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972A -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972A
KR20220013972A KR1020200093458A KR20200093458A KR20220013972A KR 20220013972 A KR20220013972 A KR 20220013972A KR 1020200093458 A KR1020200093458 A KR 1020200093458A KR 20200093458 A KR20200093458 A KR 20200093458A KR 20220013972 A KR20220013972 A KR 20220013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site
guide
state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221B1 (ko
Inventor
서원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2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83Reducing the size of the stomach, e.g. gastr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36Intragastr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0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specified tissue
    • A61B2090/3912Body ca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Obesit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가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가요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원위 단부와 이웃하게 구비되고, 수술 대상자의 체내의 목표 부위에 진입하면 상기 목표 부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전환되는 풍선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풍선에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비되는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BOUGIE FOR SURGICAL GUIDE WITH ADJUSTABLE BALLOON}
본원은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은 루와이 위 우회술, 위소매 절제술 등을 포함하는 비만 대사 수술에서 목표 부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식도 삽입용 부지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비만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비만 수술을 받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2017년 말 기준 건강검진 수검자 약 1400만명을 분석한 결과, 성인 비만 이상(비만, 고도비만, 초고도비만) 유병률은 전체의 36.6%(519만 9212명)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고도비만 유병률은 4.7%(66만 4405명), 초고도비만 유병률은 0.4%(6만 1500명)에 달했다.
이러한 고도비만 수준 이상의 비만환자에 대한 현재 실질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평가되는 유일한 치료 방법은 수술이며 미국에서는 연간 20 내지 40만 건의 비만 대사 수술이 시행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2018년 7월 국가비만관리종합대책을 발표하고 고도비만 수술의 건강보험 급여화를 추진하여, 2019년 01월부터는 치료 목적으로 시행되는 모든 유형의 고도비만 수술 모두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도록 하였다. 이는 최근 20대, 30대 층의 고도비만 증가 추세로 인한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덜고 적극적인 치료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비만 대사 수술은 비만뿐만 아니라, 당뇨치료에서의 효과 역시 입증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대한당뇨병학회가 최근 발표한 당뇨병 팩트시트 자료(2018)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국내 당뇨병 유병률은 14.4%로 나타났으며, 당뇨병 환자의 수는 약 501만 7천 여명으로 집계된바 있다.
도 1은 위소매 절제술 및 루와이 위 우회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도비만 환자에 대해 실시되는 비만 대사 수술은 대표적으로 위소매 절제술과 루와이 위 우회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위소매 절제술(Sleeve Gastrectomy, SG)은 위의 종축을 따라 소매 모양으로 위를 절제하여 위 용적을 줄이고 섭취량을 제한하는 대표적인 섭취 제한 술식이며 장내 호르몬의 변형과 장 운동의 변화를 일으켜 당뇨병 등의 대사성 질환에도 결과가 최근 입증된 효과적인 수술 방식이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루와이 위 우회술(Roux-en-Y gastric bypass) 위를 식도부근에서 작게 남기고 잘라서 나머지 위와 분리한 후 소장과 연결해 주는 술식으로 섭취량 제한과 흡수 제한의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루와이 위우회술에 의하면 음식물이 음식 섭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위부 소장을 통하지 않고 우회하게 된다.
도 2a는 위소매 절제술을 위해 위 부위로 삽입되는 종래의 PVC 부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보통 PVC 부지를 위소매 절제술에서 절제되는 위 부위를 가이드 하기 위해 대상자의 체내로 삽입하는데, 이러한 경도가 강한 PVC 부지 등의 부지를 환자의 비강을 통해 삽입하면 비강 내 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환자의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위 내부에 진입한 후에도 부지의 경도가 강하여 위 내부의 소만에 거치하기가 어려우며 수술자의 가이드 하에 여러 번 부지의 위치를 조정하며 수술을 진행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상존하였다.
도 2b는 루와이 위 우회술 시행시의 위낭의 형상을 가이드하기 위해 활용되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루와이 위 우회술 수행 시에는 일반적으로 체내에 삽입된 부지 등을 통한 가이드 없이 수술자가 복강 내에서 위-식도 연결부에 잉크 등의 수단으로 간략하게만 표시하거나 수술자의 육안으로 필요한 위낭의 크기를 가늠하여 위를 절제한 뒤 위낭을 형성하여 위-소장 문합술을 시행하게 되므로, 환자 상태, 수술자 등에 따라 위낭의 크기가 일괄적이지 않고 적절히 결정되기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루와이 위 우회술에서 위낭의 크기는 수술 후 환자의 섭식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만약 위낭의 크기가 과도하게 작을 경우 환자의 적절한 영양공급이 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반면, 위낭의 크기가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비만 대사 수술의 목적인 체중 감량이 적절히 이루어 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02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소매 절제술 시 잔존 위의 형상을 적절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루와이 위 우회술 시 형성되는 위낭의 크기를 적절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가요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원위 단부와 이웃하게 구비되고, 수술 대상자의 체내의 목표 부위에 진입하면 상기 목표 부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전환되는 풍선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풍선에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비되는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선은, 상기 부지가 상기 수술 대상자의 체외로부터 상기 목표 부위로 이동하는 진입 과정 및 기 배치된 상기 부지가 상기 목표 부위로부터 상기 수술 대상자의 체외로 이동하는 이탈 과정에서 상기 수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 부위는 위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선은, 위소매 절제술과 연계된 위의 잔존 영역을 가이드하는 제1팽창 상태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선은, 상기 제1팽창 상태에서 30 Fr 내지 40 Fr 범위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선은, 루와이 위 우회술과 연계된 위낭을 가이드하는 제2팽창 상태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선은, 상기 제2팽창 상태에서 15cc 내지 30 cc 범위의 부피에 대응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선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상기 통로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통로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주입로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선은 상기 풍선은,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주입로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원위 단부와 이웃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위소매 절제술 시 잔존 위의 형상을 적절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루와이 위 우회술 시 형성되는 위낭의 크기를 적절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부지가 수술 대상자의 체외로부터 목표 부위로 진입하거나 목표 부위로부터 체외로 이탈하는 과정에서 풍선이 수축하여 부지의 전체적인 굵기를 얇게 유지할 수 있어, 수술 대상자에게 가해지는 불편함 및 고통이 경감되며, 수술 대상자의 체내에서의 제어(핸들링)가 용이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비만 대사 수술이 대상자의 신체 조건 등에 맞춤형으로 진행되도록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부지의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 단가가 낮은 이점을 바탕으로 비만 대사 수술의 활성화에 이바지하여 비만으로 인한 각종 질병의 예방 효과 및 이로 인한 의료비 지출 감소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위소매 절제술 및 루와이 위 우회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위소매 절제술을 위해 위 부위로 삽입되는 종래의 PVC 부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루와이 위 우회술 시행시의 위낭의 형상을 가이드하기 위해 활용되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위소매 절제술과 연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루와이 위 우회술과 연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위소매 절제술과 연계된 위의 잔존 영역을 가이드하는 제1팽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루와이 위 우회술과 연계된 위낭을 가이드하는 제2팽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가이드부의 풍선이 몸체부의 내측에 통로의 일부를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근위 단부, 원위 단부, 길이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3 및 도 4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은 3시에서 9시방향이고, 특히, 도 3 및 도 4에서 보았을 때, 근위 단부는 9시 방향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나타내고, 원위 단부는 3시 방향의 길이방향 타단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3 및 도 4 기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3 및 도 4 기준 길이 방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은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은 루와이 위 우회술, 위소매 절제술 등을 포함하는 비만 대사 수술에서 목표 부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식도 삽입용 부지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위소매 절제술과 연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루와이 위 우회술과 연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10)(이하, '가이드용 부지(10)'라 한다.)는, 몸체부(100), 가이드부(미도시) 및 주입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용 부지(10)의 몸체부(100)의 원위 단부와 이웃한 영역에는 개구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1)를 형성하며, 가요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몸체부(100)는 실리콘, 라텍스(latex),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부는 몸체부(100)의 원위 단부와 이웃하게 구비되고, 수술 대상자의 체내의 목표 부위에 진입하면 목표 부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전환되는 풍선(2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300)는 풍선(200)에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부(300)는 몸체부(100)의 근위 단부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주입부(300)는 주입로를 통해 풍선(200)에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조작되는 주입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주입기는 외부의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되,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모든 유체 공급 구조가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부(300)는 풍선(200)으로 공급되는 유체(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 속도, 압력 등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주입 제어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입 제어 수단(미도시)은 후술하는 풍선(200)의 제1팽창 상태 및 제2팽창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직경 범위 또는 부피 범위로 풍선(200)이 팽창되도록 하는 유체의 주입 관련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제어 수단(미도시)은 주입로의 직경을 가변적으로 제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선(200)은 가이드용 부지(10)가 수술 대상자의 체외로부터 목표 부위로 이동하는 진입 과정 및 목표 부위에 기 배치된 가이드용 부지(10)가 해당 목표 부위로부터 수술 대상자의 체외로 이동하는 이탈 과정에서 수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풍선(200)은 가이드용 부지(10)의 진입 과정 및 이탈 과정에서 수축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체 또는 액체가 주입되거나 빼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풍선(200)이 수축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풍선(200)이 몸체부(10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100)의 외측에 미리 설정된 소정 수준 이내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공기 또는 액체가 주입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하면, 도 3의 (a) 및 도 4의 (a) 각각은 풍선(200)이 수축 상태인 경우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부위는 위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개시하는 가이드용 부지(10)가 활용되는 수술은 위장 부위에 대하여 수행되는 비만 대사 수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비만 대사 수술은 위소매 절제술 및 루와이 위 우회술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원의 가이드용 부지(10)는 비만 대사 수술 외의 용도에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원의 가이드용 부지(10)는 위장 부위를 목표 부위로 하여 대상자의 섭식을 위해 음식물 등을 몸체부(100) 내부의 통로(1)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비만 대상 수술의 세부적인 유형과 관련하여, 도 3은 위소매 절제술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용 부지(10)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루와이 위 우회술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용 부지(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용 부지(10)가 활용되는 수술 유형에 따라 풍선(200)의 규격, 팽창 범위, 형성위치 등이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용 부지(10)가 배치되는 목표 부위의 유형에 따라 풍선(200)의 규격, 팽창 범위, 형성위치 등이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선(200)은 위소매 절제술과 연계된 위의 잔존 영역을 가이드하는 제1팽창 상태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팽창 상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200)이 팽창(확장)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선(200)은 루와이 위 우회술과 연계된 위낭을 가이드하는 제2팽창 상태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팽창 상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200)이 팽창(확장)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제1팽창 상태 및 제2팽창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위소매 절제술과 연계된 위의 잔존 영역을 가이드하는 제1팽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풍선(200)은 전술한 수축 상태를 유지하면서 목표 부위 내로 진입한 후 주입부(300)에 의해 주입된 유체에 의해 위소매 절제 후의 적절한 잔존 위장의 부피에 대응되도록 팽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선(200)은 제1팽창 상태에서 30 Fr 내지 40 Fr 범위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팽창 상태의 풍선(200)에 의해 목표 부위인 위장이 잔존 영역(2A) 및 절제 영역(2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절제 영역(2B) 및 잔존 영역(2A)에 대한 경계선은 도 5의 L1으로 표시된다. 위소매 절제술의 시술자는 대상자의 목표 부위에 대한 조건(예를 들면, 위장의 용적, 위장 형상 등) 등에 기초하여 30 Fr 내지 40 Fr 내의 범위에서 적절한 소정의 직경으로 풍선(200)이 팽창되도록(달리 말해, 제1팽창 상태가 되도록) 주입부(300)를 제어하고, 제1팽창 상태의 풍선(200)에 의해 절제 영역(2B)과 잔존 영역(2A)의 경계를 확인하면서 절제 영역(2B)을 절제하는 행위(술식) 및 절제된 부위를 문합하는 행위(술식)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루와이 위 우회술과 연계된 위낭을 가이드하는 제2팽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풍선(200)은 전술한 수축 상태를 유지하면서 목표 부위 내로 진입한 후 주입부(300)에 의해 주입된 유체에 의해 루와이 위 우회술 후의 근위부의 위 주머니(위낭)의 용적에 대응되도록 팽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선(200)은 제2팽창 상태에서 15cc 내지 30cc 범위의 부피에 대응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2팽창 상태의 풍선(200)에 의해 목표 부위인 위장이 위낭 영역(2A') 및 비위낭 영역(2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위낭 영역(2A') 및 비위낭 영역(2B')에 대한 경계선은 도 6의 L2로 표시된다. 루와이 위 우회술의 시술자는 대상자의 목표 부위에 대한 조건(예를 들면, 위장의 용적, 위장 형상 등) 등에 기초하여 15cc 내지 30cc 내의 범위에서 적절한 소정의 부피로 풍선(200)이 팽창되도록(달리 말해, 제2팽창 상태가 되도록) 주입부(300)를 제어하고, 제2팽창 상태의 풍선(200)에 의해 위낭 영역(2A') 및 비위낭 영역(2B')에 대한 경계를 확인하면서, 장관 문합기 등을 통해 위낭 영역(2A')을 비위낭 영역(2B')과 구분하여 절제하는 행위(술식) 및 절제된 위낭을 소장과 연결하는 행위(술식)를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풍선(200)은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몸체부(100)와 풍선(200)은 별개의 내강(루멘)을 가지도록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외측에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풍선(200)에는 몸체부(100)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는 주입로를 통해 주입부(300)로부터 기체 또는 액체가 주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정의 기체 또는 액체를 풍선(200)에 주입하도록 주입부(300)와 풍선(200)을 연결하는 주입로가 몸체부(100)의 통로(1)에 배치되어 몸체부(100)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되, 몸체부(100)의 통로(1) 중간 내벽에 통로(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구(예를 들면, 사이드 홀 등)가 형성되고 풍선(200)이 몸체부(100)에 형성된 개구를 감싸도록 몸체부(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주입부(300)에서 주입로를 따라 주입된 기체 또는 액체가 통로(1)의 개구를 통해 풍선(200) 내부로 주입되어 풍선(200)이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예를 들면, 제1팽창 상태 또는 제2팽창 상태)가 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풍선(200)의 길이는 제1팽창 상태에서 제2팽창 상태에 비하여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도 1의 (a) 및 도 5를 통해 이해될 수 있는 위소매 절제술 수행시 잔존 영역과 절제 영역을 구분하도록 요구되는 가이드의 형태는 목표 부위인 위를 길게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도 1의 (b) 및 도 6을 통해 이해될 수 있는 루와이 위 우회술 수행시 위낭 영역과 비위낭 영역을 구분하도록 요구되는 가이드의 형태는 목표 부위인 위의 초입(근위부)에 비교적 제한적인 영역에 제공되어도 충분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원위 단부와 풍선(200)의 원위 단부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은 제1팽창 상태의 경우보다 제2팽창 상태인 경우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루와이 위 우회술에 적용되는 가이드용 부지(10)에 대한 제2팽창 상태에서는 위낭 영역이 잔존되도록 목표 부위를 절제하는 도중에 풍선(200) 외측의 몸체부(100) 원위 단부의 근접 영역이 함께 절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루와이 위 우회술에 적용되는 가이드용 부지(10)의 경우, 위낭의 가이드를 위해 제2팽창 상태로 팽창되는 풍선(200)의 원위 단부와 몸체부(100)의 원위 단부를 위소매 절제술에 적용되는 가이드용 부지(10)의 경우에 비해 근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한 풍선(200)의 팽창 범위는 제1팽창 상태에 비하여 제2팽창 상태일 때 크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루와이 위 우회술에 적용되는 가이드용 부지(10)가 루와이 위 우회술에 의해 형성될 위낭(위 주머니)에 대응하는 위장의 근위부 영역에 풍선(200)이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미도시)는 제1팽창 상태 및 제2팽창 상태에 각각 대응하도록 풍선(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팽창 범위를 제한하는 길이 가변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가변 수단(미도시)은 풍선(200)의 길이방향 양단 바깥쪽(달리 말해, 풍선(200)의 근위 단부 측 외측 및 풍선(200)의 원위 단부 측 외측)에 몸체부(10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 쌍의 길이 가변 수단 각각은 풍선(200)의 길이 방향 형성범위를 제한하도록 좁아지는 방향으로 조작되거나 풍선(200)의 길이 방향 형성범위를 확장하도록 넓어지는 방향으로 조작되는 양방향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길이 가변 수단은 풍선(200)의 근위 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일방향(도 3 및 도 4 기준 9시 방향) 측으로 치우치게 단일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단일 배치되는 길이 가변 수단의 경우, 풍선(200)의 원위 단부의 형성위치는 고정되되, 풍선(200)의 근위 단부의 형성위치 범위는 단일 배치되는 길이 가변 수단을 몸체부(100)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한 쌍의 길이 가변 수단의 경우, 한 쌍의 길이 가변 수단 각각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풍선(200)의 길이 방향 형성범위 및 길이 방향 형성위치가 모두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미도시)는 길이 가변 수단(한 쌍의 길이 가변 수단 또는 단일 배치되는 길이 가변 수단)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가 소정 수준으로 결정되면, 길이 가변 수단이 몸체부(100)의 외측에서 더 이상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잠금(Lock)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수단(미도시)은 몸체부(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길이 가변 수단의 길이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가이드부의 풍선이 몸체부의 내측에 통로의 일부를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용 부지(10)의 풍선(200)은 몸체부(100)의 내측에 통로(1)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가이드용 부지(10)의 풍선(200)은 몸체부(1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몸체부(10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어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에 따라 팽창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1은 주입부(300)에 의한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에 의해 미팽창하는 몸체부(100)에 대응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도 7의 A2는 주입부(300)에 의한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에 의해 팽창하는 풍선(200)에 대응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상술한 통로(1)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풍선(200)과 관련하여, 주입부(300)는 통로(1)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주입로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입부(300)의 주입로는 통로(1)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00)에는 몸체부(100)의 원위 단부와 이웃하는 개구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만 대사 수술(예를 들면, 위 소매 절제술, 루와이 위 우회술 등)이 완료된 후에도 시술자는 목표 부위에 배치된 가이드용 부지(10)를 제거하지 않고 유지하여 개구부(400)를 통해 체액(예를 들면, 혈액 등)의 상태(예를 들면, 체액이 유동하는지 여부 등)를 소정의 기간 동안(예를 들면, 수 일 등)관찰하여 목표 부위의 문합 부위에 누출이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감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
100: 몸체부
200: 풍선
300: 주입부
400: 개구부
1: 통로

Claims (9)

  1.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에 있어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가요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원위 단부와 이웃하게 구비되고, 수술 대상자의 체내의 목표 부위에 진입하면 상기 목표 부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전환되는 풍선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풍선에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비되는 주입부,
    를 포함하는, 수술 가이드용 부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은,
    상기 부지가 상기 수술 대상자의 체외로부터 상기 목표 부위로 이동하는 진입 과정 및 기 배치된 상기 부지가 상기 목표 부위로부터 상기 수술 대상자의 체외로 이동하는 이탈 과정에서 상기 수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
    수술 가이드용 부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부위는 위장을 포함하고,
    상기 풍선은,
    위소매 절제술과 연계된 위의 잔존 영역을 가이드하는 제1팽창 상태의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가이드용 부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은,
    상기 제1팽창 상태에서 30 Fr 내지 40 Fr 범위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팽창되는 것인,
    수술 가이드용 부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부위는 위장을 포함하고,
    상기 풍선은,
    루와이 위 우회술과 연계된 위낭을 가이드하는 제2팽창 상태의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가이드용 부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은,
    상기 제2팽창 상태에서 15cc 내지 30 cc 범위의 부피에 대응하도록 팽창되는 것인,
    수술 가이드용 부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상기 통로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주입부는,
    상기 통로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주입로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실 가이드용 부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은,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주입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을 따라 연장되는 주입로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가이드용 부지.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원위 단부와 이웃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가이드용 부지.
KR1020200093458A 2020-07-28 2020-07-28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 KR10249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58A KR102490221B1 (ko) 2020-07-28 2020-07-28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58A KR102490221B1 (ko) 2020-07-28 2020-07-28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972A true KR20220013972A (ko) 2022-02-04
KR102490221B1 KR102490221B1 (ko) 2023-01-18

Family

ID=8026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458A KR102490221B1 (ko) 2020-07-28 2020-07-28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2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291B2 (ja) * 1989-03-27 1998-12-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生体器官拡張器及びカテーテル
JP2012086018A (ja) * 2010-10-15 2012-05-10 Iyunni Venkata Sesha Sayi Nath バルーン・カテーテル・システム、それを組み立てる方法及び挿入方法
US20130131440A1 (en) * 2011-10-03 2013-05-23 Nick H. Gabriel Orogastric calibration tube with magnets
US20160184124A1 (en) * 2011-04-04 2016-06-30 Freehold Surgical, Inc. Method for performing a gastrectom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291B2 (ja) * 1989-03-27 1998-12-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生体器官拡張器及びカテーテル
JP2012086018A (ja) * 2010-10-15 2012-05-10 Iyunni Venkata Sesha Sayi Nath バルーン・カテーテル・システム、それを組み立てる方法及び挿入方法
US20160184124A1 (en) * 2011-04-04 2016-06-30 Freehold Surgical, Inc. Method for performing a gastrectomy
US20130131440A1 (en) * 2011-10-03 2013-05-23 Nick H. Gabriel Orogastric calibration tube with magne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5453 (2012.08.28.자 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221B1 (ko)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7466B2 (ja) 尿路内の圧力の測定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783796B2 (ja) 経腸フィードカテーテルを制御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48858B2 (ja) オーバーチューブ及び処置システム
JP4759203B2 (ja) 食道括約筋のコンプライアンス測定装置
US9463106B2 (en) Catheter with releasable balloon and related methods
US20210228387A1 (en) Combined stent reperfusion system
US20080262529A1 (en) Gastric Ballo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CN110709036A (zh) 低温球囊压力传感器组件
US2007025002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obesity
KR20140135220A (ko) 조직의 치료를 위한 열 절제 시스템,장치 및 방법
JP5647780B2 (ja) 処置用オーバーチューブ及び処置システム
US7963929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sizing of a gastric pouch
JP6313295B2 (ja) 生体チャネルの長さに沿って印加される圧力を監視する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JP2002301019A (ja) 内視鏡装置
JP2008049160A (ja) 経腸フィードカテーテルおよび患者の腹腔内圧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EP2928420B1 (en) Inflatable obstruction device for the pyloric sphincter
WO2008038427A1 (fr) Système de détection employant un manipulateur médical et dispositif de mesure de force de pression et son programme
US20170065444A1 (en) Variable Size Intragastric Implant Devices
JP2018047277A (ja) 調整可能な血管リング、sfs症候群の治療方法および当該リングを用いた配置可能なキットならびに当該リングの製造用型および製造方法
KR20220013972A (ko) 조절 가능한 풍선이 구비된 수술 가이드용 부지
EP3199128B1 (en) Device for inserting an inflatable balloon
ES2957612T3 (es) Dispositivo médico y método para implantar dispositivos antirreflujo y de obesidad gastroesofágicos en un esófago
CN212282204U (zh) 预防esd术后食管狭窄的具有鼻饲功能的双腔球囊扩张导管
CN219355032U (zh) 一种小肠排列管
RU27841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циркулярного сшивающего аппарата по кишк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