신호에 따라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각도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의 작업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결과 데이터는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시 레퍼런스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석면 포집부(100)의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 시작 시간과 정지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시간별, 날짜별로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한다.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각도를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데, 즉, 하나의 오염원으로부터 석면 채취를 수행하거나 소정 거리 이격된 다수의 오염원에서 석면 채취를 수행할 때, 제어부(370)는 석면 포집부(100)의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각도를 오염원 측으로 자동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석면 채취장소에 적어도 1개 ~ n개 까지 설치되는 다수의 석면 포집부(100)를 구동하기 위해 입력부(310)에 입력된 석면의 채취 시작시간 즉, 구동시간에 도달하면, 석면 포집부(100)에 구성된 회전모터(120)를 구동시켜, 석면 여과필터(110)가 하향 회전하면서 45°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고 밀폐커버(112)가 개방되도록 하여 석면의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준비함과 동시에, 다수의 석면 포집부(100) 중 구동시간에 도달한 석면 포집부(100)의 석면 여과필터(110)와 연결된 제어밸브(340)를 작동시켜 공급펌프(3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석면의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370)는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었을 경우, 메세지 송출부(330)로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여 작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알림 메세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한편, 석면의 채취 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시간(년/월/일/시/분/초), 총채취량(적산유량), 시료채취시 유량(순간 유량)과 함께, 채취시 제어부(370)에 구성된 온/습도센서(392) 및 대기압 센서(394)에 의해 온도 및 대기압 등을 측정하여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 또는 기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값을 프린트할 수 있는 출력부(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부(370)를 외부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고(내부 스케줄링에 의해서도 가능함), 제어부(370)를 통해 석면 포집부(100)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8a 및 도 8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를 이용한 석면 포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면 포집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면의 채취가 필요한 장소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 n개의 석면 여과필터(110)를 설치한다(S100).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시간, 석면 채취 시작시간, 채취된 석면의 총 채취량, 채취시 필요한 공기의 순간 유량 등의 설정 데이터를 입력부(310)를 통해 설정한다(S102).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의 풍향센서로부터 오염원 주변의 풍향 신호를 체크하여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방향이 설정된다(S104).
이때,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풍향 신호 정보를 포함함)를 메모리부(380)에 저장하여 석면의 채취가 완료된 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S102, S104).
제어부(370)에서는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110)에 설정된 설정 데이터를 초 단위로 확인하여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여부를 체크하여 석면 채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한다(S106).
이때, 석면을 채취하는 주변의 습도가 설정 데이터에 의한 설정값보다 높으면(S108), 채취 날짜 또는 시간을 연장하고, 이를 메모리부(380)에 저장하도록 한다(S110).
그리고, 습도가 설정값보다 낮으면, 석면을 채취하는 주변의 대기압이 설정값과 비교하고, 주변의 대기압이 설정값보다 높으면, 채취 날짜 또는 시간을 연장하며, 이를 메모리부(380)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습도가 설정값보다 낮고, 대기압이 설정값보다 낮으면, 제어부(270)에서는 석면 여과필터(110)에 설정된 설정 데이터 중 구동시간, 석면 채취 시작시간이 현재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석면 여과필터(110)를 구동하기 위한 석면 포집부(100), 제어밸브(340), 공급펌프(350), 유량센서(360) 등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석면의 채취가 진행되도록 한다(S112, S114).
또한, 제어부(370)에서는 유량센서(360)를 통해 공급펌프(35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체크하여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시료채취시 필요한 순간 유량과 공급펌프(350)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한지 확인한다(S116).
만약, 기설정된 순간 유량과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공급펌프(3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순간 유량과 동일하게 공급하도록 하고, 이때,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 순간 유량 등을 메모리부(380)에 저장한다(S118). 또한, 순간 유량과 현재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면, 현 상태의 유량을 유지하도록 한다(S120).
이후, 석면의 채취가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의 총 채취량에 도달하여 석면의 채취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S122), 석면의 채취량이 설정 데이터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순간 유량을 유지한 채, 석면의 채취를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각 센서 값을 화면에 표시하며, 각 센서 값 및 총 채취량, 순간 유량 값 등을 메모리부(380)에 저장한다(S124, S126).
채취가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한지 확인한다(S128).
만약,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으면, 석면의 채취를 재차 수행하고, 설정 데이터와 동일하면, 석면 포집부(100)의 구동을 정지한다(S130).
또한, 제어부(370)는 석면 포집부(100)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의 작업 데이터를 메모리부(380)에 저장한다(S132).
이러한 작업 데이터에는 오염원 주변의 풍속 신호와 풍향 신호도 포함된다.
석면 포집 방법은 석면의 채취량이나 석면 채취시 공기의 속도, 석면 여과필터(110)의 석면 포집 방향이 오염원 측과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는 등 다양한 환경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오염원으로부터 공기의 흐름이 일정 속도로 발생되면, 석면 여과필터(110)의 석면 포집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좀 더 정확한 석면 포집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오염원 측과 석면 여과필터(110)의 석면 포집 방향이 반드시 일치해야 할 필요성은 없다.
따라서, 오염원 주변의 공기의 흐름이 거의 없고, 다수의 포인트에서 오염원들이 존재하는 경우, 오염원 측과 석면 여과필터(110)의 석면 포집 방향의 일치 여부가 석면 포집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석면이 많이 발생하는 오염원 주변에서 석면을 포집되었는데, 작동 데이터에 석면 총 채취량이 거의 없다면, 정확한 데이터로 볼 수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 석면 여과필터(110)의 석면 포집 방향을 풍속과 풍향을 고려해서 다시 설정하면 작동 데이터의 오류를 바로 잡을 수 있다.
또한, 풍속과 풍향 정보를 작동 데이터에 포함시켜서 작동 데이터의 오류를 수정하는 레퍼런스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S104 단계에서,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석면 포집 방향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는 석면 포집부(100)의 석면 채취가 완료된 후, 저장되는 작업 데이터의 풍향 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염원 주변의 공기의 흐름이 변경되어 석면 포집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 제어부(370)는 풍향 및 풍속 측정부(400)로부터 풍향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의 방향이 재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원격 또는 내부 스케줄링에 의해서 제어 가능한 석면 포집부(100)에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110)를 장착하여 석면을 채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감소시켜 유해한 석면 및 먼지 등이 많은 현장에서 채취자의 노출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먼지 또는 석면의 밀도가 높아 접근이 어려운 현장에서도 채취가 가능하고, 다수의 석면 여과필터(110)에 대해 채취 시간, 총 채취량, 시료 채취유량 등을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하여 자동으로 채취함에 따라 현장의 무인화가 가능하고,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110)마다 정확한 측정시간에 채취가 가능하여 석면 시료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습도가 높거나 우천(雨天)시에도 습도센서를 추가 적용하여 설정한 습도 값보다 현재 습도가 높거나 설정한 기압 값보다 현재의 기압이 낮을 경우를 자동으로 프로그램에서 판단하여 우천(雨天)가능성 또는 높은 습도일 경우에 채취를 종료 또는 지연하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는 발명으로, 석면에 의한 환경오염 측정 및 분석, 석면피해조사, 환경영향평가, 건축 또는 철거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석면의 측정, 공장, 사무실, 공공장소, 도로, 학교, 지하철 또는 지하공간 등에서의 석면 감시, 대기 중 석면 조사를 시행하는 관공서 또는 민간업체 등에 매우 유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석면 포집부 110: 석면 여과필터
112: 밀폐커버 114: 회전부재
120: 회전모터 130: 고정부
204: 잠금장치 200: 본체부
210: 보호부재 220: 막음부재
230: 그물망 240: 지지 프레임
242: 조작패널 244: 도어
250: 가변 프레임 260: 높이 조절수단
270: 제어장치 310: 입력부
320: 디스플레이부 330: 메세지 송출부
340: 제어밸브 350: 공급펌프
360: 유량센서 370: 제어부
380: 메모리부 392: 온/습도센서
394: 대기압센서 400: 풍향 및 풍속 측정부

Claims (11)

  1. 내부에 필터 여과지가 장착되며, 개구된 상부에 회전부재를 통해 회전하는 밀폐커버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석면 여과필터와,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와 회전모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석면 포집부; 및
    상기 석면 포집부의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하여 석면을 포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석면 포집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간, 석면의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을 포함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석면 여과필터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밸브;
    상기 석면 여과필터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순간 유량값과 상기 석면 여과필터마다 각각 설정된 시료채취 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석면 여과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센서; 및
    상기 석면 포집부의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위해서 상기 입력부, 제어 밸브, 유량센서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제어하여 석면을 포집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석면의 포집시, 상기 석면 여과필터를 45°기울어지게 하향 회전시키면, 상부에 구성된 밀폐커버가 무동력으로 상기 석면 여과필터를 개방시켜 석면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면 포집부 또는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염원 주변의 풍향/풍속 신호를 측정하는 풍향 및 풍속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장치.
  5.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석면 여과필터가 하나 이상 형성된 석면 포집부;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간, 석면의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을 포함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석면 여과필터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밸브;
    상기 석면 여과필터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순간 유량값과 상기 석면 여과필터마다 각각 설정된 시료채취 유량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석면 여과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센서;
    상기 석면 포집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염원 주변의 풍향/풍속 신호를 감지하는 풍향 및 풍속 측정부; 및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간을 기초로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 제어 밸브, 유량센서, 풍향 및 풍속 측정부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제어하여 석면 채취와 관련한 작업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풍속 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각도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데이터와 상기 측정한 작업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레퍼런스 데이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 시작 시간과 정지 시간을 포함한 상기 설정 데이터를 시간별, 날짜별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장치.
  9.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석면이나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석면 포집 방법에 있어서,
    석면 채취가 필요한 장소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석면 여과필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시간, 석면 채취량, 공기의 유량에 대한 시료채취 유량, 풍향 신호를 포함한 설정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구동시간에 따라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석면 채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설정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시료채취 유량과 상기 석면 여과필터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의 순간 유량값이 동일한 경우,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상기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의 석면 채취량과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채취된 석면의 채취량이 상기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의 석면 채취량이 동일한 경우,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석면 포집부의 구동시작 시간부터 정지 시간까지 측정한 석면 채취와 관련한 작업 데이터―상기 작업 데이터는 오염원 주변의 풍향/풍속 신호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석면 여과필터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데이터의 풍향/풍속 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각도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 시작 시간과 정지 시간을 포함한 상기 설정 데이터를 시간별, 날짜별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각각의 석면 여과필터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포집 방법.
KR1020110066741A 2011-07-06 2011-07-06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 KR10109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41A KR101098416B1 (ko) 2011-07-06 2011-07-06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41A KR101098416B1 (ko) 2011-07-06 2011-07-06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416B1 true KR101098416B1 (ko) 2011-12-26

Family

ID=4550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741A KR101098416B1 (ko) 2011-07-06 2011-07-06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943B1 (ko) * 2016-02-16 2017-01-17 김익수 풍향풍속제어 오염원 추적 시료채취 시스템
KR101783821B1 (ko) * 2016-11-17 2017-10-23 케이앤제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풍향풍속제어 오염원 추적 시료채취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751A (ja) 2006-06-29 2008-01-17 Shimizu Corp 石綿発塵量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9025023A (ja) 2007-07-17 2009-02-05 Shimizu Corp 石綿発塵量の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751A (ja) 2006-06-29 2008-01-17 Shimizu Corp 石綿発塵量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9025023A (ja) 2007-07-17 2009-02-05 Shimizu Corp 石綿発塵量の測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943B1 (ko) * 2016-02-16 2017-01-17 김익수 풍향풍속제어 오염원 추적 시료채취 시스템
WO2017142314A1 (ko) * 2016-02-16 2017-08-24 김익수 풍향풍속제어 오염원 추적 시료채취 시스템
KR101783821B1 (ko) * 2016-11-17 2017-10-23 케이앤제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풍향풍속제어 오염원 추적 시료채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1965B (zh) 一种多组分大气环境网格化监测仪
CN103016063B (zh) 一种施工安全监控系统
EP3468217B1 (en) Manho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WO202015408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fugitive gas emissions at oil facilities
CN105842405B (zh) 一种气体浓度检测仪及其控制方法
CN205748466U (zh) 一种工地扬尘噪声监管系统
US20080127726A1 (en) Portable gas monitor
KR101098416B1 (ko) 석면 포집 장치 및 방법
KR101051443B1 (ko) 석면 채취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55777B2 (en) Automated remote gas monitoring and flare control system
KR101441660B1 (ko) 수처리 시스템용 계측기 원격감시제어시스템
CN110514792A (zh) 一种方便清理滤网的瓦斯检测装置
CN107131429A (zh) 地下燃气管道检漏系统及地下燃气管道检漏方法
CN110215779A (zh) 绿色施工环境监测系统
CN108153280A (zh) 一种闸机通行逻辑的调节测试装置及方法
CN208283334U (zh) 砂石含量分析装置
CN206627148U (zh) 一种多组分大气环境网格化监测仪
CN106053756B (zh) 一种用于气体浓度检测仪的控制系统
CN209446544U (zh) 一种煤炭矿山井下瓦斯安全监测装置
CN215067380U (zh) 一种大气干湿沉降采集仪
KR102057563B1 (ko) 스마트 맨홀 뚜껑의 전원공급구조
CN208215627U (zh) 一种移动养护室
CN104990595A (zh) 危险废物安全填埋场渗滤液现场检测装置和方法
CN209267712U (zh) 一种江河堤围信息采集系统
CN208282856U (zh) 一种户外环境监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