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815A - Si 기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Si 기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815A
KR20220014815A KR1020210086000A KR20210086000A KR20220014815A KR 20220014815 A KR20220014815 A KR 20220014815A KR 1020210086000 A KR1020210086000 A KR 1020210086000A KR 20210086000 A KR20210086000 A KR 20210086000A KR 20220014815 A KR20220014815 A KR 2022001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substrate
peeling
manufacturing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히라타
신 다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22001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11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with preliminary treatment, e.g. weakening by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4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 B28D5/047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by ultrasonic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23K26/062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by shaping pul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2Scanning systems, i.e. 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beam relative to the las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50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 B23K26/53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for modifying or reforming the material inside the workpiece, e.g. for producing break initiation c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24B37/07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work or lapping tool
    • B24B37/1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work or lapping tool for single side l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2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thin, brittle parts, e.g. semiconductors, wa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28D5/008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for supporting, holding, feeding,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4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0Semicondu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7Dividing the beam into multiple beams, e.g. multifoc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58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 B28D5/008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for supporting, holding, feeding,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28D5/009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for 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for supporting, holding, feeding,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the supporting or holding device being of the vacuum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과제] Si 잉곳으로부터 효율적으로 Si 기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Si 기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Si 기판 제조 방법은, Si 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을 Si 잉곳의 평탄면으로부터 제조해야 하는 Si 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에 위치시키고,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또는 교차선에 직교하는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레이저 광선을 Si 잉곳에 조사하여 박리대를 형성하는 박리대 형성 공정과, 박리대를 형성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할출 이송하는 할출 이송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Si 기판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i SUBSTRATE}
본 발명은, Si 잉곳으로부터 Si 기판을 제조하는 Si 기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IC, LSI 등의 복수의 디바이스가 교차하는 복수의 분할 예정 라인에 의해 구획되어 실리콘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웨이퍼는, 다이싱 장치, 레이저 가공 장치에 의해 개개의 디바이스 칩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디바이스 칩은 휴대전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기 기기에 이용된다.
실리콘 (Si) 기판은, 내주날, 와이어 소 등을 구비한 절단 장치에 의해 Si 잉곳이 1 mm 정도의 두께로 슬라이스되고, 랩핑, 폴리싱을 거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94221호
그러나, 내주날, 와이어 소의 절단 여유분은 1 mm 전후로 비교적 크기 때문에, 내주날, 와이어 소에 의해 Si 잉곳으로부터 Si 기판을 제조하면, Si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소재량은 Si 잉곳의 1/3 정도이며, 생산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i 잉곳으로부터 효율적으로 Si 기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Si 기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정면 (100) 을 평탄면으로 한 Si 잉곳으로부터 Si 기판을 제조하는 Si 기판 제조 방법으로서, Si 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을 그 평탄면으로부터 제조해야 하는 Si 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에 위치시키고,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또는 그 교차선에 직교하는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레이저 광선을 Si 잉곳에 조사하여 박리대를 형성하는 박리대 형성 공정과, 그 박리대를 형성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할출 이송하는 할출 이송 공정과, 그 박리대 형성 공정과 그 할출 이송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결정면 (100) 에 평행한 박리층을 Si 잉곳의 내부에 형성하고, Si 잉곳의 박리층으로부터 Si 기판을 박리하여 제조하는 웨이퍼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Si 기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을 그 할출 이송 방향으로 복수 분기시켜 형성한다. 그 할출 이송 공정에 있어서, 인접하는 박리대가 접촉하도록 할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그 박리대 형성 공정 전에, Si 잉곳의 결정면 (100) 을 평탄화하는 평탄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i 잉곳으로부터 효율적으로 Si 기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의 (a) 는 Si 잉곳의 사시도, (b) 는 (a) 에 나타내는 Si 잉곳의 평면도이다.
도 2 의 (a) 는 다른 Si 잉곳의 사시도, (b) 는 (a) 에 나타내는 Si 잉곳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레이저 가공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4 의 (a) 는 박리대 형성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 는 박리대 형성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의 (a) 는 박리대가 형성된 Si 잉곳의 단면도, (b) 는 (a) 에 있어서의 박리대의 확대도이다.
도 6 은 레이저 광선의 분기수와 크랙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분기시킨 집광점의 피치 간 거리와 크랙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가공 이송 속도와 크랙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레이저 광선의 출력과 크랙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의 (a) 는 박리 장치의 하방에 Si 잉곳을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 는 박리 장치를 사용하여 박리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c) 는 Si 잉곳 및 Si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박리층이 형성된 Si 잉곳에 초음파를 부여하여 박리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 는 웨이퍼 연삭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Si 기판 제조 방법의 적합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Si 기판 제조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Si (실리콘) 잉곳 (2) 이 나타나 있다. Si 잉곳 (2) 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정면 (100) 을 평탄면으로 한 원형상의 제 1 단면 (端面) (4) 과, 제 1 단면 (4) 과 반대 측의 원형상의 제 2 단면 (6) 과, 제 1 단면 (4) 및 제 2 단면 (6) 사이에 위치하는 둘레면 (8) 을 갖는다. Si 잉곳 (2) 의 둘레면 (8) 에는, 평탄한 직사각형상의 오리엔테이션 플랫 (10) 이 형성되어 있다. 오리엔테이션 플랫 (10) 은, 결정면 {11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 (12) 에 대한 각도가 45°가 되도록 위치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i 잉곳 (2) 의 둘레면 (8) 에는, 오리엔테이션 플랫 (10) 대신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 (14)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b) 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노치 (14) 에 있어서의 접선 (16) 과 교차선 (12) 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노치 (14) 가 위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오리엔테이션 플랫 (10) 이 형성된 Si 잉곳 (2) 으로부터 Si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먼저, Si 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을 평탄면 (제 1 단면 (4)) 으로부터 제조해야 하는 Si 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에 위치시키고,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 (12) 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또는 교차선 (12) 에 직교하는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 (2) 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레이저 광선을 Si 잉곳 (2) 에 조사하여 박리대를 형성하는 박리대 형성 공정을 실시한다.
박리대 형성 공정은,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a) 에 일부를 나타내는 레이저 가공 장치 (18) 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레이저 가공 장치 (18) 는, Si 잉곳 (2) 을 유지하는 유지 테이블 (20) 과, 유지 테이블 (20) 에 유지된 Si 잉곳 (2) 에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조사하는 레이저 광선 조사 유닛 (22) 을 포함한다.
유지 테이블 (20)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도 3 및 도 4 에 화살표 X 로 나타내는 X 축 방향과, X 축 방향에 직교하는 Y 축 방향 (도 3 및 도 4 에 화살표 Y 로 나타내는 방향) 의 각각으로 자유롭게 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유지 테이블 (20) 은, 레이저 가공 장치 (18) 의 가공 영역으로부터 후술하는 박리 장치 (42) 및 연삭 장치 (52) 의 각각의 가공 영역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이 규정하는 평면은 실질상 수평이다.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레이저 광선 조사 유닛 (22) 은, Si 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출사하는 레이저 발진기 (24) 와, 레이저 발진기 (24) 로부터 출사된 펄스 레이저 광선 LB 의 출력을 조정하는 어테뉴에이터 (26) 와, 어테뉴에이터 (26) 에 의해 출력이 조정된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Y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예를 들어 5) 로 분기시키는 공간 광 변조기 (28) 와, 공간 광 변조기 (28) 에 의해 분기된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반사하여 광로 방향을 변경하는 미러 (30) 와, 미러 (30) 에 의해 반사한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집광하여 Si 잉곳 (2) 에 조사하는 집광기 (32) 를 포함한다.
박리대 형성 공정에서는, 먼저, 적절한 접착제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를 개재하여 Si 잉곳 (2) 을 유지 테이블 (20) 의 상면에 고정한다. 혹은, 유지 테이블 (20) 의 상면에 복수의 흡인 구멍이 형성되고, 유지 테이블 (20) 의 상면에 흡인력을 생성하여 Si 잉곳 (2) 을 흡인 유지해도 된다.
이어서, 레이저 가공 장치 (18) 의 촬상 유닛 (도시하고 있지 않다) 으로 상방으로부터 Si 잉곳 (2) 을 촬상하고, 촬상 유닛으로 촬상한 Si 잉곳 (2) 의 화상에 기초하여, 유지 테이블 (20) 을 회전 및 이동시킴으로써, Si 잉곳 (2) 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조정함과 함께 Si 잉곳 (2) 과 집광기 (32) 의 XY 평면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정한다. Si 잉곳 (2) 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조정할 때는,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축 방향과 오리엔테이션 플랫 (10) 이 이루는 각도가 45°가 되도록 조정하고, 결정면 {11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 (12) 에 평행한 방향 <110> 을 X 축 방향에 정합시킨다.
이어서, 레이저 가공 장치 (18) 의 집광점 위치 조정 수단 (도시하고 있지 않다) 으로 집광기 (32) 를 승강시키고, 펄스 레이저 광선 LB 의 집광점 FP (도 4(b) 참조) 를 평탄면인 제 1 단면 (4) 으로부터, 제조해야 하는 Si 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에 위치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펄스 레이저 광선 LB 는 공간 광 변조기 (28) 에 의해 Y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분기되지만, 분기된 펄스 레이저 광선 LB 의 집광점 FP 의 각각을 동일한 깊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도 1(b) 및 도 2(b) 에 나타내는 교차선 (12) 에 평행한 방향 <110> 에 정합하고 있는 X 축 방향으로 소정의 이송 속도로 유지 테이블 (20) 을 이동시키면서, Si 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집광기 (32) 로부터 Si 잉곳 (2) 에 조사한다. 그러면,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스 레이저 광선 LB 의 5 개의 집광점 FP 의 부근에 있어서 결정 구조가 파괴됨과 함께, 결정 구조가 파괴된 부분 (34) 으로부터 (111) 면을 따라 등방적으로 크랙 (36) 이 신장한 박리대 (38) 가 <110> 방향 (X 축 방향) 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 (12) 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집광점 FP 와 Si 잉곳 (2) 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있지만, 교차선 (12) 에 직교하는 방향 [110] 으로 집광점 FP 와 Si 잉곳 (2) 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박리대 (38) 가 형성된다. 또한, 박리대 형성 공정에서는, 유지 테이블 (20) 대신에 집광기 (32) 를 X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복수로 분기시켜 Si 잉곳 (2) 에 조사하고 있지만,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분기시키지 않고 Si 잉곳 (2) 에 조사해도 된다.
이어서, 박리대 (38) 를 형성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광점 FP 와 Si 잉곳 (2) 을 상대적으로 할출 이송하는 할출 이송 공정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할출 이송 공정에서는, 박리대 (38) 를 형성한 <110> 방향 (X 축 방향) 과 직교하는 Y 축 방향으로 유지 테이블 (20) 을 소정 인덱스량 Li (도 4(a) 참조) 만큼 할출 이송한다. 또한, 할출 이송 공정에서는, 유지 테이블 (20) 대신에 집광기 (32) 를 할출 이송시켜도 된다.
이어서, 박리대 형성 공정과 할출 이송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결정면 (100) 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박리층을 Si 잉곳 (2) 의 내부에 형성하고, Si 잉곳 (2) 의 박리층으로부터 Si 기판을 박리하여 제조하는 웨이퍼 제조 공정을 실시한다.
박리대 형성 공정과 할출 이송 공정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박리대 (38) 로 구성되고 강도가 저하한 박리층 (40) 을 Si 잉곳 (2) 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각 박리대 (38) 의 크랙 (36) 은 (111) 면을 따라 연장되고 있지만, 도 5(a) 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박리대 (38) 로 구성되는 박리층 (40) 은, 전체적으로 제 1 단면 (4) 에 대해 평행이다.
인접하는 박리대 (38) 의 크랙 (36) 끼리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을 형성해도 되지만, 할출 이송 공정에서는, 인접하는 박리대 (38) 가 접촉하도록 할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접하는 박리대 (38) 끼리를 연결시켜 박리층 (40) 의 강도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하기 박리 공정에 있어서 Si 잉곳 (2) 으로부터의 Si 기판의 박리가 용이해진다.
이와 같은 박리층 (40) 을 형성할 때의 가공 조건은, 하기의 가공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 등은, 여러 가지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하기의 가공 조건으로 박리대 (38) 를 형성함으로써, 박리대 (38) 의 크랙 (36) 이 길어지기 때문에 인덱스량 Li 를 길게 할 수 있어, 박리층 (40) 의 형성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레이저 광선의 파장 : 1342 nm
분기 전의 레이저 광선의 평균 출력 : 2.5 W
집광점의 분기수 : 5 (하기 실험 1 의 결과에 근거한다)
분기한 집광점끼리의 간격 : 10 ㎛ (하기 실험 2 의 결과에 근거한다)
반복 주파수 : 60 kHz
이송 속도 : 300 mm/s (하기 실험 3 의 결과에 근거한다)
인덱스량 : 320 ㎛ (하기 실험 4 의 결과에 근거한다)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자 등이 실시한 박리층의 형성에 관한 실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자 등은, 펄스 레이저 광선의 분기수, 분기시킨 펄스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의 간격, Si 잉곳과 집광점의 상대적인 이송 속도 및 펄스 레이저 광선의 출력의 각각을 변경하여, Si 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펄스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을 상단면 (上端面) (결정면 (100) 을 평탄면으로 한 상단면) 으로부터 제조해야 하는 Si 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에 위치시키고,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펄스 레이저 광선을 Si 잉곳에 조사했을 때의 박리대의 크랙의 길이를 측정했다. 또한, 하기의 각 실험에 있어서 변경한 파라미터 이외의 가공 조건은 상기의 가공 조건에 따라 설정하고 있고, 그 이외의 가공 조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험 1>
도 6 에는, 분기 후의 1 빔당의 평균 출력을 0.5 W 로 하고, 펄스 레이저 광선의 분기수를 변경했을 때의 박리대의 크랙의 Y 축 방향의 길이의 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기수가 3, 4, 5 인 경우에는, 펄스 레이저 광선의 분기수가 많을수록, 크랙의 길이가 길어졌다.
<실험 2>
도 7 에는, 분기시킨 펄스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의 간격을 변경했을 때의 박리대의 크랙의 Y 축 방향의 길이의 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 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기시킨 펄스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의 간격이 10 ㎛ 인 경우에 크랙의 길이가 최대가 되었다. 또, 도 7 에는, 비교예로서, 오리엔테이션 플랫에 평행한 방향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펄스 레이저 광선을 Si 잉곳에 조사했을 때의 결과도 나타나 있다 (× 표). 도 7 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경우 (● 표) 가, 오리엔테이션 플랫에 평행하게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경우 (× 표) 보다, 분기시킨 펄스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의 간격에 의하지 않고, 크랙의 길이가 길어졌다.
<실험 3>
도 8 에는, Si 잉곳과 집광점의 상대적인 이송 속도를 변경했을 때의 박리대의 크랙의 Y 축 방향의 길이의 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8 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송 속도를 300 mm/s 로 한 경우에, 크랙의 길이가 최대가 되었다. 또한, 실험 3 에 있어서는, 최적의 이송 속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펄스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의 분기수를 3, 펄스 레이저 광선의 평균 출력을 1.8 W (분기 후의 1 빔당의 평균 출력 0.5 W) 로 하여, 가공을 실시했다.
<실험 4>
도 9 에는, 분기 전의 펄스 레이저 광선의 평균 출력을 변경했을 때의 박리대의 크랙의 Y 축 방향의 길이의 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9 에 있어서, ● 표로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는, 분기수 5,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경우이다. × 표로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는, 분기수 5, 오리엔테이션 플랫에 평행하게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경우이다. △ 표로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는, 분기수 3,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경우이다.
도 9 로부터, (1) 펄스 레이저 광선의 출력이 높을수록 크랙이 길어지는 것, (2) 분기수가 많을수록 크랙이 길어지는 것, (3) 오리엔테이션 플랫에 평행하게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경우보다,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경우가, 크랙이 길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도 9 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 표로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에 있어서, 출력 2.5 W 일 때에 크랙의 길이가 최대 (320 ㎛) 가 되었다.
웨이퍼 제조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오면, 박리층 (40) 을 Si 잉곳 (2) 의 내부에 형성한 후, Si 잉곳 (2) 의 박리층 (40) 으로부터 Si 기판을 박리하여 제조한다. Si 잉곳 (2) 의 박리층 (40) 으로부터 Si 기판을 박리하려면,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박리 장치 (42) 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장치 (42) 는,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아암 (44) 과, 아암 (44) 의 선단에 부설된 모터 (46) 를 포함한다. 모터 (46) 의 하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판상의 흡착편 (48) 이 연결되어 있다. 하면에 있어서 피가공물을 흡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착편 (48) 에는, 흡착편 (48) 의 하면에 대해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 진동 부여 수단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 내장되어 있다.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박리층 (40) 을 Si 잉곳 (2) 의 내부에 형성한 후, Si 잉곳 (2) 을 유지하고 있는 유지 테이블 (20) 을 흡착편 (48) 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아암 (44) 을 하강시켜,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착편 (48) 의 하면을 Si 잉곳 (2) 의 제 1 단면 (4) (박리층 (40) 에 가까운 쪽의 단면) 에 흡착시킨다. 이어서, 초음파 진동 부여 수단을 작동시켜, 흡착편 (48) 의 하면에 대해 초음파 진동을 부여함과 함께, 모터 (46) 로 흡착편 (48) 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도 10(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층 (40) 을 기점으로 하여 Si 잉곳 (2) 으로부터 Si 기판 (50) (웨이퍼) 을 박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Si 잉곳 (2) 의 박리층 (40) 으로부터 Si 기판 (50) 을 박리할 때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박리 장치 (52) 를 사용해도 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박리 장치 (52) 는, 수조 (54) 와, 수조 (54) 내에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된 로드 (56) 와, 로드 (56) 의 하단 (下端) 에 장착된 초음파 발진 부재 (58) 를 구비한다.
박리 장치 (52) 를 사용하여 Si 잉곳 (2) 으로부터 Si 기판 (50) 을 박리할 때는, Si 잉곳 (2) 을 수조 (54) 내의 물 (60) 에 침지시킨다. 이어서, 로드 (56) 를 이동시켜, Si 잉곳 (2) 의 제 1 단면 (4) 의 약간 상방에 초음파 발진 부재 (58) 를 위치시킨다. Si 잉곳 (2) 의 제 1 단면 (4) 과 초음파 발진 부재 (58) 의 간격은, 1 mm 정도면 된다. 그리고, 초음파 발진 부재 (58) 로부터 초음파를 발진하고, 물 (60) 의 층을 개재하여 박리층 (40) 을 자극함으로써, 박리층 (40) 을 기점으로 하여 Si 잉곳 (2) 으로부터 Si 기판 (50) 을 박리할 수 있다.
웨이퍼 제조 공정을 실시한 후, Si 기판 (50) 의 박리면 (50a) 을 연삭하여 평탄화하는 웨이퍼 연삭 공정을 실시한다. 웨이퍼 연삭 공정은, 예를 들어, 도 12 에 일부를 나타내는 연삭 장치 (62) 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연삭 장치 (62) 는, Si 기판 (50) 을 흡인 유지하는 척 테이블 (64) 과, 척 테이블 (64) 에 흡인 유지된 Si 기판 (50) 을 연삭하는 연삭 수단 (66) 을 구비한다. 상면에 있어서 Si 기판 (50) 을 흡인 유지하는 척 테이블 (64)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삭 수단 (66) 은, 상하 방향을 축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핀들 (68) 과, 스핀들 (68) 의 하단에 고정된 원판상의 휠 마운트 (70) 를 포함한다. 휠 마운트 (70) 의 하면에는 볼트 (72) 에 의해 환상의 연삭휠 (74) 이 고정되어 있다. 연삭휠 (74) 의 하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삭 지석 (76) 이 고정되어 있다.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웨이퍼 연삭 공정에서는, 먼저, Si 기판 (50) 의 박리면 (50a) 과 반대 측의 면에,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원판상의 서브스트레이트 (78) 를 장착시킨다. 이어서, Si 기판 (50) 의 박리면 (50a) 을 상방을 향하게 하고, 척 테이블 (64) 의 상면에서 서브스트레이트 (78) 와 함께 Si 기판 (50) 을 흡인 유지한다. 이어서, 상방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속도 (예를 들어 300 rpm) 로 척 테이블 (64) 을 회전시킨다. 또, 상방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속도 (예를 들어 6000 rpm) 로 스핀들 (68) 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연삭 장치 (62) 의 승강 수단 (도시하고 있지 않다) 으로 스핀들 (68) 을 하강시켜, Si 기판 (50) 의 박리면 (50a) 에 연삭 지석 (76) 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Si 기판 (50) 의 박리면 (50a) 에 연삭 지석 (76) 을 접촉시킨 후에는 소정의 연삭 이송 속도 (예를 들어 1.0 ㎛/s) 로 스핀들 (68) 을 하강시킨다. 이로써, Si 기판 (50) 의 박리면 (50a) 을 연삭하여 Si 기판 (50) 을 평탄화할 수 있다. 또한, 박리면 (50a) 을 연삭한 후, 적절한 연마 장치를 사용하여, 평탄화한 박리면 (50a) 을 원하는 표면 조도가 될 때까지 연마해도 된다.
또, 웨이퍼 제조 공정을 실시한 후, 웨이퍼 연삭 공정의 전 또는 후에, 웨이퍼 연삭 공정과 병행하여, Si 기판 (50) 을 박리한 Si 잉곳 (2) 의 박리면 (4') 을 연삭하여, 결정면 (100) 을 평탄화하는 평탄화 공정을 실시한다.
웨이퍼 연삭 공정의 전 또는 후에,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연삭 장치 (62) 의 연삭 수단 (66) 을 사용하여 평탄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연삭 수단 (66) 을 사용하여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먼저, 척 테이블 (64) 을 연삭 수단 (66) 의 하방으로부터 이간시킨 후, Si 잉곳 (2) 을 유지하고 있는 유지 테이블 (20) 을 연삭 수단 (66) 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Si 기판 (50) 의 박리면 (50a) 을 연삭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상방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유지 테이블 (20) 을 회전시킴과 함께, 상방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스핀들 (68) 을 회전시킨 후, 스핀들 (68) 을 하강시켜 Si 잉곳 (2) 의 박리면 (4') 에 연삭 지석 (76) 을 접촉시킨다. 그 후, 소정의 연삭 이송 속도로 스핀들 (68) 을 하강시킨다. 이로써, Si 잉곳 (2) 의 박리면 (4') 을 연삭하여, Si 잉곳 (2) 의 결정면 (100) 을 평탄화할 수 있다. 또한, 연삭 장치 (52) 와 동일한 연삭 수단을 갖는 다른 연삭 장치를 사용하여, 웨이퍼 연삭 공정과 병행하여 평탄화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또, 박리면 (4') 을 연삭한 후, 적절한 연마 장치를 사용하여, 평탄화한 결정면 (100) 을 원하는 표면 조도가 될 때까지 연마해도 된다.
그리고, 평탄화 공정을 실시한 후, 상기 서술한 박리대 형성 공정, 할출 이송 공정, 웨이퍼 제조 공정, 웨이퍼 연삭 공정 및 평탄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Si 잉곳 (2) 으로부터 복수 장의 Si 기판 (50) 을 제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i 잉곳 (2) 의 제 1 단면 (4) 이 결정면 (100) 을 평탄면으로 한 면인 점에서, 박리대 형성 공정부터 시작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Si 잉곳 (2) 의 제 1 단면 (4) 이 결정면 (100) 을 평탄면으로 한 면이 아닌 경우에는, 평탄화 공정부터 시작해도 된다.
이상과 같고, 본 실시형태의 Si 기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Si 잉곳 (2) 에 펄스 레이저 광선 LB 를 조사하여 박리층 (40) 을 형성하고, 박리층 (40) 을 기점으로 하여 Si 잉곳 (2) 으로부터 Si 기판 (50) 을 박리하므로 절단 여유분이 없어, Si 잉곳 (2) 으로부터 효율적으로 Si 기판 (50) 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 Si 잉곳
4 : 제 1 단면 (결정면 (100) 을 평탄면으로 한 면)
12 :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
38 : 박리대
40 : 박리층
50 : Si 기판
LB : 레이저 광선
FP : 집광점

Claims (4)

  1. 결정면 (100) 을 평탄면으로 한 Si 잉곳으로부터 Si 기판을 제조하는 Si 기판 제조 방법으로서,
    Si 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파장의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을 그 평탄면으로부터 제조해야 하는 Si 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에 위치시키고, 결정면 {100} 과 결정면 {111} 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평행한 방향 <110> 으로, 또는 그 교차선에 직교하는 방향 [110] 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레이저 광선을 Si 잉곳에 조사하여 박리대를 형성하는 박리대 형성 공정과,
    그 박리대를 형성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집광점과 Si 잉곳을 상대적으로 할출 이송하는 할출 이송 공정과,
    그 박리대 형성 공정과 그 할출 이송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결정면 (100) 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박리층을 Si 잉곳의 내부에 형성하여, Si 잉곳의 박리층으로부터 Si 기판을 박리하여 제조하는 웨이퍼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Si 기판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레이저 광선의 집광점을 그 할출 이송 방향으로 복수 분기시켜 형성하는, Si 기판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그 할출 이송 공정에 있어서, 인접하는 박리대가 접촉하도록 할출 이송하는, Si 기판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그 박리대 형성 공정 전에, Si 잉곳의 결정면 (100) 을 평탄화하는 평탄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Si 기판 제조 방법.
KR1020210086000A 2020-07-29 2021-06-30 Si 기판 제조 방법 KR20220014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8469A JP2022025566A (ja) 2020-07-29 2020-07-29 Si基板生成方法
JPJP-P-2020-128469 2020-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815A true KR20220014815A (ko) 2022-02-07

Family

ID=7930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000A KR20220014815A (ko) 2020-07-29 2021-06-30 Si 기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32503A1 (ko)
JP (1) JP2022025566A (ko)
KR (1) KR20220014815A (ko)
CN (1) CN114055645A (ko)
DE (1) DE102021207672A1 (ko)
TW (1) TW2022054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68070A (ja) 2022-05-13 2023-11-24 株式会社ディスコ 基板の製造方法
JP2023173995A (ja) 2022-05-27 2023-12-07 株式会社ディスコ 単結晶シリコン基板の製造方法
JP2023177025A (ja) 2022-06-01 2023-12-13 株式会社ディスコ 単結晶シリコン基板の製造方法
JP2024003655A (ja) 2022-06-27 2024-01-15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製造方法
JP2024043868A (ja) 2022-09-20 2024-04-02 株式会社ディスコ 被加工物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221A (ja) 1998-09-24 2000-04-04 Toyo Advanced Technologies Co Ltd 放電式ワイヤソ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6669A1 (de) * 2013-10-08 2015-04-09 Siltectra Gmbh Kombiniertes Herstellungsverfahren zum Abtrennen mehrerer dünner Festkörperschichten von einem dicken Festkörper
JP6472333B2 (ja) * 2015-06-02 2019-02-20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生成方法
JP2019033134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生成方法
JP7034683B2 (ja) * 2017-11-29 2022-03-14 株式会社ディスコ 剥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221A (ja) 1998-09-24 2000-04-04 Toyo Advanced Technologies Co Ltd 放電式ワイヤソ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25566A (ja) 2022-02-10
TW202205421A (zh) 2022-02-01
US20220032503A1 (en) 2022-02-03
DE102021207672A1 (de) 2022-02-03
CN114055645A (zh)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344B1 (ko) SiC 웨이퍼의 생성 방법
KR102450902B1 (ko) SiC 웨이퍼의 생성 방법
KR20220014815A (ko) Si 기판 제조 방법
US10056263B2 (en) Method of processing SiC wafer
KR102350407B1 (ko) SiC 웨이퍼의 생성 방법
KR102549852B1 (ko) 평탄화 방법
JP7166893B2 (ja) ウエーハの生成方法
KR20170012025A (ko) 웨이퍼의 박화 방법
JP2016062949A (ja) SiCのスライス方法
JP7187215B2 (ja) SiC基板の加工方法
KR20190116070A (ko) 웨이퍼의 생성 방법
JP2021068819A (ja) SiCインゴットの加工方法およびレーザー加工装置
US20200058483A1 (en) Semiconductor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20150117607A (ko) 웨이퍼 가공 방법
KR20200014196A (ko) 웨이퍼의 가공 방법
JP7166794B2 (ja) 面取り加工方法
CN113001262B (zh) 工件的磨削方法
US11195757B2 (en) Wafer processing method
JP2019150925A (ja) 被加工物の研削方法
JP2023026921A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JP2023071253A (ja) 加工方法
KR20210128908A (ko) 웨이퍼의 생성 방법
CN114256098A (zh) 晶片的分离方法
JP2021040056A (ja) ウェーハの再利用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