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723A -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 Google Patents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723A
KR20220012723A KR1020200091879A KR20200091879A KR20220012723A KR 20220012723 A KR20220012723 A KR 20220012723A KR 1020200091879 A KR1020200091879 A KR 1020200091879A KR 20200091879 A KR20200091879 A KR 20200091879A KR 20220012723 A KR20220012723 A KR 20220012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dium
media
modul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식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723A/ko
Publication of KR2022001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들모듈로 반환되는 리젝트권 매체의 선단 정렬이 가능토록 하여 리젝트권 매체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금 매체를 번들 단위로 투입하거나 리젝트권 매체를 번들 단위로 수취하기 위한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있어서, 매체의 입금 경로 또는 리젝트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제1벨트; 상기 반송로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고, 스택되는 매체가 적재되는 제2벨트; 및 상기 제1벨트에 구비되어, 리젝트되는 매체의 선단부를 클램핑하여 설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한 후에 클램핑 해제됨으로써 매체의 선단이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하는 탄성 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본 발명은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번들모듈로 반환되는 리젝트권 매체의 선단 정렬이 가능한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로서, 현금자동지급기(CDU; Cash Dispenser Unit), 현금자동입출금기(BRM; Bill Recycling Machine), 다수매의 현금 및 수표 등의 매체를 번들(bundle) 단위로 동시에 입금 및 리젝트 처리할 수 있는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CCIM; CASH AND CHECK IN MODULE) 등이 있다.
종래의 매체 입금기는, 매체를 번들 단위로 투입 및 수취하기 위한 번들모듈, 상기 번들모듈에 투입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하여 반송되는 입금 매체의 정보 및 진위를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 입금되는 수표에 필요한 정보를 인자하기 위한 프린트모듈, 입금되는 매체 중 상기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부, 및 입금되는 매체 중 상기 감별부에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매체 또는 입금 수납 취소된 매체가 반환되어 저장된 후에 리젝트권을 번들 단위로 상기 번들모듈 측으로 반송하는 리젝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매체 입금기는, 상기 감별부와 번들모듈 사이에 리젝트모듈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입금 취소시 리젝트권이 리젝트모듈에 모두 반송되어 수납된 후에 리젝트권을 번들 단위로 번들모듈에 반송 처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번들 단위로 일괄 반송시 매체 흐트러짐이 발생되어 반송로 잔류 장애 발생, 여러가지 매체의 상이한 크기로 인하여 선단 정렬이 되지 않아 반송로 내에 잔류되어 고객에게 여러번 배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스택되는 매수가 많아질수록 해당 장애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매체 입금기는 리젝트권을 번들모듈의 스택부에 자유낙하 방식으로 수납하는 사양이 있으나, 이와 같은 자유낙하 방식은 리젝트권의 수납 및 스택 제어가 불가하여 스택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매체 입금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1725호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번들모듈로 반환되는 리젝트권 매체의 선단 정렬이 가능토록 하여 리젝트권 매체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은, 입금 매체를 번들 단위로 투입하거나 리젝트권 매체를 번들 단위로 수취하기 위한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있어서, 매체의 입금 경로 또는 리젝트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제1벨트; 상기 반송로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고, 스택되는 매체가 적재되는 제2벨트; 및 상기 제1벨트에 구비되어, 리젝트되는 매체의 선단부를 클램핑하여 설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한 후에 클램핑 해제됨으로써 매체의 선단이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하는 탄성 클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클램프는, 상기 제1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벨트와의 사이에 매체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에 접촉되어 상기 매체의 선단부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까지 매체를 이송하며, 상기 제1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로부터 이격되어 매체의 클램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매체의 선단이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클램프는, 상기 제1벨트의 외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벨트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감지되는 광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클램프가 정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하여 반사하는 프리즘 센서와, 상기 프리즘 센서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벨트는, 매체의 입금시에는 상기 제1벨트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매체가 상기 제1벨트에 접촉되도록 하고, 매체의 리젝트 반환시에는 상기 제1벨트와 이격되는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리젝트 반환되는 매체가 적재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벨트의 일측에는 리젝트권 매체를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제3벨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벨트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반송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벨트의 일측에는 입금 또는 리젝트되는 매체의 반송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매체의 입금시에는 회전 정지되어 적재된 매체가 낱장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매체의 리젝트시에는 회전되어 리젝트권 매체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분리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의하면, 번들모듈로 반환되는 리젝트권의 선단이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의 매체를 고객에게 반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매체 입금기에 구비된 리젝트모듈의 구성을 생략하고 리젝트모듈의 기능을 번들모듈에 통합함으로써, 반송로를 축소하여 매체의 잼 발생을 줄이는 동시에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고, 리젝트권의 반환 처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을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과 분리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리젝트권 매체가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구비된 제1벨트와 탄성 클램프 사이에 리젝트권 매체의 선단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구비된 제1벨트와 탄성 클램프 사이에 리젝트권 매체의 선단이 클램핑된 상태에서 제1벨트의 회전에 의해 리젝트권 매체가 번들모듈의 전방으로 반송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구비된 제1벨트와 탄성 클램프 사이에 선단이 클램핑되어 있던 매체가 제1벨트의 회전에 의해 클램핑 해제되어 설정된 위치에 자유 낙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매체의‘선단’은 매체가 전진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앞쪽 끝단을 지칭하고, 매체의‘후단’은 매체가 전진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뒤쪽 끝단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얼라인모듈(100)을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매체 입금기(1)는, 매체를 번들 단위로 투입 및 수취하기 위한 번들모듈(100), 상기 번들모듈(100)에 투입된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10), 상기 분리부(10)를 통과한 매체를 인식모듈(30)에서 문자 인식이 가능하도록 정위치에 정렬시키기 위한 얼라인모듈(20), 상기 얼라인모듈(20)을 통과하여 반송되는 입금 매체의 정보 및 진위를 감별하기 위한 인식모듈(30), 상기 인식모듈(30)을 통과한 매체를 일시 저장하는 에스크로모듈(40), 입금 매체에 필요한 정보를 인자하기 위한 프린트모듈(50), 상기 인식모듈(30)에서 위조권으로 감별된 매체 또는 상기 번들모듈(10)로 반환된 후에 미수취된 매체가 반송되어 저장되는 리트랙트모듈(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100)은, 입금 매체를 번들 단위로 투입하거나 리젝트권 매체를 번들 단위로 수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매체(M)의 입금 경로 또는 리젝트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103), 상기 반송로(103)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제1벨트(120), 상기 반송로(103)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고, 스택되는 매체가 적재되는 제2벨트(130), 및 상기 제1벨트(120)에 구비되어, 리젝트되는 매체(M)의 선단부를 클램핑하여 설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한 후에 클램핑 해제됨으로써 매체(M)의 선단이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하는 탄성 클램프(125)를 포함한다.
상기 번들모듈(110)은 본체(110)의 일측부에 매체 투입 및 수취구(101)가 구비되고, 상기 매체 투입 및 수취구(101)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102)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벨트(120)는, 구동원(미도시됨)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된 제1풀리(141)와,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된 제2풀리(142)를 주행하도록 구비되며,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풀리(121)와 제2풀리(122) 사이에는 매체(M)와의 접촉시 상기 제1벨트(12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롤러(123)와 제2지지롤러(124)가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2벨트(130)는 상기 제1벨트(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벨트(120)와의 사이에 상기 반송로(103)를 형성하며, 상기 제2벨트(130)의 상면에는 리젝트된 매체가 적재된다.
상기 제1벨트(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탄성 클램프(125)가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클램프(125)는, 상기 제1벨트(1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12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벨트(120)와의 사이에 매체(M)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벨트(1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120)에 접촉되어 상기 매체(M)의 선단부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까지 매체(M)를 이송하며, 상기 제1벨트(1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120)로부터 이격되어 매체(M)의 클램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매체(M)의 선단이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벨트(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의 홀(H1,H2,H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H1,H2,H3)을 통해 감지되는 광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클램프(125)가 정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감지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126)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126a)와, 상기 발광부(126a)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하여 반사하는 프리즘 센서(126c)와, 상기 프리즘 센서(126c)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12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벨트(130)는, 구동원(미도시됨)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된 제3풀리(131)와,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된 제4풀리(132)를 주행하도록 구비되며,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풀리(131)와 제4풀리(132) 사이에는 적재되는 매체(M)를 지지하기 위한 제5풀리(133)와 제6풀리(134)가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2벨트(130)는, 매체(M)의 입금시에는 상기 제1벨트(120)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매체(M)가 상기 제1벨트(120)에 접촉되도록 하고, 매체(M)의 리젝트 반환시에는 상기 제1벨트(120)와 이격되는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리젝트 반환되는 매체가 적재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한다.
상기 제1벨트(120)의 일측에는 리젝트권 매체를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제3벨트(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3벨트(140)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반송 시트(140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벨트(140)는, 구동원(미도시됨)에 연결되며 본체(11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구비된 제7풀리(141)와 타측에 구비된 제8풀리(142)를 주행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벨트(120)의 일측에는 입금 또는 리젝트되는 매체(M)의 반송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50)에는, 매체(M)의 입금시에는 회전 정지되어 적재된 매체(M)가 낱장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매체(M)의 리젝트시에는 회전되어 리젝트권 매체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분리 롤러(15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 상에는 매체의 입금 또는 리젝트 반환시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롤러(160)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매체의 리젝트 반환시 매체가 설정된 적재 위치에 선단이 정위치에 정렬되도록 적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리젝트권 매체(M)가 번들모듈(100) 측으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벨트(120)는 진입하는 리젝트권 매체(M)를 탄성 클램프(125)가 클램핑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벨트(120)에는 제1홀(H1)과 제2홀(H2) 및 제3홀(H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 감지부(80)에서 감지되는 광신호를 기준으로 탄성 클램프(125)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부(126a)에서 조사된 광이 제1홀(H1)을 통과하여 프리즘 센서(126c)에 수신된 후에 반사되어 제2홀(H2)을 통과하여 수광부(126b)에서 감지되면 제1벨트(120)의 반송 속도를 낮추기 시작하고, 제1벨트(120)가 계속 구동되어, 발광부(126a)에서 조사된 광이 제2홀(H2)을 통과하여 프리즘 센서(126c)에 수신된 후에 반사되어 제3홀(H3)을 통과하여 수광부(126b)에서 감지되면 탄성 클램프(125)를 설정된 정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4는 상기 탄성 클램프(125)가 설정된 정위치에서 정지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벨트(1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12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벨트(120)와의 사이에 매체(M)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벨트(1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120)에 접촉되어 상기 매체(M)의 선단부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까지 매체(M)를 이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벨트(12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120)로부터 이격되어 매체(M)의 클램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매체(M)가 자유낙하하여 상기 매체(M)의 선단이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번들모듈(100)로 반환되는 리젝트권의 선단이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의 매체를 고객에게 반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매체 입금기에 구비된 리젝트모듈의 구성을 생략하고 리젝트모듈의 기능을 번들모듈(100)에 통합함으로써, 반송로를 축소하여 매체의 잼 발생을 줄이는 동시에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고, 리젝트권의 반환 처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매체 입금기 10 : 분리부
20 : 얼라인모듈 30 : 인식모듈
40 : 에스크로모듈 50 : 프린트모듈
60 : 카세트부 70 : 리트랙트모듈
100 : 번들모듈 101 : 매체 투입 및 수취구
102 : 셔터 103 : 반송로
110 : 본체 120 : 제1벨트
121 : 제1풀리 122 : 제2풀리
123 : 제1지지롤러 124 : 제2지지롤러
125 : 탄성 클램프 126 : 위치감지부
126a : 발광부 126b : 수광부
126c : 프리즘 센서 130 : 제2벨트
131 : 제3풀리 132 : 제4풀리
133 : 제5풀리 134 : 제6풀리
140 : 제3벨트 140a : 반송시트
141 : 제7풀리 142 : 제8풀리
150 : 가이드부 151 : 분리롤러
160 : 반송롤러 H1 : 제1홀
H2 : 제2홀 H3 : 제3홀
M : 매체

Claims (8)

  1. 입금 매체를 번들 단위로 투입하거나 리젝트권 매체를 번들 단위로 수취하기 위한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에 있어서,
    매체의 입금 경로 또는 리젝트 경로를 제공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제1벨트;
    상기 반송로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고, 스택되는 매체가 적재되는 제2벨트; 및
    상기 제1벨트에 구비되어, 리젝트되는 매체의 선단부를 클램핑하여 설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한 후에 클램핑 해제됨으로써 매체의 선단이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하는 탄성 클램프;
    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램프는,
    상기 제1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벨트와의 사이에 매체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에 접촉되어 상기 매체의 선단부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까지 매체를 이송하며;
    상기 제1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방향 전환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제1벨트로부터 이격되어 매체의 클램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매체의 선단이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램프는, 상기 제1벨트의 외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감지되는 광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클램프가 정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하여 반사하는 프리즘 센서와, 상기 프리즘 센서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벨트는,
    매체의 입금시에는 상기 제1벨트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재된 매체가 상기 제1벨트에 접촉되도록 하고,
    매체의 리젝트 반환시에는 상기 제1벨트와 이격되는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리젝트 반환되는 매체가 적재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의 일측에는 리젝트권 매체를 상기 설정된 적재 위치로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제3벨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벨트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반송 시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의 일측에는 입금 또는 리젝트되는 매체의 반송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매체의 입금시에는 회전 정지되어 적재된 매체가 낱장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매체의 리젝트시에는 회전되어 리젝트권 매체에 반송력을 부여하는 분리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1020200091879A 2020-07-23 2020-07-23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20220012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879A KR20220012723A (ko) 2020-07-23 2020-07-23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879A KR20220012723A (ko) 2020-07-23 2020-07-23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723A true KR20220012723A (ko) 2022-02-04

Family

ID=8026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879A KR20220012723A (ko) 2020-07-23 2020-07-23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7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5912B2 (en) Device for aligning notes of value
KR101581725B1 (ko)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
WO2005088566A1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搬送装置
KR102425145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20150047795A (ko) 횡방향 입출금 방식이 적용된 환류형 지폐/수표 입출금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수표 처리방법
WO2005088564A1 (ja) 紙葉類取扱装置
US8931613B2 (en) Device for handling notes of value, comprising a stack merging unit
JP3690080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527651B1 (ko) 매체 처리 장치
KR102361651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JPH09147193A (ja) 紙幣入出金装置
KR20140116322A (ko) 매체 처리 장치
KR20160139764A (ko) 매체 처리 장치
KR20220012723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20200037685A (ko) 지폐 처리 장치
KR20220000295A (ko) 매체 입금기의 얼라인모듈
JPH0323465B2 (ko)
KR101527653B1 (ko) 매체 처리 장치
JP6119824B2 (ja) 紙幣入出金機及び紙幣処理装置
JPH1186092A (ja) 紙葉類搬送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KR102573029B1 (ko) 지폐 처리 장치
JP3594352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2503807Y2 (ja) 紙幣取り込み装置
KR20220050410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의 제어방법
JPH08194859A (ja) 現金自動取扱装置